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5472A - 차량용 창유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창유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5472A
KR20050105472A KR1020057015092A KR20057015092A KR20050105472A KR 20050105472 A KR20050105472 A KR 20050105472A KR 1020057015092 A KR1020057015092 A KR 1020057015092A KR 20057015092 A KR20057015092 A KR 20057015092A KR 20050105472 A KR20050105472 A KR 20050105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bris protection
protection element
adhesive
pane
debr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0482B1 (ko
Inventor
보엠 허벌트
에르벡 게릿
파에쯔 워너
테스크너 헬무트
빌스메이어 스웬
Original Assignee
베바스토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바스토 아게 filed Critical 베바스토 아게
Publication of KR20050105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1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only one glass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66Reinforcemen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gainst impact or in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7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8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ethylene 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1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60J10/18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provided with reinforcement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9/00Poly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유리를 구비하고, 파편 보호 요소(30, 30A, 30B)가 창유리 또는 창유리에 고정된 기능적 요소(60)에 고정되고, 창유리와 파편 보호 요소는 영구 탄성 연결 접착제(12)를 통하여 차량 본체 또는 차량 본체에 연결된 지지 요소(18)에 연결된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그에 상응하는 제조 방법에 관련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창유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Window arrangement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창유리와 그 창유리에 연결된 파편 보호 요소를 구비하는 차량용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및 그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 43 231 40 A1를 통해, 차량 지붕의 이동 가능한 지붕 패널을 위한 창유리 장치가 공지된 바, 창유리의 하측에는 비결정(amorphous)의 실리콘 층이 마련되고 창유리의 중앙 영역에는 투명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terephtalate) [PET] 포일(foil)이 점착성 포일을 통하여 부착된다. PET 포일의 주변은 패널 가장자리의 폴리우레탄 발포(foamed) 프레임 속으로 연장되고, 또한 프레임은 내부의 시트 메탈 프레임을 창유리의 하측에 고정시키는 데 이용된다.
독일 특허 출원 DE 101 51 156.6은 발포 프레임이 갖추어진 안전 유리로 제조된 창유리에 의해 예를 들어, 내부 시트 메탈 프레임과 같은 지지 장치가 창유리의 하측에 고정된 차량 지붕용 유리 패널을 개시한다. 창유리의 중앙 영역에는 파편 보호 포일이 점착 포일을 통하여 창유리의 하측 또는 창유리의 하측에 고정된 태양 전지 포일 복합재의 하측에 고정되고, 파편 보호 포일은 창유리의 주변 부분의 발포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거나 지지 장치에 고정된다. 전자의 경우에, 발포 프레임 내부에 양호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파편 보호 포일의 주변에는 구멍들이 제공된다.
독일 특허 출원 DE 102 06 717.1은 파편 보호 포일이 비-평탄 표면 구성을 구획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거나 시각적으로 만족스러운 외관을 달성하도록 채색될 수도 있는 정보가 더 주어진 유사한 유리 패널을 개시한다.
DE 35 21 115 A1은 PVB 또는 PU의 탄성 중간 매개 층을 통해 창유리에 고정된 파편 보호 층을 가지거나 폴리에스테르(polyester)로 제조된 파편 보호 창유리를 가진 창유리를 구비하는 차량의 유리창용 창유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창유리와 그곳에 고정된 층들은 사출성형된 PU 가스켓 프레임 내부에 삽입되고 차량 본체에 연결된다.
DE 2 247 644는 창유리와 창유리의 하측에 고정된 연성 플라스틱 층을 구비하고, 플라스틱 층의 주변은, 접착 밴드를 통해, 프레임 내부에 창유리 장치를 지지하기 위해 차량 본체에 부착된 프레임에 설치된 차량용 앞창 유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에, 접착 밴드와 창유리 사이에는 직접 접촉이 없다.
강화 섬유 재질로 제조된 테이프(tape)를 통하여, 2개의 창유리 사이에 배열된 플라스틱 층의 주변을 그 주변 부근으로 확장하는 프레임에 연결하는 것은 미국 특허 US 2,750,312를 통해 알려져 있다.
DE 36 32 472는 창유리와 스크래치 방지 코팅을 가진 폴리에스테르 포일로 제조된 파편 보호 포일을 구비하고, 상기 파편 보호 포일은 PVB 점착성 포일을 통하여 창유리의 하측에 고정되고, 상기 창유리 및 2개의 포일들 모두는 창유리를 차량 본체의 개구 내부에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사출성형된 PU 가스켓 프레임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포일들과 가스켓 프레임 사이의 양호한 연결을 달성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선택 요소들 설명되었다. 여러 가지들 중에서, 포일들을 관통하는 구멍들이 제공되어 그 영역들에서 2개의 포일들이 창유리의 가장자리를 벗어나 가스켓 프레임 속으로 확장하고, 나아가 그러한 각각의 구멍들 속으로 속이 빈 리벳을 삽입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또한, PVB 포일 위의 포일들의 돌출 부분 위에 상부 요소(upper element)를 밀착시키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대안적으로, 두껍게 된 부분을 만들기 위해 돌출된 주변 부위에서 포일들을 구부리거나, 삽입 요소 또는 U-형 프로파일을 가스켓 프레임 내부의 포일들의 구부러진 돌출 주변 부위 속으로 삽입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의 예들은 다음과 같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창유리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주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3은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4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5는 주변 부분 외부의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 장치의 일예의 층 구성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개량된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7은 2개의 분리된 파편 보호 요소들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 장치의 개략적 입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에 따른 도 7의 창유리 장치의 좌측 주변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 장치의 개량된 실시예의 일 부분의 개략적 입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창유리 장치의 하측이 상부에 도시된 연결 요소를 구비하는 창유리 장치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단면 및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개량된 실시예의 부분 절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A" 로 표시된 영역의 전방 가장자리의 확대도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모든 실시예들은 파편 보호 요소의 모든 영역에 걸친 창유리에서의 파편 보호 요소의 연결부재에 관련되고, 창유리 장치의 하면이 위쪽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도 14a 내지 도 14c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파편 보호 요소의 주변이 연결 접착제 속으로 돌출된 개량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창유리 장치의 개량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로서, 연결 접착제의 일부가 절개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개량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8은 도 8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개량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19는 도 8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다른 개량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10... 창유리 장치
12... 연결 접착제
14... 창유리
16... 발포 프레임
18... 지지 요소
20... 시일링 요소용 리세스
22,22A,22B... 26,26A,26B의 주변
24... 유리 프릿
25... 26A와 26B의 갭
26,26A,26B... 파편 보호 포일 복합재
28,28A,28B... 접착제 포일
30,30A,30B... 파편 보호 포일
32... 26에 있는 구멍들
34... 22에 있는 구멍들
60... 태양 전지 포일 복합재
62... 태양 전지
64,66... 용융 접착제 포일
70... 연결 요소
72... 용융 접착제 포일로 제조된 스트립
74... 채움재
76,78... 상승된 플라스틱 프로파일
80... 78의 돌기들
82... 용융 접착제 포일로 제조된 스트립
84... 울퉁불퉁한 구성
86... 30에서의 개구
88... 관통 요소
90... 플라스틱 콘
92... 돌출 구성
94... 작은 구멍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파편 보호 요소를 가진 창유리를 구비하고, 창유리가 파손될 경우 승객들과 승객실의 양호하고 저렴한 보호가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그러한 장치를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는 상응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청구항 제1,2,3,4,36,40항에 따른 장치와 그에 상응하는 각각의 청구항 제54,55,56,57,58,60항에 따른 제조 방법들에 의해 달성된다.
창유리가 파손되면, 부서진 창유리의 파편들은 파편 보호 요소에 부착되고, 파편 보호 요소는 각각의 지지 요소 또는 차량 본체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파편 보호 요소는 각각의 지지 요소 또는 차량 본체에 의해 위치가 유지될 수 있는 점에서 모든 해결 과제들은 유익하다. 그 결과, 승객들이 부서진 창유리를 통해 밖으로 내동댕이쳐지는 것을 방지하거나, 물건들 및 파편들이 부서진 창유리를 통해 승객실 속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강도로 인해 창유리가 파괴되는 경우 승객실이 닫힌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1항에 따른 해결 과제는 본 발명이 차량의 옆면 유리의 자동차 앞창 유리에 사용될 수도 있도록 창유리의 무발포(non-foamed) 프레임이 필요한 점에특징이 있다.
청구항 제2항에 따른 해결 과제는, 파편 보호 요소가 각각의 창유리 또는 기능(functional) 요소에 부착되기 때문에, 전체 평면에 걸쳐 특히 간단한 제조가 가능하며, 동시에 파편 보호 요소의 특별한 설계로 인해,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편 보호 요소와 각각 지지 요소 또는 차량 본체 사이의 충분한 결합이 보장되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청구항 제3항에 따른 해결 과제는, 파편 보호 요소의 표면의 상응하는 처리를 통해, 파편 보호 요소의 복잡한 천공 없이도, 파편 보호 요소와 지지 요소 사이의 충분한 결합을 이룩할 수 있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청구항 제4항에 따른 해결 과제는, 파편 보호 요소와 각각 지지 요소 또는 차량 본체 사이의 양호한 결합을 얻기 위해 파편 보호 요소의 표면 설계를 위한 다른 대안들이 제공되는 점에서 특히 유익하다.
청구항 제36항에 따른 해결 과제는, 복수의 파편 보호 요소들을 이용함으로써 다른 응용 분야 또는 다른 창유리를 위한 파편 보호 장치의 특별히 유연한 개조가 가능한 점에서 특히 유익하다.
청구항 제40항에 따른 해결 과제는, 파편 보호 요소와 발포 프레임 또는 연결 접착제 사이의 쉬트-형 연결 요소를 이용함으로써 연결 접착제 또는 발포 프레임에 의해 파편 보호 요소를 지지 요소 또는 차량 본체에 직접 연결할 필요성이 배제될 수 있으므로, 설계 자율성의 증대가 이루어지는 점이 특히 유익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들에 주어진다.
도 1에는 창유리 장치(10)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는 바, 예를 들어 앞창 유리, 자동차용 옆창 유리 또는 지붕 유리, 혹은 선박, 보트, 트랙터, 건설 차량용 유리 등일 수 있다. 창유리 장치(10)는 바람직하게 고온 열처리된(thermally pre-stressed) 안전 유리로 제조된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한 창유리(14)를 구비한다. 승객실에 면하는 측에서 창유리(14)의 주변 부분에는 차량 본체에 순차적으로 연결된 지지 요소(18)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 요소(18)는 차량 본체에 고정적으로 또는 이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전체 창유리 장치(10)는 창유리 장치(10)에 의해 덮여진 차량 본체의 개구를 선택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하여 이동 가능하게 된다. 유사하게 창유리(14)의 주변 부분은 승객실에 면하는 측에서 연결 접착제(12)를 통하여 지지 요소(18)와 고정되게 연결되므로 지지 요소(18)를 통하여 차량 본체에 연결된다. 승객실에 면하는 창유리(14)의 측면에는 비투명 블라인드로서 기능하고 외부로부터 연결 접착제(12) 및 지지 요소(18)를 보호하기 위한 접착 표면으로서 기능할 수도 있는 유리 프릿(frit)(24)이 제공될 수도 있다.
보호 포일 복합재(26)는 승객실에 면하는 창유리(14)의 측면의 중앙의 투명한 부분 위에 적층(laminate)되거나 접착됨과 동시에, 이 부분은 유리 프릿(24)의 영역으로 연장된다. 창유리(14)에 면하는 보호 포일 복합재(26)의 측면에는, 창유리(14)에 보호 포일(30)을 접착시키는 기능을 담당하고, 찢어짐에 강하고 긁힘을 방지하는 접착 포일 또는 접착 층(28)이 제공된다. 그러한 층 조성은 도 5에 일 예로 도시되어 있다. 모든 실시예들에 있어서, 예를 들어, 접착 포일(28)은 폴리비닐 부티랄(butyral) 필름(PVB-film), 열가소성 폴리유레탄(PTU)으로 제조된 투명 포일 또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혼성 중합체(EVA)로 제조된 포일일 수 있는 반면, 모든 실시예들에 있어서 보호 포일(30)은 예를 들어, 폴리실로산(polysiloxanes) 또는 아크릴레이트 래커(lacquer)로 코팅된 광학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포일(PET-foil)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포일(PC-foil)과 같이 스크래치가 없는 코팅 플라스틱 포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포일 복합재(26)의 주변 부분(22)은 연결 접착제(12) 속으로 확장되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고 연결 접착제 내부에 함침된다. 즉, 이 영역에서 보호 포일 복합재(26)는 창유리(14)와 접촉하지 않는다. 상기 주변 부분(22)과 보호 포일 복합재의 중앙 영역의 부분은 지지 요소(18)와 창유리(14) 사이에 위치된다. 창유리(14)에 접촉하지 않는 보호 포일 복합재의 주변 부분(22)에서 접착 포일 또는 접착 층(28)이 생략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연결 접착제(12)는 지지 요소(18)를 창유리(14)에 연결시키는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보호 포일 복합재(26)를 지지 요소(18)에 고정되게 연결하는 기능도 담당한다. 그러므로, 창유리(14)가 파괴되더라도 보호 포일 복합재(26)가 차량 본체에 순차적으로 연결된 지지 요소(18)를 통하여 그 주변 지역으로 확장되어 있기 때문에, 창유리(14)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창유리 장치의 어느 정도의 기계적 보전이 유지된다. 이 경우에도, 보호 포일 복합재(26)가 그 휨 강도(flexural strength)를 잃게 되더라도, 지지 요소(18)에 대하여 제 자리에 놓여진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승객들이 깨어진 창유리를 통해 밖으로 내동댕이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창유리 파편들 또는 외부로부터의 이물질들이 승객실 속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행(vandalsim)에 의해 창유리(14)가 파괴되는 경우에, 보호 포일 복합재(26)는 강도(burglary)로부터 어느 정도의 보호를 제공한다. 깨어진 창유리(14)의 파면들은 접착제 층(28) 때문에 보호 복합재(26) 즉, 보호 포일(30)에 부착한다. 그래서, 보호 포일(30)은 파편 보호 포일로서 작용한다.
도 6은, 도 5의 대안으로서, 보호 포일 복합재(28)가 창유리(14)에 직접 부착되기 보다는 창유리(14)와 접착제 포일 또는 보호 포일 복합재(26)의 층(18) 사이에 제공된 태양 전지 포일 복합재(60)인 창유리 장치(10)의 층 구성을 도시한다. 상기 태양 전지 포일 복합재(6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EVA로 제조된 2개의 용융 접착제 포일들(64)(66) 사이에 삽입된 복수의 태양 전지(62)를 구비한다. 용융 접착제 포일(64)은 태양 전지 포일 복합재(60)를 창유리(24)에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한편, 용융 접착제 포일(66)은 보호 포일 복합재(26)를 태양 전지 포일 복합재(60)에 연결함으로써 창유리(14)에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선택적으로, 용융 접착제 포일(66)은 배제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접착제 포일(28)은 파편 보호 포일(30)을 각각 태양 전지(63) 및 용융 접착제 포일(64)에 직접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바람직하게, 태양 전지 포일 복합재(60)는 보호 포일 복합재(26)의 주변 부분(22) 속으로 확장하지 않는다.
도 1의 창유리 장치의 개량된 실시예가 도시된 도 2에 있어서, 도 1과 대비하여, 보호 포일 복합재(26)의 중앙 영역뿐만 아니라 주변 부분(22)도 창유리에 접착된다. 즉, 이 경우에, 창유리와 보호 포일 복합재(26) 사이의 연결 접착제는 보호 포일 복합재(26)의 전체 표면에 걸쳐 연장한다. 본 실시예에 사용된 바와 같이, 파편 보호 포일(30)이 창유리(14)에서 전체 표면에 걸쳐 고정된 것은 각각의 파편 보호 포일(30)과 포일 복합재(26)는 전체 표면에 걸쳐 창유리에 부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지 요소(18)와 창유리(14)의 접착 결합을 이루기 위해서, 보호 포일 복합재(26)의 주변 부분(22)에는 창유리(14)와 지지 요소(18) 사이의 고정된 연결을 확보하기 위하여 그곳을 통해 연결 접착제(12)가 창유리까지 확장하는 구멍들(32)이 제공된다. 보호 포일 복합재(26)와 지지 요소(18) 사이의 접착 결합이 구멍들(32)을 통하여 이룩될 수 있도록 보호 포일 복합재(26)는 창유리(14)와 지지 요소(18) 사이에 위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창유리 장치(10)는 보호 포일 복합재(26)를 그 전체 표면에 걸쳐 창유리(14)에 붙임으로써 간단히 제조될 수 있는 반면, 직접적인 연결 접착제(12)가 창유리(14)와 지지 요소(18) 사이에 제공된다.
보호 포일 복합재(26)의 중앙 영역은,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유리(14)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고, 아니면 각각 도 5 및 도 6에 보는 바와 같이, 중간체의 태양 전지 포일 복합재(60)를 통하여 창유리(14)에 고정될 수도 있다.
두 실시예에 있어서, 예를 들어, 지지 요소(16)는 강화 프레임 또는 지지 프레임일 수 있으며, 또는 창유리 장치(10)가 차량 지붕의 창유리이면, 그것은 소위 내부 패널 프레임일 수도 있다.
두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접착제(12)는 접착되어질 요소들 중 어느 하나에 접착 밴드를 바르고 나서 두개의 요소들을 합치거나 가압함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조적으로, 연결 접착제(12)는, 예를 들어 영구 탄성체이며, 바람직하게 30 내지 70의 쇼어(shore) A 경도(독일 산업 표준 DIN 53505), 1 내지 10 N/mm2의 인장강도(독일 산업 표준 DIN 53504), 300-600%의 신장강도(독일 산업 표준 DIN 53504)를 가진 발포 프레임이다. 접착 물질은 예를 들어, 실리콘 재료 또는 PU-기반 재료일 수도 있다.
도 3은 발포 프레임을 가진 차량 지붕용 유리 패널인 창유리 장치(11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에서 패널의 하측은 상부에 도시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들에 대한 도 3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차이점은, 연결 접착제(12)가 그 외측 가장자리와 창유리의 주변의 하측에서 창유리(14)를 감싸는 발포 프레임(16)에 의해 대체된다는 사실이며, 그 발포 프레임은 연결 접착제(12)와 유사하게 한편으로는 내부 패널 프레임(18)을 창유리(14)에 연결하는 기능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보호 포일 복합재(26)를 내부 패널 프레임(18)에 고정되게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발포 프레임(16)은 그 속으로 발포 프레임(16)을 둘러쌈으로써 지붕 패널(110)이 닫혀진 후, 승객실 속으로 습기가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씨일링(미도시)이 삽입되는 저장부(20)를 구비한다. 발포 프레임(16)의 재료는 예를 들어, 폴리유레탄 발포제(foam)일 수 있다. 발포 성형 공정은 적절한 툴(tool) 속에 내부 패널 프레임 및 창유리(14)를 보호 포일 복합재(26)와 함께 놓은 후 수행된다. 연결 접착제와 대조적으로 발포 프레임은 단단하고 따라서 영구 탄성체가 아니다.
도 2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보호 포일 복합재(26)는 창유리(14)의 전체 표면에 걸쳐 즉, 그 주변 부분(22)에서도 접착된다. 보호 포일 복합재(26)와 발포 프레임(16) 나아가 내부 패널 프레임(18)간의 특히 양호한 결합을 이룩하기 위해, 보호 포일 복합재(26)의 주변 부분(22)에는 발포 성형 공정 중에 재료들이 그 속으로 관통하는 구멍들이 제공된다.
내부 패널 쉬트 메탈(18)은 창유리(14)를 조정 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차량 본체에 연결하기 위하여 창유리(14)용 지지 장치 또는 지지 요소로서 작용한다.
보호 포일 복합재(26)의 중앙 영역의 층 구성은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그것과 유사 즉, 태양 전지 포일 복합재(60)를 가질 수도 있고 가지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유리 프릿(도 3에서 미도시)은 발포 프레임(16) 및 외부로부터의 내부 패널 프레임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의 개량을 도시하는 바, 보호 포일 복합재(26)와 내부 패널 프레임(18) 사이의 향상된 결합은 구멍들(34)을 통해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보호 포일 복합재(26)의 주변 부분(22)의 표면(36)의 특별한 처리를 통해 이룩된다. 예를 들어, 표면 영역(36)의 표면은 기계적으로 울퉁불하게 될 수도 있으며 혹은 보호 포일 복합재(26)와 발포 프레임(16) 사이에 적절한 결합 가교(bridge)를 만들기 위하여 프라이머 시스템(primer system)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보호 포일 복합재(26)와 발포 프레임(16) 사이의 개선된 결합 및 연결 접착제(12)를 위한 전술한 조치들은 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결합 가교의 다른 설계를 제외하고, 유리 프릿 및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의 층 구성의 변형들이 본 실시예에도 적용된다.
일반적으로, 보호 포일 복합재(26)와 연결 접착제(12) 사이의 양호한 결합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 1의 실시예를 위하여 보호 포일 복합재(26)에 구멍들 또는 도 4에 따른 표면 처리를 제공하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예를 위하여 주변 부분(22)은,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창유리(14)가 없고 발포 프레임(16)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도록, 주변 부분(22)이 보호 포일 복합재(26)와 창유리(14) 사이의 연결 접착제가 주변 부분(22) 속으로 확장하지 않는 변형예를 상정할 수 있다.
파편 보호 포일(30)과 창유리(14)(또는 태양 전지 포일 복합제(60)) 사이의 연결 접착제는, 접착제 포일(28)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접착 재료를 전체 표면에 걸쳐 창유리에 바른 다음 파편 보호 포일(30)을 창유리에 붙이고 압착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7 및 도 8은 지금까지 논의된 실시예들과 대조적으로, 하나가 아닌 2개의 보호 포일 복합재(26A)(26B)가 제공되며, 각각의 보호 포일 복합재는 갭(25)에 의해 분리되고 각각 접착제 포일(28A)(28B)과 파편 보호 포일(30A)(30B)을 구비한다. 2개의 포일 복합재(26A)(26B)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되고, 포일 복합제(26A)는 링 형태로 캡(25)만큼 떨어져 포일 복합재(26A)를 감싸고 있는 반면, 포일 복합재(26B)는 창유리의 중심에 대하여 내측으로 위치된다. 2개의 포일 복합재(26A)(26B)에는 공통의 연결 접착제(12) 내부에서 향상된 결합과 그것에 의해 지지 요소(18)가 창유리의 하측에도 부착되는 것을 위하여 갭(25)에 면하는 그들의 주변 부분에 구멍들(34)이 제공된다. 도 8에 따르면, 갭(25)에 각각 면하는 주변 부분(22A)(22B)은 창유리(14)의 하측에 대하여 자유롭다. 즉, 그들은 연결 접착제(12) 속으로 자유롭게 돌출한다. 도 7에서 포일 복합재(26A)(26B)의 공통의 연결 접착제(12)는 대시(dash) 라인에 의해 표시된다.
대안으로서, 상응하는 발포 프레임은 연결 접착제(12)을 이용하기 보다는 지지 요소(18)을 고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각각 도 8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두 가지 경우에, 파편 보호 포일(30A)(30B)은 공통의 연결 접착제(12)의 지역에서 겹치거나 부분적으로 서로 수직으로 이동된다. 즉, 이 경우에는,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수평으로 확장하는 갭(25)은 없고 다만 수직 방향으로의 분리가 일어난다.
도 18의 실시예에 있어서, 좌측의 파편 보호 포일(30A)은 연결 접착제(12) 속으로 연장하고 창유리(14)가 없고 옆으로 돌출하는 주변 부분(22A)을 가지며 마찬가지로 구멍들이 개량된 지지력을 위해 제공되는 반면, 우측의 파편 보호 포일(30B)은 그 전체 표면에 걸쳐 용융 접착제 포일을 통하여 창유리(14)에 고정되며, 포일들(28)(30)의 영역에서 연결 접착제(12) 속으로 연장하는 구멍들(34)이 창유리(14) 쪽으로 접착제 물질이 관통하도록 제공된다.
도 19의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파편 보호 포일들(30A)(30B)을 위하여 연결 접착제(12) 속으로 연장하는 주변 지역(22A)(22B)은 창유리(14)가 없고 옆으로 돌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2개의 주변 지역들(22A)(22B)에는 연결 접착제(12) 내부의 향상된 지지력을 위하여 구멍들이 제공된다.
2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창유리(14)가 없는 파편 보호 포일(30A)(30B)의 주변 지역들은 용융 접착제 포일들(28A)(28B)이 제공되지 않는다.
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창유리 장치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된다. 지지 요소(18)의 연결 접착제에 대한 보호 포일 복합재(26)의 결합은 직접적인 것이 아니라, 쉬트-형태의 연결 요소(7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되지 않은 지지 요소에 연결된, 보호 포일 복합재(26)와 연결 접착제(12) 사이의 결합은 보호 포일 복합재(26)와 연결 접착제(12) 사이의 직접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결합 가교로서 기능하는 연결 요소(70)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요소(70)는 스트립(strip)으로서 형성되고, 창유리(14)의 중앙에 면하는 절반(half)은 창유리(14)의 주변 부분에서 파편 보호 포일(30)의 정상에 제공된 용융 접착제 포일(28)과 창유리(14)의 하측에 놓인 용융 접착제 포일의 추가적 스트립(72) 사이에 끼워진다. 그러나, 창유리의 가장자리에 면하는 연결 요소(70)의 절반은 연결 접착제(12) 속으로 돌출한다. 연결 접착제(12)는 발포 프레임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연결 요소(70)는 쉬트-형태의 디자인을 가지며, 예를 들어, 접착제 재료의 점성 또는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의 발포 재료에 따라 선택되고, 접착 재료 또는 발포 재료가 직물의 세공(pore)을 관통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메쉬 사이즈를 가진 플라스틱 또는 메탈로 만들어진 직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요소(70)는 포일 복합재(26)의 전체 주변 부분을 통하여 제공될 수도 있고 일 부분에만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1에는 도 9 및 도 10의 실시예의 변형예가 도시된다. 여기서, 지지 요소(18)는 구부러지게 설계되고 연결 요소 또는 연결 직물(70)과 함께 접착제 밴드(12) 속으로 삽입됨으로써 창유리(14)의 하측에 연결된다. 지지 요소(18)는 창유리(14)를 차량 본체에 결합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12 및 도 13은 도 4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파편 보호 포일(30)의 주변 부분(22)의 표면에는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과의 점착력 향상을 위해 프라이머 시스템(36)이 제공된다. 도 4의 실시예와 관련한 근본적인 변형은 파편 보호 포일(30)의 주변 부분(22)과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 사이의 연결을 보다 개선하기 위하여 채움재(filling particle)(74)와 함께 파편 보호 포일(30)로부터 떨어져서 그것에 면하는 프라이머 시스템의 표면의 보강(enrichment)에 있다. 채움재(74)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평균 입자 크기가 0.1 - 1.0mm인 모래 수정(quartz sand) 또는 플라스틱 조각(플라스틱 칩)일 수 있다.
또한, 도 12의 실시예에 있어서 프라이머 시스템(36)을 구비하는 파편 보호 포일(30)의 주변 지역(22)에는 그것을 통해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이 창유리(14)의 하측과 직접 접촉될 수 있는 리세스(32)가 제공된다. 유사한 리세스는 도 2의 실시예에서도 도시되었다. 일반적으로,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리세스(32)는 파편 보호 포일(30)의 부분을 감쌀 수 있으므로, 2개의 파편 보호 포일들은 단일의 연결 접착제 또는 발포 프레임을 통하여 지지 요소(18)에 고정될 수 있고, 도 12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요소(18)는 T-형 단면의 윤곽을 구비하며 지지 요소(18)의 수평 부분은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 내부에서 양호한 지지력을 얻기 위하여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 내부에 삽입된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파편 보호 포일(30)이 점착에 의해 전체 표면에 걸쳐 고정된 경우에 창유리(14)로부터 떨어져 면하는 파편 보호 포일(30)의 주변 부분(22)의 표면의 개량에 의해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 내부의 연결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변형예들을 도시한다.
도 14a의 실시예에서 포일이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으로부터 찢어지는 것을 가능한 한 방지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프로파일(76)은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라스틱 프로파일(76)은 창유리(14)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파편 보호 포일(30)의 주변 부분(22)의 표면에 용접된다. 플라스틱 프로파일(76)은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의 아래쪽으로 연장한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유사하게 플라스틱 프로파일(76)은 파편 보호 포일(30)에 용접되고 비슷한 형상을 가진 복수의 분리된 요소들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도 14a의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프로파일(76)은 파편 보호 포일(30)의 표면에 용접되기 보다는 접착될 수도 있다.
도 14b는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플라스틱 프로파일(78)은 파편 보호 포일의 주변 지역(22)에 제공되고, 프로파일은 파편 보호 포일(30)과 용융 접착제 포일(28) 또는 상응하는 접착제 층 사이에 삽입되어 있으며, 프로파일(78)은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 내부에서 파편 보호 포일(30)의 향상된 결합을 이룩하기 위하여 포일(30)의 상응하는 관통공들을 통해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으로 확장하는 복수의 돌기들(80)을 구비한다. 이 경우에도 유사하게 하나의 단편 프로파일 대신에 복수의 분리된 요소들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의 실시예들은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에 대한 파편 보호 포일(30)의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파편 보호 포일(30)의 주변 지역에 각각 돌출 구성들(76)(80)이 제공된 점에서 공통적 특징을 가진다.
도 14c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융 접착제 포일의 스트립(82)을 통해 창유리(14)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파편 보호 포일(30)의 표면에서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진 쉬트-모양의 구성(84)을 접착함으로써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에 대한 파편 보호 포일(30)의 결합의 향상이 달성되고, 상기 구성(84)은 예를 들어, 직물의 스트립에 접착된 조각들(particle)을 가진 직물의 스트립일 수도 있으며, 울퉁불퉁한 구성(84)은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 내부에 삽입된다. 용융 접착제 포일 스트립(82)을 용융 접착제 포일(28)에-따라서 창유리(14)의 하측에-부가적으로 직접 결합시키기 위하여, 파편 보호 포일(30)에는 그곳을 통해 용융 접착제 포일 스트립(82)과 용융 접착제 포일(28) 사이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개구(86)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파편 보호 포일(30)의 주변 부분(22)은 창유리(14)가 없고 연결 접착제(12) 속으로 확장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연결 접착제(12) 내부에서 파편 보호 포일(30)의 향상된 접착을 위한 다양한 선택 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a의 실시예에 따르면, 파편 보호 포일(30)의 주변 부분(22)에는 구멍들(34)이 제공되고, 요소들(88)은 그곳을 통하여 관통되어 파편 보호 포일(30)의 양측에서 각각의 표면 위쪽으로 돌출되어 연결 접착제(12) 속으로 확장한다. 그러므로, 연결 접착제(12)에서 파편 보호 포일(30)의 고정은 엄청나게 개선될 수 있다. 연결 접착제(12) 속으로 확장하는 파편 보호 포일(30)의 자유로운 주변 부분(22)에는 용융 접착제 포일(28)이 제공되지 않는다.
도 15b의 실시예는 파편 보호 포일(30)의 주변 부분(22)의 표면의 대안 변형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파편 보호 포일(30)의 주변 부분(22)의 양 표면에는 연결 접착제(12)에 면하는 측에서 예를 들어, 모래 수정 또는 플라스틱 조각들과 같은 채움재를 구비하는 프라이머 시스템(36)이 제공된다. 도 15b의 실시예에서도 파편 보호 포일(30)의 주변 부분(22)에는 용융 접착제 포일(28)이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 15c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융 접착제 포일(28)은 파편 보호 포일(30)의 주변 부분(22) 속으로 확장하고, 울퉁불퉁한 구성(84)을 연결 접착제(12)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연결 접착제(12) 속에서 파편 보호 포일(30)의 결합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진 쉬트-모양의 구성(84)을 창유리(14)에 면하는 파편 보호 포일(30)의 측면에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다.
도 16은 도 15a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구멍들(34)을 통해 관통하는 요소들(88)은 창유리(14)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파편 보호 포일(30)의 주변 부분(22)의 표면에 용접되고 연결 접착제(12)와 맞물려 있으므로, 연결 접착제(12) 속에서 파편 보호 포일(30)의 결합을 향상시키는 플라스틱 콘(cone)(90)에 의해 대체된다.
도 17은 도 15a 내지 도 15c 및 도 16의 실시예들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파편 보호 포일(30)의 주변 부분(22)에는 연결 접착제(12) 전방으로 번갈아 위치되는 구멍들(34)이 마련된다. 실(thread) 또는 줄(cord)인 것이 바람직한 가늘고 긴 구성(92)은 구멍들(34)을 통해 교호적으로 통과함으로써, 구성(92)은 파편 보호 포일(30)의 양 측면에서 작은 구멍들(94)을 형성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가늘고 긴 구성(92)은 플라스틱 물질에 의해 제작된다. 복수의 그러한 구성들(92)은 나란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성(92)은 연결 접착제(12) 속으로 확장함으로써 연결 접착제(12) 내부에서의 파편 보호 포일(30)의 결합이 향상되도록 연결 접착제(12)와 맞물리게 된다.
일반적으로, 모든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파편 보호 요소는 파편 보호 포일에 의해 형성되기 보다는 파편 보호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2개의 변형예들은 파편 보호 요소의 굴곡 탄성(bending elasticity)-따라서, 두께와 관련하여 주어진 재료-에 관하여 근본적으로 구별된다.
나아가, 연결 접착제 또는 발포 프레임은 대체적으로 파편 보호 요소를 차량 본체에 연결된 지지 요소에 연결하기 보다는 파편 보호 요소를 차량 본체에 직접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다. 모든 실시예에서 도시된 연결 접착제 또는 발포 프레임은, 이것이 모든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차량 본체 또는 차량 본체에 연결된 지지 요소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모든 실시예들에서 도시된 연결 접착제 또는 발포 프레임은 동시에 파편 보호 요소를 지지 요소(또는 차량 본체)에 연결함은 물론 창유리를 지지 요소(또는 차량 본체)에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연결 접착제 또는 발포 프레임은 파편 보호 요소를 지지 요소 또는 차량 본체에만 배타적으로 연결하도록 기능하는 실시예들이 일반적으로 상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창유리는 지지 요소 또는 차량 본체 중 어느 하나에 분리되게 연결되거나 파편 보호 요소의 연결을 통하여 지지 요소 또는 차량 본체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
대부분의 실시예들에서는 단일의 파편 보호 요소만 도시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쉬트-모양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복수의 파편 보호 요소들이 창유리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편 보호 요소는 연결 접착제 또는 발포 프레임에 의해 파편 요소의 주변 부분 및 창유리(대부분의 경우 이것은 가장 적절한 해결책일 것이다)에서 지지 요소 또는 차량 본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파편 보호 요소는 창유리의 보다 큰 중앙 부분 및/또는 파편 보호 요소에서 지지 요소 또는 발포 프레임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발포 프레임"이란 용어는 발포 물질이 표면에 붙여지며, 발포 물질이 이 표면의 주변 가장자리를 반드시 감쌀 필요는 없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발포 프레임" 또는 "발포 프레임에 의해 감싸진"과 같은 용어도 당업자가 각각 "부가된 발포 구조" 또는 "발포 구조를 부가하는"으로 지정할 수도 있는 경우들도 포함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파편 보호 요소는 파편 보호 요소의 모든 주변 부분에 걸치거나 또는 주변 부분의 구획 내에서만 연결 접착제 또는 발포 프레임에 결합될 수도 있다.
승객실에 대하여 파편 보호 요소의 시각상의 양호한 외관을 얻기 위해 파편 보호 요소에는 예를 들어, 윤곽이 명확한 매끄럽지 않은 표면 구조가 제공될 수도 있으며, 그러한 "오톨도톨한" 구조는 예를 들어, 성형 장치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그러한 오톨도톨한 표면 구조들은 예를 들어, 대시보드(dashboards)의 표면을 위해서도 사용되며 규칙적인 톱니꼴 패턴에 의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파편 보호 요소에는 인쇄된 규칙적인 패턴이 제공되거나 전체 두께에 걸쳐 채색될 수도 있다. 프린트 방식은 예를 들어, 태양 전지 컨넥터와 같은 태양 전지 포일 복합재의 특정 부분이 덮여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특정한 상황하에서는 파편 보호 요소를 창유리의 외측 또는 창유리의 외측 및 내측 모두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파편 보호 요소는 바람직하게 승객실에 면하는 창유리의 측면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 창유리와 파편 보호 요소 모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투명하다. 그러나, 창유리 및/또는 파편 보호 요소가 비투명한 응용예들도 상정할 수 있다. 특히, 태양 전지 포일 복합재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창유리는 투명한 반면 파편 보호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비투명한 것이 적절할 것이다.

Claims (62)

  1. 창유리(14)를 구비하고,
    파편 보호 요소(30, 30A, 30B)가 상기 창유리에 고정되거나 상기 창유리에서 기능적 요소(60)에 고정되고,
    상기 창유리와 상기 파편 보호 요소는 영구 탄성 연결 접착제(12)를 통하여 차량 본체 또는 상기 차량 본체에 연결된 지지 요소(1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2. 창유리(14)를 구비하고,
    파편 보호 요소(30)가 그 전체 표면에 걸쳐 상기 창유리에 고정되거나 상기 창유리에서 기능적 요소(60)에 고정되고,
    상기 파편 보호 요소는 영구 탄성 연결 접착제(12)를 통하거나 발포 프레임(16)을 통하여 차량 본체 또는 상기 차량 본체에 연결된 지지 요소(18)에 연결되고,
    상기 파편 보호 요소는 상기 파편 보호 요소와 상기 연결 접착제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 사이 각각의 결합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32, 34, 36, 74, 76, 78, 80, 84)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3. 창유리(14)를 구비하고,
    파편 보호 요소(30)가 상기 창유리에 고정되거나 상기 창유리에서 기능적 요소(60)에 고정되고,
    상기 파편 보호 요소는 영구 탄성 연결 접착제(12)를 통하거나 발포 프레임(16)을 통하여 차량 본체에 연결되거나 상기 차량 본체에 연결된 지지 요소(18)에 연결되고,
    상기 파편 보호 요소의 표면은 상기 파편 보호 요소와 상기 연결 접착제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 사이 각각의 결합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36, 74, 76, 78, 80, 84, 88, 90, 92)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4. 창유리(14)를 구비하고,
    파편 보호 요소(30)가 상기 창유리에 고정되거나 상기 창유리에서 기능적 요소(60)에 고정되고,
    상기 파편 보호 요소는 영구 탄성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16)을 통하여 차량 본체 또는 상기 차량 본체에 연결된 지지 요소(18)에 연결되고,
    상기 파편 보호 요소와 상기 연결 접착제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 사이 각각의 결합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파편 보호 요소의 표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울퉁불퉁하게 되어 있거나, 프라이머 시스템(primer system)(36) 또는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진 부가된 구성(84)이 마련되거나, 상기 파편 보호 요소의 두 표면들에서 개구들(34)을 교호적으로 통과하는 가늘고 긴 구성(92)이 두 표면들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파편 보호 요소의 두 표면들에 작은 구멍들(94)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탄성 연결 접착제(12)는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 30A, 30B)의 주변 부분(22, 22A, 22B) 내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증가 수단(32, 34, 36, 74, 76, 78, 80, 84, 88, 90, 92)은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의 주변 부분(22) 내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증가 수단(32, 34)은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를 통해 상기 연결 접착제(12)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16)이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 내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증가 수단은 상기 파편 보호 요소의 기계적으로 울퉁불퉁한 표면 부분(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증가 수단은 상기 창유리(14)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파편 보호 요소(30)의 표면에서 상승된(elevated) 구성(76, 80, 88,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된 구성(76, 80, 88, 90)은 상기 파편 보호 요소의 포면에 용접 또는 접착되거나 상기 창유리(14)에 면하는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의 측면으로부터 개구들(34)을 통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된 구성은 상기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 속으로 돌출하는 프로파일(76, 78)에 의해 또는 상기 연결 접착제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 속으로 분리되어 돌출하는 요소들(9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된 구성은 상기 연결 접착제(12)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 속으로 연장하는 돌기(80) 또는 콘(9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증가 수단은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지고 상기 창유리와 떨어져서 면하는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의 표면에 붙여진 구성(8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진 상기 구성(84)은 용융 접착제 포일(28, 82)을 통하여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증가 수단은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의 표면에 부착된 프라이머 시스템(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시스템(36)은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로부터 떨어져서 면하는 상기 프라이머 시스템의 측면에서 채움재(74)에 의해 보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74)는 모래 수정 또는 플라스틱 조각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는 0.1 내지 1.0m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는 상기 연결 접착제(12)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의 영역에 리세스(32)가 마련되고, 상기 연결 접착제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은 상기 창유리(14) 또는 상기 기능적 요소(60)를 향해 상기 리세스를 통하여 관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는 상기 지지 요소(18)와 상기 창유리(14) 사이의 지지 요소(18)의 적어도 일 부분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 30A, 30B)의 주변 부분(22, 22A, 22B)은 창유리(14) 또는 기능적 요소(60)가 없거나 상기 연결 접착제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 속으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증가 수단 또는 상기 결합 증가 수단(36, 74, 88, 92) 각각은 파편 보호 요소(30)의 자유로운 주변 부분(22)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14) 및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는 상기 연결 접착제(12)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16)을 통하여 상기 차량 본체 또는 상기 차량 본체에 연결된 상기 지지 요소에 함께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는 상기 파편 보호 요소를 통해서만 상기 차량 본체 또는 상기 차량 본체에 연결된 상기 지지 요소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 30A, 30B)는 그 전체 주변 부분 또는 그 주변 부분의 일 구획에서만 상기 연결 접착제(12)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 30A, 30B)는 탄성 포일 또는 단단한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프레임(12) 또는 영구 탄성 연결 접착제(12)는 상기 창유리(14)의 주변 부분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탄성 연결 접착제(12)는 30 내지 70의 쇼어(shore) A 경도 및/또는 1 내지 10 N/mm2의 인장강도 및/또는 300-600%의 신장강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접착제(12)는 접착제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적 요소는 태양 전지 복합재(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18)는 강화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10, 100)는 지붕 개구용 창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18)는 내부 지붕 패널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는 접착제 포일(28) 또는 가압 접착제 층을 통하여 상기 창유리(14) 또는 상기 기능적 요소(16)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창유리(14)는 고온 열처리된(thermally pre-stressed) 안전 유리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창유리(14)를 구비하고,
    적어도 2개의 분리된 파편 보호 요소들(30A, 30B)은 상기 창유리 또는 상기 창유리에 고정된 기능적 요소에 나란하게 고정되고,
    상기 파편 보호 요소들은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을 통하여 차량 본체 또는 상기 차량 본체에 연결된 지지 요소(18)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접착제(12)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은 상기 파편 보호 요소들(30A, 30B)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파편 보호 요소들은 상기 창유리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안쪽으로 위치된 제1 파편 보호 요소(30B) 및 상기 제1 파편 보호 요소를 링-모양으로 감싸는 제2 파편 보호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접착제(12)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은 상기 제1 및 제2 파편 보호 요소들(30A, 30B)이 서로 접하는 영역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창유리(14)를 구비하고,
    파편 보호 요소가 상기 창유리 또는 상기 창유리에 고정된 기능적 요소에 고정되고,
    상기 파편 보호 요소는 쉬트-모양의 연결 요소(70)를 통하여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접착제 또는 발포 프레임은 차량 본체 또는 상기 차량 본체에 연결된 지지 요소(18)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70)는 접착제 층(28, 72)을 통하여 창유리(14) 또는 창유리에 배열된 기능적 요소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 요소는 상기 접착제 층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70)의 영역안의 상기 접착제 층은 그 사이에 상기 연결 요소가 끼워지는 2개의 접착제 포일들(28, 72)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43. 제40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70)는 직물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70)의 메쉬 사이즈는 물질이 상기 직물의 세공을 통해 관통되도록 상기 연결 접착제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의 물질의 점성에 따라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45. 제40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70)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46. 제40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70)는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의 전체 주변 부분(22)에 걸쳐 마련되거나 상기 파편 보호 요소의 주변 부분의 일 구획에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4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증가 수단은 상기 창유리(14)에 면하는 상기 파편 보호 요소의 표면 또는 상기 파편 보호 요소의 양 표면들에 부착된 프라이머 시스템(3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4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증가 수단은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의 표면 또는 상기 파편 보호 요소의 양 표면에 부착된 상승된 구성(88, 90, 9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된 구성은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 내부에 마련된 개구들(34)을 통해 관통하고 상기 파편 보호 요소의 적어도 일 측면에서 돌출하는 요소들(88)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요소들은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 내부에 마련된 개구들(34)을 교호적으로 통과하는, 실 또는 줄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가늘고 긴 구성(92)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가늘고 긴 구성(92)은 상기 파편 보호 요소들(30)의 양 측면에 작은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5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는 용융 접착제 포일(28)을 통하여 상기 창유리에 연결되고, 상기 용융 접착제 포일은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의 자유로운 주변 부분(22) 속으로 확장하고 상기 창유리(14)에 면하는 상기 파편 보호 포일의 양 표면에서 상기 결합 증가 수단(84)을 고정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53.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연결 접착제(12) 또는 상기 공통의 발포 프레임의 부분에서 인접하는 파편 보호 요소들(30A, 30B)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고 서로 부분적으로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
  54. 파편 보호 요소(30)가 창유리(14) 또는 상기 창유리에 고정된 기능적 요소에 고정되는 단계; 및
    상기 창유리와 상기 파편 보호 요소가 영구 탄성 연결 접착제(12)를 통하여 차량 본체 또는 상기 차량 본체에 연결될 수 있는 지지 요소(18)에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의 제조 방법.
  55. 파편 보호 요소(30)가 그 전체 표면에 걸쳐 창유리(14) 또는 상기 창유리에 고정된 기능적 요소에 고정되는 단계;
    상기 파편 보호 요소가 영구 탄성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16)을 통하여 차량 본체 또는 상기 차량 본체에 연결될 수 있는 지지 요소(18)에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접착제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 각각에 의해 결합되기 전에 상기 파편 보호 요소는 상기 파편 보호 요소와 상기 연결 접착제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 각각의 사이의 결합을 증가시키는 수단(32, 34, 36, 74, 76, 78, 80, 84)이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의 제조 방법.
  56. 파편 보호 요소(30)가 창유리(14) 또는 상기 창유리에 고정된 기능적 요소에 고정되는 단계;
    상기 파편 보호 요소가 영구 탄성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16)을 통하여 차량 본체 또는 상기 차량 본체에 연결될 수 있는 지지 요소(18)에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접착제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 각각에 의해 결합되기 전에, 상기 파편 보호 요소의 표면은 상기 파편 보호 요소와 상기 연결 접착제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 각각의 사이의 결합을 증가시키는 수단(36, 74, 76, 78, 80, 84, 88, 90,92)이 제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의 제조 방법.
  57. 파편 보호 요소(30)가 창유리(14) 또는 상기 창유리에 고정된 기능적 요소에 고정되는 단계;
    상기 파편 보호 요소가 영구 탄성 연결 접착제(12) 또는 발포 프레임(16)을 통하여 차량 본체 또는 상기 차량 본체에 연결되어야 할 지지 요소(18)에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접착제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 각각에 의해 결합되기 전에 상기 파편 보호 요소와 상기 연결 접착제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 각각의 사이의 결합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파편 보호 요소의 표면들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울퉁불퉁하게 되거나, 프라이머 시스템이 마련되거나, 울퉁불퉁한 표면을 가진 부가적 구성(84)이 마련되거나, 상기 파편 보호 요소의 양 표면에 있는 개구들(34)을 통해 교호적으로 관통하는 가늘고 긴 구성이 양표면에 마련됨으로써, 상기 파편 보호 요소의 양 표면에 작은 구멍들(94)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의 제조 방법.
  58. 적어도 2개의 분리된 파편 보호 요소(30A, 30B)가 창유리 또는 상기 창유리에 고정된 기능적 요소(60)에 나란하게 고정되는 단계; 및
    상기 파편 보호 요소들이 연결 접착제 또는 발포 프레임을 통하여 차량 본체 또는 상기 차량 본체에 연결될 지지 요소(18)에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의 제조 방법.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접착제(12) 또는 상기 발포 프레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파편 보호 요소들(30A, 20B)에 공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의 제조 방법.
  60. 파편 보호 요소(30)가 창유리(14) 또는 상기 창유리에 고정된 기능적 요소에 고정되는 단계;
    상기 파편 보호 요소가 쉬트-모양 연결 요소(70)에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연결 요소는 연결 접착제 또는 발포 프레임을 통하여 차량 본체 또는 상기 차량 본체에 연결될 지지 요소(18)에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의 제조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요소(70)는 상기 파편 보호 요소(30)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파편 보호 요소와 상기 창유리(14) 또는 상기 기능적 요소 사이에 위치된 2개의 용융 접착제 포일들(28, 72)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의 제조 방법.
  62. 제54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접착제는 접작제 밴드(12)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구를 닫기 위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57015092A 2003-02-19 2004-02-18 차량용 창유리 장치 KR100910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06957.7 2003-02-19
DE10306957A DE10306957A1 (de) 2003-02-19 2003-02-19 Scheibenanordnung für ein Fahrzeug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472A true KR20050105472A (ko) 2005-11-04
KR100910482B1 KR100910482B1 (ko) 2009-08-04

Family

ID=32841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092A KR100910482B1 (ko) 2003-02-19 2004-02-18 차량용 창유리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641274B2 (ko)
EP (1) EP1594692B1 (ko)
JP (1) JP4771935B2 (ko)
KR (1) KR100910482B1 (ko)
CN (1) CN1750928B (ko)
AT (1) ATE511442T1 (ko)
DE (1) DE10306957A1 (ko)
MX (1) MXPA05008882A (ko)
WO (1) WO200407397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887B1 (ko) * 2013-06-04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태양전지를 갖는 자동차 루프 패널
KR20170023667A (ko) * 2015-08-24 2017-03-06 주식회사 무한 차량용 윈도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52286B1 (fr) * 2003-03-13 2005-07-15 Plastic Omnium Cie Piece a rapporter sur un element de carrosserie, element de carrosserie apte a recevoir une telle piece et ensemble d'une telle piece et d'un tel element de carrosserie
DE102004007988A1 (de) 2004-02-18 2005-09-08 Webasto Ag Anordnung zum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eines Fahrzeugs mit einer Scheibe und einem Splitterschutzelement
DE102004015920A1 (de) * 2004-03-31 2005-10-20 Webasto Ag Fahrzeugtechnik Anordnung zum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eines Fahrzeugs mit einem Splitterschutzelement
DE102004048469B4 (de) * 2004-10-05 2006-12-07 Webasto Ag Fahrzeugverglasung
DE102004059959A1 (de) * 2004-12-13 2006-06-29 Webasto Ag Bauelement zur Verglasung eines Bauwerkes
FR2883227B1 (fr) * 2005-03-16 2012-02-10 Renault Sas Vehicule comportant une vitre revetue d'un film de securite, procede de montage d'un tel vehicule
DE102005025163B4 (de) * 2005-06-01 2014-02-13 Webasto Ag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 Verschlussanordnung für eine Fahrzeugöffnung
DE102005031610B4 (de) * 2005-07-06 2009-09-10 Webasto Ag Anordnung zum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eines Fahrzeugs
US7311347B1 (en) * 2005-08-25 2007-12-25 Debbie Dorzok Golf cart windshield attachment
DE202005021883U1 (de) * 2005-10-05 2010-11-18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Verbundscheibe mit einem integrierten Halteelement
FR2899155B1 (fr) * 2006-04-03 2008-05-09 Renault Sas Vehicule comportant une vitre revetue d'un film de securite et procede de fabrication
EP1859931B1 (de) * 2006-05-26 2012-04-11 Roof Systems Germany GmbH Transparentes Verbundbauteil für ein Fahrzeug-Dachsystem
DE202006020784U1 (de) * 2006-10-27 2010-02-25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Schwenkbare Fahrzeugscheibe
DE102007009039B4 (de) * 2007-02-23 2013-09-05 Webasto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eibenanordnung für ein Fahrzeug oder Bauwerk
JP5167691B2 (ja) * 2007-05-11 2013-03-21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パネル装置
DE602008003927D1 (de) * 2007-05-15 2011-01-20 Pilkington Automotive D Gmbh Kfz-verglasung und komponentenanordnung
FR2917008B1 (fr) * 2007-06-08 2009-09-04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Element de vitrage,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FR2917311B1 (fr) * 2007-06-12 2009-10-0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pose d'un cordon de colle sur une bordure d'un film protecteur d'un element de vitrage.
FR2919282A1 (fr) * 2007-07-27 2009-01-30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 element de vitrage et element de vitrage obtenu par un tel procede
DE102008003252A1 (de) * 2008-01-04 2009-07-16 Rehau Ag + Co Scheibenanordnung
GB0804595D0 (en) * 2008-03-13 2008-04-16 Pilkington Automotive D Gmbh Automotive glazing and component assembly
DE102008033923A1 (de) * 2008-07-18 2010-01-21 Webasto Ag Fahrzeug-Bauteil aus Kunststoff
US8182025B2 (en) * 2009-04-29 2012-05-22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Method of producing a panel assembly
CA2674768A1 (fr) * 2009-08-03 2011-02-03 Prelco Inc. Systeme de vitrage rigidifie par le collage d'extrusion
EP2353907A1 (en) * 2010-01-27 2011-08-10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Roof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panel
GB201120340D0 (en) 2011-11-25 2012-01-04 Pilkington Group Ltd Automotive glazing
DE102012103757B3 (de) * 2012-04-27 2013-05-23 Webasto Ag Anordnung zum Verschließen einer Öffnung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Anordnung
PT2994327T (pt) 2013-04-30 2019-10-01 Saint Gobain Dispositivo de estanquidade para uma placa de vidro de um veículo
ES2643065T3 (es) 2013-06-26 2017-11-21 Saint-Gobain Glass France Disposición de sellado
US8998297B1 (en) * 2014-02-26 2015-04-07 Google Inc. Systems for mounting a vehicle windshield
US9205722B2 (en) * 2014-04-21 2015-12-08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window structure
EP2995451B1 (en) 2014-09-15 2022-11-30 ISOCLIMA S.p.A. Glass cover
DE102014114414A1 (de) * 2014-10-03 2016-04-07 Bbg Gmbh & Co. Kg Rahmenkonstruktion für eine Glasscheib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DE102015000071B4 (de) 2015-01-12 2020-10-08 Webasto SE Deckel eines Fahrzeugdaches mit einer Beleuchtungseinrichtung
JP6313344B2 (ja) * 2016-02-01 2018-04-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ルーフ構造
EP3285304A1 (de) * 2016-08-18 2018-02-21 A2 - Solar Advanced and Automative Solar Systems GmbH Verbundglas-bauelement mit solarzellen für fahrzeugdächer und gebäude
DE202016008385U1 (de) 2016-08-18 2017-09-26 Bos Gmbh & Co. Kg Glasdeckeleinheit für ein Dachsystem eines Kraftfahrzeugs
DE102017208918A1 (de) 2017-05-26 2018-11-29 Bos Gmbh & Co. Kg Glasdeckeleinheit für ein Schiebedachsystem eines Kraftfahrzeugs
DE102018124917B4 (de) * 2018-08-22 2023-04-20 Webasto SE Fahrzeugdach mit Festdachelement
DE102019122207A1 (de) * 2019-08-19 2021-02-25 Webasto SE Anordnung für ein Fahrzeugdach,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Anordnung für ein Fahrzeugdach und Fahrzeugdach für ein Kraftfahrzeug
US11584199B2 (en) * 2020-01-28 2023-02-21 Sunset Vans, Inc. Passenger retention system and method
US11761259B2 (en) * 2020-08-04 2023-09-19 Ut-Battelle, Llc Interface gasket for building envelope
WO2023012622A1 (en) * 2021-08-06 2023-02-09 De Vries Jacobus Marthinus Protective layer
WO2023140220A1 (ja) * 2022-01-21 2023-07-27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車両用ガラスモジュール
DE102022115169A1 (de) 2022-06-17 2023-12-28 Webasto SE 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Anordnung für ein Fahrzeugdach und Fahrzeugdach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0312A (en) 1953-05-25 1956-06-12 Pittsburgh Plate Glass Co Method of fabricating laminated structures
CA955621A (en) 1971-06-21 1974-10-01 Ppg Industries, Inc. Tempered bilayer motor vehicle windshield glazing assembly
AR197780A1 (es) * 1971-10-01 1974-05-10 Ppg Industries Inc Conjunto de encristalado para un vehiculo automotor
DE3041505C2 (de) * 1980-11-04 1983-12-08 Webasto-Werk W. Baier GmbH & Co, 8035 Gauting Starrer Deckel für ein Fahrzeugdach
JPS5791624A (en) * 1980-11-26 1982-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Current relay
JPS60124715A (ja) * 1983-12-12 1985-07-0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源制御回路
JPS60124715U (ja) * 1984-01-31 1985-08-22 旭硝子株式会社 自動車用風防ガラス窓
US4543283A (en) * 1984-09-04 1985-09-24 Libbey-Owens-Ford Company Encapsulated glazing product
JPS6364818A (ja) * 1986-09-05 1988-03-23 Sekisui Chem Co Ltd 車両の窓構造
DE3632472A1 (de) * 1986-09-24 1988-03-31 Flachglas Ag Kraftfahrzeugscheibe
JP2521728B2 (ja) * 1986-10-08 1996-08-0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における冷却水ポンプの駆動装置
JPS6394017U (ko) * 1986-12-05 1988-06-17
US5409791A (en) * 1993-05-20 1995-04-25 Eastman Kodak Company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DE4323140A1 (de) * 1993-06-19 1994-12-22 Webasto Schade Gmbh Scheibenaufbau für Fahrzeuge
JPH07179125A (ja) * 1993-06-19 1995-07-18 Daikyo Webasto Co Ltd 自動車用窓ガラス構造及びこの窓ガラス構造を製造する装置並びに方法
FR2720328B1 (fr) 1994-05-27 1996-07-05 Saint Gobain Vitrage Vitrages feuilletés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19721853A1 (de) * 1997-05-26 1998-12-0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Sicherheitsglasscheibe mit einer Einfassung
DE19803435C5 (de) * 1998-01-29 2010-06-24 Volkswagen Ag Sicherheitsglasaufbau für Sicherheitskraftfahrzeuge
FR2789382B1 (fr) * 1999-02-05 2002-02-08 Saint Gobain Vitrage Vitrage feuillete a tenue elevee aux crash-tests
DE10151156A1 (de) * 2001-10-19 2003-05-08 Webasto Systemkomponenten Gmbh Glasdeckel für ein Fahrzeugdach sowie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DE10155168B4 (de) * 2001-11-12 2005-02-10 Webasto Systemkomponenten Gmbh & Co. K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lichtdurchlässigen Scheibenaufbaus für Fahrzeuge und lichtdurchlässiger Scheibenaufbau
DE10206717B4 (de) * 2002-02-18 2014-03-13 Webasto Ag Glasdeckel mit Splitterschutzfolie
JP4545374B2 (ja) * 2002-11-27 2010-09-15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車両開口部のドア開閉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887B1 (ko) * 2013-06-04 2015-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태양전지를 갖는 자동차 루프 패널
KR20170023667A (ko) * 2015-08-24 2017-03-06 주식회사 무한 차량용 윈도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517876A (ja) 2006-08-03
US20060232093A1 (en) 2006-10-19
US7641274B2 (en) 2010-01-05
WO2004073976A8 (de) 2005-05-12
EP1594692B1 (de) 2011-06-01
EP1594692A1 (de) 2005-11-16
CN1750928B (zh) 2012-04-04
DE10306957A1 (de) 2004-09-09
ATE511442T1 (de) 2011-06-15
CN1750928A (zh) 2006-03-22
KR100910482B1 (ko) 2009-08-04
JP4771935B2 (ja) 2011-09-14
MXPA05008882A (es) 2005-10-05
WO2004073976A1 (de) 2004-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482B1 (ko) 차량용 창유리 장치
KR101309018B1 (ko) 통합된 유지 요소를 구비한 적층 창유리
JP4189538B2 (ja) 車両ルーフ用ガラスリッド並びにこのガラスリッドの製造方法
KR100889905B1 (ko) 창유리 유닛 및 창유리 유닛이 장착된 자동차
US20080272625A1 (en) Arrangement for Sealing an Opening of a Vehicle With a Window and an Anti-Splinter Element
US6908147B2 (en) Glass cover with shatterproofing film
US5979932A (en) Protection for the occupants of a vehicle in the event of a side impact
US10773485B2 (en) Composite glass pane with a mounting hole
KR20180100048A (ko) Oled 화면이 내부에 통합된 자동차 글레이징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CN100473557C (zh) 具有防碎片元件的用于封闭汽车窗口的装置
JP7145240B2 (ja) 複合ガラスペイン
US10974645B2 (en) Vehicle pane with a covered lighting device
US11504948B2 (en) Laminated glazing with a step-shaped functional portion
US11207868B2 (en)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d pane
US20050132661A1 (en) Fastening assembly of a foil-coated vehicle glass pane and method of making same
DE20320917U1 (de) Scheibenanordnung für ein Fahrzeu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