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8837A -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8837A
KR20050118837A KR1020040043963A KR20040043963A KR20050118837A KR 20050118837 A KR20050118837 A KR 20050118837A KR 1020040043963 A KR1020040043963 A KR 1020040043963A KR 20040043963 A KR20040043963 A KR 20040043963A KR 20050118837 A KR20050118837 A KR 20050118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rfactant system
surfactant
cationic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5104B1 (ko
Inventor
최정진
김태성
조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40043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104B1/ko
Publication of KR20050118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1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5Mixtures of anionic with catio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08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aqueous liquid non soap compositions
    • C11D17/003Colloidal solutions, e.g. gels; Thixotropic solutions or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에 의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세정력, 초기기포도, 기포유지력 및 경수안정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표면장력 및 임계미셀농도를 낮추므로 고상, 액상, 젤상 또는 페이스트(paste)상 세제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탄소수 12~18개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탄소수 12~18개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케닐기 또는 이들의 혼합된 형태이고; R2 및 R3는 각각 탄소수 1~3개의 알킬기이고; R4 (CH2CHOHCH2 O)nH이고, n은 1~10의 정수이며; X는 할로겐 원소, 설페이트기, 또는 아세테이트기이다.

Description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Mixed Surfactant System}
본 발명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여 세정력, 초기기포력, 경수안정성, 표면장력 등에 대하여 매우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양쪽성 등 모든 계면활성제는 임계미셀농도(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이하 'cmc'라고 약칭함) 이하의 농도에서는 단일 분자로 존재하다가 cmc 이상의 농도가 되면 미셀을 형성하고 각각의 화합물에 따라 독특한 계면활성력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한 종류의 계면활성제가 나타내는 계면활성력은 모든 영역에 걸쳐 우수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우선, 동일한 이온성을 지닌 이온성 계면활성제 간을 혼합하는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후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다른 이온성을 가진 계면활성제를 혼합하는 연구는 현재까지 많이 진행되고 있지 않으며, 이는 다른 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혼합됨에 따라 중화된 전하를 가지는 화합물이 생성되고, 이 화합물은 물에 녹지 않아 침전을 형성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왔다.
일반적으로, 이온성이 다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수용액에 동시에 용해시키면 다음과 같이 세가지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즉, 첫 번째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독립적으로 자유로운 단일체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중성 복합체를 이루어 침전이 되는 것이고, 세 번째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혼합 미셀을 형성하여 수용액에 녹는 것이다. 이때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결합하여 생성된 중성 복합체는 유사-비이온성 복합 계면활성제(pseudo-nonionic complex surfactant)라 불리며, 이러한 중성 복합체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같이 친수기가 많을수록 물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계면활성제들의 세 가지 존재 상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조와 농도에 매우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중성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조와 혼합 농도 등의 조건을 잘 조절하면 계면활성력, 예를들어 가용화력, 세정력, 유화력, 분산력, 표면장력, cmc 농도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계면활성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Keizo Ogino, Masahiko Abe, surfactant science series, 46, mixed surfactant systems, 1992, 304~309; Paul M. Holland, Donn N. Rubingh., Mixed Surfactant System, 1992, 402~415).
최근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제품의 성능을 향상시키려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미국특허 제5,798,329호는 농축 형태나 일반 형태에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세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우수한 성능이란 우수한 기포력, 만족할만한 세정력, 항균력을 의미하며, 알킬에테르카르복실레이트(alkylethercarboxylates) 또는 알킬에테르설페이트(alkylethersulfates)에서 선택된 한종 이상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전체 중량에 대해 약 1 ~ 40%로 사용하고, 알코올 알콕시레이트(alcohol alkoxylate), 알킬페놀 에톡시레이트(alkylphenol ethoxylate),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alkylpolyglycosides), 아민 옥사이드(amine oxide) 또는 알카놀아드(alkanolamide)에서 선택된 한종 이상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전체 중량에 대해 약 3 ~ 50%로 사용하며, 4급 암모늄 구조의 화합물을 한종 이상 사용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전체 중량에 대해 약 1 ~ 25% 정도로 사용하여 세정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미국특허 제5,368,756호는 디에스테르 4급 암모늄 화합물과 에톡시화된(ethoxylated) 소수성 화합물 및 물이 혼합된 린스 기능이 첨가된 섬유유연제에 관한 것으로, 양이온성 화합물과 음이온성 세제 화합물을 혼합시 생성되는 염을 방지할 수는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4,576,729호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가 2:4:1 내지 3.5:5:1의 비율로 혼합된 안정한 액체 세제를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4,810,409호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혼합한 액체 세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혼합비는 약 0.05:1 내지 0.3:1이라고 개시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5,230,823호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젤 형태의 식기 세척제에 관한 것으로, 기포 증가제로 특정 형태의 4급 암모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을 이용하면 비록 세정력은 우수할지라도 경수안정성, 초기기포력, 표면장력 등의 물성은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10944호는 직물 세정력을 높이기 위한 폴리아민 오물 분산제와 배합된 C12~C14의 알킬기를 포함하는 디메틸 하이드록시에틸 4급 암모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세탁용 세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에서 사용된 4급 암모늄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기의 길이가 C12~C14로 고정되어 있고,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역할이 폴리아민의 성능만을 향상시켜 단순히 합성직물 예를들면, 폴리에스테르 세탁시의 오물 제거능력만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세정력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초기기포도, 기포유지력 및 경수안정성도 증가시키고, 표면장력 및 임계미셀농도를 낮추어 줌으로써 고상, 액상, 젤상 또는 페이스트(paste)상 세제로 유용한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정 구조를 지닌 양이온성 화합물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탄소수 12~18개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탄소수 12~18개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케닐기 또는 이들의 혼합된 형태이고; R2 및 R3는 각각 탄소수 1~3개의 알킬기이고; R4 (CH2CHOHCH2 O)nH, n은 1~10의 정수이며; X는 할로겐 원소, 설페이트기 또는 아세테이트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고상, 액상, 젤상 또는 페이스트(paste)상의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세정력, 초기기포력, 경수안정성, 표면장력, 임계미셀농도(cmc), 보습력, 기포유지력 등을 포함하는 모든 영역에서 우수한 계면활성력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침전이 생성되지 않는 적절한 농도로 생성된 중성 복합체에 친수성기를 다수 결합하여 물에 대한 용해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침전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물성을 조절할 수 있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양이온 화합물과 유사한 구조에 관하여 R. Zana(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1998 , 199, 169), R. Rosen(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1996 , 179, 261;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1996 , 179, 454)에 의해 이미 발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들 문헌들에 발표된 화합물들은 신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합성되어 화합물 고유의 물성만을 측정하였을 뿐, 본 발명의 목적인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우수한 계면활성력을 나타내는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전혀 진행되지 않았다. 더욱이, 이들 문헌들에 발표된 화합물들은 분자내 친수성기가 적기 때문에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혼합시 침전물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반면, 본 발명은 이들 문헌들에서 발표된 화합물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친수성기인 히드록시기를 분자내 도입함으로써 생성된 중성 복합체의 용해성을 향상시켜 우수한 계면활성력을 나타내게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에 의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세정력을 증가시키고, 초기기포도, 기포유지력 및 경수안정성을 증가시키며, 표면장력 및 cmc를 낮추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과 혼합계를 이루어 순수한 화합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화합물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비누(soap)와 같은 카르복시산염 화합물, 고급 알코올, 고급 알킬 에테르, 올레핀을 설페이트(sulfate)화한 황산 에스테르(sulfuric ester)염 화합물, 알킬벤젠설포네이트(alkylbenzensulfonate)를 포함하는 황산염 화합물, 고급 알코올을 인산화 한 인산염 화합물들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들면,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이하, 'SLS'라 약칭함),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SLES), 직쇄알킬벤젠설폰산염(LAS), 모노알킬 포스페이트(MAP), 아실 이세티오네이트(acyl isethionate, SCI),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설포네이트(AGES), 아실 글루타메이트(acyl glutamate), 아실 타우레이트(acyl taurate) 및 지방산 금속염(fatty acid metal salt)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이 중에서 SLS, SLES, LAS 또는 SCI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은 구조 내에 한종 이상의 친수기를 포함하는 4급 암모늄 형태의 화합물로, 상기 양이온성 화합물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결합시 생성되는 중성 화합물의 물에 대한 용해성을 높여 우수한 계면활성력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3급 아민을 글리시돌이나 알킬할라이드와 가온하여 4급화시킴으로써 글리세릴기((CH2CHOHCH2O)nH)가 붙은 양이온성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는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분자내에 암모늄이 하나인 모노 형태의 양이온성 화합물에 글리세릴기가 하나 붙어있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히드록시기에 글리시돌을 반응시켜 친수성기인 글리세릴기((CH2CHOHCH2O)nH)가 추가로 부가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1:0.001 ~ 1:1의 몰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 화합물의 몰비가 1:0.001 미만인 경우에는 양이온성 화합물의 혼합에 의한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물성 변화를 나타내기 어렵다. 또,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 화합물의 몰비가 1: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싼 양이온을 과량 사용해야 하는 경제적인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물성적으로도 성능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추가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코올 알콕시레이트(alcohol alkoxylate), 알킬페놀 에톡시레이트(alkylphenol ethoxylate),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alkylpolyglycosides), 아민 옥사이드(amine oxide) 및 알카놀아미드(alkanol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음이온 계면활성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 화합물 및 비온성 계면활성제를 1: 0.001: 0.001 ~ 1: 1: 1의 몰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세정력, 초기기포력, 경수안정성, 표면장력, cmc, 보습력, 기포유지력 등의 계면활성력이 매우 우수한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에 혼합함으로써 온도 냉각시 계면활성제가 석출되는 온도인 크래프트 점(Krafft point)을 0℃ 이하로 하며, 이는 저온에서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상안정성이 매우 우수함을 나타낸다.
상기 계면활성제 시스템의 표면장력 및 cmc 변화에 대한 물성을 평가해 보면, 세제에서 매우 중요시되는 물성 중의 하나인 낮은 농도에서 미셀(micelle)이 형성되며, 이는 적은 양으로도 우수한 세정력을 나타냄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예를들면, SLS에 비하여 약 2 ~ 100배 묽은 농도의 cmc 값을 보이며, 표면장력도 약 10 ~ 40% 감소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는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우수한 세정력 등의 계면활성력을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경수에서 사용할 경우 금속이온과 착물을 이룸으로써 계면활성제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본 발명의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동등하거나 2배의 경수 농도에서도 안정한 상을 이루는 결과를 나타낸다. 이는 세탁세제나 주방세제와 같이 경수를 사용하는 조건에서도 일정한 성능을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고상, 액상, 젤상 또는 페이스트(paste)상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고상 또는 액상 세제 조성물은 식기 세척기용 세제 등과 같이 사용 초기에는 풍부한 기포가 발생되고 사용함에 따라 기포가 쉽게 꺼지는 것을 요구하는데,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과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혼합된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종래 고상, 액상, 젤상 또는 페이스트(paste)상 세제 등에 포함시켜 종래 제품보다 성능이 우수한 모발용 샴푸, 린스 조성물, 주방용 세제, 피부 세정제, 컨디셔닝용 피부세정제, 식기세척기용 세제, 물절약 세제 등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의 혼합계에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물성을 변화시킬 양이온성 화합물 중 대표적인 양이온성기로서 4급 암모늄기를 한 개 포함하는 모노형태(mono-type)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였다.
<합성예 1> N,N-디메틸-N-모노글리세릴 라우릴 암모늄 클로라이드(N,N-Dimethyl-N-Monoglyceryl Lauryl Ammonium Chloride)의 합성
3구 플라스크에 이소프로필 알코올(IPA; 120 g)과 도데실 디메틸아민(315g, 1.4 mol), 1-클로로-2,3-프로판디올(166g, 1.47 mol)을 넣은 후, 촉매로 소듐 이오디드(sodium iodide)(2.4 g) 첨가한 다음 환류시켰다. 아민 %를 측정하여 반응 진행 정도를 확인하였다. 반응기의 온도를 120℃로 올린 후 10시간에 반응이 95% 진행되었다. 반응 결과물을 아세톤에 부은 후 냉각하여 재결정하였다. 결과물은 흡습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재결정 후 거름을 통해 얻은 결과물은 곧바로 진공 건조하였다.
1H NMR(CDCl3 δ ppm) 0.835 3H, 1.232 18H, 1.727 2H, 3.300 6H, 3.460 ~ 3.742 4H, 4.356 1H.
<합성예 2> N,N-디메틸-N-디글리세릴 라우릴 암모늄클로라이드(N,N-Dimethyl-N-Diglyceryl Lauryl Ammonium Chloride)의 합성
글리세릴기가 두개 치환된 디글리세릴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해서, 모노글리세릴 화합물에 글리세릴기를 추가적으로 도입한다.
3구 플라스크에 이소프로필 알코올(IPA; 140 g)과 합성예 1에서 제조된 모노글리세릴 화합물(227g, 0.7 mol), 글리시돌(61g, 96%, 0.7 mol)을 넣은 후, 온도 50℃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여 반응을 완료하였다. 혼합물에서 이소프로필 알코올을 감압하에서 증류하여 제거하였다. 결과물은 흡습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결과물을 증류수에 50% 용액으로 만들어 보관하였다.
1H NMR(CDCl3 δ ppm) 0.866 3H, 1.264 18H, 1.739 2H, 3.355 6H, 3.444 ~ 4.035 9H, 4.486 1H.
글리세릴기가 2개 이상으로 축합되어진 화합물의 경우,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에서 나타나듯 부가몰수의 분포를 나타낸다. 분포 정도는 목적 부가몰수가 과반이 되는 선에서 선택되어지며, 사용용도에 따라 부가몰수를 조정하여 선택되어진다.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하기 표 1과 같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SDS)를 이용하고, 양이온성 화합물로 N,N,N-디메틸(테트라글리세릴)도데실암모늄 클로라이드(DTDAC)를 이용하여 각각 1:0.01 내지 1:1.1의 몰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각 혼합계의 농도는 1% 수용액으로 조절하였으며, 이때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단독일 경우를 비교예 1로 하였다. 표 1의 값은 물 100ml에 포함되는 각 화합물의 g 수를 의미한다.
<실험예 1> 크래프트 점(Krafft point)의 변화 측정
크래프트 점은 1% 수용액을 만들고, 아이스 배스(ice bath) 또는 물 중탕에서 그 수용액을 천천히 냉각 또는 덥히면서 침전이 생성되는 온도 및 침전이 녹는 온도를 측정한 것이다.
하기 표 2로부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서는 크래프트 점이 0℃ 이하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수용액상이 대부분인 액체로 된 제형에 있어서 낮은 온도에서도 계면활성제가 석출되지 않고 안정한 용액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2> 초기기포도 및 기포유지력 측정
기포도의 측정은 Semi-Micro TK법을 이용하였으며, 이 방법은 계면활성제 1% 수용액을 5ml 정도 채운 시험관에서 튜브로 연결되어진 다른 시험관에 채워진 일정량의 물을 하부로 배출하여 계면활성제 수용액의 내부에 장치되어진 관으로부터 기포를 발생시켜 그 기포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초기기포도란 물이 모두 배출된 시점에서 기포가 최대의 부피를 나타내었을 때의 기포의 부피이고, 기포유지력은 시간에 따라 기포의 꺼짐을 부피의 변화로서 측정한 것이다.
하기 표 3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서는 초기기포도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한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기포유지력에서는 매우 안정하게 기포가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이온성 화합물이 샴푸나 피부세정용 조성물에서의 기포도를 증진시키고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표 3에서의 단위는 mL이다.
<실험예 3> CMC 및 표면장력 측정(25℃)
표면장력은 Ring metho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기기는 Kruss Processor Tensiometer K12를 이용하였으며, 표면장력이 더 이상 낮아지는 농도를 내삽법으로 결정하여 CMC로 하였다.
하기 표 4로부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CMC 강하 능력은 약 30배 내지 200배를 나타내며, 표면장력은 13 mN/m만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적은 양을 사용하여도 우수한 계면활성 능력을 나타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에 의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세정력을 증가시키고 초기기포도, 기포유지력 및 경수안정성은 증가시키고 표면장력 및 임계미셀농도를 낮추므로 고상 또는 액상 세정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양이온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1은 탄소수 12~18개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탄소수 12~18개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케닐기 또는 이들의 혼합된 형태이고; R2 및 R3는 각각 탄소수 1~3개의 알킬기이고; R4 (CH2CHOHCH2 O)nH이고 n은 1~10의 정수이며; X는 할로겐 원소, 설페이트기 또는 아세테이트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상기 양이온성 화합물의 혼합비가 1:0.001 ~ 1:1의 몰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LS),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SLES), 직쇄 알킬 벤젠설폰산염(LAS), 모노알킬 포스페이트(MAP), 아실 이세티오네이트(acyl isethionate, SCI), 알킬 글리세릴 에테르 설포네이트(AGES), 아실 글루타메이트(acyl glutamate), 아실 타우레이트(acyl taurate) 및 지방산 금속염(fatty acid metal salt)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화합물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3급 아민과 글리시돌 또는 알킬 할라이드를 가온 반응시켜 4급화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1, R2 및 R3는 제1항의 정의와 동일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성 화합물의 히드록시기에 글리시돌을 반응시켜 글리세릴기를 추가로 부가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의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을 포함하는 고상, 액상, 젤상 또는 페이스트(paste)상의 세제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모발용 샴푸, 린스 조성물, 주방용 세제, 피부 세정제 또는 컨디셔닝용 피부세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제 조성물.
KR1020040043963A 2004-06-15 2004-06-15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 KR101005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963A KR101005104B1 (ko) 2004-06-15 2004-06-15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963A KR101005104B1 (ko) 2004-06-15 2004-06-15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837A true KR20050118837A (ko) 2005-12-20
KR101005104B1 KR101005104B1 (ko) 2010-12-30

Family

ID=37291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963A KR101005104B1 (ko) 2004-06-15 2004-06-15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10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830B1 (ko) * 2005-06-20 2007-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비누 조성물
KR101069082B1 (ko) * 2004-08-23 2011-09-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글리세릴기가 도입된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KR20160050694A (ko) * 2014-10-30 2016-05-11 (주)아모레퍼시픽 세정제 조성물
CN116283622A (zh) * 2023-02-01 2023-06-23 丽水新川新材料有限公司 金属镍粉末和金属镍粉末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0764B2 (ja) 1997-03-29 2005-02-16 株式会社資生堂 毛髪洗浄料
JPH11217585A (ja) 1998-01-30 1999-08-10 Lion Corp 柔軟性液体洗浄剤組成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082B1 (ko) * 2004-08-23 2011-09-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글리세릴기가 도입된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KR100743830B1 (ko) * 2005-06-20 2007-07-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화장비누 조성물
KR20160050694A (ko) * 2014-10-30 2016-05-11 (주)아모레퍼시픽 세정제 조성물
CN116283622A (zh) * 2023-02-01 2023-06-23 丽水新川新材料有限公司 金属镍粉末和金属镍粉末的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104B1 (ko)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3141B2 (en) Sulfomethylsuccinates, process for making same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US20050164903A1 (en) Complexed surfactant system
US5627144A (en) Composition for enhanced crude oil recovery operations containing hydrochloric acid or hydrofluoric acid, or mixtures thereof with ester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or/and alkyl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ES2424871T3 (es) Composición de tensioactivo
AU2006309718B2 (en) Thickening/Foam-Promoting Agent
WO2008006076A2 (en) Alkyl lactyllactates and processes of making the same
JPH08502310A (ja) 水性洗剤混合物
EP2163604B1 (en) Surfactant composition
KR20070082219A (ko)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
KR101005104B1 (ko)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
CN102482289B (zh) 异山梨醇甘油醚衍生物以及它们在家庭应用中的用途
EP1181090A1 (en) Use of a carboxylate alkyl polyglycoside surfactant to increase the foam of other anionic surfactants
JP2005507952A (ja) アルキル(アルケニル)グリセロールエーテルカルボン酸
US6121222A (en) Anionic surfactants having multiple hydrophobic and hydrophilic groups
KR20030012692A (ko) 계면활성제 시스템
KR100409087B1 (ko) 계면활성제 시스템
JP2006022116A (ja) 洗浄剤組成物
JP4015924B2 (ja) 皮膚又は毛髪用洗浄剤組成物
KR20040012357A (ko) 혼합 계면활성제 시스템
JPS6243479B2 (ko)
AU2007269005B2 (en) Alkyl lactyllactates and processes of making the same
JPH09227500A (ja) 新規二鎖型スルホコハク酸又はその塩、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を含有する洗浄剤組成物
JPH11255704A (ja) 4炭糖アルコールエーテルカルボン酸化合物、陰イオン界面活性剤及びそれを含む洗浄剤組成物
JPH11217366A (ja) ヒドロキシアルキルグリセリルエーテル硫酸化合物、陰イオン界面活性剤及びそれを含む洗浄剤組成物
JPH1180778A (ja) 陰イオン性界面活性剤及びそれを含む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