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7401A - 전자부품 공급 장치 및 전자부품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공급 장치 및 전자부품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7401A
KR20060007401A KR1020057020347A KR20057020347A KR20060007401A KR 20060007401 A KR20060007401 A KR 20060007401A KR 1020057020347 A KR1020057020347 A KR 1020057020347A KR 20057020347 A KR20057020347 A KR 20057020347A KR 20060007401 A KR20060007401 A KR 20060007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component supply
electronic component
magazin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시 엔도
가즈오 기도
히데키 우치다
오사무 오쿠다
노부유키 가키타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134237A external-priority patent/JP40417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331310A external-priority patent/JP4112465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07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3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 H05K13/0434Feeding one by one by other means than belts with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매거진(4)에 수용된 상기 팰릿의 지지 위치를, 팰릿 공급 방향(A)의 전방 측에서 규제하는 전방 측 규제 부재(18)와, 상기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전방 측 규제 부재에 의해 규제된 상기 팰릿의 지지 위치를 상기 방향의 후방 측에서 규제하는 후방 측 규제 부재(24), 및 상기 팰릿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배치에 의해, 1쌍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팰릿의 대략 수평 지지 자세를 유지하도록, 이 팰릿 지지 자세를 규제하는 수평 자세 규제 부재(26)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 공급 장치 및 전자부품 공급 방법{ELECTRONIC COMPONENT FEEDER AND ELECTRONIC COMPONENT FEEDING METHOD}
본 발명은, 부품 공급 트레이(component feed tray) 위에 정렬하여 배치된 복수의 전자부품을, 기판 위에 실장(實裝)하기 위해서 공급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및 전자부품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전자부품 공급 장치는 여러 가지 구조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자부품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전자부품 실장 장치에 대한 전자부품의 공급 시스템으로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부품 공급 트레이(이후, 트레이라고 한다)가 탑재된 복수의 팰릿(pallet)이, 매거진(magazine) 내에 적층(積層)되어서(혹은 계단식으로 쌓여서) 수용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매거진을 이용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는, 매거진을 상기 팰릿의 적재 방향, 또는 수직 방향에 승강 장치에 의해 승강시켜서, 선택된 1장의 팰릿을 팰릿 취출(取出) 위치에 위치시키고, 팰릿 취출 장치에 의해 상기 팰릿을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취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통은, 이러한 트레이의 취출은, 우선, 사용 완료된 트레이가 탑재되어 있는 팰릿을 상기 매거진 내에 삽입해서 회수하고, 이어서, 상기 승강 장치에 의해 상기 매거진을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선택된 1장의 팰릿을 상기 취출 위치, 즉, 상기 팰릿 취 출 장치와 동일한 높이 레벨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이 선택된 팰릿을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실행된다. 그 후,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취출된 팰릿 위에 탑재되어 있는 트레이 내의 각각의 전자부품을, 전자부품 실장 장치의 이송 헤드 등의 수단에 의해 픽업(pickup)(예를 들면, 흡착 및 픽업)함으로써, 상기 픽업된 각각의 전자부품의 회로 기판에의 실장이 실행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 내의 전자부품이 픽업되어서 비게 되었을 경우 등에 있어서는, 이 비어진 트레이가 탑재되어 있는 팰릿이, 새로운 트레이가 탑재되어 있는 팰릿과 교환된다. 그러나, 전술한 팰릿 교환 작업은 작업자의 손에 의해 실행되지만, 때로는 작업자가 잘못해서 상기 팰릿을 세로 방향을 반대로 해서 상기 매거진에 세트(수용)하는 일이 있다. 일반적으로 팰릿은 세로 방향에 대칭의 구조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역방향으로 세트된 팰릿은 그 기능을 실현할 수 없고, 이것은, 상기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없어, 장치 구성 부품의 파손이나, 상기 트레이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부품 등을 분산시켜 손상시킬 수 있는 문제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매거진에의 팰릿의 세로 방향의 잘못된 세팅(setting)에 의한 전자부품 공급 장치의 정지 및 장치 구성 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는 종래에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팰릿의 전방 측의 가장자리부와 후방 측의 가장자리부의 형상을 서로 상이하게 하고, 또한 매거진의 전방 측의 가장자리부와 끼워 맞추고 상기 후방 측의 가장자리부와는 끼워 맞추지 않는 형상을 갖는 끼워 맞춤 부재를 배열 설치한 종래의 전자부품 공급 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1-121985호 공보 참조). 이러한 종래의 전자부품 공급 장치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매거진 내에 상기 팰릿의 세로 방향을 반대로 수용시키는 잘못된 세팅을, 상기 끼워 맞춤 부재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상기 팰릿이 상기 세로 방향에 반대로 수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상기 팰릿이 상기 매거진 내에 경사지게 수용되어 있을 경우일지라도, 이 팰릿이 상기 세로 방향에만 바로 수용되어 있는 경우라면, 이러한 잘못된 세팅을 검출(혹은 방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전자부품의 실장 속도의 고속화 및 다품종, 소 로트(lot)화 생산의 진행에 따라서, 작업자 자신의 교대에 의한 작업 미숙련의 증대 정도와, 작업자가 상기 매거진 내의 팰릿을 교환하는 빈도의 증가에 의해, 상기 세로 방향에 반대로 잘못된 세팅이 될 경우나 상기 잘못된 경사진 세팅의 경우가 증가한다. 특히, 팰릿(혹은 매거진 자체)을 삽입할 때 전자부품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삽입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필연적으로 작업자는 시선을, 팰릿을 위쪽으로부터 내려다보는 위치에 돌리게 된다(예를 들면, 도 2에 작업자와 팰릿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는, 작업자는 전자부품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팰릿의 경사진 삽입을 알아차리기 어렵다. 또한, 상기 실장되는 전자부품의 소형화·박형화, 또한, 전자부품의 다품종화에 따라, 상기 매거진 내에 수용되는 트레이의 매수 증가, 즉, 팰릿의 매수 증가 때문에, 작업자에 의한 상기 팰릿의 경사진 잘못된 세팅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점증하는, 고속화 및 고효율화된 전자부품의 실장이 요망되는 실상에 있어서는, 상기 팰릿의 잘못된 세팅으로 인한 전자부품 공급 장치의 작동 정지는, 상기 고속화 및 고효율화의 성취를 저해하는 요인의 하나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속화 및 고효율화된 전자부품 실장의 성취를 위해, 상기 매거진 내의 상기 팰릿의 어떠한 잘못된 세팅도 검출 가능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전자부품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된 트레이로부터, 상기 각각의 전자부품을 상기 이송 헤드, 실장 헤드 등에 구비된 흡착 노즐에 의해 흡착 유지시켜서, 각각의 전자부품의 흡착 및 픽업(즉, 전술한 픽업)을 실행하는 여러 가지의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며(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10-335889호 공보 참조), 그 일례(一例)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이러한 복수의 전자부품인 전자부품(551)이 설명을 위해 정렬하여 배치된 트레이의 일례인 부품 공급 트레이(552)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도 24에 나타낸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플레이트와 같은 형상을 갖는 부품 공급 트레이(552)는, 유사하게 대략 플레이트와 같은 형상을 갖는 트레이 플레이트(553)(상기 팰릿에 상당)의 상면(上面)인 트레이 탑재면(554)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부품 공급 트레이(552)는, 그 상면에 부품 배치 영역(555)을 가지고 있고, 전자부품(551)은 이 부품 배치 영역(555)에 정렬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부품 공급 트레이(552)는, 예를 들면, 도면의 트레이 탑재면(554)에 있어서의 하부 왼쪽 모퉁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2개의 고정 막대(fixation bar)(556)가 각각 부품 공급 트레이(552)의 모서리 부분에 맞닿아 트레이 탑재면(554) 위에 배치 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로서, 부품 공급 트레이(552)의 상기 배치는 트레이 탑재면(554)의 표면을 따르는 방향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 이 고정 막대(556)의 단면(斷面)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를 도 25에 나타낸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막대(556)는, 대략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며, 부품 공급 트레이(552)의 단부와 접촉함으로써 부품 공급 트레이(552)의 상기 배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 막대 본체(556a)와, 이 고정 막대 본체(556a)의 상기 C자 형상의 단면 내측에 고정된 자석 섹션(magnet section)(556b)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트레이 플레이트(553)의 트레이 탑재면(554)에, 이 자석 섹션(556b)을 통해서, 고정 막대 본체(556a)를 자기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부품 공급 트레이(552)의 단부와 접촉하는 고정 막대 본체(556a)의 단부는, 트레이 탑재면(554)에 대략 직교하게 형성된 단면(端面) 형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 섹션(556b)을 통해서 트레이 탑재면(554) 위에 자기적으로 고정된 고정 막대(556)는, 부품 공급 트레이(552)의 단부와 접촉함으로써, 트레이 탑재면(554)의 표면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 및 상기 고정 막대(556)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 부품 공급 트레이(552)의 배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고정 막대(556)를 2개 이용함으로써, 부품 공급 트레이(552)의 배치 위치를, 트레이 탑재면(554)의 표면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서로 직교하는 2개 방향에 고정할 수 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 플레이트(553)의 주변부(557)는, 트레이 탑재면(554) 위에 융기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며, 부품 공급 트레이(552)에 있어서 2개의 고정 막대(556)가 접촉되지 않는 다른 2개 측면은, 트레이 플레이트(553)의 주변부(557)에 맞닿아져 있다. 이러한 배치로써, 부품 공급 트레이(552)의 4개 측면이, 트레이 플레이트(553)의 주변부(557)와, 2개의 고정 막대(556)에 의해 둘러싸여서, 그 배치 위치가 상기의 방향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의 고정 막대(556)는, 자석 섹션(556b)을 구비하고, 자기적으로 트레이 탑재면(554)에 고정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형태의 고정 막대(556)가 사용된다. 예를 들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L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막대 형상의 고정 막대 본체(566a)가 체결 나사(566b)에 의해 트레이 탑재면(554) 위에 고정되는 형태를 이루는 종래의 고정 막대(566)도 이용된다. 전술한 고정 막대(566)의 경우에 있어서도, 부품 공급 트레이(552)의 단부와 접촉하는 단부의 단면(端面) 형상은, 트레이 탑재면(554)에 대략 직교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것에서는, 부품 공급 트레이(552)의 배치 위치는 트레이 플레이트(tray plate)(553)의 트레이 탑재면(554) 위에 고정되어 있지만, 상기 고정은 트레이 탑재면(554)의 표면을 따르는 방향에서만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부품 공급 트레이(552)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부품(551)을 각각 흡착 노즐에 의해 흡착 유지하여 픽업을 실행할 경우에, 예를 들면, 이 흡착 노즐이 부품 공급 트레이(552) 위에 전자부품(551)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불리하게 흡착 유지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흡착 노즐의 상승에 따라, 부품 공급 트레이(552) 자체가 트레이 탑재면(554)으로부터 불리하게 들어 올려져, 부품 공급 트레이(552)에 배치되어 있는 그 밖의 전자부품(551)의 배치 위치에 위치 변위 및 부품 공급 트레이(552)로부터의 전자부품(551)의 뛰어오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 발생은, 최근에 박형화되는 경향에 있는 전자부품(551)을 흡착 유지하여 픽업하는 경우에, 특히 심각하게 된다. 즉, 박형화된 전자부품(551)의 흡착 노즐에 의한 흡착 유지 면의 높이 위치와, 부품 공급 트레이(552)에 있어서의 전자부품(551)의 배치 면의 높이 위치 사이의 높이 위치의 차(差)는, 전자부품(551)의 박형화에 따라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전자부품(551)을 흡착 유지하기 위해 하강(下降)된 흡착 노즐이 있는 높이 위치에 전자부품(551)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흡착 노즐의 흡인력에 의해 부품 공급 트레이(552)에 대한 불리한 높은 흡착 발생 가능성과, 결과적인 부품 공급 트레이(552)의 들어올림 발생 등의 높은 가능성에 대한 문제가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흡착 노즐에 의한 부품 공급 트레이(552)의 잘못된 흡착의 발생은, 때로는 흡착 노즐의 동작 제어를 실행하는 제어 장치에의 전자부품(551)의 부품 데이터 등의 잘못된 입력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흡착 노즐에 의한 부품 공급 트레이의 잘못된 흡착에 의해, 전자부품(551)의 뛰어나옴 등이 야기되는 경우에는, 효율적인 전자부품의 공급을 실현할 수 없고, 흡착 노즐을 구비한 전자부품 실장 장치의 가동률을 현저하게 저하시켜, 효율적인 부품 실장을 실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부품 공급 트레이 위에 정렬하여 배치된 복수의 전자부품을 기판 위에 부품의 실장을 위해 공급하는 전자부품 공급에 있어서, 원활하고 또한 확실한 공급 동작을 실현함으로써, 효율적인 전자부품의 공급을 실행할 수 있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및 전자부품 공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부품 공급 트레이 위에 정렬하여 배치된 복수의 전자부품을 전자부품 실장 장치에 공급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팰릿의 매거진에의 지지 자세의 이상(異常) 유무를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검출하여, 상기 지지 자세의 이상에서 기인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의 동작 정지 및 장치 구성 부품의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효율적인 전자부품의 공급을 실현할 수 있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복수의 전자부품이 픽업 가능하게 배치된 부품 공급 트레이로부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에 의해 상기 부품을 흡착 유지해서 꺼내는 부품 픽업 시에,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에 의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잘못된 흡착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부품의 뛰어오름 등을 미연(未然)에 방지함으로써, 전술한 효율적인 전자부품의 공급을 실현할 수 있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및 전자부품 공급 방법을 제공한다.
이것들 및 기타 특징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상기 제1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전자부품이 정렬하여 배치된 부품 공급 트레이가 탑재된 복수의 팰릿을 복수의 적층 단으로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팰릿을 팰릿 공급 방향을 따라 전자부품 공급 위치에 취출함으로써, 이 팰릿에 탑재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상기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쌍의 지지부가, 상기 팰릿 공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팰릿의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부를, 이 팰릿을 대략 수평으로, 또한, 이 팰릿 공급 방향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적층 방향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해당하는 쌍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팰릿을 수용하는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 내에 수용된 상기 팰릿을 매거진의 내측으로부터 전자부품 공급 위치에 취출 가능하게 하는 팰릿 공급구(pallet feed port)를 갖춘, 상기 매거진을 승강 가능하게 수용하는 매거진 리시버(magazine receiver)와,
선택된 상기 팰릿을 상기 팰릿 공급구를 통해서 취출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매거진 리시버 내측의 상기 매거진의 승강을 구동하는 매거진 승강 장치와,
상기 매거진에 수용된 상기 팰릿의 상기 해당 지지부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기 팰릿 공급 방향의 전방 측에 있어서, 상기 팰릿의 가장자리부와 맞닿음으로써 규제하는 전방 측 규제 부재와,
상기 팰릿 공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전방 측 규제 부재에 의해 규제된 상기 팰릿의 해당 지지부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기 팰릿 공급 방향의 후방 측에 있어서, 상기 팰릿의 가장자리부와 맞닿음으로써 규제하는 후방 측 규제 부재, 및
상기 매거진과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매거진 내에서 단으로 적층된 상기 각각의 팰릿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가장자리부가 해당 쌍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각각의 상기 팰릿의 지지 자세를 대략 수평으로 유지하도록, 상기 팰릿의 지지 자세를 대략 수평으로 규제하는 수평 자세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팰릿은, 상기 팰릿 공급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측 가장자리부와 후방 측 가장자리부의 형상이 상이하게 형성되고, 상기 공급 장치는, 상기 팰릿의 상기 후방 측 규제 부재에 의한 상기 규제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팰릿 공급 방향에서 역방향의 지지 자세로 지지된 상기 팰릿이, 상기 매거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 가능한 동시에,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에 의해, 서로 대향하지 않는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지지 자세의 상기 팰릿이, 상기 매거진 내에 포함되는 것을 검출 가능한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르면, 제1특징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은, 상기 팰릿 공급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 측에 구비되어, 이 후방 측으로부터 상기 팰릿을 공급해서 수용하기 위한 개폐 가능한 문으로서, 그 내측에 상기 후방 측 규제 부재 및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가 고정된 매거진 문 부분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후방 측 규제 부재는, 상기 역방향의 지지 자세로 지지된 팰릿의 가장자리부에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폐지(閉止)를 제한 가능하고,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은, 상기 팰릿 공급 방향에 정방향인 지지 자세로 지지된 팰릿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후방 측 규제 부재가 맞닿게 되는 위치에 폐지 가능하며,
상기 서로 대향하지 않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팰릿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가 맞닿음으로써,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폐지를 제한 가능하고, 상기 1쌍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팰릿 사이에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을 폐지 가능하며,
또한,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폐지가 제한됨으로써, 상기 매거진에 수용된 팰릿의 지지 자세에 이상이 있는 팰릿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 가능한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특징에 따르면, 제2특징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상기 개방 상태 또는 상기 폐지 상태를 검출하는 문 개폐 검출부, 및
상기 문 개폐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작업자가 인식 가능하게 표시하는 문 개폐 표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특징에 따르면, 제3특징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 리시버는, 상기 팰릿 공급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 측에 구비되어 개방 가능한 문으로서, 상기 폐지된 상태의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외측에, 그 내측이 맞닿아진 상태에서 폐지되는 리시버 문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외측에 맞닿게 됨으로써 폐지가 제한되어 상기 폐지가 제한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특징에 따르면, 제4특징에 있어서, 상기 문 개폐 검출부는, 상기 리시버 문 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특징에 따르면, 제3특징에 있어서, 상기 문 개폐 검출부에 의해,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상기 개방 상태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매거진 승강 장치의 구동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어 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7특징에 따르면, 제2특징에 있어서,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는, 단으로 적층된 방향에 지지부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지지부 쌍에 의해 지지된 팰릿 사이의 공극(空隙)에 삽입되고, 서로 대향하지 않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가장자리부에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공극에 삽입되는 것이 제한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8특징에 따르면, 제7특징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이 폐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서로 대향하는 지지부의 어느 중간 위치로부터 어느 상기 하나의 지지부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돌기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가 상기 매거진 문 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9특징에 따르면, 제8특징에 있어서, 하나의 지지부에 대향하는 지지부에 대하여 상기 단의 적층 방향에 적어도 1단 어긋난 다른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팰릿에, 상기 어느 돌기부가 간섭하도록, 상기 돌기부가 배치되어 있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0특징에 따르면, 제1특징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팰릿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또한, 상기 팰릿 공급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측의 가장자리부에 대략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팰릿 취출용의 파지부(把持部)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 측 규제 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역방향의 지지 자세로 지지된 상기 팰릿에 있어서의 상기 파지부에 맞닿음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1특징에 따르면, 제7특징에 있어서,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팰릿 사이의 공극에 상기 돌기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팰릿에 탑재되어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 위에서 상기 전자부품의 배치 영역 위의 장소에 상기 돌기부가 도달하지 않는 길이 치수를 갖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2특징에 따르면, 제1특징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를, 상기 팰릿의 탑재 평면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부품 공급 트레이용의 고정 막대를 추가로 구비하고,
이 고정 막대가,
상기 탑재 평면에 있어서의 그 배치 위치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 가능하고, 또한, 상기 탑재 평면 위에 탑재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탑재 평면에 따른 방향인 제1방향에,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상기 탑재 위치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방향 고정부, 및
상기 탑재 평면에 있어서의 그 배치 위치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 가능하고, 또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탑재 평면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인 제2방향에, 상기 탑재 위치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방향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3특징에 따르면, 제12특징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용의 고정 막대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 고정부는,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단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탑재 위치가 상기 제1방향에 고정되는 상기 탑재 위치와 대략 직교하여 형성된 제1방향 고정면이고,
상기 제2방향 고정부는,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단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탑재 위치가 상기 제2방향에 고정되는 상기 탑재 위치와 대략 직교하여 형성된 제2방향 고정면인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4특징에 따르면, 제13특징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용의 고정 막대에 대하여,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단부와 접촉한 상기 제2방향 고정면의 높이 위치를 상기 제2방향으로 조정 가능한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5특징에 따르면, 제12특징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용의 고정 막대에 대하여,
상기 고정 막대는, 상기 제2방향 고정부를,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단부를 향해 항상 힘을 가하는 가세(加勢) 부재를 구비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6특징에 따르면, 제13특징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용의 고정 막대에 대하여,
상기 고정 막대는,
상이한 높이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제2방향 고정면, 및
상기 제2방향 고정면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제1방향 고정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2방향 고정면에 속하고,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단부의 형성 높이에 일치하는 상기 제2방향 고정면과, 이 제2방향 고정면에 대응하는 상기 제1방향 고정면에 의해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상기 탑재 위치를 고정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7특징에 따르면, 제12특징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용의 고정 막대에 대하여,
상기 제1방향 고정부는,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단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탑재 위치를 상기 제1방향에 고정하는 제1방향 고정면이고,
상기 제2방향 고정부는,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단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탑재 위치를 상기 제2방향에 고정하는 제2방향 고정면이며,
상기 제1방향 고정면과 상기 제2방향 고정면은, 상기 탑재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동일한 고정면이 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8특징에 따르면, 제12특징에 있어서, 상기 고정 막대에 대하여,
상기 고정 막대는, 상기 탑재 표면의 배치면 위 또는 근방에 자성(磁性) 재료로 형성된 자성 부재를 구비하고, 이 자성 부재의 자력에 의해 상기 탑재 표면 위에 고정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9특징에 따르면, 그 흡인 압력으로 각각의 부품을 흡착 유지할 수 있는 부품 흡착 유지 부재에 의한 흡착 유지 및 픽업이 될 수 있게 전자부품이 배열된 부품 공급 트레이로부터, 상기 전자부품의 흡착 유지 및 픽업을 실행함으로써, 기판 위에 실장될 복수의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전자부품 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는, 상기 전자부품을 흡착 유지 가능한 흡인 압력 이상이고,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를 흡착 유지 가능한 흡인 압력 미만의 흡인 압력인 부품 유지 흡인 압력으로써, 상기 각각의 전자부품의 흡착 유지 및 픽업을 실행하는 전자부품 공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0특징에 따르면, 제19특징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를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와 위치를 맞춘 후,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를 하강시켜서,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를 상기 전자부품에 맞닿게 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부품에 맞닿은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가 상승을 시작할 때에, 상기 흡인 압력이 상기 부품 유지 흡인 압력에 도달하도록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에 의한 흡인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의 상승으로써 상기 전자부품의 흡착 유지 및 픽업을 실행하는 단계를 갖는 전자부품 공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1특징에 따르면, 제20특징에 있어서,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에 의한 상기 흡인의 시작으로부터 상기 흡인 압력이 상기 부품 유지 흡인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흡인 시작의 타이밍(timing)을 결정하는 전자부품 공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2특징에 따르면, 제20특징에 있어서,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에 의한 상기 흡인의 시작은,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가 상기 전자부품에 맞닿은 후에 실행하는 전자부품 공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3특징에 따르면, 제20특징에 있어서,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가 상기 전자부품에 맞닿음으로 인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로부터의 상기 전자부품의 뛰어나옴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자부품의 크기 또는 중량에 따라,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의 하강에 요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전자부품 공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4특징에 따르면, 제19특징 내지 제23특징 중의 어느 한 특징에 있어서, 상기 부품 유지 흡인 압력은, 상기 전자부품의 크기 또는 중량에 따라서 결정되는 흡인 압력인 전자부품 공급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특징에 의하면, 전자부품 공급 장치는, 매거진에 수용된 팰릿의 각각의 지지부에 의한 지지 위치를, 팰릿 공급 방향의 전방 측에 있어서, 상기 팰릿의 가장자리부와 맞닿음으로써 규제하는 전방 측 규제 부재와, 상기 팰릿 공급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전방 측 규제 부재에 의해 규제된 팰릿을, 팰릿 공급 방향의 후방 측에 있어서, 상기 팰릿의 가장자리부와 맞닿음으로써 규제하는 후방 측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치로써, 전방 측의 가장자리부 형상과 후방 측의 가장자리부 형상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 상기 팰릿이, 상기 매거진 내에 수용되었을 경우에, 상기 후방 측 규제 부재에 의한 상기 맞닿음 위치의 상위(相違)에 근거하여, 상기 수용된 팰릿 중에 역방향의 지지 자세로 수용된 팰릿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거진 내에 수용된 팰릿 사이에 배치 가능하고, 전술한 배치에 의해 상기 팰릿의 대략 수평 지지 자세를 유지하도록 규제하는, 수평 자세 규제 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팰릿 사이의 공극에,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매거진 내에 팰릿을, 경사지지 않게 대략 수평 지지 자세를 유지하여서 수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가 어느 팰릿과 맞닿고, 결과적으로 간섭하여,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를 상기 간극에 배치할 수 없는 경우에는, 경사진 지지 자세의 팰릿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부품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 내에 수용된 팰릿의 지지 자세의 이상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고, 상기 팰릿을 항상 옳은 지지 자세로 수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팰릿의 지지 자세에 기인하는 전자부품 실장 장치의 가동 정지의 발생, 및 전자부품 공급 장치의 구성 부품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2특징에 의하면, 상기 후방 측 규제 부재 및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가 매거진 문 부분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역방향의 지지 자세로 지지된 팰릿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후방 측 규제 부재가 맞닿는 상기 위치에서는,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폐지가 제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로 대향하지 않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팰릿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의 맞닿음에 의해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폐지가 제한됨으로써, 상기 매거진에 수용된 팰릿 중에 그 지지 자세에 이상이 있는 팰릿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개폐만으로 상술한 검출이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용이하고 또한 작업자에게 인식 가능한 검출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3특징에 의하면,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상기 개방 상태 또는 상기 폐지 상태를 검출 가능한 문 개폐 검출부와, 상기 문 개폐 검출부에 의한 검출 결과를 작업자에게 인식 가능하게 표시하는 문 개폐 표시부에 의해,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개폐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동시에, 이 결과를 작업자에게 확실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개폐에 따라서 개폐하는 리시버 문 부분의 개폐를,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개폐에 관계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수용체 문 부분에 상기 문 개폐 검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 개폐 검출부에 의해,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상기 개방 상태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매거진 승강 장치에 의한 구동을 중지시킴으로써, 상기 팰릿의 지지 자세의 이상에서 기인하는 공급 장치 구성 부품의 파손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는, 상기 팰릿 사이의 공극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돌기부 중의 어느 돌기부가, 상기 어느 팰릿과 간섭되어서, 경사진 지지 자세의 팰릿이 상기 매거진 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의 상기 돌기부는, 서로 대향하는 지지부 사이의 중간 위치를 제외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경사진 지지 자세의 팰릿과, 상기 어느 돌기부를 서로 확실하게 간섭시킬 수 있어, 상기 팰릿의 지지 자세의 이상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한쪽의 지지부에 대향하는 지지부에 대해, 다른 쪽의 지지부가 단의 적층 방향에서 적어도 1단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팰릿에, 상기 어느 돌기부가 간섭하도록, 상기 돌기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작업자가 비교적 무시하기 쉬운 상기 1단 변위된 지지 자세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또한 상기 팰릿 공급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측의 가장자리부에 대략 볼록 형상으로 형성된 팰릿 취출용의 파지부를 갖는, 상기 팰릿을 매거진 내에 채용하여, 상기 후방 측 규제 부재가,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역방향의 지지 자세로 지지된 상기 팰릿에 있어서의 상기 파지부에 맞닿음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팰릿의 정방향의 지지 자세와 역방향의 지지 자세를, 상기 후방 측 규제 부재에 상기 팰릿이 맞닿는 위치의 상위에 의해 확실하게 분별해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팰릿 사이의 공극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팰릿에 탑재되어 있는 상기 트레이 위에 전자부품이 배치된 영역의 위쪽 장소에 상기 돌기부가 도달하지 않는 길이 치수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은, 이 배치 영역에 정렬하여 배치된 상기 전자부품과 상기 돌기부 사이의 간섭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전자부품의 손상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2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자부품 공급 장치에 있어서, 부품 공급 트레이를 상기 팰릿의 탑재 표면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부품 공급 트레이용의 고정 막대는, 상기 탑재 표면을 따른 방향 또는 제1방향에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상기 탑재 위치를 고정하는 제1방향 고정부뿐만 아니라, 또한 상기 탑재 표면과 대략 직교하는 제2방향에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상기 탑재 위치를 고정하는 제2방향 고정부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를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고정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에 배치되어 있는 부품을, 부품 흡착 유지 부재에 의해 흡착 및 픽업할 때에, 예를 들면,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에 의해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 자체를 흡착 유지(소위 잘못된 흡착)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면, 이 부품 공급 트레이는 상기 제2방향에도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들어올림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실장 중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잘못된 흡착의 발생에 의한 부품의 뛰어나옴, 배치 위치의 위치 변위 등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효율적인 부품 공급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부품 공급 트레이용의 고정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타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방향 고정부는 상기 탑재 표면에 대략 직교하여 배치된 표면(제1방향 고정면)이며, 상기 제2방향 고정부는 상기 탑재 표면을 따라 배치된 표면(제2방향 고정면)이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표면을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단부에 맞닿게 함으로써(예를 들면, 면 접촉에 의한 맞닿음),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를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방향 고정면에 있어서의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단부와의 접촉의 높이 위치는, 상기 제2방향으로 조정 가능하다. 이 구성은, 여러 가지 형상을 갖는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상기 고정에 대응할 수 있고, 이 고정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막대는, 상기 제2방향 고정부를,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단부를 향해 항상 힘을 가하는 가세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제2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고, 더욱 확실한 고정이 실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상기 고정력이 높아져,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에 의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잘못된 흡착으로 인한 부품 공급 트레이를 들어올리려는 힘에, 확실하게 대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복수의 상기 제1방향 고정면과 상기 제2방향 고정면이 개별적으로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될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형상(예를 들면, 단부 형성 높이 등)에 대응한 상기 고정면의 조합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를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구성은, 더욱 다양화된 형태를 갖는 부품 공급 트레이의 고정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방향 고정면과 상기 제2방향 고정면이 상기 탑재 표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동일한 고정면이다. 이 구성에 의해, 이 동일한 고정면에 의해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를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에 동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 막대의 형태를 간소화할 수 있고, 그 제작 가공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사진 고정면을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단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상기 고정이 실행된다. 따라서, 이 단부의 형성 높이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상술한 접촉을 달성할 수 있게 되고, 이것은 다양화된 형태를 갖는 부품 공급 트레이의 고정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막대가 자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자성 부재의 자력에 의해, 상기 고정 막대를 상기 탑재 표면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고정 막대의 취급성을 양호하게 하고, 고정될 부품 공급 트레이의 형태에도 불구하고, 확실한 고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9특징에 의하면, 부품 흡착 유지 부재에 의한 부품 공급 트레이로부터의 전자부품의 기판에의 공급을 실행하는 전자부품 공급 방법에 의해, 상기 전자부품을 흡착 유지 가능한 흡인 압력 이상이고,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를 흡착 유지 가능한 흡인 압력 미만인 흡인 압력의 부품 유지 흡인 압력으로, 상기 전자부품의 흡착 유지 및 픽업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에 의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잘못된 흡착이 발생하는 경우이어도,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의 상승과 함께 상기 잘못 흡착된 부품 공급 트레이가 들어 올려지지 않으며, 이 들어올림의 발생에 따른 전자부품의 뛰어오름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확실한 부품 픽업을 실행할 수 있고, 효율적인 부품 실장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전자부품 공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타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자부품에 맞닿은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의 상승이 시작될 때, 상기 흡인 압력이 상기 부품 유지 흡인 압력에 도달하도록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에 의한 흡인을 시작함으로써, 상기 부품 흡착 유지 흡인 압력이 필요하게 되는 동작 시점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흡인을 시작할 수 있고, 불필요한 흡인 압력이 발생하는 시간대를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흡인 압력의 발생으로 인한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의 주위에 어떠한 영향(예를 들면, 주위 부품의 흡인에 의해 야기된 배치 변위의 발생, 및 부품 공급 트레이 자체의 잘못된 흡착의 발생)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흡인 압력 적용 시간의 저감에 의해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에 의한 상기 흡인의 시작으로부터 상기 흡인 압력이 상기 부품 유지 흡인 압력에 도달하는 시간까지 요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흡인 시작 타이밍을 결정한다. 이것은,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의 상승 시작의 때에 확실하게 상기 부품 유지 흡인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확실한 흡착 유지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에 의한 상기 흡인 시작은,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가 상기 부품에 맞닿은 후에 실행된다. 이것은, 발생된 흡인 압력에 의해서 맞닿은 전자부품만을 확실하게 흡착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잘못된 흡착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와 상기 전자부품의 맞닿음에 의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로부터의 상기 전자부품의 뛰어나옴을 방지하도록, 상기 부품의 크기 또는 중량에 따라,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의 하강에 요하는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부품 유지 흡인 압력은, 상기 부품의 크기 또는 중량에 따라서 결정된 흡인 압력이다. 이 구성은, 여러 가지 종류의 전자부품의 흡착 및 픽업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것들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 장치가 장비된 전자부품 실장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자부품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적 단면도.
도 3은 전자부품 공급 장치에서 취급되는 트레이 및 팰릿의 개략적 사시도.
도 4는 매거진의 팰릿 공급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관한(팰릿의 정상적인 수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전자부품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B-B선을 따른(팰릿의 정상적인 수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전자부품 공급 장치에 있어서, 외측 문 및 내측 문이 개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팰릿 공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대형 매거진의 개략 단면도로서, 경사진 지지 자세의 팰릿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7A는 2단 어긋난 래크(rack)부에 팰릿이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7B는 1단 어긋난 래크부에 팰릿이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팰릿 공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소형 매거진의 개략 단면도로서, 경사진 지지 자세의 팰릿이 포함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8A는 2단 어긋난 래크부에 팰릿이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8B는 1단 어긋난 래크부에 팰릿이 지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4의 전자부품 공급 장치의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으로서, 역방향의 지지 자세로 팰릿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4의 전자부품 공급 장치의 단면도에 상당하는 도면으로서, 경사진 지지 자세로 팰릿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팰릿 공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소형 매거진 단면의 개략 부분 단면도.
도 12는 팰릿 공급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대형 매거진 단면의 개략 부분 단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 장치에 있어서 이용되는 고정 막대를 구비한 트레이 플레이트의 개략도로서, 도 13A는 평면도, 도 13B는 측면도.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A 및 도 13B의 트레이 플레이트에 있어서 고정 막대에 의해 부품 공급 트레이가 고정된 상태의 개략도로서, 도 14A는 평면도, 도 14B는 측면도.
도 15는 도 13A 및 도 13B의 고정 막대의 개략 단면도.
도 16은 도 13A 및 도 13B의 고정 막대에 의해 고정된 부품 공급 트레이에 흡착력이 부가되었을 경우, 발생된 힘을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
도 17은 도 15의 고정 막대의 제1변형 예에 따른 고정 막대의 단면도.
도 18은 도 15의 고정 막대의 제2변형 예에 따른 고정 막대의 단면도.
도 19는 도 15의 고정 막대의 제3변형 예에 따른 고정 막대의 단면도.
도 20A 및 도 20B는, 도 13A 및 도 13B의 트레이 플레이트의 변형 예에 따른 트레이 플레이트의 개략도로서, 도 20A는 평면도, 도 20B는 측면도.
도 21A, 도 21B, 및 도 21C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 방법에 있어서의 동작 타이밍 차트로서, 도 21A는 흡착 밸브의 동작 타이밍을 나타내고, 도 21B는 흡인 압력의 변화 상태를 나타내며, 도 21C는 흡착 노즐의 승강 높이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제3실시형태의 부품 실장 헤드의 개략 측면도.
도 23A, 도 23B, 및 도 23C는, 도 21A, 도 21B, 및 도 21C의 전자부품 공급 방법에 있어서 흡착 노즐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도 23A는 흡착 노즐의 하강 상태를 나타내고, 도 23B는 흡착 노즐과 전자부품의 맞닿음 상태를 나타내며, 도 23C는 전자부품이 흡착 유지되어서 픽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종래의 트레이 플레이트의 개략 평면도.
도 25는 종래의 고정 막대의 개략 단면도.
도 26은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른 고정 막대의 개략 단면도.
도 27은 도 15의 고정 막대의 변형 예에 따른 고정 막대의 단면도.
본 발명의 설명을 계속하기 전에, 첨부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첨부하고 있음에 주목한다.
(제1실시형태)
이하에,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를 구비하는 전자부품 실장 장치(101)의 외관 사시도(부분적으로 투과시켜 나타냄)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급되는 복수의 전자부품을 회로 기판 위에 실장하는 부품 실장을 실행하는 전자부품 실장 장치(101)는, 트레이 위에 정렬하여 배치된 복수의 전자부품을 공급 가능하게 수용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이것은 트레이 부품 공급 장치로 나타내어도 좋다)를, 전자부품 실장 장치(101)의 기계 대(102)의 나타낸 후방 측에 탈착 가능하게 장비하고 있으며, 복수의 테이프 반송 전자부품이 일렬로 정렬하여 배치되어서 수용되어 있는 테이프 반송 부품을 공급하는 테이프 반송 부품 공급 장치(103)를, 기계 대(102)의 나타낸 전방 측에 구비하고 있다. 테이프 반송 부품 공급 장치(103)는, 주로, 소형의 칩(chip) 부품 등의 전자부품을 공급하고, 전자부품 공급 장치(101)는, 상기 칩 부품보다도 비교적 대형의 전자부품, 및 특수한 형태를 갖는 전자부품, 예를 들면, QFP(Quad Flat Package), BGA(Ball Grid Array) 등의 IC 부품을 공급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부품 실장 장치(101)는, 기계 대(102)의 대략 중앙 부분에 배치되어, 전자부품 실장 장치(101)에 공급되는 회로 기판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스테이지(stage)(104)와,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 또는 테이프 반송 부품 공급 장치(103)로부터 공급되는 각각의 전자부품을, 스테이지(104)에 고정된 회로 기판에 대하여 실장하는 헤드부(105)가 구비되어 있다.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와 스테이지(104) 사이에 위치된 기계 대(102) 위에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에 취출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트레이를 취출하여, 이 취출된 트레이 위에 배치되어 있는 각각의 전자부품을, 헤드부(105)에 의해 픽업 가능한 상태로 되게 하는 취출 장치(106)가 구비되어 있다. 이 취출 장치(106)에 의해 취출된 트레이가 배치되는 위치는, 전자부품 공급 위치(107)인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어서,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의 개략 구조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를 도 2에 나타낸다.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에 수용되는 트레이의 개략 사시도를 도 3에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4각형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는 트레이(2)의 상면에는, 복수의 전자부품(1)이 정렬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트레이(2)는, 대략 4각형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는 팰릿(3)의 상면에 탑재되어 있다. 이렇게 트레이(2)가 탑재된 복수의 팰릿(3)이, 상하 방향에 일정한 간격의 적층 단으로서,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에 수용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는, 복수의 팰릿(3)을 상 기한 바와 같이 적층 단으로 수용하는 상 자체인 매거진(4)과, 이 매거진(4)을 그 내측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수용하는 상 자체 형상의 케이싱으로서, 매거진 리시버의 일례로서 역할을 하는 본체부(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의 본체부(5)는, 전자부품 실장 장치(101)의 기계 대(102)에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면의 좌측 측면에는, 기계 대(102) 위에 배치된 취출 장치(106)에 의해 팰릿(3)을 꺼내기 위한 개구부인 팰릿 공급구(6)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팰릿 공급구(6)를 통하여, 취출 장치(106)에 의해 매거진(4) 내측으로부터 팰릿(3)을 취출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 도면의 좌측 방향이, 취출 장치(106)에 의한 각각의 팰릿(3)의 취출 방향, 즉, 팰릿 공급 방향 A이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5)의 내측에서 매거진(4)의 승강을 실행하는 매거진 승강 장치(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매거진 승강 장치(8)는, 매거진(4)을 그 하부에서 지지하는 매거진 지지 대(10)와, 도면의 상하 방향에 배치되어서, 그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본체부(5)에 고정된 볼 나사 축부(11)와, 이 볼 나사 축부(11)에 나사로 결합되고, 또한 매거진 지지 대(10)에 고정된 너트부(12), 및 볼 나사 축부(11)의 축심 주위의 회전을 정역(正逆) 어느 쪽인가의 회전 방향에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승강용 구동 모터(13)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용 구동 모터(13)를 정역 어느 쪽인가의 회전 방향에 구동시킴으로써, 볼 나사 축부(11)를 따라서 너트부(12)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매거진 지지 대(10)에 지지된 매거진(4)을, 본체부(5)의 내측을 따라 승강시킬 수 있다. 매거진 (4) 내에 수용되어 있는 팰릿(3) 중에서, 선택된 1장의 팰릿(3)을 취출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매거진 승강 장치(8)에 의해, 이 선택된 팰릿(3)이, 팰릿 공급구(6)의 높이 위치에 위치되도록, 매거진(4)을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높이 위치에 위치된 팰릿(3)을, 팰릿 공급구(6)를 통하여, 취출 장치(106)에 의해 취출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팰릿 공급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즉, 도 2의 지면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매거진(4)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 측면에는, 상하 방향에 일정한 간격 피치(pitch)를 가지고, 오목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지지부의 일례인 복수의 래크부(14)가 형성되어 있다. 래크부(14)는, 매거진(4)의 상기 내측 측면에 있어서, 팰릿 공급 방향 A를 따라 연장하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대향하는 래크부(14), 즉, 1쌍의 래크부(14)에, 팰릿(3)의 가장자리부를 지지할 수 있고, 이 지지된 상태의 팰릿(3)을, 래크부(14)가 형성된 방향, 즉, 팰릿 공급 방향 A를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3으로 돌아가 참조하여, 팰릿(3)의 구조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팰릿(3)의 4개의 가장자리부 중, 팰릿 공급 방향 A에 직교하는 방향의 가장자리부는, 매거진(4)의 1쌍의 래크부(14)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 측 가장자리부(3c)로 되어 있다. 팰릿 공급 방향 A의 전방 측(도면의 앞쪽)에 위치된 팰릿(3)의 가장자리부는 전방 측 가장자리부(3a)로 되어 있고, 이 전방 측 가장자리부(3a)에는, 취출 장치(106)에 의해 팰릿(3)을 파지하기 위한 볼록 형상의 파지부(3d)가 형성되어 있다. 팰릿 공급 방향 A의 후방 측(도면의 먼 쪽)에 위치된 팰릿(3)의 가장자리부는 후방 측 가장자 리부(3b)로 되어 있다.
도 4는, 각각의 래크부(14)에 팰릿(3)이 지지되어서 수용되어 있는 상태의 매거진(4)의 팰릿 공급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개략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거진(4) 내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각각의 래크부(14)에 의해, 팰릿(3)의 지지 측 가장자리부(3c)가 걸리는 방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팰릿(3)은, 대략 수평 지지 자세로 되고 일정한 공극의 삽입이 유지되어서, 서로 접촉하는 일 없이, 전술한 일정 간격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어서, 도 2의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에 있어서의 B-B선을 따른 단면도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2의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에 있어서는, 매거진(4) 내에 팰릿(3)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도 5에 있어서는, 이후 설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매거진(4) 내에 팰릿(3)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의 본체부(5) 내에는, 2개의 매거진(4)이 서로 인접해서 수용되어 있다. 도면 오른쪽에 위치한 대형 매거진(4L) 내에는, 대형 트레이(2L)가 탑재된 복수의 대형 팰릿(3L)이 수용되어 있으며, 도면 왼쪽에 위치한 소형 매거진(4S) 내에는, 소형 트레이(2S)가 탑재된 복수의 소형 팰릿(3S)이 수용되어 있다. 매거진(4L 및 4S)은, 서로 독립한 매거진 승강 장치(8)에 의해, 개별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연관하여, 본체부(5) 내에 2종류의 매거진(4)이 수용되어 있 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러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술한 경우에 대신하여, 단지 1개 종류의 매거진(4)이 수용되거나, 혹은, 3개 이상 종류의 매거진(4)이 수용되어 있을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대형 매거진(4L) 또는 소형 매거진(4S)을, 한정해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매거진(4)으로 나타내며, 마찬가지로, 대형 팰릿(3L) 또는 소형 팰릿(3S)을, 한정해서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팰릿(3)으로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5)에는 내벽(5a)이 구비되어 있다. 이 내벽(5a)을 경계로 해서, 도면 오른쪽에 대형 매거진(4L)이 수용되는 대형 매거진 수용실(16L)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면 왼쪽에 소형 매거진(4S)이 수용되는 소형 매거진 수용실(16S)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형 매거진 수용실(16L)에 있어서는, 매거진(4L)에 수용되어 있는 대형 팰릿(3L)의 전방 측 가장자리부(3a)에 있어서의 양단부(兩端部) 근방에 있어서 맞닿게 되고, 이 맞닿음에 의해, 대형 팰릿(3L)의 팰릿 공급 방향의 전방 측에 있어서의 이동 위치(혹은 지지 위치)를 규제하는, 전방 측 규제 부재의 일례인 전방 안내부(18)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전방 안내부(18)는, 상하 방향에 대형 매거진(4L)의 승강 범위 내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하도록 본체부(5)에 고정되어 있으나, 각각의 팰릿(3)의 취출을 위한 팰릿 공급구(6)에 일치하는 부분에는 구성되어 있지 않다. 소형 매거진 수용실(16S)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전방 안내부(18)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5)에 있어서의 팰릿 공급 방향 A의 후방 측은, 각각의 팰릿(3)의 수용 또는 교환 등을 실행하는 팰릿 수용 측으로 되어 있으며, 이 팰릿 수용 측에 있어서의 본체부(5)에는, 개폐 가능한 리시버 문 부분의 일례인 2매의 외측 문(20)이 구비되어 있다. 외측 문(20)은, 내벽(5a)의 설치 위치의 양쪽으로 열 수 있으며, 독립적으로 단지 1매의 외측 문(20)만을 선택적으로 열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면 오른쪽에 위치한 외측 문(20)만을 열었을 경우에는, 단지 대형 매거진 수용실(16L)만을 개방할 수 있다.
팰릿 공급 방향 A의 후방 측에는, 매거진(4)의 내부에 팰릿(3)의 수용 등을 실행하기 위한 개폐 가능한 매거진 문 부분의 일례인 내측 문(22)이 각각의 매거진(4)에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내측 문(22)은, 매거진(4)에 있어서의 팰릿 공급 방향 A의 후방 측 측면 전체를 덮는 것이 아니고, 그 측면의 대략 3분의 1 정도만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형의 매거진(4L)의 내측 문(22)은, 대형 매거진 수용실(16L) 내에 수용된 상태의 매거진(4L)에 수용된 각각의 대형 팰릿(3L)에 있어서의 후방 측 가장자리부(3b)와 맞닿음으로써, 팰릿 공급 방향 A에 있어서의 후방 측의 이동 위치(혹은 지지 위치)를 규제하는 후방 측 규제 부재의 일례인 후방 안내부(24)를 내측에 구비하고 있다. 이 후방 안내부(24)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매거진(4L)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 연장하도록 내측 문(22)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문(22)의 회전 이동에 따라, 팰릿 공급 방향 A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매거진(4L)에 있어서, 대형 팰릿(3L)의 전방 측 가장자리부(3a)의 양단부가 전방 안내부(18)에 맞닿아서 그 팰릿 공급 방향 A에 있어서의 이동 위치가 규제된 상태이고, 대형 팰릿(3L)의 후방 측 가장자리부(3b)에 후방 안내부(24)가 맞닿은 상태(즉, 도 5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내측 문(22)이 폐지되어 있다. 또한, 외측 문(20)의 내측에는, 대응하는 내측 문(22)의 외측에 대해 맞닿는 범퍼부(bumper section)(25)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 문(22)이 완전히 폐지된 상태에만, 범퍼부(25)가 내측 문(22)의 외측에 맞닿아서, 외측 문(20)을 완전히 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대응하는 내측 문(22)이 완전히 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폐지되지 않은 내측 문(22)의 외측에, 범퍼부(25)가 맞닿아서, 외측 문(20)의 회전 이동 위치가 규제되기 때문에, 외측 문(20)을 폐지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소형 매거진(4S)의 내측 문(22)의 내측에, 마찬가지로 후방 안내부(24)가 구비되어 있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래크부(14)의 형성 간격과 동일한 형성 간격으로 상하 방향에 배치된 복수의 돌기부(26a)를 갖는 빗살 형상의 빗살 안내부(26)(수평 자세 규제 부재의 일례)가, 각각의 내측 문(22)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다. 빗살 안내부(26)에 있어서의 돌기부(26a)는, 매거진(4) 내에 적층 단이 되어 수용되어 있는 팰릿(3) 사이의 공극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형 팰릿(3L)이 수용된 매거진(4L)의 내측 문(22)을 폐지함으로써, 대형 팰릿(3L) 사이의 공극에, 돌기부(26a)를 삽입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극 내에 돌기부(26a)를 삽입시킴으로써, 매거진(4L) 내에 있어서, 각각의 대형 팰릿(3L)이 서로 대향하는 1쌍의 래크부(14)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 즉, 각각의 대형 팰릿(3L)이 대략 수평 지지 자세로 지지되어 있는 지 아닌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살 안내부(26)의 각각의 돌기부(26a)는, 각각의 돌기부(26a)가 적층 단 상태인 대형 팰릿(3L) 사이의 공극의 높이 치수보다도 약간 작도록, 또한 각각의 대형 팰릿(3L)이 대략 수평 지지 자세가 유지된 상태에서 수용되어 있을 경우에, 어느 돌기부(26a)도 대형 팰릿(3L)과 맞닿지 않도록, 그러한 높이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팰릿 공급 방향 A에 있어서의 각각의 돌기부(26a)는, 대형 팰릿(3L) 사이에 돌기부(26a)가 삽입되어서 배치된 상태에서도, 대형 팰릿(3L)의 상면에 탑재된 대형 트레이(2L)에 있어서의 전자부품(1)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상기 돌기부가 도달하지 않도록, 높이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특히 그 형성 높이가 큰 전자부품(1)이 대형 트레이(2L)에 배치되고, 이 대형 트레이(2L)가 대형 팰릿(3L) 위에 탑재되어서, 매거진(4L) 내에 수용되는 경우이어도, 빗살 안내부(26)의 돌기부(26a)의 선단(先端)은, 대형 트레이(2L)에 배치된 전자부품(1)에 맞닿는 일이 없고, 이 맞닿음에 의한 전자부품(1)의 손상 발생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거진(4L)에 있어서, 빗살 안내부(26)는, 서로 대향하는 래크부(14)의 대략 중간 위치에 대하여 오른쪽에 위치한 래크부(14)에 더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한편, 매거진(4S)에 있어서, 빗살 안내부(26)는, 서로 대향하는 래크부(14)의 대략 중간 위치에 대하여 왼쪽에 위치한 래크부(14)에 더 근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빗살 안내부(26)는, 매거진(4)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 지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대형 팰릿(3L) 사이에 삽입된 빗살 안내부(26)는, 대형의 매거진(4L)의 내측 문(22)에 구비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써, 매거진 승강 장치(8)에 의해 대형 매거진(4L)이 승강되는 경우이어도, 대형 팰릿(3L)과 함께 빗살 안내부(26)도 승강되기 때문에, 대형 매거진(4L)의 승강 동작은 저해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이러한 빗살 안내부(26)의 치수의 일례를, 도 11에 소형 매거진(4S)(팰릿 공급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관한 개략 부분 단면도)에 대해서 나타내고, 도 12에 대형의 매거진(4L)(상기와 마찬가지인 단면에 관한 개략 부분 단면도)에 대해서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형의 매거진(4S)에 있어서, 1쌍의 래크부(14) 사이의 폭 W가 170mm, 래크부(14)의 간격(피치) P가 13.5mm, 소형 팰릿(3S)의 두께 T가 6mm, 빗살 안내부(26)의 돌기부(26a)의 높이 H가 4.5mm, 소형 팰릿(3S)의 상면 혹은 하면과 제일 근접한 돌기부(26a)와의 사이의 간극 높이 D가 1.5mm, 각각의 돌기부(26a)와 래크부(14)(근접한 측에 위치한 래크부(14)) 사이의 거리 L이 56mm가 되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형 매거진(4L)에 있어서, 1쌍의 래크부(14) 사이의 폭 W가 260mm, 래크부(14)의 간격(피치) P가 13.5mm, 대형 팰릿(3L)의 두께 T가 6mm, 빗살 안내부(26)의 돌기부(26a)의 높이 H가 4.5mm, 대형 팰릿(3L)의 상면 혹은 하면과 제일 근접한 돌기부(26a) 사이의 간극 높이 D가 1.5mm, 각각의 돌기부(26a)와 래크부(14)(근접한 측에 위치한 래크부(14)) 사이의 거리 L이 87mm가 되도록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후술하는 이유에 의해, 각각의 돌기부(26a)와 래크부(14) 사이의 거리 L은, 1쌍의 래크부(14) 사이의 폭 W의 대략 3분의 1의 치수(즉, L=1/3W, 혹은, 팰릿(3) 폭의 대략 3분의 1의 치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외측 문(20)에는, 외측 문(20)의 개방 또는 폐지를 검출하는 문 개폐 검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문 개폐 검출부는, 각각의 외측 문(20)의 개방 측 단부의 하부에 구비된 안전 스위치용 도그(safety switch dog)(28)와, 각각의 외측 문(20)이 완전히 폐지된 상태에서 안전 스위치용 도그(28)와 걸리게 되는 안전 스위치(29)를 구비하고 있다.
도 6은,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에 있어서, 외측 문(20) 및 내측 문(22)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매거진(4L 및 4S)에 수용되어 있는 팰릿(3)(즉, 대형 팰릿(3L) 및 소형 팰릿(3S))이, 팰릿 공급 방향 A에 있어서의 후방 측의 이동 위치의 규제가 해제되어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팰릿(3)의 취출에 의한 교환이나, 새로운 팰릿(3)의 수용 등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에 있어서는, 각각의 매거진 승강 장치(8)에 의한 매거진(4)의 승강 동작, 및, 각각의 안전 스위치(29) 및 안전 스위치용 도그(28)에 의한 각각의 외측 문(20)의 개폐 상태의 검출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9)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 장치(9)는, 전자부품 실장 장치(101)에 있어서의 전자부품(1)의 실장 동작을 제어하는 실장 제어 장치의 제어 동작에 연관하여, 상기 제어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회로 기판에 실장될 전자부품(1)의 종류에 따라,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의 매거진(4)에 수용되어 있는 1장의 팰릿(3)이 선택되어 서, 이 선택된 팰릿(3)이 팰릿 공급구(6)의 높이 위치에 위치되도록, 매거진 승강 장치(8)에 의한 승강 동작이 제어되어, 이 높이 위치에 위치된 팰릿(3)을, 취출 장치(106)에 의해 취출 가능한 상태로 되게 하는 제어를, 제어 장치(9)는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쪽의 안전 스위치(29) 또는 안전 스위치용 도그(28)에 의해, 외측 문(20)의 개방 상태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어느 쪽의 매거진(4L 또는 4S) 내에 수용되어 있는 팰릿(3)의 수용 상태(지지 자세)에 이상이 있다는 가정 하에, 매거진 승강 장치(8)에 의한 승강 동작을 정지시키는 인터로크(interlock)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외측 문(20)의 개방 상태가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그 정보를 작업자가 인식 가능하게 사건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동작하는 표시부(19)가 구비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의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에 있어서, 매거진(4)에 수용된 팰릿(3)의 지지 자세(혹은 수용 자세)에 이상의 발생을 검출하는 방법을, 구체적인 예를 이용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전술한 지지 자세에 이상이 있는 팰릿(3)이 수용되어 있는 대형 매거진(4L)의 팰릿 공급 방향 A에 직교하는 단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며, 소형 매거진(4S)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다. 이러한 상태의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에 있어서의 팰릿(3)의 적층 단의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다.
우선,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에 있어서, 팰릿(3)이 정상적인 지지 자세로, 매거진(4) 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도 4 및 도 5에 나타낸다. 매거진(4) 내에 있어서, 수용된 팰릿(3)을 이 정상적인 지지 자세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2개의 요건이 있다. 제1요건으로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팰릿(3)의 전방 측 가장자리부(3a)가 팰릿 공급 방향 A를 향하도록 배치될(이러한 배치는 팰릿 공급 방향 A에 있어서의 정방향으로 나타낸다) 필요가 있다. 또한, 제2요건으로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팰릿(3)의 지지 측 단부(3c)가, 서로 대향하는 1쌍의 래크부(14)에 의해 지지되는, 즉, 대략 수평 지지 자세가 유지된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상술한 요건의 어느 하나를 만족하지 않으면, 그 팰릿(3)은, 정상적인 지지 자세로 수용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그 지지 자세에 이상이 있는 것이 된다. 상기의 경우에서는, 매거진 승강 장치(8)에 의한 매거진(4)의 승강 동작 및 취출 장치(106)에 의한 팰릿(3)의 취출 동작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이 동작에 의해, 팰릿(3) 및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 자체의 파손을 초래할 수도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에 있어서의 소형 매거진 수용실(16S)에 있어서는, 소형 팰릿(3S)의 전방 측 가장자리부(3a)가 팰릿 공급 방향 A에 역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즉, 이 자세는 팰릿 공급 방향 A에 있어서의 역방향의 지지 자세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소형 팰릿(3S)의 후방 측 가장자리부(3b)의 단부가, 전방 안내부(18)에 맞닿게 되어, 이 맞닿음에 의해, 팰릿 공급 방향 A에 있어서의 전방 측의 지지 위치가 규제된다. 상술한 상태에서, 소형 매거진(4S)의 내측 문(22)을 폐지하려고 하면, 내측 문(22)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후방 안내부(24)에, 소형 팰릿(3S)의 전방 측 가장자리부(3a)에 형성된 볼록 형 상의 파지부(3d)가 맞닿게 되고, 그 결과, 소형 팰릿(3S)이 후방 안내부(24)에 맞닿는 위치, 즉, 내측 문(22)의 회전 이동 위치가 제한되어, 폐지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또한, 이 내측 문(22)의 외측에는, 외측 문(20)(소형 매거진 수용실(16S)용의 외측 문(20))의 범퍼부(25)가 맞닿게 되어, 외측 문(20) 자체의 폐지를 위한 회전 이동이 제한되어서, 문을 완전히 폐지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서는, 이 외측 문(20)의 안전 스위치용 도그(28)가 안전 스위치(29)에 걸릴 수 없기 때문에, 제어 장치(9)가 표시부(19)에 외측 문(20)이 완전히 폐지될 수 없다는 사건을 표시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상기 사건을 인식하도록 한다. 이 표시를 인식한 작업자는, 소형 매거진(4S) 내에, 그 지지 자세에 이상이 있는 소형 팰릿(3S)이 포함되어 있는 것, 즉, 상기 역방향의 지지 자세로 수용되어 있는 소형 팰릿(3S)의 포함을 인식할 수 있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역방향의 팰릿(3)이 매거진(4)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이 팰릿(3)의 인식 방법(검출 방법)은, 대형 매거진(4L)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형의 매거진(4L) 내에는, 복수의 대형 팰릿(3L)이 수용되어 있으며, 1장의 대형 팰릿(3L)은, 서로 대향하는 1쌍의 래크부(14)에 팰릿의 지지 측 가장자리부(3c)가 지지되어 있지 않고, 상기 팰릿이 한쪽의 래크부(14)가 2단 어긋난 래크부(1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서로 대향하지 않는 래크부(14)에 의해 상기 지지 측 가장자리부(3c)가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팰릿이 대략 수평 지지 자세가 유지되지 않고, 경사진 지지 자세로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의 경우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형의 매거진(4L)의 내측 문(22)을 폐지하려고 하면, 내측 문(22)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는 빗살 안내부(26)의 돌기부(26a)의 단부가, 이 경사진 지지 자세의 대형 팰릿(3L)에 있어서의 후방 측 가장자리부(3b)와 맞닿아서 간섭하게 된다(도 7A 참조). 따라서, 빗살 안내부(26)의 돌기부(26a)가, 대형 팰릿(3L) 사이에 삽입되는 일 없이, 내측 문(22)의 회전 이동 위치가 제한되어서(규제되어서), 문을 완전히 폐지할 수 없다. 내측 문(22)의 외측에 범퍼부(25)가 맞닿아진 상태의 외측 문(20)(대형 매거진 수용실(16L)용의 외측 문(20))의 회전 이동도 또한 제한되어서(규제되어서), 상기 문을 완전히 폐지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외측 문(20)의 안전 스위치용 도그(28)가, 안전 스위치(29)에 걸릴 수 없기 때문에, 제어 장치(9)가 표시부(19)에 외측 문(20)이 완전히 폐지될 수 없다는 사건을 표시하게 해서, 작업자에게 상기 사건을 인식시킬 수 있다. 이 표시를 인식한 작업자는, 대형의 매거진(4L) 내에, 상기 경사진 지지 자세로 수용되어 있는 대형 팰릿(3L)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빗살 안내부(26)의 돌기부(26a)가, 상기한 바와 같이, 대형 팰릿(3L)에 맞닿게 된다면, 이 맞닿음 위치가 대형 팰릿(3L)의 가장자리부이기 때문에, 상기 돌기부(26a)는 대형 트레이(2L) 및 이 대형 트레이(2L)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부품(1)에 직접 간섭하지 않는다. 상술한 경사진 지지 자세의 팰릿(3)이 매거진(4)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이 팰릿(3)의 인식 방법(검출 방법)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형 매거진(4S)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실행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대형 매거진 수용실(16L)의 상태는, 대형의 매거진(4L) 내에, 상기 역방향의 지지 자세와 상기 경사진 지지 자세의 대형 팰릿(4L)이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는, 이 대형 팰릿(3L)의 전방 측 가장자리부(3a)에, 빗살 안내부(26)의 돌기부(26a)가 맞닿게 되어서, 상기 돌기부(26a)의 삽입이 규제됨으로써, 내측 문(22) 및 외측 문(20)을 완전히 폐지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형 매거진(4L) 내에 있어서, 2단 어긋난 래크부(14)에 그 지지 측 가장자리부(3c)가 지지되어 있는, 상기 경사진 지지 자세의 대형 팰릿(3L)뿐만 아니라, 1단 어긋난 래크부(14)에 지지되어 있는, 상기 경사진 지지 자세의 대형 팰릿(3L)에도 이 빗살 안내부(26)의 돌기부(26a)가 간섭하도록, 상기 돌기부(26a)의 형성 높이, 및 도 7A 및 도 7B의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빗살 안내부(26)의 배치가 결정된다. 이렇게 빗살 안내부(26)를 형성해 배치함으로써, 작업자가 비교적 무시하기 쉬운 상기 1단, 2단만큼 어긋난 상기 경사진 지지 자세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해서 설명한 대형 매거진(4L)에 상당하는 소형 매거진(4S)의 상태를 나타낸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 도 7A 및 도 7B의 설명의 내용과 마찬가지 내용을 가지므로, 도면에 대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매거진(4) 내에의 팰릿(3)의 지지 자세의 이상이, 외측 문(20)의 폐지가 제한됨으로써 검출되었을 경우에는, 제어 장치(9)에 의해, 매거진 승강 장치(8)의 구동을 연동해 정지시키고, 또한,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가 장비되어 있는 전 자부품 실장 장치(101)의 가동을 정지시킬 수도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는, 팰릿(3)의 상기 대략 수평 지지 자세를 규제하고, 또한 상기 경사진 지지 자세를 검출할 수 있는 빗살 안내부(26)에, 팰릿(3) 사이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기부(26a)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실시형태는 상술한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술한 경우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부재가, 매거진(4) 내에 있어서, 래크부(14)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 측면을 따라 구비되고, 또한 팰릿(3) 사이에 배치되도록, 복수의 막대 형상이나 또는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매거진(4) 내에 팰릿이 수용될 때에, 팰릿(3)의 수평 지지 자세가 규제되기 때문에, 상기 경사진 지지 자세로 상기 팰릿(3)이 수용되는 것 자체를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에 이용되는 팰릿(3) 형태의 한 예를, 도 3에 나타냈지만, 그 형태는 이러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형태가, 매거진(4) 내에 수용되고, 전방 안내부(18)에 의해 그 전방 측의 지지 위치가 규제된 상태에서, 정방향의 지지 자세와 역방향의 지지 자세 간에, 후방 안내부(24)에 의한 규제 위치(팰릿(3)이 후방 안내부(24)에 맞닿는 위치)가 상이한 형태이면, 도 3의 경우에 대신해서 어떤 형태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팰릿(3)의 상면 위에, 복수의 전자부품(1)이 정렬하여 배치된 트레이(2)가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배치에 대신하여, 트레이(2)를 팰릿(3)과 일체적으로 형성하여, 팰릿 (3) 대신에, 트레이(2)를 매거진(4) 내에 직접 수용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매거진(4)에의 팰릿(3)의 경사진 지지 자세에서의 삽입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신하여, 혹은, 상기 방법에 추가해서, 각각의 매거진(4)의 래크부(14)에, 1쌍의 래크부(14)가 동일한 번호 또는 동일한 색을 갖도록, 통과 번호나 식별 색을 첨부하여, 1쌍의 래크부(14)의 조합을 용이하게 식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작업자의 주의를 사전에 끌 수 있다.
또한, 팰릿(3)에 개별적으로 수준기(水準器)를 구비하여, 상기 팰릿(3)이 매거진(4)에 경사진 지지 자세로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이 수준기로 작업자의 주의를 끄는 경고 표시(예를 들면, 색 표시 등을 이용해서)를 할 수도 있다.
또한, 매거진(4)에 있어서의 1쌍의 래크부(14)에 있어서, 서로 쌍이 되는 래크부(14)에, 팰릿(3)이 정상적인 지지 자세로 삽입되었을 경우에, 미약한 전류를 흘려서 검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실시형태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는, 매거진(4)에 수용된 각각의 팰릿(3)의 래크부(14)에 의한 지지 위치를, 팰릿 공급 방향 A의 전방 측에 있어서, 팰릿(3)의 가장자리부와 맞닿음으로써 규제하는 전방 안내부(18)와, 매거진(4)의 내측 문(22)에 구비되어서, 팰릿 공급 방향 A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전방 안내부(18)에 의해 상기 규제된 팰릿(3)에 대하여, 팰릿 공급 방향 A의 후방 측에 있어서, 팰릿(3)의 가장자리부와 맞닿음으로써 규제하는 후방 안내부(2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치로써, 그 전방 측 가장자리부(3a)에 파지부(3d)가 형성되어서, 전방 측과 후방 측의 가장자리부의 형상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된 팰릿(3)이, 매거진(4) 내에 수용되었을 경우에, 후방 안내부(24)에 의한 규제 위치(맞닿음 위치)의 상위에 근거하여, 수용된 팰릿(3) 중 역방향의 지지 자세로 수용된 팰릿(3)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매거진(4) 내에 수용된 팰릿(3) 사이의 공극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기부(26a)가 형성되어 있는 빗살 안내부(26)를, 내측 문(22)에 구비함으로써, 모든 돌기부(26a)가 상기 간극에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팰릿(3)은, 경사지는 일 없게 유지된 대략 수평 지지 자세로 수용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어느 돌기부(26a)가 어느 팰릿(3)의 가장자리부와 맞닿아 간섭하여, 돌기부(26a)를 상기 간극에 삽입할 수 없는 경우에는, 경사진 지지 자세의 팰릿(3)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안내부(24) 및 빗살 안내부(26)가, 내측 문(22)에 구비되어 있다. 정방향의 지지 자세로 수용되어 있는 팰릿(3)의 가장자리부와 후방 안내부(24)와의 맞닿음 위치에서는, 내측 문(22)을 폐지할 수 있고, 역방향의 지지 자세로 수용되어 있는 팰릿(3)의 가장자리부와 후방 안내부(24)와의 맞닿음 위치에서는, 내측 문(22)을 폐지할 수 없으며, 또한, 빗살 안내부(26)가 팰릿(3)에 간섭하였을 경우일지라도, 내측 문(22)을 폐지할 수 없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써, 내측 문(22)을 폐지할 수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매거진(4) 내의 각각의 팰릿(3)의 지지 자세에 이상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 즉, 역방향의 지지 자세나 또는 경사진 지지 자세의 팰릿(3)이 포함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에 있어서, 매거진(4) 내에 수용된 각각의 팰릿(3)의 지지 자세의 이상을 확실하고 또한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고, 팰릿(3)을 항상 옳은 지지 자세로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팰릿(3)의 지지 자세에서 기인하는 전자부품 실장 장치(101)의 가동 정지, 및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의 구성 부품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는, 내측 문(22)이 폐지되었을 경우에만 폐지할 수 있는 외측 문(20)과, 이 외측 문(20)의 개폐를 검출하는 안전 스위치(29) 및 안전 스위치용 도그(28), 및 추가로 이 개폐 결과를 작업자에게 인식 가능하도록 허용하면서 개폐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표시부(19)를 구비하고 있으며, 더욱 확실하게 내측 문(22)의 개폐 상태를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매거진(4)에 구비된 내측 문(22)과, 본체부(5)에 구비된 외측 문(20)으로, 내측 문(22)을 매거진(4)과 일체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고, 빗살 안내부(26)가 내측 문(22)에 구비되어 있어도 매거진(4)의 승강 동작을 저해하는 일은 없다.
또한, 빗살 안내부(26)가, 매거진(4) 내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래크부(14) 사이의 중간 위치 근방이 아니고, 이 중간 위치로부터 어느 한쪽의 래크부(14)에 가깝게 위치함으로써, 상기 경사진 지지 자세의 팰릿(3)에 빗살 안내부(26)의 돌기부(26a)를 더욱 확실하게 맞닿게 해서 간섭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빗살 안내부(26)가, 2단 어긋난 래크부(14)에 의해 지지된 팰 릿(3), 및 1단 어긋난 래크부(14)에 의해 지지된 팰릿(3)이 간섭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돌기부(26a)의 형성 높이와 팰릿(3) 사이의 공극과의 치수 관계가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되어 있는 배치로 인해, 작업자가 무시하기 쉬운 상기 1단 및 2단만큼 어긋난 경사진 지지 자세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문(22)이 완전히 폐지된 경우일지라도, 빗살 안내부(26)의 각각의 돌기부(26a)의 단부가, 팰릿(3) 위에 탑재된 트레이(2)에 있어서의 전자부품(1)이 배치된 영역에 도달하는 일이 없도록, 각각의 돌기부(26a)는 길이 치수가 구성되어서,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돌기부(26a)가 전자부품(1)에 맞닿아 이 전자부품(1)을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트레이(2) 위에는, IC 칩과 같은 비교적 고가인 전자부품(1)이 배치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부품(1)의 손상 발생을 방지하는 능력은, 또한 부품 실장에 있어서의 생산 비용을 저감하여, 효율적인 부품 실장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제2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외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실시형태의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 혹은 그 밖의 구성을 갖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에 있어서, 팰릿의 일례인 트레이 플레이트 위에서의 부품 공급 트레이를 고정하는 방법을 연구함으로써, 부품 공급 트레이로부터의 전자부품의 뛰어오름 등을 방지하면서, 안정되고 효율적인 전자부품의 공급을 실행할 수 있는 트레이 플레이트 구성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로서 이하에 설명한다.
본 제2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 장치에서 취급되는 부품 공급 트레이가 탑재되는 탑재부의 일례(또한 팰릿의 일례이기도 함)인 트레이 플레이트(503)의 평면도를 도 13A에 나타내고, 그 측면도를 도 13B에 나타낸다. 또한, 이 트레이 플레이트(503) 위에 부품 공급 트레이가 탑재된 상태의 평면도를 도 14A에 나타내고, 그 측면도를 도 14B에 나타낸다.
도 13A, 도 13B,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 플레이트(503)는, 대략 평판 형상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 상면에는, 전자부품의 일례인 복수의 전자부품(501)을 픽업 가능하게 배치하는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수용하는 탑재 평면(이것은, 탑재 영역이라고 할 수도 있다)을 포함한다. 이 트레이 탑재면(504)은, 트레이 플레이트(503)의 상면에 있어서의 주변부로 둘러싸여 형성된 대략 4각형의 평면 영역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트레이 탑재면(504) 위에 위치되도록,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 플레이트(503)는, 회로 기판 위에 전자부품을 실장하는 부품 실장 장치에 전자부품을 공급하기 위해 이용된다.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탑재한 복수의 트레이 플레이트(503)는, 매거진 등에 계층적으로 수용되어서, 회로 기판에 실장될 전자부품의 종류에 따라, 상기 매거진으로부터 취출된다. 부품 실장 장치에 있어서의 부품 흡착 유지 부재의 일례인 흡착 노즐에 의해, 이 취출된 트레이 플레이트(503)에 탑재되어 있는 부품 공급 트레이(502)로부터 원하는 전자부품이 흡착 유지되어서 픽업되고, 부품 실장 장치에 의해 상기 전자부품이 회로 기판 위에 실장될 수 있다.
이 트레이 플레이트(503)의 구성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 플레이트(503)의 도면 왼쪽에 위치해서, 오목 형상을 갖는 걸림부(503a)가,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503a)에, 트레이 플레이트 인출 장치(도시하지 않음)의 인출부를 걸리게 함으로써, 이 트레이 플레이트(503)를 도시한 Ⅹ축 방향에 진퇴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이동 가능한 배치로서, 예를 들면, 상기 매거진 내에 수용되어 있는 트레이 플레이트(503)를 상기 진퇴 이동에 의해, 매거진 내에서 인출, 또는 매거진 내에 수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 플레이트(503)의 트레이 탑재면(504)에는, 도시한 하부 왼쪽 모서리 부분을 기준 위치로 해서, 부품 공급 트레이(502)가 탑재된다. 그러므로, 이 기준 위치에 배치된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도시한 Ⅹ축 방향 좌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기준 위치 규제 부재의 일례인 Ⅹ축 방향 기준 위치 규제 부재(510)(이후, Ⅹ축 기준 부재(510)라고 함)와, 도시한 Y축 방향 하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기준 위치 규제 부재의 일례인 Y축 방향 기준 위치 규제 부재(512)(이후, Y축 기준 부재(512)라고 함)가, 트레이 플레이트(503)에 구비되어 있다. 이 Ⅹ축 기준 부재(510)는, 도시한 Y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면이며, 또한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이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상기 Ⅹ축 방향(즉, 길이 방향)에서 규제할 수 있는 Ⅹ축 방향 기준면(510a)(이후, Ⅹ축 기준면(51Oa)이라고 함)을 구비하고 있다. Y축 기준 부재(512)는, 도시한 Ⅹ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면이며, 또한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단부 에 맞닿음으로써, 이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상기 Y축 방향(즉, 수평 방향)에서 규제할 수 있는 Y축 방향 기준면(512a)(이후, Y축 기준면(512a)이라고 함)을 구비하고 있다. 본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Ⅹ축 방향 및 Y축 방향은, 트레이 탑재면(504)의 표면을 따르는 방향이며, 서로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한, Ⅹ축 기준 부재(510)와 Y축 기준 부재(512)는, 트레이 플레이트(503)의 상기 각각의 단부 근방에, 예를 들면, 나사 조임 또는 기타 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다. 본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걸림부(503a)는, Ⅹ축 기준 부재(5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Ⅹ축 기준 부재(510)에 있어서, Ⅹ축 기준면(510a)이 형성된 측에 위치한 면으로부터 반대인 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 플레이트(503)는, Ⅹ축 기준 부재(510)의 Ⅹ축 기준면(510a)과, Y축 기준 부재(512)의 Y축 기준면(512a)에, 각각의 단부가 맞닿아진 상태의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도시한 Ⅹ축 방향에 있어서의 우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으며, 또한 막대 형상의 구조를 갖는 고정 부재의 일례인 Ⅹ축 방향 고정 막대(514)(이후, Ⅹ축 고정 막대(514)라고 함)와, 상기 상태의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도시한 Y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향 이동을 규제할 수 있으며, 또한 막대 형상의 구조를 갖는 고정 부재의 일례인 Y축 방향 고정 막대(516)(이후, Y축 고정 막대(516)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다. 이 Ⅹ축 고정 막대(514)와 Y축 고정 막대(516)는, 예를 들면,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내장되어 있는 자석에 의해, 트레이 탑재면(504) 위의 임의의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그 배치 위치를 자기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Ⅹ축 고정 막대(514) 및 Y축 고정 막대(516)에 의해, 트레이 탑재면(504)에 탑재되어 있는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탑재 위치를 고정한 상태를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낸다.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 플레이트(503)의 트레이 탑재면(504)에 있어서, Ⅹ축 기준 부재(510)와 Y축 기준 부재(512)에 상기 단부를 맞닿게 함으로써, 도시한 Ⅹ축 방향 좌향 및 Y축 방향 하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의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단부에 대하여, 상기 단부로부터 대향하는 측(즉, 반대 측)에 위치한 단부에 맞닿도록, Ⅹ축 고정 막대(514) 및 Y축 고정 막대(516)가 트레이 탑재면(504) 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배치된 막대를 자기적으로 고정함으로써,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도시한 Ⅹ축 방향 우향 이동 및 도시한 Y축 방향 상향 이동도 규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트레이 탑재면(504)에 있어서,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탑재 위치를, 도시한 Ⅹ축 방향 및 Y축 방향, 즉, 트레이 탑재면(504)의 표면을 따르는 방향(즉, 제1방향)에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Ⅹ축 고정 막대(514) 및 Y축 고정 막대(516)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를 도 15에 나타낸다. 본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Ⅹ축 고정 막대(514)와 Y축 고정 막대(516)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도 15에 있어서는, 이것들을 대표해서 Ⅹ축 고정 막대(514)의 단면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Ⅹ축 고정 막대(514)는,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단부(502a)에 접촉됨으로써,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상기 탑재 위치를 Ⅹ축 방향에 고정하는 고정면(514a)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고정면(514a)은, 예를 들면, 트레이 탑재면(504)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θ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트레이 탑재면(504)에 대하여 직교하는 일 없이 소정의 각도(90°-θ°)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면(514a)은, 도 15의 상향 수직에 맞닿는 부품 공급 트레이(502) 측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고정면(514a)으로써, 이 고정면(514a)에 맞닿은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도면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즉, Ⅹ축 방향)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고,또한 도면의 수직 방향의 이동도 규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구조를 갖는 Ⅹ축 고정 막대(514) 및 Y축 고정 막대(516)를 이용함으로써, 트레이 탑재면(504)에 있어서,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도시한 Ⅹ축 방향 및 Y축 방향에 고정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트레이 탑재면(504)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도 상기 트레이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Ⅹ축 고정 막대(514)에 있어서의 경사진 상기 고정면(514a)은, 트레이 탑재면(504)의 표면을 따르는 방향인 제1방향의 상기 고정에 대한 일례(또는 제1방향 고정부의 일례)로 되어 있으며, 또한 트레이 탑재면(504)의 표면에 직교하는 방향인 제2방향의 상기 고정에 대한 일례(또는 제2방향 고정부의 일례)로 되어 있다. 즉, 고정면(514a)은, 상기 제1방향 고정면과 상기 제2방향 고정면이 동일한 면으로서 형성되어,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Ⅹ축 고정 막대(514)에 있어서, 이러한 고정면(514a)은, 다른 쪽에도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면(514a)이 양쪽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Ⅹ축 고정 막대(514)의 단면 형상을 대칭으로 만들 수 있고, Ⅹ축 고 정 막대(514)의 어느 쪽의 고정면(514a)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취급성을 만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이렇게 경사진 고정면(514a)이 양쪽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신하여, 도 27에 나타내는 Ⅹ축 고정 막대(584)와 같이, 어느 한쪽에만, 상기 경사진 고정면(584a)이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대략 수직 고정면(584c)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이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는, 대략 수직 고정면(584c)에 의해서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고정함으로써,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는, 확실한 고정을 확보하기 위해서,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휨이 비교적 작고, 부품 공급 트레이(502)에 수용되어 있는 부품(501)의 중량이 비교적 무겁고, 또한 부품 공급 트레이(502)로부터의 부품(501)의 뛰어나옴이 발생하기 어려운 것이 필요하다. 또한, 경사진 고정면(584a)에 의해서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고정함으로써,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고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휨이 비교적 크고, 그 강도가 비교적 작으며, 또한 부품 공급 트레이(502)에 수용되어 있는 부품(501)의 중량이 비교적 가벼운 경우에, 효과적으로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고정을 달성할 수 있다. 즉, 고정 대상인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특징에 따라, 고정면 사이에서 선택함으로써, 최적의 고정 방법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경사진 고정면(584a)으로 고정하는 경우에서는, 고정된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트레이 플레이트(503)의 트레이 탑재면(504)에 대하여 누를 수 있다. 그러므로, 부품 공급 트레이(502)와 트레이 플레이트(503)를 일체적인 상태로 할 수 있고, 부품 공급 트레이(502) 및 트레이 플레이트(503)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트레이 플레이트(503)는, 예를 들면, 두께 약 0.5mm의 판금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Ⅹ축 고정 막대(514)의 하부에는, 자성 재료로 형성된 자성 부재의 일례인 자석 섹션(514b)이 내장되어 있어, 트레이 탑재면(504) 위의 원하는 위치에, Ⅹ축 고정 막대(514)를 해제 가능하게 자기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석 섹션(584b)의 하면과 트레이 탑재면(504)과의 사이에 간극 G를 설치함으로써, 자석 섹션(584b)의 하면이 트레이 탑재면(504)에 접촉된 상태보다도 강한 자계를 얻을 수 있다. Ⅹ축 고정 막대(584)의 고정면(584a 및 584c)을 형성하고 있는 부재는, 예를 들면, 철판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그 탑재 위치가 고정된 상태의 부품 공급 트레이(502)에 대하여, 흡착 노즐에 의해 잘못된 흡착이 실행되어, 흡착력 F가 가해지는 경우에 있어서의 Ⅹ축 고정 막대(514) 및 Y축 고정 막대(516)에 발생하는 힘(Ⅹ축 고정 막대(514)에 발생하는 힘을 대표해서 언급함)을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를 도 16에 나타낸다. 도 16에 있어서는, 흡착 노즐에 의해 부품 공급 트레이(502)에 가해지는 흡착력을 F,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자중(自重)을 mg(g는 중력 가속도), Ⅹ축 고정 막대(514)에 있어서의 자기 유지력을 fm, Ⅹ축 고정 막대(514)의 고정면(514a)의 경사 각도를 θ, 흡착력 F에 따른 Ⅹ축 고정 막대(514)의 고정면(514a)에 발생하는 수평 방향의 분력(分力)을 Fs, Ⅹ축 고정 막대(514)의 하면의 폭 치수를 W,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높이(두께) 치수를 H라고 가정하고 있다.
우선, 부품 공급 트레이(502)에 대하여, 흡착 노즐에 의해 잘못된 흡착이 실행되었을 경우에, 트레이 플레이트(503)로부터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들어올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식 (1)의 조건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F <(mg+fm) ···(1)
또한, 도 16에 있어서의 Ⅹ축 고정 막대(514)의 하면에 있어서의 단부의 A점 주변에 생기는 모멘트를 생각하면, 식 (2)의 조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Fs ×H <fm ×W/2 ···(2)
Ⅹ축 고정 막대(514)의 고정면(514a)에 발생하는 수평 방향의 분력 Fs는 식 (3)에 의해 나타낸다.
Fs = F×tanθ···(3)
그러므로, 전술한 조건에 근거하여, 고정면(514a)의 경사 각도 θ를 결정할 수 있다. 경사 각도 θ는, 예를 들면, 약 1°∼30°의 범위 내에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탑재하는 트레이 플레이트(503)가, 매거진에서 인출에 의해 이동될 경우에는, 이 이동에 의한 가속도 α에 근거하는 수평력 K가, 부품 공급 트레이(502)에 발생하고, 이 수평력 K는 식 (4)에 의해 나타낸다.
K = mg×α···(4)
또한, 이러한 수평력 K가 부품 공급 트레이(502)에 가해진 상태에 있어서도,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트레이 플레이트(503) 위에 확실하게 고정해 유지하기 위해서는, 식 (5)의 조건이 필요하게 된다. μ는 Ⅹ축 고정 막대(514)의 하면과 트레 이 플레이트(503) 사이의 마찰 계수인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K <fm×μ ···(5)
또한, 도 16에 있어서의 Ⅹ축 고정 막대(514)의 하면에 있어서의 단부의 A점 주변에 발생하는 모멘트를 생각하면, 식 (6)의 조건도 만족할 필요가 있다.
K ×H <fm×W/2 ···(6)
그러므로, 전술한 조건에 근거하여,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높이(두께) H, Ⅹ축 고정 막대(514)의 하면의 폭 치수 L, 또한 Ⅹ축 고정 막대(514)에 있어서의 자기 유지력 fm을 결정할 수 있다.
본 제2실시형태의 고정 부재인 Ⅹ축 고정 막대(514) 및 Y축 고정 막대(516)의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밖의 구성도 채용할 수 있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고정 부재에 관한 몇 개의 변형 예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예를 들면, 본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변형 예에 따른 고정 부재의 일례인 Ⅹ축 고정 막대(524)의 개략 단면도를 도 17에 나타낸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Ⅹ축 고정 막대(524)는,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단부(502a)와 맞닿음으로써,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탑재 위치를 트레이 탑재면(504)의 표면을 따르는 방향에 고정하는 제1방향 고정부의 일례이며 또한 제1방향 고정면의 일례로서 역할을 하는 수평 방향 고정면(524a)과, 수평 방향 고정면(524a)에 맞닿아진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단부(502a)의 상부에 맞닿아지는 동시에, 이 단부(502a)를 트레이 탑재면(504)을 향해서 항상 힘을 가함으로써,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탑 재 위치를 트레이 탑재면(504)에 직교하는 방향에 고정하는 제2방향 고정부의 일례이며 제2방향 고정면의 일례로서 역할을 하는 수직 방향 고정 스프링(가세(加勢) 부재의 일례)(524c)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방향 고정면(524a)은, 트레이 탑재면(504)에 대략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유사하게 대략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단부(502a)의 단면(端面)과 면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방향 고정 스프링(524c)은, Ⅹ축 고정 막대(524)의 상부에 고정된 일단(一端)을 갖고 있으며, 타단(他端)이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단부(502a)의 상부에 맞닿아짐으로써, 이 단부(502a)를 아래쪽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Ⅹ축 고정 막대(524)에 있어서도, Ⅹ축 고정 막대(514)와 유사하게, 자성 물질의 일례인 자석 섹션(524b)이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막대는 자기적으로 트레이 탑재면(504) 위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 Ⅹ축 고정 막대(524) 및 유사한 구조를 갖는 Y축 고정 막대를 이용함으로써,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탑재 위치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방향 고정 스프링(524c)에 의한 가세력(加勢力)이, 흡착 노즐에 의한 흡착력에 대항 가능한 크기가 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 고정 스프링(524c)을 형성함으로써, 흡착 노즐의 잘못된 흡착에 의해 부품 공급 트레이(502)가 흡착 유지되는 경우이어도, 이 흡착력에 대항할 수 있고,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들어올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세 부재가 수직 방향 고정 스프링(524c)일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술한 경우에 대신하여, 부재가 상기 가세 기능을 확보할 수 있 는 것이면, 스프링 이외의 탄성 부재를 이용하는 것도 채용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제2실시형태의 제2변형 예에 따른 고정 부재의 일례인 Ⅹ축 고정 막대(534)의 개략 단면도를 도 18에 나타낸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Ⅹ축 고정 막대(534)는,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단부(502a)와 맞닿음으로써,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탑재 위치를 트레이 탑재면(504)과 직교하는 방향에 고정하는 제2방향 고정부의 일례이며 제2방향 고정면의 일례로서 역할을 하는 복수의 수직 방향 고정면(534c)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직 방향 고정면(534c)은, 트레이 탑재면(504)과 대략 평행하게 서로 상이한 높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형성 높이에 일치하는 높이를 갖는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단부(502a)와 맞닿을 수 있다. 또한, Ⅹ축 고정 막대(534)는, 각각의 수직 방향 고정면(534c)에 개별적으로 대응되어서, 서로 인접하는 형성 높이를 갖는 수직 방향 고정면(534c)을 연결하도록 형성된 제1방향 고정부의 일례이며 제1방향 고정면의 일례로서 역할을 하는 복수의 수평 방향 고정면(534a)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수평 방향 고정면(534a)은, 트레이 탑재면(504)에 대략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맞닿아지는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탑재 위치를 수평 방향에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Ⅹ축 고정 막대(534)에 있어서, 복수의 수평 방향 고정면(534a)과 복수의 수직 방향 고정면(534c)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서로 대응하는 수평 방향 고정면(534a)과 수직 방향 고정면(534c)에 복수의 계단부가 형성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Ⅹ축 고정 막대(534) 위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계단부 중,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단부(502a)의 높이에 일치하는 계단부, 즉, 단부(502a)와의 접촉 높이 위치에 일치하는 계단부를 선택하여서, 이 선택된 계단부가 상기 단부(502a)와 맞닿게 된다. 즉, 이 계단부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 고정면(534a)이 상기 단부(502a)의 단면과 맞닿아지고, 또한 이 계단부에 있어서의 수직 방향 고정면(534c)이 상기 단부(502a)의 상면과 맞닿게 된다. 그 결과,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탑재 위치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계단부를 형성함에 있어서는, 수평 방향 고정면(534a) 및 수직 방향 고정면(534c)의 면적이 상기 고정을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계단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수직 방향 고정면(534c)의 면적이, 흡착 노즐의 잘못된 흡착에 의한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들어올리려고 하는 힘에 저항할 수 있도록, 상기 계단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제2실시형태의 제3변형 예에 따른 고정 막대의 일례인 Ⅹ축 고정 막대(544)의 개략 단면도를 도 19에 나타낸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Ⅹ축 고정 막대(544)는,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단부(502a)와 맞닿음으로써,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탑재 위치를 트레이 탑재면(504)을 따르는 방향에 고정하는 제1방향 고정부의 일례이며 제1방향 고정면의 일례로서 역할을 하는 수평 방향 고정면(544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Ⅹ축 고정 막대(544)는,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탑재 위치를 트레이 탑재면(504)에 직교하는 방향에 고정하는 제2방향 고정부의 일례이며 제2방향 고정면의 일례로서 역할을 하는 수직 방향 고정부(544c)도 구비하고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방향 고정부(544c)는, 그 고정 높이 위치를 가변시키도록 조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 탑재 위치가 고정되는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단부(502a)의 높이에 따라, 수직 방향 고정부(544c)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어, 여러 가지 종류의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는, Ⅹ축 고정 막대(514) 및 Y축 고정 막대(516)가 모두 내장된 자석 섹션을 구비하고, 자기적으로 트레이 탑재면(504)에 고정될 수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본 제2실시형태는 상기 경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밖의 고정 막대의 고정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A 및 도 20B의 트레이 플레이트(603)의 개략 평면도 및 측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이 플레이트(603)의 트레이 탑재면(604) 위에 복수의 슬롯부(slot portion)(604a)를 구성하여, 고정 막대(614 및 616)를, 각각의 슬롯부(604a)의 형성 범위 내의 임의의 위치에서 나사 등을 이용해서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수단은, 예를 들면, 부품 공급 트레이(502)에, 자기적인 영향으로 손상되기 쉬운 전자부품(501)이 배치되어서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 자기적인 고정 수단을 이용하지 않음으로써, 전자부품(501)에의 자기적인 영향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효과적인 수단이다.
또한, 흡착 노즐의 흡인력이 크고, 이 흡착 노즐에 의해 부품 공급 트레이(502)가 잘못 흡착되었을 경우에,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들어올리려고 하는 힘이, 자석 섹션(514b) 등의 자기력보다도 커지는 경우일지라도, 슬롯부(604a)에 나 사 등의 걸림에 의한 기계적인 힘이 들어올리려고 하는 힘에 대항할 수 있고,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상기 들어올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추가적인 이점이 있다.
상기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여러 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우선, 트레이 플레이트(503)의 트레이 탑재면(504)에 탑재된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탑재 위치를, 트레이 탑재면(504)의 표면을 따르는 방향(수평 방향)에 고정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동시에 트레이 탑재면(504)에 직교하는 방향(수직 방향)에도 고정하는 기능을, Ⅹ축 고정 막대(514)와 Y축 고정 막대(516)가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에 고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흡착 노즐에 의해 부품 공급 트레이(502)가 잘못 흡착되는 경우일지라도, 수직 방향에도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들어올림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들어올림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전자부품(501)의 뛰어나옴 및 위치 변위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효율적인 부품 실장을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Ⅹ축 고정 막대(514)(Y축 고정 막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임)는, 트레이 탑재면(504)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해서 경사진 면을 갖는 고정면(514a)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으로써, 이 고정면(514a)에 맞닿아지는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탑재 위치를,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에도 동시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경사진 1개의 면인 고정면(514a)에 의해, 상기 동시적인 고정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고정면(514a)이 경사진 면이라는 사실에 의해, 여러 가지 형상을 갖는 단부(502a)를 구비하는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고정에 대응할 수 있고, 다양성을 갖는 고정 막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Ⅹ축 고정 막대(514)의 고정면(514a)의 경사 각도 θ를, 예를 들면, 트레이 탑재면(504)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완만하게 경사지는 경우에서는, 상기 고정 막대는 더욱 여러 가지 단부 형상의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고정에 대응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직교하는 평면에 대하여 크게 경사지는 경우에서는, 더욱 확실하게 수직 방향의 고정을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면이 크게 경사지는 경우에서는, 상기 막대는, 박형화된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고정에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특징을 이용함으로써,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형상, 고정하는 힘 등에 따라, 적절한 경사 각도 θ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Ⅹ축 고정 막대(524, 534, 또는 544)에, 수직 방향 고정 스프링(524c)을 구비할 경우, 또는 복수의 수평 방향 고정면(534a)과 복수의 수직 방향 고정면(534c)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계단부를 구비할 경우, 또는 그 형성 높이가 가변이고 조정할 수 있는 수직 방향 고정면(544c)을 구비할 경우에는, 상기 막대는 여러 가지 단부 형상을 갖는 부품 공급 트레이(5O2)의 고정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부품 공급 트레이(502)가 변형되어 휘어진 경우일지라도,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단부(502a)를 Ⅹ축 고정 막대(514) 등에 의해, 수직 방향에 고정함으로써, 이 휨이 교정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는 트레이 탑재면(504)에 탑재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일지라도, 흡착 노즐에 의한 안정된 전자부품(501)의 픽 업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낸 Ⅹ축 기준 부재(510)의 Ⅹ축 기준면(510a) 및 Y축 기준 부재(512)의 Y축 기준면(512a)을 경사진 면으로서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들어올림의 방지를 더욱 확보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부품 공급 방법에 있어서의 부품 공급 트레이로부터의 부품 픽업 방법은, 부품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흡착 노즐의 부품 픽업을 위한 승강 동작을, 이 흡착 노즐에 의한 흡인 시작 타이밍에 서로 관련시켜 적절한 타이밍으로 함으로써,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들어올림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부품의 흡착 및 픽업을 실행하는 부품 흡착 유지 부재의 일례인 흡착 노즐(561)을 구비하는 부품 실장 헤드(56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를 도 22에 나타낸다. 상기 부품 실장 헤드(560)는, 전자부품의 회로 기판 위에의 실장이 실행되는 부품 실장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구비되어, 이 부품 실장 장치의 기계 베이스의 상면 위에 배치된 회로 기판이나 부품 공급 트레이 등에 대하여, 기계 베이스 상면을 따르는 방향에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이 이동 동작이 실행됨으로써, 부품 공급 트레이로부터 픽업된 전자부품을, 회로 기판의 위쪽에 이동시켜서 실장할 수 있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품 실장 헤드(560)는, 전자부품(501)을 해제 가능하게 흡착 유지하는 흡착 노즐(561)과, 이 흡착 노즐(56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장치(562)와, 흡착 노즐(561)에 있어서의 전자부품(501)의 흡착 유지를 실행하기 위한 흡인 장치의 일례인 진공 흡인 장치(563)를 구비하고 있다.
흡착 노즐(561)은 그 아래쪽 선단(先端)에, 전자부품(501)과 접촉되면서, 이 전자부품(501)을 흡착 유지할 수 있는 흡착부(561a)를 구비하고 있다. 이 흡착부(561a)는, 도관(혹은 흡인관)(563a)을 통해서 진공 흡인 장치(563)에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접속은 전술한 상기 흡착 유지를 실행되게 한다. 이 도관(563a)의 도중에는, 개폐 제어가 가능한 제어 밸브의 일례인 흡착 밸브(563b)가 구비되어 있다. 이 구성은, 흡착 밸브(563b)를 개방시킴으로써, 흡착부(561a)와 진공 흡인 장치(563)를 도관(563a)을 통해 서로 연통하는 상태를 실현하여, 상기 흡착부(561a)에서 발생된 흡인력에 의해 전자부품(501)의 흡착 유지를 실행시킬 수 있고, 또한 흡착 밸브(563b)를 폐지시킴으로써, 흡착부(561a)와 진공 흡인 장치(563) 사이를 도관(563a)을 통해 연통이 차단된 상태를 실현하여, 흡착부(561a)에서 흡인력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승강 장치(562)에 대해서는, 볼 나사 축부와 이 축부에 나사로 맞물린 너트부를 구비한 메커니즘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볼 나사 축부를 구동 모터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나사로 맞물린 너트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 동작에 의해, 이 너트부에 고정되어 있는 흡착 노즐(561)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흡착 노즐(561)의 승강 구동량은, 예를 들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구동량을 제어함으로써 실행할 수 있고, 또한 그 승강 동작의 범위, 즉 상한 및 하한은, 전기 적 또는 기계적으로 규제되어 있다. 또한, 승강 장치(562)에는, 흡착 노즐(561)의 상승 속도(시간) 및 하강 속도(시간)를 제어하는 속도 제어기(562a)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품 실장 헤드(560)에 있어서는, 승강 장치(562)에 의한 흡착 노즐(561)의 승강 동작, 속도 제어기(562a)에 의한 속도 제어 동작, 진공 흡인 장치(563)에 의한 진공 흡인 동작, 및 흡착 밸브(563b)의 개폐 동작을, 서로 관련시키면서 통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장치(570)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 장치(570)에 의해, 흡착 노즐(561)의 승강 동작, 진공 흡인 장치(563)에 의한 진공 흡인 동작, 및 흡착 밸브(563b)의 개폐 동작의 동작 타이밍을 서로 관련시키면서 제어함으로써, 전자부품(501)을 흡착 유지에 의해 픽업할 수 있다.
도 22에 있어서는, 전술한 구성의 부품 실장 헤드(560)에 대하여 전술한 상대적인 이동이 실행되고, 부품 실장 헤드(560)가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위쪽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부품 공급 트레이(502)에는, 복수의 전자부품(501)이 픽업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부품 실장 헤드(560)에 구비된 흡착 노즐(561)에 의해, 부품 공급 트레이(502)에 배치되어 있는 전자부품(501)의 흡착 및 픽업을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흡착 및 픽업에 있어서의 흡착 노즐(561)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략 설명도를 도 23A, 도 23B, 및 도 23C에 나타낸다. 이 흡착 및 픽업에 있어서의 흡착 밸브(563b)의 개폐 동작의 변화 상태(도 21A), 흡착부(561a)에 있어서의 전자부품(501)의 흡착 유지를 위한 흡인 압력의 변화 상태(도 21B), 및 흡착 노즐(561)의 승강 동작에 의한 높이 위치(흡착부(561a)의 높이 위치)의 변화 상태(도 21C)에 대해서 동일한 시간 베이스(수평 축) 위에 세로 축에 그림으로 나타낸, 변화 상태를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를 도 21A 내지 도 21C에 나타낸다. 이하에 설명하는 동작은, 부품 실장 헤드(560)에 구비된 제어 장치(570)에 의해, 관련을 통해 통괄적으로 제어되면서 실행되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도 21A의 타이밍 차트에 있어서는, 흡착 밸브(563b)의 동작은 개방 또는 폐지의 어느 상태를 나타낸다. 도 21B에 있어서는, 흡착부(561a)에서 발생하는 흡인 압력(흡인력)의 크기를, 이 흡인력이 발생하지 않고 있는 상태 PO(예를 들면, 압력이 제로의 상태)와, 전자부품(501)의 흡착 유지에 필요한 최저 흡인 압력인 부품 유지 흡인 압력 P1과, 부품 유지 흡인 압력 P1보다도 높은 압력이며, 전자부품(501)의 흡착 유지를 확실하고 또한 안정되게 실행하기 위한 흡인 압력 P2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도 21C에 있어서는, 흡착 노즐(561)의 흡착부(561a)의 높이 위치를, 그 승강 동작 범위 내에 있어서의 상단의 높이 위치 HO와, 전자부품(501)을 흡착 유지 가능한 높이 위치(즉, 전자부품(501)에 흡착부(561a)가 맞닿는 높이 위치) H1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도 21A 내지 도 21C에 있어서는, 상기 흡착 유지에 의한 픽업 동작에 있어서의 특이(特異) 시점을 시간 T1∼T5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도 2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품 공급 트레이(502)에 배치된 복수의 전자부품(501) 중 1개의 전자부품(501)과, 흡착 노즐(561)과의 위치 맞춤이 실행된 후, 시간 T1에서, 상단 높이 위치 HO에 위치되어 있는 흡착 노즐(561)의 하강 동작이 시작된다. 이 시간 T1에 있어서는, 흡착 밸브(563b)는 폐지된 상태이며, 흡착부 (561a)에 있어서는 흡인 압력은 아직 PO인 채로 있다.
그 후, 흡착 노즐(561)이 하강되어서, 시간 T2에서 흡착부(561a)가 높이 위치 H1에 위치되면, 흡착부(561a)가 전자부품(501)의 상면에 맞닿게 된다. 이 상태를 도 23B에 나타낸다. 상기 맞닿음에 따라, 흡착 밸브(563b)가 개방되고, 그 결과로서 흡착부(561a)에서 흡인 압력의 상승이 시작된다.
드디어, 시간 T3에서 흡인 압력이 전자부품(1)을 흡착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저 부품 유지 흡인 압력 P1에 도달하고, 그것과 함께, 흡착 노즐(561)의 상승이 시작된다. 그 결과로서, 흡착부(561a)에 맞닿아져 있는 전자부품(501)의 상면이 이 흡인 압력으로 흡착부(561a)에 의해 흡착 유지되면서, 부품 공급 트레이(502)로부터 상기 전자부품(501)이 상승되어서 픽업된다. 이 상태를 도 23C에 나타낸다. 또한, 흡착부(561a)의 흡인 압력의 상승이 그 후에 계속되어서, 시간 T4에서, 흡인 압력이 확실한 흡착 유지를 안정되게 실행할 수 있는 흡인 압력 P2에 도달한다.
그 후, 시간 T5에서, 흡착 노즐(561)의 흡착부(561a)가 전자부품(501)을 흡착 유지한 상태에서 상단 높이 위치 HO에 위치되어, 부품 실장 헤드(560)가 전술한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회로 기판의 위쪽 위치에 이동되고, 이 전자부품(501)의 실장이 실행된다.
또한, 흡착 노즐(561)의 흡착부(561a)에 발생된 부품 유지 흡인 압력 P1은, 예를 들면, 전자부품(501)을 흡착 유지 가능한 흡인 압력 이상이며, 또한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흡착 유지해서 들어올릴 수 있는 흡인 압력보다도 낮은 흡인 압력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흡인 압력을 설정함으로써, 흡착 노즐 (561)에 의해 부품 공급 트레이(502)에 있어서의 전자부품(501)이 배치되지 않고 있는 부분을 흡인하는 경우일지라도,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들어올릴 수 없다. 그러므로,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들어올림의 발생에 의한 전자부품(501)의 뛰어오름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부품 유지 흡인 압력 P1은, 부품 공급 트레이(502) 및 부품(501)의 상태(크기, 형상, 중량 등)에 따라, 최적인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량이 약 100∼300g인 부품 공급 트레이(502)에 탑재된 중량이 8g인 대형 부품(501)을 흡착 유지하는 경우에서는, 부품 유지 흡인 압력 P1을 약 0.9kPa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에서는, 안전율(安全率)이 10배 이상이며, 잘못된 흡착에 의한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들어올림을 방지하면서, 부품(501)의 흡착 및 픽업을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1B 및 도 2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부품(501)의 상면에 맞닿아진 흡착 노즐(561)의 상승이 시작되는 시간 T3에 있어서, 전자부품(501)을 흡착 유지 가능한 부품 유지 흡인 압력 P1에 흡인 압력이 도달하도록, 예를 들면, 흡착 노즐(561)이 전자부품(501)과 맞닿는 시간 T2에서, 흡착 밸브(563b)를 해제하여 흡인 압력의 상승을 시작함으로써, 시간 T3에서 확실하게 전자부품(501)을 흡착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흡인 압력의 상승을 시작하는 타이밍은, 상기 압력의 상승 시작으로부터 전자부품(501)을 흡착 유지할 수 있는 부품 유지 흡인 압력 P1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착 노즐 (561)의 상승 시작의 시간 T3을 기준으로 해서, 상기 압력의 부품 유지 흡인 압력 P1에 도달할 때까지 필요로 하는 시간을 고려하여 흡인 압력 상승 시작을 결정함으로써, 불필요한 흡인 압력의 발생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에너지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흡인 압력이 불필요할 때, 예를 들면, 흡착 노즐(561)의 하강 동작 중 등에 있어서, 흡인 압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 흡인 압력의 발생에 의한 흡착 유지하려고 하는 전자부품(501) 이외의 부재에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착 노즐(561)에 의한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잘못된 흡착이나 다른 전자부품(501)의 잘못된 흡착 및 배치 위치 변위의 발생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흡인 압력의 상승 시작의 타이밍은, 예를 들면, 흡착 노즐(561)과 전자부품(501)이 서로 맞닿는 시간 T2 직전의 시점, 혹은 시간 T2 이후로 되어야 바람직하고,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특징이나 부품(501)의 크기, 중량 등에 의해, 원하는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1A 내지 도 21C에 있어서, 시간 T1을 기준 시간(시간 0초)이라고 가정하면, 각각 시간 T2가 210초, 시간 T3이 260초, 시간 T5가 530초라고 할 수 있다. 이것들 시간을 제어 장치(570)에 의해 관리하면서, 시간 T1로부터 210초 경과 시점에서, 흡착 밸브(563b)의 해제 동작을 시작하여, 흡인 압력의 상승을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흡착 밸브(563b)의 해제 동작 시작 지령으로부터 실제 해제까지 동작 지연이 존재할 수도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흡착 밸브(563b)의 해제 동작의 시작 타이밍을 상술한 동작 지연만큼 빠르게 하여, 시간 T1로부터 200초 경과 시점으로 할 수도 있다. 상기 동작 지연을 고려하여, 각각의 동작 시점 을 결정함으로써, 확실한 전자부품(501)의 흡착 및 픽업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시간 T1에 있어서의 흡착 노즐(561)의 하강 시작(즉, 제어 장치(570)로부터의 흡착 지령)으로부터, 흡착 노즐(561)의 흡착부(561a)에 있어서의 흡인 압력의 상승 시작까지의 시간은, 예를 들면, 타이머 등에 의해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타이머 등에 의해 상기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흡인 압력의 상승 시작의 시점(예를 들면, 도 21A 내지 도 21C에서의 시간 T2)을, 시간 T2의 직전 또는 시간 T2로부터 시간 T3까지의 범위 내의 원하는 타이밍이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 T1로부터 시간 T2까지의 흡착 노즐(561)의 하강 동작 속도(즉, 하강 동작에 필요로 하는 시간)를, 속도 제어기(562a)의 설정을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조건에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는, 예를 들면, 흡착 노즐(561)과 부품(501)과의 맞닿음에 의한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하도록, 흡착 노즐(561)의 하강 속도 및 하강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소형이고 경량의 부품(501)을 흡착 및 픽업하는 경우에는, 상기 하강 속도를 늦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충격 및 진동을 완화하여, 부품(501)의 뛰어오름 등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흡착 노즐(561)의 하강 속도나 하강에 요하는 시간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3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착 노즐(561)의 흡착부(561a)에서 발생된 부품 유지 흡인 압력 P1은, 전자부품(501)을 흡착 유지 가능한 흡인 압력 이상이며, 또한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흡착 유지해서 들어올릴 수 있는 흡인 압력보다도 낮은 흡인 압력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흡착 노즐(561)이 부품 공급 트레이(502)를 흡착하는 경우일지라도, 부품 공급 트레이(502)는 들어 올려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수용되어 있는 전자부품(501)의 뛰어나옴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흡인 압력의 부가 시작의 타이밍을, 전자부품(501)의 상면에 맞닿아진 흡착 노즐(561)의 상승 시작의 타이밍을 기준으로 해서, 역산해서 결정함으로써, 확실한 전자부품(501)의 흡착 유지의 실현을 확보하면서, 흡인 압력의 부가 시작에 의한 주위에서의 영향의 발생, 예를 들면, 부품 공급 트레이(502)의 잘못된 흡착의 발생 또는 주위 전자부품(501)의 잘못된 흡착의 발생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확실하고 또한 안정적인 전자부품의 흡착 및 픽업을 실현할 수 있고, 이것은 효율적인 부품 실장의 실시를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여러 가지 실시형태에 의해 보유된 효과는, 임의의 실시형태를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만들 수 있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련하여 충분히 설명하고 있지만,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수정이 명백하다. 이러한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한 청구 내용에 의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일탈(逸脫)하지 않는 한, 그 중에 포함된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4)

  1. 정렬하여 배치된 복수의 전자부품(1)을 운반하는 부품 공급 트레이(2, 2L, 2S)가 탑재된 복수의 팰릿(pallet)(3, 3L, 3S)을 복수의 적층 단(段)에 수용하며, 상기 수용된 팰릿 중에서 팰릿 공급 방향(A)을 따라 전자부품 공급 위치(107)에 꺼내서, 팰릿에 탑재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 위의 상기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팰릿 공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팰릿의 서로 대향하는 가장자리부(3c)를, 이 팰릿이 대략 수평이고, 또한 이 팰릿 공급 방향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쌍의 지지부(14)가, 상기 적층 단의 방향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대응하는 쌍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팰릿을 수용하는 매거진(4, 4L, 4S)과,
    상기 매거진 내에 수용된 상기 팰릿을, 이 매거진 내측으로부터 상기 전자부품 공급 위치에 꺼내도록 허용하는 팰릿 공급구(6)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매거진을 승강 가능하게 수용하는 매거진 리시버(magazine receiver)(5)와,
    선택된 팰릿을 상기 팰릿 공급구를 통해서 꺼내도록 허용하면서, 이 매거진 리시버 내측에 있어서의 상기 매거진의 승강을 구동하는 매거진 승강 장치(8)와,
    상기 매거진에 수용된 상기 팰릿의 상기 대응하는 지지부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기 팰릿 공급 방향의 전방 측에 있어서, 상기 팰릿의 가장자리부와 맞닿음으로써 규제하는 전방 측 규제 부재(18)와,
    상기 팰릿 공급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전방 측 규제 부재에 의해 규제된 상기 팰릿에 대하여, 상기 대응하는 지지부에 의한 지지 위치를, 상기 팰릿 공급 방향의 후방 측에 있어서, 상기 팰릿의 가장자리부와 맞닿음으로써 규제하는 후방 측 규제 부재(24), 및
    상기 매거진과 일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매거진 내에서 적층 단이 된 상기 팰릿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팰릿의 가장자리부가 상기 대응하는 쌍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각각의 팰릿의 지지 자세가 대략 수평의 지지 자세가 되게 규제하는 수평 자세 규제 부재(26)를 구비하고,
    상기 팰릿은, 상기 팰릿 공급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측 가장자리부와 후방 측 가장자리부의 형상이 상이하게 형성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급 장치는, 상기 팰릿의 상기 후방 측 규제 부재에 의한 상기 규제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팰릿 공급 방향에 역방향의 지지 자세로 지지된 팰릿이, 상기 매거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공급 장치는,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에 의해, 서로 대향하지 않는 지지부에 지지된 지지 자세의 팰릿이, 상기 매거진 내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은, 상기 팰릿 공급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 측에 구비된, 이 후방 측으로부터 상기 팰릿을 공급해 수용하기 위한 개방 가능한 문으로, 그 내측에 상기 후방 측 규제 부재 및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매거진 문 부분(22)을 구비하고,
    상기 역방향의 지지 자세로 지지된 팰릿의 가장자리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후방 측 규제 부재는,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폐지(閉止)를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팰릿 공급 방향에 정방향의 지지 자세로 지지된 팰릿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후방 측 규제 부재가 맞닿는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을 폐지할 수 있고,
    서로 대향하지 않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팰릿의 가장자리부에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가 맞닿음으로써,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폐지를 제한할 수 있으며, 상기 쌍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상기 팰릿 사이에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을 폐지할 수 있고,
    또한 이 매거진 문 부분의 폐지가 제한됨으로써, 상기 매거진 내의 그 지지 자세에 이상이 있는 팰릿의 포함을 검출할 수 있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개방 상태 또는 폐지 상태를 검출하는 문 개폐 검출부(28, 29), 및
    상기 검출 결과를 작업자에게 인식시키면서 문 개폐 검출부에 의한 상기 검출 결과를 표시하는 문 개폐 표시부(19)를 추가로 구비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매거진 리시버는, 상기 팰릿 공급 방향에 있어서의 후방 측에 구비된 개폐 가능한 문이며, 폐지된 상태의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외측에, 그 내측(25)이 맞닿아진 상태에서 폐지되는 리시버 문 부분(20)을 구비하고, 폐지를 제한하는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외측에 맞닿아짐으로써 그 폐지를 제한하는 전자 부품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문 개폐 검출부(28)는, 상기 리시버 문 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문 개폐 검출부에 의해,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의 개방 상태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매거진 승강 장치의 구동 동작을 중지시키는 제어 장치(9)를 추가로 구비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수평 자세 규제 부재는, 적층된 방향에서 지지부의 간격과 같은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돌기부(突起部)(26a)를 구비하여, 쌍으로 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팰릿 사이의 공극(空隙)에는 삽입되고, 서로 대향하지 않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팰릿의 가장자리부와 맞닿음으로써 상기 공극에 삽입되는 것이 제한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매거진 문 부분이 폐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서로 대향하는 지지부의 어느 중간 위치로부터 떨어진 어느 지지부의 하나에 가깝게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가 상기 매거진 문 부분에 고정되어 있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어느 돌기부가 하나의 지지부에 대향하는 지지부에 대해서 상기 적층 방향에 적어도 1단만큼 어긋난 다른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팰릿과 간섭하도록 상기 돌기부가 배치되어 있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팰릿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또한 상기 팰릿 공급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측에 위치한 가장자리부(3a)에 대략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팰릿 취출용의 파지부(把持部)(3d)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 측 규제 부재는,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역방향의 지지 자세에서 지지된 팰릿의 상기 파지부에 맞닿을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자세 규제 부재의 돌기부는, 상기 돌기부가 상기 팰릿 사이의 공극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각각의 팰릿에 탑재되어 있는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에 있어서의 상기 전자부품의 배치 영역의 위쪽에 상기 돌기부가 도달하지 않도록 길이 치수를 갖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는,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를 상기 팰릿의 탑재 평면(504, 604)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부품 공급 트레이 고정 막대(514, 516, 524, 534, 544, 614, 616)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고정 막대는,
    상기 탑재 평면에 있어서의 그 배치 위치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고, 또한 상기 탑재 평면 위에 탑재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탑재 평면을 따른 방향인 제1방향(Ⅹ 또는 Y 방향)에,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상기 탑재 위치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방향 고정부(514a, 524a, 534a, 544a), 및
    상기 탑재 평면에 있어서의 그 배치 위치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고, 또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탑재 평면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인 제2방향에, 상기 탑재 위치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방향 고정부(514a, 524c, 534c, 544c)를 구비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 고정 막대에 대해서,
    상기 제1방향 고정부는,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단부(502a)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탑재 위치가 상기 제1방향에 고정되는 상기 탑재 위치에 대략 직교하여 형성된 제1방향 고정면(534a, 544a)이며,
    상기 제2방향 고정부는,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탑재 위치가 상기 제2방향에 고정되는 상기 탑재위치에 대략 직교하여 형성된 제2방향 고정면(534c, 544c)인 전자부품 공급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 고정 막대에 대해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가장자리부에 맞닿는 상기 제2방향 고정면(544c)의 높이 위치는, 상기 제2방향에 조정 가능한 전자부품 공급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 고정 막대에 대해서,
    상기 고정 막대(524)는, 상기 제2방향 고정부를,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단부에 항상 힘을 가하는 가세(加勢) 부재(524c)를 구비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 고정 막대에 대해서,
    상기 고정 막대(534)는,
    상이한 높이 레벨에 형성된 복수의 제2방향 고정면(534c), 및
    상기 제2방향 고정면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복수의 제1방향 고정면(534a)을 구비하고,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탑재 위치는,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단부의 높이에 일치하고 제2방향 고정면에 속하는 상기 제2방향 고정면과, 이 제2방향 고정면에 대응하는 상기 제1방향 고정면에 의해 고정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 고정 막대에 대해서,
    상기 제1방향 고정부는,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탑재 위치를 상기 제1방향에 고정하는 제1방향 고정면이고,
    상기 제2방향 고정부는,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의 단부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탑재 위치를 상기 제2방향에 고정하는 제2방향 고정면이며,
    상기 제1방향 고정면 및 상기 제2방향 고정면은, 상기 탑재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 동일한 고정면(514a)으로서 역할을 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 고정 막대에 대해서,
    상기 고정 막대는, 상기 탑재 평면의 그 배치면 위 또는 근방에 자성(磁性) 재료로 형성된 자성 부재를 구비하고, 이 자성 부재의 자력에 의해 상기 탑재 평면 위에 고정되는 전자부품 공급 장치.
  19. 각각의 부품을 그 흡인 압력으로 흡착 유지 가능한 부품 흡착 유지 부재(561)에 의해, 흡착 및 픽업될 수 있게 하면서 전자부품이 배열되어 있는 부품 공급 트레이(502)로부터, 상기 전자부품의 흡착 유지 및 픽업을 실행하여, 기판 위에 실장될 복수의 전자부품(501)을 공급하는 전자부품 공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는, 상기 전자부품을 흡착 유지 가능한 흡인 압력 이상이며,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를 흡착 유지 가능한 흡인 압력 미만의 흡인 압력인 부품 유지 흡인 압력(P1)으로써, 상기 각각의 전자부품의 흡착 유지 및 픽업을 실행하는 전자부품 공급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와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와의 위치 맞춤 후,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와 상기 전자부품을 맞닿게 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부품에 맞닿아진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가 상승을 시작할 때, 상기 흡인 압력이 상기 부품 유지 흡인 압력에 도달하도록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에 의한 흡인을 시작하는 단계, 및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의 상승으로써 상기 전자부품의 흡착 유지 및 픽업을 실행하는 단계를 갖는 전자부품 공급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에 의한 상기 흡인의 시작으로부터 상기 흡인 압력이 상기 부품 유지 흡인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흡인의 시작 타이밍을 결정하는 전자부품 공급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에 의한 상기 흡인의 시작은,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가 상기 전자부품에 맞닿은 후에 실행하는 전자부품 공급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가 상기 전자부품과 맞닿음에 의한 상기 부품 공급 트레이로부터의 상기 전자부품의 뛰어나옴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자부품의 크기 또는 중량에 따라, 상기 부품 흡착 유지 부재의 하강 시간을 결정하는 전자부품 공급 방법.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유지 흡인 압력은, 상기 전자부품의 크기 또는 중량에 따라 결정하는 흡인 압력인 전자부품 공급 방법.
KR1020057020347A 2003-05-13 2004-05-12 전자부품 공급 장치 및 전자부품 공급 방법 KR200600074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34237A JP4041767B2 (ja) 2003-05-13 2003-05-13 電子部品供給装置
JPJP-P-2003-00134237 2003-05-13
JP2003331310A JP4112465B2 (ja) 2003-09-24 2003-09-24 部品供給トレイ用の固定部材
JPJP-P-2003-00331310 2003-09-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401A true KR20060007401A (ko) 2006-01-24

Family

ID=3345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347A KR20060007401A (ko) 2003-05-13 2004-05-12 전자부품 공급 장치 및 전자부품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28199A1 (ko)
EP (2) EP1625780B1 (ko)
KR (1) KR20060007401A (ko)
DE (1) DE602004014492D1 (ko)
WO (1) WO200410305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0422B2 (ja) 2008-09-04 2011-12-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部品実装用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用装置による作業方法
JP5212429B2 (ja) 2010-07-09 2013-06-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JP5919493B2 (ja) * 2013-09-10 2016-05-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パレット、トレイフィーダ及び部品実装装置
DE102018117312B4 (de) * 2018-07-18 2020-01-30 Asm Assembly Systems Gmbh & Co. Kg Aufnahme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kennen von Bauteilträgern in einer Aufnahmevorrichtung
CN109104819B (zh) * 2018-10-15 2023-07-28 深圳市强瑞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软板折弯设备
CN116209170B (zh) * 2023-04-27 2024-06-07 碳芯微电子科技(深圳)有限公司 半导体芯片贴片机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990A (ja) * 1991-07-08 1993-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吸着装置
JPH0715178A (ja) * 1993-06-29 1995-0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装着機における装着ヘッド
JP3832604B2 (ja) * 1997-08-26 2006-10-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KR100317648B1 (ko) * 1998-08-26 2002-02-19 윤종용 절연접착테이프에의하여다이접착되는반도체소자및다이접착방법그리고그장치
JP3491557B2 (ja) * 1999-04-22 2004-01-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用のトレイフィーダ
JP2001135991A (ja) * 1999-11-01 2001-05-18 Juki Corp 電子部品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方法
JP2001274592A (ja) * 2000-03-27 2001-10-05 Yamagata Casio Co Ltd トレイ供給装置
JP4450950B2 (ja) * 2000-05-17 2010-04-14 Juki株式会社 電子部品供給装置
JP3792996B2 (ja) * 2000-06-08 2006-07-05 株式会社新川 ダイ及び小物部品の移送装置
DE10061756A1 (de) * 2000-12-12 2002-07-04 Siemens Production & Logistic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nehmen von Bestückelemen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25780A2 (en) 2006-02-15
WO2004103051A3 (en) 2005-02-24
EP1746874A3 (en) 2007-02-28
EP1746874A2 (en) 2007-01-24
US20060228199A1 (en) 2006-10-12
EP1625780B1 (en) 2008-06-18
DE602004014492D1 (de) 2008-07-31
WO2004103051A2 (en) 2004-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3447B (zh) 零件移送裝置及方法
KR20060007401A (ko) 전자부품 공급 장치 및 전자부품 공급 방법
CN112045418A (zh) 一种组装装置
JP4450950B2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2004349280A (ja) 電子部品供給装置
JP5029221B2 (ja) 部品実装装置及び部品実装装置の部品回収方法
CN107801372B (zh) 安装头及安装装置
US6550133B1 (en) Surface mounting apparatus installed with tray feeder
JP4112465B2 (ja) 部品供給トレイ用の固定部材
JP4396244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およびトレイフィーダ
JP3459540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2008270442A (ja) トレイ保持装置
CN112091608A (zh) 一种组装设备
JP2000236195A (ja) 電子部品収納トレイ
JP4017900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
JP2001007595A (ja) 板状ワークの供給装置
CN213325306U (zh) 一种组装装置
JP4316336B2 (ja) 部品実装ヘッド及び部品実装装置
JP2015023077A (ja) トレイ供給装置及びトレイ供給方法
CN212351056U (zh) 一种组装装置
CN213318788U (zh) 一种组装设备
JP4559883B2 (ja) 部品供給装置
JP6709295B2 (ja) 部品装着機
JP6522360B2 (ja) 収納システム、および引出方法
JP3818000B2 (ja) 電子部品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