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213A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213A
KR20050111213A KR1020040036428A KR20040036428A KR20050111213A KR 20050111213 A KR20050111213 A KR 20050111213A KR 1020040036428 A KR1020040036428 A KR 1020040036428A KR 20040036428 A KR20040036428 A KR 20040036428A KR 20050111213 A KR20050111213 A KR 200501112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umidification
air
indoor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8220B1 (ko
Inventor
이정우
배성원
진심원
정인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6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220B1/ko
Priority to US10/943,134 priority patent/US20050257535A1/en
Priority to EP05103007A priority patent/EP1598600A3/en
Publication of KR20050111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3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characterised by a split arrangement, wherein parts of the air-conditioning system, e.g. evaporator and condenser, are in separately located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4Protection means thereof, e.g. covers for refrigeran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5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실내외기 연결배관을 정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 및 제습장치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상기 냉매가 외부공기와 열교환하기 위한 열교환기;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 및 상기 실외기 측면에 위치되며, 가습 및 제습배관에 의하여 실내와 연결되는 가습 및 제습장치;가 포함되며, 실내기와 실내외기 연결배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의하여, 별도의 부재없이도 실내외기 연결배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수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실외기 내부의 공간활용도가 개선되어 실외기의 설치성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외기{an air conditioner's outdoor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실내외기 연결배관을 정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사이클이 적용되어 공기를 조화하는 것으로, 분리형의 경우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로 구분된다.
실외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및 팬이 포함되어 있어, 냉방이 온되면 응축기를 통해 냉매를 응축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실내기는 증발기와 팬이 포함되어 있어, 냉방운전 시에 실내공기가 실외기에서 응축되어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매와 열교환된 후 다시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가 조화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 20-2003-0036620호, 제 20-2003-0036621호 등에 이미 제시된 바가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는 실내에 대하여 가습 및 제습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별도의 가습 및 제습장치가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가습 및 제습장치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 20-1995-0019491 호 등에 이미 제시된 바가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가습 및 제습장치가 장착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종래의 가습 및 제습장치가 장착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실외기(1)는 실내기(미도시)와 연결되어 공기조화기능을 수행하는데, 상기 실내기와 실내외기 연결배관(2)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실내외기 연결배관(2)은 구리 등의 금속을 소재로 하여 형성되므로, 부식을 방지하고 수려한 외관을 이루기 위하여 별도의 부품인 배관덮개(3)로 덮어주게 된다.
한편,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외기(1) 상부에 장착되며, 실내에 대하여 가습 및 제습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습 및 제습장치(4)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4)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4)와 실내를 연결하기 위한 가습 및 제습배관(5)이 포함된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가습 및 제습장치를 실외기 상부에 장착하여 실외기의 높이가 크게 증가하게 되므로, 실외기의 설치성이 현저히 감소될 뿐만 아니라, 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는 실내외기 연결배관과 가습 및 제습배관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어서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배관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외기는 실내외기 연결배관을 덮기 위하여 배관덮개를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외기의 제작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배관을 용이하게 정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습 및 제습장치는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상기 냉매가 외부공기와 열교환하기 위한 열교환기;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 및 상기 실외기 측면에 위치되며, 가습 및 제습배관에 의하여 실내와 연결되는 가습 및 제습장치;가 포함되며, 실내기와 실내외기 연결배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의하여, 별도의 부재없이도 실내외기 연결배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수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실외기 내부의 공간활용도가 개선되어 실외기의 설치성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 및 제습장치를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및 제습장치가 실내에 대하여 제습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 및 제습장치가 실내에 대하여 가습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10)는 가습 및 제습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가습 및 제습유닛(11)과,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이 장착되기 위한 유닛 결합틀(12)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은 가습 및 제습을 위한 데시컨트(13)와, 상기 데시컨트(13) 일측에 형성되며, 실내로부터 유동된 제습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18)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데시컨트(13)로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함유된 먼지 등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2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히터(18)는 제습공기를 효율적으로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데시컨트(13)의 하부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은 제습부(후술함) 및 가습부(후술함)가 각각 형성되는 제습부측(15) 및 가습부측(17)으로 구획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데시컨트(13)는 상기 가습부측(17)에 형성되며, 유입되는 실외공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여 흡수하기 위한 가습부(16)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습부측(17)에 형성되며, 상기 가습부(16)에 흡수된 수분을 유입되는 실내공기에 공급하여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제습부(14)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가습부(16) 및 상기 제습부(14)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상기 데시컨트(13)를 구획한 후 지칭한 것이며, 두 부분 모두 본질적으로 동일한 데시컨트(13)이다.
한편, 상기 유닛 결합틀(12)은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이 안착되어 결합되는 공간인 안착부(19)와, 상기 안착부(19) 일측에 접하여 형성되며, 안착된 가습 및 제습유닛(11)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22)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수단(22)은 벨트구조 또는 기어구조 등이 제안가능하다.
한편, 상기 유닛 결합틀(12)은 상기 안착부(19)의 하부에 장착되며, 실외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외부공기 송풍기(20)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공기 송풍기(20) 일측에 장착되며, 실내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실내공기 송풍기(21)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유닛 결합틀(12)은 실내 및 실외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습 및 제습 유닛(11)이 가습기능 또는 제습기능 중 요구되는 기능에 대응하여 상기 두 개의 유닛 결합틀(12) 중 하나에 결합된다.
즉, 습도가 높은 여름철과 같이 실내에 대하여 제습기능이 요구될 때,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은 실내에 설치된 유닛 결합틀(12)에 결합되어, 제습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습도가 낮은 겨울철과 같이 실내에 대하여 가습기능이 요구될 때,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은 실외에 설치된 유닛 결합틀(12)에 결합되어, 가습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은 상기 데시컨트(13) 및 상기 히터(18) 등으로 구성되므로 가볍다. 따라서, 여름철 또는 겨울철에 사용자가 제습기능 또는 가습기능을 작동시키고자 할 때, 가벼운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을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된 상기 유닛 결합틀(12)로 용이하게 운반하여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및 제습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여름철 등에 제습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도 2에 제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을 실내에 설치된 상기 유닛 결합틀(12)에 결합시키고, 제습기능을 온(on)시킨다. 그러면, 상기 외부공기 송풍기(20)가 작동되어 외부공기에 대한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발생된 상기 흡입력에 의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 내부로 흡입된다.
이 때, 흡입되는 외부공기는 상기 필터(23)를 통과하며 먼지 등이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에 흡입된 외부공기는 상기 가습부측(17)에 위치된 가습부(16)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의 통과 과정 중 상기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이 상기 가습부(16)에 흡착되어 제습공기로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제습공기는 상기 외부공기 송풍기(20)를 통해 실내로 송풍된다.
이 때, 상기 데시컨트(13)는 소정의 시간간격을 두고 상기 회전수단(22)에 의해 소정의 각도(약 180°)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에 의해, 상기 가습부측(17)에서 수분을 흡수한 상기 가습부(16)가 상기 제습부측(15)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제습부(14)가 상기 가습부측(17)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실내로 송풍된 제습공기는 실내공기보다 습도가 낮기 때문에, 실내를 순환하며 실내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며 실내공기와 혼합된다.
한편, 상기 실내공기 송풍기(21)가 작동되어, 상기 제습공기와 혼합된 실내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히터(18)를 통과하며 상기 히터(18)에서 공급되는 열기를 흡수하여 고온의 공기로 변화된다.
그 후, 상기 고온의 공기는 수분을 흡수한 상태로 상기 제습부측(15)에 위치된 상기 가습부(16)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통과 과정 중에 상기 고온의 공기에 의해 상기 가습부(16)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에 의해 상기 가습부(16)는 다시 건조한 상태가 되며, 상기 증발된 수분은 유입된 공기에 함유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10)의 제습기능이 수행된다.
한편, 겨울철 등에 가습기능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도 3에 제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을 실외에 설치된 상기 유닛 결합틀(12)에 결합시키게 된다.
이 때, 실내에 설치된 유닛 결합틀(12)에 결합시키는 경우와 상이하게,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은 상하가 반전된 상태로 실외에 설치된 유닛 결합틀(12)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18)가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데시컨트(13)가 상기 히터(18)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23)는 상기 히터(18)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히터(18)로 흡입되는 외부공기 중에 함유된 먼지 등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습유닛(11)이 실외에 설치된 상기 유닛 결합틀(12)에 결합되면 가습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을 실외에 설치된 상기 유닛 결합틀(12)에 결합시키고, 가습기능을 온(on)시키면, 상기 실내공기 송풍기(21)가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공기 송풍기(21)가 작동함에 따라, 실내공기에 대한 흡입력이 발생되어, 실내공기가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에 흡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제습부측(15)에 위치된 제습부(14)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의 통과 과정 중 상기 공기중에 함유된 수분이 상기 제습부(14)에 흡착되고, 상기 공기는 제습공기로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제습공기는 상기 실내공기 송풍기(21)에서 발생된 송풍력에 의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데시컨트(13)는 실내에 설치되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제습부측(15)에서 수분을 흡수한 상기 제습부(14)가 상기 가습부측(17)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가습부(16)가 상기 제습부측(15)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부공기 송풍기(20)가 작동되어, 실외의 외부공기가 상기 필터(23)를 거친 다음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는 상기 히터(18)에서 공급되는 열기를 흡수하여 고온의 공기로 변화된다.
상기와 같이 고온으로 변화된 공기는 상기 가습부측(17)에 위치된 상기 제습부(14)를 통과하게 되는데, 상기 통과 과정 중에 상기 고온의 공기에 의해 상기 제습부(14)에 함유된 수분이 증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에 의해 상기 제습부(14)는 다시 건조한 상태가 되며, 수분은 상기 고온의 공기에 함유되어 실내로 송풍된다.
상기와 같이 수분을 함유한 상기 공기는 실내를 순환하며, 실내에 수분을 공급한 후, 상기 실내공기 송풍기(21)에 의해 다시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10) 내부로 흡수된다. 그리고, 흡수된 상기 공기는 상기 실내공기 송풍기(21)를 통과한 후, 상기 제습부측(17)에 위치된 상기 가습부(16)를 통과하며 잔여 수분을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배출된 수분은 상기 가습부(16)에 흡수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10)의 가습기능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이 상기 데시컨트(13)와, 상기 히터(18)를 포함하고, 상기 유닛 결합틀(12)이 상기 안착부(19)와, 상기 실내공기 송풍기(21)와, 상기 외부공기 송풍기(20)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가습 및 제습유닛(11)이 데시컨트(13)와, 히터(18)와 함께, 실내공기 송풍기(21) 및/또는 외부공기 송풍기(2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 유닛 결합틀(12)은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이 결합되어 가습 및 제습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회전수단(22)과, 외부공기 송풍기(20) 및/또는 실내공기 송풍기(21)가 포함된다.
즉,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에 데시컨트(13)와, 히터(18)와, 실내공기 송풍기(21)가 포함되고, 상기 유닛 결합틀(12)이 회전수단(22)과, 외부공기 송풍기(20)로 이루어지는 제 2 실시예가 제안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에 데시컨트(13)와, 히터(18)와, 외부공기 송풍기(20)가 포함되고, 상기 유닛 결합틀(12)이 회전수단(22)과, 실내공기 송풍기(21)로 이루어지는 제 3 실시예가 제안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상기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10)가 산소발생장치를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실내에 대해 가습기능 또는 제습기능을 수행하며 동시에 산소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상기 제 3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과 상기 유닛 결합틀(12) 사이에 각종 센서 및 전선들은 소켓구조 등을 적용하여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이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된 유닛 결합틀(12)과 계절적 요구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결합할 때, 사용자가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11)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및 제습장치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10)는 상기 실외기(24)의 측면에 형성되어 실내에 대해 가습 및 제습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10) 일측에서 실내로 연장되며,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10)와 실내 사이에 교환되는 공기의 유동통로가 되는 가습 및 제습배관(25)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실외기(24)는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팬(미도시)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10)는 공간활용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흡착수단인 데시컨트(13)의 회전축이 상기 팬의 회전축과 70 내지 100°범위의 각을 이루도록 상기 실외기(24) 측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데시컨트(13)의 회전축이 상기 팬의 회전축과 대략 직각을 이루게 위치됨으로써,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10)는 상기 실외기(24) 측면의 최소한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외기(24)는 실내기(미도시)와 연결되어 공기조화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실내기와의 연결은 실내외기 연결배관(26)을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결배관(26)의 부식을 방지하고 수려한 외관을 이루기 위하여 상기 가습 및 제습배관(25)이 상기 연결배관(26)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따라서, 빗물 등에 의한 상기 연결배관(26)이 부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배관(26)이 외부에서 직접적으로 인식되지 아니하므로 수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 및 제습배관(25)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연 상기 연결배관(26)과 일체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및 제습장치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또다른 실시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10)는 일측에서 실내로 연장되는 가습 및 제습배관(25)이 포함되고, 상기 실외기(24)는 실내기(미도시)와 연결되어 공기조화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실내외기 연결배관(26)과, 상기 실외기(24) 하부에 장착되며,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27)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실외기(24)는 일반적으로 사각박스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압축기(27) 상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10)는 구성요소의 일부가 상기 압축기(27) 상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10)의 두께가 현저히 감소될 수 있어서 콤팩트한 외관 형성이 가능하며, 상기 실외기(10) 내부의 공간활용도가 개선되어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10)가 결합된 상기 실외기(10)의 설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10)의 유닛결합틀(12)은 상기 외부공기 송풍기(20) 및/또는 상기 실내공기 송풍기(21)가 상기 유닛결합틀(12)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콤팩트한 외관 형성 및 공간활용도 개선을 위하여, 상기 외부공기 송풍기(20) 및/또는 상기 실내공기 송풍기(21)가 상기 압축기(27) 상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실외기(24)는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10)가 콤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별도 장치의 설치를 위한 여유공간이 있으므로, 상기 여유공간에 산소발생수단을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소발생수단에서 발생된 산소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산소공급배관을 상기 가습 및 제습배관(25)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도가 증가되며, 외부에 노출되는 배관의 수가 감소됨에 따라 수려한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의하여, 가습 및 제습장치가 실외기 측면에 형성되어 가습 및 제습배관이 실내외기 연결배관을 덮는 형상을 이룰 수 있으므로, 별도의 부재없이도 실내외기 연결배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수려한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내부의 압축기 상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가습 및 제습장치 부품의 일부가 위치됨에 따라, 실외기 내부의 공간활용도가 개선되어 실외기의 설치성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습 및 제습장치가 장착된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및 제습장치가 실내에 대하여 제습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 및 제습장치가 실내에 대하여 가습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및 제습장치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 및 제습장치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또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습 및 제습장치 13 : 데시컨트
24 : 실외기 25 : 가습 및 제습배관
26 : 실내외기 연결배관 27 : 압축기

Claims (9)

  1.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
    상기 냉매가 외부공기와 열교환하기 위한 열교환기;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 및
    상기 실외기 측면에 위치되며, 가습 및 제습배관에 의하여 실내와 연결되는 가습 및 제습장치;가 포함되며,
    실내기와 실내외기 연결배관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는 가습 및 제습유닛과, 상기 가습 및 제습유닛이 결합되는 유닛결합틀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및 제습배관은 상기 실내외기 연결배관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실내외기 연결배관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및 제습배관은 상기 실내외기 연결배관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는 구성요소의 일부가 상기 압축기 상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는 외부공기 송풍기 및/또는 실내공기 송풍기가 포함되며, 상기 외부공기 송풍기 및/또는 상기 실내공기 송풍기가 상기 압축기 상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산소발생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는 산소발생수단이 더 포함되고,
    상기 가습 및 제습배관은 상기 산소발생수단에서 연장되는 산소공급배관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 및 제습장치는 흡착수단이 포함되며, 상기 흡착수단에는 상기 팬의 회전축과 70 내지 100°범위의 각을 이루는 회전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20040036428A 2004-05-21 2004-05-2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98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428A KR100598220B1 (ko) 2004-05-21 2004-05-2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US10/943,134 US20050257535A1 (en) 2004-05-21 2004-09-17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humidity adjusting apparatus
EP05103007A EP1598600A3 (en) 2004-05-21 2005-04-15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humidity adjus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428A KR100598220B1 (ko) 2004-05-21 2004-05-2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213A true KR20050111213A (ko) 2005-11-24
KR100598220B1 KR100598220B1 (ko) 2006-07-07

Family

ID=34939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428A KR100598220B1 (ko) 2004-05-21 2004-05-21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257535A1 (ko)
EP (1) EP1598600A3 (ko)
KR (1) KR1005982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7461B1 (ko) * 2004-12-28 200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기능을 갖는 냉난방 공기 조화기
KR20060095058A (ko) * 2005-02-25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707440B1 (ko) * 2005-03-08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KR100707448B1 (ko) * 2005-03-22 2007-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BRMU8802484Y1 (pt) * 2008-11-03 2016-05-03 Heatcraft Do Brasil Ltda disposição construtiva introduzida em unidade condensadora com fluxo bidirecional
JP5790615B2 (ja) * 2012-09-28 2015-10-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外機
CN111336588A (zh) * 2020-03-18 2020-06-2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除湿装置及方法、除湿能力恢复系统及方法、空调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0637A (en) * 1991-04-25 1992-12-15 Norm Pacific Automation Corp. Air conditioner with oxygen generator
JP3157994B2 (ja) * 1994-10-28 2001-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加湿機能付き空気調和機
JP2989513B2 (ja) * 1995-04-03 1999-12-13 シャープ株式会社 除加湿機能付き空気調和機
US5660048A (en) * 1996-02-16 1997-08-26 Laroche Industries, Inc. Air conditioning system for cooling warm moisture-laden air
JP3430980B2 (ja) * 1999-07-27 2003-07-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加湿機能を有する空気調和機
US6575228B1 (en) * 2000-03-06 2003-06-10 Mississippi State Research And Technology Corporation Ventilating dehumidifying system
US6711907B2 (en) * 2001-02-28 2004-03-30 Munters Corporation Desiccant refrigerant dehumidifier systems
CN1180205C (zh) * 2001-05-16 2004-12-15 株式会社荏原制作所 除湿装置
JP2003164721A (ja) * 2001-11-29 2003-06-10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の加湿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98600A2 (en) 2005-11-23
KR100598220B1 (ko) 2006-07-07
US20050257535A1 (en) 2005-11-24
EP1598600A3 (en) 201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38269A1 (en) Dehumidifier
JP3649236B2 (ja) 空気調和装置
US20090044555A1 (en) Desiccant dehumidifier
US7363770B2 (en) Air conditioner
CN217082837U (zh) 一种空气调湿装置
JP5068293B2 (ja) 空気調和装置
JP2003172525A (ja) 除湿機
CN217082836U (zh) 一种空气调湿装置
JP2004225945A (ja) 空気調和機および空気調和機の制御方法
KR100598220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01353398A (ja) 乾燥装置
CN102003747A (zh) 移动式空调器
JPH10300128A (ja) 冷媒自然循環冷却除湿装置およびこの装置を併設した空気調和装置
TWI586925B (zh) Air conditioning unit
EP1318356A1 (en) Air conditioner
JP3719118B2 (ja) 空気調和機
JP2002089902A (ja) 空気調和機
JP4077251B2 (ja) 除湿機
JP3731113B2 (ja) 空気調和機
JP5170181B2 (ja) 空気調和機
CN205299821U (zh) 一种辐射空调无动力进风系统
JP3564525B2 (ja) 空気調和機
WO2019194097A1 (ja) 空気調和機
JP2002224530A (ja) 複合デシカント材、および複合デシカント材を用いた固定デシカント器、および固定デシカント器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20050049953A (ko) 난방 겸용 제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