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7740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7740A
KR20050107740A KR1020057012802A KR20057012802A KR20050107740A KR 20050107740 A KR20050107740 A KR 20050107740A KR 1020057012802 A KR1020057012802 A KR 1020057012802A KR 20057012802 A KR20057012802 A KR 20057012802A KR 20050107740 A KR20050107740 A KR 20050107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ain body
housing main
rear holder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2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0154B1 (ko
Inventor
유끼후미 마찌다
신지 야마구찌
요시까즈 다나까
마꼬또 에나리
데쯔 히로세
Original Assignee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씨아이 아시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에프씨아이 아시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7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7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01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Abstract

리어 홀더를 이용하여 상대측 하우징과 로킹하고, 하우징끼리를 리어 홀더를 포함하여 확실하게 결합한다.
리어 홀더(51)의 리어 홀더 본체(52)에는 하우징 본체(61)의 단자 수납 구멍(62) 내에 삽입되고, 접속 단자(67)를 계지하기 위한 가요성을 갖는 복수개의 계지 랜스(53)가 설치되어 있다. 리어 홀더 본체(52)의 중앙 상부에는 탄발성을 갖는 로킹 아암(54)이 설치되고, 이 로킹 아암(54)에는 로킹 갈고리(55)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61)를 상대측 하우징 본체(71)에 끼워 맞추는 경우에, 하우징 본체(61)는 상대측 하우징 본체(71) 내에 인입하여 접속 단자(67, 72)끼리가 끼워 맞추어져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리어 홀더(51)의 로킹 아암(54)에 설치된 로킹 갈고리(55)는 상대측 하우징 본체(71)의 로킹부(73)에 로킹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접속 단자를 각각 수용한 한 쌍의 커넥터끼리를 결합 및 해제하여 사용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의 하우징에 접속 단자를 수용하여 이 접속 단자의 후방 빠짐을 방지하는 경우에는, 하우징 본체 내에 설치한 계지 랜스(lance)에 의해 계지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또한, 이 계지를 확실하게 하기 위해 하우징 본체의 후방부에 리어 홀더를 걸어 맞추고, 이 리어 홀더에 계지 랜스를 설치하여 접속 단자의 후방 빠짐을 방지하는 경우도 있다.
커넥터끼리의 끼워 맞춤 후의 이들 상호의 로킹은, 하우징 본체끼리에 설치한 로킹 기구에 의해 행하고 있다. 그러나, 통상은 리어 홀더는 이 로킹에 대해 아무런 관여도 하지 않으므로, 리어 홀더에 대한 고정은 반드시 충분한 것은 아니다. 또한, 커넥터의 끼워 맞춤시에 리어 홀더에 큰 힘이 가해지면, 리어 홀더가 하우징 본체로부터 떨어져 버리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하우징 본체에 상대측 하우징 본체와 로킹하기 위한 로킹 아암을 설치하면 하우징의 부피가 커져 그 높이가 커지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제1 커넥터의 하우징 본체에 부설한 리어 홀더에 의해 상대측의 제2 커넥터와 로킹하여, 리어 홀더를 하우징 본체에 확실하게 고정하도록 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의 리어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2는 단면도이다.
도3은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4는 상대측 커넥터의 전방 단부의 단면도이다.
도5는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6은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을 해제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7은 제2 실시 형태의 리어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8은 단면도이다.
도9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10은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1은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을 해제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12는 제3 실시 형태의 리어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13은 정면도이다.
도14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15는 리어 홀더를 하우징 본체에 임시 걸어 맞춤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16은 평면도이다.
도17은 확대 단면도이다.
도18은 리어 홀더를 하우징 본체에 본 걸어 맞춤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19는 평면도이다.
도20은 확대 단면도이다.
도21은 상대측 커넥터와의 끼워 맞춤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는, 제1 및 제2 커넥터끼리를 끼워 맞추어 각각에 내장한 접속 단자끼리를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하우징 본체의 후방부에 상기 접속 단자의 후방부로의 빠져 나감을 방지하기 위한 리어 홀더를 걸어 맞추고, 상기 리어 홀더에는 상기 제2의 커넥터와 로킹하기 위한 로킹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 형태를 기초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제1 실시 형태의 리어 홀더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하고, 리어 홀더(1)의 리어 홀더 본체(2)에는 하우징 본체의 단자 수납 구멍 내에 각각 삽입되고, 접속 단자를 계지하기 위한 가요성을 갖고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복수개의 계지 랜스(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어 홀더 본체(2)의 중앙 상부에는 탄발성을 갖는 로킹 아암(4)이 설치되고, 이 로킹 아암(4)은 전방에 꺾임부를 갖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 아암(5)은 후방으로 꺾이고 이 상부 아암(5)의 상부에는 로킹 갈고리(6)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아암(5)의 선단부에는 로킹 해제부(7)가 설치되고, 이 로킹 해제부(7)는 리어 홀더 본체(2)에 가요 아암(8)을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부호 9는 리어 홀더(1)를 하우징 본체에 대해 걸어 맞추기 위한 본 걸어 맞춤 갈고리, 10은 임시 걸어 맞춤 갈고리이다.
도3은 제1 커넥터의 단면도이며, 하우징 본체(11) 내에 후방으로부터 리어 홀더(1)가 끼움 삽입되어 걸어 맞추어져 있다. 하우징 본체(11) 내에는 상하 2단, 상단 8열, 하단 9열에 단자 수용 구멍(12)이 마련되고, 이 단자 수용 구멍(12) 내에 전선(13)을 접속한 예를 들어 암형 접속 단자(14)가 삽입되어 있고, 접속 단자(14)는 단자 수납 구멍(12)의 전방 단부의 계지부(15)에 계지되어 전방 빠짐이 방지되어 있다. 리어 홀더(1)를 하우징 본체(11)에 대해 후방으로 압입하면, 계지 랜스(3)가 단자 수용 구멍(12)으로 인입되어, 계지 랜스(3)는 접속 단자(14)의 접속부의 후방 단부 모서리를 계지한다.
또한, 리어 홀더(1)를 하우징 본체(11) 내에 삽입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임시 걸어 맞춤 갈고리(10)를 이용한 임시 결합 상태를 경유하여, 본 걸어 맞춤 갈고리(9)를 이용한 도3에 도시한 본 걸어 맞춤 상태에 이르지만, 이 공정에 대해서는 제3 실시예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제1 커넥터와 끼워 맞추어지는 상대측 커넥터의 하우징 본체(21)의 후방부의 도시를 생략한 전방 단부의 단면도이고, 이 하우징 본체(21)에는 하우징 본체(11)의 암형 접속 단자(14)에 접속하는 수형 접속 단자(2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하우징 본체(21)에는 리어 홀더(1)의 로킹 갈고리(6)와 로킹하기 위한 로킹부(23)가 설치되어 있다.
도5는 제1 및 제2 커넥터끼리를 끼워 맞춘 상태의 단면도이고, 하우징 본체(11)는 상대측 하우징 본체(21) 내에 인입되고 접속 단자(14, 22)끼리가 끼워 맞추어져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져 있다. 리어 홀더(1)의 로킹 아암(4)에 설치된 로킹 갈고리(6)는 일단 휘고 나서 하우징 본체(21)의 로킹부(23)의 하부를 빠져 나와 복원되고, 로킹부(23)에 걸어 맞추어져 로킹이 이루어진다. 이 리어 홀더(1)와 하우징 본체(21)와의 로킹에 의해, 하우징 본체(11)는 이들에 협지된 상태가 된다.
이 로킹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킹 아암(4)에 부착된 로킹 해제부(7)를 손가락으로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로킹 아암(4)은 침입(sink)되어 로킹 갈고리(6)와 로킹부(23)의 계지가 해제된다. 그래서, 하우징 본체(11)를 하우징 본체(21)로부터 떨어뜨리면 좋다.
도7 및 도8은 제2 실시 형태의 리어 홀더(31)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어 홀더 본체(32)에는 계지 랜스(33)가 설치되고, 또한 로킹 아암(34)이 그 자유 단부를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고, 이 자유 단부에는 로킹 갈고리(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킹 아암(34)의 중간에는 로킹 해제부(36)가 설치되고, 이 로킹 해제부(36)는 가요 아암(37)을 거쳐서 리어 홀더 본체(32)에 연결되어 있다.
도9는 접속 단자(14)를 수용한 하우징 본체(41)에, 이 리어 홀더(31)를 끼움 삽입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리어 홀더(31)의 계지 랜스(33)에 의해 단자 수용 구멍(42)에 삽입된 암형 접속 단자(14)의 접속부가 계지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41)에는, 리어 홀더(31)의 로킹 아암(34)의 탄발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조 아암(43)이 설치되어 있어, 로킹 아암(34)을 상방으로 끌어 올리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임시 걸어 맞춤 상태를 경유하여 본 걸어 맞춤 상태에 이르지만, 도면에 있어서는 리어 홀더(31)에 설치한 임시 걸어 맞춤 갈고리 및 본 걸어 맞춤 갈고리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10은 커넥터의 하우징 본체(41, 21)끼리가 끼워 맞추어진 상태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리어 홀더(31)의 로킹 아암(34)의 로킹 갈고리(35)가 제2 커넥터의 하우징 본체(21)의 로킹부(23)에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로킹이 이루어져 있다.
도11은 로킹 해제부(36)를 밀어 내림으로써 로킹 아암(34)을 보조 아암(4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침입시키고, 로킹 기구를 해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12, 도13, 도14는 제3 실시 형태의 리어 홀더의 평면도, 정면도, 확대 측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리어 홀더(51)의 리어 홀더 본체(52)의 선단부에는 복수개의 계지 랜스(5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어 홀더 본체(52)의 중앙 상부에는 탄발성을 갖는 2개의 로킹 아암(54)이 전방을 향해 돌출 설치되고, 그 자유 단부의 상부에는 로킹 갈고리(55), 측방에는 맞물림부(56)가 설치되고, 로킹 아암(54)의 베이스부 상측에는 로킹 해제부(5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어 홀더 본체(52)의 양측에는 하우징과 본 걸어 맞춤하기 위한 본 걸어 맞춤 갈고리(58)가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임시 걸어 맞춤을 위한 합계 4개의 임시 걸어 맞춤 갈고리(59)가 형성되어 있다.
도15는 이 리어 홀더(51)를 하우징 본체(61)에 임시 걸어 맞춤한 상태의 사시도, 도16은 그 평면도, 도17은 확대 단면도이며, 리어 홀더(51)는 하우징 본체(61) 내에 후방으로부터 임시 걸어 맞춤 위치인 중간 위치까지 끼움 삽입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61) 내에는 상하 2단, 각 단 20열에 단자 수용 구멍(62)이 마련되고, 하우징 본체(61)의 상면에는 리어 홀더(51)의 로킹 아암(54)의 맞물림부(56)와 맞물려, 로킹 아암(54)의 부상을 규제하는 맞물림부(63)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61)의 양측부에는 리어 홀더(51)의 본 걸어 맞춤 갈고리(58)에 대응한 긴 구멍(64)이 마련되고, 상부에는 임시 걸어 맞춤 갈고리(59)가 대응한 긴 구멍(65)이 마련되어 있다.
리어 홀더(51)의 하우징 본체(61)에 대한 이 임시 걸어 맞춤 상태에 있어서, 리어 홀더(51)의 임시 걸어 맞춤 갈고리(59)는 하우징 본체(61)의 긴 구멍(65)에 계지되어 자세는 안정되어 있고, 리어 홀더(51)의 각 계지 랜스(53)는 하우징 본체(61)의 각 단자 수용 구멍(62) 내에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 수용 구멍(62) 내에 리어 홀더(51)를 거쳐서, 후방으로부터 전선(66)을 접속한 예를 들어 암형 접속 단자(67)를 삽입하면, 접속 단자(67)의 전방 단부에 위치하여 내부에 가동 접촉 부재를 갖는 접속부(67a)가, 계지 랜스(53)를 끌어올려 내부에 삽입된다.
도18은 본 걸어 맞춤 상태의 사시도, 도19는 평면도, 도20은 확대 단면도이다. 임시 걸어 맞춤 상태에 있어서, 모든 접속 단자(67)를 단자 수용 구멍(62)에 삽입한 후에 리어 홀더(51)를 앞의 임시 걸어 맞춤 상태로부터 하우징 본체(61)에 대해 더욱 압입하여 본 걸어 맞춤 상태로 하면, 접속부(67a)의 후방 단부 모서리는 계지 랜스(53)에 압박되어 단자 수용 구멍(62) 내의 전방 단부까지 압입되고, 전방벽에 의한 전방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로킹 아암(54)의 선단부의 맞물림부(56)는 하우징 본체(61)에 설치한 맞물림부(63)와 맞물려 그 부상이 방지된다.
도21은 하우징 본체(61)가 상대측 제2 커넥터의 하우징 본체(71)와 끼워 맞추어진 상태의 단면도이고, 하우징 본체(71)에는 하우징 본체(61)의 암형 접속 단자(67)에 각각 접속하는 수형 접속 단자(72)가 장착되어 있고, 리어 홀더(51)의 로킹 아암(54)의 로킹 갈고리(55)와 로크하기 위한 로킹부(73)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61)는 상대측 하우징 본체(71) 내에 인입되어, 접속 단자(67, 72)끼리가 끼워 맞추어져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로킹 아암(54)에 설치된 로킹 갈고리(55)는, 일단 휘고 나서 하우징 본체(71)의 로킹부(73)의 하부를 빠져 나와 복원되고, 로킹부(73)에 걸어 맞추어져 로킹이 이루어진다. 이 로킹에 의해, 커넥터끼리는 불시에 해리되는 일이 없어진다.
이 로킹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로킹 아암(54)에 설치된 로킹 해제부(57)를 손가락으로 하방으로 누름으로써 로킹 아암(54)은 침입되어, 로킹 갈고리(55)와 로킹부(73)와의 로킹이 해제된다. 그래서, 하우징 본체(61)를 하우징 본체(71)로부터 떨어뜨리면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한 쪽 하우징 본체(11, 41, 61)에 설치한 리어 홀더(1, 31, 51)를 상대측 하우징 본체(21, 71)에 대해 로킹하고 있지만, 상대측의 하우징 본체(21, 71)의 후방부에 부착한 리어 홀더에 대해 로킹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1 커넥터의 하우징 본체의 후방부에 설치한 리어 홀더가 상대측의 제2 커넥터와 로킹하므로, 이 로킹 기구를 해제하지 않는 한, 하우징 본체끼리가 해리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리어 홀더가 하우징 본체로부터 해제될 우려도 없다.
또한, 하우징 본체에 로킹 기구를 직접적으로 설치한 경우보다도 하우징의 부피를 작게 할 수 있어, 리어 홀더를 제2 커넥터에 직접 로크하고 있으므로, 하우징 본체를 끼워 넣게 되어 하우징 본체에 수납한 접속 단자의 덜걱거림을 적게 할 수 있다.
또는, 리어 홀더가 하우징 본체에 완전하게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제2 커넥터와의 로킹을 할 수 없으므로, 리어 홀더의 하우징 본체에 대한 삽입 불완전 상태를 검지할 수 있다.

Claims (15)

  1. 제1 및 제2 커넥터끼리를 끼워 맞추고, 각각에 내장한 접속 단자끼리를 결합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하우징 본체의 후방부에 상기 접속 단자의 후방으로의 빠져 나감을 방지하기 위한 리어 홀더를 걸어 맞추고, 상기 리어 홀더에 상기 제2 커넥터와 로킹하기 위한 로킹 아암의 자유 단부를 전방을 향해 돌출시키고 상기 로킹 아암에 로킹 갈고리부를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아암은 상기 제2 커넥터의 하우징 본체에 대해 로킹하도록 한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아암은 상기 제2 커넥터의 하우징 본체에 부착한 홀더에 대해 로킹하도록 한 전기 커넥터.
  4. (19조 보정으로 삭제)
  5. (19조 보정으로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홀더에는 상기 제1 커넥터의 하우징 본체 내에 있어서 상기 접속 단자를 계지하기 위한 계지 랜스를 설치한 전기 커넥터.
  7. (19조 보정으로 삭제)
  8. (19조 보정으로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갈고리부는 상기 로킹 아암의 자유 단부 근방에 부설한 전기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갈고리부는 상기 로킹 아암의 중간부에 부설한 전기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아암은 자유 단부를 상기 제1 커넥터의 하우징 본체의 일부에 의해 지지한 전기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아암의 자유 단부의 하부를 지지한 전기 커넥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아암의 자유 단부의 측부를 지지한 전기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아암의 자유 단부의 측부에 상기 제1 커넥터의 하우징 본체의 일부에 계지하는 계지부를 설치한 전기 커넥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아암은 복수개 설치한 전기 커넥터.
KR1020057012802A 2003-01-10 2003-09-04 전기 커넥터 KR1010301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03995A JP4047731B2 (ja) 2003-01-10 2003-01-10 電気コネクタ
JPJP-P-2003-00003995 2003-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7740A true KR20050107740A (ko) 2005-11-15
KR101030154B1 KR101030154B1 (ko) 2011-04-18

Family

ID=32708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2802A KR101030154B1 (ko) 2003-01-10 2003-09-04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393233B2 (ko)
EP (1) EP1583182B1 (ko)
JP (1) JP4047731B2 (ko)
KR (1) KR101030154B1 (ko)
CN (1) CN100477402C (ko)
AT (1) ATE545972T1 (ko)
BR (1) BR0317357A (ko)
WO (1) WO20040642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786B1 (ko) * 2006-12-14 2008-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202B1 (ko) * 2003-06-18 2012-05-18 에프씨아이 아시아 테크놀로지 피티이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JP4168104B2 (ja) 2006-09-21 2008-10-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8287898A (ja) 2007-05-15 2008-11-27 Mitsubishi Cable Ind Ltd コネクタ
KR100982943B1 (ko) * 2008-06-12 2010-09-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부품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
DE102011002135B4 (de) * 2011-04-18 2012-12-13 Tyco Electronics Amp Gmbh Steckerelement mit zweiter Kontaktsicherung
JP5776468B2 (ja) * 2011-09-22 2015-09-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138428B2 (ja) * 2012-05-29 2017-05-3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20150214663A1 (en) * 2014-01-29 2015-07-30 Hyundai Motor Company Connector assembly for vehicle
JP6286385B2 (ja) * 2015-04-10 2018-02-2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80359B2 (ja) * 2016-06-29 2020-04-1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モジュール及びコネクタ
US9876312B1 (en) * 2017-04-06 2018-01-23 Amphenol East Asia Electronic Technology (Shen Zhen) Co., Ltd. Double locking mechanism between plate end and cable end of ethernet vehicle connector
US11133622B2 (en) * 2017-12-26 2021-09-2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with connection detection member
US10186803B1 (en) 2018-04-05 2019-01-22 Delphi Technologies, Llc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nector lock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02839A (en) 1985-01-28 1986-07-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function lock means
FR2678114B1 (fr) * 1991-06-21 1993-09-17 Labinal Connecteur electrique.
JP2849897B2 (ja) * 1993-12-01 1999-01-27 矢崎総業株式会社 簡易防水コネクタ
JP3064176B2 (ja) * 1994-03-08 2000-07-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ロック解除構造
JP3556879B2 (ja) * 2000-03-15 2004-08-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752982B2 (ja) 2000-08-29 2006-03-08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02252063A (ja) * 2001-02-26 2002-09-06 Jst Mfg Co Ltd ロック機構付コネクタ・アセンブリー
JP3999535B2 (ja) 2002-03-04 2007-10-31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714278B2 (ja) 2002-05-07 2005-11-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786B1 (ko) * 2006-12-14 2008-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64200A1 (ja) 2004-07-29
EP1583182B1 (en) 2012-02-15
ATE545972T1 (de) 2012-03-15
KR101030154B1 (ko) 2011-04-18
JP4047731B2 (ja) 2008-02-13
CN100477402C (zh) 2009-04-08
BR0317357A (pt) 2005-11-08
EP1583182A4 (en) 2007-08-29
US7393233B2 (en) 2008-07-01
JP2004220824A (ja) 2004-08-05
CN1720645A (zh) 2006-01-11
EP1583182A1 (en) 2005-10-05
US20060160433A1 (en)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202B1 (ko) 전기 커넥터
KR101030154B1 (ko) 전기 커넥터
US7114998B2 (en) Divide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0939879B1 (ko) 전기 커넥터
US739625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341472B2 (en) Plug connector with latch means
JP3675242B2 (ja) 低挿入力コネクタ
US8747169B2 (en) Connector
US6027364A (en) Connector fitting construction with side ribs and corresponding side rib-receiving portions
JP2005302602A (ja) コネクタ
US20060166544A1 (en) Connector assembly
US6817901B2 (en) Connector
US7011541B2 (en) Connector
JP3889682B2 (ja) コネクタ
US6152783A (en) Double locking member for a connector
KR20040010154A (ko) 로크 기구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JP3999535B2 (ja) 電気コネクタ
JP3549149B2 (ja) コネクタ
JP2919957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れに用いる雌型コネクタ
JP2001257024A (ja) コネクタ
JPH02160386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4372933B2 (ja) 電気コネクタの端子係止構造
JP2024044389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