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854A -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그것을 이용하는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그것을 이용하는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854A
KR20060008854A KR1020057010751A KR20057010751A KR20060008854A KR 20060008854 A KR20060008854 A KR 20060008854A KR 1020057010751 A KR1020057010751 A KR 1020057010751A KR 20057010751 A KR20057010751 A KR 20057010751A KR 20060008854 A KR20060008854 A KR 20060008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ortion
flexible wiring
wiring member
circuit board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2802B1 (ko
Inventor
슈지 카시와기
타카히코 나가쿠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코 프린트 써키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코 프린트 써키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코 프린트 써키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8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2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2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1Rol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5Folded back on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부(11,12) 사이를 플렉시블 배선부재(101)로 연결한 제 1기판부재(1a)와, 접속부(13,14) 사이를 플렉시블 배선부재(102)로 연결한 제 2기판부재(1b)를 일체로 연결하여, 접은 선 VL을 따라서 2개로 접어 포갠 형상을 가지고, 회전 경첩의 축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아 사용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으로서, 감을 때에 외부쪽으로 되는 플렉시블 배선부재(102)를, 내부쪽으로 되는 플렉시블 배선부재(101)보다 길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그것을 이용하는 접속구조{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ION STRUCTURE USING THE CIRCUIT BOARD}
본 발명은, 2개의 회로부재 사이를 접속하기 위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그것을 이용하는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종래의 접는 식의 휴대전화를 대신해서, 예를 들면, 도 6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버튼(Push button)식의 HP1a 등을 배치한 제 1본체 HP1과, 표시화면 HP2a 등을 배치한 제 2본체 HP2를, 양본체의 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축선 XL을 향한 1축의 회전 경첩으로 연결하고, 양본체 HP1, HP2를, 상기 축선 XL을 중심으로 해서 상대 회전시켜 개폐하도록 한 구조를 가지는 휴대전화 HP가 보급되고 있다.
이 구조의 휴대전화 HP에 있어서, 양본체 HP1, HP2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현재는, 한 쌍의 커넥터 사이에, 직경이 0.2㎜정도의 매우 미세한 동축 케이블을 수 십개, 평행으로 배치한 구조를 가지는 접속부품을 사용하고 있다. 이 접속부품은, 인접하는 동축 케이블 사이를 서로 고정하지 않음으로서, 한 쌍의 커넥터의, 양본체의 상대 회전에 수반하는 꼬임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접속부품은, 각 동축 케이블의 중심의 도선을, 각각의 커넥 터의, 대응하는 개개의 단자에 결선하는 동시에, 외부쪽의 쉴드선을, 커넥터의 쉴드단자에 결선하는 작업에 대단한 시간이 소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개개의 동축 케이블의 중심선을, 인접하는 중심선끼리나, 쉴드선 등과 접촉하지 않도록, 간격을 유지하면서, 커넥터의 각 단자에 확실히 결선할 필요가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결선하는 작업을 가능한 한 실시하기 쉽게 하는 것이나, 인접하는 선 사이에서 충분한 전기절연성을 확보하는 것을 고려해서, 단자 사이에, 어느 정도의 스페이스를 형성할 필요가 있으며, 커넥터의 사이즈를 소형화할 수 있는 범위에 한계가 있다. 그리고, 그 이상의 소형화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양단부에 접속한 2개의 회로부재를 반복하여, 상대 회전시키면, 동축 케이블의 중심선이나 쉴드선과, 커넥터의 각 단자와의 결선부분에 응력이 더해져 단선하기 쉬워서, 접속의 내구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이들의 문제는, 휴대전화의 다기능화에 수반하여, 양본체 사이에서 접속해야 할 배선수가 증가할수록 현저화된다.
그래서, 발명자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2002-30024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접는 식의 휴대전화에 있어서, 제 1본체와 제 2본체와의 사이의 경첩부분에서의 전기적인 접속에 사용되고 있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상기 구조의 휴대전화에도 이용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즉,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그 한 쪽 면에, 한 쪽의 본체 내의 회로부재 위의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제 1단자부(93)를 구비하는 제 1접속부(94)와,
같은 쪽의 면에, 다른 쪽의 본체 내의 회로부재 위의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제 2단자부(95)를 구비하는 제 2접속부(96)와,
같은 쪽의 면에, 제 1단자부(93)와 제 2단자부(95)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도체배선(91)을 구비하고, 제 1접속부(94)와 제 2접속부(96)를 연결하는 플렉시블(flexible) 배선부재(92)를, 제 1접속부(94)가, 플렉시블 배선부재(92)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해당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설되고, 또한 제 2접속부(96)가, 플렉시블 배선부재(92)의 길이방향의 타단부로부터, 제 1접속부(94)와 반대방향으로 돌설된 형상으로, 한 장의 베이스필름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9)을 사용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9)은, 도 8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배선부재(92)를 소용돌이 형상으로 세트하는 동시에, 양접속부(94,96)를 각각 외부쪽으로 절곡해서, 도시하지 않은 양본체 내의 회로부재에 접속한 상태로 하면, 예를 들면, 도면 중에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쪽의 접속부(94)와 그것에 접속한 회로부재, 나아가서는 상부쪽의 본체를, 하부쪽의 접속부(96)와 그것에 접속한 회로부재, 그리고 하부쪽의 본체에 대해서, 축선 XL을 중심으로 해서, 플렉시블 배선부재(92)의 소용돌이를 죄는 방향, 및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런데 , 상기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서는, 배선수가 충분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동일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두 장, 포개는 것을 검토했지만, 휴대전화의 회전 경첩 부분이라고 하는 제한된 스페이스 내에, 제각기 다른 두 장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깨끗이 소용돌이 형상으로 세트해서 수용하는 것은 곤란하며, 조립에 시간이 소요되어서, 휴대전화의 생산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단부에 접속한 2개의 회로부재를 반복하여, 상대 회전시켰을 때의 내구성이 뛰어나고, 또한 조립에 시간이 소요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한된 스페이스 내에서의 배선수를 지금까지보다도 증가시킬 수 있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회로부재 사이를 접속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으로서,
한 쪽의 회로부재 위의 회로와 접속되는 제 1단자부를 구비하는 제 1접속부와,
다른 쪽의 회로부재 위의 회로와 접속되는 제 2단자부를 구비하는 제 2접속부와,
제 1단자부와 제 2단자부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제 1도체배선을 구비하고, 제 1접속부와 제 2접속부를 연결하는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를, 제 1접속부가,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해당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설되고, 또한 제 2접속부가,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의 길이방향의 타단부로부터, 제 1접속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설된 형상으로, 한 장의 베이스필름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된 제 1기판부재와,
한 쪽의 회로부재 위의 회로와 접속되는 제 3단자부를 구비하는 제 3접속부와,
다른 쪽의 회로부재 위의 회로와 접속되는 제 4단자부를 구비하는 제 4접속부와,
제 3단자부와 제 4단자부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제 2도체배선을 구비하고, 제 3접속부와 제 4접속부를 연결하는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를, 제 3접속부가,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해당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설되고, 또한 제 4접속부가,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의 길이방향의 타단부로부터, 제 3접속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설된 형상으로, 한 장의 베이스필름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된 제 2기판부재를,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의, 제 1접속부를 형성한 쪽의 길이방향의 단부 가장자리 부분과,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의, 제 3접속부를 형성한 쪽의 길이방향의 단부 가장자리 부분에서 서로 접합해서,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와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 제 1접속부와 제 3접속부, 제 2접속부와 제 4접속부가, 각각 서로 중첩하도록, 이 접합부에 형성한 접은 선을 따라서 2개로 접은 형상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접은 선에서 제 2접속부까지의,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의 길이방향의 길이 L1과, 접은 선에서 제 4접속부까지의,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의 길이방향의 길이 L2를,
L1<L2 (1)
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이 도체배선을 가지는 플렉시블 배선부재를 포함하는, 제 1기판부재와 제 2기판부재를 두 장, 포개고 있기 때문에, 제한된 스페이스 내에서의 배선수를, 지금까지보다도 증가시킬 수 있다.
또, 제 1의 플렉시블 배선부재와 제 2의 플렉시블 배선부재를, 접합부 이외에서는 서로 고정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한 쪽을 다른 쪽보다 길쭉하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양 플렉시블 배선부재는, 긴 쪽의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를 외부쪽으로 해서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았을 때의 자유도가 높아, 플렉시블성이 뛰어나다. 그 때문에, 양단부에 접속한 2개의 회로부재를 반복하여, 상대 회전시켰을 때의, 플렉시블 배선부재의 내구성을 높여서, 도체배선이 조기에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플렉시블 배선부재는, 상기와 같이, 접합부에서 연결되어서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경첩의 부분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아서 수용하는 작업을, 지금까지보다도 실시하기 쉽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 1기판부재와 제 2기판부재를, 한 장의 베이스필름에 의해 일체로 형성해서, 제 1기판부재와 제 2기판부재의 접합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한 접은 선을 따라서 2개로 접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 1기판부재와 제 2기판부재를 접합하는 시간을 줄여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제 1 및 제 2도체배선과, 제 1 내지 제 4의 각 단자부를, 모두, 제 1기판부재와 제 2기판부재의, 양자를 중첩했을 때에 각각 외부쪽으로 되는 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회전 경첩의 부분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은 상태에서 수용할 때나, 이 상태에서, 양단부에 접속한 2개의 회로부재를 반복하여, 상대 회전시킬 때에, 양플렉시블 배선부재를, 서로 걸림 없이, 보다 원활하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회전 경첩의 부분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아서 수용하는 작업을, 더 한층 간단히 실시할 수 있는 동시에, 도체배선의 단선을, 보다 더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중첩한 제 1접속부와 제 3접속부를 회전 경첩의 축에 고정한 상태에서,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와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를,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를 외부쪽으로 해서, 해당 축의 주위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중첩한 제 1접속부와 제 3접속부를, 회전 경첩의 축에 고정하면서,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와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를 축의 주위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을 수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회전 경첩의 부분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아서 수용하는 작업을, 더 한층,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감은 후의 굴곡궤도를 안정시킬 수 있어서, 도체배선의 단선을, 더욱 더, 확실히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회전 경첩으로 연결된 2개의 부재에 형성되는 2개의 회로부재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구조로서, 상기 본 발명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제 1접속부와 제 3접속부를, 회전 경첩의 축에 고정한 상태에서,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와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를,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를 외부쪽으로 해서, 해당 축의 주위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는 동시에, 제 1접속부와 제 3접속부를 한 쪽의 회로부재와 접속하고, 또한 제 2접속부와 제 4접속부를 다른 쪽의 회로부재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경첩으로 연결된 2개의 부재에 형성되는 2개의 회로부재 사이를, 본 발명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이용해서, 그 조립에 시간을 소요하는 일없이, 또, 양단부에 접속한 2개의 회로부재를 반복하여, 상대 회전시켰을 때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한정된 스페이스 내에서의 배선수를 지금까지보다도 증가시킨 상태에서, 접속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회전축의 경첩에, 회전축의 축방향과 평행으로 슬릿을 형성하고, 이 슬릿에, 제 1접속부와 제 3접속부를 중첩한 상태에서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회전 경첩의 부분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아서 수용하는 작업을, 더 한층,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실시의 형태의 일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2는 상기 예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접은 선의 부분에서 전개한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중첩한 제 1접속부와 제 3접속부를 회전 경첩의 축에 형성한 슬릿에 찔러넣어 고정하는 도중의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제 1접속부와 제 3접속부를 회전 경첩의 축에 고정해서, 제 1 및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를, 해당 축의 주위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은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상태로 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이용해서 구성한, 본 발명의 접속구조의 일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이 사용되는, 휴대전화의 일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일예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소용돌이 형상으로 세트한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제 1기판부재 1b: 제 2기판부재
1,9: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11,94: 제1 접속부
12,96: 제2 접속부 13: 제 3접속부
14: 제 4접속부 15a~15d: 단자부
16a,16b,91: 도체배선 21,22: 회로부재
21a,21b,22a,22b: 커넥터 92: 플렉시블 배선부재
93: 제1 단자부 95: 제2 단자부
101: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 102: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의, 실시의 형태의 일예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또, 도 2는, 상기 예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을, 접은 선 VL의 부분에서 전개한 상태를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을 참조해서, 이 예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은, 그 전체를, 한 장의 베이스필름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a) 제 1접속부(11) 및 제 2접속부(12)와, 이 양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101)를, 제 1접속부(11)가,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101)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해당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설되고, 또한 제 2접속부(12)가,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101)의 길이방향의 타단부로부터, 제 1접속부(11)와 반대방향으로 돌설된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한 제 1기판부재(1a)와,
(b) 제 3접속부(13) 및 제 4접속부(14)와, 이 양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102)를, 제 3접속부(13)가,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102)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해당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제 1접속부(11)와 동일방향으로 돌설되고, 또한 제 4접속부(14)가,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102)의 길이방향의 타단부로부터, 제 3접속부(13)와 반대방향으로, 또한 제 2접속부(12)와 동일방향으로 돌설된 형상으로 형성한 제 2기판부재(1b)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 1기판부재(1a)와 제 2기판부재(1b)와는,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101)의, 제 1접속부(11)를 형성한 쪽의 길이방향의 단부 가장자리 부분과,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102)의, 제 3접속부(13)를 형성한 쪽의 길이방향의 단부 가장자리 부분에서 서로 접합해서,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101)와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102), 제 1접속부(11)와 제 3접속부(13), 제 2접속부(12)와 제 4접속부(14)가, 각각 서로 중첩하도록, 이 접합부에 형성한 접은 선 VL을 따라서 2개로 접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제 1~제 4접속부(11~14)의, 도 2에서 앞쪽의 면에는, 각각, 회로부재 위의 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부(15a~15d)를 형성하는 동시에, 제 1,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101,102)의 같은 쪽의 면에는, 단자부(15a-15b) 사이, 및 단자부(15c-15d) 사이를 연결하는 도체배선(16a,16b)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시하지 않은 이면쪽은 아무것도 형성되지 않아, 베이스필름의 매끄러운 면이 그대로 남아 있다.
즉,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은, 그 전체를 한 쪽 면 판의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101,102)의 플렉시블성을 한층 더 높여서,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한 쪽 면 판의 구성으로 함으로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 제 1접속부(11)와 제 3접속부(13)와의 사이는, 상기 접은 선 VL을 따르는 슬릿 SL을 형성해서 분리되어 있으며, 양접속부(11,13)를 임의의 방향으로 절곡해서, 단자부(15a,15c)를, 회로부재 위의 회로와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단자부(15a~15d), 도체배선(16a,16b)을 모두 한 장의 평판형상으 로 약기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단자부(15a~15d)는, 복수의 단자를 규칙적으로 배열한 단자열로 이루어진다. 또, 도체배선(16a,16b)은, 상기 단자열의 개개의 단자를, 단자부(15a-15c) 사이, 단자부(15b-15d) 사이에서, 예를 들면 1대1로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미세배선의 집합체이다.
또, 상기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에 있어서는, 접은 선 VL에서, 제 2접속부(12)의, 제 1단자부(15b)의 폭방향 중앙까지의,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101)의 길이방향의 길이 L1과, 접은 선 VL에서, 제 4접속부(14)의, 제 4단자부(15d)의 폭방향 중앙까지의,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102)의 길이방향의 길이 L2를,
L1<L2 (1)
로 설정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을, 회전 경첩의 축 HG1의 주위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은 상태에서, 양플렉시블 배선부재(101,102) 사이에 충분한 틈새를 갖게 하는 동시에, 제 2 및 제 4접속부(12,14)의, 감기방향의 위치어긋남을 극력없이 할 수 있다.
L1, L2에 어느 정도의 차이를 붙이는지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양플렉시블 배선부재(101,102)를 대략 3회, 회전 경첩의 축 HG1의 주위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는 경우에는, 긴 쪽의 치수 L2를, 짧은 쪽의 치수 L1에 대해서 1.04배~1.08배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을, 회전 경첩의 축 HG1의 주위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은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2에 표시하는 전개상태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의 전구체를 준비하고, 이 전구체 중, 제 1기판부재(1a)와 제 2기판부재(1b)를, 도 1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체배선(16a,16b)과, 단자부(15a~15d)가 모두 외부쪽으로 되도록, 접은 선 VL을 따라 절곡해서 중첩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을 얻는다. 이것에 의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을, 회전 경첩의 부분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은 상태에서 수용할 때나, 이 상태에서, 양단부에 접속한 2개의 회로부재를 반복하여, 상대 회전시킬 때에, 양플렉시블 배선부재(101,102)를, 서로 걸림 없이, 보다 원활하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을, 도 3에 흰색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경첩의 축 HG1과, 해당 축 HG1과 일체 형성한 차양부 HG2에 형성한 슬릿 HG3에 찔러넣어 고정하고, 그 상태에서, 축 HG1을, 도면 중에 흑색 화살표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4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을, 축 HG1의 주위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은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회전 경첩을 조립하는 동시에, 제 1~제 4접속부(11~14)를, 각각 임의의 방향으로 절곡해서 양본체 내의 회로부재에 접속한다. 상세하게는, 도 5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 1접속부(11)와 제 3접속부(13)를, 각각, 도면에서 하부쪽의 회로부재(21)에 형성한 커넥터(21a,21b)와 접속하고, 또 제 2접속부(12)와 제 4접속부(14)를, 각각, 도면에서 상부쪽의 회로부재(22)에 형성한 커넥터(22a,22b)와 접속한다.
그러면, 도면 중에 화살표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및 제 4접속부(12,14)와 그것에 접속한 회로부재(22), 나아가서는 상부쪽의 본체를, 제 1 및 제 3접속부(11,13)와 그것에 접속한 회로부재(21), 그리고 하부쪽의 본체에 대해서, 상기 축 HG1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축선 XL을 중심으로 해서, 플렉시블 배선부재(101,102)의 소용돌이를 죄는 방향, 및 느슨하게 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접속구조가 구성된다.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의 바탕이 되는 베이스필름으로서는, 유연한 수지의 필름을 사용한다. 특히, 치수안정성, 내열성, 내구성, 유연성 등을 고려해서 폴리이미드필름이 바람직하다. 또, 단자부(15a~15d)나 도체배선(16a,16b)은, 구리박 등의 금속박막에 의해서 형성하면 된다. 형성방법으로서는, 감색법(Subtractive process)이나 가색법(Additive process) 등의, 종래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 도체배선(16a,16b) 위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수지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커버레이(Cover Lay)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제 1,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101,102)를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았을 때에, 도체배선(16a,16b)이 접촉해서 합선 등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2개로 접어서 포갠 제 1,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101,102) 사이의 미끄러짐을 좋게 해서, 보다 원활하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 제 1~제 4접속부(11~14)의, 단자부(15a~15d)를 형성한 쪽과 반대쪽 면에는, 보강을 위해서, 수지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보강판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레이나 보강판의 바탕이 되는 수지필름으로서는, 각각 상기와 동일한 이유로, 폴리이미드필름이 바람직하다.
또, 도체배선(16a,16b) 위에는, 이것도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쉴드층을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전자파나, 근접하는 배선으로부터의 노이즈의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쉴드층은, 예를 들면, 커버레이의 내부면에 금속박층을 형성하거나 혹은, 커버레이로 되는 수지필름을 적층, 접착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접착제의 일부로서, 금속분말을 포함하는 재료를 적용하거나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 감색법 등에서, 단자부(15a~15d)나 도체배선(16a,16b)의 바탕이 되는 구리박 등의 금속박을 베이스필름의 표면에 적층, 접착하거나 혹은, 커버레이나 보강판으로 되는 수지필름을 적층, 접착하거나 하기 위해서는 접착제를 이용한다. 그와 같은 접착제로서는, 각층의 상기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기 위하여, 경화성 수지계의 접착제가 바람직하고, 특히 에폭시수지계의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의 예에서는, 제 1기판부재(1a)와 제 2기판부재(1b)를 한 장의 베이스필름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하고 있었지만, 별체로 형성한 것을, 접은 선 VL에 상당하는 부분에서 서로 접합해서, 본 발명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형성해도 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베이스필름으로서의, 두께 12.5㎛의 폴리이미드필름의 한 쪽 면에, 두께 10 ㎛의 에폭시수지계의 접착제층을 통해서, 두께 18㎛의 구리박을 적층한 한 쪽 면 판을 이용해서, 감색법에 의해 구리박을 패턴형성하여, 상기 베이스필름의 한 쪽 면에, 도 1에 표시하는 평면 형상을 가지는 단자부(15a~15d), 도체배선(16a,16b)을 형성하였다.
다음에 상기 베이스필름의, 도체배선(16a,16b)을 형성한 영역에, 두께 12.5㎛의 폴리이미드필름을, 두께 20㎛의 에폭시수지계의 접착제층을 통해서 적층, 접착하여 도체배선(16a,16b)을 피복하는 커버레이를 형성한 후 펀칭가공해서, 도 2에 표시하는 평면 형상을 가지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의 전구체를 제조하고, 그것을, 접은 선 VL을 따라 2개로 접어서, 도 1에 표시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1)을 제조하였다. 또한, 한 쌍의 플렉시블 배선부재(101,102)는, 감기의 외부쪽으로 되는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102)의 길이 L2를, 내부쪽으로 되는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101)의 길이 L1의 1.05배로 하였다.
비교예 1
한 쌍의 플렉시블 배선부재(101,102)의 길이를 완전히 같게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베이스필름으로서의, 두께 12.5㎛의 폴리이미드필름의 한 쪽 면에, 두께 10㎛의 에폭시수지계의 접착제층을 통해서, 두께 18㎛의 구리박을 적층한 한 쪽 면 판을 이용해서, 감색법에 의해 구리박을 패턴형성하여, 상기 베이스필름의 한 쪽 면에, 도 7에 표시하는 평면 형상을 가지는 도체배선(91)과 단자부(93,95)를 형성하였다.
다음에 상기 베이스필름의, 도체배선(91)을 형성한 위에, 두께 12.5㎛의 폴리이미드필름을, 두께 30㎛의 에폭시수지계의 접착제층을 통해서 적층, 접착하여 도체배선을 피복하는 커버레이를 형성한 후 펀칭가공해서, 도 7에 표시하는 평면 형상을 가지고, 또한 한 쪽 면 판의 구조를 가지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제조하였다.
전체 비용 평가
상기 실시예 1, 비교예 1, 2에 기재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제조공정을 개시한 시점에서, 제조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도 6에 표시하는 휴대전화 HP의, 회전 경첩의 부분에 수용하는 작업을 완료하기까지 필요하게 된 전체 비용을 평가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도 3~5에 표시하는 회전 경첩의 축 HG1의 주위에 대략 3회,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은 상태에서, 휴대전화의 회전 경첩의 부분에 수용하였다. 또, 비교예 2에서 제조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같은 것을 두 장 포개어, 상기와 동일한 횟수분의 소용돌이 형상으로 세트한 상태에서, 휴대전화의 회전 경첩의 부분에 수용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에 필요하게 된 전체 비용을 1.0으로 했을 때의, 각 비교예의 전체 비용의 비를 산출해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내구성 평가
상기와 같이 해서, 실시예 1, 비교예 1, 2에서 제조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조립한 휴대전화 HP의 회전 경첩의 부분을, 소용돌이를 감아들어가는 방향으로 180˚ 회전시키고, 이어서, 본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조작을 4만회, 반복하였다. 그리고 4만회까지 파단했을 경우는 반복하여 횟수를 계수해서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전체 비용 휨 특성
실시예 1 1.0 4만회로 파단하지 않음
비교예 1 1.0 2.8만회
비교예 2 1.7 4만회로 파단하지 않음
표에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조이고, 한 쌍의 플렉시블 배선부재(101,102)의 길이만을 같게 한 비교예 1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전체 비용은 실시예 1과 동일했지만, 2.8만회의 반복 휨에 의해서 도체배선이 파단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 비교예 2는, 4만회의 반복 휨에 의해서 도체배선이 파단하지 않았지만, 한 쪽 면 판을 두 장,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맞붙임에 시간이 소요되었기 때문에, 전체 비용이, 실시예 1의 1.7배 드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실시예 1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은 전체 비용이 낮을 뿐만 아니라, 4만회의 반복 휨에 의해서 도체배선이 파단하지 않아, 양호한 내구성을 표시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경첩으로 연결된 2개의 부재에 형성되는 2개의 회로부재 사이를, 본 발명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이용해서, 그 조립에 시간을 소요하는 일없이, 또, 양단부에 접속한 2개의 회로부재를 반복하여, 상대 회전시켰을 때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한정된 스페이스 내에서의 배선수를 지금까지보다도 증가시킨 상태에서, 접속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회전축의 경첩에, 회전축의 축방향과 평행으로 슬릿을 형성하고, 이 슬릿에, 제 1접속부와 제 3접속부를 중첩한 상태에서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을, 회전 경첩의 부분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아서 수용하는 작업을, 더 한층,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Claims (6)

  1. 2개의 회로부재 사이를 접속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으로서,
    한 쪽의 회로부재 위의 회로와 접속되는 제 1단자부를 구비하는 제 1접속부와,
    다른 쪽의 회로부재 위의 회로와 접속되는 제 2단자부를 구비하는 제 2접속부와,
    제 1단자부와 제 2단자부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제 1도체배선을 구비하고, 제 1접속부와 제 2접속부를 연결하는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를,
    제 1접속부가,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해당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설되고, 또한 제 2접속부가,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의 길이방향의 타단부로부터, 제 1접속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설된 형상으로, 한 장의 베이스필름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한 제 1기판부재와,
    한 쪽의 회로부재 위의 회로와 접속되는 제 3단자부를 구비하는 제 3접속부와,
    다른 쪽의 회로부재 위의 회로와 접속되는 제 4단자부를 구비하는 제 4접속부와,
    제 3단자부와 제 4단자부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제 2도체배선을 구비하고, 제 3접속부와 제 4접속부를 연결하는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를,
    제 3접속부가,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로부터, 해당 길 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설되고, 또한 제 4접속부가,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의 길이방향의 타단부로부터, 제 3접속부와 반대방향으로 돌설된 형상으로, 한 장의 베이스필름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된 제 2기판부재를,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의, 제 1접속부를 형성한 쪽의 길이방향의 단부 가장자리 부분과,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의, 제 3접속부를 형성한 쪽의 길이방향의 단부 가장자리 부분에서 서로 접합하여,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와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 제 1접속부와 제 3접속부, 제 2접속부와 제 4접속부가, 각각 서로 중첩하도록, 이 접합부에 형성한 접은 선을 따라서 2개로 접은 형상을 가지고 있는 동시에,
    접은 선에서 제 2접속부까지의,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의 길이방향의 길이 L1과, 접은 선에서 제 4접속부까지의,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의 길이방향의 길이 L2를,
    L1<L2 (1)
    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기판부재와 제 2기판부재를 한 장의 베이스필름에 의해 일체로 형성해서, 제 1기판부재와 제 2기판부재의 접합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형성한 접은 선을 따라서 2개로 접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3.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도체배선과, 제 1 내지 제 4의 각 단자부를, 제 1기판부재와 제 2기판부재의, 양자를 중첩했을 때에 각각 외부쪽으로 되는 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4. 제 1항에 있어서,
    중첩한 제 1접속부와 제 3접속부를 회전 경첩의 축에 고정한 상태에서,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와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를,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를 외부쪽으로 해서, 해당 축의 주위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5. 회전 경첩으로 연결된 2개의 부재에 형성되는 2개의 회로부재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구조로서,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제 1접속부와 제 3접속부를, 회전 경첩의 축에 고정한 상태에서, 제 1플렉시블 배선부재와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를, 제 2플렉시블 배선부재를 외부쪽으로 해서, 해당 축의 주위에 소용돌이 형상으로 감는 동시에, 제 1접속부와 제 3접속부를 한 쪽의 회로부재와 접속하고, 또한 제 2접속부와 제 4접속부를 다른 쪽의 회로부재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회전축의 경첩에, 회전축의 축방향과 평행으로 슬릿을 형성하고, 이 슬릿에, 제 1접속부와 제 3접속부를 중첩한 상태에서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구조.
KR1020057010751A 2003-09-22 2004-09-2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그것을 이용하는 접속구조 KR100712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30613 2003-09-22
JP2003330613A JP4206017B2 (ja) 2003-09-22 2003-09-22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854A true KR20060008854A (ko) 2006-01-27
KR100712802B1 KR100712802B1 (ko) 2007-04-30

Family

ID=34373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751A KR100712802B1 (ko) 2003-09-22 2004-09-21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그것을 이용하는 접속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06017B2 (ko)
KR (1) KR100712802B1 (ko)
CN (1) CN100581315C (ko)
WO (1) WO2005029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4182B2 (ja) 2005-07-26 2010-03-31 株式会社東芝 磁化容易軸方向を傾斜させた垂直磁気記録媒体、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含む磁気記録再生装置
JP2008028276A (ja) * 2006-07-25 2008-02-07 Nec Saitama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及びこれを実装した電子機器並びに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の折り畳み方法
JP4985369B2 (ja) * 2007-12-06 2012-07-25 株式会社ニコン フレキシブル回路及び電子装置
JP5168586B2 (ja) * 2009-01-08 2013-03-21 住友電工プリントサーキット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および電子機器
JP2010287658A (ja) * 2009-06-10 2010-12-24 Lenovo Singapore Pte Ltd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KR101786512B1 (ko) * 2010-07-26 201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층 연성회로기판의 제조방법
US9663244B2 (en) 2013-03-31 2017-05-30 SZ DJI Technology Co., Ltd. Payload mounting platform
TWI596994B (zh) * 2014-02-20 2017-08-21 Tear-resistant structure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1989A (ja) * 1999-10-07 2001-04-20 Sumitomo Electric Ind Ltd 車載用撮像装置
JP3773782B2 (ja) * 2000-10-31 2006-05-10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式携帯電話端末
JP3544930B2 (ja) * 2000-10-04 2004-07-21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2300247A (ja) * 2001-03-29 2002-10-11 Sanyo Electric Co Ltd 折畳式携帯電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29930A1 (ja) 2005-03-31
JP2005101112A (ja) 2005-04-14
CN1742523A (zh) 2006-03-01
JP4206017B2 (ja) 2009-01-07
KR100712802B1 (ko) 2007-04-30
CN100581315C (zh)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43209B (zh) Bundled soft circuit cable
US9072192B2 (en) Composite flexible circuit planar cable
TWI289372B (en) Stackable assembly signal flat cable
US8013254B2 (en) Printed circuit board
JP4906964B2 (ja) 同軸ハーネスの接続構造
TWI622328B (zh) Stretchable flexible circuit board
KR100712802B1 (ko)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그것을 이용하는 접속구조
JP5493209B2 (ja) 巻束構造を有する信号伝送配線
JP2018037288A (ja) シールドフラットケーブル
JPS6156700B2 (ko)
WO2021000075A1 (zh) 一种传输线
JP4136695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基板
JP2017139180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57259A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および電子装置
CN215451077U (zh) 电感器电桥以及电子设备
US11515069B2 (en) Multilayer substrate and electronic device
KR20060089466A (ko) 그라운드 성능이 향상된 에프피씨비를 가지는 이동 통신단말기
CN111356289A (zh) 一种电路板结构
JP3229385U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構造
JP2005109083A (ja) コイル部品
JP7359624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
JP7234876B2 (ja) 基板の接続構造
JP7359623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
JP4610438B2 (ja) 極細同軸ケーブルアセンブリ及び極細同軸ケーブルアセンブリにおけるfpcの折畳み方法
CN116191080A (zh) 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