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022A -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022A
KR20050104022A KR1020040029177A KR20040029177A KR20050104022A KR 20050104022 A KR20050104022 A KR 20050104022A KR 1020040029177 A KR1020040029177 A KR 1020040029177A KR 20040029177 A KR20040029177 A KR 20040029177A KR 20050104022 A KR20050104022 A KR 20050104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enlarged
reduced
ratio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진
최미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9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4022A/ko
Publication of KR20050104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02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3Configuration of print job parameters, e.g. using UI at the client
    • G06F3/1256User feedback, e.g. print preview, test print, proofing, pre-flight che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장치에서, 페이지(page)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인쇄하는 경우,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 하는 비율 뿐 아니라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를 설정하여 인쇄하고, 실제인쇄영역을 대상으로 하여 원하는 용지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 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방법은 (a)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하는 비율 또는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를 입력하는 단계; (b) 비율이 입력된 경우 상기 비율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를 계산하고, 용지의 크기가 입력된 경우 상기 크기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되는 비율을 계산하여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비율 또는 크기에 따라 인쇄될 페이지의 문서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및 (d) 변환된 문서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입력한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를 이용하여 확대 또는 축소인쇄를 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율을 계산하여야 하는 불편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실제출력영역에 대해 확대 또는 축소를 함으로써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면적을 최대로 활용하여 인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enlarge and reduce printing}
본 발명은 인쇄장치에서 페이지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인쇄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 하는 비율 뿐 아니라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를 설정하여 인쇄하고, 실제인쇄영역을 추출하여 원하는 용지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장치를 이용하여 인쇄를 하는 경우, 프린터 드라이버(driver)는 용지를 절약하기 위해 크기가 큰 문서를 축소하여 복수의 페이지가 하나의 용지에 인쇄되도록 하거나, 크기가 작은 문서를 적당한 크기의 문서로 확대하여 인쇄하는 확대 및 축소인쇄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1에 도시된 확대 또는 축소인쇄 방법은, 사용자가 스케일링 타입(Scaling Type)으로 확대 또는 축소기능(Reduce/Enlarge)을 선택하고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하는 비율(Percentage)을 입력하면, 입력한 비율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를 미리 보여주고, 미리보기(Preview)한 용지의 크기에 따라 사용자가 인쇄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확대 또는 축소인쇄를 한다.
도 2는 일반적인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에 의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인쇄할 페이지의 일부에 실제 인쇄되는 영역이 있는 경우, 확대 또는 축소인쇄 시 실제 인쇄되는 영역 이외의 비어있는 영역도 확대 또는 축소인쇄 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확대 및 축소인쇄방법에 따라 인쇄하는 경우,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인쇄하고자 하는 페이지를 특정한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 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직접 원본 페이지의 크기와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를 비교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하는 비율을 직접 계산하여 입력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인쇄하고자하는 페이지 중 실제 인쇄되는 영역이외의 빈 영역도 확대 또는 축소인쇄함으로써, 확대 또는 축소인쇄 된 용지에 불필요한 빈 영역이 포함되어 용지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확대 또는 축소인쇄 시 사용자가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하는 비율을 직접 계산하여 입력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빈 영역의 인쇄로 인한 용지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특히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 하는 비율 뿐 아니라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를 설정하여 인쇄하고, 실제인쇄영역을 대상으로 하여 원하는 용지 크기로 확대 또는 축소인쇄할 수 있도록 하는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확대 및 축소인쇄 방법은,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하는 비율 또는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를 입력하는 단계; 비율이 입력된 경우 상기 비율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를 계산하고, 용지의 크기가 입력된 경우 상기 크기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된 비율을 계산하여 표시하는 단계; 상기 비율 또는 크기에 따라 문서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문서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제 인쇄영역을 대상으로 한 확대 및 축소인쇄방법은 (a)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를 입력하는 단계; (b) 인쇄할 페이지 중 실제 인쇄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와 상기 실제 인쇄되는 영역의 크기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d) 상기 비율로 인쇄될 페이지의 문서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및 (c) 변환된 문서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c)단계는 문서데이터가 비트맵 또는 글자인 경우, 비트맵 또는 글자의 시작위치와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문서데이터가 선인 경우, (c1) 선 중 유효영역에 포함되는 선을 추출하는 단계; 및 (c2) 상기 추출된 선의 시작되는 위치와 끝나는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확대 및 축소인쇄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하는 비율 또는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입력부; 상기 비율 또는 크기를 입력으로 받아 각 각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 또는 확대 또는 축소되는 비율을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비율 또는 크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문서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문서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제 인쇄영역을 대상으로 한 확대 및 축소인쇄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입력부; 상기 인쇄할 페이지 중 실제 인쇄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인쇄영역추출부; 상기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와 상기 실제 인쇄되는 영역의 크기의 비율을 계산하는 비율계산부; 상기 비율을 확대 또는 축소하는 비율로 하여, 문서데이터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변환부; 및 변환된 문서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 및 축소 인쇄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인쇄장치는 사용자입력부(300), 계산부(310), 데이터변환부(320), 인쇄부(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입력부(300)는 사용자가 입력한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하는 비율 또는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 즉 용지의 길이 또는 폭을 받아, 비율 또는 용지 크기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계산부(310)는 상기 사용자입력부(300)로부터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하는 비율을 입력으로 받은 경우, 비율로부터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길이를 계산하여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입력부(300)로부터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 크기를 입력으로 받은 경우, 용지 크기로부터 확대 또는 축소되는 비율을 계산하여 출력한다.
데이터변환부(320)는 상기 계산부(310)로부터 받은 확대 또는 축소되는 비율 또는 용지 크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할 페이지의 문서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된 문서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인쇄부(330)는 상기 데이터변환부(320)로부터 받은 문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제인쇄영역을 이용한 확대 및 축소 인쇄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인쇄장치는 사용자입력부(400), 인쇄영역추출부(410), 비율계산부(420), 데이터변환부(430), 인쇄부(4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입력부(400)는 사용자가 입력한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 즉 용지의 길이 또는 폭을 받아, 용지 크기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인쇄영역추출부(410)는 인쇄하고자하는 페이지의 문서데이터 중 실제 인쇄되는 영역의 크기, 즉 영역의 길이와 폭을 추출하여 출력한다. 인쇄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비트맵이거나 글자인 경우, 비트맵 또는 글자의 시작위치, 폭과 길이에 관한 좌표값 및 가장 우측하단의 최대좌표값을 이용하여 실제 인쇄되는 영역을 추출하고, 인쇄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선인 경우, 선의 시작위치와 끝 위치의 좌표값과 인쇄 가능한 유효영역(clipping 영역)을 비교하여 유효영역에 포함되는 선의 시작위치와 끝 위치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실제 인쇄 가능한 영역을 추출한다.
상기 비율계산부(420)는 상기 사용자입력부(400)로부터 받은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 크기와 상기 인쇄영역추출부(410)로부터 받은 실제인쇄영역의 크기를 비교하여 확대 또는 축소되는 비율을 계산한다.
상기 데이터변환부(430)는 상기 비율계산부(420)로부터 받은 확대 또는 축소되는 비율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할 페이지의 문서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된 문서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인쇄부(440)는 상기 데이터변환부(430)로부터 받은 문서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쇄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인쇄방법을 도 3에 도시된 확대 및 축소인쇄장치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300)를 통해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하는 비율 또는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 즉 용지의 폭 또는 길이를 입력한다(500단계). 계산부(310)는 상기 500단계에서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 하는 비율이 입력된 경우, 상기 비율을 이용하여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 즉 용지의 폭과 길이를 계산하고,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 크기가 입력된 경우, 상기 용지 크기를 이용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 하는 비율을 계산한다(510단계). 데이터변환부(320)는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하는 비율 또는 용지크기를 이용하여 인쇄할 페이지의 문서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된 문서데이터로 변환한다(520단계). 인쇄부(330)는 문서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 용지에 인쇄한다(530단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을 보다 구체적인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인쇄방법은,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300)를 통해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하는 비율 또는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 즉 용지의 폭 또는 길이를 입력한다(600단계). 사용자가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하는 비율을 입력하였는지 확인하고(610단계), 비율이 입력된 경우 상기 비율을 이용하여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 즉 용지의 폭과 길이를 계산한다(620단계).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 크기가 입력된 경우, 상기 용지 크기를 이용하여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 하는 비율을 계산한다(630단계). 상기에서 입력된 확대 또는 축소인쇄 비율이나 용지 크기에 따라 인쇄될 페이지를 미리보기 화면에 출력한다(640단계). 미리보기 화면에 표시된 크기를 가지는 확대 또는 축소된 페이지를 인쇄할 것인지를 확인하고(650단계), 인쇄를 원하는 경우 데이터변환부(320)는 상기의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하는 비율 또는 용지크기를 이용하여 인쇄할 페이지의 문서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된 문서데이터로 변환한 후(660단계), 인쇄부(330)는 문서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 용지에 인쇄한다(670단계). 사용자가 인쇄를 원하지 않는 경우, 상기 600단계부터 620단계까지를 반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확대 또는 축소인쇄 방법은, 사용자가 스케일링 타입(Scaling Type)으로 확대 또는 축소기능(Reduce/Enlarge)을 선택하고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하는 비율(Percentage)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페이지 크기(Page Dimensions)에 폭(Width)과 길이(Height)가 자동으로 계산되어 표시된다. 또한 페이지 크기(Page Dimensions)에서 폭(Width) 또는 길이(Height)를 입력하는 경우 용지의 가로와 세로의 비율에 따라 각 각 길이(Height) 또는 폭(Width)이 계산되어 표시되고,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하는 비율(Percentage)이 계산되어 표시된다. 상기 입력한 값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를 미리 보여주고, 사용자가 인쇄하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확대 또는 축소인쇄를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 및 축소인쇄 비율 또는 용지 크기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확대 또는 축소인쇄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확대 또는 축소인쇄 방법에 부가하여, 용지의 폭과 길이를 각각 조절하는 커서의 위치를 입력장치, 예를 들면 마우스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직접 움직임으로써 확대 또는 축소인쇄를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제인쇄영역을 이용한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인쇄방법을 도 4에 도시된 확대 및 축소인쇄장치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400)를 통해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 즉 용지의 폭 또는 길이를 입력한다(900단계). 인쇄영역추출부(410)는 인쇄하고자 하는 페이지의 문서데이터 중 실제 인쇄되는 영역을 추출한다(910단계). 상기 910단계에서 실제 인쇄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은, 인쇄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비트맵이거나 글자인 경우, 비트맵 또는 글자의 시작위치, 폭과 길이에 관한 좌표값 및 가장 우측하단의 최대좌표값을 이용하여 실제 인쇄되는 영역을 추출하고, 인쇄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선인 경우, 선의 시작위치와 끝 위치의 좌표값과 인쇄 가능한 유효영역(clipping 영역)을 비교하여 유효영역에 포함되는 선의 시작위치와 끝 위치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실제 인쇄 가능한 영역을 추출한다. 비율계산부(420)는 확대 또는 축소되는 용지의 크기를 실제 인쇄되는 영역의 크기로 나누어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을 계산한다(920단계). 데이터변환부(430)는 상기 비율을 이용하여 인쇄할 페이지의 문서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된 문서데이터로 변환한다(930단계). 인쇄부(440)는 문서데이터를 입력으로 받아 용지에 인쇄한다(940단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제인쇄영역을 대상으로 한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에 의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페이지의 일부에 실제 인쇄되는 영역이 있는 경우, 실제 인쇄되는 영역을 대상으로 확대 또는 축소를 함으로써 확대 또는 축소인쇄 되는 용지에 빈 영역이 줄어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 및 장치는, 확대 또는 축소하고자 하는 비율 뿐 아니라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를 이용하여 확대 또는 축소인쇄를 함으로써 사용자가 비율을 계산하여 입력해야 하는 불편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실제출력영역에 대해 확대 또는 축소를 함으로써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면적을 최대로 활용하여 인쇄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에 의한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 및 축소 인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제인쇄영역을 이용한 확대 및 축소 인쇄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확대 및 축소 인쇄비율 또는 용지크기를 설정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제인쇄영역을 대상으로 한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 본 발명에 따른 실제인쇄영역을 이용한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에 의한 실시예이다.

Claims (6)

  1. (a) 확대 또는 축소하여 인쇄하고자하는 비율 또는 확대 또는 축소하여 인쇄되는 용지의 크기를 입력하는 단계;
    (b) 비율이 입력된 경우 상기 비율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되는 용지의 크기를 계산하고, 용지의 크기가 입력된 경우 상기 크기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되는 비율을 계산하여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비율 또는 크기에 따라 인쇄할 페이지의 문서데이터를 변환하는 단계; 및
    (d) 변환된 문서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
  2. (a) 확대 또는 축소하여 인쇄되는 용지의 크기를 입력하는 단계;
    (b) 인쇄될 페이지 중 실제 인쇄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확대 또는 축소되는 용지의 크기와 상기 실제 인쇄되는 영역의 크기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
    (d) 인쇄할 페이지의 문서데이터를 상기 (c)단계에서 계산된 비율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 변환하는 단계; 및
    (c) 변환된 문서데이터를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인쇄될 페이지의 문서데이터가 비트맵 또는 글자인 경우, 비트맵 또는 글자의 시작위치와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인쇄될 페이지의 문서데이터가 선인 경우,
    (c1) 선 중 유효영역에 포함되는 선을 추출하는 단계; 및
    (c2) 상기 추출된 선의 시작되는 위치와 끝나는 위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
  5.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인쇄 비율 또는 확대 또는 축소하여 인쇄되는 용지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입력부;
    상기 비율 또는 크기를 입력으로 받아 각 각 확대 또는 축소되는 용지의 크기 또는 확대 또는 축소되는 비율을 계산하는 계산부;
    상기 비율 또는 크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할 페이지의 문서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문서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 및 축소 인쇄장치.
  6.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입력부;
    상기 문서데이터 중 실제 인쇄되는 영역을 추출하는 인쇄영역추출부;
    상기 확대 또는 축소된 용지의 크기와 상기 실제 인쇄되는 영역의 크기의 비율을 계산하는 비율계산부;
    상기 비율로 인쇄할 페이지의 문서데이터를 변환하여 출력하는 데이터변환부; 및
    변환된 문서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대 및 축소 인쇄장치.
KR1020040029177A 2004-04-27 2004-04-27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 및 장치 KR20050104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177A KR20050104022A (ko) 2004-04-27 2004-04-27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9177A KR20050104022A (ko) 2004-04-27 2004-04-27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022A true KR20050104022A (ko) 2005-11-02

Family

ID=3728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177A KR20050104022A (ko) 2004-04-27 2004-04-27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40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8398B2 (en) 2007-12-27 2012-01-17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system, printing apparatus, and preview method for printing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8398B2 (en) 2007-12-27 2012-01-17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system, printing apparatus, and preview method for print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169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and storage medium readable by computer therefor
KR100709320B1 (ko) 문서 인쇄 방법 및 인쇄 시스템
JP2005073015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40047002A1 (en) Printing apparatus, print instruction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program
JP561078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76370B1 (ko) 휴대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의 컨텐츠 자동 최적화장치
KR100659268B1 (ko) 보더리스 기능 설정을 위한 사용자 단말장치 및 그설정방법 그리고 보더리스 기능 설정 시스템
JP4165435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70091330A1 (en) Print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data loss
JP5479049B2 (ja) 文書処理装置
KR20050104022A (ko) 확대 및 축소 인쇄방법 및 장치
JP4306725B2 (ja) 印刷支援システム、印刷支援プログラム、及び、印刷支援方法
JP2000137801A (ja) 画像形成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画像処理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媒体
JP2005149218A (ja) 印刷データ作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521785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4204278B2 (ja) 手書き文字列の印刷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560916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3711735B2 (ja) 文書画像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5560934B2 (ja) プリンタドライバ
JP200205787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2123692A (ja) 画像処理装置、はみ出し判定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15287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324344A1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JP3987066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4326659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