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0312A -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0312A
KR20050100312A KR1020040025554A KR20040025554A KR20050100312A KR 20050100312 A KR20050100312 A KR 20050100312A KR 1020040025554 A KR1020040025554 A KR 1020040025554A KR 20040025554 A KR20040025554 A KR 20040025554A KR 20050100312 A KR20050100312 A KR 20050100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phabet
block
word
co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5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달호
Original Assignee
김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달호 filed Critical 김달호
Priority to KR1020040025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0312A/ko
Publication of KR2005010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031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5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 E04D3/351Roofing slabs or stiff sheets comprising two or more layers, e.g. for insulation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e.g. fibre or foam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6Connecting; Fastening
    • E04D3/361Connecting; Fastening by specially-profiled marginal portions of the slab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파벳을 최소 인식 단위로 하고 사용자가 알파벳을 퍼즐과 같이 조합하는데 따라 조합된 단어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 단어 학습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토킹 머신과는 달리 단어를 구성할 수 있는 한정된 숫자의 알파벳 블록만을 사용하여 이들 알파벳 블록에 의해 조합되는 모든 단어를 퍼즐 놀이 하듯이 즐기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창의력을 발휘하여 알파벳 블록을 조합하는 과정에서 단어가 조합되는 원리는 물론 유사한 단어들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소기의 단어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omitted}
본 발명은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문 알파벳을 퍼즐 방식으로 조합하여 단어를 이루게 되면 이를 인식하여 조합된 단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놀이처럼 즐기면서 단어를 익힐 수 있도록 한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들에게 영어 단어 학습을 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교재로는 단어와 발음기호, 영어 발음을 표기한 한글, 단어에 대응되는 그림이 그려진 다수의 카드를 여러 가지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 되어지고 있으나 이는 부정확한 발음을 고정화 시킬 염려가 크며 쉽게 흥미를 잃기 때문에 소기의 성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마그네틱 카드를 인식하여 해당 단어에 관한 정보를 제공 하도록 한 일명 토킹 머신(Talking Machine)이라는 교재가 있으나 이것은 완성된 단어를 최소단위로 인식되는 마그네틱 카드를 사용하기 때문에 학습할 수 있는 단어가 마그네틱 카드의 숫자로 제한되며, 사용자는 마그네틱 카드에 의해 인식된 단어에 관한 정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의 창의성이 발휘될 가능성이 없고, 이러한 수동적 학습방식은 아이들이 지속적으로 흥미를 갖고 학습하는데 근본적인 장애 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단어 학습 수단의 개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용자가 흥미를 잃지 않고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단어를 익히도록 하여야 한다는 점이며, 종래의 수동적인 학습 방식으로는 어린 사용자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데 한계가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본 발명을 안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알파벳을 최소 인식 단위로 하고 사용자가 알파벳을 퍼즐과 같이 조합하는데 따라 조합된 단어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 단어 학습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토킹 머신과는 달리 단어를 구성할 수 있는 한정된 숫자의 알파벳 블록만을 사용하여 이들 알파벳 블록에 의해 조합되는 모든 단어를 퍼즐놀이 하듯이 즐기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는 창의력을 발휘하여 알파벳 블록을 조합하는 과정에서 단어가 조합되는 원리는 물론 유사한 단어들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소기의 단어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인식수단이 구비된 다수의 알파벳 블록; 한 개 이상의 상기 알파벳 블록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블록 인식부와, 알파벳 블록이 상기 블록 인식부에 존재하면 인식수단을 읽어 해당 알파벳 블록의 알파벳 코드 정보를 출력하는 블록 코드 처리부와, 알파벳 블록의 알파벳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 코드 저장부와, 단어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단어 코드 저장부와, 상기 블록 인식부로부터 알파벳 블록이 놓여진 정보를 받아 상기의 해당 블록 코드 처리부에 알파벳 블록 코드 명령을 전달하고 해당 블록 코드 처리부에서 검출된 알파벳 블록 코드를 받아 블록 코드 저장부의 데이터 값과 비교하여 해당 알파벳 블록 값을 찾아내는 동시에 알파벳 블록이 두 개 이상 연속해서 놓여지면 블록 인식부의 빈칸을 제외하고 알파벳 블록이 연속해서 배열된 순서에 따라 알파벳 블록 값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어 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단어 코드 데이터 값과 비교하여 해당 단어 코드 값을 검색하며 조합된 단어에 대한 데이터 메모리 영역을 분석하여 출력하는 중앙 제어부와, 상기 중앙 제어부에 의해 단어에 대한 데이터가 출력되는 출력부로 이루어진 본체;를 포함하는 단어 학습 장치에 의하여 달성 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블록 인식부에서 블록 인식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알파벳 블록이 배열된 경우에는 블록 배열 위치 코드 정보와 함께 알파벳 인식용 회로의 저항값에 따른 알파벳 코드 값이 중앙 제어부에 입력되는 단계; 중앙 제어부에 입력된 블록 배열 위치 코드 정보에 의해 알파벳 블록이 중간에 빈칸 없이 두 개 이상 연속되게 배열되면 입력될 단어가 완성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알파벳 블록이 연속해서 배열된 경우 배열된 순서에 따라 알파벳 블록값을 읽어 단어 코드 데이터 값과 비교 검색한후 해당 단어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단어 학습 방법에 의하여 달성 되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형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알파벳으로 식별될 수 있는 인식수단이 구비된 다수의 알파벳 블록(10)과, 이 알파벳 블록(10)이 한 개이상 연속해서 배열되는 블록 인식부(21) 및 출력부(26)가 구비된 본체(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20)에는 작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부(20a)와 재청취 버튼부(20b)가 구비되어 있으며, 출력부(26)의 출력수단으로는 디스플레이부(26a)와 스피커(26b)가 있다.
상기 알파벳 블록(10)은 A∼Z에 대응되는 26개와 단어가 조합될 때 중복되는 알파벳의 숫자만큼 제공되며, 내부에는 26개의 알파벳에 따라 서로 다른 저항 값을 갖는 알파벳 인식용 회로(11)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알파벳 인식용 회로(11)가 연결된 접속단(1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 이상의 상기 알파벳 블록(10)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블록 인식부(21)와, 알파벳 블록(10)이 상기 블록 인식부(21)에 존재하면 인식용 회로(11)를 읽어 해당 알파벳 블록(10)의 알파벳 코드 정보를 출력하는 블록 코드 처리부(22)와, 알파벳 블록(10)의 알파벳 블록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 코드 저장부(23)와, 단어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단어 코드 저장부(24)와, 상기 블록 인식부(21)로부터 알파벳 블록(10)이 놓여진 정보를 받아 상기의 해당 블록 코드 처리부(22)에 알파벳 블록 코드 명령을 전달하고 해당 블록 코드 처리부(22)에서 검출된 알파벳 블록 코드를 받아 블록 코드 저장부(23)의 데이터 값과 비교하여 해당 알파벳 블록 값을 찾아내는 동시에 알파벳 블록이 두 개 이상 연속해서 놓여지면 블록 인식부(21)의 빈 칸을 제외하고 연속해서 배열된 알파벳 블록(10)의 순서에 따라 알파벳 블록 값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어 코드 저장부(24)에 저장된 단어 코드 데이터 값과 비교하여 해당 단어 코드 값을 검색하며 검색된 단어 코드 값에 대한 데이터 메모리 영역을 분석하여 출력하는 중앙 제어부(25)와, 상기 중앙 제어부(25)에 의해 단어에 대한 데이터가 출력되는 출력부(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출력부(26)는 중앙 제어부(25)에 연결되어 있으며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D/A부와, D/A부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하는 음성신호 증폭부를 갖는다.
상기 블록 인식부(21)는 알파벳 블록(10)의 접속단(12)이 연속해서 슬로트(slot) 형태로 연속해서 끼워질 수 있는 다수의 접속부(21a)로 이루어져 있으며, 알파벳 블록(10)의 접속단(12)이 접속부(21a)중 하나 이상에 끼워지게 되면 블록 코드 처리부(22)에서는 블록 배열 위치 코드 정보와 함께 알파벳 인식용 회로(11) 값을 읽어 중앙 제어부(25)에 제공하게 되며, 중앙 제어부(25)는 블록 코드 저장부(23)의 알파벳 블록 코드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해당 알파벳 블록 값을 찾아낸다.
중앙 제어부(25)는 블록 인식부(21)에 알파벳 블록(10)이 두 개 이상 배열된 경우 알파벳 블록(10)이 중간에 빈 칸 없이 연속해서 배열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연속해서 배열된 알파벳 블록(10)의 앞과 뒤에 빈 칸이 있는 경우에도 연속해서 배열된 것으로 판단한다.
알파벳 블록(10)이 중간에 빈 칸 없이 연속해서 배열되어 있는 경우 빈 칸을 제외한 알파벳 블록 코드가 연속해서 배열된 알파벳 블록(10)의 순서에 따라 알파벳 블록 값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어 코드 저장부(24)의 단어 코드 값과 비교 검색한다.
검색 결과 알파벳 블록(10)에 의해 조합된 단어 코드 값이 없는 경우에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고, 해당 단어 코드 값이 있는 경우에는 검색된 단어에 대한 데이터를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26a)와 스피커(26b)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중앙 제어부(25)는 블록 인식부(21)에 배열된 알파벳 블록(10)사이에 빈 칸이 있는 경우에는 단어가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알파벳 블록(10)을 블록 인식부(21)에 놓으라는 지시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알파벳 블록(10)을 조합하는데 창의력을 발휘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단어가 조합되는 원리는 물론 연관된 단어들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소기의 단어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드 선택부(20a)를 조작하여 게임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중앙 제어부(25)는 조합된 알파벳이 단어 코드 저장부(24)에 있는 단어인 경우 해당 단어 데이터와 승점 메시지를 출력시키고 특정 단어가 되지 못할 경우에는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여 일정 횟수 동안 합산하는 방식으로 진행하는 단어 퍼즐 게임 방식에 의한 학습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어 학습 장치에 있어서 알파벳 블록(10)에 의해 조합되는 단어를 보인 위한 도면으로써, 예를 들어 "CAR"이라는 단어가 조합된 상태에서 "R"에 해당하는 알파벳 블록을 제거하거 그 자리에 "T"에 해당하는 알파벳 블록을 배열하면 "CAT"이라는 단어가 조합되며, 이 상태에서 "C"에 해당하는 알파벳 블록 대신에 "B"에 해당하는 알파벳 블록을 배열하면 "BAT"라는 단어가 조합되는 등 하나의 알파벳 블록을 바꿔주거나, 알파벳 블록이 두 개 이상 연속되는 상태가 유지되는 조건하에서 알파벳 블록을 제거하거나 추가하는 방식에 의하여 무수한 단어의 조합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어 학습 방법을 보인 도면으로써,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인식부(21)에서 블록 인식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알파벳 블록(10)이 배열된 경우에는 블록 배열 위치 코드 정보와 함께 알파벳 인식용 회로(11)의 저항값에 따른 알파벳 코드 값이 중앙 제어부(25)에 입력되는 단계; 중앙 제어부(25)에 입력된 블록 배열 위치 코드 정보에 의해 알파벳 블록(10)이 중간에 빈칸 없이 두 개 이상 연속되게 배열되면 입력될 단어가 완성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알파벳 블록(10)이 연속해서 배열된 경우 배열된 순서에 따라 알파벳 블록값을 읽어 단어 코드 데이터 값과 비교 검색한후 해당 단어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이다.
모드 선택부(20a)가 게임 모드로 선택 되어지면 연속 배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게임 모드가 선택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게임 모드인 경우에는 해당 단어 데이터와 함께 게임 점수 데이터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알파벳 블록을 이용한 단어 학습 장치는 알파벳을 최소 인식 단위로 하고 사용자가 알파벳을 퍼즐과 같이 조합하는데 따라 조합된 단어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도록 한 것으로 종래의 토킹 머신과는 달리 단어를 구성할 수 있는 한정된 숫자의 알파벳 블록만을 사용하여 이들 알파벳 블록에 의해 조합되는 모든 단어를 퍼즐놀이 하듯이 즐기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이들이 지루한 느낌없이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어 학습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알파벳 블록을 조합하는 과정에서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창의력을 발휘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단어가 조합되는 원리는 물론 유사한 단어들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알파벳 블록 인식 수단을 광센서 또는 마그네틱 카드, IC 카드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정보 제공 수단을 이용하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어 학습 장치의 외관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어 학습 장치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어 학습 장치에 의해 조합되는 단어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단어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알파벳 블록 11 : 알파벳 인식용 회로
12 : 접속단 20 : 본체
20a : 모드 선택부 20b : 재청취 버튼부
21 : 블록 인식부 21a : 접속부
23 : 블록 코드 저장부 24 : 단어 코드 저장부
25 : 중앙 제어부 26 : 출력부
26a : 디스플레이부 26b : 스피커

Claims (4)

  1. 인식수단이 구비된 다수의 알파벳 블록(10);
    한 개 이상의 상기 알파벳 블록(10)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블록 인식부(21)와, 알파벳 블록(10)이 상기 블록 인식부(21)에 배열되면 인식수단을 읽어 해당 알파벳 블록(10)의 알파벳 코드 정보를 출력하는 블록 코드 처리부(22)와, 알파벳 블록(10)의 알파벳 블록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블록 코드 저장부(23)와, 단어 코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단어 코드 저장부(24)와, 상기 블록 인식부(21)로부터 알파벳 블록(10)이 놓여진 정보를 받아 상기의 해당 블록 코드 처리부(22)에 알파벳 블록 코드 명령을 전달하고 해당 블록 코드 처리부(22)에서 검출된 알파벳 블록 코드를 받아 블록 코드 저장부(23)의 데이터 값과 비교하여 해당 알파벳 블록 값을 찾아내는 동시에 알파벳 블록이 두 개 이상 연속해서 놓여지면 블록 인식부(21)의 빈 칸을 제외하고 연속해서 배열된 알파벳 블록(10)의 순서에 따라 알파벳 블록 값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어 코드 저장부(24)에 저장된 단어 코드 데이터 값과 비교하여 해당 단어 코드 값을 검색하며 검색된 단어 코드 값에 대한 데이터 메모리 영역을 분석하여 출력하는 중앙 제어부(25)와, 상기 중앙 제어부(25)에 의해 단어에 대한 데이터가 출력되는 출력부(26)로 이루어진 본체(20);를 포함하는 단어 학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식수단이 26개의 알파벳에 따라 서로 다른 값의 저항을 갖는 알파벳 인식용 회로(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장치.
  3. 블록 인식부(21)에서 블록 인식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알파벳 블록(10)이 배열된 경우에는 블록 배열 위치 코드 정보와 함께 알파벳 인식용 회로(11)의 저항값에 따른 알파벳 코드 값이 중앙 제어부(25)에 입력되는 단계; 중앙 제어부(25)에 입력된 블록 배열 위치 코드 정보에 의해 알파벳 블록(10)이 중간에 빈칸 없이 두 개 이상 연속되게 배열되면 입력될 단어가 완성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알파벳 블록(10)이 연속해서 배열된 경우 배열된 순서에 따라 알파벳 블록값을 읽어 단어 코드 데이터 값과 비교 검색한후 해당 단어에 대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단어 학습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게임 모드로 선택된 경우 연속 배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해당 단어 데이터와 함께 게임 점수 데이터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어 학습 방법.
KR1020040025554A 2004-04-13 2004-04-13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050100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554A KR20050100312A (ko) 2004-04-13 2004-04-13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5554A KR20050100312A (ko) 2004-04-13 2004-04-13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0312A true KR20050100312A (ko) 2005-10-18

Family

ID=37279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5554A KR20050100312A (ko) 2004-04-13 2004-04-13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031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1006A (ja) * 2008-08-25 2012-01-12 ビグル トーイズ ホールディング ビー.ブイ. プロセッサと、複数のボディ部と、を有し、複数の視覚物(visualization)の組み合わせを異なるボディ部の複数の外側表面を用いて少なくとも一面に形成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各ボディ部が複数の外側表面に視覚物(visualization)を有するベースステーション
WO2012158987A2 (en) * 2011-05-17 2012-11-22 Boeckle Thomas T Child-directed learning system integrating cellular communication, education, entertainment, alert and monitoring systems
KR101505853B1 (ko) * 2013-11-15 2015-03-25 서동철 구동체의 동작 패턴 프로그래밍 학습 키트
KR101506444B1 (ko) * 2013-10-16 2015-03-27 김희정 퍼즐식 학습장치
CN108831198A (zh) * 2018-09-14 2018-11-16 苏州颗粒智能玩具有限公司 一种用于儿童教育的益智玩具
CN110796906A (zh) * 2019-12-02 2020-02-14 河南普润仪器设备有限公司 一种日语翻译电子教学设备
CN110853417A (zh) * 2019-11-27 2020-02-28 河南普润仪器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日语翻译的基础学习机
KR20220135301A (ko) * 2021-03-30 2022-10-07 최진호 단어 학습 기기와 이를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01006A (ja) * 2008-08-25 2012-01-12 ビグル トーイズ ホールディング ビー.ブイ. プロセッサと、複数のボディ部と、を有し、複数の視覚物(visualization)の組み合わせを異なるボディ部の複数の外側表面を用いて少なくとも一面に形成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各ボディ部が複数の外側表面に視覚物(visualization)を有するベースステーション
WO2012158987A2 (en) * 2011-05-17 2012-11-22 Boeckle Thomas T Child-directed learning system integrating cellular communication, education, entertainment, alert and monitoring systems
WO2012158987A3 (en) * 2011-05-17 2013-05-16 Boeckle Thomas T Child-directed learning system integrating cellular communication, education, entertainment, alert and monitoring systems
US11179648B2 (en) 2011-05-17 2021-11-23 Learning Squared, Inc. Educational device
KR101506444B1 (ko) * 2013-10-16 2015-03-27 김희정 퍼즐식 학습장치
KR101505853B1 (ko) * 2013-11-15 2015-03-25 서동철 구동체의 동작 패턴 프로그래밍 학습 키트
CN108831198A (zh) * 2018-09-14 2018-11-16 苏州颗粒智能玩具有限公司 一种用于儿童教育的益智玩具
CN110853417A (zh) * 2019-11-27 2020-02-28 河南普润仪器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日语翻译的基础学习机
CN110796906A (zh) * 2019-12-02 2020-02-14 河南普润仪器设备有限公司 一种日语翻译电子教学设备
KR20220135301A (ko) * 2021-03-30 2022-10-07 최진호 단어 학습 기기와 이를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58002A1 (en) Learn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JP5154399B2 (ja) 操作可能なインタラクティブ装置
US5813861A (en) Talking phonics interactive learning device
US8016596B2 (en) Literacy system
EP2011553A1 (en) Game system and method of playing game
EP0042155A1 (en) Manually controllable data reading apparatus for speech synthesizers
US200600402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reading and writing
US5277429A (en) Game assembly utilizing sound identification for moves on a game board
JP7360104B2 (ja) 学習玩具
US20040058304A1 (en) Interactive learning apparatus
US202103984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a Student How to Write using a Phonetic Word Distinction Technique
KR20050100312A (ko)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
JP2002215012A (ja) 学習支援システム
CN1659544B (zh) 一种对用户教授语言的电子学习系统
KR100869120B1 (ko)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를 생성하고 재생할 수 있는ucc완구 및 그 동작방법
CN208351739U (zh) 一种拼音学习机、一种声母卡及一种韵母卡
KR102070178B1 (ko) 사용자 참여형 한글 교육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121113B1 (ko) It와 로봇이 융복합된 융복합 파닉스 학습 시스템, 이에 적합한 파닉스 학습 방법, 이에 적합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어들일 수 있는 기록매체
CN114153958A (zh) 汉字拼读机汉字识别处理方法
US20070166004A1 (en) Robot system using menu selection card having printed menu codes and pictorial symbols
KR102070180B1 (ko) 놀이식 한글 교육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US7507892B1 (en) Musical note reading method and written exercises
US6259013B1 (en) Musical note reading method and written exercises
KR100443245B1 (ko) 따라쓰기 학습을 위한 문자인식 방법 및 장치
KR101407594B1 (ko) 교육용 컨텐츠 제공 장치 및 이의 콘텐츠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