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2546A -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122546A KR20050122546A KR1020040047680A KR20040047680A KR20050122546A KR 20050122546 A KR20050122546 A KR 20050122546A KR 1020040047680 A KR1020040047680 A KR 1020040047680A KR 20040047680 A KR20040047680 A KR 20040047680A KR 20050122546 A KR20050122546 A KR 2005012254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ester film
- heat
- film
- shrinkable polyester
- mo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6—Coating with compositions not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L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carboxyl- and the hydroxy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J2367/03—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having the hydroxy and the carboxyl groups directly linked to aromatic ring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 1종 이상의 디카르본산 성분과 1종 이상의 디올 성분으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자외선, 가시광선 및 열선 등을 차단함으로써 내용물의 보온, 보냉, 맛의 유지, 변색 및 변질을 방지하는 기능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카르본산 성분과 디올 성분으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함으로써 가시광선, 가시광선 및 열선 등을 차단하여 열 수축성 라벨 또는 외장용 포장재로서 우수한 특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플라스틱병류, 유리병류, 각종 봉상 성형품 등의 라벨 포장재료 및 포장재료로 사용되며 특히 이들의 캡부, 어깨부, 통부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피복하여, 상품의 표시, 보호, 결속, 상품 가치 향상 등의 목적으로 이용된다. 또한 상자, 병, 판, 봉, 등을 복수개씩 집적하여 포장하는 용도나 피포장물에 필름을 밀착시켜 이 필름에 의해 포장하는(스킨 팩키지) 용도 등에도 폭넓게 이용되고 있고 수축성 및 수축 응력을 이용한 용도 전개가 되고 있다.
이러한 필름의 소재로서 종래에는 염화비닐,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 수축성 필름을 튜브상으로 성형하고 상기 용기류에 씌우거나 파이프 등을 집적시킨 후, 열 수축시킴으로써 포장 또는 결속이 행해졌다. 그러나 이러한 수축필름은 내열성이 부족하고, 고온에서의 보일 처리나 레토르트 처리시 용융 혹은 파열되기 쉬워서 필름으로 피복한 후에 고온에서의 살균처리를 할 수 없거나 처리후 필름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특히 폴리염화비닐 수축필름은 소각시 다이옥신 발생 등의 환경적인 문제가 있고, 폴리스티렌 수축필름은 자연 수축률이 크기 때문에 보관 및 인쇄 후 치수변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포장재로의 미적 가치, 기능성 품질 가치가 요구되어 왔으나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자외선, 가시광선 및 열선의 차단, 차폐와 보온, 보냉의 기능성은 부족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한적으로 범용 플라스틱 필름에 증착된 포장 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나, 작업이 복잡하고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많으며 원가상승을 초래하며 특히, 폴리염화비닐 열 수축필름은 소각 폐기시 환경물질인 다이옥신 등의 발생으로 사용이 규제되고 있다. 또한, 종이 증착 라벨은 고가이며 물에 젖어 떨어지는 문제와 용기의 재활용 및 재사용시 종이 라벨의 제거 과정의 어려움과 폐기물 발생으로 일부 제품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에 내열성, 내후성, 내용제성 및 열수축 특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내용물의 맛, 변색, 변질 등을 방지하는 기능성이 추가된 포장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알루미늄을 증착함으로써 포장재로 사용시 보온, 보냉 및 밀폐 기능 등의 기본적인 특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특히 자외선, 가시광선, 열선의 차단으로 내용물의 변질 또는 부패방지에 높은 기능성을 갖도록 하는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1종 이상의 디카르본산 성분과 1종 이상의 디올 성분이 공중합 반응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이 250∼700Å 두께로 증착된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차단용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디카르본산 성분으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테레프탈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그들의 혼합물 90몰%이상을 포함하고, 디올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 30∼94몰%,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3∼40몰% 및 디올 성분 3∼30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결정화 온도가 80 ∼ 220℃이고, 90℃ 온수 중에서 필름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에서 선택된 어느 한 방향에 있어서 30% 이상의 열수축률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차단용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0.1∼4.0%의 빛투과율을 갖으며, 380㎚ 영역에서 85.0∼99.99%의 자외선을 차단하고, 700㎚ 영역에서 85.0∼99.99%의 가시광선을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이 증착된 상기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차단용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한 열 수축성 라벨 또는 포장재료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1종 이상의 디카르본산 성분과 1종 이상의 디올 성분으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이 증착된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차단용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주성분으로 1종 이상의 디카르본산 성분과 1종 이상의 디올 성분으로 구성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로 상기 디카르본산 성분으로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테레프탈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90몰%이상 함유하고,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세바스산, 아디프산, 디페닐디카르복실산, 5-tert-부틸이소프탈산, 2,2,6,6-테트라메틸디페닐-4,4'-디카르본산, 1,1,3-트리메틸-3-페닐인단-4,5-디카르본산, 5-나트륨설포이소프탈산, 트리메리트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피메르산, 아젤라인산, 피로메리트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1,3-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등의 화합물들 또는 이들의 에스테르 화합물들 중에서 선택된 한 성분 이상을 0 ∼ 10몰%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디올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30∼94몰%,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3∼40몰% 및 기타 디올 성분 3∼30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타 디올 성분으로는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헥산디올, 펜탄디올, 2,2-(4-옥시페놀)프로판 유도체의 디올, 키실렌글리콜, 프로판디올, 부탄디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폰,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에서 선택된 한 성분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디카르본산 성분으로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테레프탈산은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기계적 물성 측면에서 90몰%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올 성분 중에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3 ∼ 40몰%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특히 10 ∼ 30몰%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함량이 40몰%를 초과할 경우, 플라스틱 용기에 피복시키면 용기의 변형을 야기할 수 있고,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함량이 3몰% 미만일 경우에는 열 수축 필름의 수축률이 너무 낮기 때문에 제품으로 사용할 수 없다. 또한 기타 디올 성분을 3 ∼ 30몰%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30몰% 초과할 경우에는 최종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요구 특성이 현저하게 바뀔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특별한 기능, 즉 단부활상이나 자연수축률 감소, 충격에 의한 라벨의 파괴 방지 등을 목적으로 30몰% 이하의 기타 디올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는 종래부터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폴리에스테르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에 대해서 에틸렌글리콜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직접 에스테르화시키는 방법, 또는 디메틸테프탈레이트에 에틸렌글리콜과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반응시키는 에스테르 교환반응법,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을 30몰% 함유하고 있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의 블렌딩에 의해서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폴리에스테르외에 필름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첨가제가 함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실리카, 카올린, 탄산칼슘,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제올라이트, 유기입자 등의 활제를 첨가하여도 좋고,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피닝성 향상제, 자외선 차단제, 항균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압출성형→냉각 쉬트 형성→성형하는 단계를 거쳐 필름상으로 얻는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조성은 결정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예비건조없이 각각의 원료 공급 장치(Feeder)에서 적정 혼합비율에 맞게 투입량을 조절하면서 이축 스크루 압출기로 원료를 투입하여 용융 후 냉각 쉬트를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빠른 결정성으로 종래의 일반적인 비결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비하여 장기간 보관시 경시변화가 보다 적다.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열 수축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해 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열 수축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DSC로 열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필름을 25℃에서 280℃까지 분당 10℃씩 승온하여 열 수축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가지고 있는 열이력을 모두 지운 다음 상온까지 급냉시킨다. 다시 25℃에서 280℃까지 분당 10℃씩 승온시키면서 열 수축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조성이 갖고 있는 고유의 열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때 결정화 온도(Tc)가 80 ∼ 220℃ 범위에 들어가는데, 보다 좋기로는 100 ∼ 200℃ 범위에 들어가는 바람직하다. 결정화 온도가 너무 낮으면 열 수축성 필름의 저온 수축률이 떨어질 수 있고, 너무 높으면 결정화 속도가 늦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 수축성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90℃의 온수 중에서 열 수축률이 필름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적어도 어느 한 방향에 있어서 3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열 수축률이 30% 이하이면 용기에 피복시킬 경우, 너무 적게 수축이 되기 때문에 피복체가 느슨해 질 가능성이 많다.
본 발명에 따른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최대 수축응력이 3kg/㎟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최대 수축응력이 3kg/㎟ 초과할 경우에는 수축 필름을 플라스틱 용기에 씌워서 열처리하면 용기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한 수축응력을 낮추어 주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을 증착시킨다. 상기 알루미늄은 순도 99.6%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증착 밀착력을 높이기 위하여 필름 표면에 화학처리 또는 물리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알루미늄의 순도가 낮으면, 증발효율이 저하되고, 핀 홀의 발생 및 증발용기의 스케일(오염)을 유발한다.
상기 화학처리는 우레탄 코팅, 실리콘 코팅, 아크릴 코팅 및 폴리에스테르 코팅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물리처리는 코로나 처리 또는 플라즈마처리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증착시키는 방법은 진공 증착(보트, 도가니) 또는 전자빔(E.B) 진공증착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증착 두께는 250∼700Å, 바람직하게는 350∼600Å, 보다 바람직하게는 380∼500Å이다. 이때, 증착두께가 250Å 미만이면, 가시광선, 자외선, 열선의 차단성 및 보온, 보냉성이 저하되며, 700Å을 초과하면, 재료비 상승 및 증착 생산성 저하와 증착열로 인해 필름의 수축현상으로 품질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차단용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을 증착하여 제조됨으로써, 0.1∼4.0%의 빛투과율을 갖으며, 380 ㎚ 영역에서 85.0∼99.99%의 자외선을 차단하고, 700㎚ 영역에서 85.0∼99.99%의 가시광선을 차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차단용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열수축성 라벨 또는 포장재료를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45몰%, 이소프탈산 5몰%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50중량%를 조성으로 하고 공지의 폴리에스테르 제조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45몰%, 이소프탈산 5몰%, 에틸렌글리콜 40몰%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0몰%를 조성으로 하고 공지의 폴리에스테르 제조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테레프탈산 48몰%, 아디프산 2몰%, 에틸렌글리콜 40몰% 및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0몰%를 조성으로 하고 공지의 폴리에스테르 제조방법에 의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어느 하나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채택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가 50㎛이고, 그 단면에 순도99.8%의 알루미늄을 보트 증발 방식에 의해 코팅 존 진공도 10-4 mbar 조건에서 코팅드럼 온도 -15℃, 증착 코팅속도 500m/분으로 증착 두께 310Å의 증착 필름을 생산하여 광택도, 투과율 및 가시광선, 자외선 차단율 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알루미늄이 증착 두께가 420Å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광택도, 투과율 및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 차단율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알루미늄이 증착 두께가 510Å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광택도, 투과율 및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 차단율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알루미늄이 증착 두께가 600Å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광택도, 투과율 및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 차단율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알루미늄이 증착 두께가 230Å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광택도, 투과율 및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 차단율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알루미늄이 증착 두께가 160Å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광택도, 투과율 및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 차단율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필름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특성을 평가하였다.
1. 열 수축률 측정
수축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100mm, 폭 방향으로 100㎜가 되게 정사각형 모양으로 절단하여 샘플링하고, 이 샘플을 90℃의 온수 중 10초간 열처리하여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수축률을 산출하였다. 이를 n수 20회 반복하여 평균값을 열 수축률로 정의하였다.
(상기에서, L은 열수축 테스트후 시트의 길이이다.)
2. 광학밀도(Optical Density:O.D)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필름 샘플(가로 롤 전폭 mm × 세로 300mm) 폭 방향으로 취한 후, 맥베스(MACBETH) TD-904 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샘플을 가로방향으로 양쪽 끝부분 50 mm를 제외하고 10 ㎝ 간격으로 유지하여 10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3. 광택도 측정
가로 30㎝ ×세로 20㎝ 크기로 시료를 블랙 스텐다드 타일(Black Standard Tile)에 밀착시켜 부착 후 시험기를 수직으로 밀착시켜 60°상태에서 값을 읽는다. 이를 3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읽어 데이터로 취한다.
4. 투과율(헤이즈) 측정
헤이즈 측정기(AUTOMATIC DIGITAL헤이즈 매터, 일본 니폰덴소쿠사 제작)에 10 cm ×10 cm 크기로 샘플링한 폴리에스테르 필름 1매를 수직으로 놓고, 수직으로 놓여진 시료의 직각 방향으로 0∼700nm의 파장을 갖는 빛을 투과시켜 나타난 값을 측정하였다. 이때 헤이즈(Haze) 값은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산출되었다.
(상기에서, DF는 산란광의 량이고, TT는 광의 총 투과량을 나타낸다.)
5. UV 측정
가로 9 ㎝ ×세로 50 ㎝ 시료를 박스에 넣고 고정부에 취부 밀폐 후 스캔 모드에서 조건을 입력 후 측정한다.
흡광율(ARS)=물질에 흡수하는 빛의 량
(상기에서, Tp는 파장 310∼360nm에서의 최대피크 투과율이고, Tv는 파장 310∼360nm에서의 최대 밸리(VALLEY) 투과율이고, T(λ=360nm) 및 T(λ=380nm)은 각각 360 nm 및 380 nm에서의 투과율이다.)
구 분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비교예1 | 비교예2 |
증착두께(Å) | 310 | 420 | 510 | 600 | 230 | 160 |
광택도(°) | 690 | 730 | 780 | 780 | 650 | 500 |
광학밀도(O.D) | 1.5 | 2.5 | 3.0 | 3.5 | 1.0 | 0.6 |
투과율(%) | 3.0 | 1.0 | 0.3 | 0.1 | 10 | 25 |
가시광선(%) | 98.0 | 98.7 | 99.5 | 99.8 | 65.5 | 50.5 |
자외선(%) | 98.6 | 99.9 | 99.9 | 99.9 | 75.0 | 58.7 |
평가결과 | △ | ○ | ◎ | ◎ | × | × |
범례: ◎:우수, ○:양호, △:보통, ×:불량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비교예 1 및 2와 같이 알루미늄 두께를 250Å 미만으로 할 경우, 빛 투과율이 각각 10% 및 25%인 반면에 실시예 1 내지 4에서 알루미늄을 310∼600Å의 범위로 증착하여 제조된 필름의 경우, 빛 투과율이 0.1 ∼ 3%을 나타냄으로써, 빛 차단율이 현저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포장재로서의 미적 가치를 더하는 광택도 측면에서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필름의 경우 690∼780°를 나타냄으로써, 우수한 금속 광택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시광선 및 자외선 영역의 빛 차단율에 있어서,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필름의 경우, 비교예 1 및 2에서 제조된 필름의 차단율이 65.5%이하 또는 75%이하인 수치보다 우수한 차단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일정 두께의 알루미늄을 증착함으로써, 빛에 의한 맛의 변질 및 변색이 없을 뿐 아니라 높은 금속 광택성을 갖는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차단용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일정 두께의 알루미늄을 증착함으로써, 가시광선, 가시광선, 열선 등의 차단할 수 있는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였고, 상기 필름을 이용한 열 수축성 라벨 또는 포장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열 수축성 라벨 또는 포장재료는 내용물의 맛, 변색, 변질을 방지하고 미련한 금속 광택으로 포장재료의 상품 가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재활용 및 재사용시 라벨 제거가 용이하며, 특히 소각 폐기시 유해물질인 다이옥신이 발생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Claims (5)
1종 이상의 디카르본산 성분과 1종 이상의 디올 성분이 공중합 반응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단면 또는 양면에 알루미늄이 250∼700Å 두께로 증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차단용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디카르본산 성분으로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테레프탈산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그들의 혼합물 90몰%이상을 함유하고, 디올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 30∼94몰%,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3∼40몰% 및 디올 성분 3∼30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차단용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80∼220℃의 결정화 온도를 갖고, 90℃ 온수 중에서 필름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에서 선택된 어느 한 방향에 있어서 30% 이상의 열수축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차단용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0.1∼4.0%의 빛투과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차단용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1항의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 차단용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이용한 열 수축성 라벨 또는 포장재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7680A KR20050122546A (ko) | 2004-06-24 | 2004-06-24 |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7680A KR20050122546A (ko) | 2004-06-24 | 2004-06-24 |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22546A true KR20050122546A (ko) | 2005-12-29 |
Family
ID=3729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47680A KR20050122546A (ko) | 2004-06-24 | 2004-06-24 |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12254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4100B1 (ko) * | 2005-08-09 | 2006-12-06 |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
2004
- 2004-06-24 KR KR1020040047680A patent/KR2005012254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4100B1 (ko) * | 2005-08-09 | 2006-12-06 |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49111B1 (ko) | 결정성이 우수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
KR102503023B1 (ko) | 비결정성 필름용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원료,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열수축성 라벨 및 포장체 | |
KR960000590B1 (ko) |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
US6231958B1 (en) |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EP3778727B1 (en) | Heat-shrinkable polyester-based film | |
KR100549112B1 (ko) | 결정성이 우수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
KR20190035760A (ko)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포장체 | |
EP1120352A2 (en) |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s | |
EP3778729A1 (en) |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 | |
EP3339000B1 (en) | Heat-shrinkable polyester film and package | |
KR20050122546A (ko) | 열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
KR20090007931A (ko) | 상부말림 현상이 개선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그 제조방법 | |
KR100688347B1 (ko) | 융착방지성이 우수한 열수축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KR20090003698A (ko)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KR100503991B1 (ko)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KR20010011259A (ko)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 |
KR100824914B1 (ko)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KR100893572B1 (ko)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
KR100654574B1 (ko)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 제조된 필름 | |
KR100559952B1 (ko) | 융착방지성이 우수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제조방법 | |
KR20040051808A (ko)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 |
KR100753875B1 (ko)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
KR100717942B1 (ko) | 수축 마무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필름 | |
KR20060038666A (ko)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에 적합한 공중합폴리에스테르 | |
KR100554978B1 (ko) | 생분해성이 있는 열수축 필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