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2234A - 바닥재 걸음구 - Google Patents

바닥재 걸음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2234A
KR20060012234A KR1020040075393A KR20040075393A KR20060012234A KR 20060012234 A KR20060012234 A KR 20060012234A KR 1020040075393 A KR1020040075393 A KR 1020040075393A KR 20040075393 A KR20040075393 A KR 20040075393A KR 20060012234 A KR20060012234 A KR 20060012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base member
flooring material
plasticity
met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8939B1 (ko
Inventor
사이토히토시
Original Assignee
쥬오 비루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오 비루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오 비루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12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8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8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가설공사에서의 바닥재의 부설에 있어서 접착제나 면 테이프를 이면에 붙이면, 가설 바닥을 해체할 때, 바닥재의 일부가 찢어지거나 벗겨지거나 하여 원래의 완전한 형태로 해체하는 것이 곤란했다.
판 형상체를 구부려서 형성되는 바닥재 걸음구(1)로서, 바닥재(F)가 재치 되는 기초부재(B)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탄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 형성되는 기초부재 걸음부(2)와, 바닥재(F)를 재치할 수 있는 평면인 바닥재 재치부(3)와, 가소성을 갖는 2장의 판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구부려서 개방 및 똑바로 접착시켜 폐쇄할 수 있는 바닥재 협지부(5)를 갖고, 기초부재(B)에 기초부재 걸음부(2)에 의해 걸려지고, 바닥재 재치부(3)상에 바닥재(F)를 재치시킨 후, 바닥재 협지부(5)를 구부리고 벌려 개방한 상태로 함으로써 바닥재 재치부(3)와 바닥재 협지부(5)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재(F)를 협지하는 바닥재 걸음구(1)로 한다.
바닥재, 걸음구, 기초부재, 가소성, 협지부, 접착 고정부

Description

바닥재 걸음구{FLOOR MATERIAL RETAIN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바닥재 걸음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바닥재 협지부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바닥재 걸음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바닥재 협지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바닥재 걸음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닥재 걸음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바닥재 협지부가 개방된 상태를 상방에서 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바닥재 걸음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바닥재 협지부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바닥재 걸음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바닥재 협지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바닥재 걸음구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바닥재 걸음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바닥재 협지부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바닥재 걸음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바닥재 협지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바닥재 걸음구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바닥재 걸음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바닥재 협지부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바닥재 걸음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고 바닥재 협지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부호의 설명)
1 (1a , 1b, 1c, 1d) : 바닥재 걸음구
2 (2a , 2b, 2c, 2d) : 기초부재 걸음부
20 : 바닥재 협지부의 하면
21 : 측면부
21d : 측면부(제 4 실시형태)
22 : 하단부
23 : 개방 부분
24 : 하측면부(제 2 실시형태)
25 : 개방 부분(제 2 실시형태)
3 (3a , 3b, 3c, 3d) : 바닥재 재치부
4 (4a , 4b, 4c, 4d) : 접착 고정부
5 (5a , 5b, 5c, 5d) : 바닥재 협지부
F : 바닥재
B : 기초부재(대들보재, H형강 등)
본 발명은, 가설공사 현장, 건축 현장, 조선 현장, 주택 등에 있어서 바닥재를 각형 중공재, H형강재 등의 대들보재에 거는 바닥재 걸음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건축, 조선 등의 공사현장에서 베니어판 등의 임시바닥을 만드는 경우에, 베니어판 등의 바닥재를 대들보재에 거는 바닥재 걸음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설공사 현장, 건축 현장, 조선 현장 등에 두께 30mm 내지 50mm라는 두꺼운 베니어판 등 목제판으로 임시바닥을 만드는 경우, 목제판의 이면에 강력한 접착제를 도포하든지, 또는 접착제첨부 양면 테이프나, 두꺼운 천으로 이루어지는 벨벳 파스너 등의 면 테이프에 의해, 대들보재와의 가고정을 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과 같이 접착제나 면 테이프를 이면에 붙이면, 가설 바닥을 해체할 때, 바닥재가 목제재인 판, 특히 두꺼운 베니어재 등의 경우에는, 일부가 찢어지거나 벗겨지거나 해서 원래의 완전한 형태로 해체하기 곤란했다.
또, 이면에 사용한 접착제나 벨벳 파스너 등의 면 테이프를 붙인 채라면, 운반, 보관시에 목제판을 적층하면 서로 달라 붙어버려 재사용이 어려워 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판 형상체를 구부려서 형성되는 바닥재 걸 음구로서,
바닥재가 재치되는 기초 부재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탄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 형성되는 기초부재 걸음부와, 바닥재를 재치할 수 있는 평면인 바닥재 재치부와, 가소성을 갖는 2장의 판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구부려서 개방 및 똑바로 접착시켜 폐쇄할 수 있는 바닥재 협지(挾持)부를 가지고,
기초부재에 기초부재 걸음부를 탄성을 이용해서 걸리게 하고, 바닥재 재치부상에 바닥재를 재치시킨 후, 바닥재 협지부를 구부려서 벌리고 가소성을 이용하여 원래로 돌아가지 않는 상태로 함으로써 바닥재 재치부와 바닥재 협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재를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걸음구를 제안한다.
또,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를 구부려서 형성되는 바닥재 걸음구로서,
하부에 바닥재가 재치되는 기초부재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탄성을 갖는 금속 판 형상체에 의해 형성되는 기초부재 걸음부와, 바닥재를 재치할 수 있는 평면인 바닥재 재치부와, 바닥재 재치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구부러지고 2장의 판 형상체가 접착되어 바닥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이 있는 접착 고정부와,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가 접착 고정부로부터 연장면 방향으로 형성되고 접착 고정부의 면방향으로부터 거의 직각으로 구부려서 개방 및 서로 평행하게 똑바로 접착시켜 폐쇄하는 것이 가능한 가소성을 갖는 바닥재 협지부를 갖고,
기초부재에 기초부재 걸음부를 탄성을 이용하여 걸리게 하고, 바닥재 재치부상에 바닥재를 재치시킨 후, 바닥재 협지부를 거의 직각으로 구부려서 벌리고 가소성을 이용하여 원래로 돌아가지 않는 상태로 함으로써 바닥재 재치부와 바닥재 협 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재를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걸음구를 제안한다.
또한, 2장의 판 형상체의 길이가 다른 바닥재 협지부인 상기의 바닥재 걸음구를 제안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바닥재 걸음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 설명도인 도 1, 도 2, 동일하게 사시도인 도 3, 바닥재 협지부가 개방되어 바닥재를 협지한 상태를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인 도 4, 이하 마찬가지로 기초부재가 다른 형상인 경우에 대응한 본 발명의 바닥재 걸음구의 여러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5 내지 도 10, 바닥재의 단부에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인 도 11,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닥재 걸음구(1)는, 판 형상체를 구부려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탄성 및 가소성을 갖는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를 구부려서 일부 서로 접착하고, 기초부재 걸음부(2), 바닥재 재치부(3), 접착 고정부(4) 및 바닥재 협지부(5)를 형성하고 있다. 기초부재 걸음부(2)는, 바닥재(F)가 재치되는 기초부재(B)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바닥재 재치부(3)는, 바닥재(F)를 재치할 수 있는 평면으로 이루어진다. 접착 고정부(4)는, 바닥재 재치부(3)로부터 직각방향으로 구부러져 2장의 판 형상체를 스폿용접 등에 의해 접착 고정한 부분이며, 바닥재(F)의 두께에 거의 대응하는 폭이 있다. 바닥재 협지부(5)는, 가소성을 갖는 2장의 판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구부려서 개방하여 바닥재 재치부(3)와의 사이에서 바닥재(F)를 협지하고, 또 똑바로 접착시켜 폐쇄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바닥재 걸음구(1a)를 도시한다. 바닥재 걸음구(1a)는, 탄성 및 가소성을 갖는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를 접착 고정부(4a) 부분에서만 스폿용접 등에 의해 바닥재(F)의 두께 정도의 길이 만큼 접착하여 고정한다. 접착 고정부(4a)의 상방 연장 부분은, 바닥재 협지부(5a)이며,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가, 거의 접촉한 채 개폐자유롭게 고정되지 않고 설치된다. 같은 폭의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바닥재 협지부(5a)의 선단은, 어느 1장이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바닥재 협지부(5a)를 좌우로 개방하는 경우, 길이가 같을 경우보다 드라이버 등의 기구를 삽입해서의 개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접착 고정부(4a)의 하부에 바닥재 재치부(3a) 및 기초부재 걸음부(2a)를 형성한다. 바닥재 재치부(3a)는, 접착 고정부(4a)의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를 각각 역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서 평면이 되는 판 형상체의 상면에 의해 접착 고정부(4a)의 좌우에 형성된다.
기초부재 걸음부(2a)는, 각각의 바닥재 재치부(3a)의 하면(20)을 포함하고, 각각의 바닥재 재치부(3a)를 하방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서 형성되는 측면부(21)와, 측면부(21)의 하부를 내측을 향해서 직각으로 더 구부려서 마주 보는 하단부(22)와, 서로의 하단부(22) 사이의 공간인 개방 부분(23)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초부재 걸음부(2)의 내측 형상은, 바닥재 걸음구(1a)가 걸어지는 대들보재 등의 기초부재(B)에 외형에 대응하고 있으면 형상, 크기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 제 1 실 시형태의 기초부재 걸음부(2a)는, 기초부재(B)가 G 대들보, B 대들보, TO 대들보용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의 형상은, 기초부재 걸음부(2a)의 가소성에 의해 형성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인 바닥재 걸음구(1a)의 사용 방법 및 사용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닥재 걸음구(1a)는, 기초부재 걸음부(2a)의 대향하는 선단부(20) 사이에 있는 개방부(21) 사이를 넓혀서 G 대들보재 등의 기초부재(B)에 걸리게 한다. 기초부재 걸음부(2a)는, 그 2장의 판 형상체의 탄성을 이용하여 대들보재(B)의 하면 양측을 하단부(22)로, 측면을 측면부(21)로, 상면을 바닥재 재치부(3a)의 하면(20)으로 접하여 걸음 가능하다.
다음에 접착 고정부(4a)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바닥재 재치부(3a)에 각각의 바닥재(F)를 재치한다. 바닥재(F)의 두께는, 접착 고정부(4a)의 길이에 거의 대응하고 있다.
다음에 드라이버 등의 기구에 의해, 바닥재 협지부(5a)가 접하고 있는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를 좌우 역방향으로 구부려서 개방해 가고, 바닥재 재치부(3a)와 거의 평행한 상태까지 구부림으로써 바닥재(F)를 협지한다. 이 경우, 바닥재 협지부(5a)의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의 가소성의 성질을 이용한다. 바닥재(F)의 두께 부분은,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가 접착 고정되어 있으므로 바닥재 협지부(5a)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확히 직각으로 펴서 넓혀진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바닥재(F)를 단단히 눌려서 이동하지 않도록 걸 수 있다.
또, 바닥재(F)를 해체할 때는, 반대로 각각의 바닥재 협지부(5a)를 접착 고 정부(4a)의 연장면과 평면 형상으로 똑바로 폐쇄시켜서 접착시킨다. 이 상태에 의해 바닥재(F)는, 단지 바닥재 재치부(3a)에 얹혀 있는 상태이므로 작업원은, 용이하게 바닥재(F)를 운반, 해체할 수 있다.
대들보재 등의 기초부재(B)에 걸려 있던 기초부재 걸음부(2a)는, 탄성이 있기 때문에 하면부(22) 사이의 개방 부분(23)을 넓혀서 기초부재(B)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바닥재 걸음구(1b)를 도시한다. 제 2 실시형태의 바닥재 걸음구(1b)는, 탄성 및 가소성을 갖는 2장의 금속 판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기초부재 걸음부(2b)가, 기초부재(B)인 H형강에 걸음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다. 기초부재 걸음부(2b)와, 바닥재 재치부(3b)의 형상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의 형상과 변화는 없다. 즉 접착 고정부(4b)는,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를 스폿용접 등에 의해 바닥재(F)의 두께 정도의 길이 만큼 접착하여 고정되어 있다. 접착 고정부(4b)의 상방 연장 부분에는, 바닥재 협지부(5b)가 형성되고,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가, 거의 접한 채 접착되지 않고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동일한 폭의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바닥재 협지부(5b)의 선단은, 어느 1장이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바닥재 협지부(5b)를 좌우로 개방하는 경우, 길이가 동일한 경우보다 기구를 삽입하여 개방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서이다.
접착 고정부(4b)의 하부에 바닥재 재치부(3b)와, 기초부재 걸음부(2b)를 형성한다. 바닥재 재치부(3b)는, 접착 고정부(4b)의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를 각각 역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서 이루어지는 판 형상체의 상면에 의해 형성된다. 제 2 실시형태의 바닥재 재치부(3b)의 형상은, H형강에 대응하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의 바닥재 재치부(3a)보다 폭이 넓다. 그리고 기초부재 걸음부(2b)는, 각각의 바닥재 재치부(3b)의 하면(20)과, 바닥재 재치부(3b)로부터 하방으로 약간 예각으로 구부린 하측면부(24)와, 서로의 하측면부(24) 사이에 형성되는 개방 부분(25)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인 바닥재 걸음구(1b)의 사용 방법 및 사용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닥재 걸음구(1b)는, 기초부재 걸음부(2b)의 대향하는 하측면부(24) 사이에 있는 개방 부분(25) 사이를 넓히고 탄성을 이용하여 H형강에 도 5 및 도 6과 같이 걸리게 한다.
다음에 접착 고정부(4b)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바닥재 재치부(3b)에 각각 바닥재(F)를 재치 한다. 바닥재(F)의 두께는, 접착 고정부(4b)의 고정된 길이에 거의 대응하고 있다.
다음에 드라이버 등의 기구에 의해, 바닥재 협지부(5b)가 접하고 있는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를 좌우 역방향으로 구부려서 개방해 가고, 바닥재 재치부(3b)와 거의 평행한 상태까지 구부림으로써 바닥재(F)를 가소성을 이용하여 협지한다. 바닥재(F)의 두께 부분은,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가 접착 고정되어 있고 가소성이 있으므로 바닥재 협지부(5b)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확히 직각으로 펴서 넓혀진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바닥재(F)를 세게 눌러 이동하지 않도록 걸 수 있다.
또, 바닥재(F)를 해체할 때는, 반대로 각각의 바닥재 협지부(5b)를 접착 고정부(4b)의 연장면과 평면 형상으로 똑바로 폐쇄시켜서 접착시킨다. 이 상태에 의해 바닥재(F)는, 단지 바닥재 재치부(3b)에 얹혀 있는 상태이므로 작업원은, 용이하게 바닥재(F)를 운반, 해체할 수 있다.
H형강의 기초부재(B)에 걸려 있던 기초부재 걸음부(2b)는, 탄성이 있기 때문에 하측면부(24) 사이의 개방 부분(25)을 넓혀서 기초부재(B)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인 바닥재 걸음구(1c)를 도시한다. 제 2 실시형태의 바닥재 걸음구(1c)는, 탄성 및 가소성을 갖는 2장의 금속 판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기초부재(B)로서 K 대들보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기초부재 걸음부(2c) 및 바닥재 재치부(3c)의 폭이 넓다는 치수의 차이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의 형상과 동일하다.
더욱이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인 바닥재 걸음구(1d)는, 탄성 및 가소성을 갖는 금속 판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건조물내의 벽면측, 가설 발판의 단부 등에 위치하는 바닥재 단부의 위치에 있는 기초부재(B)에 걸어지는 것이며, 일방의 사이드에만 바닥재(F)를 설치하는 장소에 사용된다.
바닥재 걸음구(1d)는,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를 접착 고정부(4d) 부분에서만 스폿용접 등에 의해 바닥재(F)의 두께 정도의 길이 만큼 접착하여 고정된다. 접착 고정부(4d)의 상방 연장 부분은, 바닥재 협지부(5d)이며, 가소성을 갖는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가, 거의 접촉한 채 접착되지 않고 개폐 자유롭게 설치된다. 동일한 폭의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바닥재 협지부(5d)의 선단은, 어느 1장이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고, 긴 판 형상체는 벽 등의 단부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된다.
접착 고정부(4d)의 하부에 바닥재 재치부(3d)와, 기초부재 걸음부(2d)를 형성한다. 바닥재 재치부(3d)는, 접착 고정부(4d)의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의 일방의 판 형상체만을 직각으로 구부리고, 타방의 벽에 접하여 위치하는 판 형상체는, 접착 고정부(4d)로부터 똑바로 평면형상으로 형성된다.
기초부재 걸음부(2d)는, 탄성을 가지고 바닥재 재치부(3d)의 하면(20)을 포함하고, 바닥재 재치부(3d)를 하방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서 이루어지는 측면부(21)와, 접착 고정부(4d)로부터 똑바로 평면형상으로 형성되는 측면부(21d)와, 각각의 측면부(21, 21d)의 하부를 더욱 내측을 향하여 직각으로 구부려서 이루어지는 하단부(22)와, 서로의 하단부(22) 사이의 공간부인 개방 부분(23)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기초부재 걸음부(2d)의 내측 형상은, 바닥재 걸음구(1d)가 걸어지는 대들보재 등의 기초 부재에 외형에 탄성을 가지고 대응하고 있고, 기초부재(B)가 G 대들보, B 대들보, TO 대들보용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대들보재 등, 기초부재(B)의 형상이 다른 경우에는, 그 다른 형상에 대응한 결합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인 바닥재 걸음구(1d)의 사용 방법 및 사용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바닥재 걸음구(1d)는, 기초부재 걸음부(2d)의 대향하는 선단부(20) 사이에 있는 개방부(23) 사이를 넓혀서 G 대들보재 등의 기초부재(B)에 탄성 을 이용하여 걸리게 한다. 기초부재 걸음부(2d)는,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2장의 판 형상체가 대들보재(B)의 하면 양측을 하단부(22)로, 측면을 측면부(21, 21d)로, 상면을 바닥재 재치부(3a)의 하면(20)으로 접하여 걸음 가능하다.
다음에 접착 고정부(4d)의 편측에 위치하는 1개의 바닥재 재치부(3d)에 1장의 바닥재(F)를 재치한다. 바닥재(F)의 두께는, 접착 고정부(4d)의 길이에 거의 대응하고 있다.
다음에 드라이버 등에 의해, 바닥재 협지부(5d)가 접하고 있는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의 1장 또는 2장 모두 동일하게 구부려 가서, 바닥재 재치부(3a)와 거의 평행한 상태까지 구부림으로써 가소성을 이용하여 바닥재(F)를 협지한다. 바닥재(F)의 두께 부분은,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가 접착 고정되어 있고 가소성을 가지므로 바닥재 협지부(5d)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확히 직각으로 펴서 넓혀진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 바닥재(F)를 세게 눌러서 이동하지 않도록 걸 수 있다.
또, 바닥재(F)를 해체할 때는, 반대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재 협지부(5d)를 접착 고정부(4d)의 연장면과 평면 형상으로 똑바로 폐쇄시켜서 접착시킨다. 이 상태에 의해 바닥재(F)는, 단지 바닥재 재치부(3a)에 얹혀 있는 상태가 되므로 작업원은, 용이하게 바닥재(F)를 운반, 해체할 수 있다.
대들보재 등의 기초부재(B)에 걸려 있던 기초부재 걸음부(2d)는, 탄성을 이용하여 하면부(22) 사이의 개방 부분(23)을 넓혀서 기초부재(B)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설공사 현장, 건축 현장, 조선 현장, 주택 등의 바닥재를 부설하는 장소에 있어서 바닥재를 각형 중공재, H형강재 등의 대들보재에 걸기 위해서 이용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건축, 조선 등의 공사현장에서 베니어판 등의 임시바닥을 만드는 경우에, 베니어판 등의 바닥재를 대들보재에 임시로 거는 경우 등의 이용 가능성이 높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용이하게 대들보재 등의 바닥재를 재치하는 기초가 되는 기초부재에 탄성을 이용하여 기초부재 걸음부에 의해 부착할 수 있는 동시에, 바닥재를 바닥재 재치부에 재치한 후, 가소성을 갖는 2장의 판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바닥재 협지부를 구부려서 개방하고 바닥재 재치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재를 협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해체할 필요가 있는 공사현장의 가설 바닥재와 같은 경우, 구부려 있던 바닥재 협지부를 똑바로 접착시켜 폐쇄한 상태로 함으로써, 매우 용이하게 바닥재를 바닥재 재치부로부터 벗길 수 있다. 또, 바닥재는, 바닥재 협지부와 바닥재 재치부 사이에 단지 끼워져 있는 것 뿐이므로, 바닥재 협지부가 똑바른 상태로 되면, 간단하게 바닥재 재치부로부터 들어 올릴 수 있게 된다. 또, 기초부재에 걸려 있던 기초부재 걸음부도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기초부재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바닥재는, 바닥재 재치부와 바닥재 협지부 사이에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사용되고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벨벳 파스너 등의 면 테이프나, 접착제를 붙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가설 발판 등에 몇번 사용해도, 더러워지지 않고, 보관, 운반 작업이 종래에 비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 청구항 3에 관계되는 발명에서는, 2장의 판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바닥재 협지부가, 똑바로 접착시킨 폐쇄 상태일 때에, 2장의 판 형상체의 길이가 달라, 선단이 맞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구부려서 개방시킬 때에, 개방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판 형상체를 구부려서 형성되는 바닥재 걸음구로서,
    바닥재가 재치되는 기초부재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탄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 형성되는 기초부재 걸음부와, 바닥재를 재치할 수 있는 평면인 바닥재 재치부와, 가소성을 갖는 2장의 판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구부려서 개방 및 똑바로 접착시켜 폐쇄할 수 있는 바닥재 협지부를 가지고 있고,
    기초부재에 기초부재 걸음부를 탄성을 이용하여 걸리게 하고, 바닥재 재치부상에 바닥재를 재치시킨 후, 바닥재 협지부를 구부려서 벌리고 가소성을 이용하여 원래로 돌아가지 않는 상태로 함으로써 바닥재 재치부와 바닥재 협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재를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걸음구.
  2.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를 구부려서 형성되는 바닥재 걸음구로서,
    하부에 바닥재가 재치되는 기초부재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탄성을 갖는 금속 판 형상체에 의해 형성되는 기초부재 걸음부와, 바닥재를 재치할 수 있는 평면인 바닥재 재치부와, 바닥재 재치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구부려져 2장의 판 형상체가 접착되고 바닥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폭이 있는 접착 고정부와, 2장의 금속제 판 형상체가 접착 고정부로부터 연장면 방향에 형성되고 접착 고정부의 면방향으로부터 거의 직각으로 구부려서 개방 및 서로 평행하게 똑바로 접착시켜 폐쇄하는 것이 가능한 가소성을 갖는 바닥재 협지부를 가지고 있고,
    기초부재에 기초부재 걸음부를 탄성을 이용하여 걸리게 하고, 바닥재 재치부상에 바닥재를 재치시킨 후, 바닥재 협지부를 거의 직각으로 구부려서 벌리고 가소성을 이용하여 원래로 돌아가지 않는 상태로 함으로써 바닥재 재치부와 바닥재 협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바닥재를 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걸음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2장의 판 형상체의 길이가 다른 바닥재 협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재 걸음구.
KR1020040075393A 2004-08-02 2004-09-21 바닥재 고정구 KR100648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5931A JP4000135B2 (ja) 2004-08-02 2004-08-02 床材係止具
JPJP-P-2004-00225931 2004-08-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234A true KR20060012234A (ko) 2006-02-07
KR100648939B1 KR100648939B1 (ko) 2006-11-24

Family

ID=3602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393A KR100648939B1 (ko) 2004-08-02 2004-09-21 바닥재 고정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000135B2 (ko)
KR (1) KR1006489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8939B1 (ko) 2006-11-24
JP2006045827A (ja) 2006-02-16
JP4000135B2 (ja)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12234A (ko) 바닥재 걸음구
KR20090009020U (ko) 건축물의 내장용 장식판재 고정구
JP4684674B2 (ja) 板材施工方法及び板材施工構造
WO2023112478A1 (ja) 建築用面材の取り付け方法
JPH017767Y2 (ko)
JPS628769Y2 (ko)
JPH0313653A (ja) タイル付板とその接合方法
JP2004238937A (ja) 建築用板
JP2006274698A (ja) 間仕切り壁構造
JP3950338B2 (ja) 壁下地材及び建屋室内壁構造
JP2006274654A (ja) 化粧材の固定方法
JP3138346U (ja) 補助胴縁
JP2003097027A (ja) フローリング材と該フローリング材を使用した床の施工法
JPH0230577Y2 (ko)
JP3280934B2 (ja) ボードの目地処理工法及びボード
JP2001227077A (ja) 外壁の目地構造、目地テープ及び外壁目地施工方法
JP3946532B2 (ja) 間仕切りパネル及び間仕切りパネルの配置構造
JPH077471Y2 (ja) 躯体構造
JP2754378B2 (ja) 壁体の構造
RU52421U1 (ru) Фасадная панель "ра-дом"
JP2010070949A (ja) 化粧板貼着治具とその貼着治具を用いた化粧板の貼着方法
JP2020020116A (ja) 天井の立体的装飾施工法
JP2000303616A (ja) 壁面等の下地材
JPH0842113A (ja) 床張り工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根太受け具
JPH0626173A (ja) タイル張付施工方法及びタイル張付施工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