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8877A -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유래의 프로모터의 활성을 나타내는엠에이취에이 유전자 - Google Patents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유래의 프로모터의 활성을 나타내는엠에이취에이 유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8877A
KR20050108877A KR1020040034094A KR20040034094A KR20050108877A KR 20050108877 A KR20050108877 A KR 20050108877A KR 1020040034094 A KR1020040034094 A KR 1020040034094A KR 20040034094 A KR20040034094 A KR 20040034094A KR 20050108877 A KR20050108877 A KR 20050108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
aspergillus
promoter
mhe
mh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183B1 (ko
Inventor
채건상
김종화
임지영
Original Assignee
채건상
김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건상, 김종화 filed Critical 채건상
Priority to KR1020040034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6183B1/ko
Publication of KR20050108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0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fung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0/00Genetically modified cells
    • C12N2510/02Cells fo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otan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유래의 프로모터의 활성을 나타내는 mheA 유전자에 관한 것으로, 공지의 방법으로 상기 mheA 유전자를 목적물질이 코딩된 외래 유전자에 발현가능한 상태로 연결하고, 이를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에 형질전환시키게 되면,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미생물인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의 형질전환체로부터 사람에게 유용한 단백질을 대량 생산에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유래의 프로모터의 활성을 나타내는 엠에이취에이 유전자{Aspergillus oryzae derived mheA gene as promoter}
본 발명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유래의 프로모터의 활성을 나타내는 mheA 유전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는 다양한 생합성 활성과 분해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여러 종류의 아밀라제(amylase)와 프로테아제 (protease)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청주제조, 된장 및 간장제조와 같은 장류 제조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유로, 미국 국립 보건원(NIH)에서도 GRAS(generally regarded as safe)로 인정하고 있어 다른 균주와는 달리 인체에 해롭지 않으며 그 이용가치도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는 세포외로 다량의 효소를 분비하면서 분비체계도 매우 잘 발달되어 있고, 고등동물 세포와 같이 단백질의 당쇄형성과 같은 단백질 합성 후의 수식이 정상적으로 일어나고, 세균과는 달리 세포의 미세구조나 발현체계가 진핵세포의 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람을 포함한 고등동물 유래의 유용한 외래 단백질을 발현하는 숙주세포로써 그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Carrez et al, Gene 94, 147-154, 1990; Jeenes et al, Genet. Eng. Rev. 9, 327-367. 1991).
그래서,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에서 산업적으로 효용가치가 높은 단백질을 발현시킬 경우, 생산되는 단백질을 유전자 조작에 의하여 쉽게 세포 밖으로 분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유전공학의 기술을 이용하여 이종 단백질을 생산할 때, 이종 단백질을 세포내 분비를 하는 미생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세포내에서 발현된 이종 단백질이 세포내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하여 분해되거나 이와는 반대로 이종 단백질이 미생물의 체내에 계속 축적되면 세포 자체의 대사작용 등을 방해하여 세포의 생장을 저해하고 나아가서는 세포를 용해시켜 세포의 수가 급속히 감소되어 이종 단백질의 대량 생산이 불가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기 쉽고, 또한 세포내에서 불용성 단백질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분리·정제과정에서 추가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를 상업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리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에서 이종 단백질을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는 발현이 강력히 일어날 수 있도록 강력한 프로모터가 필요한데, 현재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에서 강력한 프로모터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아밀라제 계통 효소 유전자의 프로모터, 그리고 글리콜리시스에 관여하는 효소 유전자의 프로모터가 알려져 있다 (Nakajima et al., Biotechnol. Bioproc. Eng. 5, 253-262, 2000).
그런데, 이전에 보고된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에서는 배지의 탄소원으로 포도당을 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가장 많은 양의 mRNA를 만드는 유전자의 부분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아밀라제 계통 효소 유전자 또는 글리콜리시스에 관여하는 효소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알려져 있지 않았다(Hwang et al., J. Microbiol. 36, 111-117, 1998).
이는, 공업용 효소 생산의 프로모터는 전분질이나 말토스를 탄소원으로 사용할 경우, 탄소원 이화작용 억제(carbon catabolite repression)를 받는 등 장점이 크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탄소원으로 포도당 뿐만아니라, 전분, 설탕 등에서도 강력히 작동할 수 있는 프로모터를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에서 찾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원으로 포도당 뿐만아니라, 전분, 설탕 등에서도 전사를 가장 효율적으로 하는 프로모터를 제공하기 위해,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에서 이미 공지된 324 개의 EST 클론들의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Hwang et al., J. Microbiol. 36, 111-117, 1998), 상기 유전자 중에서 4 회의 발현빈도를 가진 클론을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클론을 지표(Hwang et al., J. Microbiol. 36, 111-117, 1998)로 하여,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의 유전자로부터 강력한 프로모터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유전자를 분리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Aspergillus oryzae)유래의 프로모터의 활성을 나타내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mheA 유전자를 제공한다.
또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유전자에 작동가능하도록 연결된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벡터에 삽입하고 상기 벡터를 미생물에 삽입하여 형질전환시킨다음, 상기 형질전환된 미생물을 배지에 배양하여 목적단백질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heA 유전자를 이용한 단백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참고문헌과 용어, 기술 등은 특별한 한정이 없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프로모터의 활성을 나타내며,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유래의 신규한 유전자를 mheA 유전자로 명명하였다.
본 발명에서 mheA 유전자의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1 내지 2 에 설명된 바와같이 표시된다.
이때, 서열번호 1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의 전체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나타내는 것이고, 서열번호 2는 mhe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나타낸 것이며, 서열번호 1에서 4,962 내지 5,179의 염기서열은 mheA 유전자를 탐색하는 데 사용하는 EST(A07B12)의 염기서열을 나타낸 것이다.
통상적으로 알려진 프로모터와 같이, 본 발명에서 프로모터로 사용되는 mheA 유전자는 그 일부분인 프로모터서열, 신호서열 및 종결서열을 프로브나 프라이머로 용도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형질전환 대상의 미생물로는 아스퍼질러스 속(Aspergillus genus)균주의 미생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아스퍼질러스 나이거를 사용한다.
이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서열번호 2의 유전자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Aspergillus oryzae)로부터 유래된 것이고, 아스퍼질러스 나이거는 상기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와 유전적으로 상동성이 67%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형질전환의 대상 미생물이 아스퍼질러스 속 미생물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형질전환된 아스퍼질러스 속 균주를 배양할 때, 배지에 탄소원으로 포도당, 설탕, 녹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포도당을 사용한다.
이는 탄소원을 달리한 배지에서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를 배양할때, 탄소원이 포도당인 배지에서 mheA 유전자의 발현양이 다른 탄소원의 경우보다 매우 높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반적인 프로모터 활성방법(Nakajima et al., Biotechnol. Bioproc. Eng. 5, 253-262, 200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mheA 유전자를 활성은
(a) 프로모터로서 mheA 유전자를 목적단백질이 코딩된 외래 유전자에 발현가능한 상태로 연결한 재조합 유전자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재조합 유전자를 벡터에 삽입하여 발현벡터를 제조하고, 이를 미생물에 형질전환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형질전환된 미생물을 배지에 배양한 다음, 상기 배양산물로부터 목적단백질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방법을 사용하면 된다.
이때, 상기 목적단백질에는 상업적으로 이용이 가능한 단백질, 효소 또는 항체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아밀라제와 프로테아제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본 실시예는 신규하고 효율적인 프로모터를 찾고자,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로부터 공지된 324개의 EST(Expressed Sequence Tag)에서 발현빈도가 가장 높은 유전자를 분리하여, 상기 분리된 유전자 클론의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하고, 상기 유전자가 실제적으로 발현하는 지의 여부 및 상기 유전자의 mRNA 크기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를 여러 가지 탄소원에서 키웠을 경우, 상기 유전자의 발현양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유전자를 프로모터로 사용하였을 경우, 형질전환 미생물의 배양방법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1]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로부터 mheA 유전자의 분리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의 EST인 A07B12 (Hwang et al., J. Microbiol. 36, 111-117, 1998)의 DNA를 지표로 사용하여,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의 전체 DNA를 제한효소 HindIII로 절단한 유전자에서 mheA 유전자를 분리하여 클론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상기 클론을 다시 지표로 사용하여 제한효소 PstI으로 절단한 유전자에서 전체 mheA 유전자를 포함하는 PstI 절편의 클론을 확보하였다.
이때, 도 1은 상기 클론을 콜로니 혼성화법(colony hybridization)하여 스크리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콜로니 혼성화법은 먼저 LB 플레이트에서 밤새 배양한 대장균을 콜로니/플라크 스크린 혼성화 전이 막(Colony/Plaque ScreenTM Hybridization Transfer Membrane)으로 떠내고, 상기 막을 변성 용액(denaturation solution)과 중화 용액(neutralizing solution)에 각각 5분간 워싱(washing)을 하였다. 그리고, 상기 막을 실온에서 20분 정도 말린 다음 UV 하에서 5 분간 교차결합(cross-linking)을 유도하였다.
그런다음, 2 X SSC 용액으로(SSC용액은 NaCl 8.77g, sodium citrate 4.41g이 1ℓ의 증류수에 들어있고 pH를 7.0으로 조절한 용액이다.)로 씻고, 혼성화 용기 (hybridization bottle)에 넣고 변형 처치 완충용액[modified church buffer; 0.5 M EDTA (pH8.0)1.0 ㎖, Na2HPO4(7H2O) 33.5 g, 85% H3PO4 1.0 ㎖, Hydrolysated casein 5.0 g, SDS 35g을 400 ㎖ H2O에 녹인후 최종적으로 부피를 500 ㎖로 맞춘 완충용액]를 적당량 넣어서 전혼성화반응(prehybridization)을 수행하였다.
이때, 혼성화 유도물(Hybridizer)은 Techne Hybidizer HB-1D(UK)를 사용하였고, 전혼성화반응은 1시간 수행하였다.
그리고, Prime-a-Gene systemTM (Promega, WI)를 사용하고, 동위원소는 α-32P dCTP (NEN, MA)를 사용하여 랜덤 프라임 표식(random prime labelling)을 한 프로브(probe)를 세파덱스 G-50(Sephadex G-50; Amersham-Pharmacia, UK) 컬럼으로 정제 한 후, 변성(denaturation)시켜 전혼성화반응 용액(prehybridiztion solution)에 첨가하였다. 이때, 혼성화반응은 약 16시간 정도 수행하였다.
혼성화반응이 끝난 후 2X SSC + 0.5% SDS의 용액으로 실온에서 두 번 씻어주고, 2X SSC + 0.1% SDS 용액으로 65℃에서 1번, 1X SSC + 0.1% SDS 용액으로 65℃에서 1번씩 각각 30 분씩 씻어 주었다. 그리고, 만일 잘 씻어지지 않을 경우 0.1X SSC + 0.1% SDS 용액으로 65℃에서 30 분간 한번 더 씻어주었다.
그리고, 혼성화 정도의 확인은 x-ray 필름에 감광하여 확인하였다(도 1의 A는 첫번째 스크리닝 결과이고, B는 두번째 스크리닝한 결과 참조).
[실시예 2] 분리된 클론의 제한효소 지도 작성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HindIII 클론과 PstI 클론을 재조합하여 5.5 kb의 절편을 갖는 클론을 얻었고, 이의 제한효소 지도를 작성하여 도 2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3] mheA 유전자의 발현 확인 및 mheA 유전자의 mRNA 크기 확인
YEPD 배지에서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를 48시간을 키운 후 전체 RNA을 얻었으며, 상기 전체 RNA에 A07B12 DNA를 지표로 사용하여 노던 하이브리드(Northern hybridization)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mheA 유전자의 mRNA가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이 mheA 유전자의 mRNA의 크기는 400 ∼ 450 bp 임을 확인하였다.
노던 혼성화반응은 상기 전체 RNA를 RNA 샘플 로딩 완충용액(sample loading buffer)에녹여서, 1X MOPS 런닝 완충용액 상의 포름알데히드 RNA 젤(gel)에 로딩 (loading)하고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전기영동이 완료된 후, 상기 RNA가 분리된 젤을 하이본드-N+막(Hybond-N+membrane)에 붙인다음, RNA가 전이되도록 20X SSC용액 내에서 모세관 전이(capillary transfer)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젤에서 상기 막을 떼어내고, 80℃에서 2시간 동안 굽고(baking), 2X SSC 용액으로 린스한 다음, 혼성화반응 용기에 넣고 변형 처치 완충용액을 적당량 넣고 전혼성화반응을 수행하였다.
이때, RNA 샐플 로딩 완충용액은 700 ㎕에 대해 포름아미드(Formamide) 360 ㎕, 10X MOPS 70 ㎕, DEPC로 처리된 증류수 70 ㎕, 포름알데히드 130 ㎕, 10X 로딩 염료(dye) 70 ㎕를 넣어 제조하였고, 10X 로딩 염료는 글리세롤 5 ㎖, 0.5 M EDTA (pH 8.0) 0.02 ㎖, 브로모페놀 블루 0.025 g, 자일렌 시아놀 FF 0.025 g을 넣은 후, 증류수로 최종10 ㎖로 맞춘 것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포름알데히드 RNA 젤은 100 ㎖를 제조하기 위해 아가로즈(SeaKem® LE) 1 g, 물(H2O) 72 ㎖를 넣고 전자렌지에서 2분간 끓인 후 60 ℃로 식히고, 10X MOPS 10 ㎖, 포름알데히드 18 ㎖를 첨가하여 제조한 젤을 사용하였으며, 10X MOPS 러닝 완충용액(running buffer)은 1ℓ당 NaOAc (3 M, pH 5.2) 26.7 ㎖, DEPC 처리한 증류수 700 ㎖, MOPS 41.2 g을 넣고 pH를 7.0으로 조절한 후 0.5 M EDTA (pH 8.0) 20 ㎖를 가하고 증류수로 최종 1ℓ로 맞춘 스톡 용액(Stock solution)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를 여러 가지 탄소원에서 키웠을 경우의 mheA 의 발현양 비교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를 탄소원(2% 포도당, 2% 설탕, 2% 녹말, 2% 피루베이트)만 달리한 YEPD 배지에 14 시간동안 각각 배양한 다음, 각 배지의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로부터 얻은 전체 RNA를 대상으로 노던 블롯(Northern blot)을 실시하여 mheA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였다.
이의 결과,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도당을 탄소원으로 가진 YEPD에서 가장 많이 발현이 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피루베이트를 사용한 배지에서는 발현양이 매우 적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에서 mheA 유전자를 분리함으로써, 추후 상기 mheA 유전자를 프로모터로 이용하여, 사람에게 유용한 물질이 코딩된 유전자를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에서 발현시킴으로써, 산업상 사람에게 유용한 물질을 효과적으로 다량 발현시킬 수 있다.
도 1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재의 EST A07B12를 지표로 하여 mheA 유전자 클론을 콜로니 혼성화법(colony hybridization)으로 분리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mheA 유전자를 포함한 DNA의 제한효소 지도,
도 3은 mheA 유전자의 발현 산물인 mRNA를 노던 블롯(Northern blot)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아스퍼질러스 오리재를 여러 가지 탄소원에서 키웠을 경우의 mheA의 발현양을 전기영동으로 비교한 사진.
<110> CHAE, kun sang KIM, jong hwa <120> Aspergillus oryzae-derived mheA gene as promoter <160> 2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5488 <212> DNA <213> Aspergillus oryzae <220> <221> gene <222> (4759)..(4902) <223> mheA gene <220> <221> intron <222> (4825)..(4902) <223> intron of mheA gene <220> <221> STS <222> (4962)..(5170) <223> EST of mheA gene <400> 1 aatctcttcc ctgcatttgg ctccttggcc ccataggcgc gtcctgtgga ggctggtatt 60 tgctttcttc ctcgtcaacc agaccaccta acgaaatgaa atcttcgttg tctgctactg 120 cgtccgtttt cgctggttgt gcgctggcag ctatccgggc cttacggatc agcttgacca 180 cgtctactct cttggactga gtctcgtctg gtggtggtag aactgtgtat gggtctggat 240 tggaccactt gggagcggga ggtggggtgg gcgctgaggc aggtgtattg catttgttcg 300 actccagggc gcgtttcttg cgaggacgcg actcgtcgtc gtcattctcg tcggaggata 360 cgtccatgtc agcttcctcg ctatcgctga ggctctcaat aggcgcaaac ttcagcgctg 420 gtttatcatc accattttcc ggggcgacca acagatctgg cgtagtttct cttctcgatc 480 tgaggagcgg acgctcggat gttgggggtc gcgaatagcg aaaggtgaac tcaggcttgg 540 ggtggtgatt ctgtgaccgc ctgtcattgc cacggaactg aaatggtggt ggcatggcga 600 tggagcccct gtgtaatggg gttgcgaata aaaaggacag aaatgtaaag gcgacacgat 660 cgatgtgaag aagacggcta gttgcagcgt cacgaaacac gcgggacttt ctacattttt 720 acggttttct ttttcttttt cttttttttt ttttttttgc ctgccagctc ccttccttgg 780 gtaggcggtg aaggtgggct tgcccacaat accagaatgt ctacacagag agagagagag 840 accttaacac aacatatacg agaacaatcc acaagaatat agattccaaa tgaacatttg 900 caagattttc attagtagag ccctcatttt tcgcatatct tctgcttctc cgaccacgct 960 ttcaaaccag actccagccg ttgcatcaac tgctgatcca ctgccatttc cgcaaagctc 1020 actctctcag tatgccattc caatagttct tcagctctgg tgccactgtc ggaatgaagt 1080 aacccgacac tcacgtctat tactagcggt cgttctttac agtgccaaaa gatcgtcgca 1140 ccacagcggt tgcaaaattc tcgatagatg tcgggtgagc tttcataccg ctgcatcgta 1200 gtttcagtga acaccaaagg tgacccactg gcgttgacaa tatttgattt tggaataaat 1260 gcccacgttt gaatagggga tccgctggct agtcgacatg atcgacaggc acaggttcca 1320 gctaagtact tggtgtttct atctcgaagc caccatttca catcttgggc gttttctgat 1380 gagctcttat aatagggaac taacaggtcc ggccatgggg aggatggctt aaaggaagtg 1440 gagtctggca gagtgatgta gaatgcaacg cccccacagt gacaacgagc tcgtaagcta 1500 tgactcttgt cgtccgccgg cggtatttcg gcggaatagc cgggttggtt gttggagctg 1560 agttcaagcc aacatgcgga cattgtttcc ttggattcac cgggaagaaa ggaggtcaga 1620 ccgccatccc gtgtatcact cgttcgccag tgccagatgg ttttggttcg acgagacccc 1680 tccactatca gtccagctgc gacgaagtac tgtccagtat gcttcagatg cgcaaataca 1740 tgggcgccac aggtcctaca gaaatatcgg cttgtgctgg cggattgtct atattcgcag 1800 aagcggtcaa tattcgatgg gcgagtccgt aggagatgat atgaagcgta tagttgccct 1860 gttattgccc tacacgccat acagtgacac aaattgagga cagcggggtc tgccccgagc 1920 acaacctctt gcctcgcttt tccacacaag caagagatgc ggtggatcat atcattctgc 1980 atgttggcga gatgttgaac tgtagagaga accctgtgta ggatttgatt atttgcatat 2040 agccaagcaa tgactgatct ttactaatca tgaccttgta tctatgcctt cccgtttcca 2100 gtgttgggga tctttcaagc cacgaggtgt aaatctcggt atacgggcag ataactgttt 2160 ggtgtggtca gtgggcgatt aaaagggtat gttaagctgt ttaatcatca tgcagaaacg 2220 ggctcatgcc cacgcgccct actgagaggg gagcgggttc taatggggcg atggatttga 2280 tgcaatcaaa gagacgcacc cgtcgccgcg gctagaacta cccttttttc acctataaaa 2340 tacgaaccct ccgcctcgct ctcccaactt ctctctcaag tctcctccaa atcacttgcc 2400 tacgagaacg atcactttag atcttttttc aaagacacca aatacaatcc ttcaatacac 2460 catgggttag taatagctca gtcctttcct ttctcccgtt attggtgggg taatagcggg 2520 gttgtttgtt attccatagc ctcgcttctc gcccatctgc atttccctgc ccaagttttg 2580 atttttcctc gactagaata ctagtttagg cctgctattc tatttccagt acaggaatgc 2640 gactttgcta atcatcgacc catataggtt ctgatcacgg ttgcagctgt ggcgcctcct 2700 gccagtgccc ctccggccag tgccagtgcc ccgtaagtgt gctgtatcta tggtttacct 2760 tggtagcagt gatgtgactg actgctttat ccccttagaa ataagtgaaa cgtcgcttaa 2820 ctcgctgtgg gaagatcatg cataacatcg gaatcggggt tgcagggatg gggtttcatt 2880 tgtgtgcctg agtacagtga taagcttcaa atcaagcaag aataaattga gttgtcctca 2940 ttattgagag tacctggcag tagtccccaa cgtagaagat tcttttgatc tccccttcag 3000 actaagcgtt atcttgaagc gttcatctcc tgagggttat gcagagtatc gtgactgact 3060 tggcatcctc aggcaccaaa aaggcggggt tcatcgggat catgggatca cggtgttgag 3120 accaacgtga tatgaatttg atacagagaa tatctactgt aacttctgaa agaaatgcat 3180 ataatatttc ctccctttct tgctgtatga tcttgctatc gtcgttgcct gctattcgat 3240 caacagatta tcctactcct accctccgaa catgccccca ttccaacttt aaatcggaaa 3300 aggccgaata tttcctacat aattcaccaa cgtaacgttt tcttttcttt tcctgcggca 3360 cccgcgcgtg ggccggtttg aaatcgttcc tcggcgtttt tctcgtcggt tggttcgttt 3420 cagcggacga catacttccg cgtaacgcaa ctcatatcta cgaggcttct tggtggaggt 3480 ccagtgcaag tgccatgtaa ccctcaccgg agtggtggac cagtaacttc aaggcagaga 3540 aggctaataa ttggatcaaa ttgtattcag ttattatcgt gttcccacgg tgtttagact 3600 ttacatttct tctttgaagg taagaggaga cggctactat atacaactcg gagtgaagga 3660 taggccctat ctatgttcat gtgcagtgat caaagactga agttcttaga atttacctcg 3720 ataagtcagc tttccatctc tctcatcttt tgacttactt ccattacggc agtgctctca 3780 aaagctagct tcagaatcgg gattccatct cccccacctt caagacaaag ccacgcatgt 3840 gtgacatgca taaagtatac aacccataca tcattagata actaccagga tccaagtttt 3900 ctagctccac ttatttgaca aaatgaatga aagaatatta gtaacgctgt caatcaatca 3960 aatccctcaa gaagagcagc gcaaaagctt ctcactagct gcctcacttc ccaacacctt 4020 ccccactctc acccacaacg tggcatgacg gaagaccttc caacagagca acacagtccg 4080 tcctgtactc cgacagaata ggatagacag ttacatgctg tagcctcgta atcaaatagc 4140 tcaggcaacg catccatgcg ttcctcaacg gacgagcaaa aggcaaccta gaatcgaata 4200 aaaccgtcgt acattttgcc gatctatgat tatttcaccc tccatagaga gctcccatga 4260 cctcagcgaa ggagggtcac caaaagaaaa gaaaaacaac gcagatcgtc gtatctgcaa 4320 gcgccccgat caaactccac taataccagc attagtccac ttaaatgctc cgatagtagg 4380 gaaacaaact tttctgccat ggtgggggta cctgtctacc tatgtccaac catgcttggt 4440 accggtgtaa taacctgctt ttttttggta tccctggctt ctttcctttt ctttttgcta 4500 ccctggtcaa cagacgttaa atatcatgcc tggctgcttg ggcgttgatg tattggtggg 4560 ggttctgaac tgtatcctgt ccttgggaag taaagaggcc tttgatcggc aagtatcctg 4620 aggaaatata aacctcactc atgtcctccc ttgcctgagt accaaaatag aatcagacaa 4680 ccactctcgc aaataccaaa ctactctacg actttcatta tttcgaacta tccagttcat 4740 accaatccct ccacaaccat gtctccctgc agctgcaact gctgctccgg caactgcaac 4800 tcctgctctt gcagcgactg caaggtatgc acctaccact ttacctacta gtacccccct 4860 agagatgaga tatagatact aaccatgaaa caacagcact aaatgcatca cccctgacac 4920 cgatccaaca atcctcaaga caagaaccat gtcgcaaacg acgatgatcc cgtgacttcc 4980 cttctatcca tcgacgagcg gcaccagtga ggatgggatg aagtgcagtg ttctctcctt 5040 ctttctttgt tacttatctt cctcggggat agaagttggg tggaaatgcg cgtatgaatg 5100 atggtgatga tgagggcttt atcttttact tctcggctta ctttttgaac atactttttt 5160 gcttctgaag atttctttcg tgctgagtag tgcttatttg cttgttcttt gagtgtaggt 5220 gtgtgtagag gatgttagta tgttcttttg ccggtgtagt tttgtcttat atgaaatttg 5280 agtgcgtatg tgctaggttt tcagtggcag tggaatcaaa cagtgcttgc tatgtatttg 5340 gtcagtgatg caaaggtaga ctctcggatg taatgcaacg cgatcaacga gttataaata 5400 aattctgcta aaaagcctgt accctggtaa aagttttatg cctgtaggcg caaaaatcag 5460 gacttacctg aatcatctca actatggg 5488 <210> 2 <211> 144 <212> DNA <213> Aspergillus oryzae <400> 2 atgtctccct gcagctgcaa ctgctgctcc ggcaactgca actcctgctc ttgcagcgac 60 tgcaaggtat gcacctacca ctttacctac tagtaccccc ctagagatga gatatagata 120 ctaaccatga aacaacagca ctaa 144

Claims (4)

  1. 아스퍼질러스 오리재(Aspergillus oryzae)유래의 프로모터의 활성을 나타내는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mheA 유전자.
  2. 제 1 항의 유전자에 작동가능하도록 연결된 목적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를 벡터에 삽입하고 상기 벡터를 미생물에 삽입하여 형질전환시킨다음, 상기 형질전환된 미생물을 배지에 배양하여 목적단백질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heA 유전자를 이용한 단백질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단백질은 아밀라제계 또는 프로테아제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heA 유전자를 이용한 단백질의 제조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탄소원으로 포도당, 설탕 또는 녹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heA 유전자를 이용한 단백질의 제조방법.
KR1020040034094A 2004-05-14 2004-05-14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유래의 프로모터의 활성을 나타내는엠에이취에이 유전자 KR100676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094A KR100676183B1 (ko) 2004-05-14 2004-05-14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유래의 프로모터의 활성을 나타내는엠에이취에이 유전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094A KR100676183B1 (ko) 2004-05-14 2004-05-14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유래의 프로모터의 활성을 나타내는엠에이취에이 유전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877A true KR20050108877A (ko) 2005-11-17
KR100676183B1 KR100676183B1 (ko) 2007-01-30

Family

ID=37284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094A KR100676183B1 (ko) 2004-05-14 2004-05-14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유래의 프로모터의 활성을 나타내는엠에이취에이 유전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618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2087B2 (ja) * 1993-08-27 2003-01-27 大関株式会社 アスペルギルス属糸状菌の新規プロモーター
JPH11276170A (ja) 1998-03-31 1999-10-12 Amano Pharmaceut Co Ltd アスペルギルス属由来の新規なプロモーター
JP2003061659A (ja) 2001-08-21 2003-03-04 Gekkeikan Sake Co Ltd アスペルギルス属由来の新規なプロモーター
JP2003144171A (ja) 2001-11-16 2003-05-20 Higeta Shoyu Co Ltd アスペルギルス属由来の新規プロモ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6183B1 (ko) 2007-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Interaction of Sclerotinia sclerotiorum with Brassica napus: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endo-and exo-polygalacturonases expressed during saprophytic and parasitic modes
KR100850640B1 (ko) 아플라톡신을 변화시키는 활성을 가진 효소 및 그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
CN109943546B (zh) 一种谷氨酰胺转氨酶突变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948373B (zh) 一种褐藻胶裂解酶突变体Pl7AaM及其应用
CN103898073A (zh) 一种含有更多丝氨酸的谷胱甘肽过氧化物酶gpx1突变体及其制备方法
CN111944790B (zh) 中性蛋白酶基因、中性蛋白酶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334488B (zh) 昆布多糖酶ouc-l1及其编码基因与应用
US11739311B2 (en) Gene recombinant vector, genetically engineered strain and preparation method of collagenase
JPWO2002079476A1 (ja) 麹菌遺伝子発現の検出方法
KR100676183B1 (ko)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유래의 프로모터의 활성을 나타내는엠에이취에이 유전자
US7232940B2 (en) Polynucleotide sequences from rice
CN114958791B (zh) 亚精胺衍生物糖基转移酶LbUGT62及其编码基因和应用
CN105368802B (zh) 一种耐盐酯酶及其编码基因和应用
CN103898075A (zh) 新型高活力谷胱甘肽过氧化物酶gpx突变体及其制备方法
CN111607580B (zh) 壳聚糖酶chi3、其编码基因及其制备方法
CN115215930A (zh) 控制玉米种子总蛋白和类胡萝卜素含量的蛋白ptox1及其编码基因与应用
EP0579907A1 (en) Novel nitrile hydratase, the gene encoding it and its use for producing amides from nitriles
US20020068349A1 (en) Gene encoding recombinant trehalose phosphorylase, vector containing the gene, transformant transformed by the gene, and method for producing recombinant trehalose phosphorylase with the use of transformant
CN112852788A (zh) 一种碱性底物选择性提高的枯草蛋白酶e突变体及其应用
CN107988191A (zh) 一种低温酸性蛋白酶及其编码基因与应用
TWI313300B (en) Saponin-decomposing enzyme, gene thereof and large-scale production system for producing soyasapogenol
CN117305279B (zh) 高活性和高耐热性的α-淀粉酶突变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181958B (zh) 一种α-淀粉酶基因amy1及其编码的蛋白与应用
CN113637682B (zh) OsMYB26或其突变体在提高植物干旱胁迫耐受性中的应用
CN113817696B (zh) 一种胺氧化酶asao、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