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0971A -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0971A
KR20050110971A KR1020040035955A KR20040035955A KR20050110971A KR 20050110971 A KR20050110971 A KR 20050110971A KR 1020040035955 A KR1020040035955 A KR 1020040035955A KR 20040035955 A KR20040035955 A KR 20040035955A KR 20050110971 A KR20050110971 A KR 20050110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disk
drive gear
base shaft
coupling driv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6003B1 (ko
Inventor
노혁준
Original Assignee
한국프로큅인터내셔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프로큅인터내셔널(주) filed Critical 한국프로큅인터내셔널(주)
Priority to KR1020040035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003B1/ko
Priority to PCT/KR2004/001890 priority patent/WO2005113290A1/en
Publication of KR20050110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retracting the mirror arrangements to a non-use position along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7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yieldable to excessive external force and provided with an indexed use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0Movable or disengageable on impact or overload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를 차체의 전방 및 후방으로 피벗팅시키는 피벗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플랜지 및 베이스 샤프트로 이루어진 제1피벗부와, 프레임 및 이 프레임 내에 구비된 동력구동부로 이루어진 제2피벗부와, 베이스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는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커플링 구동기어와, 커플링 구동기어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에서 어느 일면에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배치된 제1캠 디스크와, 제1캠 디스크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에서 어느 일면에 제2캠 디스크가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배치된 제2캠 디스크와, 베이스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 축선방향으로 배치된 스프링부재와, 제2캠 디스크의 일측면에는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동제한돌기와, 이 제2캠 디스크의 회동제한돌기에 대응하는 프레임 측에는 구비된 스토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Pivoting actuator for automotive outsider mirror}
본 발명은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웃사이더 미러를 차체의 전방 및 후방으로 피벗팅시키는 피벗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는 주행시에 운전자가 고개를 돌리지 않고도 좌우측 후방의 교통 상황을 살필수 있도록 차체의 프론트 도어 전방 양측면 상에 설치된 차량용 부품의 일종이다.
이 아웃사이더 미러는 내부에 미러가 구비된 미러 하우징과, 미러의 후면에 연결되어 미러를 상하좌우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한 조정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아웃사이더 미러는 미러 하우징을 차체의 전방 및 후방으로 피벗팅시킬 수 있는 피벗팅 액츄에이터(pivoting actuator)를 구비한다. 이러한 피벗팅 액츄에이터는 서로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작동부로 구성되고, 또한 이 피벗팅 액츄에이터는 상술한 2개의 작동부를 상대적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전기모터 및 전동기구(transmission system)로 이루어진 동력구동구조를 구비한 형태가 최근의 일반적인 추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또는 주정차시, 미러 하우징(3)이 피벗팅되어 미러 하우징(3)의 자유단부는 차체(1)의 측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돌출된다(도 2의 A위치). 특별한 경우, 예컨대 좁은 공간으로 주차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미러 하우징(3)의 자유단부는 차체(1)의 측면에 근접하게 된다(도 2의 B위치).
이와 같이, 미러 하우징(3)이 후방으로 피벗팅되어 차체(1)의 측면에 근접하게 된 상태를 폴드-인 위치(fold-in position, 도 2의 B 위치)라 하고, 반대로 미러 하우징(3)이 전방으로 피벗팅되어 차체(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폴드-아웃 위치(fold-out position, 도 2의 A 위치)라 하며, 통상 이러한 폴드-아웃 위치를 정상 위치(normal position)로 한다.
또한, 피벗팅 액츄에이터는 안전성 측면을 고려하여, 외부의 장애물에 의해 미러 하우징(3)에 외력이 가하질 경우, 미러 하우징(3)이 파손될 수 있음을 방지하도록 미러 하우징(3)을 차체(1)의 전방으로 폭넓게 피벗팅시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도 2의 C 위치).
이와 같이, 미러 하우징(3)이 차체(1)의 전방으로 폭넓게 피벗팅되는 상태를 폴드-오버 위치(fold-over position, 도 2의 C 위치)라 하고, 반대로 폴드-오버 위치에서 정상위치로 되돌아 오는 피벗팅 동작을 폴딩 백(folding back)이라 한다.
한편, 동력구동방식을 구비한 피벗팅 액츄에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또는 외부의 장애물 등과 같은 외력의 영향에 의해 피벗팅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수동구동방식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피벗팅 액츄에이터는 미국특허 NO 6,130,514호, 미국특허 NO 5,625,502호, 국제공개공보 WO 03/011642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피벗팅 액츄에이터의 일반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의 측벽에 고정설치된 지지부(2) 상에 고정설치된 제1피벗부(11)와, 미러 하우징(3)에 고정설치된 제2피벗부(12)를 포함하고, 이 제1피벗부(11) 및 제2피벗부(12)는 회전축(14)을 기준으로 서로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정렬된다.
제1피벗부(11)는 베이스 플랜지(101) 및 베이스 샤프트(102)로 이루어지고, 제2피벗부(12)는 프레임(200)과 이 프레임(200) 내에 구비되어 베이스 샤프트(102)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구동부(미도시)로 이루어지며, 이 동력구동부(미도시)는 전기모터 및 기어전동기구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피벗부(11) 및 제2피벗부(12) 사이에는 상술한 수동 피벗팅작동을 수용하기 위해 베이스 샤프트(102)를 상술한 동력구동부(미도시)로부터 분리시켜 제1피벗부(11) 및 제2피벗부(12)가 수동 구동력에 의해 그 상대적인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력분리구조(미도시) 및 이러한 수동 피벗팅작동의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회동제한구조(미도시)를 구비한다.
하지만, 종래의 피벗팅 액츄에이터는 그 동력분리구조 및 회동제한구조를 베이스 플랜지(101)의 상부면 및 프레임(200)의 하부면 사이의 상호 회전접촉하는 부분에 적용함에 따라 그 수동 피벗팅작동 도중에 미러 하우징(3)이 상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피벗팅 액츄에이터는 그 수동 피벗팅작동 도중에 미러 하우징(3)의 돌출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불의의 외력에 의해 미러 하우징(3)에 토크가 발생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의 피벗팅 액츄에이터는 그 동력분리구조 및 회동제한구조가 매우 복잡한 형태로 이루어져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가 많이 소요됨에 따라, 그 작동성이 매우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이 매우 번거럽고, 제작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동력분리구조 및 회동제한구조를 프레임 내에 적용함으로써, 미러 하우징의 수동 피벗팅작동 도중에 미러 하우징이 상부로 돌출됨을 방지하여 외력에 의한 미러 하우징이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데 그 주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우 단순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인해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가 적게 소요됨에 따라, 작업공정이 매우 간편하고, 제작단가를 절감하며, 또한 그 작동성을 대폭 향상시킨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 측벽에 고정설치된 지지부 및 이 지지부 상에서 차체의 전ㆍ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미러 하우징 사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호 회동가능하게 정렬된 제1 및 제2 피벗부로 이루어진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제1피벗부는 베이스 플랜지 및 베이스 샤프트로 이루어지고, 베이스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스플라인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제2피벗부는 프레임 및 이 프레임 내에 구비된 동력구동부로 이루어지고, 동력구동부는 전기모터 및 전기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전동기구를 포함하며;
베이스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는 커플링 구동기어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커플링 구동기어는 동력구동부의 기어전동기구와 연동되도록 설치되며;
커플링 구동기어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에서 어느 일면에 제1캠 디스크가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캠 디스크는 그 내경면에 베이스 샤프트의 각 스플라인과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키홈을 구비하며;
제1캠 디스크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에서 어느 일면에 제2캠 디스크가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캠 디스크는 베이스 샤프트의 외주면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베이스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 스프링부재가 축선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스프링부재는 커플링 구동기어, 제1 및 제2 캠 디스크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며;
제2캠 디스크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동제한돌기가 외향돌출되며, 이 제2캠 디스크의 회동제한돌기에 대응하는 프레임 측에는 스토퍼가 구비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샤프트의 각 스플라인 및 제1캠 디스크의 각 키홈은 베이스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기어전동기구는 전기모터의 출력축 상에 구비된 제1윔과, 제1웜과 치합하는 제1웜기어와, 제1웜기어의 좌ㆍ우 양측의 동축선상에 일체로 구비된 한 쌍의 제2웜과, 각 제2웜과 치합하는 한 쌍의 제2웜기어와, 각 제2웜기어의 하부면에 일체로 구비된 한 쌍의 평기어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구동기어의 상부면 및 제1캠 디스크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걸림홈 및 걸림돌기를 상호 대응되게 구비하고, 제2캠 디스크의 하부면 및 제1캠 디스크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걸림홈 및 걸림돌기를 상호 대응되게 구비함으로써, 커플링 구동기어의 상부면에 제1캠 디스크가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접촉되고, 제1캠 디스크의 상부면에 제2캠 디스크가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접촉되며, 각 걸림홈 및 걸림돌기는 그 각 단벽이 소정각도로 경사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구동기어의 하부면 및 제1캠 디스크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걸림홈 및 걸림돌기를 상호 대응되게 구비하고, 제2캠 디스크의 상부면 및 제1캠 디스크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걸림홈 및 걸림돌기를 상호 대응되게 구비함으로써, 커플링 구동기어의 하부면에 제1캠 디스크가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접촉되고, 제1캠 디스크의 하부면에 제2캠 디스크가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접촉되며, 각 걸림홈 및 걸림돌기는 그 각 단벽이 소정각도로 경사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구동기어 및 제1캠 디스크의 상호 대응되는 걸림홈 및 걸림돌기의 갯수는 제1 및 제2 캠 디스크의 상호 대응되는 걸림홈 및 걸림돌기의 갯수 보다 많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캠 디스크의 상호 대응되는 걸림홈 및 걸림돌기의 높이는 커플링 구동기어 및 제1캠 디스크의 상호 대응되는 걸림홈 및 걸림돌기의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캠 디스크의 제1캠 디스크과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접촉하는 면에는 한 쌍의 걸림홈 및 걸림돌기가 서로 마주보게 대칭적으로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1캠 디스크의 접촉면에는 제2캠 디스크의 걸림홈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 및 제2캠 디스크의 걸림돌기에 걸림결합되는 걸림홈이 서로 마주보게 대칭적으로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피벗팅 액츄에이터(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의 측벽에 고정설치된 지지부(2) 상에 고정설치된 제1피벗부(11)와, 미러 하우징(3)에 고정설치된 제2피벗부(12)를 포함하고, 이 제1피벗부(11) 및 제2피벗부(12)는 회전축(14)을 기준으로 서로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정렬된다.
반면에, 본 발명의 피벗팅 액츄에이터(10)는 도 1에 도시되고 설명된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1피벗부(11)가 미러 하우징(3)에 고정설치되고, 제2피벗부(12)가 차체(1) 측의 지지부(2)에 고정설치되는 것과 같이 그 반대의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피벗팅 액츄에이터(10)는 차체(1)의 측벽에 고정설치된 지지부(2) 및 이 지지부(2) 상에서 차체(1)의 전ㆍ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미러 하우징(3) 사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호 회동가능하게 정렬된 제1 및 제2 피벗부(11, 12)를 포함한다.
제1피벗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실린더 형태의 베이스 플랜지(101) 및 베이스 샤프트(102)로 이루어지고, 베이스 플랜지(101)의 하부면은 지지부(2) 또는 미러 하우징(3)에 체결구 등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고정결합되며, 베이스 샤프트(102)는 그 외주면 상에 다수의 스플라인(102a)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 스플라인(102a)은 후술하는 제1캠 디스크(41)의 키홈(42)에 개별적으로 끼움결합된다.
제2피벗부(12)는 차체(1)의 지지부(2) 또는 미러 하우징(3)에 선택적으로 고정설치되는 프레임(200) 및 이 프레임(200) 내에 구비된 동력구동부(20)로 이루어진다.
프레임(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201), 중앙프레임(202) 및 하부프레임(203)으로 이루어지고, 하부프레임(203)의 하부면에는 상술한 베이스 샤프트(102)가 통과하는 환형개구(204a)를 구비한 환형플랜지부(204)를 구비하며, 상부 및 중앙 프레임(201, 202)은 하부프레임(203) 위에 결합된다.
상부 및 중앙 프레임(201, 202) 사이에는 미러 하우징(3)을 동력구동방식에 의해 피벗팅시키도록 하는 동력구동부(20)가 개재되고, 이 동력구동부(20)는 전기모터(25) 및 이 전기모터(25)의 구동력을 베이스 샤프트(102)로 전달하는 기어전동기구(26)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의 기어전동기구(26)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모터(25)의 출력축 상에 구비된 제1윔(26a)과, 제1웜(26a)과 치합하는 제1웜기어(26b)와, 제1웜기어(26b)의 좌ㆍ우양측 동축선상에 일체로 구비된 한 쌍의 제2웜(26c)과, 각 제2웜(26c)과 치합하는 한 쌍의 제2웜기어(26d)와, 각 제2웜기어(26d)의 하부면에 일체로 구비된 한 쌍의 평기어(26e)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기어전동기구(26)는, 그 최종단 부분에 경사진 치형을 가진 한 쌍의 제2웜기어(26d)를 채택함으로써 진동 및 소음이 적고, 마모가 균일하며, 원활한 동력을 전달할 수는 있지만, 이러한 경사진 치형을 가진 제2웜기어(26d)가 후술하는 커플링 구동기어(35)에 직접적으로 치합되면, 커플링 구동기어(35)는 그 축방향으로 트러스트(thrust)가 발생하여 상하방으로 편차가 생겨 동력 손실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제2웜기어(26d)들의 각 하부에 직선 치형을 가진 평기어(26e)를 일체로 형성시켜 이 평기어(26e)와 후술하는 커플링 구동기어(35)를 직접적으로 치합시킴으로써 커플링 구동기어(35)의 축방향으로 트러스트가 발생됨을 미연에 방지하여 동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커플링 구동기어(35)는 스프링부재(33)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베이스 샤프트(102)의 외주면 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베이스 샤프트(102)의 길이방향 중앙부분에 배치된다. 커플링 구동기어(35)는 그 외주면에 구비된 치형이 상술한 기어전동기구(26)의 평기어(26e)와 치합된다.
스프링부재(33)는 베이스 샤프트(102)의 축선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설치되고, 상술한 커플링 구동기어(35)의 상부 또는 하부측에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피벗팅 액츄에이터는 미러 하우징(3)의 수동 피벗팅작동을 수용하기 위해, 동력구동부(20)에 연동하는 커플링 구동기어(35)와 베이스 샤프트(102) 사이의 결합을 해제하는 동력분리구조를 베이스 플랜지(101)의 상부면 및 프레임(200)의 하부면 사이의 상호 회전접촉하는 부분에 적용하지 않고, 프레임(2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된 커플링 구동기어(35)에 근접시켜 적용함으로써, 미러 하우징(3)이 그 수동 피벗팅작동 도중에 상부로 돌출됨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동력분리구조에 관한 제1실시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구동기어(35)의 상부면에 제1캠 디스크(41)가 배치되고, 제1캠 디스크(41)의 상부면에 제2캠 디스크(43)가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승용차등과 같은 소형차량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커플링 구동기어(35)의 상부면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걸림홈(35a)을 구비하고, 각 걸림홈(35a)의 단벽은 소정각도로 경사져 형성된다.
제1캠 디스크(41)의 하부면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커플링 구동기어(35)의 걸림홈(35a)에 걸림결합되는 다수의 걸림돌기(41a)를 구비하고, 각 걸림돌기(41a)는 그 단벽이 상술한 걸림홈(35a)의 단벽에 대응하도록 경사진 형태이며, 제1캠 디스크(41)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걸림돌기(41b)을 구비하고, 각 걸림돌기(41b)의 단벽은 소정각도로 경사져 이루어진다.
또한, 제1캠 디스크(41)의 내경면에는 상술한 베이스 샤프트(102)의 외주면 상에 구비된 다수의 스플라인(102a)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키홈(42)이 형성된다. 이러한 베이스 샤프트(102)의 스플라인(102a) 및 제1캠 디스크(41)의 키홈(42)의 끼움결합구조에 의해, 제1캠 디스크(41)는 베이스 샤프트(102)의 외주면 상에 끼움결합되어 베이스 샤프트(102)와 함께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제2캠 디스크(43)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샤프트(102)의 외주면 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제1캠 디스크(41)의 상부면에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접촉하도록, 그 하부면에 상술한 제1캠 디스크(41)의 상부면에 구비된 걸림돌기(41b)에 걸림결합되는 다수의 걸림홈(43a)을 구비하며, 각 걸림홈(43a)의 단벽은 상술한 걸림돌기(41b)의 단벽에 대응하도록 경사진 형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동력분리구조에 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동력분리구조는 커플링 구동기어(35)의 상부면에 제1캠 디스크(41)가 배치되고, 제1캠 디스크(41)의 상부면에 제2캠 디스크(43)가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트럭 등과 같은 대형차량 등에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커플링 구동기어(35)의 하부면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걸림홈(35b)이 구비되고, 각 걸림홈(35b)의 단벽은 소정각도로 경사져 형성된다.
제1캠 디스크(41)의 상부면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커플링 구동기어(35)의 걸림홈(35b)에 걸림결합되는 다수의 걸림돌기(41c)를 구비하고, 각 걸림돌기(41c)는 그 단벽이 상술한 걸림홈(35b)의 단벽에 대응하도록 경사진 형태이며, 제1캠 디스크(41)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걸림돌기(41d)를 구비하고, 각 걸림홈(41b)의 단벽은 소정각도로 경사져 이루어진다. 또한, 제1캠 디스크(41)의 내경면에는 상술한 베이스 샤프트(102)의 외주면 상에 구비된 다수의 스플라인(102a)에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키홈(4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샤프트(102)의 스플라인(102a) 및 제1캠 디스크(41)의 키홈(42)의 끼움결합구조에 의해, 제1캠 디스크(41)는 베이스 샤프트(102)의 외주면 상에 끼움결합되어 베이스 샤프트(102)와 함께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제2캠 디스크(43)는 베이스 샤프트(102)의 외주면 상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면에는 상술한 제1캠 디스크(41)의 하부면에 구비된 걸림돌기(41d)에 걸림결합되는 다수의 걸림홈(43c)을 구비하며, 각 걸림홈(43c)의 단벽은 상술한 걸림홈(41d)의 단벽에 대응하도록 경사진 형태이다.
한편, 상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제2캠 디스크(4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동제한돌기(43b)가 외향돌출되고, 이 제2캠 디스크(43)의 회동제한돌기(43b)를 제한하는 스토퍼(45)가 프레임(200, 도 11에서는 중앙프레임(202)) 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캠 디스크(43)의 회동제한돌기(43b) 및 프레임(200)의 스토퍼(45)에 의해 본 발명의 피벗팅 액츄에이터의 폴드-인/폴드-아웃 범위의 회동각도가 소정각도로 제한된다.
한편, 상술한 제1캠 디스크, 커플링 구동기어 및 제2캠 디스크(41, 35, 43)의 결합 및 분리가능하는 구조를 달성하기 위한 다수의 걸림돌기 및 걸림홈의 구성은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그외의 다양한 실시형태의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동력분리구조의 작동관계를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먼저, 미러 하우징(3)에 특별한 외력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동력구동방식에 의한 미러 하우징(3)의 피벗팅작동 모드의 경우), 커플링 구동기어(35), 제1 및 제2 캠 디스크(41, 43)는 상술한 스프링부재(33)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걸림결합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동력구동부(20)의 기어전동기구(26)에 연결된 커플링 구동기어(35)는 제1캠 디스크(41)를 매개로 베이스 샤프트(102)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에 따라, 동력구동부(20)의 구동력이 커플링 구동기어(35)를 통해 베이스 샤프트(102)에 전달되어, 미러 하우징(3)은 동력 구동에 의한 피벗팅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미러 하우징(3)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미러 하우징(3)의 수동 피벗팅작동 모드의 경우)에는, 제1캠 디스크(41) 및 커플링 구동기어(35)는 상호 접촉하는 면에 구비된 다수의 걸림돌기(41a, 41c)및 걸림홈(35a, 35b)에 의해 걸림결합된 상태에서, 미러 하우징(3)을 폴드-인 또는 폴드-아웃 위치(도 2 참조)로 피벗팅시킬 만한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제1캠 디스크(41)가 스프링부재(33)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제1캠 디스크(41)의 걸림돌기(41a, 41c) 및 커플링 구동기어(35)의 걸림홈(35a, 35b)이 상호 접촉하는 경사진 단벽을 타고 상호 미끄럼이동하게 됨으로써, 제1캠 디스크(41) 및 커플링 구동기어(35)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는 제1차 분리작용이 일어난다.
이러한 제1차 분리작동에 의해, 베이스 샤프트(102) 및 제1캠 디스크(41)는 동력구동부(20)로부터 동력전달의 분리가 이루어지고, 동력구동부(20)에 연결된 커플링 구동기어(35)는 베이스 샤프트(102)에 대해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며, 이에 연동하여 동력구동부(20)는 아이들링 상태가 됨에 따라, 미러 하우징(3)의 수동 피벗팅작동(폴드-인/폴드-아웃)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폴드-인/폴드-아웃의 수동 피벗팅작동 시에, 제1캠 디스크(41) 및 커플링 구동기어(35) 사이의 제1차 분리작동이 일어나게 되면, 제2캠 디스크(43)는 제1캠 디스크(4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2캠 디스크(43)의 일측면에 돌출된 회동제한돌기(43b)가 프레임(200) 측에 구비된 스토퍼(45)에 의해 그 회동이 제한됨에 따라 폴드-인/폴드-아웃 피벗팅작동은 그 회동각도가 제한된다.
다음, 미러 하우징(3)에 상술한 폴드-인/폴드-아웃 피벗팅작동 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력이 작용하여 미러 하우징(3)의 폴드-오버 피벗팅작동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제1캠 디스크(41) 및 커플링 구동기어(35) 사이의 제1차 분리작동이 일어남과 더불어 제2캠 디스크(43) 및 제1캠 디스크(41)의 상호 접촉하는 면에 구비된 다수의 걸림홈(43a, 43c) 및 걸림돌기(41b, 41d)가 그 경사진 단벽을 따라 상호 미끄럼 이동하게 됨에 따라, 제2캠 디스크(43) 및 제1캠 디스크(41) 사이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는 제2차 분리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제1캠 및 제2캠 디스크(41, 43)의 제2차 분리작용에 의해, 베이스 샤프트(102) 및 제1캠 디스크(41)는 제2캠 디스크(43)로부터 완전히 분리가 이루어지고, 제2캠 디스크(43)는 베이스 샤프트(102)에 대해 회전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어, 제1캠 디스크(41) 및 베이스 샤프트(102)는 제2캠 디스크(43)의 회전제한돌기(43b) 및 스토퍼(45)로 이루어진 회동제한구조의 간섭을 전혀 받지 않게 됨에 따라, 폴드-오버/폴드-백 피벗팅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술한 폴드-오버/폴딩 백 피벗팅작동은 프레임(200)의 하부면 및 차체(1)의 지지부(2) 사이의 상호 접촉되는 면에 구비된 별도의 회동제한구조에 의해 그 회동각도가 제한되고,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널리 공지공용되는 자명한 사항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캠 디스크(41) 및 커플링 구동기어(35)의 상호 접촉하는 면에 각각 구비된 다수의 걸림돌기(41a, 41c) 및 걸림홈(35a, 35b)의 갯수는 제1캠 디스크(41) 및 제2캠 디스크(43)의 상호 접촉하는 면에 각각 구비된 다수의 걸림돌기(41b, 41d) 및 걸림홈(43a, 43c)의 갯수 보다 많게 형성된다. 이는 일정한 외력이 미러 하우징(3)에 작용할 경우에, 제1캠 디스크(41)와 커플링 구동기어(35) 사이에서의 면압이 제2캠 디스크(43)와 제1캠 디스크(41) 사이의 면압보다 크게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제1캠 디스크(41) 및 커플링 구동기어(35) 사이의 분리작용이 제1캠 디스크(41) 및 제2캠 디스크(42) 사이의 분리작용 보다 먼저 발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특정 외력이 미러 하우징(3)에 작용할 경우에, 제1캠 디스크(41)와 커플링 구동기어(35) 사이에서 1차로 분리작용이 일어나고, 다음에 제1캠 디스크(41)와 제2캠 디스크(43) 사이에서 2차로 분리작용이 순차적으로 일어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캠 디스크(43) 및 제1캠 디스크(41) 사이의 상호 대응되는 다수의 걸림홈(43a, 43c) 및 걸림돌기(41b, 41d)의 높이(h2)는 제1캠 디스크(41) 및 커플링 구동기어(35) 사이의 상호 대응되는 다수의 걸림돌기(41a, 41c) 및 걸림홈(35a, 35b)의 높이(h1) 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상대적으로 적은 외력에 의해 제2캠 디스크(43) 및 제1캠 디스크(41) 사이의 2차 분리작용이 발생되어 폴드-오버의 수동 피벗팅작동이 너무 쉽게 일어남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캠 디스크(43)의 제1캠 디스크(41)과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접촉하는 면에는 한 쌍의 걸림홈(43e) 및 걸림돌기(43f)가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적으로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1캠 디스크(41)의 접촉면에는 제2캠 디스크(43)의 걸림홈(43e)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41e) 및 제2캠 디스크(43)의 걸림돌기(43f)에 걸림결합되는 걸림홈(41f)이 서로 마주보도록 대칭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캠 디스크(41)의 걸림돌기(41e)가 제2캠 디스크(43)의 걸림홈(43e)에 걸림결합되고 제2캠 디스크(43)의 걸림돌기(43f)가 제1캠 디스크(41)의 걸림홈(41f)에 걸림결합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폴드-오버의 수동 피벗팅작동을 위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제1캠 디스크(41)의 걸림돌기 및 걸림홈(41e, 41f) 및 제2캠 디스크(43)의 걸림홈 및 걸림돌기(43e, 43f)가 상호 미끄럼 이동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캠 디스크(41) 및 제2캠 디스크(43)는 분리되어 폴드-오버 피벗팅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폴드-오버 피벗팅작동 중에, 제1캠 디스크(41)의 걸림돌기(41e)와 제2캠 디스크(43)의 걸림돌기(43f)가 상호 접촉하게 되면, 더 이상의 피벗팅작동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그 폴드-오버 피벗팅작동시의 회동각도가 소정범위로 제한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호 끼움결합되는 베이스 샤프트(102)의 스플라인(102a) 및 제1캠 디스크(41)의 키홈(4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 또는 하방으로 소정각도(θ)로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스플라인(102a) 및 키홈(42)의 소정각도 경사진 구조로 인해, 제1캠 디스크(41)의 이동성을 향상시켜 제1캠 디스크(41)를 제2캠 디스크(43) 및 커플링 구동기어(35)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스톱와셔(4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경면에 반경방향으로 다수의 결합돌기(44b)가 내향돌출되고, 이 결합돌기(44b)가 베이스 샤프트(102)의 외주면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스프링부재(33)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부프레임(203)의 환형플랜지부(204)의 상ㆍ하부 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트러스트 베어링(54, thrust bearing)가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하부프레임(203)의 환형플랜지부(204)의 상ㆍ하부면 각각에 면접촉되는 커플링 구동기어(35) 및 베이스 플랜지(101)의 축방향 하중을 지지하여 그 피벗팅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동력분리구조 및 회동제한구조를 프레임 내에 적용함으로써, 미러 하우징의 수동 피벗팅작동 도중에 미러 하우징이 상부로 돌출됨을 방지하여 외력에 의한 미러 하우징이 파손됨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우 단순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인해 필요로 하는 구성요소가 적게 소요됨에 따라, 작업공정이 매우 간편하고, 제작단가를 절감하며, 또한 그 작동성을 대폭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미러 하우징의 피벗팅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피벗팅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피벗팅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조립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구동기어, 제1 및 제2 캠 디스크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피벗팅 액츄에이터의 동력분리구조를 도시한 조립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플링 구동기어, 제1 및 제2 캠 디스크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캠 디스크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캠 디스크의 일측면에 구비된 회동제한돌기 및 프레임 측에 구비된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캠 디스크의 키홈 및 베이스 샤프트의 스플라인을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피벗팅 액츄에이터의 기어전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차체 2 : 지지부
3 : 미러 하우징 10 : 피벗팅 액츄에이터
11, 12 : 제1 및 제2 피벗부 35 : 커플링 구동기어
41 : 제1캠 디스크 43 : 제2캠 디스크

Claims (8)

  1. 차체 측벽에 고정설치된 지지부 및 이 지지부 상에서 차체의 전ㆍ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미러 하우징 사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상호 회동가능하게 정렬된 제1 및 제2 피벗부로 이루어진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제1피벗부는 베이스 플랜지 및 베이스 샤프트로 이루어지고, 베이스 샤프트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스플라인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2피벗부는 프레임 및 이 프레임 내에 구비된 동력구동부로 이루어지고, 동력구동부는 전기모터 및 전기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전동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는 커플링 구동기어가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커플링 구동기어는 동력구동부의 기어전동기구와 연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커플링 구동기어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에서 어느 일면에 제1캠 디스크가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배치되고, 제1캠 디스크는 그 내경면에 베이스 샤프트의 각 스플라인과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키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캠 디스크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에서 어느 일면에 제2캠 디스크가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배치되고, 제2캠 디스크는 베이스 샤프트의 외주면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샤프트의 외주면 상에 스프링부재가 축선방향으로 배치되고, 이 스프링부재는 커플링 구동기어, 제1 및 제2 캠 디스크가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며;
    상기 제2캠 디스크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동제한돌기가 외향돌출되며, 이 제2캠 디스크의 회동제한돌기에 대응하는 프레임 측에는 스토퍼가 구비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샤프트의 각 스플라인 및 제1캠 디스크의 각 키홈은 베이스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전동기구는
    전기모터의 출력축 상에 구비된 제1윔과,
    상기 제1웜과 치합하는 제1웜기어와,
    상기 제1웜기어의 좌ㆍ우 양측의 동축선상에 일체로 구비된 한 쌍의 제2웜과,
    상기 각 제2웜과 치합하는 한 쌍의 제2웜기어와,
    상기 각 제2웜기어의 일측면에 일체로 구비된 한 쌍의 평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구동기어의 상부면 및 제1캠 디스크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걸림홈 및 걸림돌기를 상호 대응되게 구비하고, 제2캠 디스크의 하부면 및 제1캠 디스크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걸림홈 및 걸림돌기를 상호 대응되게 구비함으로써, 커플링 구동기어의 상부면에 제1캠 디스크가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접촉되고, 제1캠 디스크의 상부면에 제2캠 디스크가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접촉되며, 각 걸림홈 및 걸림돌기는 그 각 단벽이 소정각도로 경사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구동기어의 하부면 및 제1캠 디스크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걸림홈 및 걸림돌기를 상호 대응되게 구비하고, 제2캠 디스크의 상부면 및 제1캠 디스크의 하부면에는 다수의 걸림홈 및 걸림돌기를 상호 대응되게 구비함으로써, 커플링 구동기어의 하부면에 제1캠 디스크가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접촉되고, 제1캠 디스크의 하부면에 제2캠 디스크가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접촉되며, 각 걸림홈 및 걸림돌기는 그 각 단벽이 소정각도로 경사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구동기어 및 제1캠 디스크의 상호 대응되는 걸림홈 및 걸림돌기의 갯수는 제1 및 제2 캠 디스크의 상호 대응되는 걸림홈 및 걸림돌기의 갯수 보다 많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캠 디스크의 상호 대응되는 걸림홈 및 걸림돌기의 높이는 상기 커플링 구동기어 및 제1캠 디스크의 상호 대응되는 걸림홈 및 걸림돌기의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캠 디스크의 제1캠 디스크과 결합 및 분리가능하게 접촉하는 면에는 한 쌍의 걸림홈 및 걸림돌기가 서로 마주보게 대칭적으로 구비되고, 이에 대응하여 제1캠 디스크의 접촉면에는 제2캠 디스크의 걸림홈에 걸림결합되는 걸림돌기 및 제2캠 디스크의 걸림돌기에 걸림결합되는 걸림홈이 서로 마주보게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
KR1020040035955A 2004-05-20 2004-05-20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 KR100586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955A KR100586003B1 (ko) 2004-05-20 2004-05-20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
PCT/KR2004/001890 WO2005113290A1 (en) 2004-05-20 2004-07-27 Pivoting actuator for automotive outsider 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955A KR100586003B1 (ko) 2004-05-20 2004-05-20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971A true KR20050110971A (ko) 2005-11-24
KR100586003B1 KR100586003B1 (ko) 2006-06-08

Family

ID=35428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955A KR100586003B1 (ko) 2004-05-20 2004-05-20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86003B1 (ko)
WO (1) WO20051132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750B1 (ko) * 2022-07-15 2023-01-27 에스디아이테크 주식회사 작동마찰 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사이드미러 폴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6301C2 (nl) 2010-10-06 2012-04-11 Mci Mirror Controls Int Nl Bv Verstelmechanisme.
NL2018838B1 (nl) * 2017-05-03 2018-11-14 Mci Mirror Controls Int Netherlands B V Verstelinstrument en werkwijze
CN111032434B (zh) 2017-08-17 2023-09-01 麦格纳镜片美国有限公司 用于外部镜的电动折叠致动器
DE102021201586B4 (de) 2020-02-20 2023-08-03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Fahrzeugaußenrückspiegel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4709U (ja) * 1994-05-27 1994-11-22 株式会社モルテン 自動車用ドアミラー
KR200268995Y1 (ko) * 1999-06-23 2002-03-18 이문성 자동차 사이드 미러용 엑튜에이터의 스플라인축 결합구조
AUPR461301A0 (en) * 2001-04-27 2001-05-24 Schefenacker Vision Systems Australia Pty Ltd Power fold mechanism for double arm mirrors
JP2004009806A (ja) * 2002-06-04 2004-01-15 Ichikoh Ind Ltd 車両用アウターミラー
JP2004026045A (ja) * 2002-06-26 2004-01-29 Ichikoh Ind Ltd 電動格納式ドアミラ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750B1 (ko) * 2022-07-15 2023-01-27 에스디아이테크 주식회사 작동마찰 방지구조를 갖는 차량용 사이드미러 폴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13290A1 (en) 2005-12-01
KR100586003B1 (ko)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168B1 (ko) 토크 분배 구동 기구를 구비한 차축 조립체
JP5164988B2 (ja) 車両シート用伝動機構
US5651750A (en) Dual cavity toroidal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20080116431A1 (en) Winch Assembly Including Clutch Mechanism
EP2457772B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WO2017154870A1 (ja) トルク伝達用継手及び電動式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697784B2 (ja) 電動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20130258510A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US6382384B2 (en) Clutch having reduced noise level and motor including such clutch
JP4009429B2 (ja) 逆入力防止クラッチ
KR100586003B1 (ko)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의 피벗팅 액츄에이터
JPH10235506A (ja) 工作機械
JP2004504203A (ja) ワイパ装置
US7758463B2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FI60763C (fi) Kopplingsanordning foer friktionskoppling
JP3661281B2 (ja) 駆動装置
KR100585997B1 (ko) 차량용 미러 조정기구의 클러치 구조
JP2017198290A (ja) ギヤ減速装置
JP2021173324A (ja) 解除装置
JP4289962B2 (ja) 2ウェイクラッチユニット
KR100532934B1 (ko) 차량용 미러 조정기구의 클러치 구조
JPH08152055A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JPH05330433A (ja) 駆動装置
JP2023157859A (ja) 差動歯車及びこのような差動歯車を備える駆動トレイン
KR100418947B1 (ko) 차량의 차동 제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