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4823A - 자동색보정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색보정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4823A
KR20060004823A KR1020040053028A KR20040053028A KR20060004823A KR 20060004823 A KR20060004823 A KR 20060004823A KR 1020040053028 A KR1020040053028 A KR 1020040053028A KR 20040053028 A KR20040053028 A KR 20040053028A KR 20060004823 A KR20060004823 A KR 200600048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time
condition
threshold value
electric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3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1553B1 (ko
Inventor
최형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3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1553B1/ko
Priority to US11/140,985 priority patent/US7554601B2/en
Priority to JP2005198903A priority patent/JP4130450B2/ja
Priority to EP05106224A priority patent/EP1615451B1/en
Priority to CNB2005100819451A priority patent/CN100384225C/zh
Publication of KR20060004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4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77Colour balance, e.g. colour cast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60Colour correction or control
    • H04N1/6083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 H04N1/6086Colour correction or control controlled by factors external to the apparatus by scene illuminant, i.e. conditions at the time of picture capture, e.g. flash, optical filter used, evening, cloud, daylight, artificial lighting, white point measurement, colour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Studio Device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촬영조건에 따라 색보정을 수행하는 촬영장치가 개시된다. 본 촬영장치는, 조리개의 조정상태에 대응되는 소정 크기의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조리개상태검출부, 전기적신호의 크기와 비교하기 위한 임계값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조리개상태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기적신호 크기 및 임계값을 비교하여 소정의 판단시간 경과 후에 촬영장치의 촬영조건을 판단하며, 전기적신호 크기 및 임계값의 차이에 따라 판단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촬영조건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정밀한 색보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색보정, 조리개, 홀센서, 실내, 실외

Description

자동색보정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 { Digital video camera for compensating white balance automatically and method thereof }
도 1은 종래의 촬영장치에서의 색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홀값의 크기에 따라 촬영조건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다른 색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조리개상태검출부 120 : 제어부
130 : 메모리 140 : 카운터
150 : 색보정부
본 발명은 자동색보정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조건이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판단한 후 그에 따라 색보정을 수행하며, 촬영조건 판단시 조리개의 열림상태에 따라 그 판단속도를 달리하는 촬영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각종 촬영장치가 개발되어 일반 사용자에게 보급되고 있다. 최신 촬영장치들이 구비한 기능에는 조리개 자동조정(auto exposure)기능 및 자동 색보정(auto white balance)기능 등이 있다. 조리개 자동조정기능이란 광량조건을 노출계로 계측하여 조리개(iris) 상태를 자동적으로 조정함으로써 최적의 노출설정을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자동색보정 기능이란 광원에서 나오는 빛에 포함된 적색 성분과 청색 성분의 차이를 검출하여 캠코더 내부에서 적색 및 청색의 가중치를 각각 보상 및 설정하여 컬러 밸런스를 항상 유지시키는 기능을 의미한다.
한편, 동일한 대상을 동일 촬영장치로 촬영하더라도 조명상태에 따라서 촬영된 이미지의 색이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이는 각 조명의 색 온도(Color Temperature)차이 때문이다. 색 온도란 빛에서 나오는 전자파를 기준으로 하여 광원의 광질(光質)을 나타내는 단위로 '켈빈 온도' 라고도 한다. 단위는 'K'로 쓰는데 대낮의 태양광은 5,500 ~ 6,000K 정도, 흐린 날의 태양광은 6,000 ~ 7,000K정도, 형광등은 3,200 ~ 3,600K, 촛불은 1,800 ~ 2,000K 정도로 나타난다. 이에 따라, 자동 색보정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에서 색보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광원의 종류, 즉, 태양광 상태인지 인공광 상태인지 등을 판단할 필요가 있다.
도 1은 조리개 자동조정기능 및 자동색보정 기능을 구비한 종래의 촬영장치에서 색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촬영장치는 조리개 자동조정에 따라 자동적으로 설정된 조리개의 상태에 대응되는 홀값(hall value)을 확인한다(S10). 홀 값이란 홀 센서에서 조리개의 노출 상태에 대응되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면,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 값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확인된 홀값을 기 설정된 소정의 임계값과 비교하게 된다(S20). 이 경우, 임계값의 크기는 실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태양광이 주사되는 상태, 즉, 실외상태에서는 조리개가 적게 열리게 되므로 홀값의 크기가 작게 나타난다. 반면에 인공광이 주사되는 상태, 즉, 실내상태에서는 조리개가 많이 열리게 되므로 홀값의 크기가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확인된 홀값이 임계값 이상이면 실내조건으로 판단하고(S30), 임계값 미만이면 실외조건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S40).
다음으로, 판단된 조건에 따라서 색보정을 수행하게 된다(S50). 이 경우, 색보정 방식은 실내인지, 실외인지에 따라서 달라지게 된다.
한편, 종래의 촬영장치에 있어서는 홀값이 임계값 근처가 되는 환경에서는 홀값의 미세한 변동에 따라서 색보정방식도 수시로 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촬영되는 영상의 색감 역시 미세하게 변동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흐린 날의 저녁무렵에 홀값은 임계값의 근처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 경우, 줌(zoom) 기능을 사용하여 색감이 낮은 피촬영물을 촬영하게 되면 줌과정에서 홀값이 미세하게 변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홀값 변동에 대응하여 색보정방식도 계속 변동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안정된 색감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생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조건을 판단하여 그에 따라 색보정을 수행하며, 조리개의 조정 상태에 따라서 촬영조건에 대한 판단속도를 조정하여, 불필요한 색보정을 방지할 수 있는 촬영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는, 조리개의 조정상태에 대응되는 소정 크기의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조리개상태검출부, 상기 전기적신호의 크기와 비교하기 위한 임계값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조리개상태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상기 전기적신호 크기 및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여 소정의 판단시간 경과 후에 상기 촬영장치의 촬영조건을 판단하며, 상기 전기적신호 크기 및 상기 임계값의 차이에 따라 상기 판단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촬영장치는, 상기 조리개상태검출부가 상기 전기적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카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적신호 크기 및 상기 임계값의 차이에 비례하는 소정 크기의 가산치를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시간에 부여한 후, 그 값이 소정의 기준시간과 일치하면 상기 판단시간이 경과되었다고 보고 상기 촬영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촬영장치는,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한 상기 촬영조건에 따라 색보정처리를 수행하는 색보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리개상태검출부는, 홀(hall)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개의 열림상태에 대응되는 홀값(hall value)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촬영조건이 인공광원이 조사되는 실내조건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홀값이 상기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촬영조건이 태양광이 조사되는 실외조건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색보정방법은, (a) 조리개의 조정상태에 대응되는 소정 크기의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전기적신호의 크기와 소정의 임계값의 차이를 연산하는 단계, (c)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촬영장치의 촬영조건에 대한 판단시간을 조절하는 단계, 및 (d) 상기 판단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전기적신호 크기 및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촬영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c)단계는, 상기 전기적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적신호 크기 및 상기 임계값의 차이에 비례하는 소정 크기의 가산치를 상기 카운팅된 시간에 부여하여 상기 판단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단계는, 상기 카운팅된 시간에 상기 가산치가 부여된 결과값이 소정의 기준시간 이상이면 상기 판단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촬영조건에 따라 색보정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a)단계는, 홀(hall) 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개의 열림상태에 대응되는 홀값(hall value)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d)단계는, 상기 홀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촬영조건이 인공광원이 조사되는 실내조건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홀값이 상기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촬영조건이 태양광이 조사되는 실외조건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촬영장치는 조리개상태검출부(110), 제어부(120), 메모리(130), 카운터(140), 및, 색보정부(150)를 포함한다. 본 촬영장치는 기본적으로 조리개 자동조정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리개 자동조정기능이란, 광량조건에 따라 조리개(iris)의 열리고 닫힌 정도를 조절하여 최적의 노출설정을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조리개 자동조정기능이 실행되어, 조리개가 자동조정되면 조리개상태검출부(110)는 조리개(iris)의 열리고 닫힌 상태에 따른 소정 크기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
카운터(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시간을 조리개상태검출부(110)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출력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120)는 조리개상태검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크기를 메모리(130)에 저장된 소정 크기의 임계값과 비교한다. 이에 따라, 전기적 신호가 임계값보다 크면 촬영조건이 실내라고 판단하고, 임계값보다 작으면 촬영조건이 실외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적 신호가 임계값 부근일 경우에는 수시로 변동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20)는 전기적 신호가 어느정도 고정될 때까지 일정시간 동안 촬영조건의 판단을 보류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촬영조건의 판단시간을 조절한다.
판단시간을 조절하기 위해서, 제어부(120)는 조리개상태검출부(110)로부터 전기적신호가 출력되면 그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터(140)를 제어하여 카운팅한다. 다음으로, 조리개상태검출부(11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크기 및 메모리(130)에 저장된 임계값의 차이를 연산한다. 그리고나서, 그 차이의 크기에 따라 가산치를 카운터(140)에서 카운팅한 시간에 부여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산치가 부여된 시간을 소정의 기준시간과 비교하여 기준시간 이상이면 판단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가산치의 크기는 그 차이의 크기에 비례한다. 즉, 전기적신호 크기가 임계값과 차이가 많이 나면 날수록, 더 큰 가산치를 부여하여 판단시간을 앞당기게 된다. 반면, 전기적신호의 크기가 임계값 부근이면 상대적으로 작은 가산치를 부여하여 판단시간을 늦추게 된다.
결과적으로, 판단시간이 도래하였다고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상술한 방법으로 촬영조건이 실내인지 실외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따라, 촬영조건이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색보정부(150)를 제어하여 촬영조건에 맞게 색보정을 수행하게 된다. 색보정은 밸런스된 화이트 신호(완전 흰색)의 성분을 분석해 보면 색차신호(R-Y, B-Y)가 각각 "0"이 된다는 성질을 이용한 다. 즉, 출력신호 중 흰색 또는 무채색 성분만을 추출하여 그 색차신호가 "0"이 되도록 적색광 및 청색광의 가중치를 제어하게 된다.
이 경우, 촬영조건에 따라 색보정 방식이 달라지게 된다. 즉, 실내조건이라면, 색신호는 적성분이 많아진다. 따라서, 색보정부(150)는 출력되는 색신호에 청색성분을 증폭시키거나 적색성분을 감소시키도록 색신호의 가중치를 조정하게 된다. 반면, 실외조건이라면 색신호는 청성분이 많아진다. 따라서, 출력되는 색신호에 적색성분을 증폭시키거나 청색성분을 감소시키도록 색신호의 가중치를 조정하게 된다.
한편, 조리개상태검출부(110)에서 조리개 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홀(hall)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홀 센서는 조리개의 열린 상태에 비례하는 크기의 전압을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조리개 상태검출부(110)는 홀 센서로부터 출력된 전압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홀값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홀값을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판단시간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촬영조건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홀 값을 이용하여 촬영조건을 판단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에 따르면, 홀값의 최대값 및 최소값의 중간값을 임계값(VTh)으로 정하고 있으나, 실험적으로 다른 값을 임계값으로 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측정된 홀값이 임계값 미만이면 실외조건이라고 판단하고, 임계값 이상이면 실내조건이라고 판단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판단시간을 조절하기 위해 제어부(120)는 홀값과 임계값과의 차이에 비례하는 크기의 가산치를 카운팅 시간에 부여하게 된다. 이 경우, 도 3과 같이 홀값을 일정 구간으로 구분하여 가산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홀값의 최대값 및 최소값 사이에서 A 내지 F 구간으로 구분한 후, 소정 크기의 가산치를 각 구간마다 설정하게 된다. 만약, A 내지 F 구간에 각각 α, β, γ, γ, β, α의 가산치를 설정하였다면, α, β, γ 간에는 α>β>γ와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결과적으로, 제어부(120)는 실외 또는 실내임이 확실한 홀값이 검출되면 카운팅 시간에 큰 가산치 α를 부여하여 판단시간을 앞당기게 된다. 반면에, 임계값 부근의 C, D 구간에 속하는 홀값이 검출되면 γ를 부여하여 판단시간을 상대적으로 늦추게 된다. 이 후에, C, D 구간에 속하는 홀값이 수차례 연속으로 검출되면 제어부(120)는 그 검출결과에 따라서 실내 또는 실외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먼저, 조리개상태검출부(110)에서 1/60 초 주기로 홀값을 출력하고, α=4/60, β=2/60, γ=1/60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판단의 기준시간은 4/60초라고 가정한다. 기준시간 및 가산치의 크기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130)에 추가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제1경우로써, 최초 A (또는 F)영역의 값이 검출되면 카운팅 시간이 0이 되고, 가산치는 4/60이 된다. 따라서, 가산치가 부여되면 기준시간과 일치하기 때문에 제어부(120)는 실외(또는 실내)라고 판단한다.
제2경우로써, 최초 B(또는 E) 영역의 값이 검출되면, 0 + 2/60 이므로 기준시간에 미달된다. 따라서, 다시 홀값을 확인한다. 이 때, B (또는 E)영역이 다시 검출되면 2/60 + 2/60 이므로 기준시간과 일치하므로, 실외(또는 실내)라고 판단하게 된다.
제3경우로써, 최초 최초 B(또는 E) 영역의 값이 검출되어, 다시 홀값을 확인한 결과 C(또는, D) 영역이 검출되면, 가산치가 부여된 카운팅 시간은 2/60+1/60 가 된다. 따라서, 기준시간에 미달되므로, 한번 더 홀값을 확인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시 C(또는, D) 영역이 검출되면 기준시간과 일치하므로 실외(또는, 실내)라고 판단하게 된다. 촬영조건을 판단하게 되면, 카운터(140)는 리셋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색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먼저, 조리개 자동조정기능이 수행되어 광량에 따라 조리개가 조절된다(S410). 다음으로, 조리개상태검출부(110)는 조리개의 조절 상태에 따라 소정 크기의 전기적 신호를 출력한다(S420). 홀 센서를 사용한 경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는 홀값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조리개상태검출부(110)는 소정 주기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120)는 카운터(140)를 제어하여 조리개상태검출부(110)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출력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도록 한다(S430).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120)는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 및 임계값과의 차이를 연산하게 된다(S440). 이 경우, 임계값은 기 설정되어 메모리(130)에 저장된다.
제어부(120)는 연산된 차이에 비례하는 크기의 가산치를 카운팅 시간에 부여하게 된다(S450). 이에 따라, 판단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20)는 가산치가 부여된 카운팅 시간이 소정의 기준시간 이상인지를 확인하여(S460), 이상이라면 촬영조건을 판단하게 된다(S470).
이에 따라, 촬영조건이 실내인지 또는 실외인지가 판단되면, 색보정부(150)를 제어하여 촬영조건에 따른 색보정을 수행하도록 한다(S480).
결과적으로, 촬영조건이 수시로 변동할 수 있는 환경에서 촬영조건 판단시에 충분한 판단시간을 두고 판단하므로 촬영조건의 미세한 변동에 따른 잦은 색보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개의 조정 상태에 따라 촬영조건을 판단하면서, 그 판단시간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촬영조건이 매우 밝은 환경에서는 실외환경임을 신속하게 판단하고, 촬영조건이 매우 어두운 조건일 때는 실내환경임을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너무 밝지도 어둡지도 않은 환경에서는 적절한 시간을 두고 판단하여 불필요한 색보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촬영조건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되어 정밀한 색보정이 이루어지므로, 자연스러운 색감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조리개 자동조정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의 조정상태에 대응되는 소정 크기의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조리개상태검출부;
    상기 전기적신호의 크기와 비교하기 위한 임계값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조리개상태검출부로부터 출력된 상기 전기적신호 크기 및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여 소정의 판단시간 경과 후에 상기 촬영장치의 촬영조건을 판단하며, 상기 전기적신호 크기 및 상기 임계값의 차이에 따라 상기 판단시간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상태검출부가 상기 전기적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카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기적신호 크기 및 상기 임계값의 차이에 비례하는 소정 크기의 가산치를 상기 카운터에서 카운팅된 시간에 부여한 후, 그 값이 소정의 기준시간과 일치하면 상기 판단시간이 경과되었다고 보고 상기 촬영조건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판단한 상기 촬영조건에 따라 색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색보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상태검출부는,
    홀(hall)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개의 열림상태에 대응되는 홀값(hall value)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촬영조건이 인공광원이 조사되는 실내조건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홀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미만이면, 상기 촬영조건이 태양광이 조사되는 실외조건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7. 조리개 자동조정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의 색보정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조리개의 조정상태에 대응되는 소정 크기의 전기적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b) 상기 전기적신호의 크기와 소정의 임계값의 차이를 연산하는 단계;
    (c) 상기 차이에 따라 상기 촬영장치의 촬영조건에 대한 판단시간을 조절하는 단계; 및
    (d) 상기 판단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전기적신호 크기 및 상기 임계값을 비교하여 상기 촬영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전기적신호를 출력한 시점부터 경과되는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적신호 크기 및 상기 임계값의 차이에 비례하는 소정 크기의 가산치를 상기 카운팅된 시간에 부여하여 상기 판단시간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카운팅된 시간에 상기 가산치가 부여된 결과값이 소정의 기준시간 이상이면 상기 판단시간이 경과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조건에 따라 색보정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홀(hall)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개의 열림상태에 대응되는 홀값(hall value)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상기 홀값이 상기 임계값 이상이면 상기 촬영조건이 인공광원이 조사되는 실내조건이라고 판단하고, 상기 홀값이 상기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촬영조건이 태양광이 조사되는 실외조건이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방법.
KR1020040053028A 2004-07-08 2004-07-08 자동색보정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 KR101031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028A KR101031553B1 (ko) 2004-07-08 2004-07-08 자동색보정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
US11/140,985 US7554601B2 (en) 2004-07-08 2005-06-01 Digital video camera with automatic white balance and a method thereof
JP2005198903A JP4130450B2 (ja) 2004-07-08 2005-07-07 自動色補正機能が備えられた撮影装置およびその方法
EP05106224A EP1615451B1 (en) 2004-07-08 2005-07-07 Digital video camera with automatic white balance and a method thereof
CNB2005100819451A CN100384225C (zh) 2004-07-08 2005-07-08 具有自动白平衡的数字摄像机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3028A KR101031553B1 (ko) 2004-07-08 2004-07-08 자동색보정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4823A true KR20060004823A (ko) 2006-01-16
KR101031553B1 KR101031553B1 (ko) 2011-04-27

Family

ID=3498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028A KR101031553B1 (ko) 2004-07-08 2004-07-08 자동색보정 기능을 구비한 촬영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54601B2 (ko)
EP (1) EP1615451B1 (ko)
JP (1) JP4130450B2 (ko)
KR (1) KR101031553B1 (ko)
CN (1) CN100384225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653B1 (ko) * 2009-11-17 2011-09-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컬러 보정 장치와 그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1427B2 (en) * 2005-09-12 2010-09-21 Nokia Corporation Adjustment of shooting parameters in dependence of motion in a scene
DE102006031757A1 (de) 2006-01-04 2007-08-02 Arnold & Richter Cine Technik Gmbh & Co. Betriebs Kg Verfahren zur automatischen Korrektur von Bildfehlern in Video-Assist-Bildern eines Video-Assist-Systems
US8284272B2 (en) * 2008-02-28 2012-10-09 Sanyo Electric Co., Ltd. Electronic camera
JP2009206906A (ja) * 2008-02-28 2009-09-10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カメラ
US10547773B2 (en) * 2016-10-28 2020-01-28 Disney Enterprises, Inc. User interface aspects for a motorized monopod jib for cameras
CN110689497B (zh) * 2019-09-27 2020-05-12 信通达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目标识别的数据提取装置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1875A (en) * 1987-02-18 1991-06-04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Automatic white-balance adjusting apparatus with reduced sensitivity to transient light conditions
US5270802A (en) * 1989-04-14 1993-12-14 Hitachi, Ltd. White balance adjusting device for video camera
KR930001675B1 (ko) * 1989-04-14 1993-03-08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비디오카메라의 화이트밸런스 조정장치
JP3034542B2 (ja) * 1990-01-17 2000-04-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ホワイトバランス制御装置
JP2532965B2 (ja) 1990-04-18 1996-09-11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ラ―ビデオカメラ
JP2630683B2 (ja) 1991-01-28 1997-07-16 シャープ株式会社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JP3163660B2 (ja) * 1991-07-31 2001-05-08 ソニー株式会社 カラービデオカメラの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DE69227869T2 (de) * 1991-09-05 1999-06-02 Canon Kk Weissabgleichssteuerung für eine Bildaufnahmevorrichtung
JP3005419B2 (ja) 1994-05-30 2000-01-31 三洋電機株式会社 白バランス調整装置付きビデオカメラ
DE69521107T2 (de) 1994-11-29 2001-10-31 Canon Kk Ausrichtverfahren und Halbleiterbelichtungsverfahren
JPH0951459A (ja) * 1995-08-03 1997-02-18 Sanyo Electric Co Ltd ビデオカメラ
KR100188608B1 (ko) 1996-12-27 1999-06-01 양재신 Lpg 차량의 급속온도 강하 방지장치
JP2000324503A (ja) * 1999-03-11 2000-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カメラおよびテレビジョンカメラのホワイトバランス補正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653B1 (ko) * 2009-11-17 2011-09-2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컬러 보정 장치와 그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25435A (ja) 2006-01-26
EP1615451B1 (en) 2012-05-09
US20060007348A1 (en) 2006-01-12
KR101031553B1 (ko) 2011-04-27
CN1719875A (zh) 2006-01-11
CN100384225C (zh) 2008-04-23
US7554601B2 (en) 2009-06-30
JP4130450B2 (ja) 2008-08-06
EP1615451A2 (en) 2006-01-11
EP1615451A3 (en) 2010-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04785B (zh) 摄像设备及其控制方法
US6570620B1 (en) Exposure control device
KR100733096B1 (ko) 카메라 장치 및 촬영 방법
JP3368041B2 (ja) 撮像装置
US20100309332A1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control method
JP4130450B2 (ja) 自動色補正機能が備えられた撮影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0698253A (ja) 撮像装置
US107357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white balance
KR100570565B1 (ko) 줌 일체형 감시용 카메라의 자동노출제어방법
JP3554069B2 (ja) 撮像装置
JP2817820B2 (ja) ビデオカメラ用露出制御装置
US9036049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exposure control method
JP2588696B2 (ja) 自動露出補正装置
JPH01240082A (ja) 露光制御装置
JP2898986B2 (ja) 露光制御装置
KR970006546B1 (ko) 자동 셔터 속도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19861B1 (ko) 캠코더의 화이트 밸런스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8076833A (ja) アイリス制御回路、映像入力装置、アイリス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940000969Y1 (ko) 자동 백바란스 조정장치
JPH02141731A (ja) 自動露光制御装置
KR100319863B1 (ko) 단색 피사체 판단방법, 이를 이용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방법,그리고 이에 적합한 장치
JP2015118320A (ja) 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278379A (ja) 撮像装置
JPH01293077A (ja) 自動露光制御装置
JPH03123327A (ja) 電子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