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607B1 - 커넥터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607B1
KR101014607B1 KR1020080129578A KR20080129578A KR101014607B1 KR 101014607 B1 KR101014607 B1 KR 101014607B1 KR 1020080129578 A KR1020080129578 A KR 1020080129578A KR 20080129578 A KR20080129578 A KR 20080129578A KR 101014607 B1 KR101014607 B1 KR 101014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ce
terminal
coupling
support
b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0847A (ko
Inventor
모정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9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60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하우징(31)의 내부에는 터미널안착부(32)가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32)에는 터미널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터미널공(32')이 형성된다. 또한, 서로 인접한 상기 터미널공(32') 사이에는 결합공(38)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32)에는 랜스(35)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랜스(35)의 일측을 지지하는 랜스지지구(40)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랜스지지구(40)에는 상기 결합공(38)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결합보스(60,70)가 형성되고, 제1결합보스(60)에는 상기 랜스지지구(40)를 1차록킹시키기 위한 제1걸림돌기(64)가 형성되고, 제2결합보스(70)에는 상기 랜스지지구(40)를 2차록킹시키기 위한 제2걸림돌기(7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걸림돌기(64,74)는 상기 터미널공(32')을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통공(42)의 영역 내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커넥터하우징과 랜스지지구를 성형할 때 사용되는 금형구조가 간단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커넥터조립체, 랜스지지구, 결합보스, 걸림돌기, 지지바아

Description

커넥터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랜스지지구를 포함하는 커넥터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가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의 전체적인 외관은 커넥터하우징(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2)에는 다수개의 터미널삽입공간(3)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삽입공간(3)에는 터미널(7)이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터미널삽입공간(3)의 내면에는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하는 랜스(5)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랜스(5)는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터미널을 상기 터미널삽입공간(3)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랜스(5)의 선단은 상기 터미널삽입공간(3)의 내부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터미널삽입공간(3)의 상하로 탄성변형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을 상기 터미널삽입공간(3)에 조립할 때에는 상기 터미널이 상기 랜스(5)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터미널을 상기 터미널삽입공간(3)에 강제로 밀어넣는다.
한편, 상기 커넥터하우징(2)의 내부에는 안착부(6)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6)에는 랜스지지구(8)가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랜스지지구(8)는 대략 직육면 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랜스지지구(8)는 상기 랜스(5)를 지지하여 상기 랜스(5)의 처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랜스지지구(8)는 상기 커넥터하우징(2)에 단단히 고정되어야 하므로, 랜스지지구(8)와 커넥터하우징(2)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걸림턱과 걸이후크와 같은 록킹구조가 형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록킹구조를 상기 랜스지지구(8)와 커넥터하우징(2)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랜스지지구(8)와 커넥터하우징(2)을 제조하는 사출금형에 슬라이드코어가 사용되어야 하므로 금형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 조립체의 부품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금형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하는 랜스가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공과 인접한 위치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터미널안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하우징; 상기 터미널안착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랜스의 일측을 지지하여 랜스의 처짐을 방지하며, 일면에 상기 터미널공을 각각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적어도 한 쌍의 결합보스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랜스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보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랜스지지구를 1차록킹시키기 위한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제1결합보스이며, 상기 한 쌍의 결합보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랜스지지구를 2차록킹시키기 위한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제2결합보스이며, 상기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보스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랜스지지구는,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면판과,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보스는 상기 전면판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돌기는 상기 제1걸림돌기 보다 상기 전면판의 배면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걸림돌기가 상기 일측 결합공의 내측에 걸어질때, 상기 제2걸림돌기는 상기 타측 결합공의 외측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랜스지지구가 1차록킹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걸림돌기가 상기 타측 결합공의 내측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랜스지지구가 2차록킹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보스는, 슬릿에 의해 분리되는 한 쌍의 보스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슬릿에 의해 한 쌍의 보스몸체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한 쌍의 보스몸체의 서로 대향되는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통공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판의 배면에는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형성되는 가이드채널에 삽입되어 상기 랜스지지구의 결합을 안내하는 가이드바아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공이 2열로 형성되고, 상기 랜스가 서로 마주하는 터미널공 사이에 대향되게 한 쌍이 구비되고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며, 상기 랜스지지구에는 상기 한 쌍의 랜스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바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랜스가 서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바아가 소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바아는 다수개가 1열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서로 인접한 지지바아 사이에 상기 가이드바아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바아의 돌출길이가 상기 지지바아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랜스지지구의 1차록킹 시에 상기 지지바아가 상기 지지바삽입부에 삽입되는 것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결합보스와 제2결합보스는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보스와 제2결합보스는 서로 대각방향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랜스지지구의 1차록킹을 위한 제1걸림돌기와 2차록킹을 위한 제2걸림돌기가 별개의 결합보스에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결합보스는 랜스지지구의 인접한 통공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결합보스에 형성된 제1 및 제2걸림돌기는 통공의 영역 내에 있게 된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랜스지지구의 록킹구성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서는, 제1코어와 제2코어의 파팅라인이 제1 및 제2걸림돌기의 가장 돌출된 부분에서 만나도록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슬라이드코어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랜스지지구를 성형하는 금형구조가 간단해지게 된다.
커넥터하우징에 결합보스가 삽입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면 되므로, 적어도 랜스지지구와의 록킹구성에 있어서는 커넥터하우징에서 랜스지지구와 커넥터하우징의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이 없으므로, 역시 슬라이드코어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커넥터하우징을 성형하는 금형구조가 간단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리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이 부분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랜스지지구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랜스지지구의 1차록킹상태가, 도 6에는 랜스지지구의 2차록킹상태가 각각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조립체(30)는 크게 내부에 터미널(미도시)이 안착되는 커넥터하우징(31)과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선단에 결합되는 랜스지지구(40)로 구성된다.
커넥터하우징(31)은 상기 커넥터조립체(30)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은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된다. 도 3과 같이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내부에는 터미널안착부(32)가 구비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32)와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내면 사이에는 결합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S)은 상기 터미널안착부(32)의 가장자리를 둘러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32)의 내부에는 터미널(미도시)이 안착되는 터미널공(32')(도 5참고)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32)에는 상대커넥터(미도시)의 터미널이 삽입되는 삽입공(33)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33)은 상기 터미널공(32')과 연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대커넥터의 터미널은 상기 삽입공(33)을 통해 상기 터미널공(32')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공(32')에 안착된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한 터미널공(32') 사이에는 구획벽(3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1)에 2열의 터미널이 안착되는데, 열을 달리하여 마주하는 한 쌍의 터미널이 서로 대향되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터미널공(32') 및 삽입공(33)도 각각 2열로 형성되며, 한 쌍이 서로 대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32)의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삽입공(33) 사이에는 한 쌍의 랜스(35)가 구비된다. 상기 랜스(35)는 상기 터미널공(32')에 안착되는 터미널의 일측에 걸어져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공(32')의 후방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랜스(35)는 상기 터미널안착부(32)의 내부에서 상기 삽입공(33)을 향해 외팔보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랜스(35)는 상기 터미널의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랜스(35)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화살표A). 이와 같이 한 쌍의 랜스(35)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면, 랜스(35)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어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공(32')에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된다.
상기 한 쌍의 랜스(35) 사이에는 후술할 지지바아(46)가 삽입되는 지지바삽입부(36)가 형성된다. 그리고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구획벽(34) 사이에는 후술할 가이드바아(43)가 삽입되는 가이드채널(37)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터미널안착부(32)의 일측에는 결합공(38)이 다수개 형성된다. 도 5와 같이, 상기 결합공(38)은 상기 서로 인접한 삽입공(33)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38)이 형성된 부분의 상기 터미널안착부(32)의 내부에서는 구획벽(34)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서로 인접한 터미널공(32')이 소정 구간 연통된다.
상기 결합공(38)에는 후술할 랜스지지구(40)의 제1결합보스(60) 또는 제2결합보스(70)가 삽입된다. 상기 결합공(38)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걸림부(39)가 상기 터미널공(32') 내부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일측 걸림부(39)는 랜스지지구(40)의 1차록킹을 위해 제1결합보스(60)의 제1걸림돌기(64)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타측 걸림부(39)는 랜스지지구(40)의 2차록킹을 위해 상기 제2결합보스(70)의 제2걸림돌기(74)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타측 결합공(38)의 입구 주변은 랜스지지구(40)의 1차록킹을 위해 제2결합보스(70)의 제2걸림돌기(74)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랜스지지구(40)의 구성을 설명한다. 랜스지지구(40)의 외관과 골격을 지지구몸체(41)가 형성한다. 상기 지지구몸체(41)도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구몸체(41)는 상기 터미널안착부(32)를 둘러 감싸도록 상기 터미널안착부(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지지구몸체(41)는 상기 터미널안착부(32)의 전면과 밀착되는 전면판(41a)과, 상기 전면판(41a)의 배면 가장자리를 둘러 소정 높이 돌출되며 상기 결합공간(S)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안착부(32)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판(4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구몸체(41)의 전면판(41a)에는 다수개의 통공(42)이 형성된다. 상 기 통공(42)은 상기 삽입공(3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통공(42)은 상기 삽입공(33)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통공(42)을 통해 상기 삽입공(33)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전면판(41a)의 배면에는 가이드바아(4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바아(43)는 상기 전면판(41a)의 배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바아(43)는 상기 서로 대향되는 구획벽(34)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채널(37)에 삽입되어 상기 랜스지지구(40)의 삽입방향을 안내한다.
또한, 상기 전면판(41a)의 배면에는 지지바아(46)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아(46)는 상기 지지바삽입부(36)에 삽입되어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랜스(35)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바아(46)는 다수개가 1열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지지바아(46)도 상기 전면판(41a)의 이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지지바아(46)의 돌출길이는 상기 가이드바아(43)의 돌출길이 보다 작은 값을 가진다. 이는 랜스지지구(40)가 1차록킹되어 상기 가이드바아(43)가 상기 터미널안착부(32)에 어느 정도 삽입되었을 때, 상기 지지바아(46)가 랜스(35)를 지지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41a)의 배면에는 제1 및 제2결합보스(60,7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보스(60,70)도 상기 전면판(41a)의 배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보스(60)와 제2결합보스(70)는 함께 상기 랜스지지구(40)를 상기 터미널안착부(32)에 1차록킹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 결합보스(70)는 상기 랜스지지구(40)를 상기 터미널안착부(32)에 2차록킹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결합보스(60)는 한 쌍의 보스몸체(61)로 구성되고, 상기 보스몸체(61) 사이에는 슬릿(62)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62)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보스몸체(61)는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보스몸체(61)의 서로 대향되는 외면 선단에는 제1걸림돌기(64)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걸림돌기(64)는 상기 통공(42)의 영역 내에 있게 된다. 상기 제1걸림돌기(64)는 상기 걸림부(39)는 걸어져 1차록킹상태의 랜스지지구(40)가 상기 터미널안착부(32)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걸림돌기(64)의 외면에는 상기 제1결합보스(60)가 상기 결합공(38)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삽입안내면(64')이 각각 형성된다.
제2결합보스(70)는 한 쌍의 보스몸체(71)로 구성되고, 상기 보스몸체(71) 사이에는 슬릿(72)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72)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보스몸체(71)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보스몸체(71)의 서로 대향되는 외면 일측에는 제2걸림돌기(74)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걸림돌기(74)는 상기 통공(42)의 영역 내에 있게 된다. 상기 제2걸림돌기(74)와 제1걸림돌기(64)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보스(60, 7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걸림돌기(74)는 상기 보스몸체(71)의 외면 중 상기 제1걸림돌기(64) 보다 상기 전면판(41a)의 배면과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걸림돌 기(74)의 외면에는 상기 제2결합보스(70)가 상기 결합공(38)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삽입안내면(7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2걸림돌기(74)는 상기 걸림부(39)에 걸어져, 2차록킹상태의 랜스지지구(40)가 상기 터미널안착부(32)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걸림돌기(74)의 외면은 랜스지지구(40)가 1차록킹되어 상기 제1결합보스(60)의 제1걸림돌기(64)가 상기 걸림부(39)에 걸어졌을 때, 타측 결합공(38)의 입구 주변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이로 인해 상기 랜스지지구(40)가 1차록킹되었을 때 상기 랜스지지구(40)가 상기 터미널안착부(32)를 향해 더 이상 삽입되지 않도록 되어 랜스지지구(40)의 1차록킹상태가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보스(60,70)는 서로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다. 그러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적어도 제1 및 제2결합보스(60,70)로 이루어진 한 쌍이 구비되면 충분하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보스(60,70)가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구비되어도 상관 없다. 미 설명부호 69와 79는 삽입가이드로서, 상기 제1 및 제2결합보스(60,70)의 돌출길이만큼 상기 전면판(41a)의 배면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외면에 걸림돌기(64,74)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결합공(38)에 삽입됨에 따라 랜스지지구(40)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삽입가이드(69,79)의 위치에 상기 제1 및 제2결합보스(60,70) 중 어느 하나를 대체해도 무방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와 도 6을 참고로 커넥터조립체의 조립과정을 살펴본다.
도 5에는 랜스지지구(40)와 커넥터하우징(31)의 1차록킹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랜스지지구(40)의 1차록킹은 랜스지지구(40)와 커넥터하우징(31)이 가조립된 상태를 말한다. 커넥터조립체(30)는 상기 랜스지지구(40)가 1차록킹된 도 5의 상태로 터미널 조립라인으로 제공되는데, 이는 랜스지지구(40)의 분실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조립작업을 간소화해주기 위함이다.
랜스지지구(40)의 1차록킹 상태에서는, 랜스지지구(40)의 측면판(41b)이 결합공간(S) 내부로 일부 삽입된다. 그리고 가이드바아(43)는 가이드채널(37)에 삽입된다. 이때, 지지바아(46)는 지지바삽입부(36)로 삽입되지 않도록 되어 랜스(35)의 탄성변형이 자유롭다.
상기 랜스지지구(40)의 1차록킹 상태는 제1결합보스(60)와 제2결합보스(70)에 의해 유지된다. 즉, 상기 제1결합보스(60)의 제1걸림돌기(64)는 일측 결합공(38)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부(39)에 걸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랜스지지구(40)가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상기 제2결합보스(70)의 제2걸림돌기(74)는 타측 결합공(38)의 입구 주변에 안착되므로 랜스지지구(40)가 더 이상 삽입되지 않는다.
도 5와 같은 랜스지지구(40)의 1차록킹 상태의 커넥터조립체(30)를 제공받은 작업자는, 터미널(미도시)을 터미널공(32')에 삽입한다. 그러면, 터미널(미도시)이 상기 랜스(35)를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공(32') 내측까지 삽입되고, 랜스(35)가 다시 복원되면서 터미널(미도시)의 일측에 걸어지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랜스지지구(40)를 2차록킹시킨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상기 랜스지지구(40)를 터미널안착부(32)를 향하여 더 밀어 넣는다. 여기에서 상기 랜스지지구(40)의 2차록킹이라 함은 상기 랜스지지구(40)를 커넥터하우징(31)에 완전히 결합시키는 것을 말한다.
도 6과 같이, 상기 랜스지지구(40)의 2차록킹 상태에서는 상기 랜스지지구(40)의 전면판(41a)이 터미널안착부(32)의 전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아(46)는 지지바삽입부(36)에 삽입되어 랜스(35)를 지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랜스(35)의 처짐이 방지되어 터미널의 터미널공(32')에의 안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상기 랜스지지구(40)의 2차록킹 상태는 제2결합보스(70)에 의해 유지된다. 즉, 상기 제2결합보스(70)의 제2걸림돌기(74)가 상기 결합공(38)을 완전히 통과하여, 결합공(38)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부(39)에 걸어진 상태이므로, 상기 랜스지지구(40)의 2차록킹 상태가 유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랜스지지구(40)의 1차록킹을 위한 제1걸림돌기(64)와 2차록킹을 위한 제2걸림돌기(74)가 별개의 결합보스(60,70)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결합보스(60,70)는 인접한 통공(42) 사이에 구비되어 제1걸림돌기(64)와 제2걸림돌기(74)가 상기 통공(42)의 영역 내에 있게 된다.
이러한 형상을 가지는 랜스지지구(40)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구성을 도 7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형구성을 간단히 설명하면, 제1코어(C1)의 일측이 상기 통공(42)을 관통하여 상기 제2걸림돌기(74)의 캐비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코어(C1)와 제2코어(C2)의 파팅라인(PL) 이 상기 제2걸림돌기(74)의 가장 돌출된 부분에서 만나도록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별도의 슬라이드코어가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랜스지지구(40)를 성형하는 금형구조가 간단해지게 된다.
참고로, 상기 커넥터하우징(31)의 록킹구성인 결합공(38)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구조(미도시)를 설명하면, 상기 커넥터하우징(31)에서 상기 랜스지지구(40)와 커넥터하우징(31)의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구성이 없으므로, 슬라이드코어가 불필요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하우징을 보인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랜스지지구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랜스지지구의 1차록킹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랜스지지구의 2차록킹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랜스지지구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구성을 보인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커넥터조립체 31: 커넥터하우징
32: 터미널안착부 32': 터미널공
33: 삽입공 34: 구획벽
35: 랜스 38: 결합공
40: 랜스지지구 41: 지지구몸체
41a: 전면판 41b: 측면판
42: 통공 43: 가이드바아
46: 지지바아 60: 제1결합보스
61: 보스몸체 62: 슬릿
64: 제1걸림돌기 70: 제2결합보스
74: 제2걸림돌기 S: 결합공간

Claims (10)

  1. 내부에 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하는 랜스가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공과 인접한 위치의 일측과 타측에 결합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터미널안착부를 포함하는 커넥터하우징;
    상기 터미널안착부와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랜스의 일측을 지지하여 랜스의 처짐을 방지하며, 일면에 상기 터미널공을 각각 외부와 연통시키는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적어도 한 쌍의 결합보스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랜스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보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랜스지지구를 1차록킹시키기 위한 제1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제1결합보스이며,
    상기 한 쌍의 결합보스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랜스지지구를 2차록킹시키기 위한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제2결합보스이며,
    상기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결합보스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지지구는,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전면에 밀착되는 전면판과,
    상기 터미널안착부의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결합보스는 상기 전면판의 배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걸림돌기는 상기 제1걸림돌기 보다 상기 전면판의 배면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돌기가 상기 일측 결합공의 내측에 걸어질때, 상기 제2걸림돌기는 상기 타측 결합공의 외측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랜스지지구가 1차록킹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돌기가 상기 타측 결합공의 내측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랜스지지구가 2차록킹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스는,
    슬릿에 의해 분리되는 한 쌍의 보스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슬릿에 의해 한 쌍의 보스몸체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한 쌍의 보스몸체의 서로 대향되는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통공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의 배면에는 상기 터미널안착부에 형성되는 가이드채널에 삽입되어 상기 랜스지지구의 결합을 안내하는 가이드바아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공이 2열로 형성되고, 상기 랜스가 서로 마주하는 터미널공 사이에 대향되게 한 쌍이 구비되고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며,
    상기 랜스지지구에는 상기 한 쌍의 랜스 사이에 형성되는 지지바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랜스가 서로 가까워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바아가 소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아는 다수개가 1열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서로 인접한 지지바아 사이에 상기 가이드바아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바아의 돌출길이가 상기 지지바아의 돌출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랜스지지구의 1차록킹 시에 상기 지지바아가 상기 지지바삽입부에 삽입되는 것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보스와 제2결합보스는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보스와 제2결합보스는 서로 대각방향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조립체.
KR1020080129578A 2008-12-18 2008-12-18 커넥터조립체 KR101014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578A KR101014607B1 (ko) 2008-12-18 2008-12-18 커넥터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578A KR101014607B1 (ko) 2008-12-18 2008-12-18 커넥터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847A KR20100070847A (ko) 2010-06-28
KR101014607B1 true KR101014607B1 (ko) 2011-02-16

Family

ID=4236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578A KR101014607B1 (ko) 2008-12-18 2008-12-18 커넥터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6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65274A (zh) * 2017-08-07 2018-01-09 南京康尼新能源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二次锁扣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4230A (ja) * 1993-09-20 1995-04-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100804262B1 (ko) 2006-08-14 2008-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프론트홀더의 록킹구조
KR100838786B1 (ko) * 2006-12-14 2008-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94230A (ja) * 1993-09-20 1995-04-0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KR100804262B1 (ko) 2006-08-14 2008-02-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프론트홀더의 록킹구조
KR100838786B1 (ko) * 2006-12-14 2008-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847A (ko) 201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32797B2 (ja) コネクタ
JP4828311B2 (ja) 電気コネクタ
JP6235199B2 (ja) コネクタ
JP4126179B2 (ja) コネクタ
JP4849007B2 (ja) コネクタ
JPH0422079A (ja) コネクタ
US10348023B2 (en) Connector with retainer
JP2006344538A (ja) 電気コネクタ
JP5668670B2 (ja) コネクタ
JP2007526606A (ja) 改良型接点止部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および前記ハウジング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JP4457987B2 (ja) コネクタ
KR20110099188A (ko) 커넥터
KR101001882B1 (ko) 터미널고정구가 구비된 커넥터
KR101014607B1 (ko) 커넥터조립체
EP1172895B1 (en) Connector
JP6730975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該電気コネクタ内の接続端子の係止方法
KR20090044365A (ko) 커넥터
JP4878332B2 (ja) 電気的な差込接続のためのコンタクトハウジング
JP2004152621A (ja) コネクタ
JP2006073374A (ja) コネクタ
JP3395893B2 (ja) コネクタ
JP2005166611A (ja) コネクタ
JP3748398B2 (ja) コネクタのサイドスペーサ構造
KR200431600Y1 (ko) 커넥터용 하우징
JP380031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