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2608A - 급속 결정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 Google Patents

급속 결정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2608A
KR20060012608A KR1020057021629A KR20057021629A KR20060012608A KR 20060012608 A KR20060012608 A KR 20060012608A KR 1020057021629 A KR1020057021629 A KR 1020057021629A KR 20057021629 A KR20057021629 A KR 20057021629A KR 20060012608 A KR20060012608 A KR 20060012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percent
isotropic polyester
melting poin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레고리 알. 암스
닐 제이. 크로프트
크리스티안 그루너
도시까즈 고바야시
마이클 제이. 몰리터
클레어 브리쏘
헬가 스테겐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6001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60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25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containing polyether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8L101/06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1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additives being liquid crystalline or anisotropic in the mel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 C08L33/068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8L33/06 containing glycid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급속 결정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반결정성 등방성 폴리에스테르 및 특정한 양의 액정 중합체, 고형 입상 물질 및 등방성 폴리에스테르를 위한 가소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이러한 성분들이 존재하지 않는 상응하는 조성물에 비하여, 더욱 빨리 및(또는) 더욱 광범위하게 및(또는) 낮은 온도에서 결정화된다. 이러한 조성물은 특히 성형 및 압출 부품에 유용하다.
반결정성 등방성 폴리에스테르, 액정 중합체, 고형 입상 물질, 가소제, 급속 결정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외관 부품

Description

급속 결정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FAST CRYSTALLIZING POLYESTER COMPOSITIONS}
본 발명의 급속 결정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등방성 폴리에스테르, 액정 중합체, 임의로 고형 입상 물질, 및 등방성 폴리에스테르를 위한 가소제를 포함한다.
열가소성 등방성 폴리에스테르(IPE)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물품이고, 섬유, 성형 및 압출 부품, 발포체 및 기타 용도를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IPE의 다수는 반결정성이고, 즉 IPE의 일부가 최종 사용 부품에서 결정 형태로 존재한다. 반결정성 중합체에서 일반적으로 중합체의 일부는 무정형 (종종 유리질) 형태로 존재하고, 중합체의 일부는 결정자로서 존재하고, 보통 중합체 전체에 분포된다. 대부분의 경우에, 결정화될 수 있는 IPE는 반결정성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종종 최종 부품의 성형을 위하여 IPE가 비교적 빨리 결정화되는 것이 도움이 되거나 필요하다.
예를들어, 열가소성물질의 사출 성형에서, 용융된 중합체를 금형 내에 주입하고 이것이 고체가 될 때까지 빨리 냉각시킨다. 이어서, 금형을 열고 고형 부품을 금형으로부터 빼낸다. 부품이 고형이 아니고(아니거나) 금형으로부터의 방출 시에 쉽게 변형된다면, 이것이 변형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무용지물이 된다. 반결정성 IPE로부터 비교적 강한 부품을 수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면은, 이들이 금형으로부터 제거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화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일부 반결정성 IPE는 매우 서서히 결정화되고, 따라서 이들이 상당한 변형없이 이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금형 내에 장시간 있어야 한다. 이것은 성형 주기를 길게하고, 결국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며 비경제적이 된다.
일부 IPE의 이러한 느린 결정화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른바 "결정화 패키지" 또는 "결정화 개시제 시스템"이 느린 결정화 폴리에스테르를 위하여 개발되었다. 이러한 패키지는 결정화 개시를 훨씬 빠르게 하고(하거나) 결정화 자체를 빠르게 하고(하거나) 결정화 온도를 더욱 낮게 한다. 예를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는 느린 결정화 IPE이고, 그 자체는 매우 긴 성형 주기 및(또는) 요구되는 높은 금형 온도 때문에 사출 성형을 위해 적절하지 못하다. 그러나, 이러한 IPE를 위하여 결정화 패키지가 개발되었으며, 이것은 사출 성형 및 기타 성형 공정에 적절하다. PET를 위해 전형적인 결정화 패키지는 나트륨 이온 원료, 예컨대 나트륨 또는 카르복실레이트의 나트륨 염 함유 중합체 및 PET를 위한 소량의 가소제이다. 예를들어 미국 재발행 특허 제32,334호 참조. 모든 IPE가 느리게 결정화되는 것은 아니지만, 더욱 빠른 결정화가 용융 가공 주기 시간을 더욱 짧게 하고, 이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미국 특허 6,221,962호는 액정 중합체(LCP), 반응성 관능기를 가진 강인화제, 및 열가소성물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기재하고 있다. 가소제를 함유하는 특 정한 조성물의 존재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미국 특허 4,753,980호는 특정한 강인화제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설명하고 있다. LCP의 사용이 특허에 언급되어 있지 않다.
미국 특허 4,438,236호 및 4,433,083호는 다양한 열가소성물질을 가진 LCP의 배합물을 기재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가소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에 대해 특별한 언급은 없다.
문헌[S.H.Kim 등, J.Appl.Polym.Sci., vol.67, p.1383-1392 (1998)]은 "10중량% 첨가된 액정 중합체 보강은 PET의 결정화 속도를 가속화한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조성물에서 가소제의 사용에 관해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a) 약 100℃ 이상의 융점을 가진 반결정성 등방성 폴리에스테르(IPE) 약 35중량% 이상;
(b) 융점이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의 냉 결정화점(CCP)보다 적어도 50℃ 더 높은 것이거나, 또는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가 냉 결정화점을 갖지 않는다면 융점이 약 150℃ 이상인, 액정 중합체(LCP) 약 0.1 내지 약 40중량%;
(c) 고형 입상 물질 0.0 내지 약 60중량%; 및
(d)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를 위한 가소제 약 0.2 내지 약 15중량%를 포함하고,
(a) 및 (c)의 중량%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b) 및 (d)의 중량%가 상기 조성물 내의 (a)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것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약 100℃ 이상의 융점을 가진 반결정성 등방성 폴리에스테르 약 35중량% 이상;
(b) 융점이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의 냉 결정화점보다 적어도 50℃ 더 높은 것이거나, 또는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가 냉 결정화점을 갖지 않는다면 융점이 약 150℃ 이상인, 액정 중합체 약 0.1 내지 약 40중량%;
(c) 고형 입상 물질 0.0 내지 약 60중량%; 및
(d)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를 위한 가소제 약 0.2 내지 약 15중량%를 포함하고, (a) 및 (c)의 중량%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b) 및 (d)의 중량%가 상기 조성물 내의 (a)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조성물을,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의 융점 초과의 온도에서 융점 미만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등방성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성형품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위해 바람직한 조성물은 상기 기재된 조성물(자체)를 위해서도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특정한 용어가 사용되고 이들의 일부를 이하에 정의한다.
"액정 중합체"란, 미국 특허 4,118,372호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에 기재된 바와 같이, TOT 시험 또는 그의 합리적 변형 시험을 사용하여 시험할 때 비등방성인 중합체를 의미한다. 유용한 LCP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이미드)를 포함한다. LCP의 한가지 바람직한 형태는 중합체 주쇄 내의 모든 기가 방향족(에스테르 기와 같은 연결 기 제외)인 "전적으로 방향족"이지만, 방향족이 아닌 측기(side group)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원에서 "등방성"이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TOT 시험에 의해 시험될 때 등방성인 중합체를 의미한다. LCP 및 등방성 중합체는 상호 배타적인 종이다. 바람직하게는, IPE는 조성물 내에서 연속적인 상이다. 이것은 적절한 형태의 현미경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IPE"란 등방성이고 반복 단위를 연결하는 기가 50퍼센트를 초과하게 에스테르 기인 축합 중합체를 의미한다. 즉, 절반을 초과하는 연결 기가 에스테르 기이기만 하면 IPE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기의 70% 이상이 에스테르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연결 기의 90% 이상이 에스테르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모든 연결 기가 에스테르이다. 에스테르 연결 기의 비율은, IPE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량체의 몰 비에 의한 1차 근사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달리 주지되지 않는 한, 융점은 10℃/분의 가열 속도를 사용하여 ASTM 방법 D3418에 의해 측정된다. 융점은 용융 흡열의 최대값을 취하고 첫번째 가열 시에 측정된다. 하나 이상의 융점이 존재한다면, 중합체의 융점은 융점의 최고값을 취한다. LCP를 제외하고는, 융점은 바람직하게는 융점과 관련된 적어도 3J/g의 융합 열을 갖는다. LCP의 융점은 두번째 가열 시에 취해진다.
본원에서, a), b), c) 및 d)를 포함하여 조성물 내의 성분에 대하여, "IPE" 또는 "입상 고형물"과 같은 단수의 표현은 또한 복수를 의미하고, 본원에 기재된 제약을 충족하는 것의 하나 이상이 존재할 수도 있다.
"입상 고형물"이란, 용융 혼합 조건(하기 참조) 하에서 조성물 내에 분산되기에 충분히 미세하게 분리된 (조성물이 보통 노출되는 온도에서 불용해성인) 고체를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입상 고형물은 열가소성 조성물에서 이미 사용될 수도 있는 물질, 예컨대 안료, 강화제 및 충전제이다. 조성물의 중합체에 입상 고형물의 부착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입상 고형물은 그 위에 코팅, 예를들어 사이징제를 갖거나 갖지 않을 수도 있다. 입상 고형물은 유기 또는 무기물일 수 있다. 유용한 입상 고형물은 점토, 활석, 규회석, 운모 및 탄산칼슘과 같은 광물; 섬유, 분쇄 유리, 속이 차거나 중공인 구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유리; 블랙 또는 섬유로서의 카본; 이산화티탄; 단 섬유, 피브릴 또는 피브리드 형태의 아라미드; 및 산화안티몬, 나트륨 안티모네이트 및 적절한 불용해성 유기 화합물과 같은 난연제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입상 고형물은 규회석, 운모, 활석, 유리, 특히 유리 섬유 및 탄산칼슘이다.
"CCP"란 다음과 같이 결정된 값을 의미한다. "순수한" (사출 성형 공정에서 IPE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필요할 수 있는 산화방지제와 같은 소량의 물질 이외에는 조성물에 다른 성분이 없음) IPE 또는 IPE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온도가 50℃인 금형을 사용하여, 1.59mm (1/16") 두께 소판 내로 사출 성형시킨다. 소판으로부터 (장치를 위해) 적절한 크기의 샘플을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놓고, 주변 온도(대략 20 내지 35℃)로부터 10℃/분의 속도로 가열한다. 가열되는 동안에 IPE의 결정화로부터의 발열 피크를 CCP로서 취한다. IPE의 융점 미만에서 결정화 발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IPE는 CCP를 갖지 않는다.
CCP는 "급속 급냉"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 방법에서, 순수한 IPE 또는 IPE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견본 막대로 성형한다. 견본 막대로부터의 샘플을 DSC 팬에 놓고, 물질의 융점 이상 (보통 PET를 위해 약 270℃)으로 빨리 가열한 다음, 드라이 아이스/아세톤 혼합물 또는 액체 질소 중에서 빨리 급냉시킨다. 이어서, 물질을 DSC에 놓고, 0℃로 평형화한다. 이어서, 온도를 10.0℃/분으로 290.0℃까지 증가시킨다. 가열되는 동안에, IPE의 결정화로부터의 발열 피크를 CCP로서 취한다. IPE의 융점 미만에서 결정화 발열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IPE는 CCP를 갖지 않는다.
결정화되기 어려운 폴리에스테르 뿐만 아니라 모든 반결정성 폴리에스테르에 있어서, 순수한 중합체의 CCP로부터 CCP가 낮아지는 것은 결정화 개시 시스템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일반적으로 인식된다. 주어진 양의 결정화 개시제 시스템을 위하여, CCP가 더 많이 저하될수록, 결정화 개시제 시스템이 더욱 효율적이 된다. 결정화 개시제 시스템의 양에 대한 반응은 일반적으로 제한되고, 양이 더 많으면 장점을 더 적게 제공하거나 또는 전혀 제공하지 못한다 (CCP의 저하에 대해 효과가 거의 또는 전혀 없다).
"가소제"란 전형적으로 2000 이하의 (평균) 분자량과 함께 약 50℃ 이하의 융점을 가진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가소제는 올리고머일 수도 있고, 이 경우에 그의 수 평균 분자량 (적절한 표준을 사용하여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됨)은 2000 이하이다. 이들은 가소제의 전형적인 성질이다. 가소제의 추가의 설명을 위하여 문헌[C.E.Carraher, Jr., Seymour/Carraher's Polymer Chemistry, 제5판, Marcel Dekker Inc., New York, 2000, 60면 및 463-465면]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 인용됨)을 참조한다.
"모든 중량%는 조성물 내의 전체 모든 성분을 기준으로 한다"란, 이러한 퍼센트가 조성물에 존재하는 (a), (b), (c) 및 (d) + 조성물에 존재하는 임의의 다른 성분들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함을 의미한다.
사용된 IPE는 요구되는 융점을 가진 임의의 IPE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IPE의 융점은 약 1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 이상이다. 폴리에스테르(에스테르 연결 기가 대부분이거나 전부임)는 하나 이상의 디카르복실산 및 하나 이상의 디올로부터 보통 유래된다. IPE의 한가지 바람직한 유형에서, 디카르복실산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디올 성분은 HO(CH2)nOH (I),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HO(CH2CH2O)mCH2CH2OH (II) 및 HO(CH2CH2CH2CH2O)zCH2CH2CH2CH2OH (III) (식중, n은 2 내지 10의 정수이고, m은 평균 1 내지 4이고 z은 평균 약 7 내지 약 40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II) 및 (III)은, m 및 z이 각각 변할 수 있고 따라서 m 및 z이 평균이며, 이들이 정수인 것이 아닌 화합물들의 혼합물일 수도 있음을 주목한다.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에서, n은 2, 3 또는 4이고(이거나) m은 1이다.
특정한 바람직한 IPE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1,3-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PPT), 폴리(1,4-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1,4-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블록을 가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 (미국 19898 델라웨어주 윌밍턴 소재의 이.아이.듀폰 디 네모아 앤드 컴퍼니로부터 하이트렐(Hytrel)(R)로서 입수가능함) 및 폴리(1,4-시클로헥실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CT)를 포함하고, PET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PET"는 적어도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몰%의 디올 반복 단위가 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유래되고, 적어도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0몰%의 디카르복실산 반복 단위가 테레프탈산으로부터 유래된 폴리에스테르를 의미한다. 하나 이상의 IPE (적절한 융점을 가짐)가 존재한다면, 조성물 내에서 이러한 중합체 전체가 성분(a)로서 간주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체 입상 물질은 전체 조성물의 0.2 내지 6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의 약 5 내지 약 50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IPE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약 4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의 적어도 약 50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LCP는 (a)의 약 0.5 내지 약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10중량%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LCP는 불연속 상이다 (적절한 형태의 현미경에 의해 측정시에 - LCP의 입자 크기가 너무 작아서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없다면 이것은 분산 상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소제는 IPE[(a)]의 약 0.5 내지 약 12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IPE의 약 3.0 내지 약 10%이다. 한가지 바람직한 유형의 가소제는 화학식 R1CO2R2O2CR1의 디올의 디에스테르이다 (화학식에서,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1 내지 20개 탄소 원자를 함유한 히드로카르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킬이고, 각각의 R2 (각각의 분자에서 R2가 의미하는 것은 다소 다를 수 있음)는 2 내지 30개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에테르 기로 임의 치환된 알킬렌임). 알킬렌이란, 자유 원자가가 2개의 상이한 알킬 (포화) 탄소 원자에 있는 2가 히드로카르빌 라디칼 (탄소 및 수소 상에 함유)을 의미한다. 특정한 유용한 가소제는 약 946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가진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디라우레이트를 포함한다. 다른 유용한 가소제는 미국 재발행 특허 제32,334호 및 제548,978호에서 찾아볼 수 있고, 이들은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 포함된다. 한가지 특정한 IPE를 위해 유용한 가소제가 반드시 다른 IPE를 위해서도 유용한 것은 아니지만, 종종 이것은 하나의 사례가 될 것이다.
다른 성분들, 특히 열가소성물질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은 열가소성물질에서 보통 사용되는 양으로 조성물에 첨가될 수도 있다. 이러한 물질은 산화방지제, 윤활제, 이형제, 난연제, (페인트) 부착 촉진제, 다른 유형의 중합체 (중합체 배합물을 형성하기 위해)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성분들 전체가 조성물의 약 60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중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중량% 미만이다.
바람직한 임의의 성분은 중합체 강인화제이다. 이것은 전형적으로 엘라스토머이고 일반적으로 200℃ 미만, 바람직하게는 150℃ 미만의 비교적 낮은 융점을 가진 중합체이며, IPE (및 임의로 존재하는 다른 중합체)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가 그에 부착되어 있다. IPE가 보통 존재하는 카르복실 및 히드록실 기를 갖기 때문에, 이러한 관능기는 보통 카르복실 및(또는) 히드록실 기와 반응할 수 있다. 이러한 관능기의 예는 에폭시, 카르복실산 무수물, 히드록실 (알콜), 카르복실 및 이소시아네이토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관능기는 에폭시 및 카르복실산 무수물이고, 에폭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능기는 보통, 이미 존재하는 중합체 위에 작은 분자를 그라프트함으로써, 또는 중합체 강인화제 분자들이 공중합에 의해 만들어질 때 바람직한 관능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공중합함으로써, 중합체 강인화제에 "부착"된다. 그라프트화의 예로서, 자유 라디칼 그라프트화 기술을 사용하여 말레산 무수물을 탄화수소 고무 위에 그라프트할 수도 있다. 얻어진 그라프트화 중합체는 그에 부착된 카르복실산 무수물 및(또는) 카르복실 기를 갖는다. 관능기가 중합체 내에 공중합된 중합체 강인화제의 예는 에틸렌과 적절한 관능기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공중합체이다. 본원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란, 화합물이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 둘의 혼합물일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유용한 (메트)아크릴레이트 관능 화합물은 (메트)아크릴산,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에틸렌 및 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이외에, 다른 단량체들,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비관능화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가 중합체로 공중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존재하는 관능기를 함유하는 중합체 강인화제의 양은 (a), IPE의 약 2 내지 약 40중량%이다. 바람직한 강인화제는 미국 특허 4,753,980호 (본원에서 참고문헌으로 포함됨)에 기재된 것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강인화제는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이다.
중합체 강인화제가 약 0.5 내지 약 20 중량%의 관능기 함유 단량체,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1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약 13중량%의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체 강인화제에 하나 이상의 유형의 관능성 단량체가 존재할 수도 있다. 조성물의 강성(stiffness)은 중합체 강인화제의 양 및(또는) 관능성 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이러한 양은, 특히 최종 부품 형태가 달성되기 전에, 조성물이 가교될 수 있는 정도까지 증가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내에 약 2 내지 약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2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약 20중량%의 중합체 강인화제가 존재한다.
상기 기재된 것과 같은 중합체 강인화제가 첨가될 때, 많은 경우에 조성물 내의 LCP의 입자 크기가 상당히 감소됨을 알아내었다. 예를들어, 하나의 조성물에서 LCP의 입자 크기는 약 2 내지 5㎛인 반면, 중합체 강인화제를 함유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성물에서 LCP 입자 크기는 약 0.2 내지 0.5㎛이다.
다른 성분의 바람직한 유형은 에폭시 화합물 또는 수지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화합물 또는 수지는 약 1000 미만의 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심지어 에폭시 기를 함유할지라도, 상기 기재된 것과 같은 중합체 강인화제는 본원에서 에폭시 화합물 또는 수지의 일부로서 간주되지 않는다). 이러한 에폭시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의 0.1 내지 약 1.0중량%의 수준으로 존재한다. 유용한 에폭시 화합물 또는 수지는 에폰(R) 1002F, 1009F 또는 1031, 또는 아랄디트(Araldite)(R) GT7099 또는 GT 6099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에폭시 화합물 또는 수지는 용융 점도를 안정화하고(하거나) 조성물의 색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후자는, 외관 부품이 페인트 또는 기타 코팅으로 코팅되지 않을 때 특히 중요하다.
바람직한 성분 및(또는) 성분 양을 다른 바람직한 성분 및(또는) 그 안의 성분 양과 조합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한가지 바람직한 유형의 조성물에서, 25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ppm 미만의 "자유" 금속 양이온, 예컨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양이온을 조성물에 첨가한다. "자유" 금속 양이온이란, 조성물에 존재하는 관능기, 예컨대 카르복실 기와 쉽게 반응하여 카르복실레이트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양이온을 의미한다. 자유 금속 양이온을 4-히드록시벤조에이트의 아세테이트와 같은 카르복실레이트 염으로서, 금속 할라이드와 같은 다른 금속 염으로서, 그리고 중합체 카르복실레이트의 금속 염으로서 첨가할 수 있다. 다른 성분 내의 일반적인 불순물, 또는 광물 또는 기타 화합물의 일부인 성분 또는 광물에 단단히 결합된 금속 양이온은 첨가된 자유 금속 양이온에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를 위한 결정화 개시 시스템의 일부는 알칼리 또는 다른 금속 양이온을 함유한다. 이들은 때때로 전기 또는 전자 용도를 위해 이러한 조성물을 사용하는데 해가 되며, 이 경우 금속 이온이 조성물의 전기적 성질을 변화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금속 양이온의 존재는 가수분해 또는 기타 화학적 저항성 문제를 더욱 불량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은 본 조성물에서 명확하지 않다. 또한, 금속 양이온이 존재하지 않거나 단지 소량으로 존재할 때, 특히 금속 양이온에 대한 반대이온이 중합체 강인화제의 일부인 관능기와 반응할 수도 있을 때, 적어도 일부의 중합체 강인화제가 더욱 효과적이거나 적은 양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낮은 금속 이온 함량 및 중합체 강인화제의 존재의 조합이 바람직하다.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은 전형적인 용융 혼합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들어, 성분들을 1축 또는 2축 압출기 또는 혼련기에 첨가하고 통상적인 방식으로 혼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혼합 장치의 적어도 일부에서 성분들의 온도는 존재하는 LCP의 융점 또는 그 이상이다 (혼합 장치의 대역에서 측정되거나 설정된 온도는 기계적 가열로 인해 실제 물질 온도보다 낮을 수도 있다). 물질을 혼합한 후에, 이들을 용융 성형 기계에 공급하기 위해 적절한 펠릿 또는 기타 입자로 형성할 수도 있다. 열가소성물질을 위해 일반적인 방법, 예컨대 사출 성형, 열성형 또는 압출,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용융 성형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제와 같은 고형물의 소모를 저하시키고(시키거나) 분산을 개선시키고(시키거나) 비교적 열 불안정성 성분의 열 이력을 저하시키고(시키거나), 휘발성 성분의 증발에 의한 손실을 저하시키기 위하여 일부 성분들, 예컨대 충전제, 가소제 및 윤활제 (이형제)를 압출기 내의 하나 이상의 하류 지점에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의 부품은 조성물을 IPE의 융점 이상으로 가열하고 (따라서 IPE를 용융시킨다) 이어서 이들을 융점 미만으로 냉각시켜 조성물을 고화시키고 성형된 부품을 형성함으로써 만들어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품을 융점 아래로 적어도 50℃로 냉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융점 아래로 적어도 100℃, 또는 바람직하게는 CCP 미만으로 냉각시킨다. 가장 일반적으로, 최종적으로 조성물을 주변 온도, 가장 전형적으로 15 내지 45℃로 냉각시킨다.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종종 존재하는 추가의 임의의 성분들을 가질 때)은 "외관 부품", 즉 표면 외관이 중요한 부품으로서 특히 유용하다. 이것은, 조성물의 표면을 직접 관찰하는지의 여부 또는 페인트 또는 금속과 같은 다른 물질로 코팅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부품은 자동차 차체 패널, 예컨대 바퀴덮개, 계기판, 후드, 탱크 뚜껑, 및 기타 외부 부분; 내부 자동차 패널; 핸들, 조절 패널, 샷시(케이스), 세척 기계 관 및 외부 부품과 같은 설비 부품, 내부 또는 외부 냉장고 패널, 및 접시닦는 기계 전면 또는 내부 패널; 동력 도구 하우징, 예컨대 드릴 및 톱; 전자 캐비넷 및 하우징,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하우징, 프린터 하우징, 주변 하우징, 서버 하우징; 기차, 트랙터, 잔디깍는 기계 날개, 트럭, 설상차, 항공기, 및 배를 위한 외부 및 내부 패널; 건물을 위한 장식용 내부 패널; 사무실 및(또는) 가정용 의자 및 테이블과 같은 가구; 및 전화 및 기타 전화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부품들은 도장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조성물의 색이 착색되지 않은 채로 남을 수 있다.
조성물은 안료 및(또는) 염료로 착색될 수 있으며, 따라서 많은 색 변화가 가능하다. 이러한 부품들을 하나 이상의 추가의 단계에서 차후 코팅(도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진 부품의 이러한 유형의 착색이 특히 경제적으로 매력적이다. 극히 높은 광택 및(또는) 화상 선명도가 요구되지 않는다면, 이것은 종종 더욱 양호한 코팅 대체물이 된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조성물로 만들어진 부품을 코팅(도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진 부품(또는 그의 변형)의 표면을 착색하는 다른 방법은 염료 승화 (인쇄) 방법이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자동차 부품, 특히 자동차 차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그의 변형이 사용될 수도 있다. 현재, 금속 및 플라스틱 부품으로부터 혼합된 구조로 조립된 코팅 자동차 차체를 제조하는데 3가지 상이한 접근법이 존재한다.
1. 오프-라인(off-line) 공정으로서 공지된 방법, 여기에서 금속 차체 및 플라스틱 부품이 별도로 코팅된 다음 조립된다.
오프-라인 공정의 단점은, 적어도, 코팅된 플라스틱 부품과 코팅된 금속 부품을 구성의 이유에서 직접 시각적으로 비교하는 경우에, 예를들어 코팅된 부품들이 실제로 이음매없이 근접하고(하거나) 코팅된 부품이 하나의 면에 배열된 것에 기인하여, 코팅된 금속 및 플라스틱 표면의 시각적 조화가 결여되기 쉽다는 것이다.
추가의 단점은 2개의 코팅 라인의 작동 필요성이다.
2. 하도제로서 전착 코팅이 이미 제공된 금속 차체, 및 비코팅 플라스틱 부품 또는 임의로 플라스틱 하도제 만이 제공된 플라스틱 부품을 조립하고, 이후의 코팅 공정에서 하나 이상의 추가의 코팅 층을 제공하는, 인-라인(in-line) 공정으로서 공지된 방법.
인-라인 공정의 단점은, 조립 단계가 방해 중간 단계로서 코팅 공정 내에 삽입된다는 것이고, 이것은 추가의 코팅 공정에 오염물을 도입할 위험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3. 금속으로 만들어진 비코팅 차체 및 비코팅 플라스틱 부품 또는 임의로 플라스틱 하도제 만이 제공된 플라스틱 부품을, 혼합 구조로 구성된 차체에 조립한 다음, 전착 코팅을 포함한 일반적인 코팅 공정에 통과시키는 온-라인 공정으로서 공지된 방법, 여기에서 자연히 전기 전도성 금속 부품에만 전착 코팅이 제공되는 반면, 연속하여 적용된 모든 코팅 층은 전착 코팅 금속 부품 및 플라스틱 부품 양쪽 모두에 적용된다.
온-라인 공정은, 이것이 차체 기본 쉘 구성과 코팅 공정을 명확히 분리하고 코팅 순서를 혼란시키지 않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기본적으로, 전착 코팅의 건조에서 고온이 사용되기 때문에, 단지 적절하게 내열성이고 동시에 열 변형-내성인 플라스틱 물질이 특히 바람직한 온-라인 공정을 위해 적절하다.
코팅 기판 차체는 가시적 금속 및 플라스틱 표면을 가진 금속 부품 및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부품(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으로부터 다음의 연속 단계로 조립된다:
(1) 기판을 전착 코팅하고, 기판으로부터 비-침착 전착 코팅제를 제거하고 침착된 전착 코팅을 열적으로 가교하고 이에 의해 금속 표면 상에 전착 코팅 하도제를 형성하고,
(2) 가시적 금속 및 플라스틱 표면의 적어도 전부 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코팅을 적용하고 경화시키며,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부품은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을 가진 기판의 가시적 플라스틱 표면을 이룬다.
이들을 코팅할 때,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의) 플라스틱 부품을 통상적인 방식으로, 예를들어 UV 조사, 발연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로 예비처리할 수 있거나,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플라스틱 하도제, 특히 금속 부품과 조립되기 전에 정전-보조 코팅가능성을 위해 적절한 전기 전도성을 플라스틱 부품에 제공하는 전도성 하도제로 코팅할 수 있다.
임의로 플라스틱 하도제가 제공된 금속 부품 및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부품을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 예를들어 나사고정, 클립고정 및(또는) 부착에 의해 조립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코팅된 기판을 형성한다.
최소의 가능한 연결 폭을 갖고 특히 인접한 금속 부품과 동일한 면에 있는 기판의 플라스틱 부품(들)이 적어도 금속 부품과 조립된다.
임의로,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부품과 조성면에서 상이하고 열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낮은 추가의 플라스틱 부품이 빠져 있다면, 이것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1)을 완결한 후에 끼워 맞추고 추가의 코팅 단계(2)로 처리할 수 있고(있거나) (상기 기재된 인-라인 방법과 비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완결한 후에 최종 코팅된 형태로 끼워 맞출 수 있다 (상기 기재된 오프-라인 방법과 비교).
바람직하게는 정전-보조 분무 코팅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2)에서 일어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코팅 층의 적용 측면에서, 이들이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지 않도록 금속 및 플라스틱 부품(들)을 조립하는 것이 편리하고; 예를들어 전도성 하도제와 금속 사이의 직접적인 전기 접촉은 직접적인 접촉에 의해 또는 전기 전도성 연결 요소, 예를들어 금속 나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 부품 위에 항-부식 하도제 층을 생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1)에서 금속 부품 및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부품으로부터 조립된 기판을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방식으로 전착 코팅 욕에서 코팅한다.
적절한 전착 코팅제는 예를들어 10 내지 30중량%의 고체 함량을 가진 통상적인 수성 코팅 조성물을 포함한다.
전착 코팅 조성물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애노드 전착 코팅제일 수도 있다. 애노드 전착 코팅 조성물의 결합제 기초는 다음대로 선택될 수 있다. 애노드 전착 결합제의 예는, 폴리에스테르, 에폭시 수지 에스테르,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예를들어 300 내지 10000의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예를들어 35 내지 300mg KOH/g의 산가에 상응하는 카르복실 기 함량을 가진 멜라니에(Melanie) 오일 또는 폴리부타디엔 오일이다. 카르복실 기의 적어도 일부를 염기로의 중화에 의해 카르복실레이트 기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결합제를 자체 가교시키거나 별도의 가교제로 가교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캐소드 전착 코팅제를 전착 코팅 층의 적용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사용한다. 캐소드 전착 코팅 조성물은 양이온기 또는 양이온기로 전환될 수 있는 기, 예를들어 염기성 기를 가진 결합제를 함유한다. 그의 예는 아미노, 암모늄, 예를들어 4급 암모늄, 포스포늄 및(또는) 술포늄 기를 포함한다. 질소-함유 염기성 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기는 사량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이 통상적인 중화제, 예를들어 유기 모노카르복실산, 예를들어 포름산, 락트산, 메탄 술폰산 또는 아세트산과 양이온기로 전환된다. 염기성 수지의 예는 예를들어 20 내지 200mg KOH/g 범위의 아민가에 상응하는 1차, 2차 및(또는) 3차 아미노 기를 가진 것이다. 결합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0,000이다. 이러한 결합제의 예는 아미노(메트)아크릴 수지, 아미노에폭시 수지, 말단 이중 결합을 가진 아미노에폭시 수지, 1차 OH 기를 가진 아미노에폭시 수지, 아미노폴리우레탄 수지, 아미노기-함유 폴리부타디엔 수지 또는 개질된 에폭시 수지-일산화탄소-아민 반응 생성물이다. 이러한 결합제는 자체-가교될 수 있거나, 또는 혼합물 중의 공지된 가교제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가교제의 예는 아미노플라스틱 수지, 차단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말단 이중 결합을 가진 가교제, 폴리에폭시 화합물 또는 에스테르교환반응 가능한 기를 함유하는 가교제를 포함한다.
결합제 및 별개의 가교제와는 별도로, 전착 코팅 조성물은 안료, 충전제 및(또는) 통상적인 코팅 첨가제를 함유할 수도 있다. 적절한 안료의 예는 통상적인 무기 및(또는) 유기 착색 안료 및(또는) 충전제, 예컨대 카본 블랙, 이산화티탄, 산화 철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퀴나크리돈 안료, 카올린, 활석 또는 이산화규소를 포함한다. 첨가제의 예는 특히 습윤제, 중화제, 평활제, 촉매, 부식 억제제, 크레이터링 방지제(anti-cratering agent), 소포제, 용매를 포함한다.
전착 코팅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방식으로, 예를들어 200 내지 500V의 침착 전압에서 일어난다. 전착 코팅의 침착 후에, 기판으로부터 들러붙어 있지만 침착되지 않은 과량의 전착 코팅을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방식, 예를들어 물로의 세척으로 세정해 낸다. 그 후에, 전착 코팅을 가교하기 위하여, 기판을 예를들어 200℃ 이하의 목적 온도에 따라서 예를들어 220℃ 이하의 오븐 온도에서 소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후의 단계(2)에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코팅 층을, 바람직하게는 분무 적용에 의해, 특히 정전-보조 분무 적용에 의해, 이렇게 수득되고 금속 표면 위에 소성된 전착 코팅 층 만이 제공된 모든 가시적 금속 및 플라스틱 표면에 적용한다.
단지 하나의 추가의 코팅 층이 적용된다면, 이것은 일반적으로 착색된 상부 코트이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추가의 코팅 층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코팅 층으로부터 형성된 통상적인 다중코트 구조의 예는 다음과 같다:
- 하도제 표면처리제/상부 코트
- 하도제 표면처리제/기본 코트/클리어 코트
- 기본 코트/클리어 코트
- 하도제 표면처리제 대체 층/기본 코트/클리어 코트
돌-조각 보호 및 표면 평활화를 위하여, 그리고 환경 영향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여 착색된 상부 코트 또는 색- 및(또는) 효과-생성 기본 코트 및 보호 클리어 코트로 이루어진 이후의 장식용 상부 코트를 위한 표면을 제조하기 위하여, 하도제 표면처리제 또는 하도제 표면처리제 대체 코팅이 주로 사용된다.
특히 높은 긁힘-내성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일례로서 언급된 다중코트 구조가 전체 표면 또는 투명한 밀봉 코트를 가진 표면의 일부 위에 또한 제공될 수도 있다.
전착 코팅 층 다음의 모든 코팅 층은 관련된 코팅 층을 적용하기 위하여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코팅제로부터 적용될 수 있다. 이것은 예를들어 희석제 또는 분말 코팅제로서 물 및(또는)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각각의 액체 코팅제일 수 있다. 코팅제는 단일-성분 또는 다-성분 코팅제일 수 있고; 이들은 물리적으로 건조될 수 있거나 산화에 의해 또는 화학적으로 가교될 수 있다. 특히, 하도제 표면처리제, 상부 코트, 클리어 코트 및 밀봉 코트는 열적으로 (대류에 의해 및(또는) 적외선 조사에 의해) 및(또는) 에너지-다량 함유 방사선, 특히 자외선 조사의 작용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화학적 가교 시스템이다.
하나 이상의 코팅 층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단계(2)에 적용된다면, 코팅 층은 기본적으로 각각의 코팅 층의 적용에 앞서서 따로따로 경화되지 않아야 한다. 오히려, 코팅 층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습식 (wet-on-wet) 원리에 따라 적용될 수 있고, 여기에서 적어도 2개의 코팅 층이 함께 경화된다. 특히, 예를들어, 기본 코트 및 클리어 코트의 경우에, 기본 코트의 적용에 이어서 임의로 짧은 플래시-오프(flash-off) 단계 후에, 클리어 코트를 적용하고 기본 코트와 함께 경화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방법은, 열가소성물질을 기본으로 하고 코팅된 플라스틱 및 금속 표면의 시각적인 영향의 뛰어난 조화를 갖도록 코팅되어 열 변형에 대해 적절히 저항성이 있는 금속 부품 및 플라스틱 부품으로부터 혼합된 구조로 기판을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로 비외관 부품을 또한 제조할 수도 있다. 이들은 표면 외관이 중요하지 않은 부품이다. 이러한 부품은 이른바 공업용 열가소성물질로 만들어진 것, 특히 조성물의 물리적 성질, 예컨대 강성도, 강성 및 인장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고안된 물질로 충전된 것을 포함한다.
CCP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50℃ 금형 안으로의 사출 성형인 방법 A 또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급속 급냉 방법인 방법 B 중의 어느 한 방법에 의해 수행됨.
융점 10℃/분의 가열 속도에서 ASTM D3418-82에 의해 결정됨. 용융 흡열의 피크를 융점으로서 간주한다.
동결 시간 동결 시간 (때때로 결정화 시간이라 불림)은 공동 압력 곡선에서 만곡 점으로서 정의된다. 성형 주기 동안에 시간에 걸친 공동 압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부품의 게이트 근처에 위치한 분출기 핀 뒤에 놓여진 변환기를 사용한다. 사출 주기 시작에서 나사가 앞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때 0 초의 시간이 일어난다. 성형 주기의 충전 단계의 초기 동안에 부품이 완전히 충전되고 압력이 필수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될 때 피크 압력이 발생한다. 수지가 결정화되기 시작할 때, 수축이 일어난다. 일단 게이트에서의 수지가 완전히 결정화되면, 공동에서 수지의 결정화가 충분한 수축을 일으키고, 공동 압력에서의 감소가 나타낸다. 공동 압력이 시간에 걸쳐 계속 떨어진다. 오목 형태로부터 볼록 형태로 곡선이 전이되는 점이 만곡 점이고 동결 점으로 정의된다.
결정화 반감기(CHL) 이것은 시차 주사 열량법(DSC) 방법에 의해 수행되었다. 하나의 샘플 제조 방법에서, 샘플을 단순히 그 자체로 사용하였다. 다른 방법에서, 샘플을 290℃으로 가열하고, 급냉하고 액체 질소 중에서 급냉하였다. 어느 하나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샘플을 200℃/분의 속도로 원하는 온도로 가열하였으며, DSC에서 그 온도에서 결정화 발열이 일어났다. 시간에 따라 발생된 발열 곡선으로부터, 이 온도에서의 결정화 반감기를 계산하였다.
배합 및 성형 방법
30mm 워너 앤드 플레이더러 이중 나사 압출기에서 배합함으로써 모든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모든 성분들을 함께 배합하고, 통(5) (10개 통 중) 내에 니글로스(R) 및 기타 광물을 측면 공급하고 액체 주입 펌프를 사용하여 가소제를 첨가하는 것 이외에는 압출기의 뒤(통 1)에 첨가하였다. 실시예들에서 이 방법에 대한 예외를 주목한다. 통 온도를 280 내지 310℃로 설정하고, 조성물 및 압출기 속도 및 나사의 rpm에 의존하여 그 결과 290 내지 350℃의 융점이 얻어진다.
3 또는 6 온스 사출 성형 기계 상에서 ASTM 시험 견본으로 수지를 성형하였다. 용융 온도는 280 내지 300℃이고, 금형 온도는 110 내지 130℃이었다.
실시예에서, 특정한 성분들을 사용하고 이들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CaCO3 - 입상 탄산칼슘, 슈퍼플렉스(R) 200 (미국 10174 뉴욕주 뉴욕 소재의 미네랄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 입수가능함)
크리스타(R) 3934 - PET 단독중합체, IV=0.67 (미국 19898 델라웨어주 윌밍턴 소재의 이.아이.듀폰 디 네모아 앤드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 입수가능함)
유리 섬유 - PPG3563 (미국 15272 펜실바니아주 피츠버그 소재의 PPG 인더스트리즈로부터 입수가능함)
이르가녹스(R) 1010 - 산화방지제 (미국 10591 뉴욕주 태리타운 소재의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로부터 입수가능함)
LCP1 - 50/50/70/30/320 (몰비) 히드로퀴논/4,4'-비페놀/테레프탈산/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4-히드록시벤조산 공중합체, 융점 334℃
리코왁스(R) PED 521 - 금형 윤활제로서 사용된 산화 폴리에틸렌 왁스 (독일 D-65840 슐즈바흐 앰 타운스 소재의 클라리언트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입수가능함)
니아드(R)1250 - 사이징제로 처리되지 않은 규회석 섬유 (캐나다 AB 캘거리 소재의 니코 미네랄스로부터 입수가능함)
니글로스(R) 4 - 사이징제로 처리되지 않은, 평균 대략 9㎛ 길이 규회석 섬유 (캐나다 AB 캘거리 소재의 니코 미네랄스로부터 입수가능함)
니글로스(R) 4W 20544 - 평균 대략 10㎛ 길이의, 사이징제로 처리된 규회석 섬유 (캐나다 AB 캘거리 소재의 니코 미네랄스로부터 입수가능함)
플라스톨(R) 809 - 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디-2-에틸헥사노에이트
중합체 A -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66.75/28/5.25중량%) 공중합체, 용융 지수 12g/10분
중합체 B - 에틸렌/n-부틸 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66/22/12중량%) 공중합체, 용융 지수 8g/10분
RCL 4 - 티오나(R) RCL 4 이산화티탄, 알루미나 및 유기 물질로 표면 처리된 클로라이드 공정 루틸-형 TiO2 (미국 미들랜드주 발티모어 소재의 SMC 코포레이션으로부터 입수가능함).
활석 - 제트필(Jetfil)(R) 575C (미국 80112 콜로라도 이글우드 소재의 루제낙 아메리카(Luzenac America)로부터 입수가능함).
실시예에서, 하기 나타낸 모든 조성 양은 중량부이다. PET를 함유하는 모든 조성물은 0.3중량% 이르가녹스(R) 1010 및 0.5중량% PED521을 포함한다.
실시예 1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조성물을 만들었다. 방법 A를 사용하여 CCP를 결정하 였다. 조성 및 CCP를 표 1에 나타낸다.
상태 크리스타(R) 3934 LCP1 니글로스(R) 4W 플라스톨(R) 809 CCP, ℃
A 100.0 127.9
B 97.0 3.0 119.5
C 92.0 5.0 3.0 114.4
D 95.0 5.0 122.2
E 82.0 15.0 3.0 121.3
F 80.0 5.0 15.0 122.8
실시예 2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조성물을 만들었다. 방법 A를 사용하여 CCP를 결정하였다. 조성 및 CCP를 표 2 나타낸다.
상태 크리스타(R) 3934 LCP1 니글로스(R) 4W 플라스톨(R) 809 CCP, ℃
A 87.0 0.0 10.0 3.0 117.3
B 87.0 1.0 9.0 3.0 115.5
C 87.0 3.0 7.0 3.0 112.9
D 87.0 7.0 3.0 3.0 109.9
E 87.0 9.0 1.0 3.0 111.4
F 87.0 10.0 0.0 3.0 110.1
실시예 3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조성물을 만들었다. 각각의 충전제는 15중량부의 양으로 존재한다. 방법 B를 사용하는 상태 C 및 D 이외에는, 방법 A를 사용하여 CCP를 결정하였다. 조성 및 CCP를 표 3에 나타낸다.
상태 크리스타(R) 3934 LCP1 충전제 플라스톨(R) 809 CCP, ℃
A 77.0 5.0 유리 섬유 3.0 109.3
B 77.0 5.0 니아드(R)1250 3.0 112.0
C 77.0 5.0 CaCO3 3.0 105.7
D 77.0 5.0 RCL4 3.0 118.1
E 77.0 5.0 활석 3.0 116.3
F 77.0 5.0 니글로스(R) 4 3.0 110.8
실시예 4
표준 방법을 사용하여 조성물을 만들었다. 284 내지 286℃의 용융 온도, 109-100℃의 금형 온도, 39 내지 40초의 주기 시간, 80MPa의 고정/충전 압력 및 19.1mm/초의 충전 속도를 사용하여 중합체 조성물을 성형하였다. 표준 ISO 방법에 따라 물리적 성질 시험을 수행하였다. 나타낸 동결 시간은, 30중량% 유리 섬유를 함유하는 시판 PET 사출 성형 수지, 리나이트(Rynite)(R) 530 BK503 (미국 19898 델라웨어주 윌밍턴 소재의 이.아이.듀폰 디 네모아 앤드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로부터 입수가능함) 및 나트륨 원료 및 플라스톨(R)809를 포함하지만 중합체 A 및 B와 유사한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결정화 패키지와의 비교 시간이다. 포지티브 값은, 동결 시간이 리나이트(R) 530보다 긴 것을 나타내는 반면, 네가티브 값은 동결 시간이 리나이트(R) 530보다 짧음을 나타낸다. 조성 및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상태 A B C D E F G
크리스타(R)3934 81.2 61.2 71.2 71.2 75.2 65.2 56.2
LCP1 5 5 5 1 1 10
중합체 B 15 5 5 15 15
중합체 A 5
이르가녹스(R) 1010 0.3 0.3 0.3 0.3 0.3 0.3 0.3
PED521 0.5 0.5 0.5 0.5 0.5 0.5 0.5
니글로스(R) 4W20544 15 15 15 15 15 15 15
플라스톨(R)809 3 3 3 3 3 3 3
인장강도, MPa 72.2 39.4 51.1 53.2 55.2 39.0 39.0
인장 신도, % 2.9 27 7 10 12 35 25
인장 모듈러스, GPa 5.8 3.65 4.62 4.52 4.67 3.44 3.39
굴곡 강도, MPa 130 76.6 102 103 106 76.6 73.7
굴곡 모듈러스, GPa 5.64 3.80 4.82 4.75 4.84 3.72 3.65
대략적인 동결 시간, 초 2 -3 0 -0.5 0 -1.5 -3.5
실시예 5
이중 나사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합에 의해, 크리스타(R) 3934, 플라스톨(R) 809 및 LCP1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만들고, 이 조성물("상태")을 그들의 성분과 함께 표 5에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의 CCP 및 CHL(110℃에서)를 측정하고,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이들은, LCP 및 가소제의 조합이 크리스타(R) 3934의 결정화를 기핵화하고 가속화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상태 크리스타(R) 3934 LCP1 플라스톨(R) 809 CCP, ℃ CHL, 분
A 100.0 131.5° 4.87분
B 99.0 1.0 124.5° 3.28분
C 97.0 3.0 124.1° 2.98분
D 95.0 5.0 124.5° 2.28분
E 99.0 1.0 128.8° 5.08분
F 97.0 3.0 122.0° 1.68분
G 95.0 5.0 117.9° 0.98분
H 98.0 1.0 1.0 123.2° 2.48분
I 96.0 3.0 1.0 121.3° 1.77분
J 94.0 5.0 1.0 119.8° 1.62분
K 96.0 1.0 3.0 114.9° 1.22분
L 94.0 3.0 3.0 114.8° 0.88분
M 92.0 5.0 3.0 113.6° 0.75분
N 94.0 1.0 5.0 110.1° 0.67분
O 92.0 3.0 5.0 109.0° 0.55분
P 90.0 5.0 5.0 108.1° 0.40분
실시예 6
강철/플라스틱 기판의 제조: 실시예 4의 상태 B의 조성물로부터 만들어진 13cm ×13cm 플라스틱 패널을, 이중면 접착 테이프를 사용하여, 2개의 공통 모서리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차체 강철의 30cm× 60cm 패널 상에 들러붙였다. 접착되기 전에, 전도성 하도제 (2-성분 하도제, 전도성, 독일 우페르탈 소재의 듀폰 퍼포먼스 코팅 GmbH & Co. KG로부터 입수가능한 R 82913)를 15㎛의 건조 필름 두께까지 플라스틱 패널에 제공하였다.
캐소드 전착 코팅 욕의 제조: 4356g의 수성 캐소드 전착 결합제 분산액 (허버츠 아쿠아 EC2000, 독일 우페르탈 소재의 듀폰 퍼포먼스 코팅 GmbH & Co. KG로부터의 R39660)을 1408g의 캐소드 전착 안료 페이스트 (허버츠 아쿠아 EC 2000, 독일 우페르탈 소재의 듀폰 퍼포먼스 코팅 GmbH & Co.로부터의 R39661)와 혼합하고, 5236g의 탈이온수로 희석함으로써 18중량%의 고체 함량을 가진 캐소드 전착 코팅 욕을 제조하였다.
다층 코팅의 제조: 실시예에 따른 캐소드 전착(CED) 코팅 욕 (코팅 조건: 320V의 침착 전압에서 30℃에서 2분; 소성 조건: 175℃ 물체 온도에서 20분)에서 20㎛의 건조 필름 두께까지 강철/플라스틱 기판을 코팅하였다. 금속 표면 위에서단지 CED 코팅 층 만을 가진 이러한 방식으로 제공된 강철/플라스틱 기판을 백색 수성 충전제 (허버츠 아쿠아-필 R63520, 독일 우페르탈 소재의 듀폰 퍼포먼스 코팅 GmbH & Co.KG)로 35㎛의 건조 필름 두께까지 코팅하고, 80℃에서 10분 플래시 오프한 후에, 160℃(물체 온도)에서 25분동안 소성하였다. 백색 수성 충전제 층으로 전체 표면 위에 코팅된 강철/플라스틱 기판을, 12㎛의 건조 필름 두께까지, 검은색 금속 수성 기본 코트(허버츠 아쿠아-베이스 R65949, 독일 우페르탈 소재의 듀폰 퍼포먼스 코팅 GmbH & Co. KG로부터 입수가능함)로 코팅한 다음, 80℃에서 10분 플래시 오프한 후에, 2-성분 폴리우레탄 클리어 코트(2K-클리어 R40491, 독일 우페르탈 소재의 듀폰 퍼포먼스 코팅 GmbH & Co. KG)로 35㎛의 건조 필름 두께로 코팅하고, 23℃에서 5분간 플래시 오프한 후에 135℃(물체 온도)에서 20분동안 소성하였다. 모든 분무 코팅을 각각의 경우에 강철/플라스틱 기판에 수직 위치로 적용하였다. 모든 플래시-오프, 건조 및 소성 작업을 수평 위치에서 수행하였다.
단순히 나안으로의 평가는, 코팅된 플라스틱과 강철 표면 사이에서 외관(광택, 조도)에서의 눈에 띠는 차이를 실제로 나타내지 않았다. BYK 파동스캔 장치 [도장된 표면의 최적 표면 특징화를 위하여, "파동 스캔(Wave Scan)" (Byk-Gardner GmbH, 독일 D-82538 게레츠라이드)가 사용될 수 있다. 파동 스캔은 오렌지 필(Orange Peel) 측정기이고, 표면 평활도의 시각적 평가를 모방한다]를 사용하면, 코팅된 플라스틱 표면에 대해 21의 단-파동 값이 측정되는 반면, 코팅된 강철 표면에 대한 값은 6이었다. 이것은, 강철 및 플라스틱 기판 양쪽 모두에서 뛰어난 코팅 표면이 수득됨을 나타낸다.

Claims (29)

  1. (a) 약 100℃ 이상의 융점을 가진 반결정성 등방성 폴리에스테르 약 35중량% 이상;
    (b) 융점이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의 냉 결정화점보다 적어도 50℃ 더 높은 것이거나, 또는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가 냉 결정화점을 갖지 않는다면 융점이 약 150℃ 이상인, 액정 중합체 약 0.1 내지 약 40중량%;
    (c) 고형 입상 물질 0.0 내지 약 60중량%; 및
    (d)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를 위한 가소제 약 0.2 내지 약 15중량%를 포함하고,
    (a) 및 (c)의 중량%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b) 및 (d)의 중량%가 상기 조성물 내의 (a)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것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가 약 200℃ 이상의 융점을 갖는 것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 및 HO(CH2)nOH,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HO(CH2CH2O)mCH2CH2OH 및 HO(CH2CH2CH2CH2O)zCH2CH2CH2CH2OH (식중, n은 2 내지 10의 정수이고, m은 평균 1 내지 4이고 z은 평균 약 7 내지 약 40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것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3-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1,4-시클로헥실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가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의 약 3.0 내지 약 10중량%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가 화학식 R1CO2R2OwCR1 (식중, 각각의 R1은 히드로카르빌이고, 각각의 R2는 하나 이상의 에테르 기로 임의 치환되고 2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알킬렌임)을 갖는 것인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중합체가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의 약 1.0 내지 약 10중량%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입상 물질이 전체 조성물의 약 5 내지 약 50중량%인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유형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중합체 강인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능기가 에폭시 또는 카르복실산 무수물인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능기가 에폭시인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강인화제가 에폭시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에폭시 화합물 또는 수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5ppm 미만의 자유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조성물.
  15.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외관 부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안료로 착색된 외관 부품.
  17. 제15항에 있어서, 코팅되어진 외관 부품.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자동차 차체 패널, 설비 부품, 동력 도구 하우징, 전자 캐비넷 또는 하우징, 차량의 외부 또는 내부용 패널, 건물의 장식용 내부 패널, 가구, 또는 전화기 또는 전화기 장비인 외관 부품.
  19. (a) 약 100℃ 이상의 융점을 가진 반결정성 등방성 폴리에스테르 약 35중량% 이상;
    (b) 융점이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의 냉 결정화점보다 적어도 50℃ 더 높은 것이거나, 또는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가 냉 결정화점을 갖지 않는다면 융점이 약 150℃ 이상인, 액정 중합체 약 0.1 내지 약 40중량%;
    (c) 고형 입상 물질 0.0 내지 약 60중량%; 및
    (d)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를 위한 가소제 약 0.2 내지 약 15중량%를 포함하고, (a) 및 (c)의 중량%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고, (b) 및 (d)의 중량%가 상기 조성물 내의 (a)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조성물을, 등방성 폴리에스테르의 융점 초과의 온도에서 상기 융점 미만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 하는, 등방성 폴리에스테르로부터 성형 부품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가 약 200℃ 이상의 융점을 갖는 것인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가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 및 HO(CH2)nOH,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HO(CH2CH2O)mCH2CH2OH 및 HO(CH2CH2CH2CH2O)zCH2CH2CH2CH2OH (식중, n은 2 내지 10의 정수이고, m은 평균 1 내지 4이고 z은 평균 약 7 내지 약 40임)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로 필수적으로 구성된 것인 방법.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3-프로필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1,4-시클로헥실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인 방법.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가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의 약 3.0 내지 약 10중량%인 방법.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중합체가 상기 등방성 폴리에스테르의 약 1.0 내지 약 10중량%인 방법.
  25. 제19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 입상 물질이 상기 전체 조성물의 약 5 내지 약 50중량%인 방법.
  26. 제19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유형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중합체 강인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관능기가 에폭시인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 강인화제가 에폭시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에틸렌으로부터 유래된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9. 제19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25ppm 미만의 자유 금속 양이온을 함유하는 것인 방법.
KR1020057021629A 2003-05-15 2004-05-14 급속 결정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200600126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075603P 2003-05-15 2003-05-15
US47059203P 2003-05-15 2003-05-15
US60/470,756 2003-05-15
US60/470,592 2003-05-15
US47539603P 2003-06-03 2003-06-03
US60/475,396 2003-06-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608A true KR20060012608A (ko) 2006-02-08

Family

ID=33479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629A KR20060012608A (ko) 2003-05-15 2004-05-14 급속 결정화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60009580A1 (ko)
EP (1) EP1622980B1 (ko)
JP (1) JP2006528998A (ko)
KR (1) KR20060012608A (ko)
AT (1) ATE370196T1 (ko)
AU (1) AU2004242133A1 (ko)
BR (1) BRPI0411179A (ko)
CA (1) CA2523546A1 (ko)
DE (1) DE602004008257T2 (ko)
MX (1) MXPA05012205A (ko)
WO (1) WO2004104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123B1 (ko) * 2003-05-15 2011-11-25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US7304107B2 (en) 2004-12-21 2007-12-0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oughen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mpositions
JP2007154162A (ja) * 2005-11-10 2007-06-21 Lion Corp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CN104736672B (zh) 2012-10-16 2017-10-24 提克纳有限责任公司 抗静电液晶聚合物组合物
US9355753B2 (en) 2012-12-05 2016-05-31 Ticona Llc Conductive liquid crystalline polymer composition
KR102155924B1 (ko) 2013-03-13 2020-09-14 티코나 엘엘씨 대전방지성 액정질 중합체 조성물
KR102305241B1 (ko) 2014-04-09 2021-09-24 티코나 엘엘씨 대전방지 중합체 조성물
KR102465693B1 (ko) 2014-04-09 2022-11-09 티코나 엘엘씨 카메라 모듈
WO2019112847A1 (en) 2017-12-05 2019-06-13 Ticona Llc Aromatic polymer composition for use in a camera module
KR20210145184A (ko) 2019-03-20 2021-12-01 티코나 엘엘씨 카메라 모듈용 액추에이터 어셈블리
CN113993937A (zh) 2019-03-20 2022-01-28 提克纳有限责任公司 用于相机模块的聚合物组合物
WO2021173411A1 (en) 2020-02-26 2021-09-02 Ticona Llc Polymer composition for an electronic device
KR20220146567A (ko) 2020-02-26 2022-11-01 티코나 엘엘씨 전자 디바이스
KR20220145385A (ko) 2020-02-26 2022-10-28 티코나 엘엘씨 회로 구조체
US11728065B2 (en) 2020-07-28 2023-08-15 Ticona Llc Molded interconnec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32334E (en) * 1978-02-28 1987-01-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olding resins
EP0029285B1 (en) * 1979-09-21 1984-05-09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Fast crystallising block copolyester composition
EP0030417B2 (en) * 1979-11-30 1994-03-30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Compositions of melt-processable polymers having improved processibility, and method of processing
JPS5978254A (ja) * 1982-10-26 1984-05-07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射出成形用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WO1985003718A1 (en) * 1984-02-24 1985-08-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oughened thermoplastic polyester compositions
US4548978A (en) * 1984-02-24 1985-10-2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ast crystallizing polyester resin containing three-component crystallization system
JPH02103257A (ja) * 1988-10-12 1990-04-16 Nippon Steel Chem C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JP2763575B2 (ja) * 1989-03-31 1998-06-11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ポリアルキレンアリレート樹脂組成物
JP2919885B2 (ja) * 1989-12-13 1999-07-19 ポリ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制振性ポリアルキ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JPH03275757A (ja) * 1990-03-26 1991-12-06 Lion Corp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US6221962B1 (en) * 1992-05-29 2001-04-24 Neste Oy Liquid crystal polymer blend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roducts manufactured from the blends
JPH06322241A (ja) * 1993-05-14 1994-11-22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
WO1996000752A1 (en) * 1994-06-28 1996-01-11 Foster-Miller, Inc. Compatibilized lcp blends
JPH1112428A (ja) * 1997-06-24 1999-01-19 Techno Polymer Kk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6051644A (en) * 1997-10-10 2000-04-18 Eastman Chemical Company Fiber reinforced resins with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EP1328606A4 (en) * 2000-09-01 2005-03-30 Ticona Llc MIXTURES OF STRETCHABLE LIQUID CRYSTAL POLYMERS AND THERMOPLASTICS
US7030181B2 (en) * 2001-04-11 2006-04-18 Eastman Chemical Company Films prepared from plasticized polyesters
KR101086123B1 (ko) * 2003-05-15 2011-11-25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US20050186438A1 (en) * 2003-09-24 2005-08-25 Alms Gregory R. Electrically conductive thermoplastic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22980A1 (en) 2006-02-08
AU2004242133A1 (en) 2004-12-02
BRPI0411179A (pt) 2006-07-18
WO2004104100A1 (en) 2004-12-02
US20060009580A1 (en) 2006-01-12
CA2523546A1 (en) 2004-12-02
DE602004008257T2 (de) 2008-05-08
DE602004008257D1 (de) 2007-09-27
JP2006528998A (ja) 2006-12-28
MXPA05012205A (es) 2006-02-08
ATE370196T1 (de) 2007-09-15
EP1622980B1 (en)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123B1 (ko)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US20060009580A1 (en) Fast crystallizing polyester compositions
EP1846473B1 (en) Compositions of polyesters and sepiolite-type clays
US5578659A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US20050186438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thermoplastic compositions
EP1630200B1 (en) Polyarylene sulfide resin composition and coated molding
US20060157350A1 (en) Toughened polyester compositions
KR20010080019A (ko) 열가소성 폴리케톤 기재의 차체 추가 부품
EP2064266B1 (en) Improved paintable thermoplastic compositions
JP2005248170A (ja) ポリフェニレンスルフィド樹脂組成物
CN1791639A (zh) 快速结晶聚酯组合物
JPS63128045A (ja) プロピレン系重合体組成物
CN1791638A (zh) 聚酯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