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6379A -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 Google Patents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6379A
KR20060006379A KR1020040055350A KR20040055350A KR20060006379A KR 20060006379 A KR20060006379 A KR 20060006379A KR 1020040055350 A KR1020040055350 A KR 1020040055350A KR 20040055350 A KR20040055350 A KR 20040055350A KR 20060006379 A KR20060006379 A KR 20060006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bile phone
guide
camera module
bu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3358B1 (ko
Inventor
박성천
Original Assignee
박성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천 filed Critical 박성천
Priority to KR1020040055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358B1/ko
Publication of KR2006000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을 수납 및 인출할 수 있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을 사용시 또는 미사용시 필요에 따라 수납/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장착과 관련하여 외부 노출로 인한 손상 문제 및 부피가 커지는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고, 또 사용시에는 원터치 방식으로 자동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카메라의 사용과 관련한 전체적인 취급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휴대폰의 소형화를 효과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한편,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을 360°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하여 휴대폰 본체를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한 방향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진을 찍기 위한 카메라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을 제공한다.
휴대폰, 카메라, 내장형, 수납/인출방식, 360°회전방식

Description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Mobilephone with put in/out type camera}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의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a,2b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a,3b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의 일 구현예에 대한 수납/인출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 사시도
도 4a,4b는 도 3a의 A-A 선 및 B-B 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6a,6b는 도 5의 결합 사시도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의 다른 구현예에 대한 수납/인출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 사시도
도 8a,8b는 도 7a,7b의 단면도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메라 모듈 11 : 몸체부
12 : 브라켓 13 : 하우징
14 : 회전돌기부 15 : 돌출띠
16 : 가이드부 17 : 톱니형 유도면
18 : 회전유도용 가이드부 19 : 돌기
20 : 스프링 21 : 슬라이드부
22 : 모듈조립부 23 : 안착턱
24 : 경사형 유도면 25 : 스톱퍼
26 : 홈부 27 : 돌출부
28 : 스프링가이드 29 : 턱부
본 발명은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시에는 휴대폰 본체로부터 인출할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휴대폰 본체 내에 수납시켜 보관할 수 있어서 카메라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360°회전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한편, 조작방식 또한 원터치 방식으로 되어 있어서 카메라의 사용과 관련한 전체적인 취급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휴대폰은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정영상 및 동영상을 포함하는 사진 촬영은 휴대폰의 하우징 내에 소정의 위치로부터 영상 포착 수단으로 영상광을 안내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CCD(전하결합소자)와, 렌즈를 포함하는 영상 포착 수단을 휴대폰 내부에 배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 휴대폰들은 보통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폰으로 사진을 쉽게 찍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포착된 영상을 휴대폰의 전자 메일 기능을 사용하여 전자 메일에 첨부한 후 다른 사람에게 직접 보낼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등을 포함하는 장점 때문에 자주 사진을 찍는 젊은층 사이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출시되어 있는 대부분의 휴대폰, 즉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 휴대폰의 경우 휴대폰 본체의 전면 또는 후면에 고정식 렌즈부가 장착되어 있는 것, 휴대폰 본체의 상단부에 회전식 렌즈부가 장착되어 있는 것 등 주로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 손상의 우려가 있고, 또 렌즈부분이 차지하는 별도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므로 휴대폰 본체의 전체적인 부피가 커지면서 휴대하는 측면에서 많은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휴대폰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식 렌즈부의 경우 회전범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방향에서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부득이하게 휴대폰 본체를 움직여야 하는 등 사용상 불편한 점이 많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을 사용시 또는 미사용시 필요에 따라 수납/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의 장착과 관련하여 외부 노출로 인한 손상 문제 및 부피가 커지는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있고, 또 사용시에는 원터치 방식으로 자동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카메라의 사용과 관련한 전체적인 취급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휴대폰의 소형화를 효과적으로 추구할 수 있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을 360°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하여 휴대폰 본체를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한 방향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진을 찍기 위한 카메라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과 이 카메라 모듈을 지지하면서 길이변화가 가능한 몸체부로 구성되고 휴대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몸체부의 길이변화에 의해 카메라 모듈이 휴대폰 본체 내부로 수납 및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선단에 슬라이드부의 탈거방지를 위한 스톱퍼를 갖고 있으며 후단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카메라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 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결합되고 내주면에는 회전돌기부의 걸림 안착 및 슬라이드 안내를 위한 다수의 돌출띠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둘레방향을 따라 균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후단부에서 가이드부의 뒷쪽으로 배치되고 선단의 톱니형 유도면을 이용하여 일정각도 회전돌기부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와, 선단부에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고 후단부에는 적어도 양편 2개의 돌기를 이용하여 회전각도 전환이 가능한 회전돌기부를 갖고 있으며 가이드부의 내측으로 조립되는 동시에 스프링의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회전돌기부의 걸림 및 해제작용에 따라 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수납 및 인출가능한 슬라이드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의 수납 및 인출작용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가이드부의 내측에서 차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카메라 모듈의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돌출띠에는 그 후단부에 회전돌기부의 걸림작용 및 회전유도를 위한 한쪽의 경사형 유도면을 갖는 요입형 안착턱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돌기부의 돌기는 둘레를 따라가면서 90°간격으로 4개, 또는 180°간격으로 2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돌기부의 돌기는 한쪽으로 방향성을 갖고 일렬로 배치되는 삼각형태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는 슬라이드부 몸체 후단부에 일부 끼워져 결합되며 회전돌기부가 장착되는 동시에 후단부 내측의 홈부 또는 외측의 돌출부를 이용하여 스프링의 한쪽을 지지하는 스프링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의 일 구현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의 내장형 카메라는 크게 사진을 찍기 위한 대략 원통형의 카메라 모듈(10)과, 상기 카메라 모듈(10)을 휴대폰 본체의 내외측으로 수납 및 인출시키기 위한 지지수단으로서의 몸체부(11)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렌즈를 이용하여 사진을 직접 찍는 부분이며, 휴대폰 본체의 내부와 통상의 회로구성을 갖는다.
상기 몸체부(11)는 휴대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면서 길이변화를 통해 카메라 모듈(10)를 외측으로 인출시켜주는 역할(도 2a) 및 내측으로 수납시켜주는 역할(도 2b)을 하게 된다.
이러한 몸체부(11)는 지지체로서의 하우징(13), 수납 및 인출작용을 통해 카메라 모듈(10)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슬라이드부(21), 슬라이드부(21)의 선택적인 수납 및 인출을 위해 회전각도의 변화를 유도하는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 슬라이드부(21)의 수납상태 유지 및 인출안내를 위해 슬라이드부(21)를 간헐적으로 구속하는 가이드부(18)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3)은 운동요소들을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일정한 길이를 갖는 원통형 관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휴대폰 본체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후단에 결합 되어 있는 브라켓(12)을 이용하여 고정 장착되고, 선단부에는 링형상의 캡구조를 갖는 스톱퍼(25)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곳에 후술하는 슬라이드부(21)의 회전돌기부(14)가 걸려짐에 따라 슬라이드부(21)가 하우징(13)의 외측으로 완전히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스톱퍼(25)는 홈과 돌기 간의 걸림구조로 하우징(13) 내에 꼭맞게 끼워져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부(21)는 하우징(13)의 내외측으로 수납 및 인출되면서 사용시에는 카메라 모듈(10)을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고 미사용시에는 카메라 모듈(10)을 내측으로 당겨줄 수 있도록 해주는 부분으로서, 하우징(13)의 내측,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는 후술하는 가이드부(16)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동시에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로 조립된다.
상기 슬라이드부(21)의 선단부에는 걸림단 구조를 갖는 모듈조립부(22)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에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0)이 일체식으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부(21)의 후단부에는 슬라이드부(21)의 수납상태 및 인출상태를 결정해주기 위한 걸림 및 해제작동을 수행하는 회전돌기부(14)가 장착된다.
이때의 회전돌기부(14)는 원통형 관구조의 몸체를 가지면서 슬라이드부(21)의 선단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는 후술하는 스프링가이드(28)의 둘레에 끼워져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구조로 조립되고, 선단쪽의 슬라이드부 후단 턱과 후단쪽의 스프링가이드 턱부(29)에 의해 탈거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돌기부(14)의 외주면에는 실질적으로 걸림작용, 회전각도 전환작용 등을 수행하는 소정의 형태, 예를 들면 삼각형의 형태를 갖는 돌기(19)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의 돌기(19)가 후술하는 가이드부(16)의 돌출띠(15)가 갖는 안착턱(23)에 걸려지거나, 또는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의 톱니형 유도면(17)에 회전 유도되면서 슬라이드부(21)의 수납상태를 유지시켜주거나, 또는 인출을 위한 해제상태로 전환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는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90°간격마다 1개씩 총 4개가 구비되거나, 180°간격마다 1개씩 총 2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그 형태가 삼각형의 형태인 경우에는 그 정점에 있는 꼭지점이 원주방향을 향한 자세에서 한쪽으로 방향성을 가지면서 일렬로 배치되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드부(21)는 2개의 조합형 구조를 갖게 된다.
즉, 슬라이드부 몸체 후단부에는 중심축선을 따라 일정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이곳에 스프링가이드(28)의 선단 일부 길이가 끼워져 결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의 스프링가이드(28)는 슬라이드부 몸체와 조립시 그 턱부(29)와의 사이에 회전돌기부(14)를 수용할 수 있게 되며, 턱부(29)의 뒷쪽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돌출부(27)를 이용하여 이곳에 끼워지는 스프링(20)의 한쪽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부(21)의 인출시 인출력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스프링(20)이 구비되며, 이때의 스프링(20)은 하우징(10) 내측의 후단에 결합되어 있는 브라켓(12)의 바닥면과 스프링가이드(28)의 후단 사이에 양단 지지되면서 슬라이부(21)의 수 납시 압축되었다가 인출시 팽창되면서 슬라이드부(21)를 밖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20)의 슬라이드부측 지지부위는 스프링(20)의 일부 길이가 돌출부(27)에 끼워지거나, 후술하는 스프링가이드(28)의 후단부에 일정깊이 파여 있는 홈부(26)에 일부 길이가 수용되므로 스프링(20)의 정확한 조립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는 슬라이드부(21)가 갖는 회전돌기부(14)의 회전각도를 변화시켜주는 부분으로서, 하우징(13)의 내측에서 브라켓(12)의 앞쪽으로 조립된다.
상기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는 중심축선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즉 원통형 관 형태 또는 링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곳을 통해 스프링(20)이 관통 배치될 수 있는 동시에 회전돌기부(14)의 선단 일부가 수용되면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돌기부(14)의 회전각도 유도를 위하여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의 선단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연속 형성되는 톱니형 유도면(17)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곳에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가 직접 접촉되면서 유도면이 갖는 각도를 따라 회전돌기부(14)가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톱니형 유도면(17)은 산부에서 양쪽의 골부쪽으로 이어지는 면이 한쪽은 수직에 가까운 면이 되고 다른 한쪽은 경사면으로 되어서 한쪽으로 방향성을 갖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가 이때의 경사면을 따라 유 도되고, 따라서 회전돌기부(14)가 일정각도만큼 회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부(16)는 슬라이드부(21)의 수납상태를 유지시켜주고, 또 인출시의 이동을 안내해주는 부분으로서, 길다란 원통형 몸체를 갖고 있으며 하우징(13)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위치되면서 그 내측면에 꼭맞게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로 조립된다.
상기 가이드부(16)의 내주면에는 회전돌기부(14)의 수납상태 유지 및 인출상태 안내를 위한 수단으로 2개 또는 4개의 돌출띠(15)가 제공된다.
상기 돌출띠(15)는 가이드부(16)의 내주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균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때의 돌출띠(15) 사이사이는 인출시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가 안내되는 통로가 되고, 각 돌출띠(15)의 후단부는 가이드부(16)의 후단보다 약간 안쪽으로 들어와 있는 곳에 위치되면서 수납시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가 걸려져 있게 되는 안착턱 수단이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돌출띠(15)의 후단부에는 한쪽의 완만한 경사면과 다른 한쪽의 직선에 가까운 구간을 갖는 요입형 안착턱(23)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에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가 안착되면서 슬라이드부(21)의 수납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의 완만한 경사면은 돌기(19)가 요입형 안착턱(23) 내로 진입할 때 돌기(19)의 회전을 한차례 유도하는 경사형 유도면(24)이 된다.
따라서,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는 진입시 경사형 유도면(24)에 의해 한 차례 회전한 후 요입형 안착턱(23)에 안착되고, 이때의 원주방향 위치는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가 갖는 톱니형 유도면(17)의 경사면을 바라보는 위치가 된다.
이때의 돌출띠(15)가 갖는 경사형 유도면(24) 및 요입형 안착턱(23)은 상기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가 갖는 톱니형 유도면(17)과 원주방향으로 약간 각도가 틀어져 있어서 수납 및 인출시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는 그 회전각도가 자연스럽게 유도 및 전환되므로 슬라이드부(21)의 수납 및 인출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의 일 구현예에 대한 수납/인출상태를 보여주는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부(21)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는 가이드부(16)의 후단부에 있는 요입형 안착턱(23)에 안착되어 있고, 이러한 상태가 슬라이드부(21)의 수납상태, 즉 카메라 모듈(10)의 수납상태가 된다.
이러한 수납상태는 카메라 모듈(10)이 휴대폰 본체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슬라이드부(21)의 인출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슬라이드부(21)의 회전돌기부(14)가 가이드부(16)의 돌출띠(15) 사이의 통로를 이용하여 앞쪽으로 빠져나와 있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슬라이드부(21)의 인출상태, 즉 카메라 모듈(10)의 인출상태가 된다.
이때, 슬라이드부(21)의 최대 인출상태는 하우징(13)의 스톱퍼(25)에 회전돌 기부(14)의 돌기(19)가 걸려지는 구조에 의해 단속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인출상태에서는 휴대폰 본체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10)로 사진을 찍을 수 있다.
특히, 이때의 카메라 모듈(10)은 슬라이드부(21)와 함께 전체가 360°회전조작이 가능하므로 휴대폰 본체를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한 각도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10)을 손으로 돌리면, 카메라 모듈(10) 및 슬라이드부(21) 전체가 자유롭게 돌아가게 되므로 카메라 모듈(10)의 조작만으로 다양한 각도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때의 슬라이드부(21)에 조립되어 있는 회전돌기부(14)는 가이드부(16)의 돌출띠(15) 사이에 걸려 함께 회전되지 않는다.
수납상태에 있는 슬라이드부(21)의 인출시, 카메라 모듈(10)을 살짝 누르면 슬라이드부(21)와 그 후단부의 회전돌기부(14)는 스프링(20)을 압축하면서 안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는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의 톱니형 유도면(17)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진행되므로 회전돌기부(14)는 일정각도 한차례 회전되고, 계속해서 누르고 있던 카메라 모듈(10)을 놓게 되면 스프링(20)의 힘에 의해 회전돌기부(19) 및 슬라이드부(21) 전체가 바깥쪽으로 밀려나면서 가이드부(16)에 있는 돌출띠(15) 사이 통로를 따라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인출상태에 있는 슬라이드부(21)의 수납시, 카메라 모듈(10)을 살짝 누르면 슬라이드부(21)와 그 후단부의 회전돌기부(14)는 스프링(20)을 압축하면서 안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는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의 톱니형 유도면(17)에 의한 안내를 받으면서 진행되고, 따라서 회전돌기부(14)는 일정각도 한차례 회전된다.
계속해서, 누르고 있던 카메라 모듈(10)을 놓게 되면 스프링(20)의 힘에 의해 회전돌기부(14) 및 슬라이드부(21) 전체가 바깥쪽으로 밀려나는 동시에 가이드부(16)의 돌출띠(15)에 있는 경사형 유도면(24)으로 진입하면서 이곳에서 유도되어 한차례 더 회전된 후 요입형 안착턱(23)에 걸려지면서 안착된다.
위와 같이 회전돌기부(14)가 두차례에 걸쳐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 후 수납되면서 회전각도가 바뀜에 따라 재인출시 회전돌기부(19)의 돌기(19)는 먼저 빠져나왔던 톱니형 유도면(17)이 아닌 그 다음의 톱니형 유도면(17)으로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6a 및 도 6b는 결합형태, 도 7a 및 도 7b와 도 8a 및 도 8b는 작동상태를 보여준다.
여기서는 브라켓의 구조, 회전유도용 가이드부의 형태, 스프링 지지구조, 가이드부가 갖는 돌출띠의 수 및 회전돌기부가 갖는 돌기의 수에서 형태적 및 구조적인 차이점을 제공하고 있으나, 각 부품의 기능이나 전체적인 작동방식은 상술한 일 구현예와 동일하다.
예를 들면,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가 90°간격으로 4개 구비되고, 이에 상응하여 가이드부(16)의 돌출띠(15)도 4개가 구비된다.
스프링 지지구조의 경우 슬라이드부(21)에 조립되는 스프링가이드(28)에 돌출부(27)가 구비되고, 이곳에 스프링(20)의 선단부 일부가 끼워져 지지되는 구조가 제공된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카메라 내장형의 휴대폰은 카메라 미사용시에는 카메라 본체의 내부로 카메라 모듈(10)을 완전히 집어 넣을 수 있으므로 외부 노출로 인한 간섭, 손상 등의 문제를 배제할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의 삭제로 휴대폰의 전체적인 부피 또한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사용시에는 카메라 모듈(10)만 살짝 누르면 자동으로 튀어나오게 되고, 또 360°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는 카메라 모듈을 휴대폰 본체의 측면쪽에서 수납 및 인출시킨 구조를 제공하지만, 휴대폰 본체의 상단쪽 또는 하단쪽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의 카메라 모듈을 사용시 또는 미사용시 필요에 따라 수납/인출할 수 있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을 제공함으로써, 카메라 모듈을 손상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과, 휴대폰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점과, 360°회전가능한 카메라 모듈의 채용으로 사진을 찍기 위한 카메라 조작상의 편리함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에 있어서,
    카메라 모듈(10)과 이 카메라 모듈(10)을 지지하면서 길이변화가 가능한 몸체부(11)로 구성되고 휴대폰 본체 내부에 장착되는 몸체부(11)의 길이변화에 의해 카메라 모듈(10)이 휴대폰 본체 내부로 수납 및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는 선단에 슬라이드부(21)의 탈거방지를 위한 스톱퍼(25)를 갖고 있으며 후단의 브라켓(12)을 이용하여 카메라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원통형의 하우징(13)과, 상기 하우징(13)의 내부에 동심원상으로 결합되고 내주면에는 회전돌기부(14)의 걸림 안착 및 슬라이드 안내를 위한 다수의 돌출띠(15)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동시에 둘레방향을 따라 균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가이드부(16)와, 상기 하우징(13)의 후단부에서 가이드부(16)의 뒷쪽으로 배치되고 선단의 톱니형 유도면(17)을 이용하여 일정각도 회전돌기부(14)의 회전을 유도하는 회전유도용 가이드부(18)와, 선단부에는 카메라 모듈(10)이 장착되고 후단부에는 적어도 양편 2개의 돌기(19)를 이용하여 회전각도 전환이 가능한 회전돌기부(14)를 갖고 있으며 가이드부(16)의 내측으로 조립되는 동시에 스프링(20)의 탄력지지를 받으면서 회전돌기부(14)의 걸림 및 해제작용에 따라 하우징 (13)의 내외측으로 수납 및 인출가능한 슬라이드부(21)로 구성되어서, 상기 슬라이드부(21)의 수납 및 인출작용을 이용하여 필요에 따라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21)는 가이드부(16)의 내측에서 차체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카메라 모듈(10)의 360°회전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6)의 돌출띠(15)에는 그 후단부에 회전돌기부(14)의 걸림작용 및 회전유도를 위한 한쪽의 경사형 유도면(24)을 갖는 요입형 안착턱(23)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5. 청구항 2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는 둘레를 따라가면서 90°간격으로 4개, 또는 180°간격으로 2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돌기부(14)의 돌기(19)는 한쪽으로 방향성을 갖고 일렬로 배치되는 삼각형태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7.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21)는 슬라이드부 몸체 후단부에 일부 끼워져 결합되며 회전돌기부(14)가 장착되는 동시에 후단부 내측의 홈부(26) 또는 외측의 돌출부(27)를 이용하여 스프링(20)의 한쪽을 지지하는 스프링가이드(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KR1020040055350A 2004-07-16 2004-07-16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KR100693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350A KR100693358B1 (ko) 2004-07-16 2004-07-16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350A KR100693358B1 (ko) 2004-07-16 2004-07-16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275U Division KR200365366Y1 (ko) 2004-07-16 2004-07-16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379A true KR20060006379A (ko) 2006-01-19
KR100693358B1 KR100693358B1 (ko) 2007-03-12

Family

ID=3711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350A KR100693358B1 (ko) 2004-07-16 2004-07-16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3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639A (ko) * 2017-08-23 2019-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CN110432584A (zh) * 2019-07-23 2019-11-12 温州中胤鞋服有限公司 一种插入式冰晶鞋
KR20220079231A (ko) * 2020-12-04 2022-06-1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425B1 (ko) * 2002-05-03 2005-05-1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의 카메라 내장 및 외장 겸용장치
KR20040038021A (ko) * 2002-10-31 2004-05-08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 내장형 휴대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1639A (ko) * 2017-08-23 2019-03-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기기
CN110432584A (zh) * 2019-07-23 2019-11-12 温州中胤鞋服有限公司 一种插入式冰晶鞋
KR20220079231A (ko) * 2020-12-04 2022-06-1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4660873A (zh) * 2020-12-04 2022-06-24 三星电机株式会社 相机模块及电子设备
US11546496B2 (en) 2020-12-04 2023-01-0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camera module driv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358B1 (ko) 200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3190B1 (en) Phone case with built-in holder
KR102136952B1 (ko) 이어폰수납부를 구비한 스마트폰 및 그 작동방법
KR200475741Y1 (ko) 셀카 스틱
JP2015148720A (ja) アクセサリ機器取付装置及びこのアクセサリ機器取付装置に取り付け可能な支持台ユニット
US20160342072A1 (en) Integral range extender and mechanical protector system for a handheld digital device
KR100693358B1 (ko)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WO2016183655A1 (pt) Câmera portátil, pivotante, telescópica e integrada a tripé, método para travar um suporte pivotante, método para pivotar dois corpos de igual diametro, entre si, e método para alojar e desalojar um tripé em um corpo
JP6650952B2 (ja) 携帯電話ケース
KR2004009391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JP2005057765A (ja) 撮像機構を備えた携帯端末機
WO2017014227A1 (ja) 携帯通信端末用ケース
KR200365366Y1 (ko)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KR101909340B1 (ko) 거치대겸 셀카용 스마트폰 케이스
KR20190034643A (ko) 모바일 폰 및 신축 가능 셀카봉으로 변환 가능한 그 후방 패널
WO2015054917A1 (zh) 一种微型相机
KR20160116091A (ko) 전자기기 거치대
US20170086650A1 (en) Adapter Device for Securing an Eyepiece to a Mobile Phone
JP2005204005A (ja) 携帯電話無線機の本体自立構造及び本体自立構造を有する携帯電話無線機
KR200484029Y1 (ko) 스마트폰용 셀카패드
KR20220154983A (ko) 모바일 단말기용 거치장치
KR101718113B1 (ko) 셀프 촬영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케이스
KR101564541B1 (ko) 이동단말기용 커버장치
CN220980966U (zh) 自拍杆
JP3873170B2 (ja) 電子カメラ
KR101051490B1 (ko) 이동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