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8786B1 - 커넥터하우징 - Google Patents

커넥터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8786B1
KR100838786B1 KR1020060128160A KR20060128160A KR100838786B1 KR 100838786 B1 KR100838786 B1 KR 100838786B1 KR 1020060128160 A KR1020060128160 A KR 1020060128160A KR 20060128160 A KR20060128160 A KR 20060128160A KR 100838786 B1 KR100838786 B1 KR 100838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ance
fastening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요승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8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8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8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8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는 양측으로 관통되어 터미널(60)이 삽입되는 관통공(24)이 형성되고, 체결턱(32)이 형성된 랜스(30)가 외팔보형태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4)에는 상기 체결턱(32)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스토퍼(27)가 돌출되는 하우징본체(20)와, 상기 하우징본체(20)와 결합하여 상기 랜스(30)를 감싸는 프론트홀더(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에 의하면, 랜스(30)가 노출되어 있어 터미널(60)의 오삽입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체결턱(32)과는 별도로 형성된 스토퍼(27)가 터미널(60)을 이중으로 고정하므로 터미널(60)이 커넥터하우징(1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60128160
커넥터, 하우징, 프론트홀더

Description

커넥터하우징{Connector housing}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에 터미널이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Ⅲ-Ⅲ'선에 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커넥터하우징 20: 하우징본체
24: 관통공 25: 안착면
27: 스토퍼 28: 구획면
30: 랜스 32: 체결턱
40: 결합공간 45: 체결돌기
50: 프론트홀더 60: 터미널
62: 결합홈
본 발명은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홀더와 하우징본체로 구성되는 커넥터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커넥터하우징과 이에 삽입되는 터미널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에는 관통공(2)이 형성되어, 후술할 터미널(4)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관통공(2) 내부에는 랜스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터미널(4)의 일측을 걸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에는 터미널(4)이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4)은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져, 상대커넥터의 터미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터미널(4)은 상기 관통공(2)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랜스에 걸어져 고정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터미널(4)이 랜스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전진하여, 터미널(4)의 걸림단(4')이 랜스에 걸어짐으로써 하우징(1) 내에 고정된다.
상기 터미널(4)에는 와이어(6)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6)는 상기 터미 널(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커넥터를 다른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4)을 하우징(1)에 삽입하는 작업을 함에 있어서, 터미널(4)이 하우징(1)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4)의 걸림단(4')이 상기 랜스에 정확하게 걸어졌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만약 상기 터미널(4)이 하우징(1)에 오삽입된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 커넥터로부터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2)은 매우 협소하여 작업자는 랜스에 걸림단(4')이 걸어졌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랜스가 탄성변형되었다가 다시 복원되는 순간에 발생하는 소리에 의하거나, 별도의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랜스가 옳바르게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은 비숙련자에게는 용이하지 않고, 또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터미널(4)을 고정하는 역할은 상기 랜스에 의존하게 된다. 물론, 별도의 스페이서(미도시)를 이용하여 터미널(4)을 2중으로 고정할 수 있으나, 이는 별도의 스페이서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홀더(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랜스의 처짐을 방지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는 랜스의 처짐을 방지할 뿐, 터미널(4)을 고정하는 수단은 아니므로, 터미널(4)을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터미널의 오삽입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커넥터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커넥터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는 양측으로 관통되어 터미널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체결턱이 형성된 랜스가 외팔보형태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체결턱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스토퍼가 돌출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와 결합하여 상기 랜스를 감싸 차폐하는 프론트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본체는 양측으로 관통되어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관통공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터미널이 안착되고, 터미널의 일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스토퍼가 돌출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과 나란하게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외팔보형태로 연장되고, 상기 스토퍼와 마주보도록 내측으로 체결턱이 형성되는 랜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랜스는 상기 안착면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터미널이 상기 안착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본체와 상기 프론트홀더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돌기와 이에 대응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홀더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형성된 체결돌기에 대응하는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랜스를 감싸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대커넥터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에 의하면, 랜스가 노출되어 있어 터미널의 오삽입여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랜스와는 별도로 형성된 스토퍼가 터미널을 이중으로 고정하므로 터미널이 커넥터하우징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어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에 터미널이 결합된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3의 Ⅲ-Ⅲ'선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하우징(1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본체(20)에 의해, 보다 정확하게는 하우징본체(20)의 몸체(2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22)는 대략 육면체의 형상으로, 절연체인 합성수지재질을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진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몸체(22)의 내부에는 양측으로 관통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터미널(60)이 삽입되는 관통공(24)이 형성된다.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우측으로부터 상기 관통공(24)을 통해 터미널(60)이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몸체(22)에는 안착면(25)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25)은 상기 관통공(24)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터미널(60)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안착면(25)은 상기 관통공(24)의 연장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안착면(25)에는 스토퍼(2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스토퍼(27)는 터미널(60)이 안착면(25)에 안착되면, 터미널(60)의 일단을 걸어 터미널(60)이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스토퍼(27)는 후술할 체결턱(32)과 함께 터미널(60)을 이중으로 고정시킴으로써, 터미널(60)과 커넥터하우징(10) 사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27)는 터미널(60)이 상기 안착면(2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스토퍼(27)는 상기 관통공(24)을 향해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터미널(60)이 이를 쉽게 타고 넘어 상기 안착면(25)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27)는 상기 안착면(25)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후술할 랜스(30)와 대응되도록 상기 안착면(25)의 상방 및 하방으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기 스토퍼(27)는 상측 및 하측으로 삽입되는 터미널(60)을 각각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안착면(25)은 구획면(28)에 의해 구획됨으로써, 다수개의 터미널(60)이 삽입될 수도 있다. 즉,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안착면(25)이 연장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구획면(28)이 형성되어, 안착면(25)과 구획면(28), 그리고 후술할 랜스(30)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결합공간(40)에 다수개의 터미널(60)이 고정된다.
상기 몸체(22)에는 랜스(30)가 연결된다. 상기 랜스(30)에는 체결턱(32)이 형성되어, 후술할 터미널(60)이 상기 안착면(25)에 안착되면 이를 고정하여 터미널(60)이 하우징본체(20)에 결합되도록 한다.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턱(32)은 상기 안착면(25)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32)은 후술할 터미널(60)의 결합홈(62)에 걸어져 터미널(6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랜스(30)는 상기 몸체(2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외팔보 모양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랜스(30)의 기저부는 상기 몸체(22)의 일측에 연결되고, 그 자유단부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랜스(30)의 탄성변형이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6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턱(32)을 밀어올리게 되고, 상기 랜스(30)는,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상방으로 탄성변형되었다가 체결턱(32)이 후술할 결합홈(62)에 삽입되면 원상으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랜스(30)는 상기 구획면(28)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안착면(25) 및 구획면(28)과 함께 결합공간(40)을 형성한다. 상기 랜스(30)는 다수개가 나란히 형성되어 다수개의 결합공간(4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하우징본체(20)에 다수개의 터미널(60)이 삽입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결합공간(40)은 상기 관통공(24)이 연 장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랜스(30)는 상기 안착면(25)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즉,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상방 및 하방에서 서로 나란하게 다수개가 형성됨으로써, 각각의 결합공간(40)에 다수개의 터미널(60)이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본체(20)의 양측에는 체결돌기(45)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돌기(45)는 후술할 프론트홀더(50)에 형성된 체결공(55)에 대응되는 부분으로, 하우징본체(20)와 프론트홀더(50)를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본체(20)에는 프론트홀더(50)가 결합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프론트홀더(50)는 상기 하우징본체(20)와 결합하여 상기 랜스(30)를 감싸게 된다. 즉, 상기 프론트홀더(50)는 터미널(60)이 상기 결합공간(40)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본체(20)와 결합하여, 상기 랜스(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랜스(30)는 상기 안착면(2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이 방지되어, 터미널(60)과 하우징본체(20) 사이의 결합을 견고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홀더(50)의 외관 및 골격은 몸통부(5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통부(52)는 대략 육면체 모양으로, 내부공간(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상기 랜스(30)를 감싸게 된다. 이때, 상기 몸통부(52)에는 다수개의 삽입공(54)이 형성됨으로써, 상대커넥터(도시되지 않음)의 터미널(60)이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통부(52)의 양측에는 체결공(55)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55)은 상기 체결돌기(45)와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체결돌기(45)가 걸어져 상기 하우징본체(20)와 프론트홀더(50)를 결합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하우징본체(20)에 체결공(55)이 형성되고, 프론트홀더(50)의 몸통부(52)에 체결돌기(45)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통부(52)에는 체결레버(57)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57)는 상기 몸통부(52)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대커넥터와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레버(57)의 상면에는 도 4에서 보듯이, 걸이돌기(58)가 형성되어, 상대커넥터에 형성된 걸이홈(도시되지 않음)에 삽입됨으로써 커넥터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레버(57)에는 손잡이부(59)가 형성된다. 상대커넥터와 체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59)를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걸이돌기(58)와 걸이홈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10)과 상대커넥터 사이의 결합 역시 해제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는 터미널(60)이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60)은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60)은 상기 결합공간(40)에 위치하여, 상기 체결턱(32) 및 스토퍼(27)에 걸어짐으로써 고정된다.
상기 터미널(60)에는 결합홈(6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62)은 상기 터미널(60)의 일측이 함몰되거나 관통되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체결턱(32)에 걸어지게 된다. 즉,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결합홈(62)에 상기 체결턱(32)이 삽입되 어 걸어짐으로써, 상기 터미널(60)이 커넥터하우징(10)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터미널(60)에는 바렐부(64)가 형성되어, 와이어(도시되지 않음)의 인슐레이션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터미널(60)과 와이어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상기 터미널(60)을 상기 하우징본체(20)에 결합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작업자는 우선 터미널(60)을 상기 관통공(24)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60)이 상기 관통공(24)을 지나 상기 안착면(25)에 안착되도록 밀어넣는다. 즉, 상기 터미널(60)이 관통공(24)을 통과하여 결합공간(40)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60)은 상기 스토퍼(27)를 타고 넘게 된다. 상기 스토퍼(27)는 상기 관통공(24)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터미널(60)의 선단은 용이하게 상기 스토퍼(27)를 넘어 상기 안착면(25)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터미널(60)은 상기 랜스(30)를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터미널(60)을 상기 안착면(25)에 밀어넣는 과정에서, 상기 터미널(60)은 상기 체결턱(32)에 접하게 되고, 상기 체결턱(32)을 상기 안착면(2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랜스(30) 역시 안착면(2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60)을 더욱 밀어 넣게 되면, 상기 터미널(60)의 결합홈(62)에 상기 체결턱(32)이 삽입되고, 이에 따라 상기 랜스(30)는 원상으로 복원 된다. 즉, 상기 체결턱(32)이 결합홈(62)에 삽입되어 걸어짐으로써, 상기 터미널(60)은 후방으로 이탈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랜스(30)가 다시 원형으로 복원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상기 체결턱(32)이 결합홈(62)에 정확하게 걸어졌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60)의 일단은 상기 스토퍼(27)에 의해 걸어진다. 상기 터미널(60)이 상기 결합공간(40)에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터미널(60)의 후단이 상기 스토퍼(27)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체결턱(32)과 함께 터미널(60)을 이중으로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터미널(60)은 보다 견고하게 상기 커넥터하우징(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프론트홀더(50)를 상기 하우징본체(20)에 체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우선, 상기 체결레버(57)의 손잡이부(59)가 상기 결합공간(40)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홀더(50)를 하우징본체(20)와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프론트홀더(50)의 몸통부(52)가 상기 랜스(30)를 감싸면서 상기 하우징본체(20)의 몸체(22)를 향해 접근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몸통부(52)의 양측면은 상기 체결돌기(45)에 의해, 외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탄성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홀더(50)를 상기 하우징본체(20)를 향해 계속 밀어주면, 상기 체결돌기(45)가 상기 체결공(55)에 삽입되어 걸어짐으로써, 하우징본체(20)와 프론트홀더(5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론트홀더(50)와 하우징본체(20)가 결합되면, 상기 몸통 부(52)가 랜스(30)를 감싼 상태로 고정되므로 랜스(30)가 안착면(2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커넥터하우징(10)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랜스(30)에 형성된 체결턱(32)이 터미널(60)의 결합홈(62)에 확실하게 걸어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터미널(60)의 이탈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은 랜스가 형성된 랜스가 하우징본체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터미널을 삽입하여 랜스가 탄성변형되었다가 다시 원상으로 복원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터미널이 하우징본체에 정확하게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하우징에는 랜스와는 별도로 스토퍼가 구비된다. 스토퍼는 터미널의 일측을 걸어, 랜스와 함께 터미널을 커넥터하우징에 이중으로 고정시킨다. 따라서, 터미널이 커넥터하우징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내부에는 양측으로 관통되어 터미널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체결턱이 형성된 랜스가 외팔보형태로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는 상기 체결턱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스토퍼가 돌출되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와 결합하여 상기 랜스를 감싸 차폐하는 프론트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는
    양측으로 관통되어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관통공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터미널이 안착되고, 상기 터미널의 일단을 걸어 고정시키는 상기 스토퍼가 돌출되는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과 나란하게 상기 몸체의 일단으로부터 외팔보형태로 연장되고, 상기 스토퍼와 마주보도록 내측으로 체결턱이 형성되는 상기 랜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하우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턱은 상기 안착면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다수개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터미널이 상기 안착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와 상기 프론트홀더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체결돌기와 이에 대응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홀더는
    상기 하우징본체에 형성된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하는 상기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본체와 결합되어 상기 랜스를 감싸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대커넥터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체결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하우징.
KR1020060128160A 2006-12-14 2006-12-14 커넥터하우징 KR100838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160A KR100838786B1 (ko) 2006-12-14 2006-12-14 커넥터하우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160A KR100838786B1 (ko) 2006-12-14 2006-12-14 커넥터하우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8786B1 true KR100838786B1 (ko) 2008-06-19

Family

ID=3977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160A KR100838786B1 (ko) 2006-12-14 2006-12-14 커넥터하우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878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008B1 (ko) 2009-01-22 2010-10-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탄성 접촉편을 구비한 차폐 커넥터
KR101014607B1 (ko) * 2008-12-18 2011-02-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US8123550B2 (en) 2010-03-12 2012-02-28 Omron Corporation Connector having an operation lever and elastic nails
KR101441045B1 (ko) 2008-07-25 2014-09-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론트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KR20200072787A (ko) 2018-12-13 2020-06-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7269A (ko) * 2002-09-25 2005-06-16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KR20050107740A (ko) * 2003-01-10 2005-11-15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7269A (ko) * 2002-09-25 2005-06-16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KR20050107740A (ko) * 2003-01-10 2005-11-15 료세이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커넥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45B1 (ko) 2008-07-25 2014-09-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프론트홀더가 구비된 커넥터
KR101014607B1 (ko) * 2008-12-18 2011-02-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KR100989008B1 (ko) 2009-01-22 2010-10-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탄성 접촉편을 구비한 차폐 커넥터
US8123550B2 (en) 2010-03-12 2012-02-28 Omron Corporation Connector having an operation lever and elastic nails
KR20200072787A (ko) 2018-12-13 2020-06-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2531B2 (en) Connector shield case
KR101998077B1 (ko)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JP5958583B1 (ja) 電気コネクタ
KR20080095208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 방법
KR100838786B1 (ko) 커넥터하우징
KR101648720B1 (ko) 커넥터 미결합 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조립체
US10193273B2 (en) Plug-in connection having a locking element
KR100796028B1 (ko) 커넥터 록킹구조
US20220224046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KR100952436B1 (ko) 커넥터
KR20100022841A (ko) 커넥터
WO2015072153A1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JP6534213B2 (ja) 端子検査機構を有した基板接続コネクタ
US20170170599A1 (en) Connector
US9985385B2 (en)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 lock arm
US10826229B2 (en) Connector with coupling portion
KR20100001179U (ko) 커넥터
KR200467964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88794B1 (ko) 커넥터
KR100976510B1 (ko) 수직형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102571707B1 (ko) 커넥터
JP2005190860A (ja) 電気コネクタ
KR20100006546U (ko) 커넥터
KR20080108822A (ko) 커넥터용 더미캡
KR101452456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