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21663A - 디지털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디지털 콘텐츠 이용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디지털 콘텐츠 이용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21663A
KR20050121663A KR1020057014000A KR20057014000A KR20050121663A KR 20050121663 A KR20050121663 A KR 20050121663A KR 1020057014000 A KR1020057014000 A KR 1020057014000A KR 20057014000 A KR20057014000 A KR 20057014000A KR 20050121663 A KR20050121663 A KR 20050121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time
playback
re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이치 오카모토
스스무 고바야시
스테판 월터
가츠미 도쿠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21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66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48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characterised by a specific kind of data which is encrypted and recorded on and/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 G11B20/00492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characterised by a specific kind of data which is encrypted and recorded on and/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wherein content or user data is encrypted
    • G11B20/0052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characterised by a specific kind of data which is encrypted and recorded on and/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wherein content or user data is encrypted wherein each title is encrypted with a separate encryption key for each title, e.g. title key for movie, song or data fi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74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8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time or 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81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temporal resolution, e.g. by frame ski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5Centralised control of user terminal ; Registering at cent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5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64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being scramb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콘텐츠 재생 장치에서, 예를 들면, 콘텐츠에는,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시간을 나타내는 콘텐츠 이용 시간이 설정되어 있고,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콘텐츠의 이용 상황, 및 되감기 한계 위치를 관리하고 있다. 여기에서, 되감기 한계 위치란, 유저가 되감기 조작을 행한 결과, 콘텐츠를 최후까지 이용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위치이다. 예를 들면 되감기 한계 위치보다도 앞의 개소에 되감기 조작을 유저가 행하려고 한 경우에는,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유저에 대해서 사전에 경고 메시지를 통지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디지털 콘텐츠 이용 제어 방법{DIGITAL CONTENT REPRODUCTION DEVICE AND DIGITAL CONTENT US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특정적으로는, 디지털 콘텐츠 데이터에 관련되는 권리를 보호 가능한 디지털 콘텐츠 배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악이나 영상, 게임 등의 디지털 저작물을 인터넷이나 디지털 방송 등으로 배송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그 일부는, 실용화의 단계를 맞이하고 있다. 또, 이들의 콘텐츠의 배송에 있어서, 저작권 보호의 관점에서, 배송한 콘텐츠의 재생 회수나 이동, 복제 등을 제한하는 콘텐츠 이용 제어의 방식이 아울러 검토되고 있다.
종래의 디지털 콘텐츠 배송 시스템에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유저의 콘텐츠에 대한 이용 조건을, 콘텐츠와 함께 유저 단말에 배송하고, 유저 단말에서는, 배송된 이용 조건에 기초하여 콘텐츠의 이용을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어떤 유저가, 예를 들면,「EIGA」라는 영화를 3회 시청 가능한 권리를 구입한 경우에는, 유저 단말은, 배송 서버로부터, 영화「EIGA」의 콘텐츠와 함께,「EIGA를 3회 시청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이용 조건을 수신하여, 콘텐츠의 재생을 이 이용 조건에 따라서 관리한다. 유저 단말이 콘텐츠「EIGA」를 시청하는 경우에는, 1회 시청할 때마다 유저 단말에서 관리하고 있는 이용 조건의 시청 가능 회수를 1씩 빼는 처리가 행해져, 시청 가능 회수가 0이 된 시점에서, 시청을 불허하는 처리가 행해진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2-342518호 공보에서는, 또한, 시청 가능 회수를 관리하는 수법으로서, 1회 판정 임계값과 최장 이용 시간을 이용하는 수법이 개시되어 있다. 1회 판정 임계값이란, 콘텐츠의 시청이「1회」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조건으로, 1회 판정 임계값으로 지정되어 있는 시간 이상, 콘텐츠를 이용한 경우에, 「1회」의 이용이 행해졌다고 판단되는 것이다. 최장 이용 시간이란, 「1회」의 이용으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최대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유저는, 최장 이용 시간으로 지정되어 있는 시간 내이면, 「1회」의 시청 가능 회수를 소비하는 것 만으로, 일시 정지, 빨리감기, 되감기 등을 행하면서 유연한 이용 형태로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유저가, 일시 정지, 되감기 등을 빈번하게 행한 경우에는, 콘텐츠를 최후까지 시청하기 전에, 콘텐츠의 시청 시간이 최장 이용 시간에 도달해 버려, 콘텐츠를 최후까지 시청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불이익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디지털 콘텐츠 배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콘텐츠 데이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권리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이용 권리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1회 판정 임계값과 최장 이용 시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LT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유저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LT 발행 요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유저 단말이, 권리 관리 서버로부터 LT를 취득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LT 발행 여부 판정 프로세스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A는, 유저 단말이, 콘텐츠를 재생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B는, 유저 단말이, 콘텐츠를 재생할 때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제1 관리 처리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A는, 제2 관리 처리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B는, 제3 관리 처리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C는, 제4 관리 처리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이용 권리 데이터베이스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LT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A는, 재생 위치 지정용 슬라이드 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B는, 재생 위치 지정용 슬라이드 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A는, 재생 위치 지정용 슬라이드 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B는, 재생 위치 지정용 슬라이드 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재생 위치 지정용 슬라이드 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재생 위치 지정용 슬라이드 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유저가 콘텐츠를 최후까지 시청할 수 없게 되는 등의 유저의 불이익을 사전에 방지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및 콘텐츠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콘텐츠 재생 장치는, 라이선스 정보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이용 조건에 따라서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로서, 콘텐츠 재생시에 콘텐츠의 재생 상황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이용 조건과 상기 재생 상황에 기초하여 유저의 불이익의 발생을 예측하는 예측 수단과, 불이익이 발생한다고 예측된 경우에 유저에게 그 취지를 경고하는 경고 수단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예측 수단은, (a) 주기적인 타임아웃, (b) 재생 위치를 변경하는 유저 조작, (c) 일시 정지를 지시하는 유저 조작 및 (d) 정지를 지시하는 유저 조작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예측하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위치 변경이나 일시 정지 등의 유저 조작에 의해서, 콘텐츠를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는 등의 유저의 불이익의 발생을 예측하여, 사전에 경고를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의 의도에 반하여, 콘텐츠를 최후까지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유저의 불이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용 조건은, 상기 콘텐츠 이용에 허가된 이용 가능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검출 수단은,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된 구간을 이용 상황으로서 검출하며, 상기 예측 수단은, 상기 이용 가능 시간으로부터 경과 시간을 뺀 나머지 시간과 콘텐츠의 미재생 구간의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콘텐츠의 전부를 재생 가능한지의 여부를 예측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에서, 상기 경과 시간은, (a) 일시 정지 시간을 제외한 재생 동작 시간 및 (b) 일시 정지 시간을 포함하는 재생 동작 시간 중 어느 하나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미재생 구간의 재생을 할 수 없게 된다는 유저 불이익을 사전에 경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유저의 불이익을 경고할 수 있다. 유저가 긴 일시 정지 조작을 한 경우에 콘텐츠 재생 장치가 이용 가능 시간 내에 콘텐츠를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게 된다. 유저가 콘텐츠의 도중을 스킵한 경우에 콘텐츠 재생 장치가 이용 가능 시간 내에 스킵한 미재생 구간을 시청할 수 없게 된다. 유저가 콘텐츠의 도중을 재차 재생하는 위치 변경 조작을 한 경우에, 콘텐츠 재생 장치가 이용 가능 시간 내에 콘텐츠를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은 불이익을 경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는, 또한, 상기 경고 수단에 의한 경고에 대한 유저 응답 조작에 따라서, 콘텐츠의 미재생 구간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재생 제어 수단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경고에 대해서 유저가 희망하면, 콘텐츠 재생 장치는 이용 가능 시간 내에 콘텐츠의 미재생 구간을 재생할 수 있다.
또, 상기 이용 조건은, 상기 콘텐츠 이용에 허가된 이용 가능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검출 수단은, 콘텐츠의 현재의 재생 위치와 되감기 한계 위치를 검출하며, 상기 예측 수단은, 상기 한계 위치보다도 이전에 현재의 재생 위치를 변경하는 유저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 불이익이 발생한다고 예측해도 된다. 여기에서, 상기 되감기 한계 위치는, 상기 이용 가능 시간으로부터 경과 시간을 뺀 나머지 시간에 상당하는 콘텐츠 말미로부터의 재생 구간의 선두 위치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유저가 재생 위치를(시청이 끝난) 상당히 전방으로 위치 변경하는 조작(되감기)을 한 경우에, 콘텐츠 재생 장치가 이용 가능 시간 내에 콘텐츠를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게 되는 사태를 경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는, 또한, 상기 경고 수단에 의한 경고에 대한 유저 응답 조작에 따라서, 재생 위치를 변경하는 상기 유저 조작을 캔슬하는 캔슬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의 희망에 따라서, 불이익한 유저 조작을 캔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는, 또한, 상기 경고 수단에 의한 경고에 대한 유저 응답 조작에 따라서, 재생 위치를 되감기 한계 위치로 변경하는 재생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의 희망에 따라서, 불이익한 유저 조작을 완전히 캔슬하는 것이 아니라, 불이익이 되지 않는 범위에서 되감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이용 조건은, 콘텐츠 재생을「1회」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정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재생 정지를 지시하는 유저 조작을 검출하며, 상기 예측 수단은, 상기 유저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판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유저의 불이익이 발생한다고 예측하도록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콘텐츠를 1회 재생한다는 권리를 소비하는 것을 사전에 경고하기 때문에, 유저의 의지에 반하여 권리를 소비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는, 또한, 제시 수단에 의한 제시에 대한 유저의 응답에 따라서, 재생 정지를 지시하는 유저 조작을 캔슬하는 캔슬 수단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의 부주의 등에 의한 정지 조작에 의해서 1회 재생하는 권리를 소모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저가, 콘텐츠를 최후까지 이용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는 조작을 행하려고 한 경우, 사전에 경고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유저의 의도에 반하여, 콘텐츠를 최후까지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유저의 불이익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의 디지털 콘텐츠 배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디지털 콘텐츠 배송 시스템은, 적어도 1개의 권리 관리 서버(100)와, 적어도 1개의 콘텐츠 서버(101)와, 적어도 1개의 유저 단말(110)과, 전송로(120)를 구비하고, 콘텐츠를 최후까지 시청할 수 없게 되는 등의 유저의 불이익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권리 관리 서버(100)는, 콘텐츠 배송에 관한 사업자(α)측에 설치되어, 콘텐츠 배송 서비스를 받는 유저(β)의 콘텐츠에 대한 이용 권리를 관리하는 서버이고, 유저 단말(110)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그 이용 권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LT(License Ticket)(700)로서, 유저 단말(110)에 배송한다. 사업자(α)는, 콘텐츠 프로바이더 또는 서비스 프로바이더라고 불린다.
콘텐츠 서버(101)는, 권리 관리 서버(100)와 동일하게 사업자(α)측에 설치되어, 유저 단말(110)에 대해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콘텐츠 데이터(200)의 배송을 행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텐츠 데이터(200)는, 콘텐츠 ID(201)와, 메타데이터(202)와, 암호화 콘텐츠(203)로 이루어진다. 콘텐츠 ID(201)는, 디지털 콘텐츠 배송 시스템 내에서, 콘텐츠를 일의적으로 특정하기 위한 ID이다. 메타데이터(202)는, 콘텐츠의 내용을 설명하는 데이터로, 콘텐츠의 타이틀이나 콘텐츠의 길이 등이 기술되어 있다. 암호화 콘텐츠(203)는, 음악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 등의 콘텐츠를 암호화한 것이다. 또한, 콘텐츠는, 음악 데이터나 영상 데이터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전자 신문, 전자 북, 전자 맵, 전자 사전, 정지화상, 게임, 컴퓨터용 소프트웨어 등, 그 밖의 디지털 콘텐츠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권리 관리 서버(100)와, 콘텐츠 서버(101)는 동일한 사업자(α)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권리 관리 서버(100)를 운영하는 사업자와 콘텐츠 서버(101)를 운영하는 사업자는 각각이어도 된다.
유저 단말(110)은, 콘텐츠 배송 서비스를 받는 단말로, 유저(β)측에 설치된다.
전송로(120)는, 유선 전송로 또는 무선 전송로이고, 권리 관리 서버(100) 및 콘텐츠 서버(101)와, 유저 단말(110)을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접속한다.
도 3은, 권리 관리 서버(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 권리 관리 서버(100)는,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와, 이용 권리 데이터베이스(301)와, 유저 특정부(302)와, LT 생성부(303)와, 이용 권리 갱신부(304)와, 통신부(305)로 구성된다.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유저 ID와 단말 ID를 대응시켜 기억한다. 이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의 일례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에서, 유저 ID(400)는, 디지털 콘텐츠 배송 시스템 내에서, 유저(β)를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ID이다. 단말 ID(401)는, 디지털 콘텐츠 배송 시스템 내에서, 유저 단말(110)을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ID이다.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는, 유저(β)가, 어느 유저 단말(110)을 소유하는지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4에서는, 예를 들면, 유저 ID 「×××AAA」로 특정되는 유저(β)는, 단말 ID「×××111」를 갖는 단말과, 단말 ID「×××222」를 갖는 단말의 2개의 단말을 소유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로의 데이터 등록은, 유저(β)가, 사업자(α)가 운영하는 콘텐츠 배송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회원 등록 처리를 할 때에 행해진다. 이 회원 등록 처리는, 유저(β)가, 전송로(120)를 통해서 사업자(α)와 통신하여 행해져도 되고, 회원 등록용 서류의 송부 등, 다른 방법으로 행해져도 되는 것으로 한다. 회원 등록 처리에서는, 우선, 사업자(α)가, 유저(β)에 대해서, 유저 ID(400)를 할당한다. 그 후, 유저(β)가 소유하는 유저 단말(110)의 단말 ID(401)가, 통신 또는 서류 등에 의해, 사업자(α)에 대해서 통지되어, 이 통지된 단말 ID(401)와, 조금 전의 유저(β)에 할당한 유저 ID(400)가 관련되어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에 등록된다. 이상과 같은 회원 등록 처리를 행한 결과,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300)가 구축된다.
이용 권리 데이터베이스(301)는, 유저(β)가 구입한 콘텐츠의 이용 권리를, 유저 ID와 관련지어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도 5에, 이용 권리 데이터베이스(301)에 관리되는 유저 ID와 이용 권리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용 권리(500)는, 이용 권리 ID(501)와, 콘텐츠 ID(201)와, 콘텐츠 복호키(502)와, 이용 권리 유효 기간(503)과, 이용 가능 회수(504)와, 1회 판정 임계값(505)과, 최장 이용 시간(506)으로 이루어진다.
이용 권리 ID(501)는, 디지털 콘텐츠 배송 시스템 내에서, 이용 권리(500)를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ID이다. 콘텐츠 ID(201)에는, 이용 권리(500)의 적용 대상이 되는 콘텐츠의 ID가 기술된다. 콘텐츠 복호키(502)는, 콘텐츠 ID(201)에 의해서 특정되는 콘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복호키이다. 이용 권리 유효 기간(503)은, 이용 권리(500)가 유효한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용 가능 회수(504)는,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 회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1회 판정 임계값(505)은, 콘텐츠의 이용이 「1회」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조건이다. 유저 단말(110)에서 1회 판정 임계값(505)으로 지정되어 있는 시간 이상, 콘텐츠를 이용한 경우에,「1회」의 이용이 행해졌다고 판단된다. 최장 이용 시간(506)은,「1회」의 이용으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최대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유저(β)는, 최장 이용 시간(506)으로 지정되어 있는 시간 내이면, 「1회」의 이용 권리를 소비하는 것 만으로, 일시 정지, 재생 위치 변경(빨리감기 또는 되감기) 등을 행하면서, 유연한 이용 형태로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에서는, 예를 들면, 유저 ID(400)가 「×××AAA」로 특정되는 유저(β)는, 이용 권리 ID(501)가, 「×××001」과「×××002」인, 2개의 이용 권리(500)를 소유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또, 이용 권리 ID(501)가 「×××001」인 이용 권리(500)는, 콘텐츠 ID(201)가 「×××001」인 콘텐츠를 대상으로 한 권리이고, 그 콘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콘텐츠 복호키(502)는「×××001」, 이용 권리의 유효 기간은「2001/04/01∼2002/03/31」,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회수는「5회」, 1회 판정 임계값(505)은「60초」, 최장 이용 시간(506)은「10분」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1회 판정 임계값(505) 및 최장 이용 시간(506)에 따라서, 「1회」의 콘텐츠 이용이 어떻게 관리되는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에서, (예 1)은, 유저 단말(110)에서 콘텐츠 재생을 개시한 후, 20초 경과 후에 재생을 정지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1회 판정 임계값(505)으로 지정되어 있는 시간(60초)보다도 짧은 시간밖에 유저 단말(110)이 콘텐츠를 이용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 이용은, 「1회」로는 간주되지 않는다. 이것에 대해서, (예 2)에서는, 유저 단말(110)이 콘텐츠 재생을 개시한 후 7분 경과 후에 재생을 정지하고 있다. 이 경우, 1회 판정 임계값(505)으로 지정되어 있는 시간(60초) 이상, 유저 단말(110)이 콘텐츠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 이용은 「1회」로 간주된다. 또, (예 3)에서는, 유저 단말(110)이 콘텐츠 재생을 개시한 후, 최장 이용 시간(506)으로 지정되어 있는 시간(10분)이 경과하였기 때문에, 유저 단말(110)이 자동적으로 재생이 정지하고 있다. 이 경우도, 1회 판정 임계값(505)으로 지정되어 있는 시간(60초) 이상, 유저 단말(110)이 콘텐츠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1회」이용이 행해졌다고 간주된다. (예 3)에서는, 콘텐츠의 재생이 일시 정지되어 있는 시간이 존재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시 정지되어 있는 시간에 대해서도, 콘텐츠를 이용하고 있는 시간으로서 계측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행한다. 또, 동일하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되감기나 빨리감기 등의 특수 재생을 행하고 있는 시간에 대해서도, 콘텐츠 이용 시간으로서 계측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일시 정지나 특수 재생을 행하고 있는 시간을, 콘텐츠 이용 시간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들을 콘텐츠 이용 시간에 포함시킬지의 여부는, 사업자(α)가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일시 정지나 특수 재생을 행하고 있는 시간은 콘텐츠 이용 시간에 포함시키지 않거나, 혹은, 2배속 재생을 행하고 있는 시간은 콘텐츠 이용 시간에 포함시키지만, 일시 정지나 다른 특수 재생을 행하고 있는 시간은 콘텐츠 이용 시간에 포함시키지 않는 등과 같은 관리를 행해도 되는 것으로 한다.
유저 특정부(302)는, 유저 단말(110)로부터 송신되어 온 단말 ID(401)를 수신하여, 수신한 단말 ID(401)를 기초로,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를 참조하여, 유저(β)를 특정한다.
LT 생성부(303)는, 이용 권리 데이터베이스(301)에 관리되어 있는 이용 권리(500)로부터, 도 7에 도시하는 LT(700)를 생성하는 부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T(700)는, 이용 권리 ID(501)와, 콘텐츠 ID(201)와, LT 유효 기간(701)과, 이용 가능 회수(504)와, 1회 판정 임계값(505)과, 최장 이용 시간(506)과, 콘텐츠 복호키(502)로 구성된다. 이용 권리 ID(501)에는, LT(700)를 발행하는 기초가 된 이용 권리(500)의 이용 권리 ID(501)가 기술된다. 콘텐츠 ID(201)에는, LT(700)를 사용함으로써 재생 가능해지는 콘텐츠의 콘텐츠 ID(201)가 기술된다. LT 유효 기간(701)에는, LT(700)가 유효한 기간이 기술된다. 이용 가능 회수(504)에는,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 회수가 기술된다. 1회 판정 임계값(505)은, 콘텐츠의 이용이「1회」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조건이 기술된다. 최장 이용 시간(506)에는, 「1회」의 이용으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최대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술된다. 콘텐츠 복호키(502)에는, 콘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키가 기술된다. LT(700)는, 권리 관리 서버(100)로부터 유저 단말(110)에 대해서 송신되고, 유저 단말(110)은 이 LT(700)를 사용하여, 콘텐츠의 재생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이용 권리 갱신부(304)는, 유저 단말(110)에 대해서 LT(700)를 발행한 경우 등에, 이용 권리 데이터베이스(301)에 격납되어 있는 이용 권리(500)의 내용을 갱신한다.
통신부(305)는, 전송로(120)를 통해서, 유저 단말(110)과 통신을 행한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유저 단말(1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서, 유저 단말(110)은, 콘텐츠 데이터베이스(801)와, LT 데이터베이스(802)와, 통신부(803)와, 단말 ID부(804)와, LT 취득부(805)와, LT 갱신부(806)와, 콘텐츠 이용 여부 판정부(807)와, 콘텐츠 복호키 취득부(808)와, 콘텐츠 복호부(809)와, 콘텐츠 재생부(810)와,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와, 통지부(812)로 구성된다. 이하, 유저 단말(110)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콘텐츠 데이터베이스(801)는, 콘텐츠 서버(101)로부터 배송된 콘텐츠 데이터(200)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LT 데이터베이스(802)는, 권리 관리 서버(100)에 의해 발행된 LT(700)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통신부(803)는, 전송로(120)를 통해서, 권리 관리 서버(100), 및, 콘텐츠 서버(101)와 통신을 한다.
단말 ID부(804)는, 유저 단말(110)을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ID인 단말 ID(401)를 유지한다.
LT 취득부(805)는, 권리 관리 서버(100)로부터 LT(700)를 취득하는 부이다. LT 취득부(805)는, 도 9에 도시하는 LT 발행 요구(900)를 생성하여, 권리 관리 서버(100)에 송신함으로써, LT(700)를 취득한다. 도 9에서, LT 발행 요구(900)는, LT 발행 요구 식별자(901)와, 단말 ID(401)와, 콘텐츠 ID(201)와, 희망 이용 가능 회수(902)로 이루어진다. LT 발행 요구 식별자(901)에는, 이 데이터가, LT 발행 요구(900)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가 기술된다. 단말 ID(401)에는, LT 발행 요구(900)를 발신하는 유저 단말(110)의 단말 ID(401)가 기술된다. 콘텐츠 ID(201)에는, 취득하는 LT(700)를 사용하여 재생을 행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ID(201)가 기술된다. 희망 재생 가능 회수(902)에는, 취득하는 LT(700)의 이용 가능 회수(504)에 설정을 희망하는 값을 기술한다.
LT 갱신부(806)는, LT 데이터베이스(802)에 격납되어 있는 LT(700)의 내용을 갱신하는 부이다. 구체적으로는, 콘텐츠의 재생을 행한 후에, LT(700) 내의 이용 가능 회수(504)의 값을 1 빼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콘텐츠 이용 여부 판정부(807)는, LT(700) 내의 LT 유효 기간(701)과 이용 가능 회수(504)를 참조하여, 콘텐츠가 재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콘텐츠 이용 여부 판정부(807)는, 현재 시각이 LT 유효 기간(701) 내이고, 또한, 이용 가능 회수(504)의 값이 1이상인 경우에 있어서, 콘텐츠의 재생은 가능하다고 판정하는 것으로 한다.
콘텐츠 복호키 취득부(808)는, LT 데이터베이스(802)에 격납되어 있는 LT(700)로부터, 콘텐츠를 복호하기 위한 키인, 콘텐츠 복호키(502)를 취출하는 부이다.
콘텐츠 복호부(809)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801)로부터 콘텐츠 데이터(200)를 취출하여, 콘텐츠 복호키 취득부(808)가 취득한 콘텐츠 복호키(502)를 이용하여, 복호하는 부이다.
콘텐츠 재생부(810)는, 콘텐츠 복호부(809)가 복호한 콘텐츠를 재생하는 부이고, 도시하지 않은 스피커나 디스플레이에 의해, 음악이나 영상이 출력된다.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콘텐츠의 재생 상황을 계측·관리하는 부이다.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콘텐츠 이용 시간의 계측을 행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1회 판정 임계값(505) 및 최장 이용 시간(506)에 기초한, 「1회」의 콘텐츠 이용의 관리를 행한다. 또, 또한,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유저(β)의 의도에 반하여, 콘텐츠를 최후까지 이용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유저(β)에 대해서 경고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되감기 한계 위치를 관리하여, 유저(β)가 되감기 조작 등에 의해, 되감기 한계 위치보다 앞으로 콘텐츠의 재생 위치를 변경하도록 지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통지부(812)를 통해서, 지시된 위치로부터 연속하여 재생을 행하면, 콘텐츠를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는 것을 경고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한, 되감기 한계 위치란, 콘텐츠의 선두로부터의 시간 오프셋으로 표시되고, 그 위치보다 앞에서, 콘텐츠를 연속하여 재생한 경우, 콘텐츠를 최후까지 재생하기 이전에, 콘텐츠 이용 시간이 최장 이용 시간(506)에 도달해 버려, 콘텐츠를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는 위치인 것이다. 되감기 한계 위치는, (식 1)에 의해 구해진다.
(되감기 한계 위치) = (콘텐츠의 길이)-{(최대 이용 시간)
-(콘텐츠 이용 시간)} (식 1)
통지부(812)는, 각종 메시지를 유저(β)에 대해서 통지하는 부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에서의 디지털 콘텐츠 배송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 설명을 행한다.
우선, 도 10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의 디지털 콘텐츠 배송 시스템에 있어서, 유저 단말(110)이, 권리 관리 서버(100)로부터 LT(700)를 취득할 때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S1001 : LT 취득부(805)는, 키보드 등의 도시하지 않은 유저 조작 입력부를 통해서, 유저(β)로부터의 LT 취득 지시를 수신한다. 이 유저(β)로부터의 LT 취득 지시에는, 유저(β)가 LT(700)를 취득하여 재생을 희망하는 콘텐츠의 콘텐츠 ID(201)와, LT 발행 요구(900) 내의 희망 이용 가능 회수(902)에 기술하는 값을 지정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LT 취득부(805)는, 유저(β)로부터의 LT 취득 지시에 따라서, LT 발행 요구(900)를 생성하여, 통신부(803)를 통해서 권리 관리 서버(100)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LT 발행 요구(900)의 단말 ID(401)에는, 단말 ID부(804)가 유지하는 단말 ID(401)를, 콘텐츠 ID(201)에는, 유저(β)로부터의 LT 취득 지시에 포함되는 콘텐츠 ID(201)를, 희망 이용 가능 회수(902)에는, 유저(β)로부터의 LT 취득 지시에 의해서 지정된 값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S1002 : 유저 특정부(302)는, LT 발행 요구(900)를 수신하면, LT 발행 요구(900)에 포함되는 단말 ID(401)를 기초로,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300)를 참조하여, LT(700)의 발행을 희망하고 있는 유저(β)를 특정한다.
S1003 : S1002에서 유저(β)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 즉, LT 발행 요구(900)에 포함되는 단말 ID(401)가, 유저 정보 데이터베이스(30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유저 특정부(302)는, LT 발행 불가인 것을 유저 단말(110)에게 통지한다. S1002에서 유저(β)를 특정할 수 있었던 경우에는, S1004의 처리로 진행한다.
S1004 : LT 생성부(303)는, 후술하는 LT 발행 여부 판정 프로세스를 행하여, LT(700)를 발행하는 기초가 되는 이용 권리(500)의 특정과, LT(700)가 발행 가능한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S1005 : S1004에서, LT 발행 불가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LT 생성부(303)는, LT 발행 불가인 것을 유저 단말(110)에게 통지한다. S1004에서, LT 발행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S1006로 진행한다.
S1006 : LT 생성부(303)는, LT 발행 요구(900)에 기초하여, LT(700)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생성하는 LT(700) 내의 콘텐츠 ID(201)에는, LT 발행 요구(900)에 포함되는 콘텐츠 ID(201)를, LT 유효 기간(701)에는, S1004에서 특정된 이용 권리(500)의 이용 권리 유효 기간(503)의 값을, 이용 가능 회수(504)에는, LT 발행 요구(900)에 포함되는 희망 이용 가능 회수(902)의 값을, 1회 판정 임계값(505)에는, S1004에서 특정된 이용 권리(500)의 1회 판정 임계값(505)의 값을, 최장 이용 시간(506)에는, S1004에서 특정된 이용 권리(500)의 최장 이용 시간(506)의 값을, 콘텐츠 복호키(502)에는, S1004에서 특정된 이용 권리(500)의 콘텐츠 복호키(502)의 값을 설정하는 것으로 한다.
S1007 : 이용 권리 갱신부(304)는, S1004에서 특정된 이용 권리(500)의 내용을 갱신한다. 구체적으로는, S1006에서 LT 생성부(303)가 생성한 LT(700) 내의 이용 가능 회수(504)의 값만큼, S1004에서 특정된 이용 권리(500)의 이용 가능 회수(504)를 감산하는 처리를 행한다.
S1008 : 통신부(305)는, S1006에서 LT 생성부(303)에 의해서 생성된 LT(700)를 유저 단말(110)에 대해서 송신한다.
S1009 : LT 취득부(805)는, 통신부(803)를 통해서, S1008에서 송신된 LT(700)를 수신하여, 수신한 LT(007)를 LT 데이터베이스(802)에 등록한다. 그 후, LT 취득부(805)는, 유저(β)에 대해서, 통지부(812)를 통해서, LT(700)의 취득이 완료한 취지를 통지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S1010 : 또한, S1003이나 S1005에서, LT 발행 불가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LT 취득부(805)는, 권리 관리 서버(100)로부터 LT 발행 불가 통지를 수신한다. 이 경우, LT 취득부(805)는, 유저(β)에 대해서, 통지부(812)를 통해서, LT(700)를 취득할 수 없었던 취지를 통지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S1001에서, LT 발행 요구(900) 내의 희망 재생 가능 회수(902)에는, 유저(β)로부터 지정된 값을 설정하는 것으로서 설명을 행하였지만, 유저(β)로부터 지정된 값을 지정되지 않고, 미리 정해진 규정값을 설정하거나, LT 취득부(805)가 적절하다고 생가되는 값을 스스로 산출하여, 그 값을 설정하거나 해도 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도 11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도 10에서의 S1004의, LT 발행 여부 판정 프로세스에 대해서 설명을 행한다. LT 발행 여부 판정 프로세스는, LT(700)가 발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프로세스이다.
S1101 : LT 생성부(303)는, 이용 권리 데이터베이스(301)를 참조하여, S1002에서 유저 특정부(302)에 의해서 특정된 유저(β)가, LT 발행 요구(900)에 포함되는 콘텐츠 ID(201)에 의해서 특정되는 콘텐츠에 대한 이용 권리(500)를 소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유저(β)가, LT 발행 요구(900)에 포함되는 콘텐츠 ID(201)에 의해서 특정되는 콘텐츠에 대한 이용 권리(500)를 소유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LT 생성부(303)는, 그 이용 권리(500)를, LT(700)를 발행하는 기초가 되는 이용 권리(500)로서 특정하여, S1102의 처리로 진행한다. 유저(β)가 LT 발행 요구(900)에 포함되는 콘텐츠 ID(201)에 의해서 특정되는 콘텐츠에 대한 이용 권리(500)를 소유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S1105의 처리로 진행한다.
S1102 : LT 생성부(303)는, S1101에서 특정된 이용 권리(500)의 이용 권리 유효 기간(503)을 참조하여, 현재 시각이, 이용 권리 유효 기간(503)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현재 시각이 이용 권리 유효 기간(503) 내라고 판정된 경우, S1103의 처리로 진행한다. 현재 시각이 이용 권리 유효 기간(503) 외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S1105의 처리로 진행한다.
S1103 : LT 생성부(303)는, S1101에서 특정된 이용 권리(500)의 이용 가능 회수(504)와, LT 발행 요구(900) 내의 희망 이용 가능 회수(902)를 비교하여, S1101에서 특정된 이용 권리(500)의 이용 가능 회수(504)가, LT 발행 요구(900) 내의 희망 이용 가능 회수(902)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이용 권리(500)의 이용 가능 회수(504)가, LT 발행 요구(900) 내의 희망 이용 가능 회수(902)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 S1104의 처리로 진행한다. 이용 권리(500)의 이용 가능 회수(504)가, LT 발행 요구(900) 내의 희망 이용 가능 회수(902) 미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S1105의 처리로 진행한다.
S1104 : LT 생성부(303)는, LT(700)를 발행 가능하다고 판정한다.
S1105 : LT 생성부(303)는, LT(700)를 발행 불가하다고 판정한다.
또한, S1103에서, 이용 권리(500)의 이용 가능 회수(504)가, LT 발행 요구(900) 내의 희망 이용 가능 회수(902) 미만인 경우에도, 이용 권리(500)의 이용 가능 회수(504)가 1이상이면, S1104의 처리로 진행하여, LT(700)를 발행 가능한 것으로 해도 된다. 단, 이 경우, 발행되는 LT(700)에서의 이용 가능 회수(504)에는, 이용 권리(500)의 이용 가능 회수(504)의 값이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도 12A는, 유저 단말(110)에서의 콘텐츠의 재생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S1201 : 콘텐츠 이용 여부 판정부(807)는, 키보드 등의 도시하지 않은 유저 조작 입력부를 통해서, 유저(β)로부터의 콘텐츠 재생 개시 지시를 수신한다. 이 유저(β)로부터의 콘텐츠 재생 개시 지시에는, 유저(β)가 재생을 희망하는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콘텐츠 이용 여부 판정부(807)는, 유저(β)로부터의 콘텐츠 재생 개시 지시에 따라서, 유저(β)가 재생을 희망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LT(700)가 LT 데이터베이스(802)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한다. 대응하는 LT(700)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S1204의 처리로 진행한다. 대응하는 LT(7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S1202의 처리로 진행한다.
S1202 :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을 행한, LT 취득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S1203 : LT 취득 프로세스를 실행한 결과, LT(700)의 취득에 실패한 경우에는, S1204a의 처리로 진행한다. LT(700)의 취득에 성공한 경우에는, S1204의 처리로 진행한다.
S1204 : 콘텐츠 이용 여부 판정부(807)는, 유저(β)가 재생을 희망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LT(700)의 내용을 참조하여, 콘텐츠를 재생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LT(700) 내의 LT 유효 기간(701)과 이용 가능 회수(504)를 참조함으로써 행해진다. 구체적으로는, 콘텐츠 이용 여부 판정부(807)는, 현재 시각이 LT 유효 기간(701) 내이고, 또한, 이용 가능 회수(504)의 값이 1이상인 경우에 콘텐츠를 재생 가능하다고 판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재생 불가라고 판정하는 것으로 한다. S1204에서 콘텐츠 재생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S1205의 처리로 진행한다. 콘텐츠 재생 불가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S1204a의 처리로 진행한다.
S1204a : S1203에서 LT(700)의 취득에 실패한 경우, 또는 S1204에서 콘텐츠 재생 불가라고 판정된 경우, 콘텐츠 이용 여부 판정부(807)는, 유저(β)에 대해서, 통지부(812)를 통해서, 콘텐츠가 재생 불가인 취지를 통지한다.
S1205 : S1204에서 콘텐츠 재생 가능하다고 판정된 경우, 콘텐츠 복호부(809)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801)로부터, 유저(β)가 재생을 희망하고 있는 콘텐츠 데이터(200)를 취출한다.
S1206 : 콘텐츠 복호키 취득부(808)는, 유저(β)가 재생을 희망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LT(700)로부터, 콘텐츠 복호키(502)를 취출한다.
S1207 : 콘텐츠 복호부(809)는, S1206에서 취출한 콘텐츠 데이터(200)에 포함되는 암호화 콘텐츠(203)를, S1206에서 콘텐츠 복호키 취득부(808)가 취득한 콘텐츠 복호키(502)를 이용하여 복호한다. 그 후, 콘텐츠 재생부(810)는, 콘텐츠 복호부(809)가 복호한 암호화 콘텐츠(203)를 재생한다.
S1208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콘텐츠의 이용 시간의 계측을 개시한다.
S1209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콘텐츠 재생에서 유저의 불이익을 방지하기 위한 콘텐츠 이용 관리 처리를 행한다.
도 12B는, 유저 단말(110)에서의 콘텐츠 이용 관리 처리(도 12A의 S1209)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S1210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재생 정지를 지시하는 유저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211 : S1210에서 재생 정지를 지시하는 유저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정된 경우에,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제1 관리 처리를 행한다. 이 제1 관리 처리는, 재생 정지 조작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유저의 불이익을 방지하는 처리이다. 또한, 제1 관리 처리에서 재생을 정지한 경우에는, 도 12B의 콘텐츠 관리 처리를 종료하고, 재생을 정지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S1210으로 되돌아간다.
S1212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재생 위치의 변경을 지시하는 유저 조작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S1213 : S1212에서 재생 위치를 변경하는 유저 조작이 이루어졌다고 판정된 경우에,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제2 관리 처리를 행한다. 이 재생 위치 변경 조작(빨리감기 또는 되감기)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유저의 불이익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행된다.
S1214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주기적인 타임아웃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주기는, 예를 들면, 수 100mS나 수초 등 미리 정해진 시간이면 된다.
S1215 : 타임아웃이 발생한 경우, 우선,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각 마커의 위치를 산출한다. 마커는, 예를 들면, 도 17A, 도 1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재 재생 위치 표시용 태그(1701)(재생 위치 태그라고도 부른다), 되감기 한계 위치 표시용 마커(1702)(한계 마커라고도 부른다), 재생 완료 선단 위치 표시용 마커(1800)(재생 완료 마커라고도 부른다) 등이 있고, 재생 위치 지정용 슬라이드 바(1700)와 함께 표시된다. 도 17A에서, 재생 위치 태그(1701)는, 콘텐츠의 현재의 재생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이다. 유저(β)는, 재생 위치 태그(1701)를 슬라이드 바(1700) 상에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콘텐츠 재생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재생 위치 태그를 슬라이드시키는 대신에, 조작 패널이나 리모콘 등에 구비된 빨리감기, 되감기 버튼의 가압에 의한 재생 위치의 변경, 혹은 콘텐츠 선두로부터의 시간 지정에 의한 재생 위치의 변경이어도 상관없다. 한계 마커(1702)는, 그 위치보다도 앞으로 재생 위치를 변경하면, 콘텐츠의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는 한계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이다. 이것에 의해, 유저(β)는, 되감기 한계 위치를 항상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재생 완료 마커(1800)는, 유저의 위치 변경 조작에 의해 재생 위치를 앞쪽으로 되돌린 경우에, 이미 재생이 완료된 선단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이다.
S1216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S1215에서 산출된 각 마커의 위치에 따라서, 슬라이드 바(1700)와 함께 표시되는 각 마커의 표시 위치를 갱신한다.
S1217 : 계속해서,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제3 관리 처리를 행한다. 이 제3 관리 처리는, 일시 정지 조작 등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유저의 불이익을 방지하는 처리이다.
S1218 : 또한,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제4 관리 처리를 행한다. 이 제4 관리 처리는, 일시 정지하고 있는 경우나, 재생 위치의 변경에 의해 재생이 완료된 위치로 점프하여 재차 재생하고 있는 경우에 생길 수 있는 유저의 불이익을 방지하는 처리이다.
도 13은, 도 12B 중의 제1 관리 처리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S1301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키보드 등의 도시하지 않은 유저 조작 입력부를 통해서, 유저(β)로부터의 콘텐츠 재생 정지 지시를 수신하면, 콘텐츠 이용 시간이, 재생에 사용하고 있는 LT(700) 내의 1회 판정 임계값(505)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콘텐츠 이용 시간이 1회 판정 임계값(505) 이상인 경우에는, S1302의 처리로 진행한다. 콘텐츠 이용 시간이 1회 판정 임계값(505) 미만인 경우에는, S1305의 처리로 진행한다.
S1302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통지부(812)를 통해서, 콘텐츠 재생을 정지하면, 「1회」분의 이용 권리가 소비되는 것을, 유저(β)에게 경고하여, 콘텐츠 재생 정지 처리를 속행할지의 여부를 유저(β)에게 문의한다.
S1303 : S1302의 문의에 대해서, 유저(β)로부터, 콘텐츠 재생 정지 처리를 속행하지 않는다고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 콘텐츠 재생 정지는 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것에 대해서, 유저(β)로부터, 콘텐츠 재생 정지 처리를 속행한다고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 S1304의 처리로 진행한다.
S1304 : LT 갱신부(806)는, 재생에 사용하고 있는 LT(700) 내의 이용 가능 회수(504)를 1 감산한다.
S1305 : 콘텐츠 재생부(810)는, 콘텐츠의 재생을 정지한다.
도 14A는, 도 12B 중의 제2 관리 처리 를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제2 관리 처리는, 재생 위치 변경 조작(빨리감기 또는 되감기)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유저의 불이익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행된다.
S1401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리모콘이나 키보드 등으로부터의 유저 조작 입력부를 통해서, 유저(β)로부터의 콘텐츠 재생 위치 변경 지시를 수신하면, 전술한 (식 1)을 이용하여, 되감기 한계 위치를 산출한다.
S1402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유저(β)가 지정한 재생 지정 위치가, S1301에서 산출한 되감기 한계 위치보다도 앞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재생 지정 위치가 되감기 한계 위치보다도 앞인 경우, S1403의 처리로 진행한다. 재생 지정 위치가 되감기 한계 위치보다도 앞이 아닌 경우에는, S1405의 처리로 진행한다.
S1403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통지부(812)를 통해서, 콘텐츠 재생 위치를 지정한 위치로 변경하고, 거기에서 연속하여 재생을 행하면, 콘텐츠를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는 것을 유저(β)에게 경고하여, 콘텐츠 재생 위치 변경 처리를 속행할지의 여부를 유저(β)에게 문의한다.
S1404 : S1403의 문의에 대해서, 유저(β)로부터, 콘텐츠 재생 위치 변경 처리를 속행하지 않는다고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 콘텐츠 재생 위치의 변경은 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것에 대해서, 유저(β)로부터, 콘텐츠 재생 위치 변경 처리를 속행한다고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 S1405의 처리로 진행한다.
S1405 : 콘텐츠 재생부(810)는, 유저(β)로부터 지정된 위치로, 재생 위치를 변경한다.
도 14B는, 도 12B 중의 제3 관리 처리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제3 관리 처리는, 일시 정지 조작 등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유저의 불이익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행된다.
S1410 : S1401과 동일하게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되감기 한계 위치를 산출한다.
S1411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현재의 재생 위치와 되감기 한계 위치의 차분(TA)을 산출한다. 이 차분(TA)은, 예를 들면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재 위치로부터 한계 위치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차분(TA)은 통상 재생하고 있는 경우 작아지는 일은 없다. 그러나 콘텐츠 재생 중에 일시 정지나 되감기 재생의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 도 1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분(TA)은 서서히 작아진다. 그렇게 해서 한계 위치가 재생 위치를 앞지르면, 콘텐츠를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다는, 유저의 불이익이 발생하게 된다.
S1412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차분(TA)이 임계값(T1)보다도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임계값(T1)은, 예를 들면 수초로부터 수10초 정도이면 된다. 임계값(T1)보다도 크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본 처리를 종료하고, 임계값(T1)보다도 작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S1413으로 진행한다.
S1413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이 상태인 채로는 콘텐츠를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게 되는 것을 경고로서 표시한다.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초 이내에 일시 정지를 해제하지 않으면 콘텐츠를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게 됩니다. 일시 정지를 해제하겠습니까?」등의 메시지를 표시시켜, 유저에게 응답을 재촉한다.
S1414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유저의 응답의 유무 및 응답의 내용을 판정한다. 유저의 응답이 없는 경우, 및 일시 정지를 해제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있었던 경우에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일시 정지를 해제한다는 응답이 있었던 경우에는, S1415로 진행한다.
S1415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일시 정지를 해제하여 통상 재생을 재개한다.
이것에 의해, 콘텐츠의 말미를 재생할 수 없다는 불이익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4C는, 도 12B 중의 제4 관리 처리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 제4 관리 처리는, 일시 정지하고 있는 경우나, 재생 위치의 변경에 의해 재생이 완료된 위치로 점프하여 재차 재생하고 있는 경우에 생길 수 있는 유저의 불이익을 방지하기 위해서 실행된다.
S1420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재생이 완료된 선단 위치를 산출한다. 이 재생이 완료된 선단 위치는, 콘텐츠 재생 중에 위치 변경(되감기)을 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의 재생 위치이고, 콘텐츠 재생 중에 위치 변경(되감기)을 한 경우에는, 위치 변경 전의 재생 위치에서 가장 진행된 재생 위치이다.
S1421 : S1401과 동일하게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되감기 한계 위치를 산출한다.
S1422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현재의 재생 위치와 되감기 한계 위치의 차분(TB)을 산출한다. 이 차분(TB)은, 예를 들면 도 1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생이 완료된 선단 위치로부터 한계 위치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차분(TB)은 위치 변경(되감기)한 위치로부터 재생 또는 일시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서히 작아진다. 그렇게 해서 한계 위치가 재생이 완료된 선단 위치를 앞지르면, 콘텐츠를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다는, 유저의 불이익이 발생하게 된다.
S1423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차분(TB)이 임계값(T2)보다도 작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임계값(T2)은, 예를 들면 수초로부터 수10초 정도이면 된다. 임계값(T2)보다도 크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본 처리를 종료하고, 임계값(T2)보다도 작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S1424로 진행한다.
S1424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이 상태인 채로는 콘텐츠를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게 되는 것을 경고로서 표시한다.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초 이내에 선단 위치로부터 재생을 개시하지 않으면 콘텐츠를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게 됩니다. 선단 위치로부터 재생하겠습니까?」 등의 메시지를 표시시켜, 유저에게 응답을 재촉한다.
S1425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유저의 응답의 유무 및 응답의 내용을 판정한다. 유저의 응답이 없는 경우, 및 재생이 완료된 선단 위치로부터 재생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있었던 경우에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재생이 완료된 선단 위치로부터 재생한다는 응답이 있었던 경우에는, S1426로 진행한다.
S1426 :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재생이 완료된 선단 위치로부터 재생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콘텐츠의 말미를 재생할 수 없다는 불이익을 해소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해 온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유저 단말(110)에 의하면, 위치 변경이나 일시 정지 등의 유저 조작에 의해서, 콘텐츠를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는 등의 유저의 불이익의 발생을 예측하여, 사전에 경고를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의 의도에 반하여, 콘텐츠를 최후까지 이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유저의 불이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용 권리 데이터베이스(301)에 격납되는, 이용 권리(500)는, 이용 가능 회수(504), 1회 판정 임계값(505), 최장 이용 시간(506)을 포함하지 않고, 대신에, 이용 가능 시간(1500)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최장 이용 시간(506)의 경우에는, 콘텐츠 재생의 도중에 재생을 정지하면, 나머지 시간이 있어도 이미 재생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해서, 이용 가능 시간(1500)이란, 얼마만큼의 시간, 콘텐츠를 이용 가능한지를 나타내고, 콘텐츠 재생의 도중에 재생 정지나 유저 단말의 전원 off인 상태가 있어도 되고, 재생 정지 시간을 포함하지 않은 토탈의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도 15에서는, 예를 들면, 이용 권리 ID(501)가 「×××001」인 이용 권리(500)는, 콘텐츠를, 20분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권리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용 권리(500)가 도 15에 도시하는 포맷인 경우, LT(700)도,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용 가능 회수(504), 1회 판정 임계값(505), 최장 이용 시간(506)을 포함하지 않고, 대신에, 이용 가능 시간(1500)을 포함하게 된다. 이 경우,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가 관리하는 되감기 한계 위치는, 이하에 나타내는 (식 2)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것으로 한다.
(되감기 한계 위치) = (콘텐츠의 길이)-{(이용 가능 시간)
-(콘텐츠 이용 시간)} (식 2)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콘텐츠 재생 정지 처리, 및, 콘텐츠 재생 위치 변경 처리 중에서, 필요에 따라서, 유저(β)에 대해서 경고 메시지를 통지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경고 메시지를 통지하는 것은, 반드시 이들의 처리 중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 유저(β)의 의도에 반하여, 콘텐츠를 최후까지 이용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에는, 이들의 처리 이외에도, 유저(β)에 대해서 경고 메시지를 통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콘텐츠 이용 개시와 함께, 미리 정해진 소정의 간격, 또는, 타이밍으로, (식 1) 또는, (식 2)를 이용하여, 되감기 한계 위치의 산출을 행하여, 산출한 되감기 한계 위치와, 현재의 재생 위치의 비교를 행하여, 필요에 따라서, 유저(β)에게 경고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유저(β)가, 콘텐츠 이용 중에, 장시간 일시 정지를 행한 경우, 되감기 한계 위치가 일시 정지 위치에 임박한 단계에서, 즉시 일시 정지를 해제하지 않으면, 콘텐츠를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다는 경고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되감기 한계 위치와 함께, 콘텐츠가 어디까지 재생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인, 재생이 완료된 선단 위치를 관리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되감기 한계 위치가 재생이 완료된 선단 위치에 임박한 단계에서, 유저(β)에 대해서, 즉시 재생이 완료된 선단 위치로부터 재생을 개시하지 않으면, 콘텐츠를 최후까지 재생할 수 없다는 경고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경고를 행한 경우 자동적으로, 또는, 유저(β)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콘텐츠 재생 위치를, 재생이 완료된 선단 위치로 점프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어도 되는 것으로 한다. 또,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가 재생이 완료된 선단 위치를 관리하는 경우,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재생 위치 지정용 슬라이드 바(1700)에, 재생이 완료된 선단 위치 표시용 마커(1800)를 표시시켜도 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 12B 중의 표시 갱신 단계 S1216에서,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비 마커(1703)를 표시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소비 마커(1703)는, 1회 판정 임계값(505)의 위치를 나타내는 마커이다. 이 표시에 의해, 유저는, 콘텐츠를 1회 이용하는 권리를 소비하는 재생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도 12B 중의 표시 갱신 단계 S1216에서,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슬라이드 바를 표시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상기 도면에서, 재생이 완료된 부분(1801a, 1801b)은, 재생이 완료된 구간을 나타낸다. 미재생 부분(1802a, 1802b)은, 재생되어 있지 않은 구간을 나타낸다. 미재생 부분(1802a)은, 예를 들면 위치 변경 조작에 의한 점프에 의해 재생되지 않은 채로 되어 있다. 경고 박스(1803)는, 실제 재생 부분의 합계 시간과, 이용 가능한 나머지 시간을 표시하고 있다. 다른 마커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가 자유롭게 재생 위치를 변경하면서 재생하고 싶은 경우에, 콘텐츠의 재생 누락을 발생시키지 않고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도 14B의 S1415, 도 14C의 S1426에서,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도 20의 슬라이드 바 표시 등과 같이, 미재생 부분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실제 재생 부분을 순서대로 자동 재생하는 제어를 해도 된다.
또, 도 14A의 단계 S1404, S1405에서는,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유저의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유저에 의한 위치 변경을 캔슬해도 된다. 혹은, 유저 조작에 의해 지정된 재생 위치 대신에 한계 위치로부터 재생하도록 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콘텐츠 재생 관리부(811)는, 유저(β)의 의도에 반하여, 콘텐츠를 최후까지 이용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되는 상태를 검출한 경우에는, 유저(β)에 대해서 경고를 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경고를 행하는 것이 아니라, 그 상태를 야기하는 원인이 되는 유저(β)의 조작을 금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은, 라이선스 정보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이용 조건에 따라서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에 적합하다.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셋탑박스, 디지털 TV, DVD 리코더, 하드디스크 리코더, 퍼스널 컴퓨터 등의 콘텐츠 재생 장치, 기록 장치 혹은 이들의 복합 기기 등에 적합하다.

Claims (20)

  1. 라이선스 정보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이용 조건에 따라서 콘텐츠를 재생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시에 있어서 콘텐츠의 재생 상황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이용 조건과 상기 재생 상황에 기초하여 유저의 불이익의 발생을 예측하는 예측 수단과,
    불이익이 발생한다고 예측된 경우에 유저에게 그 취지를 경고하는 경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수단은, (a) 주기적인 타임아웃, (b) 재생 위치를 변경하는 유저 조작, (c) 일시 정지를 지시하는 유저 조작 및 (d) 정지를 지시하는 유저 조작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조건은, 상기 콘텐츠 이용에 허가된 이용 가능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검출 수단은,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된 구간을 이용 상황으로서 검출하며,
    상기 예측 수단은, 상기 이용 가능 시간으로부터 경과 시간을 뺀 나머지 시간과 콘텐츠의 미재생 구간의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콘텐츠의 전부를 재생 가능한지의 여부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 시간은, (a) 일시 정지 시간을 제외한 재생 동작 시간 및 (b) 일시 정지 시간을 포함하는 재생 동작 시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는, 또한,
    상기 경고 수단에 의한 경고에 대한 유저 응답 조작에 따라서, 콘텐츠의 미재생 구간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재생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조건은, 상기 콘텐츠 이용에 허가된 이용 가능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검출 수단은, 콘텐츠의 현재의 재생 위치와 되감기 한계 위치를 검출하며,
    상기 예측 수단은, 상기 한계 위치보다도 이전에 현재의 재생 위치를 변경하는 유저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 불이익이 발생한다고 예측하고,
    상기 되감기 한계 위치는, 상기 이용 가능 시간으로부터 경과 시간을 뺀 나머지 시간에 상당하는 콘텐츠 말미로부터의 재생 구간의 선두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는, 또한,
    상기 경고 수단에 의한 경고에 대한 유저 응답 조작에 따라서, 재생 위치를 변경하는 상기 유저 조작을 캔슬하는 캔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는, 또한,
    상기 경고 수단에 의한 경고에 대한 유저 응답 조작에 따라서, 재생 위치를 되감기 한계 위치로 변경하는 재생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조건은, 1회분의 콘텐츠 재생으로 간주하기 위한 판정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수단은, 재생 정지를 지시하는 상기 유저 조작을 검출하며,
    상기 예측 수단은, 상기 유저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판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유저의 불이익이 발생한다고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장치는, 또한,
    제시 수단에 의한 제시에 대한 유저의 응답에 따라서, 재생 정지를 지시하는 유저 조작을 캔슬하는 캔슬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11. 라이선스 정보에 포함되는 콘텐츠의 이용 조건에 따라서 콘텐츠를 재생하는 디지털 콘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시에 콘텐츠의 재생 상황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이용 조건과 상기 재생 상황에 기초하여 유저의 불이익의 발생을 예측하는 예측 단계와,
    불이익이 발생한다고 예측된 경우에 유저에게 그 취지를 경고하는 경고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단계에서, (a) 주기적인 타임아웃, (b) 재생 위치를 변경하는 유저 조작, (c) 일시 정지를 지시하는 유저 조작 및 (d) 정지를 지시하는 유저 조작 중 어느 하나에 따라서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조건은, 상기 콘텐츠 이용에 허가된 이용 가능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검출 단계에서,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된 구간을 이용 상황으로서 검출하며,
    상기 예측 단계에서, 상기 이용 가능 시간으로부터 경과 시간을 뺀 나머지 시간과 콘텐츠의 미재생 구간의 시간을 비교함으로써, 콘텐츠의 전부를 재생 가능한지의 여부를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경과 시간은, (a) 일시 정지 시간을 제외한 재생 동작 시간 및 (b) 일시 정지 시간을 포함하는 재생 동작 시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방법은, 또한,
    상기 경고 단계에서의 경고에 대한 유저 응답 조작에 따라서, 콘텐츠의 미재생 구간을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재생 제어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조건은, 상기 콘텐츠 이용에 허가된 이용 가능 시간을 나타내고,
    상기 검출 단계에서, 콘텐츠의 현재의 재생 위치와 되감기 한계 위치를 검출하며,
    상기 예측 단계에서, 상기 한계 위치보다도 이전에 현재의 재생 위치를 변경하는 유저 조작이 이루어졌을 때, 불이익이 발생한다고 예측하고,
    상기 되감기 한계 위치는, 상기 이용 가능 시간으로부터 경과 시간을 뺀 나머지 시간에 상당하는 콘텐츠 말미로부터의 재생 구간의 선두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방법은, 또한,
    상기 경고 단계에서의 경고에 대한 유저 응답 조작에 따라서, 재생 위치를 변경하는 상기 유저 조작을 캔슬하는 캔슬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방법은, 또한,
    상기 경고 단계에서의 경고에 대한 유저 응답 조작에 따라서, 재생 위치를 되감기 한계 위치로 변경하는 재생 제어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 조건은, 1회분의 콘텐츠 재생으로 간주하기 위한 판정 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 단계에서, 재생 정지를 지시하는 유저 조작을 검출하며,
    상기 예측 단계에서, 재생 정지를 지시하는 상기 유저 조작이 검출되었을 때 상기 판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유저의 불이익이 발생한다고 예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재생 방법은, 또한,
    제시 단계에서의 제시에 대한 유저의 응답에 따라서, 재생 정지를 지시하는 유저 조작을 캔슬하는 캔슬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KR1020057014000A 2003-04-04 2004-04-01 디지털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디지털 콘텐츠 이용 제어 방법 KR2005012166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01250 2003-04-04
JP2003101250 2003-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663A true KR20050121663A (ko) 2005-12-27

Family

ID=33156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000A KR20050121663A (ko) 2003-04-04 2004-04-01 디지털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디지털 콘텐츠 이용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85814A1 (ko)
EP (1) EP1613085A4 (ko)
KR (1) KR20050121663A (ko)
CN (1) CN1771730A (ko)
WO (1) WO20040912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981B1 (ko) * 2005-01-08 2006-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drm 기능 개선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24648B1 (en) * 2003-07-08 2008-01-29 Copyright Clearance Cente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key delivery for decrypting bulk digital content files at an unsecure site
JP4321340B2 (ja) * 2004-04-22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JP2006085480A (ja) * 2004-09-16 2006-03-30 Sony Corp ライセンス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
JP2006129095A (ja) * 2004-10-28 2006-05-18 Excellead Technology:Kk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20060098943A1 (en) * 2004-11-05 2006-05-11 Microsoft Corporation Content re-lock control
US20080007658A1 (en) * 2004-12-13 2008-01-10 Seiji Kodama Tv Receiver
US8214869B2 (en) 2005-12-29 2012-07-03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status change of a multimedia asset in multimedia delivery systems
JP2007304849A (ja) * 2006-05-11 2007-11-22 Sony Corp 管理装置、情報処理装置、管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方法
US9357155B2 (en) * 2007-07-26 2016-05-31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row advertising in a program guide
US8209718B2 (en) 2007-07-26 2012-06-26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ing row advertising in a program guide
US20090031346A1 (en) * 2007-07-26 2009-01-29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populating a menu structure on a user device
US8856835B2 (en) * 2007-07-26 2014-10-07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associating content and content information in a menu structure
US10063813B2 (en) * 2007-07-26 2018-08-28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and displaying broadband content availability using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a satellite
WO2011155141A1 (ja) * 2010-06-08 2011-1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テンツ管理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US10181040B2 (en) 2013-07-19 2019-01-15 Disney Enterprises, Inc. Alternate content playlist for locked media content
CN104301793B (zh) * 2013-07-19 2018-09-07 迪斯尼企业公司 用于已锁定的媒体内容的另选内容播放列表
US9454342B2 (en) 2014-03-04 2016-09-27 Tribune Digital Ventures, Llc Generating a playlist based on a data generation attribute
US9431002B2 (en) 2014-03-04 2016-08-30 Tribune Digital Ventures, Llc Real time popularity based audible content aquisition
US9798509B2 (en) 2014-03-04 2017-10-24 Gracenote Digital Ventures, Llc Use of an anticipated travel duration as a basis to generate a playlist
US20150334170A1 (en) * 2014-05-19 2015-11-19 Tribune Digital Ventures, Llc Use of a remainder duration as a basis to generate a playlist
US10261964B2 (en) 2016-01-04 2019-04-16 Gracenote, Inc. Generating and distributing playlists with music and stories having related moods
US10565980B1 (en) 2016-12-21 2020-02-18 Gracenote Digital Ventures, Llc Audio streaming of text-based articles from newsfeeds
US10019225B1 (en) 2016-12-21 2018-07-10 Gracenote Digital Ventures, Llc Audio streaming based on in-automobile detection
US10419508B1 (en) 2016-12-21 2019-09-17 Gracenote Digital Ventures, Llc Saving media for in-automobile playout
US11711557B2 (en) * 2018-12-31 2023-07-25 Dish Network Technologies India Private Limited Systems, methods, and devices supporting scene change-based smart search functionaliti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221A (ja) * 1994-05-31 1995-12-12 Toshiba Corp ビデオオンデマンド装置
JP3367258B2 (ja) * 1995-03-20 2003-01-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送出装置
JPH0998404A (ja) * 1995-09-29 1997-04-08 Toshiba Corp ビデオ・オン・デマンド装置
US20010037506A1 (en) * 1998-11-24 2001-11-01 Norton Garfinkle Method for streaming interactive content products
WO2000044171A1 (en) * 1999-01-22 2000-07-27 Tuneto.Com, Inc. Digital audio and video playback with performance complement testing
US7073063B2 (en) * 1999-03-27 2006-07-04 Microsoft Corporation Binding a digital license to a portable device or the like in a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system and checking out/checking in the digital license to/from the portable device or the like
US20020107806A1 (en) * 2001-02-02 2002-08-08 Akio Higashi Content usage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 usage management method
WO2002065775A1 (en) * 2001-02-14 2002-08-22 Nds Limited System for payment for broadcast content
JP2002290954A (ja) * 2001-03-23 2002-10-04 Sanyo Electric Co Ltd 要約映像特定装置、要約映像特定方法、および映像端末
US20020196941A1 (en) * 2001-06-21 2002-12-26 Isaacson Shawn Ray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cure digital sound recording
JP2003087236A (ja) * 2001-09-11 2003-03-20 Sony Corp コンテンツ利用回数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利用回数管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981B1 (ko) * 2005-01-08 2006-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drm 기능 개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13085A4 (en) 2006-04-19
CN1771730A (zh) 2006-05-10
WO2004091215A1 (ja) 2004-10-21
EP1613085A1 (en) 2006-01-04
US20060085814A1 (en) 200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21663A (ko) 디지털 콘텐츠 재생 장치 및 디지털 콘텐츠 이용 제어 방법
KR101245675B1 (ko) 트릭 모드 억압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EP1098322A2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playing of a compact disc on a compact disc player
US20060051064A1 (en) Video control system for displaying user-selected scenarios
KR20060055422A (ko) 디지털 비디오 재생을 위한 개선된 북마킹 시스템 및 방법
KR100750430B1 (ko) 정보 재생 장치, 정보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콘텐츠 기록매체, 제어 프로그램,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070250781A1 (e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supplementing static contents
JP2010045765A (ja) 再生装置
JPH09275555A (ja) 情報伝送方法および情報伝送システム
JP2004320754A (ja) デジタル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利用制御方法
US7836509B2 (en) Recording medium,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and method thereof
JP2007250097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再生再開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
RU2353985C2 (ru) Dvd в режиме фиксированног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JP3861700B2 (ja) 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記憶媒体、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125286B1 (ko) 부가 데이터 업데이트 방법 및 재생 장치
JP2007129500A (ja) Cm付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
EP21065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the contents
US7609936B2 (en) Content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storag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JP2009141435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4724350B2 (ja) 再生装置
JP4000765B2 (ja) 記録再生装置
JP5142893B2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KR20070018202A (ko) 자막 정보를 이용한 점프 재생 제어방법
JP2009064314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2008118328A (ja) コンテンツ再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