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9267A - 밀폐전지 - Google Patents

밀폐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9267A
KR20060009267A KR1020057020040A KR20057020040A KR20060009267A KR 20060009267 A KR20060009267 A KR 20060009267A KR 1020057020040 A KR1020057020040 A KR 1020057020040A KR 20057020040 A KR20057020040 A KR 20057020040A KR 20060009267 A KR20060009267 A KR 20060009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opening
sheet
sealed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이치로 에비
겐진 마스모토
도시하루 기타가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9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전지 케이스(2)의 개구부(2a)를 절연 개스킷(7)을 사이에 두고 입구 실링부재 혹은 입구 실링부재를 필터(9) 내에 이너 개스킷(10)을 사이에 두고 코킹하여 이루어지는 입구 실링유닛(8)에 의해서 입구를 실링한 밀폐전지에 있어서 입구 실링부.
밀폐전지, 절연 개스킷, 이너 개스킷, 코킹

Description

밀폐전지{SEALED BATTERY}
본 발명은 밀폐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누액(漏液) 방지성이 뛰어난, 코킹(calking)에 의해 입구를 실링하여 이루어지는 밀폐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자기기의 소형화, 박형화 및 고기능화가 현저하게 진전되고 있고, 그에 따라 그 전원이 되는 전지도 소형, 박형으로 고용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소형으로서 고용량을 가능하게 하는 전지로는 리튬계 전지가 유효하고, 그 중에서도 편평한 사각형의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기기의 박형화에 매우 적합하며,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지로서 휴대전화 등의 휴대전자기기에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사각형 밀폐전지에서의 입구의 실링구조로서, 전지 케이스의 개구부에 개스킷을 사이에 두고 입구 실링부재를 배치하고, 전지 케이스의 개구부를 안쪽으로 코킹해서, 개스킷을 압축하여 입구를 실링한 것은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공개 평8-162076호 공보, 특허공개 2000-357495호 공보 참조).
이런 종류의 밀폐전지의 구성 예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전지 케이스(21) 내에는 극판 군과 전해액으로 이루어지는 발전(發電)요소(22)가 수용되어 있 다. 전지 케이스(21)의 개구부(21a)의 상단에서 소정의 위치의 외주 면에 환형(環形) 홈을 형성하고, 이 환형 홈에 의해서 내부로 볼록하게 형성된 환형 지지부(23) 상에 개구부(24a)를 형성한 받침판(24)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 받침판(24) 상에 절연 개스킷(25)을 사이에 두고 플레이트(26)가 배치되고, 플레이트(26)에 발전요소(22)의 한쪽 전극이 리드(27)를 사이에 두고 접속됨과 동시에, 입구 실링판(26) 상에 외부 접속단자가 되는 캡(28)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전지 케이스(21)의 개구부(21a)의 상단부를 안쪽으로 코킹 가공함으로써, 절연 개스킷(25)을 사이에 두고 플레이트(26)가 고정되어 입구가 실링되어 있다. 절연 개스킷(25)은 플레이트(26)의 하면에 접하는 바닥 벽(25a)과 전지 케이스(21)의 개구부(21a)의 내주에 접하는 상부 벽(25b)을 가지는 각형 통형상(角形 筒刑狀)으로, 그 바닥 벽(25a)에 받침판(24)의 개구부(24a)에 대응하는 개구부(25c)를 가지며, 또한 바닥 벽(25a)의 내면 외주부에 환형의 실(seal) 돌기부(29)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플레이트(26)에는 전지 내압의 상승에 의해서 파단하는 박편(薄片, 26a)이 형성되고, 외부 접속단자가 되는 캡(28)에는 가스 방출구(28a)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6의 플레이트(26) 대신, 입구 실링유닛(30)을 배치하여 설치한 것도 알려져 있다. 입구 실링유닛(30)은 필터(31) 내부에 바닥 벽(32a)과 상부 벽(32b)을 가지는 각형 통형상이며, 바닥 벽(32a)에 개구부(32c)가 형성된 이너 개스킷(32)이 수용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이너 개스킷(32)의 바닥 벽(32a)의 상하에는 개구부(32c) 내에서 상호 중앙부가 접속된 완부(椀部 )(33a, 34a)를 가지는 상하 한 쌍의 상판체(33)와 하판체(34)로 이루어지는 안전기구(35)가 배치되어 설치되고, 전지 내압이 상승하면 하판체의 완부(34a)가 파단하고, 상판체의 완부(33a)가 반전하여 통전경로가 차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안전기구(35)의 상부에는 PTC소자(36)와 외부 접속단자로 이루어지는 캡(37)이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필터(31)의 개구부(31a)를 안쪽으로 코킹 가공함으로써, 이너 개스킷(32)을 사이에 두고 캡(37), PTC소자(36) 및 안전기구(35)가 고정되어 입구 실링유닛(30)이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6,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전지 케이스(21)의 두께 사이즈 W가 작은 박형 전지에 있어서는, 절연 개스킷(25) 혹은 절연 개스킷(25) 및 이너 개스킷(32)의 압축 포인트가 되는 상부 벽(25b, 32b)의 두께를 충분히 크게 할 수 없고, 전지 케이스(21) 혹은 전지 케이스(21) 및 필터(31)의 개구부(21a, 31a)를 내측으로 코킹하고, 외부 접속 단자판이 되는 캡(28, 37)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절연 개스킷(25) 혹은 절연 개스킷(25) 및 이너 개스킷(32)을 코킹으로 실링할 때에 충분한 압축대를 확보할 수 없으므로, 환형 지지부(23)와 전지 케이스(21)의 상단 면과의 사이의 사이즈 d 1, 혹은, 전지 케이스(21)의 상단 면과의 사이의 사이즈 d 1 및 필터(31)의 상하 단면 간의 사이즈 d 2를 규제하여, 이들 전지 케이스(21) 혹은 전지 케이스(21) 및 필터(31)를 코킹해도 필요한 압축대를 확보할 수 없으므로, 밀봉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며, 누액 방지성에 대한 신뢰성이 낮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박형 전지에 있어서도 간단하면 서 저가의 구성으로 밀폐성이 확보되며, 누액 방지성에 대하여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는 밀폐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밀폐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개구부를 절연 개스킷을 사이에 두고, 입구 실링부재 혹은 입구 실링부재를 필터 내에 이너 개스킷을 사이에 두고 코킹하여 이루어지는 입구 실링유닛에 의해서 입구를 실링한 밀폐전지에 있어서, 입구 실링부재 상에 시트형상의 개스킷을 배치하고, 전지 케이스의 개구부를 안쪽으로 코킹하여, 절연 개스킷 및 시트형상의 개스킷, 혹은, 절연 개스킷, 시트형상의 개스킷 및 이너 개스킷에 의해서 입구를 밀폐 실링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밀폐전지의 박형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전지 케이스의 개구부 상단부 혹은 입구 실링유닛의 필터 상단부에 각각 대응하는 절연 개스킷, 이너 개스킷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없어도, 전지 케이스의 개구부 상단부 혹은 필터 상단부와 입구 실링부재와의 압축 포인트가 되는 부분에 시트형상의 개스킷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이들 개스킷의 총 압축대를 크게 취할 수 있고, 코킹 양에 오차가 다소 발생해도, 확실하게 필요한 실링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누액 방지성에 대하여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시트형상의 개스킷이 절연 개스킷 혹은 절연 개스킷 및 이너 개스킷 보다도 탄성반발계수가 큰 재료를 사용하면, 실링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탄성반발계수가 큰 재료는 고가라도, 성형을 위해 낭비되는 재료의 양이 많은 개스킷 혹은 절연 개스킷 및 이너 개스킷과는 달리, 시트형상의 개스킷은 낭비가 적으므로, 그다지 비용도 높아지지 않는다.
그리고 절연 개스킷 또는 필터 내에 코킹되어 수용되어 있는 이너 개스킷의 상면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전지 케이스의 개구부를 안쪽으로 코킹하여 절연 개스킷 혹은 절연 개스킷 및 이너 개스킷에 의해서 입구를 밀폐 실링하여도, 두께부가 상기 시트형상의 개스킷과 동일한 작용을 하여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절연 개스킷 및/ 또는 이너 개스킷에 코킹 가공시의 압축 포인트에 환형의 실 돌기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위에 상기 개스킷 보다도 탄성반발계수가 큰 시트형상의 개스킷을 배치함으로써, 절연 개스킷 및/ 또는 이너 개스킷의 바닥 벽의 실 돌기부에 의해서 탄성반발계수가 큰 시트형상의 개스킷이 압축되기 때문에, 고온상태 등의 악조건 상태 하에서 장시간 보존해도 실 돌기부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분한 입구 실링 내압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A ~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 예의 밀폐전지를 나타내며, 도 1A는 전체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 면에서 본 확대 종단 측면도이다.
도 2A ~ 도 2B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 예의 밀폐전지에서의 입구 실링유닛을 나타내며, 도 2A는 종단 측면도이며, 도 2B는 이너 개스킷의 코킹 전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 예의 밀폐전지의 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 예의 밀폐전지에서의 입구 실링유닛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 예의 밀폐전지의 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6은 종래 예의 밀폐전지의 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종래 예의 밀폐전지의 요부의 종단 측면도이다.
(제 1 실시 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의 밀폐전지에 대하여, 도 1A ~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 ~ 1B에 있어서, (1)은 리튬이온 이차전지로 이루어지는 편평한 사각형의 밀폐전지로, 전지 케이스(2) 내에 양극판과 음극판을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적층한 극판 군과 전해액으로 이루어지는 발전요소(3)가 수용되어 있다. 전지 케이스(2)의 개구부(2a)에는 그 상단부(2b)보다 소정의 위치의 외주 면에 환형 홈을 형성하고, 이 환형 홈에 의해서 내부로 볼록하게 형성된 환형 지지부(6) 상에 개구부(4a)를 형성한 받침판(4)이 용접 고정되어 있다.
받침판(4) 상에 절연 개스킷(7)을 사이에 두고 입구 실링유닛(8)이 배치되고, 그 상태에서 전지 케이스(2)의 개구부(2a)를 내측에서 코킹 가공함으로써, 절연 개스킷(7)을 통하여 전지 케이스(2)와 절연된 상태로 입구가 실링되어 있다. 절연 개스킷(7)은, PP나 PE의 수지성형품에 의해 구성되고, 그 형상은 받침판(4)의 상면과 입구 실링유닛(8)의 하면에 접하는 바닥 벽(7a)과 전지 케이스(2)의 개구부(2a)의 내주에 접하고, 상부 벽(7b)을 가지는 각형 통형상이며, 그 바닥 벽(7a)에 받침판(4)의 개구부(4a)에 대응하는 개구부(7c)를 가지며, 또한 바닥 벽(7a)의 상면의 외주부에 환형의 실 돌기부(7d)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입구 실링유닛(8)은 바닥 벽(9a)과 둘레 벽(9b)을 가지며, 바닥 벽(9a)에 개구부(9c)가 형성된 각형 통형상의 금속제의 필터(9)를 구비하고 있고, 필터(9)와 발전요소(3)의 한쪽 전극이 리드(미도시)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발전요소(3)의 다른 쪽 전극은 전지 케이스(2)에 접속되어 있다. 필터(9)의 내부에 바닥 벽(10a)과 상부 벽(10b)을 가지고, 바닥 벽(10a)에 개구부(10c)가 형성된 각형 통형상의 절연성 이너 개스킷(10)이 수용 배치되어 있다. 이너 개스킷(10)은 저가의 PP나 PE 수지성형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너 개스킷(10)의 바닥 벽(10a)의 상하에는 개구부(10c) 내에서 중앙부가 상호 접속된 완부(11a, 12a)를 가지는 상하 한 쌍의 상판체(11)와 하판체(12)로 이루어지는 안전기구(13)가 배치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안전기구(13)는 전지 내압이 상승하면, 하판체의 완부(12a)가 파단됨과 동시에 상판체의 완부(11a)가 반전하여 통전경로가 차단되어, 전지 내압을 외부 접속단자가 되는 캡(15)에 설치된 가스 방출구(미도시)를 통하여 외부에 방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너 개스킷(10)의 바닥 벽(10a)의 상면의 외주부에는 상판체(11)의 하면에 압접(壓接)하는 환형의 실 돌기부(10d)가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안전기구(13)의 상부에는 입구 실링부재로서, 개구부(14a)를 가지는 PTC소자(14)와 외부 접속단자가 되는 캡(15)이 배치되고, 그 위에 시트형상의 개스킷(16)이 배치되어 있다. 이 시트형상의 개스킷(16)은 PP나 PE의 수지 시트에 의해서 구 성되어도 좋지만, 탄성반발계수가 큰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TFE)이나 퍼플루오르알콕시알칸(PFA)의 수지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입구 실링유닛(8)은, 필터(9) 내에 이와 같이 이너 개스킷(10), 안전기구(13), PTC소자(14), 외부 접속단자가 되는 캡(15) 및 시트형상의 개스킷(16)을 수용 배치한 상태에서, 필터(9)의 개구부(9d)를 내측으로 코킹 가공하여 고정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그 캡(15)은 PTC소자(14), 안전기구(13), 필터(9) 및 리드(미도시)를 사이에 두고 발전요소(3)의 한쪽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두께 W가 작은 박형의 밀폐전지(1)를 실현하기 위해서, 입구 실링유닛(8)의 이너 개스킷(10)으로, 필터(9)의 둘레 벽(9b)에 접하고, 압축 포인트가 되는 상부 벽(10b)의 두께를 0.1 ~ 0.2mm 정도의 얇은 것을 사용했을 경우에도, 코킹된 필터(9)의 개구부(9d)를 코킹할 때에 캡(15)과의 사이에 이너 개스킷(10)의 상부 벽(10b)과 동일하게 0.1 ~ 0.2mm 정도의 시트형상의 개스킷(16)이 중첩하여 개재되어 있으므로, 개스킷의 총 압축대를 크게 취할 수 있고, 필터(9)의 개구부(9d)의 코킹 오차가 다소 발생해도, 확실하게 필요한 실링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누액 방지성에 대하여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시트형상의 개스킷(16)이 이너 개스킷(10) 보다도 탄성반발계수가 큰 PTFE나 PFA에 의해 구성되면, 실링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이런 종류의 재료는 고가라도, 이너 개스킷(10)을 이와 같은 재료로 구성한 경우와 같이, 성형을 위해 다량의 재료가 낭비되는 일이 없고, 그다지 비용도 높아지지 않는다.
시트형상의 개스킷(16)의 탄성반발계수로는 절연 개스킷 혹은 절연 개스킷 및 이너 개스킷의 탄성반발계수의 2배 ~ 5배의 범위가, 누액 방지성과 배설 가능한 두께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입구 실링유닛(8)에서의 캡(15) 상에 시트형상의 개스킷(16)을 배치하고, 필터(9)의 개구부(9d)와 캡(15) 사이의 압축 포인트에 이너 개스킷(10)의 상부 벽(10b)과 시트형상의 개스킷(16)을 이중으로 개재시킨 예를 제시하였으나, 입구 실링유닛(8) 상에도 동일한 시트형상의 개스킷을 배치하고, 전지 케이스(2)의 개구부(2a)와 입구 실링유닛(8) 사이의 압축 포인트에 절연 개스킷(7)의 상부 벽(7b)과 시트형상의 개스킷을 이중으로 개재시켜도 좋다.
(제 2 실시 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의 밀폐전지에 대하여, 도 2A ~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선행하는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하고, 주로 상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입구 실링유닛(8)에 있어서는, 이너 개스킷(10)의 캡(15)의 상면에 접하는 부분에,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너 개스킷(10)의 측벽(10e)보다도 외경(外徑) 측으로 볼록한 볼록부(17)를 형성하고 있다. 이 볼록부(17)는 내경(內徑) 측으로 볼록하게 해도 기능적으로는 동일하지만, 내경 측으로 볼록하게 하면 상판체(11), PTC소자(14) 및 캡(15)의 삽입 배치가 곤란해지므로, 외경 측으로 볼록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록하게 하는 볼록부(17)의 두께로는 측벽(10e)의 1.2배 ~ 2.5배의 범위가 누액 방지성과 배설가능한 두께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볼록부(17)가 상기 시트형상의 개스킷(16)과 동일한 작용을 하여 동일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제 3 실시 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의 밀폐전지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상의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전지 케이스(2)의 개구부를 절연 개스킷(7)을 사이에 두고 입구 실링유닛(8)에 의해서 입구를 실링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절연 가스 개스킷(7)의 내부에 입구 실링유닛(8) 대신 입구 실링부재로서의 PTC소자(14)와 캡(15)을 배치하고, 그 캡(15)의 상면에 시트형상의 개스킷(16)을 배치하고 있다.
또, 절연 개스킷(7)의 바닥 벽(7a)의 상하에는 개구부(7c) 내에서 중앙부가 상호 접속된 완부(11a, 12a)를 가지는 상하 한 쌍의 상판체(11)와 하판체(12)로 이루어지는 안전기구(13)가 배치되며, 또한 받침판(4) 상에 하판체(12)와의 사이의 절연을 행하는 절연판(18)이 삽입되어 있다. 이 절연판(18)에는 개구부(4a)에 대응하는 개구부(18a)가 형성되어 있다. 그 상태에서 전지 케이스(2)의 개구부(2a)의 상단부를 코킹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도, 전지 케이스(2)의 개구부(2a)의 상단부와 입구 실링부재로서의 캡(15)과의 사이에, 시트형상의 개스킷(16)과 절연 개스킷(7)의 상부 벽(7b)이 이중으로 개재됨으로써, 압축 포인트에서의 개스킷의 총 압축대를 크게 취할 수 있고, 전지 케이스(2)의 개구부(2a)의 코킹 오차가 다소 발생해도, 확실하게 필요한 실링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누액 방지성에 대하여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 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의 밀폐전지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입구 실링유닛(8)에 있어서는, 이너 개스킷(10)의 바닥 벽(10a)의 상면의 외주부에 환형의 실 돌기부(10d)가 돌출하여 설치됨과 동시에, 이 바닥 벽(10a)의 상면 상에 탄성반발계수가 이너 개스킷(10) 보다도 큰 시트형상의 개스킷(19)을 배치하고 있다. 이 시트형상의 개스킷(19) 상에 안전기구(13)의 상판체(11)가 배치되고, 그 위에 입구 실링부재로서의 PTC소자(14) 및 캡(15)과 시트형상의 개스킷(16)이 배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전지 케이스(2)의 개구부(2b)를 안쪽으로 코킹함으로써, 제 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이너 개스킷(10)의 상부 벽(10b)과 시트형상의 개스킷(16)을 캡(15)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압축하여 입구를 실링하고, 또한 PTC소자(14)와 필터(9)의 바닥 벽(9a)과의 사이에서 이너 개스킷(10)의 바닥 벽(10a)의 실 돌기부(10d)에 의해서, 탄성반발계수가 큰 시트형상의 개스킷(19)이 압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제 1 실시 예에 의한 효과에 더하여, 입구 실링부재로서의 PTC소자(14)와, 이와 마주보는 이너 개스킷(10)의 바닥 벽(10a)에 돌출되어 설치된 환형의 실 돌기부(10d)와의 사이의 압축 포인트에 탄성반발계수가 큰 시트형상의 개스킷(19)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높은 실링성이 확보되고, 고온상태 등의 악조건 상태 하에서 장시간 보존해도 실 돌기부(10d)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충분한 입구 실링 내압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캡(15) 상부의 시트형상의 개스킷(16)과 PTC소자(14) 아래의 시트형상의 개스킷(19)을 병용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시트형상의 개스킷(19)만을 배치한 구성으로도 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5 실시 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의 밀폐전지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4 실시 예는, 제 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전지 케이스(2)의 개구부(2a)를 절연 개스킷(7)을 사이에 두고 입구 실링유닛(8)에 의해서 입구를 실링한 구성에 있어서, 시트형상의 개스킷(19)을 설치한 예를 제시하였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제 3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절연 개스킷(7)의 내부에 입구 실링유닛(8) 대신, 입구 실링부재로 PTC소자(14)와 캡(15)을 배치한 입구 실링 구성에 있어서, 절연 개스킷(7)의 바닥 벽(7a)의 상면의 외주부에 환형 실 돌기부(7d)를 돌출하여 설치함과 동시에, 이 바닥 벽(7a)의 상면 상에 탄성반발계수가 절연 개스킷(7) 보다도 큰 시트형상의 개스킷(19)을 배치하고 있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도, 제 4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입구 실링부재로서의 PTC소자(14)와 이와 마주보는 절연 개스킷(7)의 바닥 벽(7a)에 돌출하여 설치된 환형의 실 돌기부(7d)와의 사이에 탄성반발계수가 큰 시트형상의 개스킷(19)이 삽입 되어 있으므로, 높은 실링성이 확보되고, 고온상태 등의 악조건 상태 하에서 장시간 보존해도 실 돌기부(7d)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분한 입구 실링 내압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밀폐전지에 의하면, 전지 케이스의 개구부를 절연 개스킷을 사이에 두고, 입구 실링부재 혹은 입구 실링부재를 필터 내에 이너 개스킷을 사이에 두고 코킹하여 이루어지는 입구 실링유닛에 의해서 입구를 실링할 때에, 입구 실링부재 상에 시트형상의 개스킷을 배치하고, 전지 케이스의 개구부를 안쪽으로 코킹하여 절연 개스킷 및 시트형상의 개스킷, 혹은 절연 개스킷, 시트형상의 개스킷 및 이너 개스킷에 의해서, 입구를 밀폐 실링하는 것이므로, 개스킷의 총 압축대를 크게 취하고, 다소의 코킹 양의 오차가 발생해도, 확실하게 필요한 실링성을 확보하여 누액 방지성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얻는 것에 적합하다.

Claims (4)

  1. 전지 케이스(2)의 개구부(2a)를, 절연 개스킷(7)을 사이에 두고, 입구 실링부재 혹은 입구 실링부재를 필터(9) 내에 이너 개스킷(10)을 사이에 두고 코킹하여 이루어지는 입구 실링유닛(8)에 의해서 입구를 실링한 밀폐전지에 있어서,
    입구 실링부재 상에 시트형상의 개스킷(16)을 배치하고, 전지 케이스(2)의 개구부(2a)를 안쪽으로 코킹하여 절연 개스킷(7) 및 시트형상의 개스킷(16), 혹은 절연 개스킷(7), 시트형상의 개스킷(16) 및 이너 개스킷(10)에 의해서 입구를 밀폐 실링한 밀폐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시트형상의 개스킷(16)은 절연 개스킷(7), 이너 개스킷(10) 보다도 탄성반발계수가 큰 재료로 이루어지는 밀폐전지.
  3. 전지 케이스(2)의 개구부(2a)를, 절연 개스킷(7)을 사이에 두고, 입구 실링부재 혹은 입구 실링부재를 필터(9) 내에 이너 개스킷(10)을 사이에 두고 코킹하여 이루어지는 입구 실링유닛(8)에 의해서 입구를 실링한 밀폐전지에 있어서,
    절연 개스킷(7) 또는 이너 개스킷(10)의 상면의 두께를 두껍게 하고, 전지 케이스(2)의 개구부(2a)를 안쪽으로 코킹하여 절연 개스킷(7) 및 시트형상의 개스킷(16), 혹은 절연 개스킷(7), 시트형상의 개스킷(16) 및 이너 개스킷(10)에 의해 서 입구를 밀폐 실링한 밀폐전지.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절연 개스킷(7) 및/ 또는 이너 개스킷(10)의 코킹 가공시의 압축 포인트에 환형의 실 돌기부(7d, 10d)를 설치함과 동시에, 그 상부 상기 개스킷(7, 10) 보다도 탄성반발계수가 큰 시트형상의 개스킷(16)을 배치한 밀폐전지.
KR1020057020040A 2003-05-20 2004-03-31 밀폐전지 KR2006000926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42143A JP4393791B2 (ja) 2003-05-20 2003-05-20 密閉電池
JPJP-P-2003-00142143 2003-05-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267A true KR20060009267A (ko) 2006-01-31

Family

ID=3347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040A KR20060009267A (ko) 2003-05-20 2004-03-31 밀폐전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42467B2 (ko)
EP (1) EP1630887A4 (ko)
JP (1) JP4393791B2 (ko)
KR (1) KR20060009267A (ko)
CN (1) CN100347875C (ko)
BR (1) BRPI0410773A (ko)
MX (1) MXPA05011967A (ko)
RU (1) RU2005139721A (ko)
WO (1) WO200410515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4665B2 (en) 2006-08-11 2011-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inge device thereof
KR20200006201A (ko) * 2018-07-09 2020-01-20 이용욱 전기 에너지 저장소자용 실링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전기 에너지 저장소자의 단위셀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255B1 (ko) * 2009-11-30 2011-12-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1175008B1 (ko) * 2010-09-16 2012-08-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이차전지
CN113053677B (zh) * 2019-12-26 2023-12-01 佳能株式会社 电源单元和包括电源单元的放射线摄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41757C2 (de) * 1979-10-16 1982-06-16 Varta Batterie Ag, 3000 Hannover Verschlußanordnung für galvanische Elemen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H07201308A (ja) 1993-12-28 1995-08-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密閉型電池用封口板
JPH08162076A (ja) 1994-12-02 1996-06-21 Toshiba Battery Co Ltd 角形電池
US5741606A (en) * 1995-07-31 1998-04-21 Polystor Corporation Overcharge protection battery vent
US6524739B1 (en) 1998-08-25 2003-02-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condary battery
JP4444394B2 (ja) 1999-06-11 2010-03-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
JP5021111B2 (ja) 2000-03-31 2012-09-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2003007270A (ja) 2001-06-21 2003-01-10 Nok Corp 電池用ガスケット
JP4197411B2 (ja) 2002-01-18 2008-12-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角形密閉式電池
JP4436587B2 (ja) 2002-01-31 2010-03-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池及び組電池
JP4257838B2 (ja) 2003-06-09 2009-04-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密閉式電池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4665B2 (en) 2006-08-11 2011-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al-axis rotation folder-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inge device thereof
KR20200006201A (ko) * 2018-07-09 2020-01-20 이용욱 전기 에너지 저장소자용 실링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전기 에너지 저장소자의 단위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4795A (zh) 2006-06-07
JP4393791B2 (ja) 2010-01-06
EP1630887A1 (en) 2006-03-01
MXPA05011967A (es) 2006-02-02
US20060286451A1 (en) 2006-12-21
JP2004349017A (ja) 2004-12-09
RU2005139721A (ru) 2006-05-27
WO2004105159A1 (ja) 2004-12-02
BRPI0410773A (pt) 2006-06-27
EP1630887A4 (en) 2010-05-26
CN100347875C (zh) 2007-11-07
US7442467B2 (en) 2008-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63584A1 (zh) 顶盖组件及其制造方法、顶盖板的制造方法和电池单体
KR100976452B1 (ko) 이차 전지
JP3344231B2 (ja) 電池の接続構造
US8974953B2 (en) Rechargeable battery with a short circuit plate
KR100599754B1 (ko) 이차 전지와 이차 전지의 캡 조립체 및 캡 조립체의 단자조립 방법
JP3977964B2 (ja) 電池の接続構造
US6207320B1 (en) Cap assembly of secondary battery
JP4416443B2 (ja) 電池パックとその製造方法
CN110021728B (zh) 单向透气阀、二次电池的顶盖组件及二次电池
JP2021052015A (ja) 電池
CN110021727B (zh) 单向透气阀、二次电池的顶盖组件及二次电池
KR20060009267A (ko) 밀폐전지
KR100922351B1 (ko) 이차 전지
JP2000277079A (ja) 円筒型アルカリ蓄電池
KR20180040386A (ko) 이차전지
JPH11191404A (ja) 密閉型電池用防爆封口板
KR20040022715A (ko) 리튬이차전지
JP2017084742A (ja) 蓄電装置の製造方法
JP6533299B2 (ja) 電流遮断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蓄電装置
JPH11283600A (ja) 密閉電池
US20240128617A1 (en) Power storage cell
JPH05198291A (ja) アルカリ密閉電池
JP4701637B2 (ja) 扁平形電気化学素子
WO2024036736A1 (zh) 顶盖组件及电池结构
JP2017022113A (ja) 蓄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