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0256A - 플라스틱 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0256A
KR20060000256A KR1020040048921A KR20040048921A KR20060000256A KR 20060000256 A KR20060000256 A KR 20060000256A KR 1020040048921 A KR1020040048921 A KR 1020040048921A KR 20040048921 A KR20040048921 A KR 20040048921A KR 20060000256 A KR20060000256 A KR 20060000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plastic optical
depression
core
sp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8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춘
김동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1020040048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0256A/ko
Publication of KR20060000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0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663Production of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5Light guides
    • G02B1/046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core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5Light guides
    • G02B1/048Light guides characterised by the cladding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33Core or cladding made from organic material, e.g. polymeric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 광섬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심재(core)와 상기 심재를 둘러싸며 나선형의 함몰부 형태의 함몰부가 형성된 소재(clad)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광섬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방사 공정 이후 상기 소재의 함몰부를 형성할 수 있는 소정 형태의 배출구를 설치하고, 이를 회전 장치에 의해 회전하여 제조함으로써, 상기 소재의 함몰부가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1 m 당 2 내지 15회의 나선상 각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된 플라스틱 광섬유는 상기 소재의 외측에 형성된 함몰부로 인하여 측면 누광 특성이 우수하여 도광, 발광 및 조명 기술 분야에 적합하게 응용된다.
광섬유, 나선형, 함몰부, 나선상 각도, 측면 누광 특성, 도광, 발광, 조명

Description

플라스틱 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PLASTIC OPTICAL FIBER AND A FABRICATION METHOD THEREOF}
도 1a는 본 발명의 플라스틱 광섬유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상기 도 1a의 A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장치를 대략적으로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심재 20 : 소재
22 : 함몰부 30 : 광섬유
100a, 100b : 압출기 110a, 110b : 정량 펌프
200 : 방사 장치 210 : 배출구 장치
220 : 로울러 300 : 회전 장치
400 : 인수 장치 410 : 외경 측정 장치
500 : 권취 장치
본 발명은 심재와 상기 심재를 둘러싼 나선형의 함몰부 형태의 함몰부가 형성된 소재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광섬유(Plastic Optical Fiber, POF)는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일상적인 온도 범위에서의 사용이 가능하여, 기존의 석영계 광섬유와 비교할 때 광섬유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고 취급성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실용화되고 있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대부분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및 폴리올레핀(polyolefins)과 같은 굴절율이 크고 빛의 투과성이 우수한 중합체를 심재(또는 코어)로 하고, 상기 심재 물질보다 굴절율이 작으며 투명한 중합체를 소재(또는 클레드)로 구성된다.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는 라이팅용, 센서용, OA 및 FA 기기간 배선 등의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측면 누광을 이용한 조명 용도로서 사용하는 경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심재를 구성하고, 상기 물질보다 낮은 굴절율을 가지는 불소계 폴리머로 소재를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때 적용되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직경은 일반적으로 0.5∼1.0 mm 정도로 제작되며, 조명으로 사용하기 위해 충분한 광량을 얻기 위해서는 여러 가닥의 광섬유를 묶어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를 다발로 묶어 투명한 튜브 내에 수납하여 조명체를 구성하고, 상기 조명체의 적어도 한쪽 면에 광원을 배치하여 조명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측면 누광 특성을 향상시키고 누광량을 균일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면 누광을 이용한 조명용 플라스틱 광섬유 제조에 관련하여, 일본특허공개 평7-72341호에서는 플라스틱 광섬유 중에 광섬유 직경의 0.1∼4배의 단/장경의 기포를 형성하여 해당 기포에 의한 광 산란을 이용하여 측면 누광 특성을 증대시키는 기술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 기재된 플라스틱 광섬유는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기포에 의해 큰 산란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광섬유의 광 전송 특성이 크게 손상된다. 이에 장거리에 이러한 플라스틱 광섬유를 이용할 경우 길이 방향으로 누광량이 불균일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법의 플라스틱 광섬유의 경우 종래의 다른 플라스틱 광섬유에서와 같이 표면 마찰 저항이 크기 때문에 방사 이후 공정에 있어 문제를 야기하는데, 예를 들면 플라스틱 광섬유를 튜브 속에 수납할 경우, 과도한 스크래치에 의해 플라스틱 광섬유 표면의 손상 유발이 쉬워 손상 부위에 따라 누출량의 불균일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2001-108843호는 플라스틱 광섬유가 연화 상태에 있을 때 표층부에 수증기의 미소 입자를 분사시키고 이를 증발시켜 표층부에 여러 개의 함몰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의 경우 플라스틱 광섬유가 연화 상태에 있을 때 표층부에 수증기의 미소 입자를 분사하여 표층부에 여러 개의 함몰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기 재하고 있으나, 플라스틱 광섬유 전체에 걸쳐 균일한 크기의 안정된 수증기 분사는 기술적으로 용이하지 않다. 만약, 이러한 기술이 가능하다고 할지라도 수증기의 불균일에 의한 다소 큰 함몰부가 생기는 경우 플라스틱 광섬유의 권취 공정에서 섬유가 끊어지는 절사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방법들은 측면 누광 특성의 확보와 누광량의 균일화에는 제한적인 문제가 있어 새로운 광섬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도광, 발광 및 조명 기술분야에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특히 측면 누광 특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광섬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면 누광 특성이 우수한 도광 및 발광을 행하는 조명 장치용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심재(core)와 상기 심재를 둘러싼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함몰부의 나선상 각도가 광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1 m 당 2∼15회인 소재(clad)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의 두께에 대한 함몰부의 깊이의 비가 0.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섬유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소재의 두께에 대한 나선형 함몰부의 깊이는 바람직하기로 0.5 이하가 되도록 한다.
또한, 함몰부 최외각 양 끝점간 거리의 총합과 돌출된 소재의 바깥면 원주와의 비(함몰비)는 0.2∼0.8, 바람직하기로 0.3∼0.7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광섬유의 심재 및 소재용 수지를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b) 상기 용융된 심재용 수지 및 소재용 수지를 방사 장치에 주입하여 상기 심재용 수지 주위를 소재용 수지로 피복시킨 적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소재가 외측에 함몰부를 갖도록 배출구를 통하여 방사하는 단계,
c) 상기 방사된 광섬유를 길이 방향으로 1 m 당 2∼15회의 나선상 갖도록 회전시키는 단계; 및
d) 얻어진 광섬유를 인수 및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함몰부가 구비된 플라스틱 광섬유를 보여주는 단면도로, 도 1b는 상기 도 1a의 A 영역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심재(10)와 상기 심재(10)를 둘러싸며 나선형의 함몰부(22)가 형성된 소재(20)로 구성된다.
상기 심재용 수지는 굴절률은 1.3 내지 1.6 범위이며, 빛의 투과성이 우수한 투명한 고분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alte, MMA)와 벤질메타크릴레이트(Benzyl-methacrylate, BMA)의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스틸렌(polystyrene, PS) 및 폴리올레핀(polyolefins)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하며, 바람직하기로 PMMA 및 MMA 와 BMA의 공중합체가 사용된다. 상기 공중합체는 광산란이 상당히 작은 재료이며, 또한, PMMA와 비교할 때 조성비의 변화만으로도 굴절율을 높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광섬유로 전송 가능한 빛의 입사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송 가능한 광량의 증대효과를 가져오며, 그 결과 측면 누광 강도가 증대된다.
이러한 심재(10)의 두께는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달라지므로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조명 장치에 이용되는 0.5∼2.0 mm의 두께 내에서 제조된다.
상기 소재용 수지는 심재용 수지와 마찬가지로 투명 고분자가 사용되며, 상기 심재용 수지 보다 굴절률이 낮은 물질을 사용한다. 사용 가능한 소재용 수지는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fluoride)), 불화비닐리덴/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 공중합체(vinylidene fluoride/tetrafluoroethylene copolymer) 및 플루오로 알킬메타크릴레이트/메틸 메타크릴레이트계 공중합체(fluoro-alkylmethacrylate/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소재(20)의 두께는 심재의 두께에 의존하여 달라지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기로 2∼20 ㎛ 정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10 ㎛ 정도이다.
특히, 본 발명의 플라스틱 광섬유는 측면으로부터의 누광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소재(20)의 표면에 다수의 나선형의 함몰부(22)를 형성한다. 이러한 함몰부(22)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삼각형의 형태로 제작된다.
이때, 상기 함몰부(22)의 크기, 깊이 및 나선상 각도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누광 특성 및 광전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바, 이를 고려하여 제작하여야 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소재의 두께(a)에 대한 함몰부(22)의 깊이(b)의 비(a/b)는 0.8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이하로 한다. 이때, 상기 함몰부(22)의 깊이(b)가 커 심재에 닿게 되면 플라스틱 광섬유의 광전송 손실이 크게 증가하게 되고, 너무 얕으면 충분한 누광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없다.
이때, 함몰부(22)의 양 끝점간의 거리(r1,r2....rn)의 합과 돌출된 소재의 최외각 원주(R)와의 비(함몰비: (r1+r2+...+rn)/2πR)는 0.2∼0.8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7이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R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섬유 최외각의 반경을 의미한다. 만약, 상기 함몰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형성 가능한 함몰부(22)의 수가 감소함과 동시에 측면 누광 측정 시 함몰부(22)가 휘점으로 작용하여 조명 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상기 함몰비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너무 작으면, 충분한 누광 증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깊이의 함몰부(22)의 형성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특히, 함몰부(22)의 나선상 각도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1 m 당 2∼15회, 바람직하게는 2∼10회 정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광섬유의 광을 손실없이 전송하는 것이 목적이나, 필요에 따라 광을 누광시켜 발광용 또는 조명 용도로서 사용하는 또다른 목적이 있다. 이에, 광섬유 표면에 나선형의 함몰부를 형성함으로써 광섬유의 광을 효과적으로 누광시킬 수 있다. 상기 함몰부의 형성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누광량이 적어 원하는 만큼의 충분한 누광 효과가 발현되지 않고, 반대로 너무 많으면 광 손실이 증가하여 이또한 누광 효과를 저하시킨다.
상기 나선형 함몰부(22)를 형성하는 방법은 플라스틱 광섬유의 일측부에 함몰부(22)를 형성할 수 있는 배출구(도 2의 210)을 설치하고, 상기 배출구를 회전시킬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회전수를 회전시키면서 형성한다. 상기 배출구를 회전시키는 방법은 모터 등의 회전을 일으킬 수 있는 장치면 모두 사용 가능하고, 상기 회전 장치에 직결 구동 또는 중간에 기어를 사용하여 간접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장치를 대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 심재와 소재를 갖는 2층 구조의 플라스틱 광섬유를 2개 동시에 방사하고 제조하는 장치를 나타내었다.
상기 도 2를 참조하여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심재 및 소재용 수지는 건조 분말 또는 필라멘트 상으로 압출기(100a, 100b)에 일정 속도로 주입되고, 유리전이 온도 이하로 온도를 가하여 용융한 다음, 정량 펌프(110a, 110b)에 의해 일정 속도로 용융 수지(10, 20)를 방사 장치(200)에 공급 한다.
상기 방사 장치(200)에 인가되는 속도는 사용되는 물질에 따라 다르며 상기 심재 및 소재의 정량 펌프(110a, 110b)에 의해 조절되며, 이때 그 속도는 서로 다르거나 같을 수 있다.
이어서, 전 공정에서 용융 압출된 심재 및 소재용 수지(10, 20)는 방사 장치(200)에 의해 광섬유 형태로 방사된다.
상기 방사 장치(200)는 심재(10)의 주위에 소재로 된 피복층을 소정의 형상과 개수로 형성된 노즐팩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노즐팩을 거쳐 심재 및 소재로 구성된 2층 구조의 광섬유(30)를 제조한 다음, 상기 방사 장치(200) 일측에 위치한 배출구(210)를 통해 방사한다. 상기 배출구(210)는 광섬유(30)는 소재의 외부에 함몰부를 부여하기 위해 소정 형태로 제작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구(210)를 통해 방사된 광섬유(30)는 회전 장치(300)에 의해 회전하게 되어 소정의 나선상 각도를 갖게 된다.
상기 배출구(210)를 통해 방사된 광섬유(30)는 필요에 따라 냉각 장치(미도시)에 의해 냉각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사된 광섬유(30)에 소정 온도 이하로 냉풍기를 작동시키거나 상기 광섬유(30)를 저온 수조 탱크에 이송시켜 냉각 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냉각 공정은 상기 방사된 광섬유(30)에 물리적 힘이 인가되어 상기 광섬유(30)의 외경이 불균일해지지 않도록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 처리된 광섬유(30)는 로울러(220) 및 인수 장치(400)를 거쳐 권취 장치(500)에 의해 권취된다.
상기 인수 장치(400) 및 권취 장치(500)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인수 속도 및 권취 속도는 플라스틱 광섬유(30)의 구성 물질 및 용도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이러한 제조장치는 추가로 플라스틱 광섬유(30)의 외경 변동율을 측정하기 위한 외경 측정 장치(410)를 상기 인수 장치(400) 및 권취 장치(500)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외경 측정 장치(410)는 고속으로 이송된 플라스틱 광섬유(30)의 외경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가 가능하며, 바람직하게 레이저를 이용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외경 측정 장치(410)는 제조된 플라스틱 광섬유(30)의 외경 측정 외에도 필요에 따라 인수 장치(400)의 속도 제어 또는 정량 펌프(110a, 110b)의 회전수 제어 또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외경 변동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장치의 제어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외경 측정 장치의 출력 신호는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신호로 사용되며, 피드백(feed back) 받아서 인수 장치(400)의 인수 속도를 제어하거나, 정량펌프(110a, 110b)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광섬유의 외경 변동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 방식은 본 발명에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제어 방식이 적절히 채용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나, 하기 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A :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
심재 물질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와 소재 물질로 불화 비닐리덴(vinylidene fluoride)의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한 장치를 구성한 다음, 외경 1 mm(R=0.5 mm), 소재의 두께가 약 10 ㎛인 플라스틱 광섬유를 제조하였다.
먼저, 2개의 압출기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불화 비닐리덴 공중합체를 각각 40 cc/min, 및 2 cc/min로 주입하고, 용융 압출된 수지를 방사 장치에 주입하였다.
이어서, 상기 방사 장치를 거쳐 제조된 2층 구조의 플라스틱 광섬유를 방사 장치의 일측부에 위치한 배출구를 통해 방사하며, 이때 광섬유의 함몰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배출구를 함몰비가 0.5가 되고, 상기 함몰부의 깊이가 5 ㎛이 되도록 원형의 함몰부가 구비된 광섬유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함몰부가 구비된 광섬유에 특정의 나선상 각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회전수가 5회/m가 되도록 회전 장치를 작동하였다.
이어서, 회전 처리된 광섬유를 인수 및 권취하였고, 이때 인수 장치의 속도는 50 m/min을 기준으로 외경 측정기로부터의 측정치를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였다.
B : 광섬유를 이용한 조명체의 제조
상기 A에서 제조된 플라스틱 광섬유 60 개를 서로 평행하게 묶고 내경 10 mm, 길이 20 m인 투명한 염화비닐 수지계의 튜브 안에 넣고 조명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제조된 플라스틱 광섬유를 튜브 내에 주입 시 튜브 내면과 플라스틱 광섬유와의 마찰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용이하게 이루어졌으며, 작업상의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았다.
제조된 조명체의 누광 특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 다발의 양단에 광원을 배치하고 해당 광원으로부터 광을 플라스틱 광섬유 안에 입사시키고 각 플라스틱 광섬유 안에 도광시켜 길이 방향에 있어 광량 불균일이나 특이한 휘점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광량 불균일은 거의 관찰할 수 없었고, 특이 휘점도 발견되지 않아 본 발명의 플라스틱 광섬유의 누광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함몰부의 회전 각도를 10회/m로 수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플라스틱 광섬유 및 조명체를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명체 제작 공정 중 플라스틱 광섬유를 튜브 내부에 투입이 매우 용이하였고, 작업상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았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된 플라스틱 광섬유 및 조명체의 누광 특성을 알아본 결과, 광량 불균일은 거의 관찰할 수 없었으며, 상기 광섬유의 함몰부가 서로 겹치는 소정 영역에서 약간의 휘점이 발생하였으나 유의적인 정도는 아니었다.
<비교예>
함몰부를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 여 플라스틱 광섬유 및 조명체를 제조하였다.
본 비교예에서도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명체 제작 공정 중 플라스틱 광섬유를 튜브 내부에 투입이 매우 용이하였고, 작업상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상기 제조된 플라스틱 광섬유 및 조명체의 누광 특성을 알아본 결과, 특이한 휘점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플라스틱 광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고 충분한 광량을 확보하는 데에는 다소 부족함이 나타났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된 플라스틱 광섬유의 누광 특성을 휘도계로 측정한 결과, 비교예의 플라스틱 광섬유가 실시예의 그것에 비해 광량이 열세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심재와 상기 심재를 둘러싸며 나선형의 함몰부 형태의 함몰부가 형성된 소재로 구성되는 플라스틱 광섬유를 제조하였고, 상기 플라스틱 광섬유의 길이 방향에서의 도광 특성이 우수하여 도광, 발광 및 조명 기술 분야에 바람직하게 적용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심재(core)와 상기 심재를 둘러싼 함몰부를 구비하고,
    상기 함몰부의 나선상 각도가 광섬유의 길이 방향으로 1 m 당 2∼15회인 소재(clad)를 포함하고,
    상기 소재의 두께에 대한 함몰부 깊이의 비가 0.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섬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상 각도는 1 m 당 2∼10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섬유.
  3. 제 1 항에 있어서, 함몰부의 최외각 양끝점 간의 거리의 총합과 돌출된 소재의 최외각 원주와의 비(함몰비)는 0.2∼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섬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는 원형, 타원형 및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모양이 나선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광섬유.
  5. a) 플라스틱 광섬유의 심재 및 소재용 수지를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시키는 단계;
    b) 상기 용융된 심재용 수지 및 소재용 수지를 방사 장치에 주입하여 상기 심재용 수지 주위를 소재용 수지로 피복시킨 적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소재가 외측에 함몰부를 갖도록 배출구를 통하여 방사하는 단계,
    c) 상기 방사된 광섬유를 길이 방향으로 1 m 당 2∼15회의 나선상의 함몰부를 갖도록 회전시키는 단계; 및
    d) 얻어진 광섬유를 인수 및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광섬유의 제조방법.
KR1020040048921A 2004-06-28 2004-06-28 플라스틱 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00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921A KR20060000256A (ko) 2004-06-28 2004-06-28 플라스틱 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8921A KR20060000256A (ko) 2004-06-28 2004-06-28 플라스틱 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0256A true KR20060000256A (ko) 2006-01-06

Family

ID=3710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921A KR20060000256A (ko) 2004-06-28 2004-06-28 플라스틱 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025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753B1 (ko) * 2007-07-18 2009-03-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수성 발광용 광섬유사의 제조 방법
KR101036957B1 (ko) * 2010-10-12 2011-05-25 주식회사 금호에이치티 Led램프
KR102171995B1 (ko) 2020-07-02 2020-10-30 그린스펙(주) 내시경용 이미지 가이드
KR20220003899A (ko) 2020-07-02 2022-01-11 그린스펙(주) 내시경용 이미지 가이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753B1 (ko) * 2007-07-18 2009-03-04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수성 발광용 광섬유사의 제조 방법
KR101036957B1 (ko) * 2010-10-12 2011-05-25 주식회사 금호에이치티 Led램프
KR102171995B1 (ko) 2020-07-02 2020-10-30 그린스펙(주) 내시경용 이미지 가이드
KR20220003899A (ko) 2020-07-02 2022-01-11 그린스펙(주) 내시경용 이미지 가이드
KR20220003945A (ko) 2020-07-02 2022-01-11 그린스펙(주) 내시경용 이미지 가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37848B2 (ja) 屈折率分布型光ファイバ及びその製法
US5827611A (en) Multilayered thermoplastic article with special properties
US10215916B2 (en) Optical fiber rod, optical fiber, image fi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fiber rod
US71351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lastic optical transmission medium
KR100493798B1 (ko) 플라스틱 광섬유, 광섬유 케이블 및 광전송 장치
KR20060000256A (ko) 플라스틱 광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186445A (ja) 中空多芯光ファイバ及びその先端異形体
US20050141834A1 (en) Optical fiber having sea and islands structure
JP4183157B2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及びこ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6276335A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
JPH11337781A (ja) 被覆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4008498A (zh) 光纤、具有该光纤的照明设备以及用于形成该光纤的方法
JP2006279380A (ja) 光通信装置及び方法
JP2001174661A (ja) プラスチック製マルチフィラメント型光ファィバ、その製造方法および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4338270B2 (ja) プラスチック製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H1184147A (ja) 光ファイバ及び照明装置
JP2004093639A (ja) 海島構造を有する光ファイバ
JPH03296007A (ja)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コードの製造方法
JP5549348B2 (ja) 側面漏光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7108304A (ja) プラスチック光学材料用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及び製造機
US20120063734A1 (en) Multimode graded-index plastic optical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01166157A (ja) 分散型混合多芯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および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ケーブル
JP2000039519A (ja) 光伝送チュ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166174A (ja) 多層コア光ファイバ
JP2000193839A (ja) 屈折率分布型光ファイバ、光ファイバケ―ブル、プラグ付き光ファイバケ―ブル及び屈折率分布型光ファイバ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