KR100361604B1 -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교량 점검용 사다리 - Google Patents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교량 점검용 사다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604B1
KR100361604B1 KR1020000006022A KR20000006022A KR100361604B1 KR 100361604 B1 KR100361604 B1 KR 100361604B1 KR 1020000006022 A KR1020000006022 A KR 1020000006022A KR 20000006022 A KR20000006022 A KR 20000006022A KR 100361604 B1 KR100361604 B1 KR 100361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bridge
protective
inspecti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8628A (ko
Inventor
하동석
Original Assignee
지산공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산공업 (주) filed Critical 지산공업 (주)
Priority to KR1020000006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604B1/ko
Priority to KR2020000018213U priority patent/KR200207063Y1/ko
Publication of KR20010078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난간 외측에 설치되는 교량점검용 사다리에 일정 범위이내에서 자체 승하강 되는 승강식 방호망을 설치함으로써 교량 점검을 위한 작업자의 이동이 보다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교량점검용 사다리(A)를 구성함에 있어서,
교량난간(4)외벽에 다수의 스텝(21)을 가지며, 일정부분 대략 U자형의 방호망(22)을 형성한 사다리(b)를 다수의 브라켓(3)을 개재하여 부착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양 상하브라켓(3)(3)에는 일정길이의 가이드관(5)을 각각 부착설치하고, 상기 가이드관(5)(5)에는 외면을 대략 U자형의 방호망(12)으로 형성한 방호구(a)을 이루는 방호구본체(1)의 슬라이드관(11)을 끼워 설치하며, 상기 방호구본체(1) 하단의 버팀대(13)에는, 타단에 중량추(83)가 설치된 채 도르래(81)를 개재하여 웜감속기(82)에 의해 진퇴이동하는 와이어(84)의 일단을 연결고정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 교량점검 사다리이다.

Description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교량 점검용 사다리{Ladder having a moveable protector}
본 발명은 승강식 방호망을 갖는 교량점검용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난간 외측에 설치되는 교량점검용 사다리에 일정 범위이내에서 자체 승하강 되는 승강식 방호구를 설치함으로써 교량 점검을 위한 작업자의 이동이 보다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이나 기타 건물의 난간 외부에는 시설점검을 위해 작업자가 자유롭게 진출입을 할 수 있는 다수의 점검용 사다리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바, 이들 사다리의 경우는 그 대부분이 사다리 외부에 별도의 방호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의 진출입과정에서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있을 뿐만아니라, 작업자의 안전한 진출입을 위해 설사 방호구가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설치된 방호구가 교량 난간이나 사다리에 그 설치위치가 고정되도록 부착설치되는 것인바, 그 나마다도 교량의 각종 점검시설에 대한 주행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방호구의 최상단은 교량난간의 상단높이 이상으로는 상향 돌출되게 설치될 수 없는 제약을 받는 것이어서, 어쩔수 없이 작업자의 안전한 진출입을 위해 설치되는 방호구는 교량난간의 아래쪽으로 설치되어야만 하므로 교량의 시설점검을 위한 작업자의 진출입시 사다리의 최상단부에서는 일정시간 난간 외부로 몸이 그대로 노출되는 상태로되므로 자칫 안전사고의 발생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심리적으로도 상당한 공포감을 갖게 되어 작업능률 역시 저하 될 수 밖에 없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교량점검용 사다리는 사다리의 최하단부가 교량이 얹어져 설치되는 교각의 외측에 별도 설치되는 점검대바닥에 단순 용접 등에 의해 부착고정설치되는 것이어서 사다리의 상단은 교량에 부착 고정되고 그 하단은 교각에 연결된 점검대 바닥에 부착고정되는 것이므로 계절변화에 따른 교량의 신축작용시 사다리의 하단은 교량과 함께 이동되고 사다리의 상단은 교량의 신축이동과는 전혀 관계없이 점검대상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게 되므로 사다리는 어쩔 수 없이 미량이지만 계절변화시마다 비틀림 등의 변형을 일으킬 수 밖에 없는 것이어서 교량점검 사다리를 비롯한 점검시설 모두의 사용 수명이 현저히 단축되게 되어 교량점검시설에 대한 투자비용의 과다한 지출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방호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설치되어 있더라도 교량의 난간 높이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됨과 동시에 사다리 하단이 교량의 신축 동작에 연동하지 않는 상태로 점검대 바닥에 부착고정설치되는 종래의 교량점검용 사다리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다리를 계절변화에 따른 교량의 신축 동작에 따라 연동하게하여 비틀림 현상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사다리에 방호구가 승하강 가능한 상태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작업자의 사다리진출입시 방호구를 교량난간 보다 휠씬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켜 보다 안전한 상태에서 작업자에 대한 사다리로의 진출입이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방호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최상단의 높이가 교량난간의 상단 높이를 초과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기타 교량점검시설의 사용에 제한을 받지 않도록 한 승강식 방호구를 가는 교량점검용 사다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 하단부의 설치예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사시도.
※주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a : 방호구 b : 사다리
1 : 방호구본체 2 : 사다리 본체
3 : 브라켓 4 : 교량난간
5 : 가이드관 6 : 점검대
11 : 슬라이드관 12, 22 : 방호망
13 : 버팀대 21 : 스텝
23 : 연결구 23a : 장공
61 : 지지구 81 : 도르래(wire drum)
82 : 웜 감속기(worm reducer) 83 : 중량추
84 : 와이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 교량점검용 사다리는, 다수의 스텝(21)을 가지며, 일정부분에 대략 U자형의 방호망(22)을 형성한 채 상하 브라켓(3)(3)에 의해 교량난간(4)외벽에 사다리(b)를 고정설치하여서 되는 교량점검용 사다리(A)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3)에는 일정길이의 가이드관(5)(5)을 각각 부착설치하고, 상기 가이드관(5)(5)에는 외면을 대략 U자형 방호망(12)으로 형성한 방호구(a)를 이루는 방호구본체(1)의 슬라이드관(11)을 끼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방호구본체(1)하단의 버팀대(13)에 승강수단(8)의 와이어(84)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방호구(a)가 사다리(b)외면에서 일정부분 승하강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 교량점검용 사다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식 방호망을 갖는 교량점검용 사다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조립상태평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 교량점검용 사다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 교량점검용 사다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사다리 하단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그 구성을 크게 방호구(a), 사다리(b) 및 승강수단(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방호구(a)는 골격역활을 하는 방호구 본체(1)외면을 대략U자형의 평면형상으로 되어 일정크기의 곡률반경을 갖는 방호망(12)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방호구본체(1)를 이루는 슬라이드관(11)(11)이 교량난간(4)외벽에 설치되는 사다리(b)의 브라켓(3)에 U볼트 등의 고정수단(51)에 의해 부착고정되는 가이드(5)(5)내에 끼워진 상태에서 승하강 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한 방호구(a)는 방호구본체(1)하단에 설치되는 버팀대(13)에 승강수단(8)을 이루는 와이어(84)의 일단을 연결하여 와이어(84)의 당김 또는 풀림 동작에 의해 방호구(a)가 사다리(b) 전면에서 일정범위에 걸쳐 승하강 동작을 반복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사다리(b)는 교량난간(4)외벽에 다수의 브라켓(3)(3)을 개재하여 U볼트의 고정수단(31)에 의해 부착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사다리(b)를 이루는 사다리본체(2)에는 다수의 스텝(21)을 설치하되, 상기 사다리본체(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부분에는 상기 방호구(a)의 방호망(11)보다 작은 곡률반경을 갖는 방호망(22)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사다리본체(2)의 최하단에는 장공(23a)을 갖는 연결구(23)를 각각설치하여, 이 연결구(23)의 장공(23a)이 교각 일측에 설치되는 점검대(6)바닥에 설치된 지지구(61)에 유동가능한 상태로 끼워지게 함으로써 사다리본체(2)는 점검대(6)에 대해 위치가 가변상태로 설치되어 교량의 수축, 팽창에 따라 교량과 함께 이동가능한 상태로 되므로 사다리(b)에 대한 비틀림현상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승강수단(8)은 웜감속기(82)의 수동 또는 자동작동에 의해 당겨지거나 풀리도록 일단이 방호구(a)하단의 버팀대(13)에 연결고정 된 와이어(84)와, 이 와이어(84)의 타단에 연결되는 대략 50kg 정도의 무게를 갖는 중량추(83)와, 상기 와이어(84)가 외면에 밀접된 상태에서 당겨지거나 풀리도록 하는 도르래(8)로 이루어져, 작업자에 의한 웜감속기(82)의 핸들(82a)조작에 의해 와이어(84)가 도르래(81)를 개재하며 진퇴이동되도록하여 결과적으로 방호구(a)를 승, 하강 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 교량점검용 사다리(A)의 실시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a 및 도 4a에 도시한 바와같이 교량난간(4)외측으로 사다리(b)와 함께 일정부분 중첩되도록 그 상단이 교량난간(4)의 상단높이를 초과하지 않게 방호구(a)가 설치되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교량의 유지보수나 시설물교체 등을 위한 점검을 위해 교량하부의 교각일측에 설치되는 점검대(6)로 내려가기 위해서는, 먼저 교량난간(4)에 별도의 브라켓(82b)에 의해 설치된 웜감속기(82)의 핸들(82a)을 돌려 와이어(84)를 당기게 되면, 당겨지는 와이어(84)는 도르래(81)외면에 밀접된채 이동을 하면서 그 일단에 연결된 방호구(a)를 당겨 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어(84)의 타단에는 와이어(84)의 원할한 이동을 위해 중량추(83)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방호구(a)의 상승과 비례해 중량추(83)가 하강하게 되어 그만큼 방호구(a)는 보다 쉽게 당겨올릴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하여 와이어(84)의 작동에 의해 방호구(a)가 당겨올려지게 됨에 따라 방호구(a)는 방호구본체(1)를 이루는 양 슬라이드관(11)(11)이 교량난간(4)에 다수의 브라켓(3)에 의해 설치된 가이드관(5)(5)내를 이동하면서 서서히 상승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최종적으로 웜감속기(82)의 핸들(82a)작동을 멈추게 되고, 상승된 방호구(a)는 와이어(84)에 의해 중량추(83)와 연결됨과 동시에 감속기(82)내에 와이어(8)가 잠긴 상태로 되는것에 의해 다시 핸들(82a)을 작동시키기 전까지는 도 3b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승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되어 작업자는 교량난간(4)상단면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상승된 방호구(a)의 존재에 의해 안전한 상태로 교량난간(4)을 타고 넘어 방호구(a)내측의 사다리(b)를 타고 교각에 설치된 점검대(6)상으로 내려가 목적한 각종 점검 작업을 실시 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교각에 설치된 점검대(6)상으로 내려가 점검작업을 마친 작업자는 다시 사다리(b)의 스텝(21)을 이용해 교량난간(4)측으로 올라오게 되는데, 이때 역시도 보호구(a)가 교량난간(4)상면보다 휠씬 상측에까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안전한 상태에서 두려움 없이 교량난간(4)을 타고 넘어 다시 최초의 교량안쪽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렇게 점검을 마친 후에는 다시 웜감속기(82)의 핸들(82a)을 앞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84)를 이동시키게 되면(풀게되면) 상승됐던 방호구(a)는 슬라이드관(11)(11)이 가이드관(5)(5)을 타고 다시 하강을 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도 3a 및 도 4a에 도시된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어 그 상면이 교량난간(4)상면과 동일 높이로 설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역시도 방호구(a)와 연결된 와이어(84)타단에 설치된 중량추(83)의 존재에 의해 방호구(a)의 급격한 하강이나 와이어(84)에 근복적으로 운동력을 제공하는 웜감속기(82)에 무리가 가는 것을 막을 수 있게된다.
또한 본 발명의 교량점검용사다리(A)는 사다리(b)를 이루는 사다리본체(2) 최하단이 교각에 설치된 점검대(6)상에 직접 부착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사다리본체(2)하단에 장공(23a)을 갖는 연결구(23)를 각각 설치하여 이 연결구(23)의 장공(23a)이 점검대(6)바닥에 설치된 지지구(61)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사다리 본체(2)와 지지구(61)가 직접 부착 고정되는 것이 아니고, 연결구(23)가 지지구(61)를 타고 이동가능한 가변이동상태로 연결되는 것이므로, 교량의 이음부가 계절변화에 따라 수축또는 팽창하게 되는 경우 교량난간(4)외측에 설치되는 사다리(b)는 교량과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사다리(b)에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있게되어 그 만큼 시설물의 사용수명을 연장 할 수 있게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 와이어(84)의 감김 또는 풀림 작동을 위한 웜감속기(82)의 작동을 핸들(82a)작동에 의한 수동작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작동작동이 가능한 웜감속기를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 교량점검용 사다리에 의하면, 교량난간 외측에 교량점검 등의 목적으로 작업자가 교량난간 하부의 점검대로 진출입하기 위한 사다리외부에 핸들조작에 의한 와이어의 작동에 따라 교량난간 상면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되는 방호구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교량난간을 타고 넘어 사다리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보다 안전하고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작업을 이룰 수 있게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동시에 그만큼 점검작업능률을 높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사다리의 최하단이 점검대 상에 가변이동상태로 연결됨으로 인해 계절변화에 따른 교량의 수축 또는 팽창시 사다리도 함께 교량과 함께 이동되게하여 사다리의 변형을 막아 교량점검 시설물의 사용수명을 연장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다수의 스텝(21)을 가지며, 일정부분에 대략 U자형의 방호망(22)을 형성한 채 상하 브라켓(3)(3)에 의해 교량난간(4)외벽에 사다리(b)를 고정설치하여서 되는 교량점검용 사다리(A)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3)(3)에는 일정길이의 가이드관(5)(5)을 각각 부착설치하고, 상기 가이드관(5)(5)에는 외면을 대략 U자형 방호망(12)으로 형성한 방호구(a)를 이루는 방호구본체(1)의 슬라이드관(11)을 끼워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방호구본체(1)하단의 버팀대(13)에 승강수단(8)의 와이어(84)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방호구(a)가 사다리(b)외면에서 일정부분 승하강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 교량점검용 사다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b)를 이루는 사다리본체(2)의 하단에는 장공(23a)을 갖는 연결구(23)을 부착설치하고, 점검대(b)바닥에는 지지구(61)를 설치하여, 상기 연결구(23)의 장공(23a)이 상기 지지구(61)에 끼워지게 설치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 교량점검용 사다리.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8)은, 상기 방호구본체(1)의 버팀대(13)에 일단이 연결되고타단은 중량추(83)와 연결되는 와이어(84)와, 상기 와이어(84)가 도르래(81)를 개재하여 진퇴이동되도록 작동하는 웜감속기(82)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 교량점검용 사다리.
KR1020000006022A 2000-02-09 2000-02-09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교량 점검용 사다리 KR100361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022A KR100361604B1 (ko) 2000-02-09 2000-02-09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교량 점검용 사다리
KR2020000018213U KR200207063Y1 (ko) 2000-02-09 2000-06-27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교량 점검용 사다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6022A KR100361604B1 (ko) 2000-02-09 2000-02-09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교량 점검용 사다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8213U Division KR200207063Y1 (ko) 2000-02-09 2000-06-27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교량 점검용 사다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628A KR20010078628A (ko) 2001-08-21
KR100361604B1 true KR100361604B1 (ko) 2002-11-23

Family

ID=19645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022A KR100361604B1 (ko) 2000-02-09 2000-02-09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교량 점검용 사다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6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9913A (zh) * 2010-11-30 2011-09-28 大连华锐股份有限公司 一种桥梁检测小车
KR102609483B1 (ko) 2023-06-28 2023-12-06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응력 분산 보강구조를 갖는 교량 점검용 출입 사다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515B1 (ko) * 2007-12-17 2008-02-29 주식회사 케이.알 교량 점검로용 사다리
CN103603270B (zh) * 2013-11-20 2015-07-29 武汉武桥交通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拱型桥梁检查车自动调平机构
KR102427176B1 (ko) * 2019-06-28 2022-07-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체보호 프로텍터 구조체
KR102432152B1 (ko) * 2022-04-22 2022-08-12 주식회사 이에스시스템 가변 슬라이딩 맨홀 안전 가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99913A (zh) * 2010-11-30 2011-09-28 大连华锐股份有限公司 一种桥梁检测小车
KR102609483B1 (ko) 2023-06-28 2023-12-06 주식회사 금라이엔지 응력 분산 보강구조를 갖는 교량 점검용 출입 사다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628A (ko) 2001-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6631B1 (en) Apparatu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US5588500A (en) Elevatable work facility
US5259479A (en) Self-raising cantilever-type work platform assembly
US9617747B2 (en) Folding guard rail method and apparatus
US9556624B1 (en) Scaffold system
KR101111164B1 (ko) 낙하방지부를 구비하는 갱폼
CN112160579B (zh) 一种超高层施工防护作业平台系统及施工方法
KR100361604B1 (ko)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교량 점검용 사다리
US3610368A (en) Vertically adjustable platform for scaffolding
KR200207063Y1 (ko) 승강식 방호구를 갖는교량 점검용 사다리
JP5174642B2 (ja) 工事用足場
KR102024881B1 (ko)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설치 장치 및 하향식 분절형 사다리
KR101796138B1 (ko) 건축 공사 외부 가설벽체 승강장치
EP2808464A1 (en) Scaffolding tower assembly and method for erecting scaffolding tower
JP4011722B2 (ja) 吊り階段
WO2011107573A1 (en) Modular structure for scaffolding
JPH0115792Y2 (ko)
JP3132479U (ja) マンホール昇降用具
KR200378403Y1 (ko) 고소작업대
KR200419510Y1 (ko) 발판이 구비된 시져스 리프트의 작업함
JP3045193U (ja) 工事穴出入り用のプラットフォーム
KR200283132Y1 (ko) 교량점검대용 조립식 출입사다리
CA2100054C (en) Self-raising cantilever-type work platform assembly
GB2390110A (en) Width variable access apparatus
SU1242594A1 (ru) Подъемные подмости дл возведени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оболочек сооруж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