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1871A - 광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광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1871A
KR20050121871A KR1020040046963A KR20040046963A KR20050121871A KR 20050121871 A KR20050121871 A KR 20050121871A KR 1020040046963 A KR1020040046963 A KR 1020040046963A KR 20040046963 A KR20040046963 A KR 20040046963A KR 20050121871 A KR20050121871 A KR 20050121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ignal
switch
ligh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21871A/ko
Publication of KR2005012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87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광주사유닛의 광원에서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광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광차단장치는, 상기 광원으로 인입되는 광원점등신호를 단속(斷續)하는 광원스위치; 및,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각각 차단되도록 예정된 제1 신호와 제2 신호가 인입되며, 상기 제1 신호와 제2 신호가 모두 입력될 때에만 상기 광원스위치가 닫히도록 광원스위치 닫힘신호를 송출하는 광원스위치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Light shut-off apparatu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광주사유닛의 광원에서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광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란, 예컨데 레이저 프린터, 디지털 복사기 등과 같이,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그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상기 정전잠상에 현상제인 토너를 투입하여 가시(可視) 화상으로 현상한 후 이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켜 화상을 인쇄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감광매체 외주면에 주사하는 광주사유닛(Light Scanning Unit)를 구비하는데, 도 1에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종래의 광주사유닛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광주사유닛(1)은 베이스(2)와 커버(3)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투명창(5)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광을 생성하여 조사하는 광원(7)과, 상기 광원(7)에서 조사된 광빔을 편향시키는 폴리곤 미러를 포함하는 빔편향기(10)와, 상기 빔편향기(10)에 의해 편향되는 광빔에 포함된 에러를 보정하는 에프-세타(f-θ)렌즈(12)를 구비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광주사유닛(1)은, 광원(7)에서 조사된 광빔이 빔편향기(10)에 의해 편향되고 에프-세타(f-θ)렌즈(12)와 투명창(5)을 통과하여 감광매체(미도시)에 화상정보에 대응하는 광을 주사하게 된다.
상기 광원(7)으로는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가 사용되는데, 상기 광원(7)에서 조사되는 광빔이 인체에 조사되면 인체에 해를 입힐 수가 있다. 따라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안전장치로서, 그 도어(미도시)를 열면 광빔이 조사되지 않도록 하는 광차단장치가 마련된다. 도 1에 도시된 광주사유닛(1)에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명창(5)을 막아 광빔의 조사를 차단하는 셔터(15)와, 상기 광원(7)으로 인입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한 광차단장치가 마련된다. 상기 셔터(15)와 스위치는 서로 연계되어 있지 않고 도어의 개방에 따라 별개로 작동하므로, 상기 광차단장치는 셔터(15)와 스위치 가운데 하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도 광차단이 가능한 이중 안전장치이다. 그런데, 상기 광차단장치는, 셔터(15) 및 상기 셔터(15)의 구동수단을 설치하기 위해서 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므로, 소형화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는 장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투명창을 가리는 셔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중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는 광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구현을 위한 필요 공간이 적은 광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광주사유닛의 광원에서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광원으로 인입되는 광원점등신호를 단속(斷續)하는 광원스위치; 및,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각각 차단되도록 예정된 제1 신호와 제2 신호가 인입되며, 상기 제1 신호와 제2 신호가 모두 입력될 때에만 상기 광원스위치가 닫히도록 광원스위치 닫힘신호를 송출하는 광원스위치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단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신호를 단속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신호를 단속(斷續)하는 제2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개방되도록 예정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신호를 단속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신호를 송출하는 도어개방 감지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스위치가 개방되고, 상기 도어개방 감지센서가 제2 신호를 송출하지 않도록 예정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원스위치는 트랜지스터 스위칭 소자 또는 릴레이 스위칭 소자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와, 그 내부에 마련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닛을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마련된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광주사유닛의 광원에서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상술한 광차단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락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차단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차단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사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외장을 이루는 케이스(101)과, 이 케이스(101) 내부에 마련되는 광주사유닛(150), 및 현상기(110)를 구비한다.
상기 현상기(110)는 케이스(101) 상측의 도어(103)를 열고 상기 케이스(101) 내부에 장착할 수 있는 카트리지 형식으로, 외장을 이루는 현상기 프레임(112)의 내부에는, 감광매체(120), 대전롤러(122), 폐토너 클리너(124), 현상롤러(127), 닥터 블레이드(128), 공급롤러(130), 및 애지테이터(13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현상기 프레임(112) 내부에는 상기 폐토너 클리너(124)가 감광매체(120) 외주면에서 긁어낸 폐토너가 저장되는 폐토너 보관공간(123)과, 현상제인 토너를 수용하는 토너 저장공간(125)이 마련된다. 상기 현상기(110)는 토너 저장공간(125)에 수용된 토너가 모두 소모되면 새 것으로 교체된다.
상기 감광매체(120)는 원통형상의 금속제 드럼의 외주면에 증착 등의 방법에 의해 광도전 물질층이 형성된 감광드럼이다. 상기 감광드럼(120)은 대전롤러(122)를 통하여 소정 전위로 대전되고, 그 외주면에 광주사유닛(150)에서 주사된 광빔에 의해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상기 현상롤러(127)는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120)에 현상제인 토너를 전송(傳送)하여 상기 정전잠상을 가시(可視)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것이고, 상기 공급롤러(130)는 현상롤러(127)에 토너를 공급해주는 것이며, 상기 애지테이터(132)는 토너 저장공간(125) 내의 토너가 굳지 않도록 요동시켜 주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닥터 블레이드(128)는 공급롤러(130)로부터 공급되어 현상롤러(127)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토너의 두께를 규제하는 것이며, 상기 폐토너 클리너(124)는 인쇄용지(P)에 전사되지 못하고 감광드럼(120) 외주면에 잔류한 폐토너를 긁어내 제거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제거된 폐토너는 상기 폐토너 보관공간(123)에 쌓이게 된다.
전사롤러(135)는 상기 감광드럼(120)의 외주면에 대면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감광드럼(120)의 외주면에 현상된 가시 토너화상은 전사 바이어스 또는 감광드럼(120)과 전사롤러(135) 사이의 접촉 압력에 의해 전사롤러(135)와 감광드럼(120)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용지(P)에 전사된다.
정착기(137)는, 히트롤러(138), 및 그와 대향되게 위치하는 가압롤러(139)를 구비하여, 가시 토너화상이 전사된 인쇄용지(P)가 히트롤러(138)와 가압롤러(139) 사이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을 이용한 열압착에 의해 상기 화상이 인쇄용지(P)에 정착된다.
또한, 상기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하우징(101) 하측부의 제1 및 제2 급지카세트(105, 106)에 적재된 인쇄용지(P)를 한 장씩 픽업(pick-up)하는 픽업롤러(141, 142)를 각각 구비하며, 픽업된 인쇄용지(P)에 이송력을 제공함과 아울러, 인쇄용지(P)가 감광드럼(120)과 전사롤러(135) 사이를 통과하기에 앞서 인쇄용지(P)의 원하는 부분에 토너화상이 전사될 수 있도록 인쇄용지(P)를 가지런히 정렬하는 용지정렬기(144)를 구비한다. 또한, 정착기(137)를 통과하여 소정의 화상이 인쇄된 인쇄용지(P)를 하우징(101) 외부의 배지대(102)로 배출하기 위한 배지롤러(145)를 구비한다.
상기 광주사유닛(150)은, 베이스(152)와 커버(153)가 서로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투명창(152a)가 형성된 하우징(151)과, 상기 하우징(151)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광을 조사하는 광원(155)과, 상기 광원(155, 도 3 및 도 4 참조)에서 조사된 광빔을 편향시키는 폴리곤 미러를 포함하는 빔편향기(157)와, 상기 빔편향기(157)에 의해 편향되는 광빔에 포함된 에러를 보정하는 에프-세타(f-θ)렌즈(158)와, 상기 에프-세타(f-θ)렌즈(158)를 통과한 광빔을 감광드럼(120)을 향해 굴절시키는 반사미러(159)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감광드럼(120)은 회전하며 상기 대전롤러(122)를 통해 소정 전위로 대전되고, 상기 광주사유닛(150)의 광원(155)은 광빔을 조사한다. 상기 조사된 광빔은 빔편향기(157)에 의해 편향되고, 에프-세타(f-θ)렌즈(158)에 의해 보정되며, 반사미러(159)에 의해 굴절되어 감광드럼(120)에 주사된다. 상기 주사된 광빔(L)에 감응하여 상기 감광드럼(120)의 외주면에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현상기(110)의 토너 저장공간(125) 내부의 토너는 애지테이터(162)에 의해 교반되고, 공급롤러(130) 및 현상롤러(127)를 통하여 정전잠상이 형성된 감광드럼(120)에 공급되어, 상기 감광드럼(120)의 외주면에 가시 토너화상이 현상된다. 한편, 상기 제1 또는 제2 급지카세트(105 또는 106)의 가장 위에 적재되어 있던 인쇄용지(P)는 픽업롤러(141 또는 142)에 의해 픽업되고, 용지정렬기(144)에 의해 급지 및 정렬되어 상기 감광드럼(120)과 전사롤러(135) 사이를 통과하며, 이 때 상기 인쇄용지(P)의 감광드럼(120) 대향면에 상기 감광드럼(120) 외주면에 현상되었던 가시 토너화상이 전사된다. 상기 인쇄용지(P)에 전사된 가시 토너화상은, 정착기(137)를 통과하며 열과 압력에 의해 상기 인쇄용지(P) 위에 정착되며, 배지롤러(145)에 의해 이송되어 배지대(102)에 적재된다.
이하, 상기 도어(103)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광주사유닛(150)에서 광빔이 조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광차단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차단장치는, 파워서플라이(170)와, 제1 및 제2 스위치(172, 174)와, 광원스위치 제어부(175)와, 광원스위치(177)를 구비한다.
상기 파워서플라이(170)로는 교류를 다양한 주파수의 직류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소위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전원방식의 파워서플라이가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SMPS는 근래에 컴퓨터 전원장치나 휴대폰 충전기 등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파워서플라이(170)에서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의 각 장치에 5V 또는 24V의 직류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광원스위치 제어부(175)는 상기 5V 직류신호를 제1 신호로, 24V 직류신호를 제2 신호로 입력받는다. 한편, 상기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입력이 차단 가능하도록, 파워서플라이(170)와 광원스위치 제어부(175) 사이의 제1 신호 전달라인에는 제1 스위치(172)가 설치되고, 제2 신호 전달라인에는 제2 스위치(174)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스위치(172)와 제2 스위치(174)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의 도어(103)가 개방되면 각각 제1 신호 전달라인과 제2 신호전달라인을 개방하여 각 신호의 전달을 차단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1 스위치(172)와 제2 스위치(174)의 상기와 같은 작동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의 주제어부(미도시)가 상기 도어(103)의 개방을 감지하여, 제1 스위치(172)와 제2 스위치(174)의 개방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스위치(172, 174) 각각에 송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어(103)와 제1 스위치(172) 및 제2 스위치(174)가 기구적 링크로 연계되어 도어(103)가 개방되면 제1 스위치(172)와 제2 스위치(174)가 개방되도록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파워서플라이(170)에서 제공되는 5V 직류신호는 광원점등신호로서 광원(155)에도 제공된다. 상기 광원스위치(177)는 광원(155)에 인입되는 광원점등신호를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광원점등신호 전달라인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광원스위치 제어부(175)는 상기 광원스위치(177)가 닫히도록 닫힘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광원스위치(177)의 닫힘신호는 상기 제1 신호와 제2 신호가 모두 광원스위치 제어부(175)에 입력될 때에만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원스위치(177)는 트랜지스터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고, 릴레이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의 도어(103, 도 2 참조)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스위치(172)와 제2 스위치(174)가 닫혀 있어, 광원스위치 제어부(175)에 제1 신호와 제2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광원스위치 제어부(175)는 광원스위치(177)에 광원스위치 닫힘신호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 광원(155)에는 파워서플라이(170)로부터의 광원점등신호가 인가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광원(155)은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정보에 대응하여 광빔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3)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스위치(172)와 제2 스위치(174)가 개방되어, 광원스위치 제어부(175)에 제1 신호와 제2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며, 상기 광원스위치 제어부(175)는 광원스위치(177)에 광원스위치 닫힘신호를 송출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광원(155)에는 광원점등신호가 인가되지 못하여 광빔의 조사가 차단된다.
상기 제1 스위치(172)와 제2 스위치(174) 가운데 하나가 고장 등의 이유로 오작동을 일으켜, 상기 도어(103)가 개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가 차단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광원스위치 제어부(175)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 모두가 입력되어야만 광원스위치 닫힘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경우에도 광원스위치 닫힘신호를 출력하지 않아 상기 광원(155)은 광빔의 조사가 차단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셔터를 채용하지 않고도 이중 안전장치 역할을 하는 광차단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차단장치는, 파워서플라이(180)와, 제1 스위치(182)와 도어개방 감지센서(184)와, 광원스위치 제어부(185)와, 광원스위치(187)를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파워서플라이(180)와, 제1 스위치(182)와, 광원스위치 제어부(185)와, 광원스위치(187)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동일명칭을 갖는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2 스위치(174, 도 3 참조) 대신에 도어개방 감지센서(184)를 구비한다. 상기 도어개방 감지센서(184)는 도어(103, 도 2 참조)가 닫혀 있을 때에는 광원스위치 제어부(185)에 제2 신호를 송출하고, 도어(103)가 열리게 되면 광원스위치 제어부(185)에 제2 신호를 송출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개방 감지센서(184)는 포토센서를 구비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의 도어(103, 도 2 참조)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스위치(182)가 닫혀 있어 도어개방 감지센서(184)가 제2 신호를 송출하여, 광원스위치 제어부(185)에 제1 신호와 제2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광원스위치 제어부(185)는 광원스위치(187)에 광원스위치 닫힘신호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 광원(155)에는 파워서플라이(180)로부터의 광원점등신호가 인가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광원(155)은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정보에 대응하여 광빔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도어(103)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스위치(182)가 개방되고 상기 도어개방 감지센서(184)가 제2 신호를 송출하지 않아, 광원스위치 제어부(185)에 제1 신호와 제2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며, 상기 광원스위치 제어부(185)는 광원스위치(187)에 광원스위치 닫힘신호를 송출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광원(155)에는 광원점등신호가 인가되지 못하여 광빔의 조사가 차단된다.
상기 제1 스위치(182)와 도어개방 감지센서(184) 가운데 하나가 고장 등의 이유로 오작동을 일으켜, 상기 도어(103)가 개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1 신호 또는 제2 신호가 광원스위치 제어부(185)에 입력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광원스위치 제어부(185)는 제1 신호와 제2 신호 모두가 입력되어야만 광원스위치 닫힘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경우에도 광원스위치 닫힘신호를 출력하지 않아 상기 광원(155)은 광빔의 조사가 차단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셔터를 채용하지 않고도 이중 안전장치 역할을 하는 광차단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데,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도어 외에도 다수의 도어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광원점등신호의 차단은 상기 도어들의 개방에도 연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광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광주사유닛의 투명창을 가리는 셔터가 없이 광빔을 차단하는 이중 안전장치로서 역할을 하므로, 필요 공간이 적어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도 1은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장착된 종래의 광주사유닛의 일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락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차단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광차단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03 ...도어
120 ...현상기 120 ...감광매체
135 ...전사롤러 137 ...정착기
150 ...광주사유닛 155 ...광원
170 ...파워서플라이 172, 174 ...제1, 제2 스위치
175 ...광원스위치 제어부 177 ...광원스위치

Claims (5)

  1.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광주사유닛의 광원에서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광원으로 인입되는 광원점등신호를 단속(斷續)하는 광원스위치; 및,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각각 차단되도록 예정된 제1 신호와 제2 신호가 인입되며, 상기 제1 신호와 제2 신호가 모두 입력될 때에만 상기 광원스위치가 닫히도록 광원스위치 닫힘신호를 송출하는 광원스위치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단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를 단속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신호를 단속(斷續)하는 제2 스위치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가 개방되도록 예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단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를 단속하는 제1 스위치와, 상기 제2 신호를 송출하는 도어개방 감지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제1 스위치가 개방되고, 상기 도어개방 감지센서가 제2 신호를 송출하지 않도록 예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단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스위치는 트랜지스터 스위칭 소자 또는 릴레이 스위칭 소자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차단장치.
  5. 케이스와, 그 내부에 마련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매체와, 상기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는 광주사유닛을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마련된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상기 광주사유닛의 광원에서 광이 조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제1 항 내지 제4 항의 광차단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040046963A 2004-06-23 2004-06-23 광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050121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963A KR20050121871A (ko) 2004-06-23 2004-06-23 광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963A KR20050121871A (ko) 2004-06-23 2004-06-23 광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871A true KR20050121871A (ko) 2005-12-28

Family

ID=37293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963A KR20050121871A (ko) 2004-06-23 2004-06-23 광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218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10375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交換ユニット
US7369789B2 (en) Door status switch operation mechanism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313459A (ja) 露光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0284912A (ja) 書き込み装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424248B2 (en) Lock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65659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356004A (ja) 画像形成装置
JPH0725773Y2 (ja) レーザシャッター機構
JP2006208848A (ja) 画像形成装置
US20220038583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50121871A (ko) 광차단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17146490A (ja) 画像形成装置
JP3343476B2 (ja) 画像形成装置
US935454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021832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S61165775A (ja) 電子写真印刷装置
JP4130742B2 (ja) 複写機又は複合機
JP2003248398A (ja) 画像形成装置
KR100728028B1 (ko) 정렬 수단을 구비한 화상독취장치
JP6681032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184351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82990B2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検出機構
JPH0384562A (ja) 画像形成装置
EP2657778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cleaning unit to clean an optical sensor unit
JPH053505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