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9057A - 폐 아스팔트 재생 운전시스템 - Google Patents

폐 아스팔트 재생 운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9057A
KR20060009057A KR1020040056233A KR20040056233A KR20060009057A KR 20060009057 A KR20060009057 A KR 20060009057A KR 1020040056233 A KR1020040056233 A KR 1020040056233A KR 20040056233 A KR20040056233 A KR 20040056233A KR 20060009057 A KR20060009057 A KR 20060009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dryer
drying
crushed
waste asph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6291B1 (ko
Inventor
김효성
Original Assignee
태성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개발(주) filed Critical 태성개발(주)
Priority to KR102004005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291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6Arrangements for applying super- or sub-atmospheric pressure during mixing; Arrangements for cooling or heating during mixing, e.g. by introducing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007Pretreatment of the ingredients, e.g. by heating, sorting, grading, drying, disintegrating; Preventing generation of 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C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TAR; PYROLIGNEOUS ACID
    • C10C3/00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 C10C3/007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winning and separation of asphalt from mixtures with aggregates, fillers and other products, e.g. winning from natural asphalt and regeneration of waste aspha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0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 F26B11/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 F26B11/0404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moving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slightly-inclined axis with internal subdivision of the drum, e.g. for subdividing or recycling the material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원은 소정크기로 파쇄된 폐 아스팔트 분쇄물을 저장하고 이를 이송수단에 의하여 건조기 내에 투입시켜 건조. 용융시켜 재생시키는 폐 아스팔트 재생장치의 운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폐 아스팔트 재생장치의 운전시스템은 각종 공사현장에서 수거된 폐 아스팔트를 일정 규격으로 파쇄시켜 재생을 위해 홉퍼 타입의 골재 저장빈에 저장되는 저장부, 홉퍼로부터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분쇄물을 건조로에 투입시키는 벨트컨베이어 투입부, 투입된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분쇄물을 버너가 장착된 건조로에 투입하여 가열, 건조시키는 연속5단 드라이어 시스템을 갖는 건조.용융부, 건조. 용융된 재생아스팔트의 특성을 분석하여 재생첨가제, 아스팔트 개질제, 신제아스팔트콘크리트와의 배합비가 정해지고 필요량을 투여하는 AP계량부, 이들이 혼합되는 믹싱부, 믹싱부 를 통하여 혼합되는 재생 소재를 차량상차에 공급하는 공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재생 운전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폐 아스팔트, 재생장치, 운전시스템, 연속5단드라이어, AP계량부

Description

폐 아스팔트 재생 운전시스템{Recycle system for waste asphalt concrete}
도 1은 본원의 폐 아스팔트 재생장치의 운전시스템 계통도.
도 2는 본원의 연속5단 드라이어 건조기.
도 3은 본원의 이송량 작동. 제어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골재 저장빈 2 : 벨트컨베이어 투입부
3 : 연속5단 드라이어 시스템을 갖는 건조.용융부
4 : 재생아스팔트의 저장부. 5 : AP 계량부
6 : 믹싱부 7 : 공급부
8 : 신제아스팔트 공급부 9 : 아스팔트 개질제 저류조
10 : 재생 첨가제 저류조 11 : 드라이어 투입구측
12 : 드리이어 배출구측 13 : 버너
14 : 배출상자 15 : 디미스터 필터
16 : 배기덕트 17 : 집진장치
18 : 모터제어댐퍼 19 : 배풍기
20 : 굴뚝 21 : 모터
본원은 폐 아스팔트 재생장치의 운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의 개. 보수공사 시, 각종 전기. 수도 배관공사 시 포장도로의 표면에서 벗겨낸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아스콘)를 처리하는 시설의 운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배출되는 폐 아스팔트 조각이 소량인 경우에는 이를 수집하여 별도의 장소에서 본원의 폐 아스팔트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일괄 처리하여 핫 사이로에 저장시켰다가 사용하거나, 폐 아스팔트 발생량이 많은 현장에서는 차량에 탑재된 본원의 폐 아스팔트 재생장치를 직접 이동시켜 현장에서 즉시 재생시켜 도로복구용 아스팔트로 연속 제공함으로서, 자원의 절약은 물론 차량소통의 불편을 최소화 하고 신속한 도로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폐 아스팔트 재생장치 운전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와 골재의 가열, 혼합물로 포장한 도로를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도로라 하며 이는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포장도로를 일 컷는다.
이러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도로는 차량통행 등으로 반복되는 무거운 하중을 받게 되면 포장도로의 균열 또는 요철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균열, 동파, 요철 등으로 변형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도로를 보수하기 위하여 인력이나, 기계 또는 장비를 이용하여 보수를 요하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도로를 파쇄하고, 제거한 다음 그 자리에 새로운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포설하여 포장을 부분적으로 보수하거나 수리하게 된다.
그리고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가스관,상하수도관, 전기나 전화선 등의 각종 보수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도, 해당구역의 포장도로 표면에서 아스팔트를 파쇄 제거한 후 재포장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그 동안에는 파쇄하여 제거된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는 재사용 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대부분 폐기 처분함으로써 자원의 낭비가 발생됨은 물론 제거된 아스팔트는 바다나 강 등의 매립지역에 버려짐으로 인해 토양, 수질 등 환경을 크게 오염시키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제거 대상이 되는 구역의 기존 아스팔트를 파쇄하여 제거를 모두 마친 후에는 새로 제조된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전체구역에 포장하게 되는데, 이는 복구공사의 지연으로 인해 민원의 발생은 물론 교통체증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원의 폐 아스팔트 재생시스템은, 각종 공사현장에서 수거된 폐 아스팔트가 일정 규격으로 파쇄되어 재생을 위해 홉퍼 타입의 골재 저장빈에 저장되고, 홉퍼로부터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분쇄물을 건조로에 투입시키는 벨트컨베이어 이송 부, 투입된 폐 아스팔트 콘크 리트 분쇄물을 버너가 장착된 건조로에 투입하여 가열, 건조되는 연속5단 드라이어시스 템을 통하여 건조 및 용융이 이루어지고, 건조 용융된 재생아스팔트의 특성을 분석하여 재생첨가제, 아스팔트 개질제, 또는 신제 아스팔트콘크리트 등을 투여하는 AP계량조에 배합비가 정해지고 이들이 투입되어 혼합되는 믹싱부, 믹싱부 를 통하여 혼합되는 재생소재를 차량상차에 공급하는 공급부로 구성되는 아스팔트 재생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현재 폐 아스팔트콘크리트를 재활용하는 기술로서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기술은 고온 혼합(Hot Mix) 방식이며,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재포장 현장에서 직접 가열하여 폐 아스팔트콘크리트를 회수한 후에 폐 아스팔트콘크리트와 신제 아스팔트콘크리트, 그리고 재생첨가제(rejuvenator)를 적정 배합하여 현장에서 바로 재 포장하는 가열현장재활용(Hot-In-Place Recycling) 공법과 폐 아스팔트콘크리트를 아스팔트콘크리트 재생플랜트로 회수하여 재 분쇄 및 분리과정을 거친 후에 가열. 용융시켜 재생 첨가제 및 신제 아스팔트콘크리트와 재생 첨가제와 함께 플랜트 믹서기 내에서 적정 혼합하여 재포장용 아스팔트콘크리트를 제공하는 가열 플랜트재활용(Hot-In-Plant Recyclimg)공법 등이 알려지고 있다.
본원은 폐 콘크리트의 발생량 및 현장여건, 상황에 따라서 가열현장 재활용(Hot-In-Place Recycling)공법과 가열 플랜트재활용(Hot-In-Plant Recyclimg) 공법 중에서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사용할 수 있는 폐 아스팔트콘크리트의 재생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은 상기한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각종 개.보수 공사 시 배출되는 폐 아스팔트 회수량이 소량인 경우에는 이를 수집하여 별도의 장소에서 본원의 폐 아스팔트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일괄 처리하여 핫 사이로에 저장시켰다가 필요 현장에 이동시켜 사용하거나, 폐 아스팔트 발생량이 많은 현장에서는 차량에 탑재된 본원의 폐 아스팔트 재생장치를 직접 이동시켜 현장에서 즉시 재생시켜 도로복구용 아스팔트로 연속 제공함으로서, 자원의 절약은 물 론 차량소통의 불편을 최소화 하고 신속한 도로복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폐 아스팔트 폐기물로 인한 환경공해를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폐 아스팔트 재생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원의 폐 아스팔트 재생시스템은 재생을 위한 폐 아스팔트 파쇄물의 이송량이나 아스팔트 재생첨가제 및 아스팔트 개질제, 신제 콘크리트의 첨가량 등을 제어하고자 하며 초기 반입된 폐 아스콘을 시료 분류하여 골재의 사이즈별 골재 및 아스팔트의 함량 등 재생아스팔트의 특성을 분석하여 재생첨가제, 아스팔트 개질제 등의 첨가량을 계산하여 투여하는 AP계량조가 제공되고, 재생된 프로덕트의 물성 에따라 신제 아스팔트콘크리트와의 배합비가 정해지고 이들이 투입되어 혼합 믹싱 되도록 투입량을 조절하는 폐 아스팔트 재생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원의 파쇄물의 필요량이 상기 건조로의 내부로 이송되기 위하여서는 콘베어벨트 이송장치가 이용되는데 이 이송장치는 모터 등의 회전력을 구동 원으로 하여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한 건조기 내에서 파쇄물이 완전 건조. 용융되어 드라이어 내부온도가 약 650℃ 전. 후에서 배출되도록 운전되는데 건조기의 제5단 배출부 초입에 설치되는 센서를 매개로 하여 측정온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에 입력하게 되고 제어부에서는 입력되는 전기신호의 변화량에 따라서 상기한 벨트 휘다 콘베이어 상의 내용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의 구동속도를 제어하여 연속5단 드라이어 시스템의 제5단 배출부의 드라이어 내부 온도가 650℃ 이상에서는 이송장치가 연속하여 고속으로 운전이 이루어지고 650℃ 내지 600℃ 사이에서는 이송장치가 저속으로 운전되게 함으로서 결과적으로 투입량이 드 라이어내부온도가 650℃ 이상에서 완전 건조. 용융되어 콘크리트 물성을 회복시켜 배출시키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폐 아스팔트콘크리트 재활용을 위해서는 재생 아스팔트가 공업규격에서 요구하는 물성을 맞춰 줘야 하므로 상기 시료 채취 시 측정 분석된 자료에 의거 아스팔트 등의 재생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되고 있는 아스팔트 개질제를 필요량 사용하여 각종 건설공사에서 요구하는 규격을 충족시켜 배출시키거나 또는 일부의 신제 아스팔트를 혼합. 믹싱 시켜 배출시키는 폐 아스팔트콘크리트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원의 폐 아스팔트 재생시스템은, 각종 공사현장에서 수거된 폐 아스팔트가 일정 규격으로 파쇄되어 재생을 위해 홉퍼 타입의 골재 저장빈에 저장되고, 홉퍼로부터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분쇄 물을 건조로 에 투입시키는 벨트 컨베이어 투입부, 투입된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분쇄물(이하 '분쇄물'이라 약칭함)을 버너가 장착된 건조로 에 투입하여 가열, 건조시키는 연속5단 드라이어 시스템을 이용하고, 건조. 용융된 재생아스팔트의 특성을 분석하여 재생첨가제, 아스팔트 개질제 등을 투여하는 AP계량조, 재생 아스팔트의 특성을 분석하여 신제아스팔트콘크리트와의 배합비가 정해지고 이들이 투입되어 혼합되는 믹싱부, 믹싱부 를 통하여 혼합 된 재생소재를 차량상차에 공급하는 공급부로 구성되는 아스팔트 재생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한 이송량은 건조의 제5단부 배출구 초입면에 열 전대 온도 측정기 센서로 내부온도를 측정한 결과와 연계되어 투입량을 조절하도록 하고자 한다.
즉 본원의 파쇄물이 상기 건조로의 내부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콘베어 벨트 이송장치가 마련된다.
이 이송장치는 모터 등의 회전력을 구동원 으로 하여 회전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건조기는 파쇄물이 완전 건조. 용융 되어 드라이어 내부 온도가 약 650℃에서 배출되는데 배출부를 갖는 제5단의 배출부에 설치되는 센서를 매개로 하여 측정온도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에 입력된다.
제어부에서는 입력되는 전기신호의 변화량에 따라서 상기한 벨트 휘다 콘베이어 상의 내용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의 구동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이하, 본원의 폐 아스팔트 재생시스템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1은 소정크기로 파쇄된 폐 아스팔트 조각을 저장하고 이를 이송수단에 의하여 건조기 내에 투입시켜 건조. 용융시켜 재생시키는 폐 아스팔트 재생장치의 운전시스템을 나타낸 개략도로서, 각종 공사현장에서 수거된 폐 아스팔트가 일정 규격으로 파쇄되어 재생을 위해 홉퍼 타입의 골재 저장빈에 저장되는 저장부(1), 홉퍼로부터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분쇄물을 건조로에 투입시키는 벨트컨베이어 투입부(2), 투입된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분쇄물을 버너가 장착된 건조로에 투입하여 가열, 건조시키는 연속5단 드라이어 시스템을 갖는 건조.용융부(3), 건조. 용융된 재생아스팔트의 저장부(4), 재생 아스팔트의 특성을 분석하여 재생첨가제, 아스 팔트 개질제, 신제아스팔트콘크리트와의 배합비가 정해지고 필요량을 투여하는 AP계량부(5),이들이 혼합되는 믹싱부(6), 믹싱부 를 통하여 혼합되는 재생소재를 차량상차에 공급하는 공급부(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재생 운전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 밖에 신제아스팔트 공급부(8), 재생 아스팔트 개질제 저류조(9), 재생 첨가제 저류조(10) 등이 설치되어 재생 아스팔트의 특성을 분석하여 재생첨가제, 아스팔트개질제, 신제아스팔트콘크리트와의 배합비가 정해지고 이들 필요량을 투여하게 되며 상기 아스팔트 저장부(4)는 생략되어 그 기능을 AP계량부(5)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재생 아스팔트의 건조가열에 작용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배풍기(19)에서 집진장치(17)에 유통시켜 정화시켜, 굴뚝(20)으로 부터 대기로 방출한다.
연속5단 드라이어 시스템을 갖는 건조.용융부(3)에서 재생골재를 건조 가열한 미스트분을 포함하는 배기가스는 핫 호퍼형의 배출상자(14)를 통하여 배기덕트(16)을 통하여 배출되는데 배출상자(14)내에는 디미스터 필터(15)가 설치되어 미스트분이 제거되고 나서, 배기 덕트(16)를 통과하여 집진장치(17)에 흡인되어 분진이 제거되는 구조로 모터제어댐퍼(18), 배풍기(19), 굴뚝(20) 등이 부설되어 집진기능 및 장치의 구성을 이루고 이로 인하여 배기가스 중의 미스트나 분진이 보다 완전하게 제거 되도록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도2는 본원의 아스팔트 재생시스템의 핵심 설비인 연속5단 드라이어시스템 건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회전드라이어(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기대(24)에 회전가능하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드라이어(3)는 기대(24)에 장착된 모터(21)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회전드라이어(3)의 외주에는 링기어(31)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링기어(31)의 일측(도면상 하측)에는 모터(21)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는 구동기어(22)가 치합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회전드라이어(3)의 외주 양측에 장착된 지지링(32)들은 기대(24)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지지롤러(2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드라이어(3)는 모터(21)의 구동에 의하여 기대(24)에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드드라이어(3)는 분쇄물(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분쇄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측(11)이 배출구측(12)보다 조금 높은 상태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는데, 그 경사각도는 대략 2~5°의 각도를 이루고 상향으로 경사를 이루는데 이와 같이 회전드드라이어(3) 자체를 2~5°의 경사각도 범위로 한정하는 이유는 분쇄물이 투입구측(11)으로 투입되어 배출구측(12)으로 이송 배출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310~490초 정도 걸리도록 하여 분쇄물의 가열건조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회전드라이어의 경사각도가 2°미만으로 수평에 가까운 상태가 되면 투입구측(11)으로 투입된 분쇄물이 배출구측(12)으로 이송되지 않거나 또는 이송속도가 너무 느려 이송 소요시간이 490초를 초과하게 되어 분쇄물이 과열되는 현상이 발생될 우려가 있는 반면에, 회전드라이어(3)의 경사각도가 6°이상을 이루는 경우에는 분쇄물의 이송속도가 너무 빨라져 분쇄물이 충분히 가열 건조되지 않은 상태 로 배출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회전드라이어(3)의 투입구측(11)으로 투입된 분쇄물이 버너의 화염 열기에 충분히 노출되어 분쇄물이 회전드라이어의 내부에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아스팔트 콘크리트에서 요구되는 접착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드라이어(3)를 투입구측(11)이 대략 2~5 °상향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드라이어(3)의 투입구측(11) 및 배출구측(12) 각각에는 회전드럼이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투입구(25) 및 배출구(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투입구(25)의 상부에는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연돌(2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26)에는 버너(2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투입구(25)에는 분쇄물이 투입 될 때에는 분쇄물의 하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되고 분쇄물이 투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자중에 의해 폐쇄 작동되어 배기가스가 투입구로 누설되지 않고 연도(27)을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개폐판(4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배출구(26)에 장착된 버너(28)의 화염 분사부는 배출구측에 인접한 곳까지 삽입 설치되어 화염을 배출구측(12)의 중심부분에서 투입구측(11)을 향해 분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회전드라이어(3)는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재생시킬 수 있는 1일 생산량을 400~500ton으로 기준하여 계산할 때 대략 8~10m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며, 생산량의 증감에 따라 회전드라이어(3)의 전체 길이는 증감될 수 있다.
상기 회전드라이어(3)의 내부는 가열온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는 연속된 5단계 건조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상기의 연속5단 건조로의 특성을 설명하여 보면, 회전 드럼 형 원통형 드라이어(3)는 분쇄물이 투입되는 투입구측(11)보다 배출구측(12)이 조금 낮은 상태로 경사진 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투입구측(11)으로 투입되는 분쇄물이 배출구측(12)에 설치된 버너(28)에서 분사되는 화염에 직접 접촉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 배출구측(12)을 향해 이송되면서 점차적으로 높은 온도로 가열 건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투입구측(11)에서부터 배출구측(12) 사이를 가열온도가 점차로 높아지는 연속된 5단계 건조영역으로 구분하여 형성하되, 상기 투입구측의 제1단계 건조영역은 150±50℃ 제2단계 건조영역은 250±50℃ 제3단계 건조영역은 350±50℃ 제4단계 건조영역은 450±50℃ 그리고 배출구측의 제5단계 건조영역은 650±50℃의 온도조건을 가지는 회전드럼으로 구성된다.
건조기 회전드럼 드라이어를 가열하기 위하여 버너가 설치되는데 드라이어의 버너는 경유나 등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드라이어의 내부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온도가 자동 조절되는 버너로서 내부의 골재가 적정온도에 이르면 자동으로 그 온도를 유지시켜 연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제3도는 본원의 이송량 작동.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플로우 차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어부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원의 연속5단 드라이어시스템 건조기는 최종적으로 드라이어 내부온도가 650℃에서 아스팔트의 물성을 회복시켜 원하는 물성으로 배출시키고자 하는바, 본 원의 제어시스템은 예를 들어 목표설정온도를 650℃로 입력하고 각 시스템이 정상 가동되는지 여부를 확인을 하고 이송장치가 저속으로 작동되어 건조 및 용융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건조로의 제5단 배출부의 배출온도가 650℃ 이상에 이르면 이송장치가 고속으로 작동되어 운전되고, 제5단 배출부의 드라이어 내부온도가 650℃ 내지 600℃ 에서는  이송장치가 저속으로 작동되어 이송량을 소량으로 받아 배출온도를 높여 배출되도록 조정 운전되고, 드라이어 내부온도온도가 600℃ 미만이 되면 이송장치가 멈추게 되고 각 시스템을 점검하여 보정한 후 이송수단을 새롭게 운전시키는 이송량 제어시스템을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원의 폐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시스템은 벨트휘더 타입의 골재 저장조에 분쇄된 골재를 일정량 저장하고 저장시설 하부에 벨트휘더를 설치하여 드라이어 내부로 벨트 콘베이어를 이용하여 원하는 양의 골재량을 이송시켜 주고자하며 그 이송량은 드라이어의 최종 배출온도와 연계되어 일정조건하(650℃ 이상)에서의 배출물을 얻도록 조정되어 진다.
드라이어는 골재를 건조하고 용융시키는 장치로 회전드럼 내부에 일정각도를 갖는 바켓이 설치되어 골재가 골고루 건조될 수 있으며 건조효율을 놀이기 위하여 특정각도로 절곡 되어 특정부위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결국 드라이어 내부에서 폐 아스콘이 용융되는 것이므로 열이 가해질 때 적정온도에서 용융을 위한 시간과 공간 이 필요하므로 드라이어 내부 구조가 5단계로 나뉘어 각 단계별로 내부의 배출 버켓 절곡 각도와 크기를 다르게 하여 제1단에서부터 제5단으로 이송되면서 각 단계별 내부온도가 다르게 되어 운전되면서 열손실을 최소화하는 폐아스팔트 콘크리 트 재생방법(본원자 동일자로 출원되는 기술내용 참조)에서 그 기술구성이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본원의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 시스템의 콘트롤 판넬은 폐 아스팔트 재생시설 전체를 콘트롤하는 시스템으로 드라이어 내부의 온도 및 저장조, 계량조, 아스 팔트 방출 등의 주어진 데이터를 자동으로 측정 분석하여 목표치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방출하는 시스템으로 하여 제 품의 균일성과 공산품 규격에서 요구하는 완제품을 생산 공급할 수 있도록 콘트 롤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원의 폐 아스팔트 재생 운전 시스템은 건조. 용융된 재생아스팔트의 특성을 분석하여 재생첨가제, 아스팔트 개질제, 신제아스팔트콘크리트와의 배합비가 정해지고 필요량을 투여, 혼합, 믹싱 하므로 , 믹싱부 를 통하여 혼합되는 재생소재를 차량 상차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폐 아스팔트 재생시설 전체를 콘트롤 하는 시스템으로 드라이어 내부의 온도 및 저장조, 계량조, 아스 팔트 방출 등의 주어진 데이터를 자동으로 측정 분석하여 목표치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방출하는 시스템으로 하여 제 품의 균일성과 공산품 규격에서 요구하는 완제품을 생산 공급할 수 있도록 콘트롤 하는 운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소정크기로 파쇄된 폐 아스팔트분쇄물을 저장하고 이를 이송수단에 의하여 건조기 내에 투입시켜 건조. 용융시켜 재생시키는 폐 아스팔트 재생장치의 운전시스템에 있어서,
    각종 공사현장에서 수거된 폐 아스팔트가 일정 규격으로 파쇄되어 재생을 위해 홉퍼 타입의 골재 저장빈에 저장되는 저장부, 홉퍼로부터 벨트컨베이어를 따라 분쇄물을 건조로에 투입시키는 벨트컨베이어 투입부, 투입된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분쇄물을 버너가 장착된 건조로에 투입하여 가열, 건조시키는 연속5단 드라이어 시스템을 갖는 건조.용융부, 건조. 용융된 재생아스팔트의 특성을 분석하여 재생첨가제, 아스팔트 개질제, 신제아스팔트콘크리트와의 배합비가 정해지고 필요량을 투여하는 AP계량부, 이들이 혼합되는 믹싱부, 믹싱부 를 통하여 혼합되는 재생 소재를 차량상차에 공급하는 공급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재생 운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골재 저장빈 에서의 파쇄물이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건조기로 이송 시 파쇄 물 이송량이 드라이어 내부온도가 최종650℃ 이상에서 고속으로, 600-650℃ 에서는 저속으로 배출되도록 이송. 투입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재생 운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연속5단 드라이어시스템의 건조기는 투입구측의 제1단계 건조영역은 150±50℃ 제2단계 건조영역은 250±50℃ 제3단계 건조영역은 350±50℃ 제4단계 건조영역은 450±50℃ 그리고 배출구측의 제5단계 건조영역은 650±50℃ 에 이르도록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재생 운전시스템.
KR1020040056233A 2004-07-20 2004-07-20 폐 아스팔트 재생처리시설 운전방법 KR100606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233A KR100606291B1 (ko) 2004-07-20 2004-07-20 폐 아스팔트 재생처리시설 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233A KR100606291B1 (ko) 2004-07-20 2004-07-20 폐 아스팔트 재생처리시설 운전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596U Division KR200364479Y1 (ko) 2004-07-20 2004-07-20 폐 아스팔트 재생 운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057A true KR20060009057A (ko) 2006-01-27
KR100606291B1 KR100606291B1 (ko) 2006-08-02

Family

ID=3711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233A KR100606291B1 (ko) 2004-07-20 2004-07-20 폐 아스팔트 재생처리시설 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2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671B1 (ko) * 2006-03-02 2007-07-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폐 아스콘을 이용한 재생 아스콘의 제조방법
KR101102445B1 (ko) * 2011-06-15 2012-01-05 유한회사 숲으로 폐 아스콘 믹싱 플랜트 및 폐 아스콘 혼합/배출 방법
KR101136204B1 (ko) * 2011-08-18 2012-04-17 허정도 연속식 아스콘 생산장치 및 그 방법
WO2013025018A2 (ko) * 2011-08-18 2013-02-21 Huh Jung Do 이동식 연속 아스콘 생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628B1 (ko) 2013-02-19 2015-02-26 허정도 새로운 고점탄성 개질제 및 중온 개질제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그리고 중온 개질 신규 및 재생 아스팔트콘크리트 혼합물의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547B1 (ko) * 1994-02-25 1998-08-17 이헌조 드럼 세탁기의 건조장치 및 방법
KR100309798B1 (ko) * 1998-12-28 2001-12-17 엄동섭 아스팔트재생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671B1 (ko) * 2006-03-02 2007-07-1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폐 아스콘을 이용한 재생 아스콘의 제조방법
KR101102445B1 (ko) * 2011-06-15 2012-01-05 유한회사 숲으로 폐 아스콘 믹싱 플랜트 및 폐 아스콘 혼합/배출 방법
KR101136204B1 (ko) * 2011-08-18 2012-04-17 허정도 연속식 아스콘 생산장치 및 그 방법
WO2013025019A2 (ko) * 2011-08-18 2013-02-21 Huh Jung Do 중앙식 연속 아스콘 생산장치 및 그 방법
WO2013025018A2 (ko) * 2011-08-18 2013-02-21 Huh Jung Do 이동식 연속 아스콘 생산장치
WO2013025018A3 (ko) * 2011-08-18 2013-06-13 Huh Jung Do 이동식 연속 아스콘 생산장치
WO2013025019A3 (ko) * 2011-08-18 2013-06-13 Huh Jung Do 중앙식 연속 아스콘 생산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6291B1 (ko)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0287A (en) Asphalt recycling
KR101587111B1 (ko) 현장의 아스팔트 표층을 재활용하는 아스팔트 포장 장치 및 그 방법
CN102337717B (zh) 沥青混合料就地热再生车
KR101217055B1 (ko) 내통회전드럼과 외통회전드럼의 2중 드럼 구조를 갖는 폐아스콘 재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아스콘 재생방법
KR101422577B1 (ko)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용 믹서,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방법 및 직간접 가열 방식을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 시공방법
CN104131506B (zh) 一种热再生设备
KR101214383B1 (ko) 신재 아스콘과 재생 아스콘을 혼합하여 만들어지는 순환 아스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RU2572881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асфальтов полутеплого смешения
KR100606291B1 (ko) 폐 아스팔트 재생처리시설 운전방법
JP2001090018A (ja) アスファルト廃材の移動式再生装置
KR200364479Y1 (ko) 폐 아스팔트 재생 운전시스템
CN211815442U (zh) 沥青路面养护系统及路面养护车
US3674242A (en) Preparation of asphalt paving material
KR100309798B1 (ko) 아스팔트재생장치
CA2224531C (en) Conversion of stripped roof material into useful products
JP2004011406A (ja) 再生アスファルト移動プラント工法
KR100892434B1 (ko) 주.종 회전드럼을 이용한 폐아스팔트콘크리트의 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412067B1 (ko)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장치
KR100411691B1 (ko) 폐아스콘을 이용한 재생 혼합물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364925Y1 (ko)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장치
KR100624345B1 (ko) 폐 아스팔트 콘크리트 재생방법과 그 장치
KR101120952B1 (ko) 재생 가열 아스팔트혼합물 생산을 위한 2단 평행류형 드럼 믹서
KR101003007B1 (ko) 2중 원통형 회전드럼을 갖는 폐아스팔트콘크리트 재생 및 순환아스팔트콘크리트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101096778B1 (ko) 재생 아스콘 제조장치
KR100414243B1 (ko) 고압 에어노즐 분사 및 나선형 연소공기흐름을 이용한 폐아스팔트의 대량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