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5174A - 머리핀 - Google Patents

머리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5174A
KR20050105174A KR1020057013308A KR20057013308A KR20050105174A KR 20050105174 A KR20050105174 A KR 20050105174A KR 1020057013308 A KR1020057013308 A KR 1020057013308A KR 20057013308 A KR20057013308 A KR 20057013308A KR 20050105174 A KR20050105174 A KR 20050105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pin
hair
user
body member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3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9245B1 (ko
Inventor
브루스 에이 로저스
데이비드 리빙스턴
Original Assignee
브루스 에이 로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루스 에이 로저스 filed Critical 브루스 에이 로저스
Publication of KR20050105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20Hair clamps, i.e. elastic multi-part clamps, the parts of which are pivotally connected between their ends
    • A45D8/22Hair clamps, i.e. elastic multi-part clamps, the parts of which are pivotally connected between their ends with additional fastener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 Brushe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종래의 머리핀과 달리, 본 발명의 머리핀은 사용자가 머리핀의 몸체부재의 모발고정부 사이에 모발을 조이는 정도에 영향을 주고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계적 간섭, 저항 또는 마찰을 이용해 힌지연결된 모발고정부가 사용자에 의해 손으로 조여진 뒤에도 제위치를 단단히 유지하도록 하는 방법과 수단을 제공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모발을 더 오랫동안 더 단단히 조이는 개선된 머리핀을 제공한다. 어느 경우에도, 본 발명은 모발고정부와 힌지결합수단을 갖는 한쌍의 대향 몸체부재를 포함해, 이들 몸체부재들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벌어지거나 원하는 고정위치 사이를 피봇할 수 있다.

Description

머리핀{ADJUSTABLE HAIR HOLDING DEVICE}
본 발명은 2개의 몸체가 피봇 연결되고, 머리를 묶어 고정할 수 있는 머리핀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머리를 고정하기 위한 힌지-스프링형 머리핀들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런 종류의 머리핀은 수년 동안 사용되어왔고, 일찍이 미국특허 2,201,719에 소개되었다. 이런 머리핀은 통상 한쌍의 마주보고 힌지연결된 부재들을 갖고, 각 부재는 모발고정부와 핸들부를 갖는다. 모발고정부는 탄성수단에 의해 닫힌 고정위치로 힘을 받으며, 가장 널리 알려진 탄성수단은 토션스프링으로서 부재들을 닫는 힘을 준다. 머리핀을 벌리려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핸들부를 쥐고 탄성수단의 탄성력보다 큰 힘을 가해 모발고정부를 벌려야 한다. 사용자는 손가락 힘을 유지하면서 모발고정부를 원하는 양의 머리카락 양쪽에 둔 다음, 핸들부를 놓으면 토션스프링에 의해 모발고정부가 머리카락을 조여 고정하게 된다.
이런 종류의 머리핀의 단점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머리핀이 고정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 현재 이용되는 스프링식 머리핀은 스프링의 탄성력보다 크거나 작게 머리를 조이도록 사용자가 조정할 수 없다. 요컨대, 종래의 머리핀으로는 사용자가 머리를 죄는 정도를 조정할 수 없어, 사용자의 모발두께, 모발조직, 모발길이 등을 고려할 수 없음은 물론,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이나 토크도 조정할 수 없다.
이와 같이 모발고정부로 모발을 고정한 뒤, 모발을 더 세게 조이려면 사용자가 손으로 모발고정부를 더 밀어주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일시적으로 모발을 눌러 원하는 위치로 할 수는 있지만, 고정부재를 놓으면 모발이 다시 부풀어 오르게 되어, 머리핀이 제자리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가 많다.
탄성수단의 탄성력은 종래의 머리핀이 모발을 죄는 정도에 영향을 주고 제조업자에 의해 미리 결정된다. 이렇게 결정된 탄성력은 사람에 따라 적절하기도 하지만 아닐 수도 있다. 요컨대, 종래의 머리핀으로는 사용자가 모발을 죄는 정도를 조정할 수 없다. 이 경우 머리핀의 사용 빈도가 줄어들게 될 것이다.
머리핀은 여러 종류 알려져 있지만, 그 모발고정력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이들 머리핀은 한가지, 기껏해야 몇가지 고정위치를 제공한다. 이런 고정위치들이 특정 사용자의 니즈나 모발특성에 맞지 않으면, 거의 실용도가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미국특허 6,082,371을 참조. 또, 많은 종류의 머리핀은 2개 부재가 한쪽 끝에서 힌지연결된다. 힌지부 반대쪽에는 고리 등의 체결구가 부착된다. 이런 체결구는 사용자의 머리에 엉키어, 머리핀을 벗을 때 모발이나 손가락을 해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미국특허 5,196,429; 5,396,912; 5,996,593; 6,089,240; 6,257,249; 6,311,699에 소개된 머리핀을 참고.
따라서, 머리핀의 모발고정부가 사용자의 모발을 죄는 정도를 광범위하게 조정할 수 있는 수단을 갖는 힌지식 머리핀이 있다면 좋을 것이다.
또, 머리핀의 힌지축에서 떨어져 모발을 조이는 체결구를 없애서 사용자의 모발과 엉켜 모발이나 손가락을 해칠 가능성을 없앤 힌지식 머리핀을 제공하면 더 좋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머리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머리핀이 완전히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머리핀의 마찰형 조정수단의 제1 실시예의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형 조정수단과 피봇축이 조립된 상태의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머리핀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머리핀의 힌지연결 마찰형 조정수단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머리핀의 전개도;
도 9는 도 6의 머리핀의 마찰형 조정수단의 확대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예의 머리핀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머리핀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12a-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핀의 제1 몸체부재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3a-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머리핀의 제1 몸체부재의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
도 14는 도 10의 머리핀의 분리수단의 확대측면도;
도 15는 도 10의 머리핀의 분리수단들이 일부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
도 16은 도 10의 머리핀의 분리수단이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측면도;
도 17은 도 10의 완전조립 머리핀의 부분절개 측면도.
발명의 요약
종래의 머리핀과 달리, 본 발명의 머리핀은 사용자가 머리핀의 몸체부재의 모발고정부 사이에 모발을 조이는 정도에 영향을 주고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계적 간섭, 저항 또는 마찰을 이용해 힌지연결된 모발고정부가 사용자에 의해 손으로 조여진 뒤에도 제위치를 단단히 유지하도록 하는 방법과 수단을 제공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모발을 더 오랫동안 더 단단히 조이는 개선된 머리핀을 제공한다. 어느 경우에도, 본 발명은 모발고정부와 힌지결합수단을 갖는 한쌍의 대향 몸체부재를 포함해, 이들 몸체부재들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벌어지거나 원하는 고정위치 사이를 피봇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모발고정부를 손으로 누른 지점(대개 서로 가장 가까이 있는 지점)을 머리핀의 2개 몸체부재가 유치토록 하여, 머리핀이 제자리를 벗어나지 않게 하는 조정수단을 제공한다. 이 조정수단은 힌지수단에 동축 배열되고, 사용자가 촉각이나 청각으로 눈금을 느끼면서 모발고정부를 조금씩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한편, 조정수단이 모발고정부에 대해 연속으로 무단으로 움직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머리핀의 제1, 제2 몸체부재들에 손가락을 누르는 핸들부를 없애 사용자가 모발고정부를 조작하도록 할 수도 있다. 모발고정부를 열고닫는 토션스프링을 배치할 수도 있다. 또, 모발고정부를 머리에서 벗기 위한 분리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스프링으로 작동하는 머리핀(10)으로서, 힌지핀(16)으로 피봇 연결된 한쌍의 단단한 몸체부재(12,14)를 포함하고, 힌지핀은 몸체부재에 달린 연결돌기(18,20)를 관통한다. 이들 몸체부재(12,14)는 핸들부(30,32)와 모발고정부(22,24)를 구비하는데, 모발고정부에는 모발을 물어주는 빗살(26,28)이 여러개 엇갈려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힌지핀(16)에는 토션스프링(34)이 감겨있다. 토션스프링은 머리핀(10)을 조립할 때 미리 응력을 받아서, 양단 돌출아암이 핸들부(30,32)를 밀어서 몸체부재(12,14)를 도시된 바와 같은 닫힌 위치로 밀어준다.
사용자가 머리핀(10)을 쓸 때는 핸들부(30,32)를 눌러 모발고정부(22,24)와 빗살(25,28)을 벌리고, 그 사이로 모발을 모아서 넣으면 된다. 사용자가 핸들부(30,32)를 놓으면, 토션스프링(34)가 핸들부를 모발을 고정하는 위치로 밀어, 사용자의 모발이 모발고정부(22,24)와 빗살(26,28) 안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머리핀(10)으로 모발을 고정한 뒤, 머리핀이 제위치에 그대로 있지 않은 경우가 흔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발고정부(22,24)를 손으로 더 눌러서 모발을 고정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되면 모발고정부와 빗살이 더 가까와지면서 그 사이의 모발을 눌러서 원하는대로 모발을 고정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모발고정부를 놓으면, 사용자에 의해 모발고정부에 가해진 일시적 과압력이 풀리면서 눌려있던 모발이 반대로 팽창하게 된다. 집합된 모발에서 생긴 팽창력 때문에 모발고정부가 원래의 모발고정상태에서 벌어지므로, 머리핀은 사용자가 원하는 모발고정위치를 쉽게 벗어나게 된다.
도 2-5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머리핀과 마찰형 조정기구의 첫번째 예이다. 이 머리핀(110)은 힌지핀(116)에 의해 피봇 연결된 한쌍의 단단한 몸체부재(112,114)를 구비하고, 힌지핀은 몸체부재에 달린 연결돌기(118,120)를 관통한다. 몸체부재(112,114)는 각각 핸들부(130,132)와 모발고정부(122,124)를 구비하고, 모발고정부 끝에는 모발고정 빗살(126,128)이 여러개 엇갈려 형성되어 있다. 134는 힌지핀(116) 둘레의 토션스프링(도시 안됨)을 수용하기 위한 빈 간격이다. 토션스프링이 있을 경우, 머리핀을 조립할 때 토션스프링의 양단 돌출아암이 핸들부(130,132)에 힘을 가하여 몸체부재(112,114)를 도시된 닫힌위치로 밀어준다.
도 2, 4-5에서 136으로 표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첫번째 예의 마찰형 조정기구이다. 도시된 마찰형 조정기구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는 비슷한 구조 모두 머리핀의 힌지수단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되고 사용자가 모발고정부를 누른 지점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마찰력을 생성한다. 이런 배열은 여러가지 장점을 갖는다. 특히, 사용자의 모발에 부착한 위치를 신뢰성있게 유지하면서도 모발의 엉킴을 줄이는 머리핀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조정수단을 힌지수단과 동축으로 하면, 작으면서도 아름다운 머리핀을 만들 수 있다.
이하 설명하는 마찰형 조정기구(136)와 기타 부품은 "미끄럼 마찰기구"라고 하는 것이 더 적절한 표현일 수 있다. "미끄럼 마찰기구"란 래칫과 미끄럼마찰 디스크클러치 조립체를 결합한 것이다. 래칫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발고정부(122,124)를 모발 둘레에 조금씩 조이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미끄럼마찰 디스크클러치 조립체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모발고정부(122,124)를 눌러 고정한 위치를 조정기구(136)의 마찰력보다 큰 회전력으로 유지할 수 있고, 이 방식은 클러치에 가해진 토크가 너무 클 때 마찰클러치가 미끄러지는 방식과 비슷하지만, 마찰클러치와 달리 여기서 설명한 여러 미끄럼 마찰기구는 그 특성상 수동적이어서 머리핀의 어느 부분도 움직이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미끄럼 마찰기구는 제1 몸체부재(112)와 관련된 제1 표면, 제2 몸체부재(114)와 관련된 제2 표면, 및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접촉을 유지하여 이들 사이에 미끄럼마찰 간섭을 일으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미끄럼마찰 간섭면에 생긴 전단력이나 마찰력은 (토션스프링이나 기타 탄성수단이 존재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어느 경우에도 사용자가 선택한 모발고정 위치를 몸체부재가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커야만 하되, 그 유지시간은 사용자가 미끄럼마찰 간섭면의 전단력이나 마찰력을 넘는 회전을 주어 머리핀을 벗을 때까지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모든 마찰요소는 적어도 한쪽 표면에서 마찰을 일으킬 수 있어야 한다. 마찰을 일으키는 수단의 표면은 불규칙하여, 예컨대 거칠거나, 결이 있거나, 널이나 기어면으로 될 수 있다. 또, 기어형 마찰수단의 이는 그 기울기를 톱니와 같이 비대칭 형태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머리핀이 압착된 모발을 고정하는 성능을 더 개선하여 최적의 모발고정위치를 유지하면서도 사용자가 쉽게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머리핀의 몸체부재가 개폐 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내내 랜덤이고 연속적으로 점차 증감하는 전단력이나 마찰력을 일으키도록 마찰수단을 설계할 수 있다. 단단하지 않고 기본적으로 마찰을 일으키는 성질을 갖는 천연고무, 인조고무, 고무형 화합물 등으로 마찰요소를 구성하되, 머리핀을 사용자의 모발에 단단히 고정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전단력이나 마찰력을 낼 수 있도록 선택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마찰간섭면이 힌지수단에 수직이 되도록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후술하는 미끄럼이나 미끄럼이 아닌 마찰간섭면이 힌지수단에 평행하게 하는 것도 고려대상이다. 예컨대, 머리핀의 몸체부재들중 하나의 축은 다른 몸체부재에 달린 원통형 돌기에 끼운 힌지축(힌지핀 기능도 가능)과 동축일 수도 있다. 이런 배열에서는, 축의 외측면과 돌기의 내측면이 서로 협력해 불규칙적이고 높은 마찰면이나 간섭면을 만들어 원하는 마찰간섭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런 간섭면의 면접촉력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기 위해, 축이나 돌기중 하나에 기다란 슬릿을 만들고 나머지는 슬릿형 부재에 예비응력을 가하기에 적당한 크기로 하면, 간섭부재들이 서로 탄성수단처럼 작용하여 마찰간섭면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예컨대, 원통형 돌기에 기다란 슬릿을 만들고 축의 직경을 돌기의 공동보다 크게 하면, 축을 돌기에 끼울 때 돌기의 벽면을 약간 벌어지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축에 기다란 슬릿을 만들고 돌기의 공동을 축의 직경보다 작게 만들면, 돌기에 축을 끼울 때 축에 압력이 작용해 축의 슬릿이 약간 닫힌다.
도 3의 확대도에서 보듯이, 미끄럼마찰 조정기구(136)는 구멍(140)이 뚫린 마찰요소(138)를 하나 이상 갖는데, 이 구멍에는 힌지핀(116)이 끼워진다(도 4, 5 참조). 마찰요소(138)는 단단한 판이나 디스크 형태이고 정면(144) 일부분에는 마찰수단으로서 불규칙면(142)을 갖는다. 이 불규칙면(142)은 기어 형태일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런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런 불규칙면은 마찰요소(138)에 형성되거나, 또는 정면(144)에 별도의 부재로 부착될 수도 있다. 또, 머리핀 자체의 필수 부품과는 별개로 마찰요소를 두지 않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즉, 힌지핀 자체, 또는 힌지핀과 작용하는 한쌍이나 두쌍의 힌지핀 삽입돌기에 마찰요소나 표면을 일체로 형성하고, 마찰면 사이의 허용오차는 구조요소의 제한된 유연성으로도 마찰면이 서로 접촉상태를 유지하는 탄성수단 기능을 하기에 충분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머리핀의 몸체부재에 달린 돌기에 삽입되는 힌지핀으로 이루어진 힌지수단을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몸체부재를 적당한 플라스틱으로 만들되 성형과정중에 몸체부재를 서로 결합하여 부재 사이에 "리빙힌지"라고 하는 유연한 조인트를 만들 수도 있다. 이 경우, 어떤 마찰요소라도 리빙힌지 축과 동축이기만 하면 머리핀와 같이 형성하고나 추후 설치할 수 있다.
도 4, 5에 도시된 미끄럼마찰 조정기구(136)의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마찰요소(138)는 그 불규칙면(142)이 서로 접촉하고 있다. 요소(138)의 접촉면 부위들은 제1 및 제2 몸체부재(112,114)의 대응 돌기(118,120; 도시 안됨) 사이로 삽입되고, 이들의 힌지핀 삽입공은 돌기의 구멍과 일치한다. 불규칙면(142)을 접촉시키기 위한 U형 스프링클립(148) 다리의 축 방향 압축력을 지지하기 위한 마모판(146)을 돌기 양면에 마련할 수도 있다. 스프링클립(148)을 돌기 및 머리핀(110) 자체에 대해 효과적으로 압착하기 위해, 클립의 양쪽 다리는 힌지핀(116)을 지나고 핀을 끼우기 위한 정렬된 구멍을 가질 만큼 충분히 기다란 것이 좋다.
사용자가 이 머리핀(110)를 사용할 때, 핸들부(130,132)를 쥐고 눌러 모발고정부(122,124)와 빗살(126,128)를 벌리고 그 사이로 모발을 모아서 넣는다. 사용자는 모여진 모발을 중심으로 모발고정부(122,124)를 모발고정위치로 조인다. 이 때 사용자가 가한 힘이 양쪽 불규칙면(142)에서 생긴 미끄럼마찰 간섭면에 의한 전단력이나 마찰력을 극복한다. 조정기구(136)는 모발고정부에 대한 운동을 점차 증가시키고 사용자는 촉감이나 청각으로 모발을 중심으로 고정부재가 좁아지는 것을 경험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미끄럼마찰 경계부의 접촉면 양쪽이나 한쪽에서 부드럽지만 기본적으로 마찰이 높은 재질(예; 천연고무, 인조고무 또는 고무형 화합물)을 이용한 미끄럼마찰 조정기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조정기구를 이렇게 구성하면 모발고정부(122,124)가 서로를 향해 닫힐 때 모발고정부가 단속적이 아닌 무단으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도, 일단 모발고정위치를 선택하면, 사용자가 머리핀의 핸들부(130,132)를 다시 쥐고서 머리핀을 벌려 머리핀을 벗을 때까지는 미끄럼마찰 조정기구에 의해 모발의 팽창력에 대항해 머리핀을 제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도 6-8에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머리핀과 마찰형 조정기구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머리핀(210)은 힌지핀(216)에 피봇 연결된 한쌍의 단단한 몸체부재(212,214)를 구비하고, 힌지핀은 몸체부재에 달린 대응 연결돌기(218,220)를 관통한다. 부재(212,214) 각각은 핸들부(230,232)와 모발고정부(222,224)를 가지며, 모발고정부 끝에는 다수의 빗살(226,228)이 서로 엇갈려 형성되어 있다. 힌지핀(216)에는 토션스프링(234)이 감겨있다. 당 분야에 알려진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은 양단부의 돌출아암이 핸들부(230,232)에 힘을 가해 몸체부재(212,214)를 도 6의 닫힌 위치로 밀어주도록 머리핀(210)를 조립할 때 예비응력을 받고 있다. 사용자는 머리핀(110)과 같은 방식으로 머리핀(210)를 착탈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마찰 조정기구(236)가 도시되어 있다. 이 조정기구(236)의 설명을 위해 일부분을 제거하여 설명한다. 도 6-8에서 보듯이, 한쌍의 연결돌기(218,220)중 하나는 축방향으로 기다랗다. 도 8을 보면 돌기(218,220)중 기다란 것이 소켓(218a,220a)을 형성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소켓(218a,220a) 각각에 마찰요소로서 원통형 인서트(238)를 끼울 수 있다. 도면에는 원통형으로 도시되었지만, 소켓(218a,220a)과 인서트(238)는 사각형이나 곡선형 등 어떤 형상도 가능하다. 도 9에는 인서트(238)가 확대 도시되어있다. 인서트(238)에는 힌지핀(216)을 끼울 구멍(240)이 형성된다. 인서트(238) 정면(244) 일부에는 마찰수단으로서 불규칙면(242)이 형성된다. 불규칙면(242)의 형상은 기어면이 좋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불규칙면을 마찰요소인 인서트(238)에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인서트 정면(244)에 별도의 부재로 부착할 수도 있다. 인서트(238)가 원통형이면 대응 소켓(218a,220a)에 대해 회전을 방지하는 수단(250)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이 수단(250)은 노치로서 소켓(218a,220a)의 내면에 형성된 대응 형상의 돌기와 맞물린다. 그러나, 노치와 돌기는 그 배열이 반대로 될 수도 있다. 또, 인서트(238)와 대응 소켓(218a,220a)의 형상이 원통형이 아니면, 전술한 회전방지수단이 불필요하다.
도 7에 의하면, 마찰요소인 인서트(238)의 불규칙면(242) 사이의 접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수단(248)을 볼 수 있다. 탄성수단(248)은 압축스프링으로서 소켓(218a)의 말단부와 인서트(238)의 뒷벽에 맞닿는다. 기다란 돌기(218,220)와 대응 소켓(218a,220a)의 길이를 반대로 하면, 압축스프링(248)의 위치가 218이 아닌 220 안에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돌기(218,220)중 한쪽에 압축스프링(248)과 인서트(238)를 끼우고 나머지 돌기에 불규칙 마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2가지 예에서 알 수 있듯이, 토션스프링은 없어도 된다. 종래의 머리핀의 토션스프링은 모발을 고정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마찰형 조정수단과 결합된 토션스프링은 충분히 강력하다. 마찰형 조정수단은 토션스프링이나 기타 탄성수단의 힘을 보완하여 머리핀이 모발에 더 단단히 고정되도록 한다. 즉, 마찰수단은 모발고정수단 사이에 압축된 모발의 팽창력을 극복하는데 필요한 추가적인 힘을 제공한다. 모발을 더 잘 고정하는 토크를 갖는 더 강력한 토션스프링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몸이 약한 사람은 머리핀을 작동하기가 힘들 것이다. 또, 정상인이라도 머리핀을 개폐할 경우 손가락이 피곤해져, 머리핀을 잘 사용하지 않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머리핀은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핸들 등을 갖거나 아닐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머리핀을 열 때 사용자를 보조하는 핸들부가 없이 두개의 몸체부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런 보조수단이 없으면, 사용자는 손으로 2개의 몸체부재를 강제로 벌려야 한다. 그러나, 핸들부가 없으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모발고정위치에서 머리핀을 개방하는 분리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 11에는 다른 머리핀과 마찰형 조정기구가 도시되어 있는데, 각각 완전히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보여준다. 이 머리핀(310)은 분리수단과 마찰형 조정기구(후술함)에 피봇연결된 한쌍의 단단한 몸체부재(312,314)를 포함하고, 조정기구는 단단한 부재의 돌기(318,320)을 관통한다. 몸체부재(312,314)에는 각각 모발고정부(322,324)가 있고, 모발고정부 끝에는 빗살(326,328)이 엇갈려 형성되어 있다. 도 10, 11에서 360은 분리수단으로서 마찰형 조정기구를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 머리핀(310)의 장점은, 토션스프링이나 기타 탄성수단을 완전히 가리는 데 있는데, 이는 스프링에 모발이나 손가락이 걸려 모발이 손상되거나 손가락이 다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도 12a-c는 머리핀(310)의 제1 몸체부재(312)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 돌기(320)는 기다란 원통형으로 제1 대구경부(380)와 제2 소구경부(382)를 갖는다. 이들 구경부(380,382)에는 도 13-17에서 후술할 제2 몸체부재(314) 및 분리기구(360)와 협력하는 소켓 및 구멍이 있다. 구체적으로, 대구경부(380)의 외측 단부에는 분리수단(360)의 제1 작동기(364)의 대형 푸시버튼 헤드(362)를 미끄럼 삽입하기 위한 제1 소켓(384)이 있다(도 14-16 참조). 제2 소켓(386)은 대구경부(380)와 소구경부(382)에 걸쳐 형성되고, 이곳에 분리수단(360)의 중앙부를 끼운다. 이들 2개의 소켓(384,386)은 벽(388)으로 분리된다. 도 12b-c에서 보듯이, 벽(388)에는 중앙 구멍(390)과 중심에서 벗어난 구멍(392)이 형성된다. 도 17에서 보듯이, 중앙 구멍(390)에는 분리수단(360)의 제1 작동기(364)의 축을 끼우고, 다른 구멍(392)에는 분리수단의 인장스프링(368)의 제1 단부(366)를 끼운다. 돌기(320)의 소구경부(382)의 노출단부에는 마찰수단(394)이 형성되거나 제공된다. 한편, 소구경부(382)를 대구경부(380) 안에 끼워지는 마찰 인서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3a-c에 머리핀(310)의 제2 부재(314)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돌기(320)의 부분(380)과 마찬가지로, 돌기(318)의 제1 소켓(396)에 분리수단(360)의 제2 작동기(364)의 확대 푸시버튼 헤드(362)를 미끄럼삽입한다(도 14-16 참조). 돌기(320)의 부분(382)을 끼우기 위한 제2 소켓(398)은 돌기(318)에 형성된다(도 17 참조). 이들 2개의 소켓(396,398)은 벽(400)으로 분리된다. 도 13b-c에서 보듯이, 벽에는 중앙구멍(402)과 중심에서 벗어난 구멍(404)이 형성된다. 도 17을 보면, 중앙구멍(402)에는 분리수단(360)의 제2 작동기(364)의 축이 끼워지고 나머지 구멍(404)에는 분리수단의 인장스프링(360)의 제2 단부가 끼워진다. 벽의 내부 노출면에는 전술한 종류의 마찰수단(406)이 형성되거나 제공된다. 한편, 소켓(398)에 끼워지는 마찰 인서트를 돌기(318)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0-13의 머리핀(310)의 장점은, 머리핀의 탄성수단을 완전히 둘러싸는 암수 부재를 포함한 관절식 커버가 있다는 것이다.
돌기(320)의 마찰면(394)과 돌기(318)의 마찰면(406)은 분리수단(360)에 의해 서로 맞물릴 때 큰 전단력을 생성한다. 돌기(320,318)의 마찰면(394,406)은 분리수단(360)과 작용하여 마찰형 조정기구(136)를 구성하는데, 이 기구는 "논슬립 마찰기구"라 하는 것이 적당하다. "논슬립 마찰기구"란 래칫과 논슬립 마찰디스크 클러치 조립체를 결합한 조립체를 의미한다. 래칫은 모발고정부(322,324)를 모발을 중심으로 점점 세게 조이는데 이용되고, 논슬립 마찰디스크 클러치 조립체는 사용자가 모발고정부(322,324)를 누르는 위치에서 사용자가 가한 회전력을 쉽게 극복할 수 없도록 한다. 마찰클러치와는 달리, 여기 설명된 각종 논슬립 마찰기구는 특성상 수동적이어서, 머리핀의 축이나 기타 부분을 구동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논슬립 마찰기구는 제1 몸체부재(312)와 관련된 제1 표면, 제2 몸체부재(314)와 관련된 제2 표면, 및 이들 2개 표면을 접촉시켜 그 사이에 논슬립 마찰경계면을 만드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논슬립 마찰경계면에 생긴 전단력이나 마찰력은 어느 경우에도 사용자가 분리수단(360)을 풀어 머리핀을 벗기 전까지는 몸체부재들이 머리핀을 사용자가 선택한 위치로 유지하도록 충분히 커야만 한다.
도 14-16에 의하면, 분리수단(360)의 각각의 작동기(364)는 구성상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기(364)의 중앙 축(372) 일단부에는 전술한 확대된 푸시버튼 헤드(362)가 배치된다. 축(372)의 타단부에는 경사면(376)을 갖는 작동축(374)이 있다. 도 15에서 보듯이, 작동축의 경사면은 서로 접촉하여 반대쪽 작동기의 작동축을 안내하는 캠면을 만들어 돌기(318,320)를 접촉시키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17을 참조해 설명한다. 각각의 작동기(364)에는 벽(388,400)의 내측면에 맞닿아 작동기를 돌기(318,320) 안에 유지시키는 돌출부(378)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전히 조립된 분리수단(360)이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바, 작동기(364)는 텐션스프링(368) 안에 위치한다. 전체 머리핀(310)를 조립할 때, 인장스프링(368)의 양단부를 서로 반대로 벌려서 인장스프링에 토크를 일으키는데, 이렇게 되면 모발고정수단이 도 11과 같이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고 돌기(320,318)의 마찰면(394,406)이 도 17과 같이 단단히 접촉된다.
도 17에는 완전히 조립된 머리핀(310)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 모발을 중심으로 모발고정위치에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모발을 필요한 만큼 모으고 모발고정부를 누른 다음 이렇게 모인 모발을 집는다. 머리핀을 벗으려면, 푸시버튼(362)을 안쪽으로 눌러 작동기(374)의 단부로 벽(388,400)의 내면을 누르기만 하면 된다. 버튼(362)을 계속 누르면, 돌기(320,318)의 마찰면(394,406)이 서로 떨어진다. 마찰면(394,406)이 서로 떨어졌을 때, 사용자가 처음에 모발고정부(322,324)를 누를 때 스프링(368)에 가한 토크를 해제하기만 하면 도 11의 개방위치로 되돌아간다.
분리수단(360)이 고장나면 사용자가 손으로 모발고정부(322,324)를 벌려야 하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전단력이나 마찰력을 이길 수 없을 정도로 마찰면(394,406) 사이의 논슬립 마찰경계면이 크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논슬립 마찰경계면은 전술한 미끄럼 마찰경계면보다 머리핀을 여는 힘에 대한 저항이 크기는 하지만, 이 저항도 사용자가 혼자 힘으로 머리핀(310)를 벗는 것을 방해해서는 안된다.
분리수단(360)이 어느 정도 핸들부 기능도 갖기 때문에, 핸들이 눈에 띄지 않게 하거나 핸들이 불편한 사용자를 위해 머리핀(310)에는 핸들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관상이나 기능상 개선하기 위해 경우에 따라서는 핸들을 붙일 수도 있다. 한편, 머리핀(310)의 돌기(320,318)의 마찰면(394,406) 사이에 논슬립이 아닌 미끄럼마찰 경계면을 형성하거나 분리수단(360)이 없을 경우에는 핸들이 있는 것이 좋다.
전술한 미국특허 2,210,719; 5,396,912; 5,996,593; 6,082,371; 6,089,240; 6,257,249; 6,311,699에 소개된 것과 같은 범용 머리핀은 물론 당 분야에 공지된 다른 머리핀(예; 조 클립, 클로 클립, 버터플라이 클립, 여성용 머리핀, 바나나 클립 등)에도 본 발명의 방법과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4)

  1. 사용자가 누르면 사용자의 집합된 모발과 접촉하기에 적합한 모발고정부를 갖는 제1 및 제2 몸체부재들;
    상기 몸체부재들을 피봇연결하는 힌지수단; 및
    상기 힌지수단에 동축으로 배열되어, 사용자가 상기 모발고정부를 고정한 지점에 모발고정부를 유지시키기 위한 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이 미끄럼 마찰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마찰기구가 제1 몸체부재와 관련된 제1 표면, 제2 몸체부재와 관련된 제2 표면, 및 이들 2개의 표면 사이에 미끄럼 마찰경계면이 생기도록 이들 2개의 표면을 접촉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마찰경계면이 상기 힌지수단에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표면들이 불규칙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불규칙면이 기어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이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이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이 스프링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들이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재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들이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재에 결합되는 인서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고정부를 소정 위치로 밀어주는 탄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이 토션스프링을 포함하고, 토션스프링의 제1 단부는 제1 몸체부재와 접촉하며 제2 단부는 제2 몸체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 몸체부재들이 핸들부를 더 구비하고, 사용자가 핸들부재를 누르면 모발고정부가 고정된 지점에서 풀리며, 상기 토션스프링의 제1 단부는 제1 몸체부재의 핸들부와 접촉하고 토션부재의 제2 단부는 제2 몸체부재의 핸들부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몸체부재들이 핸들부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가 핸들부재를 누르면 모발고정부가 고정된 지점에서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이 논슬립 마찰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 마찰기구가 제1 몸체부재와 관련된 제1 불규칙면, 제2 몸체부재와 관련된 제2 불규칙면, 및 이들 두개의 불규칙면 사이에 논슬립 마찰경계면이 생기도록 2개 불규칙면의 접촉을 유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논슬립 마찰경계면이 상기 힌지수단에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불규칙면이 치합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이 인장스프링이고, 인장스프링의 제1 단부는 제1 몸체부재와 접촉하며 제2 단부는 제2 몸체부재와 접촉하여 모발고정부를 소정 위치로 밀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스프링의 탄성력을 거슬러 상기 제1, 제2 불규칙면을 떨어지게 하여 사용자의 머리에서 머리핀을 벗도록 하는 분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불규칙면이 상기 몸체부재와 일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불규칙면이 상기 몸체부재에 지지되는 인서트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24. 제1 및 제2 몸체부재들;
    상기 몸체부재들을 피봇연결하는 힌지수단; 및
    상기 몸체부재들을 소정 위치로 밀어주는 탄성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2 몸체부재들이 모발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탄성수단을 둘러싸는 암수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핀.
KR1020057013308A 2003-01-24 2004-01-23 머리핀 KR100839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4220503P 2003-01-24 2003-01-24
US60/442,205 2003-01-24
US44492603P 2003-02-04 2003-02-04
US60/444,926 2003-02-04
US47295303P 2003-05-23 2003-05-23
US60/472,953 2003-05-23
US48648503P 2003-07-11 2003-07-11
US60/486,485 2003-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174A true KR20050105174A (ko) 2005-11-03
KR100839245B1 KR100839245B1 (ko) 2008-06-17

Family

ID=3283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3308A KR100839245B1 (ko) 2003-01-24 2004-01-23 머리핀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3) US20040177860A1 (ko)
EP (1) EP1605792B1 (ko)
JP (1) JP4629028B2 (ko)
KR (1) KR100839245B1 (ko)
AT (1) ATE463970T1 (ko)
AU (1) AU2004207510B2 (ko)
BR (1) BRPI0406711A (ko)
CA (1) CA2513659C (ko)
DE (1) DE602004026562D1 (ko)
DK (1) DK1605792T3 (ko)
ES (1) ES2343522T3 (ko)
HK (1) HK1086461A1 (ko)
MX (1) MXPA05007859A (ko)
PT (1) PT1605792E (ko)
WO (1) WO200406677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15342A1 (en) * 2004-07-29 2006-02-09 Conair Corporation Non-slip layer for hair accessories
US7753058B2 (en) * 2004-11-16 2010-07-13 Goody Products, Inc. Hair retaining clip with elastic biasing member
US7992579B2 (en) * 2006-12-29 2011-08-09 Goody Products Inc. Hair clip with latch mechanism
TWI324508B (en) 2007-04-18 2010-05-11 Tsorng Ta Entpr Co Ltd Bobby pin
US8087416B2 (en) * 2008-04-30 2012-01-03 Goody Products, Inc. Hair clip with concealed hinge spring
US8216258B2 (en) * 2009-02-27 2012-07-10 Ted Robert Skipper Medical clamp and method of use
US8082930B2 (en) * 2009-06-26 2011-12-27 Shih Ling Hsu Hair clip with tines extending parallel to the enveloped hair
US20110030719A1 (en) * 2009-08-04 2011-02-10 Che-Hsi Yang Hair clip
US20110041867A1 (en) * 2009-08-21 2011-02-24 Shih Ling Hsu Hair styling device
KR101117029B1 (ko) * 2011-03-03 2012-03-16 강효종 탄성 밴드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커버된 집게 핀
KR101302918B1 (ko) * 2012-05-29 2013-09-06 김범진 소형 집게의 힌지구조
US9072355B1 (en) 2013-05-30 2015-07-07 Nicole Irene Magnani Sharable hair accessory
USD736075S1 (en) 2013-07-08 2015-08-11 Target Brands, Inc. Ornament attachment clip
US9237820B2 (en) 2013-07-08 2016-01-19 Target Brands, Inc. Ornament assembly with attachment clip
USD771870S1 (en) * 2015-05-07 2016-11-15 Kai-Mou Tsai Claw
USD776346S1 (en) 2015-06-01 2017-01-10 Nicole Irene Magnani Multi-part joinable clip
US10051937B1 (en) * 2016-05-17 2018-08-21 Charlotte Wenzel Spring-loaded hair clip
USD829990S1 (en) * 2017-03-04 2018-10-02 Shih-Ling Hsu Hair clip
USD814112S1 (en) * 2017-03-04 2018-03-27 Shih-Ling Hsu Hair clip
USD831273S1 (en) * 2017-04-06 2018-10-16 Tung Hing Plastic Manufactory Ltd. Hair clip
USD889953S1 (en) 2017-08-14 2020-07-14 Target Brands, Inc. Ornament attachment cup
US11571055B2 (en) * 2019-03-15 2023-02-07 Tsorng Ta Enierprise Co., Ltd. Hair claw clip
US11647821B2 (en) * 2019-07-23 2023-05-16 Durham Enterprises Corporation Locking clip for hair
TWI808491B (zh) * 2021-09-17 2023-07-11 琮大興業有限公司 彈開式夾具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330A (en) * 1907-06-28 1907-11-05 Attleboro Mfg Company Ear-ring.
US1765880A (en) * 1928-04-10 1930-06-24 Firm M Vogel A G Geschaftsbuch Clamping device for files, newspaper holders, and the like
US2008382A (en) * 1934-08-30 1935-07-16 Thomas S Bennett Attaching means for ear ornaments
US2201719A (en) 1939-08-17 1940-05-21 Eicher Pearl Curl clip
US2405025A (en) * 1944-01-29 1946-07-30 Feingold Lipa Earring clasp
US2947054A (en) * 1958-05-07 1960-08-02 Apex Jewelry Co Earring clamp
US3546750A (en) * 1968-10-25 1970-12-15 Robert K Sheehan Fastener
JPS60129289U (ja) * 1984-02-10 1985-08-30 キンシ化学工業株式会社 開度調整機構付ふとんばさみ
JPH0346912U (ko) * 1989-09-12 1991-04-30
US4999937A (en) 1989-11-13 1991-03-19 Joseph Bechtold Panel sign having ratchet hinge means
US5170644A (en) * 1991-12-06 1992-12-15 Calabro Anthony S Adjustable pressure ear clip
US5165429A (en) 1992-01-23 1992-11-24 Miller Victoria A Hair clamp apparatus
US5396912A (en) 1993-11-30 1995-03-14 Chou; Kuo H. Structure of barrette
US5549127A (en) * 1995-05-03 1996-08-27 Chang; Wen-Hsiung Spring fixing structure for a hairgrip
US5609169A (en) * 1995-12-18 1997-03-11 Yang; I-Chien Hair clip
US5842485A (en) * 1996-03-07 1998-12-01 C.S.P. Diffusion, Societe Anonyme Curved toothed hairclip
US5651167A (en) * 1996-07-18 1997-07-29 Jovanovich; Radomir M. Side-actuated clip
ES2133005T3 (es) * 1996-12-16 1999-08-16 C S P Diffusion Sa Articulacion de resorte para articulo de sujecion del cabello.
JP3121285B2 (ja) * 1997-04-07 2000-12-25 株式会社ヤスダコーポレーション 髪止め具
US5799371A (en) 1997-05-20 1998-09-01 Tamarack Technologies Inc. Pivoting joint
US5996593A (en) 1997-07-16 1999-12-07 Horman; Heidi Christine Hair clip
US5873377A (en) * 1998-07-15 1999-02-23 Yang; Che-Hsi Hair clip improvement
US6257249B1 (en) 1998-07-31 2001-07-10 Samuel L. Thomas Hair clamp
US6082371A (en) * 1998-09-02 2000-07-04 Geraldine Rose Bader-Saltzman Hair clip having a novel gripping mechanism and removable decorative attachments
US6089240A (en) 1998-12-21 2000-07-18 Chang; Wen-Hsivng Hair grip device
US6357152B1 (en) * 1999-04-19 2002-03-19 Debbie S. Brooks Animated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6032680A (en) 1999-04-20 2000-03-07 Lu; Chee-Yin Hair clip retainer
US6263543B1 (en) 1999-07-30 2001-07-24 Avaya Technology Corp. Self-latching hinge design
US6311699B1 (en) 1999-12-02 2001-11-06 Remedies Trading Corporation Ponytail holder
FR2802785B1 (fr) 1999-12-28 2002-03-22 Delsol Ets Pince a cheveux a ressort masque
KR100419927B1 (ko) 2000-03-03 2004-02-2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폴더형 휴대전화기
US6477732B1 (en) * 2000-04-14 2002-11-12 Kevin W. Cline Folding bristle hairbrush
JP3894889B2 (ja) * 2001-01-26 2007-03-22 リズートウ、レイアンドロ・ピー 弾性機構の付いた留め具付き髪飾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66777A3 (en) 2006-03-09
EP1605792A4 (en) 2008-12-10
HK1086461A1 (en) 2006-09-22
AU2004207510A1 (en) 2004-08-12
US7950401B2 (en) 2011-05-31
US7493903B2 (en) 2009-02-24
US20040177860A1 (en) 2004-09-16
EP1605792B1 (en) 2010-04-14
MXPA05007859A (es) 2006-04-07
ES2343522T3 (es) 2010-08-03
ATE463970T1 (de) 2010-04-15
KR100839245B1 (ko) 2008-06-17
AU2004207510B2 (en) 2008-12-18
PT1605792E (pt) 2010-07-09
BRPI0406711A (pt) 2007-04-03
DE602004026562D1 (de) 2010-05-27
US20040182411A1 (en) 2004-09-23
US20040177861A1 (en) 2004-09-16
CA2513659C (en) 2012-05-15
DK1605792T3 (da) 2010-07-26
WO2004066777A2 (en) 2004-08-12
JP2006518630A (ja) 2006-08-17
CA2513659A1 (en) 2004-08-12
JP4629028B2 (ja) 2011-02-09
EP1605792A2 (en) 200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9245B1 (ko) 머리핀
US5535765A (en) Hair binder
US9005244B2 (en) Tissue approximation device
US20090183752A9 (en) Hair retaining clip with elastic biasing member
JP3390436B2 (ja) 外科手術用器具
US20020106609A1 (en) Dental forceps
US6748958B1 (en) Flosser apparatus with floss tightening mechanism
JP3894889B2 (ja) 弾性機構の付いた留め具付き髪飾り
CN113194779B (zh) 发夹装置
JP3130744U (ja) 箸の補助具
JP3840795B2 (ja) 脱毛装置
RU212780U1 (ru) Насадка на столовый прибор
JP3156237U (ja) 髪挟み
US20140173902A1 (en) Device and methods for removing earrings
JP2019122601A (ja) 髪留め具
KR200165250Y1 (ko) 헤어핀
JP3012362B2 (ja) 脱毛装置
KR20200020409A (ko) 손가락 의지용 어댑터
KR20190002174U (ko) 트윈 헤어 롤 클립
MXPA05007861A (es) Dispositivo sujetador de cabello con operacion de cierre elastico.
JP2002018151A (ja) 風船用クリップ
JPH08228824A (ja) 脱毛器
KR20160021568A (ko) 보조몸체가 구비된 모발용 집게핀
JPH0795965B2 (ja) 毛髪用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