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301A -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데이터 송신 장치,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전송시스템과, 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데이터 송신 장치,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전송시스템과, 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301A
KR20050104301A KR1020047017796A KR20047017796A KR20050104301A KR 20050104301 A KR20050104301 A KR 20050104301A KR 1020047017796 A KR1020047017796 A KR 1020047017796A KR 20047017796 A KR20047017796 A KR 20047017796A KR 20050104301 A KR20050104301 A KR 20050104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string
received
received dat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7286B1 (ko
Inventor
마사노리 사또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50104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2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6Code allocation
    • H04J13/18Allocation of orthog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3/00Code 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3/10Code generation
    • H04J13/12Generation of orthog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송신측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심볼 단위마다 제1 데이터 열과 제2 데이터 열로 분리하고, 분리된 제2 데이터 열에 따라, 복수의 직교 코드 중에서 1개를 선택하며, 그 선택된 코드에 의해 제1 데이터 열을 확산하고, 확산된 제1 데이터 열을 변조하여 송신한다. 수신측에서는, 수신 신호를 송신측의 직교 코드와 동일한 복수의 직교 코드에 의해 개별적으로 역확산하고, 역확산된 각각의 수신 신호 중에서, 올바른 직교 코드에 의해 역확산된 신호를 선택하며, 선택된 신호를 복조하여, 제1 수신 데이터 열을 얻고, 선택에 의해 선발된 올바른 직교 코드에 대응한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얻어서, 제1 수신 데이터 열과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합성하여, 수신 데이터를 얻는다.

Description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통신 단말기{DATA TRANSMISSION METHOD, DATA RECEPTION METHOD, DATA TRANSFER METHOD, DATA TRANSMISSION DEVICE, DATA RECEPTION DEVICE, DATA TRANSFER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iple Access : 부호 분할 다원 접속) 방식의 무선 전송에 적용하기 적합한 데이터 송신 방법, 데이터 수신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송신 장치,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효율이 좋은 무선 전송으로서, CDMA 방식이 실용화되어 있다. CDMA 방식의 경우에는, 송신 데이터를 직교하는 코드에 의해 확산하고, 다중화하여 송신하고 있다. 송신 데이터 내에는, 사용자 정보(음성 데이터나 패킷 데이터 등) 이외에 제어 정보(전력 제어 정보, 동기 검파용 정보 등)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도 11은, 종래의 사용자 정보와 제어 정보를 다중화하여 CDMA 방식에 의해 무선 송신 처리하는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사용자 정보는, 맵핑 회로(71)에 공급되어, 0 데이터를 1, 1 데이터를 -1로 하는 맵핑 처리를 행하고, 그 맵핑된 사용자 정보를 확산 회로(72)로 공급하여, 직교 코드 c1을 승산하여 확산한다. 그 확산된 사용자 정보는, 전력 증폭부(73)로 공급하여 송신 전력에 따른 증폭 처리를 행하고, 합성기(74)로 공급한다.
한편, 제어 정보에 대해서도, 맵핑 회로(75)로 공급되어, 0 데이터를 1, 1 데이터를 -1로 하는 맵핑 처리를 행하고, 그 맵핑된 제어 정보를 확산 회로(76)로 공급하여, 직교 코드 c2를 승산하여 확산한다. 그 확산된 제어 정보는, 전력 증폭부(77)로 공급하여 송신 전력에 따른 증폭 처리를 행하고, 증폭된 신호를 복소화 회로(78)에 의해 복소수화하여 합성기(74)로 공급한다.
합성기(74)에서는, 공급되는 사용자 정보와 제어 정보를 I 채널 및 Q 채널의 정보로서, 직교 합성된 1 계통의 정보(I+jQ)로 하고, 그 합성기(74)가 출력하는 정보(I+jQ)를 스크램블 회로(79)에 공급한다. 스크램블 회로(79)에서는, 스크램블링 코드를 복소 승산하여, 스크램블된 신호로 하고, 그 스크램블된 신호를 송신시킨다.
이러한 CDMA 방식에 의해 전송 레이트를 높게 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면 복수의 직교 코드를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도 12는, 종래의 복수의 직교 코드를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를 다중화하는 멀티 코드 처리를 적용한, 송신측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3은 그 신호의 수신측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도 13에서는, 맵핑이나 전력 제어 등의 처리에 대해서는 생략되어 있다.
도 1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송신 데이터는 시리얼/패러랠 변환기(81)에 의해 복수 계열의 데이터로 분할한다. 여기서는, n(n은 임의의 정수로서 다중화수) 계열로 분할하였다고 하고, 그 n 계열의 데이터를 각각 다른 확산 회로(82a, 82b,…82n)에 공급하여, 각각 다른 직교 코드 c1, c2,…cN을 승산하여 확산 처리를 행한다. 각 확산 회로(82a, 82b,…82n)에 의해 확산된 송신 데이터는, 각각 다른 변조 회로(83a, 83b,…83n)에 공급하여, 송신용으로 변조 처리를 행하고, 그 변조된 송신 데이터를 다중화 회로(84)에 공급하여 다중화된 송신 데이터로 하고, 그 송신 데이터를 무선 송신시킨다.
도 13은, 이와 같이 다중화되어 무선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수신 데이터는, 복수의 역확산 회로(91a, 91b,…91n)에 공급한다. 이 역확산 회로(91a∼91n)는, 송신 시의 다중화 수 n에 대응하여 n개 준비된 회로이며, 각각의 역확산 회로(91a, 91b,…91n)에 의해, 송신 시와 동일한 확산 코드 c1, c2,…cN을 승산하여, 각각의 확산 코드에 의해 확산된 계열의 데이터를 역확산 처리한다. 각 계열마다 역확산 처리에 의해 얻어진 수신 데이터는, 각각 다른 복조 회로(92a, 92b,…92n)로 공급하여, 수신용으로 복조 처리를 행하고, 그 복조된 각 계열의 수신 데이터를 패러랠/시리얼 변환 회로(93)에 의해, 1 계열의 데이터로 합성하여, 수신 데이터로 한다.
이 도 12, 도 13에 나타낸, 복수의 직교 코드를 사용하여 다중화한 신호의 전송 처리를 행함으로써, 확산 코드를 사용하는 수만큼, 전송하는 데이터량을 늘릴 수 있고, 그만큼 데이터의 전송 레이트를 높게 할 수 있다. 하기의 문헌은, 이 복수의 직교 코드를 사용하여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사양의 일례에 대하여 기재된 것이다.
3GPP 발행(1999년 12월)의 "3G TS 25.211" V3.1.1 Technical Specification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Radio Access Network Physical channels and mapping of transport channels onto physical channels 제20페이지
그런데, 도 12,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전송을 행하도록 한 경우, 송신 전력으로서, 사용하는 직교 코드의 수만큼 많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직교 코드를 2개 사용하는 경우에는 2배의 송신 전력이 필요하며, 직교 코드를 4개 사용하는 경우에는 4배의 송신 전력이 필요하여, 직교 코드를 사용하는 수에 비례하여, 전체의 송신 전력이 매우 많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직교 코드의 주기를 짧게 하여 전송 레이트를 높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직교 코드의 주기를 짧게 하면, 그만큼 대잡음 특성이 열화되기 때문에, 결국 송신 전력을 높게 할 필요가 발생한다.
또한, 변조 방식을 보다 다치로 변조하는 방식으로서, 전송 레이트를 높게 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이 경우에도 대잡음 특성이 열화되기 때문에, 결국 송신 전력을 높게 할 필요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변조 방식으로서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었던 경우에, 16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방식 등의 다치 변조로 전환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다치 변조로 전환하면, 신호점 간의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대잡음 특성이 열화되어, 통신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송신 전력을 높게 할 필요가 발생한다.
이러한 송신 전력의 대전력화는, 특히 휴대 전화 단말기와 같은 배터리로 구동되는 통신 단말기의 경우에, 그 단말기의 배터리 지속 시간을 단시간화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송신 전력을 늘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전송 레이트를 높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송신측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심볼 단위마다 제1 데이터 열과 제2 데이터 열로 분리하고, 분리된 제2 데이터 열에 따라, 미리 준비된 복수의 직교 코드 중에서 1개를 선택하며, 그 선택된 코드에 의해 제1 데이터 열을 확산하고, 확산된 제1 데이터 열을 소정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수신측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직교 코드와 동일한 복수의 직교 코드에 의해 개별적으로 역확산하고, 역확산된 각각의 수신 신호 중에서, 올바른 직교 코드에 의해 역확산된 신호를 선택하며, 선택된 신호를 소정의 복조 방식에 의해 복조하여, 제1 수신 데이터 열을 얻고, 선택에 의해 선발된 올바른 직교 코드에 대응한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얻으며, 제1 수신 데이터 열과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합성하여, 수신 데이터를 얻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송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로서는, 제1 데이터 열뿐이며, 제2 데이터 열에 대해서는 제1 데이터 열을 확산한 직교 코드의 선택에 기초하여 수신측에서 얻어진다. 따라서, 제1 데이터 열만을 전송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만으로, 제1, 제2 데이터 열이 수신측에서 얻어지므로, 제2 데이터 열에 대해서는 송신 전력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적은 송신 전력으로 전송 레이트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효율이 좋은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배터리 구동에 의한 송신 장치로서 구성하는 경우에, 송신 전력을 높게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배터리의 지속 시간의 장시간화에 효과적이다. 또한, 전송 레이트를 높게 할 수 있음에도, 변조 방식 등은 다식화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아날로그부에 대한 제한을 완화(혹은, 종래의 전송 레이트가 낮은 경우와 동일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송신측의 원리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수신측의 원리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송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송신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예에 의한 확산 상태의 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송신 처리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수신 구성의 일례(제1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도 7의 예에 의한 수신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수신 구성의 다른 예(제2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수신 구성의 다른 예(제3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종래의 송신 처리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2는 종래의 멀티 코드의 송신 처리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종래의 멀티 코드의 수신 처리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 1∼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송의 원리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송신측의 원리 구성을 도시하며, 도 2는 수신측의 원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송신측의 원리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송신 데이터를 분리부(11)에 공급한다. 분리부(11)에서는, 공급되는 송신 데이터를 2 계통으로 분리한다. 예를 들면, 1 단위(1 심볼)가 4 비트로 구성되는 송신 데이터인 경우에, 2 비트씩으로 분리하여, 어느 한쪽의 2 비트 데이터를 전환기(12)에 공급한다. 또한, 다른쪽의 2 비트 데이터를 전환기(12 및 15)에, 전환 제어 정보로서 공급한다.
전환기(12)에 공급된 어느 한쪽의 2 비트 데이터는,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확산 회로(13a, 13b,…13n) 중 어느 하나에 공급한다. 여기서는, 전환 제어 정보가 2 비트이기 때문에, n이 최대 4로 되며, 이 전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계의 확산 회로에, 2 비트 데이터를 공급한다. 또한, 이 전환 제어 정보는 송신 데이터로부터 분리한 2 비트 데이터이기 때문에, 1 심볼(4 비트)의 송신 데이터가 공급될 때마다, 전환기(12)에 의해 선발되는 계(系)가 변화된다.
각 확산 회로(13a, 13b,…13n)에서는, 각각 다른 직교 코드 c1, c2,…cN을 준비하고, 각각의 직교 코드를 2 비트 데이터에 승산하여 확산시킨다. 각 직교 코드 c1, c2,…cN은 미리 준비된 코드이며, 각 코드의 주기는 동일한 주기로 설정되어 있다. 각 확산 회로(13a, 13b, 13n)에 의해 확산된 데이터는, 각각 다른 변조 회로(14a, 14b,…14n)에 공급하여, 송신용으로 변조하고, 그 변조된 데이터를 전환기(15)에 공급한다. 전환기(15)는, 이 전환기(15)에 공급되는 n 계통의 데이터 중 1개를 선택하는 회로이며, 분리부(11)로부터 공급되는 전환 제어 정보(다른쪽의 2 비트 데이터)에 의해, 선택하는 계통이 제어되어, 전환기(12)에 의해 선택하는 계통과 동일한 계통이 선택된다. 그리고, 전환기(15)에 의해 선발된 데이터를 무선 송신시킨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한 수신계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면, 수신 데이터를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이며 송신측의 계통수 n과 동일함)의 역확산 회로(21a, 21b,…21n)에 공급한다. 각 역확산 회로(21a, 21b,…21n)에서는, 송신측의 확산 회로(13a∼13n)과 동일한 직교 코드 c1, c2,…cN을 준비하고, 각각의 직교 코드를 각 역확산 회로(21a, 21b,…21n)에 의해 수신 데이터에 승산하여, 역확산시킨다. 역확산된 수신 데이터는 전환기(22) 및 선택부(23)에 공급한다. 선택부(23)에서는, 공급된 n 계통의 수신 데이터 중에서, 올바르게 역확산된 계통의 수신 데이터를 1 심볼 단위로 선택하고, 그 선택된 계통에 기초하여 2 비트 데이터를 생성시켜, 그 2 비트 데이터를 전환 제어 정보로서 전환기(22)에 공급한다. 또한, 선택부(23)에 의해 생성된 2 비트 데이터를 합성부(25)에 수신 데이터로서 공급한다.
전환기(22)에서는, 공급된 전환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역확산 회로(21a, 21b,…21n)에 의해 역확산된 수신 데이터 중에서, 1 계통의 수신 데이터를 선택한다. 여기서는, 선택부(23)에 의해 올바르게 역확산되었다고 판단된 계통의 수신 데이터를 전환기(22)에 의해 선택하여 출력한다. 전환기(22)가 출력하는 수신 데이터는 복조기(24)에 공급하여, 송신 시에 실시된 변조 처리에 대응한 복조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1 심볼 2 비트의 데이터를 복조하여 얻는다. 복조하여 얻어진 1 심볼 2 비트의 수신 데이터는 합성부(25)에 공급한다. 합성부(25)에서는, 복조기(24)로부터 공급되는 1 심볼 2 비트의 데이터와, 선택부(23)로부터 공급되는 1 심볼 2 비트의 데이터를 합성하여, 1 심볼 4 비트의 데이터로 하고, 그 1 심볼 4 비트의 데이터를 수신 데이터로 한다.
도 3은, 이 도 1, 도 2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송수신한 경우의 전송 상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송신 시에, 송신 데이터의 확산에 사용하는 직교 코드로서, 4개의 직교 코드 c1, c2, c3, c4를 준비하여, 소정의 송신 전력으로 송신시킨 예로 되어 있으며, 각각의 직교 코드 c1, c2, c3, c4마다의 송신 전력을 도 3의 (a), (b), (c), (d)에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송신 전력이 높아져 있는 심볼의 구간이, 그 직교 코드를 사용하여 확산한 신호가 송신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송신측의 분리부(11)에 의해 분리된 다른쪽 2 비트가 00일 때 직교 코드 c1에 의한 확산을 선택하고, 01일 때 직교 코드 c2에 의한 확산을 선택하며, 10일 때 직교 코드 c3에 의한 확산을 선택하고, 11일 때 직교 코드 c4에 의한 확산을 선택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의 (e), (f), (g), (h)는, 수신측에서 4개의 직교 코드 c1, c2, c3, c4를 준비하여 역확산시킨 신호의 수신 전력을 나타내고 있다. 역확산시킨 신호의 수신 전력이 높아지는 구간에 대해서는, 동일한 직교 코드를 사용하여 확산시킨 신호의 송신 전력이 높아져 있는 구간과 일치하고, 그 수신 전력이 높아진 구간의 신호가, 올바르게 역확산된 신호인 수신측의 선택부(23)에 의해 판단되어, 직교 코드의 선택 정보가 도 3의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심볼 단위로 변화된다.
수신측에서는, 이 도 3의 (i)에 나타내는 직교 코드의 선택 정보가, 1 심볼 4 비트 중 2 비트의 수신 데이터로서 사용되며, 각 심볼마다 4 비트의 데이터가 수신되게 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측에서 1 심볼마다의 2 비트의 데이터로부터 4개의 직교 코드를 선택한 경우, 직교 코드 c1에 의한 역확산된 신호가 선발되었을 때, 2 비트 데이터로서 00으로 하며, 직교 코드 c2에 의해 역확산된 신호가 선발되었을 때, 2 비트 데이터로서 01로 하고, 직교 코드 c3에 의해 역확산된 신호가 선발되었을 때, 2 비트 데이터로서 10으로 하며, 직교 코드 c4에 의해 역확산된 신호가 선발되었을 때, 2 비트 데이터로서 11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직교 코드의 선택 정보에 대해서도 수신 데이터로서 사용됨으로써, 무선 전송로에서는 1 심볼당 2 비트밖에 전송하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수신 데이터로서 1 심볼당 4 비트의 데이터가 얻어지게 된다. 따라서, 송신 전력의 제한이 엄격한 경우라도, 효과적으로 전송 레이트를 높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구체적인 전송 처리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예에 의한 송신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이 예에서는 사용자 정보와 제어 정보를 합성하여 무선 전송시키는 예로 되어 있다. 사용자 정보 확산부(100)는, 입력한 사용자 정보를 분리부(101)에 공급하여, 1 심볼당 1 비트의 데이터와 2 비트의 데이터로 분리한다. 분리부(101)에 의해 분리된 1 비트/1 심볼의 데이터는 전환기(102)에 공급하고, 4개의 맵핑 회로(103a∼103d) 중 어느 하나에 공급한다. 그 맵핑 회로(103a∼103d)를 선택하는 정보로서는, 분리부(101)에 의해 분리된 1 심볼당 2 비트의 데이터가 사용된다.
4개의 맵핑 회로(103a∼103d)는, 공급되는 데이터가 0 데이터인 경우에 1, 1 데이터인 경우에 -1로 맵핑한다. 맵핑 회로(103a∼103d)의 출력은, 각각 다른 확산 회로(104a∼104d)에 공급하고, 각각 다른 확산 회로(104a∼104d)에 의해, 각각 다른 직교 코드를 승산하여 확산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는, 확산 회로(104a)에 의해 직교 코드 c〔16, 8〕를 승산하고, 확산 회로(104b)에 의해 직교 코드 c〔16, 9〕를 승산하며, 확산 회로(104c)에 의해 직교 코드 c〔16, 10〕를 승산하고, 확산 회로(104d)에 의해 직교 코드 c〔16, 11〕를 승산한다. 덧붙여서, 각 직교 코드에 부여한 숫자는 최초의 16이 직교 코드의 주기를 나타내며, 16 주기의 직교 코드는 16 종류 존재하고, 그 후의 숫자(여기서는, 8, 9, 10, 11)는, 16 종류 중 몇번째(즉, 8번째, 9번째, 10번째, 11번째)의 직교 코드인지를 나타내고 있다. 복수의 직교 코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직교성을 잃지 않는 조합의 직교 코드를 선택할 필요가 있지만, 그 조합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확산 회로(104a∼104d)에서, 직교 코드의 승산에 의한 확산된 사용자 정보(확산 신호)가, 전환기(105)에 공급되어 어느 하나의 확산 회로의 출력이 선택된다. 전환기(105)에 대해서도, 전환기(102)와 마찬가지로, 분리부(101)에 의해 분리된 1 심볼당 2 비트의 데이터가 사용되므로, 2개의 전환기(102, 105)에 의해 동시에 연동하여 전환이 행해진다. 전환기(105)에 의해 선택된 확산 신호는, 사용자 정보 확산부(100)의 출력으로서, 전력 증폭부(111)에 공급하고, 그 때에 설정되는 송신 전력에 따른 증폭 처리를 행하여, 증폭된 신호를 합성기(112)에 공급한다.
또한, 제어 정보에 대해서는, 확산 회로(113)에 의해 직교 코드 c〔256, 0〕를 승산하여 확산하고, 그 확산 신호를 전력 증폭부(114)에 공급하며, 그 때에 설정되는 송신 전력에 따른 증폭 처리를 행하고, 증폭된 신호를 복소화 회로(115)를 통해 합성기(112)에 공급한다.
합성기(112)에서는, 확산된 사용자 정보를 I 채널의 신호로 하고, 확산된 제어 정보를 Q 채널의 신호로 하여, 합성 신호(I+jQ)를 생성시켜, 그 합성 신호를 스크램블 회로(116)에 공급하고, 스크램블링 코드(116)를 복소 승산하여, 스크램블된 송신 신호를 생성시키며, 그 송신 신호를 무선 송신시킨다.
도 5는, 사용자 정보 확산부(100) 내의 확산 회로에서의 확산 처리 상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면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맵핑 후의 사용자 정보가 얻어진 경우에, 도 5의 (b)에 나타낸 주기 SF16의 직교 코드를 사용자 정보에 승산함으로써, 도 5의 (c)에 나타낸 확산 후의 신호가 얻어진다.
도 6은, 이와 같이 하여 데이터가 송신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는, 전환기(102)에 의해 분리된 송신하는 측의 사용자 정보를 1 심볼 단위(1 비트)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의 (b)는, 전환기(102)에 의해 분리된 전환 정보로서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1 심볼 단위(2 비트)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b)에 나타내는 전환 정보로서의 2 비트 데이터로,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할 직교 코드가 정해진다. 사용할 직교 코드가 결정됨으로써, 도 6의 (a)에 나타내는 사용자 정보가 도 6의 (c)에 나타내는 직교 코드에 승산된 출력 데이터(도 6의 (d))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하여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의 예를 설명한다. 먼저, 제1 수신 구성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얻은 수신 데이터는 디스크램블 회로(121)에 공급하고, 스크램블링 코드를 복소 승산하여, 디스크램블한 수신 데이터를 얻는다. 얻어진 수신 데이터는 역확산 회로(122)에 공급하고, 송신측에서 제어 정보의 확산에 사용한 직교 코드 c[256, 0〕를 승산하여 역확산하고, 그 역확산된 신호를 파일럿 신호 추출부(123)에 공급하여,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파일럿 신호를 추출한다. 그 추출된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위상 추정부(124)에 의해 수신 신호 위상을 추정한다.
또한, 디스크램블 회로(121)에 의해 디스크램블한 수신 데이터를 위상 보정부(125)에 공급하고, 위상 추정부(124)에 의해 추정한 위상에 기초하여,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정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그 위상 보정된 수신 데이터를 직교 성분 분리부(126)에 공급하고, 직교된 성분의 내의 I 성분을 추출한다. 추출된 I 성분은 4개의 역확산 회로(127a∼127d)에 공급한다. 이 4개의 역확산 회로(127a∼127d)에서는, 송신측에서 사용된 4개의 직교 코드와 동일한 4개의 직교 코드 c〔16, 8〕, c〔16, 9〕, c[16, 10〕, c[16, 11〕를 준비하여, 각 역확산 회로(127a∼127d)에서 개별적으로 수신 데이터에 승산하여, 역확산 처리를 행한다.
개별적으로 역확산된 4 계통의 수신 데이터는 전환부(128)에 공급하여, 1 계통의 수신 데이터만을 선택한다. 이 선택을 행하기 위해, 각 역확산 회로(127a∼127d)가 출력하는 수신 데이터를 검출부(129)에 공급하고, 올바르게 역확산된 수신 데이터가 4 계통 중 어느 것인지를 판별하여, 그 판별한 계통의 수신 데이터를 전환부(128)에 의해 선택시킨다. 이 검출부(129)에 의한 검출, 및 전환부(128)에 의한 선택은 1 심볼 단위로 실행된다.
전환부(128)에 의해 선택된 수신 데이터는 제1 판정부(130)에 공급하고, 1 심볼마다 1 비트의 수신 데이터를 판정하는 복조 처리가 행해지며, 그 판정된 1 비트/1 심볼을 합성부(132)에 공급한다.
또한, 검출부(129)에 의해 검출한 올바른 수신 데이터의 계열의 정보를 제2 판정부(131)에 공급하고, 올바른 수신 데이터의 계열의 정보에 기초하여, 그 수신 데이터의 역확산에 사용한 직교 코드로부터, 1 심볼 단위로 2 비트의 데이터를 얻는다. 이 1 심볼 단위로 2 비트의 데이터를 얻는 처리로서는, 송신측에서의 직교 코드의 전환 정보로서의 2 비트 데이터와 사용하는 직교 코드와의 대응과 동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직교 코드에 기초하여, 원래의 2 비트/1 심볼의 데이터가 얻어진다.
제2 판정부(131)에서 얻어진 2 비트/1 심볼의 데이터는, 합성부(132)에 공급한다. 합성부(132)에서는, 제1 판정부(130)로부터 공급된 1비트/1 심볼의 데이터와, 제2 판정부(131)로부터 공급된 2 비트/1 심볼의 데이터를 합성하여, 1 심볼당 3 비트의 수신 데이터를 얻는다. 이 3 비트/1 심볼의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정보로서 출력시킨다.
여기서, 검출부(129)에 의한 검출(판정)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7에 도시한 구성의 검출부(129)에 공급되는 정보는 스칼라량이다. 각 직교 코드는 상호 직교되어 있기 때문에, 본래 사용되고 있는 코드 이외의 출력은 제로로 된다. 그러나, 수신된 신호에는 노이즈가 존재하기 때문에, 완전하게는 제로로 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사용되고 있는 코드와 사용되고 있지 않은 코드로부터의 신호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분포로 되며, 사용되고 있지 않은 직교 코드에 의한 역확산부로부터의 신호에 대해서는, 0의 근방으로 되며, 사용되고 있는 직교 코드에 의한 역확산부로부터의 신호에 대해서는, 데이터가 「+1」인 경우에 특정한 값 A의 근방으로 되고, 데이터가 「-1」인 경우에 특정한 값 A와는 부호가 반전된 값 -A의 근방으로 된다. 값 A는, 전파로에서의 게인이나 송신 전력에 따라 변화된다. 이 시점에서 송신되어 있는 신호가 ±1이라는 것은 판별할 수 없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절대값을 취하여 판별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사용되고 있는 직교 코드로부터의 신호는 값 A의 부근에 분포하게 되므로, 최대값을 선택함으로써 사용되고 있는 코드의 판정(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의, 제2 수신 구성예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9에서, 제1 수신 구성예를 도시한 도 7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얻은 수신 데이터는, 디스크램블 회로(121)에 공급하여, 스크램블링 코드를 복소 승산하여, 디스크램블한 수신 데이터를 얻는다. 얻어진 수신 데이터는, 역확산 회로(122)에 공급하여, 송신측에서 제어 정보의 확산에 사용한 직교 코드 c〔256, 0〕를 승산하여 역확산하고, 그 역확산된 신호를 파일럿 신호 추출부(123)에 공급하여,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파일럿 신호를 추출한다. 그 추출된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위상 추정부(124)에 의해 수신 신호 위상을 추정한다.
그리고, 디스크램블 회로(121)에 의해 디스크램블한 수신 데이터를 4개의 역확산 회로(127a∼127d)에 공급한다. 이 4개의 역확산 회로(127a∼127d)에서는. 송신측에서 사용된 4개의 직교 코드와 동일한 4개의 직교 코드 c〔16, 8〕, c〔16, 9〕, c〔16, 10〕, c〔16, 11〕를 준비하여, 각 역확산 회로(127a∼127d)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신 데이터에 승산하여, 역확산 처리를 행한다.
개별적으로 역확산된 4 계통의 수신 데이터는, 각각 다른 위상 보정부(141a∼141d)에 공급하고, 위상 추정부(124)에 의해 추정된 수신 신호 위상에 기초하여, 역확산된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정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그 위상 보정된 수신 데이터를 각 계통마다 직교 성분 분리부(142a∼142d)에 공급하여, 직교된 성분의 내의 I 성분을 추출한다. 추출된 각 계통의 I 성분은 전환부(128)에 공급하여, 1 계통의 수신 데이터만을 선택한다. 이 선택을 행하기 위해, 각 역확산 회로(127a∼127d)가 출력하는 수신 데이터를 검출부(129)에 공급하여, 올바르게 역확산된 수신 데이터가 4 계통 중 어느 것인지를 판별하고, 그 판별한 계통의 수신 데이터를 전환부(128)에 의해 선택시킨다. 이 검출부(129)에 의한 검출, 및 전환부(128)에 의한 선택은 1 심볼 단위로 실행된다.
전환부(128)에 의해 선택된 수신 데이터는, 제1 판정부(130)에 공급하여, 1 심볼마다 1 비트의 수신 데이터를 판정하는 복조 처리가 행해지며, 그 판정된 1 비트/1 심볼을 합성부(132)에 공급한다.
또한, 검출부(129)에 의해 검출한 올바른 수신 데이터의 계열의 정보를 제2 판정부(131)에 공급하고, 올바른 수신 데이터의 계열의 정보에 기초하여, 그 수신 데이터의 역확산에 사용한 직교 코드로부터, 1 심볼 단위로 2 비트의 데이터를 얻는다. 이 1 심볼 단위로 2 비트의 데이터를 얻는 처리로서는, 송신측에서의 직교 코드의 전환 정보로서의 2 비트 데이터와 사용하는 직교 코드와의 대응과 동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직교 코드에 기초하여, 원래의 2 비트/1 심볼의 데이터가 얻어진다.
이 도 9의 구성인 경우에는, 도 7의 구성과 비교하여, 위상 보정을 역확산 후의 심볼 레벨로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도 7의 수신 구성인 경우와 마찬가지의 수신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 도 9의 예에 의하면, 도 7의 구성보다도 수신 처리량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의, 제3 수신 구성예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 10에서, 제1, 제2 수신 구성예를 나타낸 도 7, 도 9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얻은 수신 데이터는, 디스크램블 회로(121)에 공급하여, 스크램블링 코드를 복소 승산하여, 디스크램블한 수신 데이터를 얻는다. 얻어진 수신 데이터는, 역확산 회로(122)에 공급하여, 송신측에서 제어 정보의 확산에 사용한 직교 코드 c〔256, 0〕를 승산하여 역확산하고, 그 역확산된 신호를 파일럿 신호 추출부(123)에 공급하여, 제어 정보에 포함되는 파일럿 신호를 추출한다. 그 추출된 파일럿 신호에 기초하여, 위상 추정부(124)로 수신 신호 위상을 추정한다.
그리고, 디스크램블 회로(121)에 의해 디스크램블한 수신 데이터를 4개의 역확산 회로(127a∼127d)에 공급한다. 이 4개의 역확산 회로(127a∼127d)에서는, 송신측에서 사용된 4개의 직교 코드와 동일한 4개의 직교 코드 c[16, 8〕, c〔16, 9〕, c〔16, 10〕, c〔16, 11〕를 준비하여, 각 역확산 회로(127a∼127d)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신 데이터에 승산하여, 역확산 처리를 행한다.
개별적으로 역확산된 4 계통의 수신 데이터는 전환부(128)에 공급하여, 1 계통의 수신 데이터만을 선택한다. 이 선택을 행하기 위해, 각 역확산 회로(127a∼127d)가 출력하는 수신 데이터를 검출부(129)에 공급하여, 올바르게 역확산된 수신 데이터가 4 계통 중 어느 것인지를 판별하고, 그 판별한 계통의 수신 데이터를 전환부(128)로 선택시킨다. 이 검출부(129)에 의한 검출, 및 전환부(128)에 의한 선택은 1 심볼 단위로 실행된다.
전환부(128)에 의해 선택된 수신 데이터는 위상 보정부(125)에 공급하고, 위상 추정부(124)에 의해 추정된 수신 신호 위상에 기초하여, 역확산된 수신 데이터의 위상 보정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그 위상 보정된 수신 데이터를 직교 성분 분리부(126)에 공급하여, 직교된 성분의 내의 I 성분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I 성분을 제1 판정부(130)에 공급하여, 1 심볼마다 1 비트의 수신 데이터를 판정하는 복조 처리를 행하며, 그 판정된 1 비트/1 심볼을 합성부(132)에 공급한다.
또한, 검출부(129)에 의해 검출한 올바른 수신 데이터의 계열의 정보를 제2 판정부(131)에 공급하고, 올바른 수신 데이터의 계열의 정보에 기초하여, 그 수신 데이터의 역확산에 사용한 직교 코드로부터, 1 심볼 단위로 2 비트의 데이터를 얻는다. 이 1 심볼 단위로 2 비트의 데이터를 얻는 처리로서는, 송신측에서의 직교 코드의 전환 정보로서의 2 비트 데이터와 사용하는 직교 코드와의 대응과 동일하게 되어 있어서, 직교 코드에 기초하여, 원래의 2 비트/1 심볼의 데이터가 얻어진다.
이 도 10의 구성의 경우에는, 위상 보정이나 직교 성분의 분리 처리를 행하기 전에, 올바른 수신 데이터를 선택하는 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검출부(129)에서는 직교 코드의 검출을, 예를 들면 수신 전력에 의해 판정하게 되지만, 도 7, 도 9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수신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도 10의 구성의 경우에도, 도 7의 구성보다도 수신 처리량을 줄일 수 있다.
덧붙여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송 신호의 1 심볼마다 사용하는 직교 코드를 전환하도록 하였지만, 2 심볼 등의 복수 심볼 단위로, 확산용 직교 코드를 전환하도록 하여도 된다. 단, 복수 심볼 단위로 하면, 그만큼 직교 코드의 선택에 기초하여 전송되는 데이터량이 적어져서, 전송 레이트가 낮아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1 심볼마다의 데이터의 비트 수 등도 일례를 나타낸 것이며, 그 밖의 비트 수로 각 심볼을 구성시켜도 된다. 또한, 송신측에서의 변조 방식이나 수신측에서의 복조 방식에 대해서도, 특별히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았지만, 종래부터 이러한 종류의 전송에 적용되고 있는 각종 변조 방식이나 복조 방식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여기까지 설명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시킬 수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시킬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을 컴퓨터 장치 등의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인스톨하고, 그 프로그램을 컴퓨터 장치 등에 의해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송신 장치나 수신 장치가 기능적으로 실현된다.

Claims (18)

  1.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심볼 단위마다 제1 데이터 열과 제2 데이터 열로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제2 데이터 열에 따라, 미리 준비된 복수의 직교 코드 중에서 1개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코드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열을 확산하며,
    상기 확산된 제1 데이터 열을 소정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하여 송신하는 데이터 송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열에 따라 선택되는 복수의 직교 코드는 동일한 주기의 코드인 데이터 송신 방법.
  3. 수신 신호를 미리 준비된 복수의 직교 코드에 의해 개별적으로 역확산하고,
    상기 역확산된 각각의 수신 신호 중에서, 올바른 직교 코드에 의해 역확산된 신호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신호를 소정의 복조 방식에 의해 복조하여, 제1 수신 데이터 열을 얻고,
    상기 선택에 의해 선발된 올바른 직교 코드에 대응한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얻으며,
    상기 제1 수신 데이터 열과 상기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합성하여, 수신 데이터를 얻는 데이터 수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준비된 복수의 직교 코드는 동일한 주기의 코드인 데이터 수신 방법.
  5.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에서,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심볼 단위마다 제1 데이터 열과 제2 데이터 열로 분리하고,
    분리된 상기 제2 데이터 열에 따라, 미리 준비된 복수의 직교 코드 중에서 1개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코드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열을 확산하며,
    상기 확산된 제1 데이터 열을 소정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직교 코드와 동일한 복수의 직교 코드에 의해 개별적으로 역확산하고,
    상기 역확산된 각각의 수신 신호 중에서, 올바른 직교 코드에 의해 역확산된 신호를 선택하며,
    상기 선택된 신호를 소정의 복조 방식에 의해 복조하여, 제1 수신 데이터 열을 얻고,
    상기 선택에 의해 선발된 올바른 직교 코드에 대응한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얻으며,
    상기 제1 수신 데이터 열과 상기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합성하여, 수신 데이터를 얻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송신측 및 수신측에서 준비되는 상기 복수의 직교 코드는, 동일한 주기의 코드인 데이터 전송 방법.
  7.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심볼 단위마다 제1 데이터 열과 제2 데이터 열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상기 제2 데이터 열에 따라, 미리 준비된 복수의 직교 코드 중에서 1개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코드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열을 확산하는 확산 수단과,
    상기 확산된 제1 데이터 열을 소정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하는 변조 수단
    을 구비한 데이터 송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열에 따라 선택되는 복수의 직교 코드는, 동일한 주기의 코드인 데이터 송신 장치.
  9.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심볼 단위마다 제1 데이터 열과 제2 데이터 열로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상기 제2 데이터 열에 따라, 미리 준비된 복수의 직교 코드 중 대응하는 코드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열을 확산하는 확산 회로와,
    상기 확산된 제1 데이터 열을 소정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하는 변조 회로
    를 구비한 데이터 송신 장치.
  10. 수신 신호를, 미리 준비된 복수의 직교 코드에 의해 개별적으로 역확산하는 역확산 수단과,
    상기 역확산된 각각의 수신 신호 중에서, 올바른 직교 코드에 의해 역확산된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신호를 소정의 복조 방식에 의해 복조하여, 제1 수신 데이터 열을 얻는 복조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에 의해 선발된 올바른 직교 코드에 대응한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얻어, 상기 제1 수신 데이터 열과 상기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합성하여, 수신 데이터를 얻는 합성 수단
    을 구비한 데이터 수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준비된 복수의 직교 코드는, 동일한 주기의 코드인 데이터 수신 장치.
  12. 수신 신호를, 미리 준비된 복수의 직교 코드에 의해 개별적으로 역확산하는 역확산 회로와,
    상기 역확산된 각각의 수신 신호 중에서, 올바른 직교 코드에 의해 역확산된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신호를 소정의 복조 방식에 의해 복조하여, 제1 수신 데이터 열을 얻는 복조기와,
    상기 선택부에 의한 선택에 의해 선발된 올바른 직교 코드에 대응한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얻어, 상기 제1 수신 데이터 열과 상기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합성하여, 수신 데이터를 얻는 합성부
    를 구비한 데이터 수신 장치.
  13.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측으로서,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심볼 단위마다 제1 데이터 열과 제2 데이터 열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상기 제2 데이터 열에 따라, 미리 준비된 복수의 직교 코드 중에서 1개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코드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열을 확산하는 확산 수단과,
    상기 확산 수단에 의해 확산된 제1 데이터 열을 소정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하여 송신 신호로 하는 변조 수단
    을 구비하며,
    수신측으로서,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직교 코드와 동일한 복수의 직교 코드에 의해 개별적으로 역확산하는 역확산 수단과,
    상기 역확산된 각각의 수신 신호 중에서, 올바른 직교 코드에 의해 역확산된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신호를 소정의 복조 방식에 의해 복조하여, 제1 수신 데이터 열을 얻는 복조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에 의해 선발된 올바른 직교 코드에 대응한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얻어, 상기 제1 수신 데이터 열과 상기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합성하여, 수신 데이터를 얻는 합성 수단을 구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송신측 및 수신측에서 준비되는 상기 복수의 직교 코드는, 동일한 주기의 코드인 데이터 전송 시스템.
  15.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송신측으로서,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심볼 단위마다 제1 데이터 열과 제2 데이터 열로 분리하는 분리부와,
    상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상기 제2 데이터 열에 따라, 미리 준비된 복수의 직교 코드 중 대응하는 코드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열을 확산하는 확산 회로와,
    상기 확산 회로에 의해 확산된 제1 데이터 열을 소정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하여 송신 신호로 하는 변조 회로
    를 구비하고,
    수신측으로서,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직교 코드와 동일한 복수의 직교 코드에 의해 개별적으로 역확산하는 역확산 회로와,
    상기 역확산된 각각의 수신 신호 중에서, 올바른 직교 코드에 의해 역확산된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신호를 소정의 복조 방식에 의해 복조하여, 제1 수신 데이터 열을 얻는 복조기와,
    상기 선택부에 의한 선택에 의해 선발된 올바른 직교 코드에 대응한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얻어, 상기 제1 수신 데이터 열과 상기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합성하여, 수신 데이터를 얻는 합성부를 구비한 데이터 전송 시스템.
  16. 데이터 송신 장치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신 장치는,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심볼 단위마다 제1 데이터 열과 제2 데이터 열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상기 제2 데이터 열에 따라, 미리 준비된 복수의 직교 코드 중에서 1개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코드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열을 확산하는 확산 수단과,
    상기 확산된 제1 데이터 열을 소정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하는 변조 수단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
  17. 데이터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수신 신호를, 미리 준비된 복수의 직교 코드에 의해 개별적으로 역확산하는 역확산 수단과,
    상기 역확산된 각각의 수신 신호 중에서, 올바른 직교 코드에 의해 역확산된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신호를 소정의 복조 방식에 의해 복조하여, 제1 수신 데이터 열을 얻는 복조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에 의해 선발된 올바른 직교 코드에 대응한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얻어, 상기 제1 수신 데이터 열과 상기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합성하여, 수신 데이터를 얻는 합성 수단
    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
  18.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장치로서,
    입력한 데이터를, 소정의 심볼 단위마다 제1 데이터 열과 제2 데이터 열로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상기 분리 수단에 의해 분리된 상기 제2 데이터 열에 따라, 미리 준비된 복수의 직교 코드 중에서 1개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코드에 의해 상기 제1 데이터 열을 확산하는 확산 수단과,
    상기 확산 수단에 의해 확산된 제1 데이터 열을 소정의 변조 방식에 의해 변조하여 송신 신호로 하는 변조 수단
    을 구비하며,
    데이터 수신 장치로서,
    상기 송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직교 코드와 동일한 복수의 직교 코드에 의해 개별적으로 역확산하는 역확산 수단과,
    상기 역확산된 각각의 수신 신호 중에서, 올바른 직교 코드에 의해 역확산된 신호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신호를 소정의 복조 방식에 의해 복조하여, 제1 수신 데이터 열을 얻는 복조 수단과,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에 의해 선발된 올바른 직교 코드에 대응한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얻어, 상기 제1 수신 데이터 열과 상기 제2 수신 데이터 열을 합성하여, 수신 데이터를 얻는 합성 수단
    을 구비한 통신 단말기.
KR1020047017796A 2003-03-07 2004-03-05 데이터 수신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통신 단말기 KR1010572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62415A JP2004274403A (ja) 2003-03-07 2003-03-07 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JP-P-2003-00062415 2003-03-07
PCT/JP2004/002901 WO2004079959A1 (ja) 2003-03-07 2004-03-05 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受信方法、データ伝送方法、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伝送システム、並びに通信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301A true KR20050104301A (ko) 2005-11-02
KR101057286B1 KR101057286B1 (ko) 2011-08-16

Family

ID=3295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796A KR101057286B1 (ko) 2003-03-07 2004-03-05 데이터 수신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200179B2 (ko)
EP (1) EP1603260A4 (ko)
JP (1) JP2004274403A (ko)
KR (1) KR101057286B1 (ko)
WO (1) WO20040799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41214B (zh) * 2006-09-08 2012-12-19 华为技术有限公司 信号收发方法及装置
US8848913B2 (en) * 2007-10-04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Scrambling sequence gen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787181B2 (en) * 2008-01-14 2014-07-22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randomization
US8923249B2 (en) * 2008-03-26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crambling sequence gene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JP5621004B2 (ja) * 2010-12-27 2014-11-05 株式会社数理設計研究所 シフト法によるデータ通信装置、及び、データ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46A (ja) * 1992-07-07 1994-0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ペクトラム拡散方式通信装置
JP3229415B2 (ja) * 1993-01-08 2001-11-19 株式会社リコー スペクトル拡散通信方法
JPH07170210A (ja) * 1993-12-16 1995-07-04 Nec Corp スペクトラム拡散変復調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変調器・ 復調器
JP2658939B2 (ja) * 1995-01-30 1997-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ペクトラム拡散装置及びスペクトラム逆拡散装置
JPH08288787A (ja) * 1995-04-10 1996-11-01 Canon Inc 弾性表面波素子装置、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ステム
JPH098696A (ja) 1995-06-16 1997-01-10 Toshiba Corp スペクトル拡散通信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スペクトル拡散変調装置並びに復調装置
US7072380B2 (en) * 1995-06-30 2006-07-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Apparatus for initial power control for spread-spectrum communications
JP3385299B2 (ja) * 1996-05-20 2003-03-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ペクトル拡散通信装置
JPH1013918A (ja) * 1996-06-19 1998-01-16 Toshiba Corp 符号分割多元接続方式を採用した移動通信システムとその無線通信装置
JPH1022874A (ja) * 1996-07-09 1998-01-23 Hitachi Ltd Cdma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H1098449A (ja) * 1996-09-25 1998-04-14 Canon Inc 情報信号通信装置及び方法
EP1965521B1 (en) * 1997-05-16 2013-11-20 NTT DoCoMo, Inc. Variable rate transmission method and reception methods, and variable rate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s
US6094450A (en) * 1997-06-20 2000-07-25 Cincinnati Electronics Corporation Spread spectrum chip shift keying modulation/demodulation system and method
GB2346295B (en) * 1998-07-24 2003-08-20 Toshiba Kk CDMA mobile terminal device
US20020039388A1 (en) * 2000-02-29 2002-04-04 Smart Kevin J. High data-rate powerline network system and method
JP2002152086A (ja) * 2000-11-10 2002-05-24 Yrp Mobile Telecommunications Key Tech Res Lab Co Ltd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方法および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
KR100353641B1 (ko) * 2000-12-21 2002-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 전송 안테나다이버시티 장치 및 방법
US7035201B2 (en) * 2001-04-20 2006-04-25 Mediatek Inc. Programmable transceiver structure of multi-rate OFDM-CDMA for wireless multimedia communications
JP2003061142A (ja) * 2001-08-09 2003-0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dma移動通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7453837B2 (en) * 2002-08-15 2008-11-18 Zteit Usa, Inc. Trunking system for CDMA wireless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00179B2 (en) 2007-04-03
US20070025462A1 (en) 2007-02-01
KR101057286B1 (ko) 2011-08-16
WO2004079959A1 (ja) 2004-09-16
US20050213638A1 (en) 2005-09-29
EP1603260A4 (en) 2014-11-19
JP2004274403A (ja) 2004-09-30
EP1603260A1 (en)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62418C (en) Multi-carrier cdma transmission system signal format
KR100669832B1 (ko) 복소 스크램블링 코드 시퀀스를 발생하는 방법 및 장치
US83257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US8270600B2 (en) Downlink scrambling method and base station
KR100294711B1 (ko) 최적의 파일럿 심볼을 이용한 프레임 동기 방법
US20090323642A1 (en) Transmitter, receive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ynchronization channel
EP1560359A1 (en) OFDM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0293894B1 (ko) Cdma무선전송시스템
JP200524496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送信装置、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A2742653C (en) Time-division multiplexed pilot signal for integrated mobile broadcasts
KR20000002254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057286B1 (ko) 데이터 수신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데이터 전송 시스템과, 통신 단말기
KR2007002356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송신 다이버시티 방법 및 기지국송신기
JP4180343B2 (ja) スペクトル拡散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331870B1 (ko) 파일럿 패턴 할당 및 배치 방법
JP2004072506A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送信方法
KR20020021618A (ko) 직접 시퀀스 스펙트럼 확산 통신에서 소프트 심볼을추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2171207A (ja) Cdma通信装置及びcdma通信方法
CA2620101A1 (en) Quadriphase spreading codes i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s
KR20030069939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시간 스위칭 송신 다이버시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