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1490B1 - 이동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1490B1
KR101051490B1 KR1020040019023A KR20040019023A KR101051490B1 KR 101051490 B1 KR101051490 B1 KR 101051490B1 KR 1020040019023 A KR1020040019023 A KR 1020040019023A KR 20040019023 A KR20040019023 A KR 20040019023A KR 101051490 B1 KR101051490 B1 KR 101051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ring
teeth
housing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3545A (ko
Inventor
정경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9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149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3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3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1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1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팝업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카메라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본체와; 상기 단말기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카메라수납부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수납부의 내부에 일측이 상기 카메라와 연결되게 수용되어 상기 카메라의 연속 가압시 교번적으로 신장 및 수축됨으로써 상기 카메라가 상기 카메라수납부로부터 인출 및 수납되도록 하는 푸시버튼기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인출 및 수납이 용이하여 비촬영시 카메라를 수납하여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는 팝업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MOBILE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카메라 및 푸시버튼기구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하우징 및 슬라이딩링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카메라수납부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의 카메라 및 푸시버튼기구부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절결단면도,
도 7은 도 3의 플렉시블피씨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각각 푸시버튼기구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단말기본체 31 : 카메라
33 : 하우징 35 : 이탈방지부
36 : 렌즈부 37 : 걸림턱
39 : 카메라모듈 41 : 플렉시블피씨비
43 : 탄성변형구간 51 : 카메라수납부
61 : 푸시버튼기구부 63 : 캠프로파일
64,72,76 : 치형부 65 : 슬라이딩홈
71 : 회전링 73,77 : 돌기
75 : 슬라이딩링 78 : 스톱퍼
81 : 제1스프링부재 83 : 제2스프링부재
본 발명은, 팝업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여 비촬영시 카메라를 내부에 수납하여 보호할 수 있도록 한 팝업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폴더(11) 및 상부폴더(21)를 구비한 단말기본체(10)와, 단말기본체(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카메라(31)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폴더(11)의 상면에는 외부로부터 조작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의 입력버튼(13)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폴더(11)의 폭방향을 따라 일 측 연부에는 사이드버튼(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 연부에는 상부폴더(2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힌지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폴더(21)의 내면에는 소정의 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패널(23)이 구비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하부폴더(11)에 대해 회동가 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가동힌지부(27)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힌지부(17)의 일측에는 고정힌지부(17)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카메라(31)가 결합되어 있다. 카메라(3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고정힌지부에 일측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33)과, 하우징(33)의 내부에 촬영가능하게 수용되는 카메라모듈(미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3)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내부로 광이 입사할 수 있도록 렌즈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카메라(31)를 이용해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는, 렌즈부(36)가 피사체를 향하여 회전되도록 한 후, 해당 입력버튼(13) 또는 사이드버튼을 적절히 조작하여 촬영하면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는, 카메라(31)는 촬영시 또는 비촬영시 항상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하우징(33) 및 렌즈부(36)에 손상이 발생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여 비촬영시 카메라를 내부에 수납하여 보호할 수 있는 팝업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카메라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본체와; 상기 단말기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카메라수납부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수납부의 내 부에 일측이 상기 카메라와 연결되게 수용되어 상기 카메라의 연속 가압시 교번적으로 신장 및 수축됨으로써 상기 카메라가 상기 카메라수납부로부터 인출 및 수납되도록 하는 푸시버튼기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푸시버튼기구부는, 상기 카메라수납부의 내경면에 일측이 경사지고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치형부를 구비한 캠프로파일과, 상기 캠프로파일의 두 치형부에 대응되는 피치를 가지고 일측은 상기 치형부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함몰되고 상기 카메라의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슬라이딩홈과, 상기 캠프로파일의 치형부와 접촉되게 일측에 복수의 치형부가 형성되고 외경면에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수납부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및 회전운동하는 회전링과, 일측에 상기 회전링과 접촉되게 치형부가 형성되고 외경면에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수납부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고 타측에 상기 카메라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링과, 상기 회전링의 일측에 신축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카메라수납부로부터 돌출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제1스프링부재와, 상기 회전링과 상기 슬라이딩링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개재되어 상기 회전링 및 슬라이딩링이 서로 이격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제2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링의 돌기는 상기 치형부의 외면에 교번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일측은 상기 카메라에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링이 상기 카메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장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링의 일측에는 상기 카메라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톱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카메라의 일측에는 상기 스톱퍼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되고 소정의 회전각도를 가질 수 있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된 스톱퍼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렌즈부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버튼기구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촬영가능하게 수용되는 카메라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의 이동시 탄성변형되는 탄성변형구간을 가지도록 상기 카메라모듈의 이동거리에 비해 연장된 길이를 가지고 일측이 상기 카메라모듈에 연결되는 플렉시블피씨비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팝업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카메라 및 푸시버튼기구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하우징 및 슬라이딩링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카메라수납부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3의 카메라 및 푸시버튼기구부의 내부를 도시한 부분절결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플렉시블피씨비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 내지 도 11은 각각 푸시버튼기구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팝업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는, 일측에 원형단면형상의 카메라수납부(51)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본체(10)와, 단말기본체(10)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카메라수납부(51)에 인출가능하게 수용되는 카메라(31)와, 카메라(31)의 회전 축선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게 카메라수납부(51)의 내부에 수용 설치되고 일측이 카메라(31)에 연결되어 카메라(31)의 연속 가압시 신장 및 축소를 교번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카메라(31)가 카메라수납부(51)로부터 인출 및 수납되도록 하는 푸시버튼기구부(6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단말기본체(10)는 서로 상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폴더(11) 및 상부폴더(21)를 구비하고 있으며, 하부폴더(11)에는 상부폴더(21)의 가동힌지부(27)와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힌지부(17)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힌지부(17)의 일측에는 카메라(31)가 축선방향을 따라 인출 및 수납될 수 있도록 카메라수납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수납부(51)는 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 일측에는 카메라(31)의 축선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하게 푸시버튼기구부(61)가 설치되어 있다.
푸시버튼기구부(61)는, 카메라수납부(51)의 내경면에 일측으로 경사진 복수의 치형부(64)를 구비한 캠프로파일(63)과, 상기 캠프로파일(63)의 두 치형부(64)에 대응되는 피치를 가지고 치형부(64)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함몰되고 카메라(31)의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복수의 슬라이딩홈(65)과, 캠프로 파일(63)의 각 치형부(64)에 접촉될 수 있게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복수의 치형부(72)와 치형부(72)의 외경면에 교번적으로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딩홈(65)에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돌기(73)를 구비하여 카메라수납부(51)의 내부에 슬라이딩 및 회전가능하게 수용설치되는 회전링(71)과, 회전링(71)의 치형부(72)에 접촉될 수 있게 일측에 치형부(76)가 형성되고 외경면에 각 슬라이딩홈(65)에 삽입될 수 있게 돌출된 복수의 돌기(77)를 구비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며 일측에 카메라(31)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링(75)과, 카메라(31)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축선방향을 따라 회전링(71)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제1스프링부재(81)와, 회전링(71) 및 슬라이딩링(75)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개재되어 회전링(71) 및 슬라이딩링(75)이 서로 이격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제2스프링부재(83)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수납부(51)의 일측에는 제1스프링부재(81)의 일단을 고정지지할 수 있도록 캡부재(53)가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링(71)의 중앙영역에는 일측은 카메라(31)와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링(71)이 카메라(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하는 이탈방지부(35)의 타측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74)이 형성되어 있다. 이탈방지부(35)에는 관통공(74)의 연부에 접촉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걸림턱(37)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링(75)은 카메라수납부(51)의 내경에 비해 축소된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회전링(71)의 치형부(72)와 접촉될 수 있게 경사진 치형부(76)가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링(75)의 외경면에는 슬라이딩홈(65)에 삽입 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돌출된 돌기(77)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딩링(75)의 일측에는 축선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카메라(31)에 접촉됨으로써 카메라(31)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스톱퍼(78)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카메라(31)는, 카메라수납부(5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축소된 원통형상을 가지는 하우징(33)과, 하우징(33)의 내부에 촬영가능하게 수용설치되는 카메라모듈(39)과, 카메라모듈(39)의 이동시 탄성변형되는 탄성변형구간(43)이 형성되도록 일측이 카메라모듈(39)에 호형상으로 결합되고 타측은 캡부재(53)를 통해 인출되어 하부폴더(11)의 내부로 삽입되는 플렉시블피씨비(41)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3)의 일측에는 스톱퍼(78)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축선방향을 따라 함몰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스톱퍼수용부(44)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3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카메라(31)의 렌즈부(36)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카메라(31)의 노출측 단부를 가압하면 카메라(31), 슬라이딩링(75) 및 회전링(71)은 축선방향을 따라 카메라수납부(51)의 내부로 이동된다. 이 때, 제1스프링부재(81)는 가압력에 의해 축소되고, 회전링(7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73) 없는 치형부(72)가 슬라이딩홈(65)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돌기(73)는 캠프로파일(63)의 치형부(64)에 접촉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31)는 카메라수납부(51)의 내부에 수납되고, 제1스프링부재(81)는 탄성력을 축적하여 축소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런 상태에서, 카메라(31)의 노출측 단부를 다시 축선방향을 따라 가압하 면, 제2스프링부재(83)가 압축되면서 슬라이딩링(75)의 치형부(76)가 회전링(71)의 치형부(72)를 가압하고, 회전링(71)은 축선방향을 따라 캡부재(53)측으로 이동된다. 이동된 회전링(7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링(75)의 치형부(76)에 의해 경사면이 가압됨으로써 가압력의 수평 분력에 의해 회전력을 받게 되어 캠프로파일(63)의 치형부(64)를 이탈하는 순간 회전된다.
회전된 회전링(71)은 제1스프링부재(81)의 탄성력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프로파일(63)의 치형부(64)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고, 회전링(71)의 돌기(73)는 슬라이딩홈(65)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이 때, 슬라이딩링(75)의 각 돌기(77)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슬라이딩홈(65)의 단부에 접촉됨으로써, 카메라(31)의 인출은 완료되고 제1스프링부재(81)의 탄성력에 의해 카메라(31)는 인출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할 때는, 카메라(31)가 인출된 상태에서 하우징(33)의 손잡이부(38)를 잡고 렌즈부(36)가 피사체를 향하도록 회전시켜 입력버튼(13) 또는 도시 않은 사이드버튼 등을 이용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면 된다. 촬영이 종료되면 하우징(33)의 노출측단부를 축선방향을 따라 일회 가압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31)를 카메라수납부(51)의 내부에 수용되어 보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카메라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본체와, 카메라수납부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 용되고 단말기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한 카메라와, 카메라수납부의 내부에 카메라의 연속 가압시 신장 및 수축 가능하게 설치되어 카메라를 인출 및 수납되도록 하는 푸시버튼기구부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인출 및 수납이 용이하여 비촬영시 카메라를 수납하여 카메라를 보호할 수 있는 팝업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가 제공된다.

Claims (7)

  1.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상의 카메라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본체;
    상기 단말기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카메라수납부의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수납부의 내부에 일측이 상기 카메라와 연결되게 수용되어 상기 카메라의 연속 가압시 교번적으로 신장 및 수축됨으로써 상기 카메라가 상기 카메라수납부로부터 인출 및 수납되도록 하는 푸시버튼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버튼기구부는,
    복수의 치형부를 구비한 캠프로파일;
    상기 캠프로파일의 치형부들에 대응되는 피치를 구비하는 복수의 슬라이딩홈;
    상기 캠프로파일의 치형부와 접촉되게 일측에 복수의 치형부가 형성되고 외경면에 상기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카메라수납부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및 회전운동하는 회전링;
    일측에 상기 회전링과 접촉되게 치형부가 형성되고 외경면에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는 슬라이딩링;
    상기 회전링의 일측에 신축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카메라가 상기 카메라수납부로부터 돌출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제1스프링부재; 및
    상기 회전링과 상기 슬라이딩링 사이에 신축가능하게 개재되어 상기 회전링 과 슬라이딩링이 서로 이격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제2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40019023A 2004-03-19 2004-03-19 이동단말기 KR101051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023A KR101051490B1 (ko) 2004-03-19 2004-03-19 이동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023A KR101051490B1 (ko) 2004-03-19 2004-03-19 이동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545A KR20050093545A (ko) 2005-09-23
KR101051490B1 true KR101051490B1 (ko) 2011-07-22

Family

ID=3727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023A KR101051490B1 (ko) 2004-03-19 2004-03-19 이동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14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679A1 (ko) * 2020-06-12 2021-1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046A (ko) * 2001-12-18 2003-06-25 주식회사 매직아이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30057080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30086017A (ko) * 2002-05-03 2003-11-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의 카메라 내장 및 외장 겸용장치
KR20040001432A (ko) * 2002-06-28 2004-01-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50046A (ko) * 2001-12-18 2003-06-25 주식회사 매직아이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30057080A (ko)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카메라 장치
KR20030086017A (ko) * 2002-05-03 2003-11-07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폰의 카메라 내장 및 외장 겸용장치
KR20040001432A (ko) * 2002-06-28 2004-01-0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679A1 (ko) * 2020-06-12 2021-1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3545A (ko) 200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6281B1 (en) Compact bipositional lateral edge locking load bearing rotation lock mechanism
US8414203B2 (en) Barrier device and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194569B2 (ja) 光学機器
KR101315895B1 (ko) 촬상장치
US9019403B2 (en) Lens barrel
US7111361B2 (en) Hinge assembly
JP2010107044A (ja) ヒンジ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用いる携帯電子装置
JP4321605B2 (ja) レンズアダプタ及び撮像装置
JP3822583B2 (ja) カメラ付き携帯端末
JP4796168B2 (ja) 伸縮ペン
US7528886B2 (en) Mobile terminal having image pick-up apparatus
EP3069197A2 (en) Multi-cam hub apparatus and systems
KR101051490B1 (ko) 이동단말기
JP4931300B2 (ja) ズームレンズを備えた沈胴式カメラ
WO2017014227A1 (ja) 携帯通信端末用ケース
KR20190034643A (ko) 모바일 폰 및 신축 가능 셀카봉으로 변환 가능한 그 후방 패널
JP2009069290A (ja) 撮像装置、レンズ鏡胴、カメラおよび携帯型情報端末装置
JP4179264B2 (ja) 押釦群取付構造、防水ケース及び防水ケース付き撮像装置
JP4180879B2 (ja) 防水型カメラ
KR100693358B1 (ko)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KR101008847B1 (ko) 힌지용 개폐장치
JP5282418B2 (ja) カメラ
KR200365366Y1 (ko) 내장형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JP3227690U (ja) 電子装置
CN213126164U (zh) 照相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