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9771A - 자동차 에어백도어의 스코어링 패턴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에어백도어의 스코어링 패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9771A
KR20050109771A KR1020040034786A KR20040034786A KR20050109771A KR 20050109771 A KR20050109771 A KR 20050109771A KR 1020040034786 A KR1020040034786 A KR 1020040034786A KR 20040034786 A KR20040034786 A KR 20040034786A KR 20050109771 A KR20050109771 A KR 20050109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sion
width
airbag door
reg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7811B1 (ko
Inventor
김홍종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4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811B1/ko
Publication of KR20050109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에어백도어의 스코어링 패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조수석 저면부분에 형성되는 은닉형 에어백도어에서 상기 에어백도어의 저면부분에 절개가 시작되는 부분에 잔류부의 너비에 비하여 절개홈의 너비를 크게 형성하는 제1절개영역과 제1절개영역에 인접하여 잔류부의 너비와 절개홈의 너비를 같게 형성하는 제2절개영역을 형성하여 에어백도어가 순차적으로 버어링 없이 절개되도록 하여 에어백이 에어백도어에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탑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에어백도어의 스코어링 패턴구조 { A Scoring Pattern Structure Of Air Bag Door For Motors }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에어백도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조수석 저면부분에 형성되는 은닉형 에어백도어에서 상기 에어백도어의 저면부분에 절개가 시작되는 부분에 잔류부의 너비에 비하여 절개홈의 너비를 크게 형성하는 제1절개영역과 제1절개영역에 인접하여 잔류부의 너비와 절개홈의 너비를 같게 형성하는 제2절개영역을 형성하여 에어백도어가 순차적으로 버어링 없이 절개되도록 하여 에어백이 에어백도어에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탑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에어백 절개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에어백은 차량사고시에 운전 혹은 조수석등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객이 충격으로 인하여 운전대, 인스트루먼트패널 및 전면유리창 등에 부딪혀서 인명의 손실을 야기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안전 보조장치이다.
최근의 자동차는 자동차의 성능이 발달함과 아물러 도로의 포장 상태가 향상됨으로서 자동차의 운행속도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게 되고, 그로 인하여 자동차 정면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운전자 및 탑승객의 얼굴에 치명상을 가하게 되는 경향이 증가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동차에 에어백을 설치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자동차 운전자 및 탑승객의 안전이 증가하게 되었다.
상기한 에어백의 종류에는 운전자의 운전대에 설치되는 운전자 에어백과, 조수석에 탑승한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글로브박스 상측에 있는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내장 설치되는 조수석에어백과; 운전자와 탑승객등의 측면부분을 보호하기 위하 도어에서 팽창되는 사이드에어백과; 운전자의 무릎을 보호하기 위한 무릎보호용 에어백등이 있다.
상기 에어백도어는, 에어백쿠션이 팽창되면서 인스트루먼트패널이 젖혀지도록 형성되는 개방부위에 형성되는 구조로서,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저면부분에 절개홈을 형성하여 에어백도어가 용이하게 절개되어져 젖혀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에어백도어의 종류에는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내장된 쿠션이 팽창됨으로써 승객의 상해를 줄이기 위하여 은닉형과 도어형이 있으며 그 중에 은닉형은 인스트루먼트패널 배면에 쿠션의 팽창이 용이하도록 약화부를 형성한다. 약화부를 형성하는 방법에는 인스트루먼트패널의 몰드물의 스킨에 요철부를 두어서 약화시키거나 레이저를 이용하여 가공하는 방법들이 적용되어진다.
그리고, 레이저를 이용한 가공방법은, 인스트루먼트패널의 배면에 일정한 깊이를 갖는 절개홈을 형성하게 되면 외부에서 절개홈이 보이지 않으면서 충돌시에는 쿠션에 의하여 절개되어지도록 은닉형의 에어백도어에 적용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백이 설치된 자동차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에어백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에어백도어의 절개홈 라인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종래의 에어백도어 구조는,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패널(10)의 글로브박스의 상측부분 인스트루먼트패널(10)의 저면부분에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에어백도어(20)의 저면에는 레이저가공으로 내측스킨(22) 부분에 절개홈(26)을 형성하도록 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스킨(24) 부분에는 절개홈(26)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백도어(20)에서 절개영역(B)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깊이(T)를 갖는 절개홈(26)과 홈부가 없는 잔류부(28)가 교번적으로 형성되어지고, 절개영역(B)에 인접하여서는 에어백도어(20)가 젖혀지도록 하는 힌지부영역(A)이 형성되어진다.
상기 절개영역(B)에서 절개홈(26)의 너비(b)와 잔류부(28)의 너비(a)가 거의 동일한 치수와 동일한 깊이(T)로 전체적으로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되어진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에어백도어(20)는, 상기 내측스킨(22)에 동일한 깊이로 레이저장비의 헤드가 약간 경사져 진입하면서 레이저로 약화부인 절개홈(26)을 형성하므로 이 절개홈(26)이 균일하지 못하여 저온 전개시에 약화부(테어심)가 날카롭게 찢어져서 버어(Burr)가 많이 발생하여 에어백 쿠션이 팽창되면서 버어에 의하여 파손되어져서 쿠션 내부에 유입된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쿠션이 제대로 탑승객을 보호하지 못하여 인명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조수석 저면부분에 형성되는 은닉형 에어백도어에서 상기 에어백도어의 저면부분에 절개가 시작되는 부분에 잔류부의 너비에 비하여 절개홈의 너비를 크게 형성하는 제1절개영역과 제1절개영역에 인접하여 잔류부의 너비와 절개홈의 너비를 같게 형성하는 제2절개영역을 형성하여 에어백도어가 순차적으로 버어링 없이 절개되도록 하여 에어백이 에어백도어에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탑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몰드물로서 절개홈과 잔류부를 교번적으로 형성하는 내측스킨과; 절개홈을 형성하지 않는 외측스킨으로 이루어진 에어백도어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도어의 내측스킨에서 일정 구간에 동일한 깊이를 갖고, 절개 시작지역으로 절개가 용이하도록 절개홈의 너비가 잔류부의 너비에 비하여 크게 형성하는 제1차절개영역과; 상기 절개영역에 인접하여 내측스킨에서 일정 구간에 동일한 깊이를 갖고, 상기 절개영역에 비하여 절개가 어렵도록 절개홈의 너비가 잔류부의 너비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는 제2차절개영역과; 상기 제2차절개영역에 의하여 젖혀지는 에어백도어의 힌지역할을 수행하는 힌지부로 구성된 자동차 에어백도어의 스코어링 패턴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차절개영역에서, 상기 절개홈의 너비는 12mm ∼ 17mm이고, 상기 잔류부의 너비는, 3 ∼ 7mm의 범위를 갖고, 상기 절개홈의 너비는 15mm이고, 상기 잔류부의 너비는, 5m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차절개영역에서, 상기 절개홈의 너비는 3mm ∼ 7mm이고, 상기 잔류부의 너비 역시 3 ∼ 7mm의 범위를 갖고, 상기 절개홈의 너비와 상기 잔류부의 너비는, 5m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차절개영역과 제2차절개영역의 경계지역은, 세로방향의 중간지점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 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C"영역의 에어백도어 절개부 단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서 "D"영역의 에어백도어 절개부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에어백 도어의 구성은, 인스트루먼트패널(10)에 몰드물로서 절개홈(26)과 잔류부(28)를 교번적으로 형성하는 내측스킨(22)과; 절개홈(26)을 형성하지 않는 외측스킨(24)으로 이루어진 에어백도어(20)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도어(20)의 내측스킨(22)에서 일정 구간에 동일한 깊이(T)를 갖고, 절개의 시작지역으로 절개가 용이하도록 절개홈(26)의 너비(c)가 잔류부(28)의 너비(d)에 비하여 크게 형성하는 제1차절개영역(C)과; 상기 절개영역(C)에 인접하여 내측스킨(22)에서 일정 구간에 동일한 깊이(T)를 갖고, 상기 절개영역(C)에 비하여 절개가 어렵도록 절개홈(26)의 너비(e)가 잔류부(28)의 너비(f)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는 제2차절개영역(D)과; 상기 제2차절개영역(D)에 의하여 젖혀지는 에어백도어(20)의 힌지역할을 수행하는 힌지부(E)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차절개영역(C)에서, 상기 절개홈(26)의 너비(c)는 12mm ∼ 17mm이고, 상기 잔류부(28)의 너비(d)는, 3 ∼ 7mm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절개홈(26)의 너비(c)는 15mm이고, 상기 잔류부(28)의 너비(d)는,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차절개영역(D)에서, 상기 절개홈(26)의 너비(e)는 3mm ∼ 7mm이고, 상기 잔류부(28)의 너비(f) 역시 3 ∼ 7mm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절개홈(26)의 너비(e)와 상기 잔류부(28)의 너비(f)는, 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차절개영역(C)과 제2차절개영역(D)의 경계지역은, 세로방향의 중간지점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조 상태를 살펴 보도록 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스트르먼트패널(10)에 에어백도어(20)를 형성하는 데 있어, 자동차 충돌시에 내부에서 가스폭발로 팽창하는 에어백쿠션에 의하여 절개되는 시작지역으로서 절개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절개영역(C)에 일정한 깊이(T)를 갖는 절개홈(22)과 홈이 없는 잔류부(28)를 교번적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제1차절개영역(C)에서, 상기 절개홈(26)의 너비(c)는 12mm ∼ 17mm로 형성하고, 상기 잔류부(28)의 너비(d)는, 3 ∼ 7mm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하고, 특히, 그리고, 상기 절개홈(26)의 너비(c)는 15mm이고, 상기 잔류부(28)의 너비(d)는, 5m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서, 절개홈(26)의 너비(C)를 크게 하여 절개를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차절개영역(C)에 인접하여 내측스킨(22)에 제1차절개영역(C)에 일정한 깊이(T)를 갖는 절개홈(22)과 홈이 없는 잔류부(28)를 거의 동일한 너비(e)(f)로 교번적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제2차절개영역(D)에서, 상기 절개홈(26)의 너비(e)는 3mm ∼ 7mm이고, 상기 잔류부(28)의 너비(f) 역시 3 ∼ 7mm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하고, 특히, 상기 제2차절개영역(D)에서, 상기 절개홈(26)의 너비(e)와 상기 잔류부(28)의 너비(f)는, 5mm로 정도로 같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2차절개영역(D)에서 상기 절개홈(26)의 너비(e)는, 상기 제1차절개영역(C)에서 절개홈(26)의 너비(c)에 비하여 큰 차이로 작아지므로 제1차절개영역(C)이 먼저 절개되어지고, 제2차절개영역(D)이 순차적으로 절개되어진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힌지부영역(E)에 의하여 에어백도어(20)는 젖혀지면서 절개된 공간부분을 통하여 에어백쿠션이 개방되어지면서 운전자 및 탑승객의 신체 전면부에 접촉되어 생명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절개영역(C)의 절개홈(26)이 가장 먼저 절개되어지면서, 우표가 찢어지듯이 제2차절개영역(D)을 거쳐 힌지부영역(E)에서 에어백도어(20)가 젖혀지므로 에어백도어(20)가 절개되는 부분에서 버어(Burr)가 형성되어지지 않고 깨끗하게 절개되어져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이 찢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에어백도어의 스코어링 패턴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인스트루먼트패널의 조수석 저면부분에 형성되는 은닉형 에어백도어에서 상기 에어백도어의 저면부분에 절개가 시작되는 부분에 잔류부의 너비에 비하여 절개홈의 너비를 크게 형성하는 제1절개영역과 제1절개영역에 인접하여 잔류부의 너비와 절개홈의 너비를 같게 형성하는 제2절개영역을 형성하여 에어백도어가 순차적으로 버어링 없이 절개되도록 하여 에어백이 에어백도어에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탑승객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백이 설치된 자동차의 내부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에어백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에어백도어의 절개홈 라인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을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C"영역의 에어백도어 절개부 단면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서 "D"영역의 에어백도어 절개부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스트루먼트패널 20 : 에어백도어
22 : 내측스킨 24 : 외측스킨
26 : 절개홈 28 : 잔류부
c,e : 절개홈너비 d,f : 잔류부너비

Claims (6)

  1. 인스트루먼트패널에 몰드물로서 절개홈과 잔류부를 교번적으로 형성하는 내측스킨과; 절개홈을 형성하지 않는 외측스킨으로 이루어진 에어백도어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도어의 내측스킨에서 일정 구간에 동일한 깊이를 갖고, 절개 시작지역으로 절개가 용이하도록 절개홈의 너비가 잔류부의 너비에 비하여 크게 형성하는 제1차절개영역과;
    상기 절개영역에 인접하여 내측스킨에서 일정 구간에 동일한 깊이를 갖고, 상기 절개영역에 비하여 절개가 어렵도록 절개홈의 너비가 잔류부의 너비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하는 제2차절개영역과;
    상기 제2차절개영역에 의하여 젖혀지는 에어백도어의 힌지역할을 수행하는 힌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백도어의 스코어링 패턴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절개영역에서, 상기 절개홈의 너비는 12mm ∼ 17mm이고, 상기 잔류부의 너비는, 3 ∼ 7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백도어의 스코어링 패턴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의 너비는 15mm이고, 상기 잔류부의 너비는, 5mm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백도어의 스코어링 패턴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절개영역에서, 상기 절개홈의 너비는 3mm ∼ 7mm이고, 상기 잔류부의 너비 역시 3 ∼ 7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백도어의 스코어링 패턴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의 너비와 상기 잔류부의 너비는, 5mm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백의 스코어링 패턴구조.
  6.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절개영역과 제2차절개영역의 경계지역은, 세로방향의 중간지점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에어백의 스코어링 패턴구조.
KR1020040034786A 2004-05-17 2004-05-17 자동차 에어백도어의 스코어링 패턴구조 KR100577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786A KR100577811B1 (ko) 2004-05-17 2004-05-17 자동차 에어백도어의 스코어링 패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786A KR100577811B1 (ko) 2004-05-17 2004-05-17 자동차 에어백도어의 스코어링 패턴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771A true KR20050109771A (ko) 2005-11-22
KR100577811B1 KR100577811B1 (ko) 2006-05-11

Family

ID=37285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786A KR100577811B1 (ko) 2004-05-17 2004-05-17 자동차 에어백도어의 스코어링 패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23046B (zh) * 2007-11-01 2011-01-26 现代摩比斯株式会社 车辆仪表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5150B2 (ja) * 1991-07-23 1994-06-15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収納用カバー
WO1997031977A1 (fr) * 1996-02-27 1997-09-04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Nouvelle composition elastomere thermoplastique et enveloppe pour dispositif air-bag
KR19980046200U (ko) * 1996-12-24 1998-09-25 김욱한 자동차용 에어백 모듈의 커버
US6502852B2 (en) * 2000-11-20 2003-01-07 Delphi Technologies, Inc. Air bag cover with internal hinge configu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23046B (zh) * 2007-11-01 2011-01-26 现代摩比斯株式会社 车辆仪表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7811B1 (ko)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468B1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도어
KR970007448B1 (ko) 자동차의 계기판
US6921105B2 (en) Integrally molded passenger airbag cover
JPH11170953A (ja) エアバッグドア部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CN111391777A (zh) 用于汽车内饰件的表皮
US6260875B1 (en) Seamless/integral DSIR or PSIR door configuration in hard plastic trim application facilitated by gas
KR100577811B1 (ko) 자동차 에어백도어의 스코어링 패턴구조
KR100543762B1 (ko) 자동차용 에어백도어 절개부구조
KR101062300B1 (ko) 에어백 도어의 절개부와 그 절개부의 형성방법
JP3428345B2 (ja) エアバッグドアを一体に有する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85195B1 (ko) 조수석 에어백 모듈
JP3893536B2 (ja) エアバッグドア
EP1602533B1 (en) Airbag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vehicle's airbag
KR100886125B1 (ko) 차량용 인스트루먼트패널
KR200200709Y1 (ko) 에어백의 내측커버젖힘구조
KR100517709B1 (ko) 자동차용 에어백 도어구조
KR100292112B1 (ko) 내압조절수단을구비한에어백및그제조방법
KR100787644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JP2004058965A (ja) エアバッグドアの開放構造
KR100424368B1 (ko) 자동차의 에어 백 커버
KR200279951Y1 (ko) 전개선이 보이지 않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조수석에어백 커버
KR200288846Y1 (ko)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에어백 커버
JPH10264757A (ja) 車両用内装品
KR200193452Y1 (ko) 조수석 에어백 커버의 개방 구조
KR20230166238A (ko) 루프에어백 전개가 쉬운 자동차용 헤드 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