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444B1 - 퍼즐식 학습장치 - Google Patents

퍼즐식 학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444B1
KR101506444B1 KR1020130123150A KR20130123150A KR101506444B1 KR 101506444 B1 KR101506444 B1 KR 101506444B1 KR 1020130123150 A KR1020130123150 A KR 1020130123150A KR 20130123150 A KR20130123150 A KR 20130123150A KR 101506444 B1 KR101506444 B1 KR 101506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zzle
lead
piece
space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정
Original Assignee
김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희정 filed Critical 김희정
Priority to KR1020130123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4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04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 G09B1/0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single symbol or a single combination of symbols and being attachable to, or mounted on, the suppor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3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wherein the elements are adapted to be arranged in co-operation with the support to form symbo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2Counting; Calcul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2Games, e.g. card g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인 학습자가 퍼즐조각을 퍼즐판의 인입공간에 끼울 시 그 인입공간에 끼워지는 해당 퍼즐조각에 관련된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수단이 구비되고, 학습자가 퍼즐조각을 퍼즐판의 인입공간에 끼울 시 방향을 바꿔 끼울 때마다 해당 퍼즐조각에 관련된 다른 학습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유아인 학습자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유도하여주어 퍼즐놀이 학습의 흥미를 배가시켜주고, 퍼즐조각과 퍼즐판의 인입공간의 특성상 퍼즐조각의 외관형상을 인지하여 끼우는 학습놀이와 더불어, 한글 퍼즐조각 끼임 시 그 입력되는 초성, 중성, 종성에 따라 한글관련 학습정보 출력 및 입력순서의 옳고 그름을 학습자가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학습안내정보가 출력되게 제어하는 학습놀이 및 숫자 퍼즐조각 끼임 시 그 끼워지는 숫자별로 사칙연산을 수행할 수 있게 학습안내정보가 출력되게 제어하는 사칙연산 학습놀이 등 하나의 퍼즐판으로 다양한 학습놀이를 제공하여 주는 수단을 통해 학습자의 지능개발을 유도하여 주는 퍼즐식 학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퍼즐조각과; 상기 퍼즐조각이 끼워지는 인입공간이 형성된 퍼즐판과; 상기 퍼즐조각을 상기 퍼즐판의 인입공간에 놓으면, 그 놓여진 퍼즐조각을 나타내는 퍼즐별 접점신호를 생성하는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와; 정보출력부와; 상기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로부터 퍼즐별 접점신호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퍼즐별 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에 관한 학습내용인 퍼즐별 학습정보를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퍼즐학습 본체;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퍼즐식 학습장치{Learning devices for puzzle-type}
본 발명은 유아인 학습자가 퍼즐조각을 퍼즐판의 인입공간에 끼울 시 그 인입공간에 끼워지는 해당 퍼즐조각에 관련된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수단이 구비되고, 학습자가 퍼즐조각을 퍼즐판의 인입공간에 끼울 시 방향을 바꿔 끼울 때마다 해당 퍼즐조각에 관련된 다른 학습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유아인 학습자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유도하여주어 퍼즐놀이 학습의 흥미를 배가시켜주고, 퍼즐조각과 퍼즐판의 인입공간의 특성상 퍼즐조각의 외관형상을 인지하여 끼우는 학습놀이와 더불어, 한글 퍼즐조각 끼임 시 그 입력되는 초성, 중성, 종성에 따라 한글관련 학습정보 출력 및 입력순서의 옳고 그름을 학습자가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학습안내정보가 출력되게 제어하는 학습놀이 및 숫자 퍼즐조각 끼임 시 그 끼워지는 숫자별로 사칙연산을 수행할 수 있게 학습안내정보가 출력되게 제어하는 사칙연산 학습놀이 등 하나의 퍼즐판으로 다양한 학습놀이를 제공하여 주는 수단을 통해 학습자의 지능개발을 유도하여 주는 퍼즐식 학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회 소득의 증가 및 핵가족화에 따라 놀이를 통한 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유아(이하, '학습자'라 통칭함)의 놀이교육에 있어서 학습자는 퍼즐놀이를 통해 눈과 손의 협응력이 향상되고, 소근육 발달에도 유용한 퍼즐완구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퍼즐완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퍼즐완구는 특정 형상을 갖는 인입공간(11)이 형성된 퍼즐판(10)과, 퍼즐판(10)의 인입공간(11)에 끼워지는 것으로, 그 인입공간(11)의 특정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퍼즐조각(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의 퍼즐완구 구성을 통해, 학습자는 퍼즐조각(20)을 파지한 상태에서, 그 파지한 퍼즐조각(2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인입공간(11)에 끼움으로써 놀이교육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퍼즐완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 번째로, 종래의 퍼즐완구는 동일형상을 갖는 퍼즐조각(20)을 퍼즐판(10)의 인입공간(11)에 끼우는 놀이교육이 단순 반복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학습자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로, 종래의 퍼즐완구는 동일형상을 갖는 퍼즐조각(20)과 퍼즐판(10)의 인입공간(11)의 특성상 퍼즐조각(20)의 외관형상만 인지하여 끼우는 하나의 학습놀이만 제공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양한 학습놀이를 제공하지 못하여 학습자의 지능개발을 유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가 퍼즐조각을 퍼즐판의 인입공간에 끼울 시 그 인입공간에 끼워지는 해당 퍼즐조각에 관련된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수단이 구비된 퍼즐식 학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습자가 퍼즐조각을 퍼즐판의 인입공간에 끼울 시 방향을 바꿔 끼울 때마다 해당 퍼즐조각에 관련된 다른 학습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단이 구비된 퍼즐식 학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퍼즐조각과 퍼즐판의 인입공간의 특성상 퍼즐조각의 외관형상을 인지하여 끼우는 학습놀이와 더불어, 한글 퍼즐조각 끼임 시 그 입력되는 초성, 중성, 종성에 따라 한글관련 학습정보 출력 및 입력순서의 옳고 그름을 학습자가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학습안내정보가 출력되게 제어하는 학습놀이 및 숫자 퍼즐조각 끼임 시 그 끼워지는 숫자별로 사칙연산을 수행할 수 있게 학습안내정보가 출력되게 제어하는 사칙연산 학습놀이 등 하나의 퍼즐판으로 다양한 학습놀이를 제공하여 주는 수단을 통해 학습자의 지능개발을 유도하여 주는 퍼즐식 학습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퍼즐식 학습장치는, 퍼즐조각과; 상기 퍼즐조각이 끼워지는 인입공간이 형성된 퍼즐판과; 상기 퍼즐조각을 상기 퍼즐판의 인입공간에 놓으면, 그 놓여진 퍼즐조각을 나타내는 퍼즐별 접점신호를 생성하는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와; 정보출력부와; 상기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로부터 퍼즐별 접점신호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퍼즐별 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에 관한 학습내용인 퍼즐별 학습정보를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퍼즐학습 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는, 상기 퍼즐조각의 일면에 구비되는 스위치용 전극과; 상기 퍼즐판에 탑재되는 것으로,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이 형성되되, 일단부가 상기 퍼즐판에 형성된 인입공간의 바닥면에 노출되게 형성된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퍼즐조각의 스위치용 전극이 상기 퍼즐판의 인입공간에 놓이면서 상기 회로기판의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에 접점되면, 상기 회로기판에서 이를 인지하여 해당 퍼즐조각을 나타내는 퍼즐별 접점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퍼즐조각의 형상 및 그 형상에 대응되는 상기 퍼즐판의 인입공간의 형상은 상기 퍼즐판의 인입공간에 한번 끼워진 후 끼움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퍼즐조각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적어도 한번 더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일단부가 상기 퍼즐판에 형성된 인입공간의 바닥면에 노출되게 형성되는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이 더 구비되며, 상기 퍼즐조각의 스위치용 전극은 상기 퍼즐조각이 상기 인입공간에 한 번 끼워질 시 상기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에 접촉되고, 그 끼워짐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퍼즐조각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퍼즐조각이 상기 인입공간에 한번 더 끼워질 시 상기 퍼즐조각의 스위치용 전극이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에 접점되는 구조이다.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퍼즐조각의 스위치용 전극이 상기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에 접점 시 이를 인지하여 해당 퍼즐조각이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방위에 따라 변경된 위치를 나타내는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접점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식 학습장치.
본 발명의 퍼즐식 학습장치에는, 상기 퍼즐별 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에 관한 학습내용인 상기 퍼즐별 학습정보 및 상기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에 관한 추가학습내용인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학습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퍼즐학습 본체는 상기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로부터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접점신호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접점신호를 상기 메모리부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학습정보를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유아인 학습자가 퍼즐조각을 퍼즐판의 인입공간에 끼울 시 그 인입공간에 끼워지는 해당 퍼즐조각에 관련된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수단이 구비되고, 학습자가 퍼즐조각을 퍼즐판의 인입공간에 끼울 시 방향을 바꿔 끼울 때마다 해당 퍼즐조각에 관련된 다른 학습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유아인 학습자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유도하여주어 퍼즐놀이 학습의 흥미를 배가시켜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은 퍼즐조각과 퍼즐판의 인입공간의 특성상 퍼즐조각의 외관형상을 인지하여 끼우는 학습놀이와 더불어, 한글 퍼즐조각 끼임 시 그 입력되는 초성, 중성, 종성에 따라 한글관련 학습정보 출력 및 입력순서의 옳고 그름을 학습자가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학습안내정보가 출력되게 제어하는 학습놀이 및 숫자 퍼즐조각 끼임 시 그 끼워지는 숫자별로 사칙연산을 수행할 수 있게 학습안내정보가 출력되게 제어하는 사칙연산 학습놀이 등 하나의 퍼즐판으로 다양한 학습놀이를 제공하여 주는 수단을 통해 학습자의 지능개발을 유도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퍼즐완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퍼즐식 학습장치를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퍼즐식 학습장치를 이루는 퍼즐학습 본체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퍼즐식 학습장치를 이루는 퍼즐판 및 퍼즐조각에 구비된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 부분을 나타낸 요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퍼즐식 학습장치를 이루는 구비된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를 포함하는 퍼즐판 및 퍼즐조각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퍼즐식 학습장치에 한글 퍼즐조각 끼임 시 그 입력되는 초성, 중성, 종성에 따라 한글관련 학습정보 출력 및 입력순서의 옳고 그름을 학습자가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한글관련 학습놀이를 적용시킨 것을 나타낸 구성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퍼즐식 학습장치에 숫자 퍼즐조각 끼임 시 그 끼워지는 숫자별로 사칙연산을 수행할 수 있게 학습안내정보가 출력되게 제어하는 사칙연산 학습놀이를 적용시킨 것을 나타낸 구성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퍼즐식 학습장치를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퍼즐식 학습장치를 이루는 퍼즐학습 본체를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퍼즐식 학습장치를 이루는 퍼즐판 및 퍼즐조각에 구비된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 부분을 나타낸 요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퍼즐식 학습장치를 이루는 구비된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를 포함하는 퍼즐판 및 퍼즐조각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퍼즐식 학습장치에 한글 퍼즐조각 끼임 시 그 입력되는 초성, 중성, 종성에 따라 한글관련 학습정보 출력 및 입력순서의 옳고 그름을 학습자가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한글관련 학습놀이를 적용시킨 것을 나타낸 구성도면 및 도 7은 본 발명의 퍼즐식 학습장치에 숫자 퍼즐조각 끼임 시 그 끼워지는 숫자별로 사칙연산을 수행할 수 있게 학습안내정보가 출력되게 제어하는 사칙연산 학습놀이를 적용시킨 것을 나타낸 구성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퍼즐식 학습장치는 크게, 퍼즐조각(100), 퍼즐판(200),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 및 퍼즐학습 본체(300)로 이루어진다.
먼저, 퍼즐조각(100)은 퍼즐판(200)에 형성된 인입공간(210)에 끼워지는 부재로, 유아인 학습자가 퍼즐판의 인입공간(210)에 퍼즐조각을 끼워 맞추거나 제거하는 등의 퍼즐놀이를 통해 눈과 손의 협응력이 향상되고, 소근육 발달에도 유용한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는 퍼즐조각(100)을 퍼즐판(200)의 인입공간(210)에 끼워놓으면, 그 끼워진 해당 퍼즐조각(100)을 나타내는 퍼즐별 접점신호를 생성하는 부재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는 퍼즐조각(100)의 일면에 구비되는 스위치용 전극(110) 및 퍼즐판(200)에 탑재되는 것으로,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220)이 형성되되, 일단부가 퍼즐판(200)에 형성된 인입공간(210)의 바닥면에 노출되게 형성된 회로기판(230);으로 이루어진 구성을 통해, 퍼즐조각(100)의 스위치용 전극(110)이 퍼즐판(200)의 인입공간(210)에 놓이면서 회로기판(230)의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220)에 접점되면, 회로기판(230)에서 이를 인지하여 해당 퍼즐조각(100)을 나타내는 퍼즐별 접점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회로기판(230)에 형성되는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220)은 한 쌍의 회로 패턴으로, 퍼즐조각(100)의 스위치용 전극(110)이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220)에 접점 시, 그 접점된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220)인 한 쌍의 회로 패턴이 연결됨으로써, 전기적인 신호인 퍼즐별 접점신호가 생성되는 회로구조를 갖는다.
또한, 회로기판(230)에는 그 생성된 퍼즐별 접점신호를 후술되는 퍼즐학습 본체(300)로 전송하기 위해, 유무선 송신부가 탑재되어진다.
이러한 유무선 송신부 및 후술되는 유무선 수신부는 WLAN(Wireless LAN), 와이 파이(Wi-Fi),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블루투스(Bluetooth), Zigbee,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근거리 유선통신(USB 등)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퍼즐학습 본체(300)는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로부터 퍼즐별 접점신호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퍼즐별 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100)에 관한 학습내용인 퍼즐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부재로서, 전용 콘트롤러,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TV(smart TV),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디지털방송 수신기 등 정보의 입력 및 출력과 더불어 정보의 가공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퍼즐학습 본체(300)의 세부구성은 정보수신부(310), 메모리부(320), 정보출력부(330), 정보입력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정보수신부(310)는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으로부터 전송되는 퍼즐별 접점신호를 수신하는 통신인터페이스 부재이다.
상기 메모리부(320)는 퍼즐조각(100)에 관한 학습내용인 퍼즐별 학습정보와 더불어 퍼즐학습 본체(3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혹은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매체로서, 램(RAM, Read Access Memory), 롬(ROM, Read Only Memory), 하드디스크(HDD, Hard Disk Drive), 플래시 메모리, CD-ROM, DVD 및 USB메모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정보출력부(330)는 퍼즐별 학습정보가 출력되는 부재로서, 멀티미디어 정보가 출력될 수 있게 스피커(331) 및 디스플레이부(3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보입력부(34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퍼즐학습 본체(300)를 제어하거나 동작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부재로서, 키입력부재, 터치입력부재, 제스처 입력부재 또는 음성 입력부재를 포함하는 다양한 입력부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50)는 정보수신부(310)를 통해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로부터 퍼즐별 접점신호를 전송받고, 그 전송된 퍼즐별 접점신호를 메모리부(320)와 매칭하여 매칭되는 해당 퍼즐조각(100)에 관한 학습내용인 퍼즐별 학습정보를 정보출력부(3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부재이다.
그리고 학습자에게 하나의 퍼즐조각(100)으로, 해당 퍼즐조각(100)과 관련된 소리나 영상을 포함하는 출력정보가 끼워 넣는 퍼즐조각(100)의 회전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정보들이 출력되도록 제공함으로써, 유아인 학습자의 흥미를 극대화시켜 학습효과를 배가시켜 줄 수 있다.
이를 위해, 퍼즐조각(100)의 형상 및 그 형상에 대응되는 상기 퍼즐판(200)의 인입공간(210)의 형상은 상기 퍼즐판(200)의 인입공간(210)에 한번 끼워진 후 끼움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퍼즐조각(100)의 무게중심(G)을 기준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적어도 한번 더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을 갖게 제작한다.
이러한 형상에는 정삼각형이나 정오각형과 같은 정다각형, 마름모, 사다리꼴, 별, 열십자, 평행사변형이나 원형 등등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180°, 120°, 90° 또는 30°등의 일정각도로 회전하여도 퍼즐조각(100)이 퍼즐판(200)의 인입공간(210)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을 뜻하는 것이다.
또한, 회로기판(230)에는 일단부가 퍼즐판(200)에 형성된 인입공간(210)의 바닥면에 노출되게 형성되는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220a,220b,220c)이 더 구비되고, 퍼즐조각(100)의 스위치용 전극(110)은 퍼즐조각(100)이 인입공간(210)에 한 번 끼워질 시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220)에 접촉되고, 그 끼워짐이 제거된 상태에서 퍼즐조각(100)의 무게중심(G)을 기준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퍼즐조각(100)이 인입공간(210)에 한번 더 끼워질 시 퍼즐조각(100)의 스위치용 전극(110)이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220a,220b,220c)에 접점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회로기판(230)은 퍼즐조각(100)의 스위치용 전극(110)이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220a,220b,220c)에 접점 시 이를 인지하여 해당 퍼즐조각(100)이 무게중심(G)을 기준으로 회전된 방위에 따라 변경된 위치를 나타내는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접점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퍼즐학습 본체(300)는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를 이루는 회로기판(230)으로부터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접점신호가 전송되면, 메모리부(320)와 매칭하는데 이때, 메모리부(320)에는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100)에 관한 추가학습내용인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학습정보가 사전에 저장된 상태이기 때문에, 추출되는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학습정보를 정보출력부(3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유아인 학습자가 퍼즐조각(100)을 회전시켜 끼울때마다 각기 다른 정보가 출력되어 퍼즐놀이의 흥미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유도하여 준다.
일예로, 학습자는 퍼즐조각(100)의 회전하여 끼울 때마다 동요가 재생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학습자가 재생되는 노래의 제목을 인지할 수 있게 해줄수도 있는데 이를 위해,
퍼즐판(200)의 인입공간(210)이 형성된 주변 부근을 따라 동요노래 제목과 같이 출력되는 정보의 내용을 인지할 수 있게 나타내는 출력정보 안내부(240)들이 표시되도록 하고, 퍼즐조각(100)의 타면에 표시되되, 퍼즐조각(100)의 일면에 표시된 스위치용 전극(110)의 대응되는 곳에 표시되는 것으로, 퍼즐판(200)의 인입공간(210)의 부근을 따라 형성된 출력정보 안내부(240)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출력정보 선택부(120)가 표시되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입공간(210)의 형상 및 그 형상에 대응되는 상기 퍼즐판(200)의 인입공간(210)의 형상은 원형으로 제공할 경우 퍼즐조각(100)을 다이얼 돌리듯이 돌리면서 학습자가 원하는 노래제목이 표시된 출력정보 안내부(240)들 중 원하는 노래제목이 표시된 해당 출력정보 안내부(240)에 화살표로 표시된 출력정보 선택부(120)를 일치시키면 접점됨으로써, 해당 노래를 출력할 수 있게 회로기판(230)에서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접점신호를 생성하여 퍼즐학습 본체(3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퍼즐학습 본체(300)는 매칭되는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학습정보인 해당 동요와 관련된 학습정보가 정보출력부(3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퍼즐식 학습장치에서는
퍼즐조각과 퍼즐판의 인입공간의 특성상 퍼즐조각의 외관형상을 인지하여 끼우는 학습놀이와 더불어, 한글 퍼즐조각 끼임 시 그 입력되는 초성, 중성, 종성에 따라 한글관련 학습정보 출력 및 입력순서의 옳고 그름을 학습자가 인지할 수 있게 안내하는 학습안내정보가 출력되게 제어하는 학습놀이와 숫자 퍼즐조각 끼임 시 그 끼워지는 숫자별로 사칙연산을 수행할 수 있게 학습안내정보가 출력되게 제어하는 사칙연산 학습놀이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한글관련 학습놀이를 제공하기 위해, 퍼즐판(200)에 형성되는 인입공간(210)은 초성용 인입공간(210b), 중성용 인입공간(210c,210d) 및 종성용 인입공간(210e)으로 이루어지되, 초성용 인입공간(210b)에 형성되는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 및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들은 각 자음을 식별하는 개수만큼 형성되고, 중성용 인입공간(210c,210d)에 형성되는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 및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들은 각 모음을 식별하는 개수만큼 형성되며, 종성용 인입공간(210e)에 형성되는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 및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들은 각 자음을 식별하는 개수만큼 형성되고,
퍼즐조각(100)은 타면에 자음 또는 모음이 표시되고, 일면에 그 표시되는 자음 또는 모음을 식별하는 위치에 스위치용 전극(110a,110b,110c)이 구비된 자모용 퍼즐조각(100a)들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퍼즐학습 본체(300)의 제어부(350)는 퍼즐판(200)의 초성용 인입공간(210a), 중성용 인입공간(210b,210c) 및 종성용 인입공간(210d)에 자모용 퍼즐조각(100a)들이 끼워질 때마다 생성되는 퍼즐별 접점신호 및 퍼즐별 추가접점신호를 참조하여 자모용 퍼즐조각(100a)들이 올바른 초성, 중성 및 종성 순서로 끼워지는지의 여부에 대해 정보출력부(330)를 통해 안내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진다.
그리고 사칙연산 학습놀이를 제공하기 위해, 퍼즐판(200)에 형성되는 인입공간(210)은 숫자용 인입공간(210f)들 및 +,―,×,÷의 사칙연산용 인입공간(210g)으로 이루어지되, 숫자용 인입공간(210f)에 형성되는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 및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들은 0부터 9까지의 각 수를 식별하는 개수만큼 형성되고, 사칙연산용 인입공간(210g)에 형성되는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 및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들은 사칙연산을 식별하는 개수만큼 형성되며, 퍼즐조각(100)은 타면에 0부터 9까지의 각 수 또는 사칙연산 기호가 표시되고, 일면에 그 표시되는 0부터 9까지의 각 수 또는 사칙연산 기호를 식별하는 위치에 스위치용 전극(110d,110e,110f)이 구비된 수 계산용 퍼즐조각(100b)들로 구비된다.
이를 통해, 퍼즐학습 본체(300)의 제어부(350)는 퍼즐판(200)의 숫자용 인입공간(210f)들 및 사칙연산용 인입공간(210g)에 상기 수 계산용 퍼즐조각(100b)이 끼워질 때마다 생성되는 퍼즐별 접점신호 및 퍼즐별 추가접점신호를 참조하여 사칙연산에 따른 답이 정답인지 오답인지를 상기 정보출력부(330)를 통해 안내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진다.
10,200 : 퍼즐판
11,210,210b,210c,210d,210e,210f,210g, : 인입공간
20,100,100a,100b : 퍼즐조각
110,110a,110b,110c : 스위치용 전극
120 : 출력정보 선택부 220 :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
220a,220b,220c, : 추가신호발생 대기용 전극
300 : 퍼즐학습 본체 310 : 정보수신부
320 : 메모리부 330 : 정보출력부
331 : 스피커 332 : 디스플레이부
340 : 정보입력부 350 : 제어부

Claims (9)

  1. 퍼즐조각과;
    상기 퍼즐조각이 끼워지는 인입공간이 형성된 퍼즐판과;
    상기 퍼즐조각을 상기 퍼즐판의 인입공간에 놓으면, 그 놓여진 퍼즐조각을 나타내는 퍼즐별 접점신호를 생성하는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와;
    정보출력부와;
    상기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와 유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로부터 퍼즐별 접점신호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퍼즐별 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에 관한 학습내용인 퍼즐별 학습정보를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퍼즐학습 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는, 상기 퍼즐조각의 일면에 구비되는 스위치용 전극과; 상기 퍼즐판에 탑재되는 것으로,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이 형성되되, 일단부가 상기 퍼즐판에 형성된 인입공간의 바닥면에 노출되게 형성된 회로기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퍼즐조각의 스위치용 전극이 상기 퍼즐판의 인입공간에 놓이면서 상기 회로기판의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에 접점되면, 상기 회로기판에서 이를 인지하여 해당 퍼즐조각을 나타내는 퍼즐별 접점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퍼즐조각의 형상 및 그 형상에 대응되는 상기 퍼즐판의 인입공간의 형상은 상기 퍼즐판의 인입공간에 한번 끼워진 후 끼움을 제거한 상태에서 상기 퍼즐조각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적어도 한번 더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일단부가 상기 퍼즐판에 형성된 인입공간의 바닥면에 노출되게 형성되는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이 더 구비되며,
    상기 퍼즐조각의 스위치용 전극은 상기 퍼즐조각이 상기 인입공간에 한 번 끼워질 시 상기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에 접촉되고, 그 끼워짐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퍼즐조각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퍼즐조각이 상기 인입공간에 한번 더 끼워질 시 상기 퍼즐조각의 스위치용 전극이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에 접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식 학습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퍼즐조각의 스위치용 전극이 상기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에 접점 시 이를 인지하여 해당 퍼즐조각이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된 방위에 따라 변경된 위치를 나타내는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접점신호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식 학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별 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에 관한 학습내용인 상기 퍼즐별 학습정보 및 상기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접점신호에 해당하는 퍼즐조각에 관한 추가학습내용인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학습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퍼즐학습 본체는 상기 퍼즐별 위치좌표생성부재로부터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접점신호가 전송되면, 그 전송된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접점신호를 상기 메모리부와 매칭하여 추출되는 퍼즐 회전위치별 추가학습정보를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식 학습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공간이 형성된 부근을 따라 표시되는 것으로, 출력되는 정보의 내용을 인지할 수 있게 나타내는 출력정보 안내부들과;
    상기 퍼즐조각의 타면에 표시되되, 상기 퍼즐조각의 일면에 표시된 스위치용 전극의 대응되는 곳에 표시되는 것으로, 상기 퍼즐판의 인입공간의 부근을 따라 형성된 출력정보 안내부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것을 나타내는 출력정보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식 학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공간의 형상 및 그 형상에 대응되는 상기 퍼즐판의 인입공간의 형상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식 학습장치.
  8.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판에 형성되는 인입공간은 초성용 인입공간, 중성용 인입공간 및 종성용 인입공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초성용 인입공간에 형성되는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 및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들은 각 자음을 식별하는 개수만큼 형성되고, 상기 중성용 인입공간에 형성되는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 및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들은 각 모음을 식별하는 개수만큼 형성되며, 상기 종성용 인입공간에 형성되는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 및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들은 각 자음을 식별하는 개수만큼 형성되고,
    상기 퍼즐조각은 타면에 자음 또는 모음이 표시되고, 일면에 그 표시되는 자음 또는 모음을 식별하는 위치에 상기 스위치용 전극이 구비된 자모용 퍼즐조각들로 구비되며,
    상기 퍼즐학습 본체는 상기 퍼즐판의 초성용 인입공간, 중성용 인입공간 및 종성용 인입공간에 상기 자모용 퍼즐조각들이 끼워질 때마다 생성되는 퍼즐별 접점신호 및 퍼즐별 추가접점신호를 참조하여 상기 자모용 퍼즐조각들이 올바른 초성, 중성 및 종성 순서로 끼워지는지의 여부에 대해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안내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식 학습장치.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퍼즐판에 형성되는 인입공간은 숫자용 인입공간들 및 +,―,×,÷의 사칙연산용 인입공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숫자용 인입공간에 형성되는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 및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들은 0부터 9까지의 각 수를 식별하는 개수만큼 형성되고, 상기 사칙연산용 인입공간에 형성되는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 및 추가 신호발생 대기용 전극들은 사칙연산을 식별하는 개수만큼 형성되며,
    상기 퍼즐조각은 타면에 0부터 9까지의 각 수 또는 사칙연산 기호가 표시되고, 일면에 그 표시되는 0부터 9까지의 각 수 또는 사칙연산 기호를 식별하는 위치에 상기 스위치용 전극이 구비된 수 계산용 퍼즐조각들로 구비되며,
    상기 퍼즐학습 본체는 상기 퍼즐판의 숫자용 인입공간들 및 사칙연산용 인입공간에 상기 수 계산용 퍼즐조각이 끼워질 때마다 생성되는 퍼즐별 접점신호 및 퍼즐별 추가접점신호를 참조하여 사칙연산에 따른 답이 정답인지 오답인지를 상기 정보출력부를 통해 안내하도록 프로그래밍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식 학습장치.
KR1020130123150A 2013-10-16 2013-10-16 퍼즐식 학습장치 KR101506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150A KR101506444B1 (ko) 2013-10-16 2013-10-16 퍼즐식 학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150A KR101506444B1 (ko) 2013-10-16 2013-10-16 퍼즐식 학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444B1 true KR101506444B1 (ko) 2015-03-27

Family

ID=53028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150A KR101506444B1 (ko) 2013-10-16 2013-10-16 퍼즐식 학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4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511B1 (ko) * 2015-09-25 2017-01-18 주식회사 로보로보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KR20190102576A (ko) * 2018-02-26 2019-09-04 전석주 전자블록에 기반한 학습교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034B1 (ko) 1999-02-11 2001-06-15 홍정선 문자의 획순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
KR20050100312A (ko) * 2004-04-13 2005-10-18 김달호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0415515Y1 (ko) 2006-02-24 2006-05-03 김달호 영어 학습기
KR20120053644A (ko) * 2010-11-18 2012-05-29 주식회사 유니온앤이씨 학습용 목질계 퍼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034B1 (ko) 1999-02-11 2001-06-15 홍정선 문자의 획순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
KR20050100312A (ko) * 2004-04-13 2005-10-18 김달호 단어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0415515Y1 (ko) 2006-02-24 2006-05-03 김달호 영어 학습기
KR20120053644A (ko) * 2010-11-18 2012-05-29 주식회사 유니온앤이씨 학습용 목질계 퍼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511B1 (ko) * 2015-09-25 2017-01-18 주식회사 로보로보 완구용 로봇 제어 시스템
KR20190102576A (ko) * 2018-02-26 2019-09-04 전석주 전자블록에 기반한 학습교구 시스템
KR102497847B1 (ko) * 2018-02-26 2023-02-08 주식회사 코보 전자블록에 기반한 학습교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2336B2 (en) Haptic braille output for a game controller
RU2408933C2 (ru) Управляемые интерактивные устройства
US10121388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es to convey chorded input
US9071287B2 (e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educational device and application
WO2015113433A1 (en) System and method to interact with elements of a language using physical objects
EP1899939B1 (en) Manipulable interactive devices
JP2007196375A (ja) 自律型ロボットとの相互作用の装置と方法
US20130196293A1 (en) Phonic learning using a mobile computing device having motion sensing capabilities
Garcia et al. Design guidelines for audio games
KR101506444B1 (ko) 퍼즐식 학습장치
Nushi et al. 50 LANGUAGES: A MOBILE LANGUAGE LEARNING APPLICATION (App Review)
Barbareschi et al. TIP-Toy: a tactile, open-source computational toolkit to support learning across visual abilities
CN202816178U (zh) 英语趣味学习板
Ploengpit et al. Rock-paper-scissors with Myo Armband pose detection
CN105917293B (zh) 使用物体与语言元素交互的系统和方法
CN106781725A (zh) 旋转组合式拼音学习玩具
CN112204639B (zh) 用于训练使用者的大脑的装置、程序及方法
KR20190033955A (ko) 다양한 플레이 코드 조립 또는 조합을 유도하여 코딩 교육을 지원하는 플레이 코드 교육 시스템 및 교육 방법
US20180165986A1 (en) Real Time Phonetic Learning System
KR20140096017A (ko) 언어학습시스템
WU et al. Development of a smart classroom for chinese language learning using a smartphone & tablet
WO2019083751A1 (en) EXIT IN HAPTIC BRAILLE FOR A GAME CONTROL DEVICE
KR20200071287A (ko) 채색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한 모바일 장치 및 서버
KR20140092598A (ko) Rfid를 이용한 교육장치
KR20200139859A (ko) 사물인터넷의 스타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코딩 교육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