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5631A -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5631A
KR20050115631A KR1020040040827A KR20040040827A KR20050115631A KR 20050115631 A KR20050115631 A KR 20050115631A KR 1020040040827 A KR1020040040827 A KR 1020040040827A KR 20040040827 A KR20040040827 A KR 20040040827A KR 20050115631 A KR20050115631 A KR 20050115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protective film
layer
seala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1936B1 (ko
Inventor
김홍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0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936B1/ko
Priority to US11/143,584 priority patent/US7619359B2/en
Priority to EP05012023A priority patent/EP1605531A3/en
Priority to JP2005165738A priority patent/JP2005347274A/ja
Priority to CN2005100749800A priority patent/CN1708199B/zh
Publication of KR20050115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9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dielectric or reflectiv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10K50/8445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3Encapsulations
    • H10K59/8731Encapsulations multilayered coatings having a repetitive structure, e.g. having multiple organic-inorganic bi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26Top emiss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31Nanoparticles used in non-emissive layers, e.g. in packaging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EL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의 시야각 문제를 해결하여 광시야각을 갖는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는 기판과, 이 기판의 후면에 형성된 양극 전극과, 이 양극 전극 위에 형성된 유기 물질의 유기 발광층과,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된 음극전극과, 상기 음극전극 위에 형성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 위 전면에 보호막을 거쳐 나온 빛이 난반사가 일어나는 실런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Organic Electroluminescence of Top-Emission Type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 EL 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의 시야각 문제를 해결하여 광시야각을 갖는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 에미션 방식의 매트릭스형 유기 EL 소자(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 AMOELD)의 화소 부분은 크게 각 화소 부분을 스위칭해주는 스위칭용 박막트랜지스터, 구동용 박막트랜지스터, 저장 커패시터(capacitor), 화소전극(anode), 유기물층, 공통전극(cathod)으로 구성된다.
이중 구동용 박막트랜지스터를 기준으로 한 종래 기술에 다른 화소의 단면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종래의 유기 EL 소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기 기판(1)상에 각각 다수 개로 형성된 화소전극(8) 및 공통 전극(메탈 공통전극)(15) 및 투명 공통 전극(16)이 교차하는 영역에 의해 정의되는 다수개의 화소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12)과, 상기 유리 기판(1)상에 형성되며 그 드레인 전극이 상기 화소전극(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A)와, 상기 화소전극(8)과 유기 발광층(12) 사이에 적층 형성된 정공주입층(10), 정공 전달층(11)과, 상기 유기 발광층(12)과 메탈 공통전극(15)사이에 적층 형성된 전자전달층(13), 전자주입층(14)으로 구성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A)는 유리 기판(1)의 일영역상에 형성되어 소오스/드레인 영역(2a)(2b) 및 채널 영역(2c)으로 구성되는 반도체층(2)과, 상기 반도체층(2)을 포함한 유리 기판(1) 전면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3)과, 상기 채널 영역(2c) 상부의 게이트 절연막(3)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2a)(2b)과 채널 영역(2c)의 경계는 상기 게이트 전극(4)의 양 에지와 얼라인(align)된다.
그리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A)상에는 상기 소오스 영역(2a) 및 드레인 영역(2b)을 오픈하는 층간 절연막(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층간 절연막(5)의 오픈 부위를 통해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2a)(2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 라인(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층간 절연막(5) 및 전극 라인(6)의 포함한 전면에는 상기 드레인 영역(5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 라인(6)을 오픈하는 평탄화 절연막(7)이 형성된다.
상기 평탄화 절연막(7) 위에는 상기 화소 전극(8)이 형성되게 되는데, 화소 전극(8)은 상기 평탄화 절연막(7)의 오픈 부위를 통해 박막트랜지스터(A)의 드레인 영역(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이웃하는 화소전극(8) 사이에 화소전극(8)의 일부분이 덮이도록 절연막(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통전극은 상기 전자주입층(14) 상에 적층된 메탈 공통전극(15)과 투명 공통전극(16)으로 구성되며, 상기 공통전극상에는 보호막(17)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한 구조의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제조 공정 단면도이다.
우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기판(1)상에 박막트랜지스터의 활성층으로 사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다결정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반도체층(2)을 형성하고 이후에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영역 즉, 박막트랜지스터 예정 영역에만 남도록 상기 반도체층(2)를 패터닝(patterning)한다.
이어, 상기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93)과 게이트 전극용 도전막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상기 패터닝된 반도체층(2)의 일영역상에 남도록 상기 게이트 전극용 도전막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 전극(4)을 마스크로 상기 반도체층(2)에 보론(B)나 인(P)등의 불순물을 주입한 후에 열처리하여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2a)(2b)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불순물 이온이 주입되지 않은 반도체층(2)은 채널 영역(2c)이다.
이어, 전면에 층간 절연막(5)을 형성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2a)(2b)이 노출되도록 상기 층간 절연막(5)과 게이트 절연막(3)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콘택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콘택홀이 매립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두께로 제 1 금속막을 형성하고 상기 콘택홀 및 그에 인접한 영역에만 남도록 상기 제 1 금속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소오스/드레인 영역(2a)(2b)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력되는 전극 라인(6)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면에 평탄화 절연막(7)을 형성하여 전면을 평탄화시키고 상기 드레인 영역(2b)에 연결된 전극 라인(6)이 노출되도록 상기 평탄화 절연막(7)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콘택홀을 형성한 다음 Cr, Al, Mo, AgAu 등과 같이 반사율과 일함수(재가 function)값이 높은 제 2 금속막을 전면에 증착한다.
이때, 상기 콘택홀 내에도 제 2 금속막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금속막은 콘택홀 하부의 전극 라인(6)에 연결되게 된다.
이어, 화소 부분에만 남도록 상기 제 2 금속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전극 라인(6)을 통해 하부의 드레인 영역(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전극(anode)(8)을 형성한다.
이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화소전극(8) 사이에 이 화소전극(8)의 일부분이 덮이게 절연막(9)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공 주입층(10), 정공 전달층(11)을 공통유기막으로 증착하고, 쉐도우 마스크(shadow mask)를 사용하여 R, G, B 유기발광층(12)(12')(12'')을 각각 증착한다.
이어, 전면에 전자 전달층(13)과 전자 주입층(14) 등의 유기물층을 차례로 형성한다.
그 다음에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 공통전극(cathod)(1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메탈 공통전극(15)은 알루미늄(Al)을 수 nm 증착한 다음 은(Ag)을 수 nm ~ 수십 nm 증착하여 형성하거나, MgxAg1-x등의 금속을 수 nm ~ 수십 nm 증착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메탈 공통전극(15)상에 ITO, IZO 등의 투명 전도성 물질을 이용하여 투명 공통전극(16)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유기물층을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막(17)을 형성한다.
이때, 보호막(17)은 보통 다층박막을 사용하는데, 이는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막아줄 뿐 아니라 다층박막이 micro-cavity 역할을 하여 적층 구조를 최적화 즉, 각 층의 굴절율과 두께를 최적화 할 경우 디스플레이의 색순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다음에 도 2e와 같이 상기 보호막(17)위 전면에 실런트(18)를 도포한 다음, 그 위에 유리와 같은 투명한 보호 캡(19)을 부착하여 탑-에미션(top-emission)방식의 액티브 메트릭스 유기 EL 소자를 완성한다.
이와 같은 탑-에이션 방식의 액티브 매트릭스 유기 EL 소자는 다층 보호막을 사용하여 각 층의 성질을 최적화할 경우 휘도도 증가하고 색순도도 좋아지지만 다층박막으로 인해 시야각이 매우 나빠진다.
이는 다층박막이 마이크로 캐비티 역할을 하여 색순도는 증가시키지만 특정 방향으로만 좋아지기 때문에 시야각이 현저히 줄어들어 디스플레이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다층 보호막을 사용하여 각 층의 성질을 최적화함과 동시에 이로 인해 발생하는 시야각이 줄어듦을 방지하는 탑-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기판과, 이 기판의 후면에 형성된 양극 전극과, 이 양극 전극 위에 형성된 유기 물질의 유기 발광층과,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된 음극전극과, 상기 음극전극 위에 형성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 위 전면에 보호막을 거쳐 나온 빛이 난반사가 일어나는 실런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런트는 이 실런트 내에 굴절률이 서로 다른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 구형의 입자가 들어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구형의 입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이나, 광 투과도가 좋은 산화물, 질화물 등의 입자 중 하나가 이용된다.
또한, 상기 보호막은 다층구조의 보호막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기판의 후면에 형성된 양극 전극과, 유기 발광층과, 음극 전극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음극 전극상에 유기물층을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다층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층 보호막 전면에 구형의 입자가 주입되어 서로 다른 굴절률을 이루는 실런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실런트 위에 투명한 보호 캡을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의 단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제조 공정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탑-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는 유기 기판(21)상에 각각 다수 개로 형성된 화소전극(28) 및 공통 전극(메탈 공통전극)(35) 및 투명 공통 전극(36)이 교차하는 영역에 의해 정의되는 다수개의 화소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층(32)과, 상기 유리 기판(21)상에 형성되며 그 드레인 전극이 상기 화소전극(2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트랜지스터(B)로 구성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B)는 유리 기판(21)의 일영역상에 형성되어 소오스/드레인 영역(22a)(22b) 및 채널 영역(22c)으로 구성되는 반도체층(22)과, 상기 반도체층(22)을 포함한 유리 기판(21) 전면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23)과, 상기 채널 영역(22c) 상부의 게이트 절연막(23)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2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22a)(22b)과 채널 영역(22c)의 경계는 상기 게이트 전극(24)의 양 에지와 얼라인(align)된다.
그리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B)상에는 상기 소오스 영역(2a) 및 드레인 영역(2b)을 오픈하는 층간 절연막(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층간 절연막(25)의 오픈 부위를 통해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22a)(22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 라인(2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층간 절연막(25) 및 전극 라인(26)의 포함한 전면에는 상기 드레인 영역(22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 라인(26)을 오픈하는 평탄화 절연막(27)이 형성된다.
상기 평탄화 절연막(27) 위에는 상기 화소 전극(28)이 형성되게 되는데, 화소 전극(28)은 상기 평탄화 절연막(27)의 오픈 부위를 통해 박막트랜지스터(B)의 드레인 영역(2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이웃하는 화소전극(28)과 보조 공통 전극(29) 사이에 화소전극(28)의 일부분이 덮이도록 절연막(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소전극(28)상에는 정공주입층(30), 정공전달층(31)이 차례로 적층되고, 상기 정공전달층(331상의 화소 부위에는 R, G, B 유기 발광층(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R, G, B 유기 발광층(32) 및 정공 전달층(31) 상에는 전자 전달층(33), 전자주입층(34)이 적층된다.
그리고 전면에 메탈 공통전극(35), 투명 공통전극(36) 및 다층 보호막(37)이 적층된다.
그리고, 상기 다층 보호막(37)위 전면에 실런트(38)와 유리와 같은 투명한 보호 캡(39)를 형성한다.
상기 실런트(38)는 이 실런트(38)내에 굴절율이 실런트와 서로 다른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 구형의 입자가 들어간다.
다음에 상기한 구조의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제조 공정 단면도이다.
우선,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기판(21)상에 박막트랜지스터의 활성층으로 사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다결정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반도체층(22)을 형성하고 이후에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영역 즉, 박막트랜지스터 예정 영역에만 남도록 상기 반도체층(22)를 패터닝(patterning)한다.
그리고, 상기 구조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23)과 게이트 전극용 물질을 차례로 적층한 다음 상기 패터닝된 반도체층(22)의 일영역상에 남도록 상기 게이트 전극용 도전막을 패터닝하여 게이트 전극(24)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게이트 전극(24)을 마스크로 상기 반도체층(22)에 보론(B)나 인(P)등의 불순물을 주입하고 열처리하여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22a)(22b)을 형성한다.
그 다음, 전면에 층간 절연막(25)을 형성하고,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오스/드레인 영역(22a)(22b)이 노출되도록 상기 층간 절연막(25)과 게이트 절연막(23)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콘택홀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콘택홀이 매립될 수 있는 정도의 충분한 두께로 제 1 금속막을 형성하고 상기 콘택홀 및 그에 인접한 영역에만 남도록 상기 제 1 금속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소오스/드레인 영역(22a)(22b)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라인(26)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면에 평탄화 절연막(27)을 형성하여 전면을 평탄화시키고 상기 드레인 영역(22b)에 연결된 전극 라인(26)이 노출되도록 상기 평탄화 절연막(27)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콘택홀을 형성한 다음 Cr, Al, Mo, AgAu 등과 같이 반사율과 일함수(재가 function)값이 높은 제 2 금속막을 전면에 증착한다.
이때, 상기 콘택홀 내에도 제 2 금속막이 형성되어 상기 제 2 금속막은 콘택홀 하부의 전극 라인(26)에 연결되게 된다.
이어, 화소 부분에만 남도록 상기 제 2 금속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상기전극 라인(26)을 통해 하부의 드레인 영역(2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전극(anode)(28)을 형성한다.
이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화소전극(28) 사이에 화소전극(28)의 일부분이 덮이게 절연막(29)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공 주입층(30), 정공 전달층(31)을 공통유기막으로 증착하고, 쉐도우 마스크(shadow mask)를 사용하여 R, G, B 유기발광층(32)을 각각 증착한다.
이어, 전면에 전자 전달층(33)과 전자 주입층(34) 등의 유기물층을 차례로 형성한다.
그 다음에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 공통전극(cathod)(3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메탈 공통전극(35)은 알루미늄(Al)을 수 nm 증착한 다음 은(Ag)을 수 nm ~ 수십 nm 증착하여 형성하거나, MgxAg1-x등의 금속을 수 nm ~ 수십 nm 증착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메탈 공통전극(35)상에 ITO, IZO 등의 투명 전도성 물질을 이용하여 투명 공통전극(36)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유기물층을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다층보호막(37)을 형성한다.
이때, 보호막(37)은 보통 다층박막을 사용하는데, 이는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막아줄 뿐 아니라 다층박막이 micro-cavity 역할을 하여 적층 구조를 최적화 즉, 각 층의 굴절율과 두께를 최적화 할 경우 디스플레이의 색순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다음에 도 4e와 같이 상기 보호막(37)위 전면에 실런트(38)를 도포한 다음, 그 위에 유리와 같은 투명한 보호 캡(39)을 부착한다.
이때, 상기 실런트 내에 굴절률이 실런트(38)와 서로 다른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 구형의 입자가 들어가 있도록 도 5와 같이 제작한다.
상기 실런트(38) 제작시 이러한 구형의 입자를 넣어서 제작한 다음 이것을 보호막(37) 위에 도포한다.
상기 구형의 입자는 일반 액정표시소자에서 사용되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해도 되고, 광 투과도가 좋은 산화물, 질화물 등의 입자를 사용해도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실런트 속에 분산되어 있는 구형 입자에 의해 산란이 일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빛이 사방으로 퍼지게 되므로 기존에 문제시 되었던 다층박막의 보호막에 의해 나타난 좁은 시야각 문제를 해결하여 광시야각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e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제조 공정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제조공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 구조 중 실런트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1 : 유기 기판 22 : 반도체층
22a, 22b : 소오스/드레인 영역 22c : 채널 영역
23 : 게이트 절연막 24 : 게이트 전극
25 : 층간절연막 26 : 전극라인
27 : 평탄화 절연막 28 : 화소전극
29 : 절연막 30 : 정공 주입층
31 : 정공 전달층 32 : 유기 발광층
33 : 전자 전달층 34 : 전자 주입층
35 : 공통 전극 36 : 공통 보조전극
37 : 보호막 38 : 실런트
39 : 캡

Claims (5)

  1. 기판과, 이 기판의 후면에 형성된 양극 전극과, 이 양극 전극 위에 형성된 유기 물질의 유기 발광층과, 상기 유기 발광층 위에 형성된 음극전극과, 상기 음극전극 위에 형성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 위 전면에 보호막을 거쳐 나온 빛이 난반사가 일어나는 실런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는 이 실런트 내에 굴절률이 서로 다른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진 구형의 입자가 들어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의 입자는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것이나, 광 투과도가 좋은 산화물, 질화물 등의 입자 중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다층구조의 보호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5. 기판의 후면에 형성된 양극 전극과, 유기 발광층과, 음극 전극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음극 전극상에 유기물층을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다층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층 보호막 전면에 구형의 입자가 주입되어 서로 다른 굴절률을 이루는 실런트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실런트 위에 투명한 보호 캡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제작 방법
KR1020040040827A 2004-06-04 2004-06-04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51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827A KR100651936B1 (ko) 2004-06-04 2004-06-04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143,584 US7619359B2 (en) 2004-06-04 2005-06-03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having sealant with grai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05012023A EP1605531A3 (en) 2004-06-04 2005-06-03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5165738A JP2005347274A (ja) 2004-06-04 2005-06-06 有機el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CN2005100749800A CN1708199B (zh) 2004-06-04 2005-06-06 有机电致发光显示器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827A KR100651936B1 (ko) 2004-06-04 2004-06-04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631A true KR20050115631A (ko) 2005-12-08
KR100651936B1 KR100651936B1 (ko) 2006-12-06

Family

ID=3506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827A KR100651936B1 (ko) 2004-06-04 2004-06-04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19359B2 (ko)
EP (1) EP1605531A3 (ko)
JP (1) JP2005347274A (ko)
KR (1) KR100651936B1 (ko)
CN (1) CN1708199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78B1 (ko) * 2005-12-09 2007-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및 다층구조의 유기발광소자보호막
KR100855763B1 (ko) * 2006-02-08 2008-09-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유기 el소자 어레이 및 표시소자 및 촬상장치
US9627456B2 (en) 2015-02-05 2017-04-1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9978991B2 (en) 2015-03-31 2018-05-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having light-scattering particles in a filling memb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5987A (ja) * 2006-03-03 2007-10-1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素子、発光装置、発光装置の作製方法及びシート状のシール材
EP1830421A3 (en) 2006-03-03 2012-03-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emitting device, and sheet-like sealing material
JP2009110930A (ja) * 2007-08-21 2009-05-21 Fujifilm Corp 散乱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KR20090019752A (ko) * 2007-08-21 2009-02-25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산란 부재 및 그것을 사용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 장치
JP4614012B2 (ja) * 2007-12-21 2011-01-19 日本ゼオン株式会社 面光源装置
KR20110038513A (ko) * 2009-10-08 2011-04-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030374B2 (en) * 2010-05-06 2015-05-12 E Ink California, Llc Composite display modules
KR101710212B1 (ko) * 2010-12-28 2017-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소자 및 이를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백라이트 장치
CN103636023B (zh) 2011-06-30 2016-09-14 欧司朗Oled股份有限公司 用于光电子器件的封装结构和用于封装光电子器件的方法
JP5976344B2 (ja) * 2012-03-06 2016-08-23 株式会社アルバック 有機el素子の電極膜形成方法、有機el素子の電極膜形成装置
KR102014827B1 (ko) * 2012-06-12 2019-08-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표시 장치
KR20140014682A (ko) * 2012-07-25 2014-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132525A (ja) * 2013-01-04 2014-07-17 Japan Display Inc 有機el表示装置
US9843012B2 (en) 2014-12-26 2017-12-1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Top emitt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102377173B1 (ko) * 2015-08-25 2022-03-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627284B1 (ko) * 2016-05-12 2024-01-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캐소드 전극과 보조 캐소드 전극의 접속구조 형성 방법과 그를 이용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CN107611164B (zh) * 2017-09-25 2021-01-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面板及其制备方法
CN109742122B (zh) 2019-01-10 2021-08-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面板
CN110112184B (zh) * 2019-04-17 2021-09-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88046T2 (de) * 1984-03-19 1996-01-11 Univ Kent State Ohio Lichtmodulierendes Material, das in einer Kunstharzmatrix dispergierte Flüssigkristalle umfasst.
US5405710A (en) 1993-11-22 1995-04-11 At&T Corp. Article comprising microcavity light sources
US5478658A (en) * 1994-05-20 1995-12-26 At&T Corp. Article comprising a microcavity light source
JPH118075A (ja) 1997-06-16 1999-01-12 Casio Comput Co Ltd 電界発光素子
JPH11329742A (ja) 1998-05-18 1999-11-30 Idemitsu Kosan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発光装置
WO2000076008A1 (en) * 1999-06-09 2000-12-14 Cambridge Display Technology Limited Method of producing organic light-emissive devices
JP2001043980A (ja) 1999-07-29 2001-02-16 Sony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表示装置
EP1076368A2 (en) 1999-08-11 2001-02-14 Eastman Kodak Company A surface-emitt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
JP3503579B2 (ja) 1999-12-08 2004-03-08 日本電気株式会社 有機el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6777871B2 (en) * 2000-03-31 2004-08-17 General Electric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with enhanced light extraction
JP2002008850A (ja) 2000-04-21 2002-01-11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自発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器具
JP2002100469A (ja) * 2000-09-25 2002-04-05 Pioneer Electronic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パネル
JP4984343B2 (ja) * 2000-09-29 2012-07-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光電子素子
US6992439B2 (en) * 2001-02-22 2006-01-3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with sealing structure for protecting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US7012363B2 (en) * 2002-01-10 2006-03-14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LEDs having increased external electroluminescence quantum efficiencies
US6833667B2 (en) * 2002-02-27 2004-12-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or portable terminal unit using thereof
JP2004039568A (ja) * 2002-07-05 2004-02-05 Toyota Industries Corp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US6965197B2 (en) * 2002-10-01 2005-11-15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having enhanced light extraction efficiency
KR100662297B1 (ko) 2002-10-18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el 소자
TWI224762B (en) * 2003-08-27 2004-12-0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Organic LED display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245065B2 (en) * 2005-03-31 2007-07-17 Eastman Kodak Company Reducing angular dependency in microcavity color OLEDs
US7459850B2 (en) * 2005-06-22 2008-12-02 Eastman Kodak Company OLED device having spacer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78B1 (ko) * 2005-12-09 2007-09-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발광소자 및 그 제조 방법 및 다층구조의 유기발광소자보호막
KR100855763B1 (ko) * 2006-02-08 2008-09-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유기 el소자 어레이 및 표시소자 및 촬상장치
US9627456B2 (en) 2015-02-05 2017-04-18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US9978991B2 (en) 2015-03-31 2018-05-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having light-scattering particles in a filling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08199B (zh) 2012-06-27
US20050269952A1 (en) 2005-12-08
EP1605531A2 (en) 2005-12-14
JP2005347274A (ja) 2005-12-15
CN1708199A (zh) 2005-12-14
US7619359B2 (en) 2009-11-17
KR100651936B1 (ko) 2006-12-06
EP1605531A3 (en)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936B1 (ko) 탑 에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7947519B2 (en) Top emissio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ing auxiliary electrode to prevent voltage drop of upper electrod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435054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KR10192076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140033769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35049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EP3316312B1 (en) Display device having emitting areas
JP4684592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の製造方法
KR10259544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7363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565674B1 (ko) 양방향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5413745B2 (ja)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90259B1 (ko) 보조 전극을 사용하여 상부 전극 전압 강하를 방지하는전면 발광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55605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0179034A1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617193B1 (ko) 양방향 유기 el 디스플레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11758B1 (ko) 유기 전계 발광소자,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제조방법
KR100617114B1 (ko) 듀얼형 유기 el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0463595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KR100595210B1 (ko) 탑-이미션 방식의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0672417B1 (ko) 유기 el 소자
KR20100065685A (ko) 듀얼패널 타입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61124B1 (ko) 전계 발광 소자
KR20090041312A (ko)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22252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