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6751A -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 - Google Patents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6751A
KR20050106751A KR1020040031776A KR20040031776A KR20050106751A KR 20050106751 A KR20050106751 A KR 20050106751A KR 1020040031776 A KR1020040031776 A KR 1020040031776A KR 20040031776 A KR20040031776 A KR 20040031776A KR 20050106751 A KR20050106751 A KR 200501067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speed limit
warning
processing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8573B1 (ko
Inventor
정용수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1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8573B1/ko
Publication of KR20050106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7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8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8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60K2031/0091Speed limiters or speed cut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속도와 강우량 또는 강설량 및 주행도로의 제한속도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데이터에 의하여 제한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주행속도와 제한속도를 비교하여 제한속도표시등급과 과속경고등급을 결정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처리과정에 대한 알고리즘을 수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처리부에서 결정된 제한속도표시등급과 과속경고등급에 따라 제한속도를 표시하고 과속에 대한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한속도에 대한 과속정도를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운전자에게 주행에 대한 융통성을 최대한으로 부여하며, 날씨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도로의 제한속도를 운전자에게 명확하게 알려줌으로써, 악천후시 과속에 따른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Limiting Speed indication and warning device}
본 발명은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우량 또는 강설량 및 주행도로의 제한속도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현재상황에서의 제한속도를 산출하고 이를 주행속도와 비교하여 제한속도에 대한 과속정도를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알려주도록 한 것으로, 운전자에게 도로의 제한속도에 따른 주행에 대하여 융통성을 최대한으로 부여하며, 날씨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도로의 제한속도를 운전자에게 명확하게 알려줌으로써, 악천후시 과속에 따른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이하, 차량과 혼용함)라 함은 원동기를 사용하여 궤조 또는 가선에 의하지 않고 운전되는 운송기계로서, 그 구성으로는 엔진, 연료공급장치, 동력전달장치, 현가 및 조향장치, 제동장치, 배출장치, 공조장치, 냉각 및 윤활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장치들의 상태를 표시하는 것으로는 클러스터(Cluster)가 있으며, 상기 클러스터는 각종 주행정보(주행가능거리, 주행거리, 주행시간, 평균속도, 평균연비, 순간연비 등)와 상태정보(변속표시, 연료게이지, 냉각게이지, 알피엠게이지, 주행속도게이지 및 각종경고등)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특히, 차량의 주행 시 운전자가 확인하는 정보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현제의 주행속도를 나타내는 주행속도게이지가 있으며, 운전자는 주행속도게이지를 확인하며 주행하는 도로의 제한속도에 맞춰 차량의 주행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도로의 제한속도는 과속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해진 것이나, 각 도로마다 제한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기에 어려움이 많으며, 매번 제한속도를 확인고자 하면 주행에 대한 집중력이 저하되어 오히려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국내공개특허공보 제2004-0007135호 ‘차량의 과속 경고 장치’(이하, 인용발명이라 함)는, 기존의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에 각 도로 상의 주행제한속도를 입력시키고, 차량에 설치된 속도 센서에 의해 주행속도를 측정하며, 상기 주행속도와 제한속도를 비교하여 과속인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인용발명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완전한 구축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구축자체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도로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시로 업데이트 해야 하고, 이와 같은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오히려 부정확한 정보로 인한 교통사고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인용발명은 단순히 제한속도를 기준으로 과속여부만을 알려주기 때문에 운전자의 판단에 의해 행하여지는 주행의 융통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특히, 비나 눈이 내리는 양에 따라 변화되는 도로의 주행속도에 대해서는 그 제한속도를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악천후시에는 종래의 문제점을 그대로 수용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한속도에 대한 과속정도를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운전자에게 주행에 대한 융통성을 최대한으로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날씨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도로의 제한속도를 운전자에게 명확하게 알려줌으로써, 악천후시 과속에 따른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상의 편리성 및 안전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도록 한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는, 차량의 주행속도와 강우량 또는 강설량 및 주행도로의 제한속도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데이터에 의하여 제한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주행속도와 제한속도를 비교하여 제한속도표시등급과 과속경고등급을 결정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처리과정에 대한 알고리즘을 수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처리부에서 결정된 제한속도표시등급과 과속경고등급에 따라 제한속도를 표시하고 과속에 대한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운전자가 과속정도 및 날씨에 따른 도로의 제한속도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사용상의 편리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의 블록도로서, 입력부(10)로 입력된 차량의 주행속도와 강우량 또는 강설량 및 주행도로의 제한속도 등의 정보가 처리부(20)에서 처리되어 제한속도표시등급과 과속경고등급이 결정된 후 출력부(40)로 출력됨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처리부(2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처리과정에 대한 알고리즘을 수행하기위한 프로그램 및 처리되는 데이터는 저장부(30)에 저장된다.
여기서, 알고리즘(Algorithm)이란 어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해진 일련의 절차를 말하며, 어떠한 데이터를 입력하여 처리하고 그 결과를 어떠한 형식으로 출력하는가에 대한 알고리즘을 프로그램(Program)으로 기술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한속도표시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속도게이지(50)의 일측에 과속경고등급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상태표시등(41)이 설치되고, 제한속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제한표시등(42)이 속도게이지(50)에 형성된 숫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 설치됨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는, 도 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10)와 처리부(20), 저장부(30) 및 출력부(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입력부(10)는 주행에 따른 각종 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 차량의 주행속도를 감지하는 휠센서(11)와, 강우량 및 강설량을 감지하는 강우센서(12) 및 해당 도로의 제한속도를 수신받는 제한속도수신장치(1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한속도수신장치(13)는 도로에 설치된 제한속도송신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해당도로에 정해진 제한속도를 수신받는 것으로, 상기 제한속도 데이터는 무선주파수에 의하여 전송되어 진다.
상기 처리부(20)는 입력부(10)로 입력된 데이터에 의하여 제한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주행속도와 제한속도를 비교하여 제한속도표시등급과 과속경고등급을 결정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제한속도표시등급 및 과속경고등급의 결정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부(30)는 처리부(2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처리과정에 대한 알고리즘을 수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 상기 프로그램은 롬(ROM : Read Only Memory)에 저장되고, 상기 처리되는 데이터는 램(RAM : Random Access Memory)에 임시로 저장되며,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저장매체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출력부(40)는 처리부(20)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제한속도를 표시하고 과속에 대한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으로, 과속경고등급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상태표시등(41)과, 제한속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제한표시등(42)과, 과속경고등급에 따라 음성으로 경고메시지가 출력되는 음성출력장치(43) 및 과속경고등급에 따라 특정 음이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부저(Buzzer)(44)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상태표시등(41)은 속도게이지(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부(20)에서 결정된 과속경고등급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며, 상기 제한표시등(42)은 상기 속도게이지(50)에 형성된 숫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처리부(20)에서 결정된 제한속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되도록 한다.
또한, 음성출력장치(43) 및 부저(44)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며, 운전자가 경고메시지 및 경고음을 용이하게 들을 수 있으면, 그 설치위치는 특정한 곳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의 동작은 도 3a 및 도 3b에서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먼저, 운전자가 승차하여 엔진을 시동(S301)하게 되면, 처리부(20)는 차량이 주행상태로 전환됨을 인식하여 제한속도수신장치(13)로부터 제한속도를 수신(S302)하게 된다.
그리고 강우센서(12)로부터 현재의 강우량 또는 강설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S303)받게 되며, 강우량 또는 강설량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처리부(20)는 수신된 제한속도를 그대로 인식하여 해당 속도를 나타내는 숫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한표시등(42)을 점등(S307)한다.
만약, 강우량 또는 강설량이 감지(S303)될 경우, 처리부(20)는 감지된 강우량 또는 강설량에 따라 악천후에 대한 레벨을 결정(S304)하게 되는 바, 적은 양이 감지될 경우에는 레벨1로 판정(S304)하여 수신된 제한속도를 80%로 줄여서(S305) 해당 속도를 나타내는 숫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한표시등(42)을 점등(S307)하고, 많은 양이 감지될 경우에는 레벨2로 판정(S304)하여 수신된 제한속도를 50%로 줄여서(S306) 해당 속도를 나타내는 숫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 제한표시등(42)을 점등(S307)하게 된다.
이후, 처리부(20)는 휠센서(11)로부터 검출된 주행속도(S308)를 입력받아 상기 결정된 제한속도와 비교(S309)하며, 주행속도가 제한속도보다 작을 경우에는 경고동작을 하지 않는다(S310).
상기 주행속도가 제한속도보다 클 경우에는 그 초과 속도를 판별하게 되는 데, 상기 초과속도가 20Km/h보다 작을 경우에는 제1경고동작(S312)을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20Km/h에서 40Km/h사이일 경우에는 제2경고동작(S313)을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40Km/h보다 클 경우에는 제3경고동작(S314)을 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경고동작은 상태표시등(41)을 노란색으로 발광하도록 하고, 부저(44)를 통해 경고음을 한번 출력한다.
상기 제2경고동작은 상태표시등(41)을 주황색으로 발광하도록 하고, 부저(44)를 통해 경고음을 두 번 출력한다.
상기 제3경고동작은 상태표시등(41)을 빨간색으로 발광하도록 하고, 부저(44)를 통해 경고음을 연속적으로 출력하며, 음성출력장치(43)에 “제한속도보다 40Km/h를 초과했습니다.”라는 음성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1경고동작과 제2경고동작 및 제3경고동작은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도 3b의 TS는 주행속도(Traveling Speed)이며, LS는 제한속도(Limit Speed)이다.
상기 본 발명은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기본 개념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한속도에 대한 과속정도를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알려줌으로써, 운전자에게 주행에 대한 융통성을 최대한으로 부여하며, 날씨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도로의 제한속도를 운전자에게 명확하게 알려줌으로써, 악천후시 과속에 따른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상의 편리성 및 안정성이 개선되어 보다 상품성이 향상되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한속도표시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입력부 11 : 휠센서
12 : 강우센서 13 : 제한속도수신장치
20 : 처리부 30 : 저장부
40 : 출력부 41 : 상태표시등
42 : 제한표시등 43 : 음성출력장치
44 : 부저

Claims (3)

  1. 차량의 주행속도와 강우량 또는 강설량 및 주행도로의 제한속도를 입력받는 입력부(10)와,
    상기 입력부(10)로 입력된 데이터에 의하여 제한속도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주행속도와 제한속도를 비교하여 제한속도표시등급과 과속경고등급을 결정하는 처리부(20)와,
    상기 처리부(2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처리과정에 대한 알고리즘을 수행하기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30) 및
    상기 처리부(20)에서 결정된 제한속도표시등급과 과속경고등급에 따라 제한속도를 표시하고 과속에 대한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는 출력부(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40)는,
    속도게이지(5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처리부(20)에서 결정된 과속경고등급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는 상태표시등(41)과,
    상기 속도게이지(50)에 형성된 숫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처리부(20)에서 결정된 제한속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점등되는 제한표시등(4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40)는,
    상기 처리부(20)에서 결정된 과속경고등급에 따라 음성으로 경고메시지가 출력되는 음성출력장치(43)와,
    상기 처리부(20)에서 결정된 과속경고등급에 따라 특정 음이 연속적으로 출력되는 부저(4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
KR1020040031776A 2004-05-06 2004-05-06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 KR100578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776A KR100578573B1 (ko) 2004-05-06 2004-05-06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776A KR100578573B1 (ko) 2004-05-06 2004-05-06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751A true KR20050106751A (ko) 2005-11-11
KR100578573B1 KR100578573B1 (ko) 2006-05-12

Family

ID=37283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776A KR100578573B1 (ko) 2004-05-06 2004-05-06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85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2901A3 (en) 2018-04-11 2020-04-29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afety strategy in vehicle
US11597403B2 (en) 2018-04-11 2023-03-07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displaying driving state of vehicl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US10843710B2 (en) 2018-04-11 2020-11-24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of control authority transition in vehicle
US11173910B2 (en) 2018-04-11 2021-11-16 Hyundai Motor Company Lane change controller for vehicle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US11084490B2 (en) 2018-04-11 2021-08-10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e of vehicle
US10836394B2 (en) 2018-04-11 2020-11-17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lane change control
US11548509B2 (en) 2018-04-11 2023-01-10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ne change in vehicle
US11334067B2 (en) 2018-04-11 2022-05-17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afety strategy in vehicle
EP3552913B1 (en) 2018-04-11 2021-08-18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o enable autonomous system in vehicle
US11077854B2 (en) 2018-04-11 2021-08-03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controlling lane change of vehicle,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EP3552902A1 (en) 2018-04-11 2019-10-16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driving path to a vehicle
US11084491B2 (en) 2018-04-11 2021-08-10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afety strategy in vehicle
US11351989B2 (en) 2018-04-11 2022-06-07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driving controller,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EP3569460B1 (en) 2018-04-11 2024-03-20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riving in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8573B1 (ko) 200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3900B2 (ja) 車両における測定値の表示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6009374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ular systems while travelling
EP1624289B1 (en) Navigation system
JP4962449B2 (ja) 走行支援システム
KR20050106751A (ko) 제한속도표시 및 경고장치
JP5196004B2 (ja) 運転支援装置
CN104061937A (zh) 基于路面状况进行信息提示的车载装置
JP5359665B2 (ja) 運転支援装置
BRPI0722026A2 (pt) Método para comunicação de um desvio de um parâmetro de veículo
JP5317305B2 (ja) 省燃費運転システム
JP2009220762A (ja) 車両走行状況警告装置および車両走行状況警告装置用のプログラム
JP2007293494A (ja) 車両制御装置
JP2004050967A (ja) 安全運転支援装置
JP2008171314A (ja) 速度警報機能付カーナビ装置
US952885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a representation of a driving pattern of a vehicle
JP3617185B2 (ja) 車両の制御装置
US7174248B2 (en) Safe driving assisting apparatus, safe driving assisting server, and safe driving assisting system
JP4696831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2016094084A (ja) 車載装置
JP2002150482A (ja) 交通制御システム
JP5477928B2 (ja) 省燃費運転システム
JP4556762B2 (ja) 車両の運転状態表示装置
KR20140064515A (ko) 차량의 구동모드 전환장치 및 그의 방법
KR101063722B1 (ko) 도로판정을 이용한 경제운전 안내시스템
KR20030001014A (ko) 자동차의 추돌 경보장치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