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300A -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피부 질환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피부 질환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300A
KR20050095300A KR1020040020614A KR20040020614A KR20050095300A KR 20050095300 A KR20050095300 A KR 20050095300A KR 1020040020614 A KR1020040020614 A KR 1020040020614A KR 20040020614 A KR20040020614 A KR 20040020614A KR 20050095300 A KR20050095300 A KR 20050095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leaf
skin diseas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완
김형민
이범종
나호정
이희정
박기의
안종웅
이봉호
Original Assignee
서영완
김형민
이범종
한국해양대학교
학교법인 인제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완, 김형민, 이범종, 한국해양대학교, 학교법인 인제학원 filed Critical 서영완
Priority to KR1020040020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5300A/ko
Publication of KR20050095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30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5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longitudinal supporting elements, e.g. to insulate ceilings
    • E04B1/7658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longitudinal supporting elements, e.g. to insulate ceilings comprising fiber insulation, e.g. as panels or loose filled fibres
    • E04B1/766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disposed between two longitudinal supporting elements, e.g. to insulate ceilings comprising fiber insulation, e.g. as panels or loose filled fibres comprising fiber blankets or bat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짝잎모자반(Sargassum hemiphyl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피부질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짝잎모자반 추출물은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 및 β-헥소사미니데이즈 등의 매개물질의 유리를 억제하며, IL-8 및 TNF-α(종양괴사인자; Tumor Necrosis Factor) 등과 같은 세포활성물질의 유리를 억제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뿐만 아니라 건선, 습진, 여드름을 포함한 염증성 피부질환의 개선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보호 및 피부질환의 개선을 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피부 질환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t of Sargassum Hemiphylum for protection of skin and improvement of skin disease}
본 발명은 짝잎모자반(Sargassum hemiphyl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 및 피부질환 개선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환경오염, 식생활 습관 및 유전적인 원인,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성 피부 감염 등으로 인한 아토피 피부염과 같은 피부 트러블 및 피부질환 환자수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Donald YM Leung, Neal Jain and Harvey L Leo, New concepts in the pathogenesis of atopic dermatitis, 15, pp634-638, 2003).
인체의 피부는 물리적·화학적으로 외계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동시에 전신의 대사에 필요한 생화학적 기능을 영위하는 생명유지에 필수 불가결한 기관이다. 사람의 피부(머리털, 손, 발톱 등을 포함)에 나타나는 모든 이상 소견을 피부질환, 즉 피부병이라 한다. 피부는 신체의 표면을 덮고 있으므로 외계로부터 자극이나 여러 병원체에 직접 접촉될 기회가 많고, 체내로부터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더욱이 피부의 근소한 변화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만질 수 있으며, 병변부의 일부를 채취하여 병리조직학적으로 검사하거나, 미생물의 검색 등의 검사를 하기 쉽고, 개개의 질병의 진단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용이하므로, 그 종류는 다른 장기에 비하여 상당한 수에 이르며, 병명도 복잡 다양하다. 비교적 흔한 피부질환으로는 아토피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두드러기, 무좀, 완선, 건선, 단순포진/대상포진, 피부 건조증, 주부습진, 여드름 등이 있다. 이 중 아토피성 피부염은 심한 소양감(搔痒感)을 가지는 재발성의 만성 피부염으로 그 원인이 현재까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으나, 세계 전 인구의 10 내지 20%가 이 피부염으로 고통받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환경 오염 등에 의한 공기 매개성 알러지(allergy) 원인 물질(allergen)의 증가와 건조성 피부를 형성시키는 조건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최근 수 십 년 동안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한 유병율이 계속 상승하고 있다.
비만세포는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다양한 염증성 피부질환의 병인론에 관여하는데 비만세포는 피부에 존재하면서 다양한 염증성 세포활성물질을 분비한다. 비만세포는 면역학적 또는 비면역학적 자극으로 활성화 된 후, 히스타민(Histamin, β-이미다졸에틸아민), β-헥소사미니데이즈, 프로테아제(Protease), 아데노신 (Adenosine), 가수분해 효소와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을 포함한 다양한 매개물질들을 분비한다. 히스타민을 포함하는 전기 화학 전달물질들은 알레르기 반응의 초기에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임상증상을 유발하는 원인물질들이며,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는 것이 히스타민이다. 그 증상으로는 혈관 확장, 부종 등이 있으며, 화학 전달물질의 작용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증상으로는 담마진, 소양증, 피부발적 등의 피부증상 등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알레르기 반응에서 히스타민에 의한 작용이 중요하며, 히스타민 이외의 비만세포 전달물질들이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컴파운드 48/80(Compound 48/80)'에 의해 유도되는 건선과 관련이 있다는 보고가 있다(R.RUKWIED, G.LISCHETZKI, F.McGLONE, G.HEYER AND M.SCHMELZ. Mast cell mediators other than histamine induce pruritus in atopic dermatitis patients: a dermal microdialysis study,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42, pp1114-1120, 2000). 또한, 비만세포는 IL-8 및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α)와 같은 세포활성물질을 분비한다.
현재, 아토피 치료제로 스테로이드 외용제(연고제 등)를 도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고, 최근에는 면역억제제가 개발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부작용 염려 없이 완치 효과를 발휘하는 특별한 치료제 및 개선제는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시초로 하는 피부염의 치료에 빈번히 사용되는 스테로이드제는, 임상효과의 탁월함과 동시에 다양한 부작용을 발현하는 약제로서 스테로이드제의 부작용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보고되어 있지만, 연고제 등의 외용제에 있어서는, 피부의 박화나 위축, 홍조 등 피부로의 직접적인 유해작용이 중대한 부작용으로서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현재 항염증 또는 피부질환 치료효과 등이 알려진 생약들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피부질환 치료제로 개발된 예들이 알려져 있으나, 대부분 가려움증이나 염증 등을 경감시켜 줄 뿐 질병을 완치시키지는 못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부염치료제 및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로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스테로이드제에는 중대한 부작용의 문제가 있으며, 보다 부작용이 적고 안전성이 높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의 짝잎모자반(Sargassum hemiphylum)은 푸칼레스목 모자반과의 바닷말로 높이 30∼50㎝이며, 뿌리는 실모양이고, 줄기는 한 곳에서 여러 개가 나오며 어긋나기로 가지를 뻗는다. 잎은 반 정도를 세로로 떼어 낸 듯한 모양이다. 종명은 잎모양이 좌우대칭이 아닌 데서 나온 말이며, 기포(氣胞)는 알모양이나 방추형이고 끝이 둥근 것과 뾰족한 것이 있다. 조간대(潮間帶) 아래 바위에서 자라며 한국의 동해안·제주도, 일본, 태평양 등지에 분포한다(고정일 편, 파스칼대백과사전, 동서문화사).
본 발명자는 종래의 피부트러블을 포함한 피부질환 치료 제품들이 갖는 부작용을 줄이면서 면역기능 저하, 신기능 저하 및 호르몬 분비 이상 등의 부작용에 대한 위험성이 없는 조성물의 개발에 심혈을 기울여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의 짝잎모자반 추출물이 탁월한 알러지 반응 개선 및 염증 반응 조절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없으면서 탁월한 알러지 반응 개선 및 염증 반응 조절 효과를 갖는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 피부질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짝잎모자반(Sargassum hemiphyl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 피부질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짝잎모자반 추출물 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부질환으로는 아토피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또는 건선, 습진, 여드름을 포함한 염증성 피부질환을 포함한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환제, 과립제, 정제, 캅셀제 또는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짝잎모자반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짝잎모자반을 채집하여 세절한 후, 짝잎모자반 시료 중량의 약 2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0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의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메탄올로 실온에서 약 12시간 내지 2일,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내지 1일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여과한 다음, 이 과정을 2회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2회 내지 3회 수행하여 상층액을 모으고 감압농축 및 건조하여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Harborne J.B. Phytochemical methods: A guide to modern techniques of plant analysis, 3rd Ed., pp6-7, 199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짝잎모자반 추출물의 알러지 반응 개선 및 염증 반응 조절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본 발명의 짝잎모자반 추출물이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 및 β-헥소사미니데이즈 등의 매개물질의 유리를 억제하며, IL-8 및 TNF-α(종양괴사인자; Tumor Necrosis Factor) 등과 같은 세포활성물질의 유리를 유의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짝잎모자반 추출물은 1.0, 10, 100㎍/㎖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은 나타내지 않는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피부질환 개선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질환의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상기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피부질환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짝잎모자반 추출물의 제조
제주도 및 부산연안에서 짝잎모자반을 채집하여, 채집해 온 즉시 담수로 씻고 음건한 다음 짝잎모자반 시료 30g을 짧게 잘라 300㎖의 메탄올에 넣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하였다. 여과 후 다시 녹지 않는 침전물을 메탄올 300㎖에 녹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추출하여 여과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600㎖의 메탄올 용액을 감압 건조하여 짝잎모자반 추출물 2g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짝잎모자반 추출물의 히스타민 방출 억제효과 측정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짝잎모자반 메탄올 추출물의 히스타민 방출 억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흰쥐 복강에 30㎖ 정도의 티로드 완충용액 B(137mM NaCl, 5.3mM 글루코스, 12mM NaHCO3, 2.7mM KCl, 0.3mM NaH2PO4)를 주입하고 복부를 90초 정도 마사지 한 후, 복막을 조심스럽게 열어서 파스퇴르 파이펫으로 복강내 세포를 포함하고 있는 티로드(Tyrode) 완충용액 B를 수거하였다. 이어, 상기 세포함유 용액을 150 × g 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 하여 세포를 침전시키고 침전된 세포에 티로드 완충용액 B를 가하여 파이펫팅 한 후, 22.5% 메트리자마이드(metrizamide) 용액 위에 살짝 적층한 다음 400 × g 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침전된 세포만을 얻었다. 전기 침전된 세포에 α-MEM(minimum essential medium)/50% FBS(fetal bovine serum)를 가하고, 파이펫팅하여 톨루이딘 블루염색 방법을 통해 비만세포가 95% 이상이고, 트립판 블루염색에 의해 생존능력이 97% 이상임을 확인한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전기 정제된 비만세포에 α-MEM/50% FBS를 가하고 조심스럽게 파이펫팅한 다음, 2 × 105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였다. 세포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짝잎모자반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기 전에 37℃에서 10분 동안 미리 배양하였으며, 짝잎모자반 메탄올 추출물 수용액을 각각 1.0, 10.0, 100 ㎍/㎖가 되도록 가하고 37℃에서 30분 동안 처리한 다음, 곧바로 각각에 '컴파운드 48/80(Compound 48/80)' 6.0㎍/㎖(부피당 시약의 양)을 10분 동안 처리하였다. 반응 종료 후 400 × g에서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과 세포를 분리하였다.
히스타민 정량은 OPA(ο-phthaldialdehyde) 형광분광기(spectroflurometry)로 440nm에서 측정하였으며, 히스타민 분비의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였다.
억제율(%) = [(A-B) × 100]/A
A :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부가하지 않았을 때의 히스타민양
B : 짝잎모자반을 부가하였을 때의 히스타민양
실험결과, '컴파운드 48/80'으로 복강 비만세포를 자극 시 분비되는 히스타민을 짝잎모자반 추출물에 의해 유의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1.0, 100㎍/㎖의 농도에서 히스타민 분비를 각각 53.12%와 45.92%로 억제하였다(하기 표 1 참조).
짝잎모자반 추출물(㎍/㎖) 컴파운드 48/80 히스타민 억제율(%)
무처리 + -
10 + 53.12 ± 13.48
100 + 45.92 ± 0.68*
* P<0.05
실험예 2. 짝잎모자반 추출물의 β-헥소사미니데이즈 방출 억제효과 측정
짝잎모자반 추출물의 β-헥소사미니데이즈 방출 억제효과를 히스타민 방출 측정시 이용되었던 비만세포를 흰쥐의 복강에서 분리하여 그 방출을 조사하였으며,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즉, 정제된 비만세포에 α-MEM/50% FBS를 가하고 조심스럽게 파이펫팅한 다음, 2 × 105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였다. 세포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짝잎모자반 메탄올 추출물을 처리하기 전에 37℃에서 10분 동안 미리 배양하였으며, 짝잎 모자반 메탄올 추출물 수용액을 각각 1.0, 10.0, 100㎍/㎖ 가 되도록 가하여 37℃에서 30분 동안 처리한 다음, 곧바로 각각에 '컴파운드 48/80' 6.0㎍/㎖(부피당 시약의 양)을 10분 동안 처리하였다. 반응 종료 후 400 × g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과 세포를 분리하였다.
β-헥소사미니데이즈 정량은 0.1 M 구연산염 완충액(citrate buffer)에 녹인 1 mM ρ-니트로-페닐-N-β-D-글루코사미니드(ρ-nitro-phenyl-N-β-D-glucosaminide) 50㎕를 동량의 샘플에 37℃에서 1시간동안 처리한 다음 엘리사(ELISA) 판독기로 405nm에서 측정하였으며, β-헥소사미니데이즈 분비의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계산하였다.
억제율(%) = [(A-B) × 100]/ A
A :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부가하지 않았을 때의 β-헥소사미니데이즈양
B :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부가하였을 때의 β-헥소사미니데이즈양
실험결과, '컴파운드 48/80'으로 복강 비만세포를 자극 시 분비되는 β-헥소사미니데이즈가 본 발명의 짝잎모자반 추출물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짝잎모자반 추출물 1.0, 10, 100 ㎍/㎖의 각각의 농도에서 유의성있게 β-헥소사미니데이즈 분비를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참조).
실험예 3. 짝잎모자반 추출물의 TNF-α 방출 억제효과 측정
짝잎모자반 추출물이 염증성 세포활성물질인 TNF-α 방출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배양액 IMDM/FBS에 비만 세포주 HMC-1을 5% CO2, 37℃에서 배양한 후 3 × 105 개의 세포가 되도록 분주하였다. 세포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처리하기 전에 37℃에서 10분 동안 미리 배양한 다음,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각각 10, 100㎍/㎖가 되도록 30분 동안 가한 후 자극제인 PMA와 A23187로 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400 × g에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과 세포를 분리한 다음 분리된 상층액 중 TNF-α의 단백질 수준을 조사하기 위하여 엘리사(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를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즉, TNF-α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인 항-인간 TNF-α(1 ㎍/㎖)를 PBS(pH 7.4)로 희석하여, 96웰 플레이트에 100㎕씩 각각 코팅한 다음,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플레이트를 0.05% 트윈(tween)이 포함된 PBS로 세척한 후, 1% BSA, 5% 슈크로스 및 0.05% NaN3을 함유한 PBS로 1 시간 동안 차단시켰다. 여러 차례 세척한 다음, 원심 분리하여 얻은 상층액과 표준 곡선으로 사용할 재조합 TNF-α를 첨가한 후, 37℃에서 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어서 각 웰을 다시 세척하고 2차 항체 바이오틴이 결합된 TNF-α(0.2 ㎍/㎖)를 첨가하여 다시 37℃에서 2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웰을 세척한 다음, 아비딘이 연결된 과산화효소를 첨가하여 37℃에서 20분 동안 방치하였다. 이어서 웰을 다시 세척한 다음, ABTS 기질을 첨가하고, 발색반응을 엘리사 판독기를 사용하여 405㎚에서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짝잎모자반 추출물이 10, 100㎍/㎖에서 TNF-α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하기 표 2 참조).
짝잎모자반 추출물(㎍/㎖) TNF-α 유리(ng/㎖) 억제율(%)
무처리 1.55 ± 0.42 -
10 1.44 ± 0.03 7.0
100 0.28 ± 0.09* 81.9*
* P<0.05
실험예 4. 짝잎모자반 추출물의 IL-8 방출 억제효과 측정
짝잎모자반 추출물의 IL-8(Interleukin-8) 방출 억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짝잎모자반 추출물 10㎍/㎖에서 IL-8 방출을 29.7%로 유의적으로 억제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하기 표 3 참조).
짝잎모자반 추출물(㎍/㎖) IL-8 방출(ng/㎖) 억제율(%)
무처리 2.96 ± 0.24 -
1.0 2.77 ± 0.28 6.4
10 2.08 ± 0.03* 29.7*
100 2.72 ± 0.07 8.1
* P<0.05
실험예 5. 짝잎모자반 추출물의 독성평가
본 발명의 짝잎모자반 추출물의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즉, HMC-1세포를 1.0 × 105 세포/㎖의 농도로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넣고 24시간 배양 한 후, 1.0, 10, 100㎍/㎖ 의 농도로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첨가하였다. 이를 24시간 배양한 다음, MTT 시료(3-(4,5-dimethylthiazo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Sigma사, 미국) 100 ㎍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플레이트를 1,000 rpm에서 10 분간 원심분리하고 조심스럽게 배지를 제거한 다음, DMSO(Sigma사, 미국) 150㎕를 가하여 MTT의 환원에 의해 생성된 포르마잔 침전물을 용해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Carmichael, J. et al., Cancer Research, 47, pp936-941, 1987). 각 시료군에 대한 평균 흡광도값을 구하였으며, 대조군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성장억제정도를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본 발명의 짝잎모자반 추출물 1.0, 10, 100㎍/㎖의 농도에서 모두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참조).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짝잎모자반 추출물 분말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짝잎모자반 추출물 분말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짝잎모자반 추출물 분말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짝잎모자반 추출물 분말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짝잎모자반 추출물 분말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짝잎모자반 추출물 분말 10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짝잎모자반 추출물은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 및 β-헥소사미니데이즈 등의 매개물질의 유리를 억제하며, IL-8 및 TNF-α(종양괴사인자; Tumor Necrosis Factor) 등과 같은 세포활성물질의 유리를 억제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뿐만 아니라 건선, 습진, 여드름을 포함한 염증성 피부질환의 개선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보호 및 피부질환의 개선을 위한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짝잎모자반 추출물의 β-헥소사미니데이즈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짝잎모자반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나타낸 도이다.

Claims (7)

  1. 짝잎모자반(Sargassum hemiphylum)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 피부질환 개선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짝잎모자반 추출물 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피부질환은 아토피 피부염 등의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또는 건선, 습진, 여드름을 포함한 염증성 피부질환인 약학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환제, 과립제, 정제, 캡셀제 또는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6. 피부보호 및 피부질환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짝잎모자반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7. 제 6항에 있어서, 건강음료인 건강기능식품.
KR1020040020614A 2004-03-26 2004-03-26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피부 질환개선용 조성물 KR20050095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614A KR20050095300A (ko) 2004-03-26 2004-03-26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피부 질환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614A KR20050095300A (ko) 2004-03-26 2004-03-26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피부 질환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300A true KR20050095300A (ko) 2005-09-29

Family

ID=37275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614A KR20050095300A (ko) 2004-03-26 2004-03-26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피부 질환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53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702B1 (ko) * 2008-05-21 2011-02-22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KR20170088189A (ko) * 2016-01-22 2017-08-01 테 퐁 민 인터내셔널 코., 엘티디. 알레르기-억제 모자반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응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702B1 (ko) * 2008-05-21 2011-02-22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KR20170088189A (ko) * 2016-01-22 2017-08-01 테 퐁 민 인터내셔널 코., 엘티디. 알레르기-억제 모자반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응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2191B1 (ko) 모시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암 또는 신경퇴행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090084159A (ko) 감 추출물 또는 탄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면역관련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064651B1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851167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25432B1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1865142B1 (ko) 조팝나무, 배나무, 뱀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095300A (ko) 짝잎모자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피부 질환개선용 조성물
KR20220082396A (ko) 계혈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50095299A (ko) 까막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피부 질환 개선용조성물
KR102208665B1 (ko) 산사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용도
KR20050095298A (ko) 가죽그물바탕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 및 피부질환 개선용 조성물
KR20130060475A (ko)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조성물
KR101403999B1 (ko) 독성물질을 제거한 삼백초 정제물 및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0899377B1 (ko) 망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00323A (ko) 모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식품 조성물
KR20200117501A (ko) 신경세포 손상 개선 또는 신경세포 사멸 억제용 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23462B1 (ko) 노루오줌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아스틸빅산 및펠토보이키놀릭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 항알러지조성물
KR20050003665A (ko) 식방풍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KR102227261B1 (ko) 고욤 효소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23463B1 (ko) 노루오줌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아스틸빅산 및펠토보이키놀릭산 유도체를 함유하는 항염증 또는항알러지 조성물
KR101596006B1 (ko)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60029714A (ko) 포도나무 수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저해제
KR101222779B1 (ko) 식용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