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2618A -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2618A
KR20050092618A KR1020040017724A KR20040017724A KR20050092618A KR 20050092618 A KR20050092618 A KR 20050092618A KR 1020040017724 A KR1020040017724 A KR 1020040017724A KR 20040017724 A KR20040017724 A KR 20040017724A KR 20050092618 A KR20050092618 A KR 20050092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teering angle
pinion gear
steering wheel
referen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2472B1 (ko
Inventor
김융기
Original Assignee
김융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융기 filed Critical 김융기
Priority to KR1020040017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2472B1/ko
Publication of KR20050092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2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2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24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6Signs formed by electric discharge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8Silicon, e.g. silicon carbide, magnesium silicide, heating transistors or di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 무게추에 의해 일정한 방향을 향하는 기준판의 내치차와, 스티어링휠의 하부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기어의 사이에서 치차결합된 아이들기어가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내치차를 따라 이동되므로써 아이들기어의 중심축이 이동되고, 아이들기어의 중심축의 이동에 따라 지시침이 이동되어 조향각을 가리키는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티어링휠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부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중심홈이 구비되는 피니언기어와, 피니언기어와 치차결합되고, 피니언기어와의 기어비에 따라 이동반경이 조절되며, 제2중심축이 구비되는 아이들기어와, 피니언기어에 형성된 중심홈에 삽입되도록 제1중심축이 상,하부로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일측에는 무게추가 구비되어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상관없이 제1중심축을 중심으로 항상 일정한 방향을 향하게되며, 타측에는 내치차가 형성되어 아이들기어가 내치차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고, 아이들기어의 이동에 따른 제2중심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기준판과, 기준판의 상부에 장착되도록 피니언기어의 제1중심축이 관통되게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아이들기어의 제2중심축이 관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피니언기어의 제1중심축을 중심으로 아이들기어의 제2중심축을 따라 이동되어 조향각을 가리키는 지시침과, 하부케이스와 체결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니언기어 및 내치차와 치차결합되는 아이들기어의 움직임을 통하여 조향각을 가리키므로써 조향각 표시장치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여 제작을 용이하게한다.
또한, 상기 아이들기어와 기준판을 하부케이스에 닿지않도록 하므로써 조향각의 표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Steering angle indicator of steering wheel}
본 발명은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게추에 의해 일정한 방향을 향하는 기준판의 내치차와, 스티어링휠의 하부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기어의 사이에서 치차결합된 아이들기어가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내치차를 따라 이동되므로써 아이들기어의 중심축이 이동되고, 아이들기어의 중심축의 이동에 따라 지시침이 이동되어 조향각을 가리키는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휠은 차량의 주행방향을 제어하는 필수적인 장치로서,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앞차륜을 연동시켜 조향되게하며, 승용차의 경우에는 좌우로 1.5회전, 버스 트럭등의 상용차의 경우에는 좌우로 2.5회전시에 앞차륜이 최대 조향상태가된다.
이러한 스티어링휠의 조작을 통하여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게되지만, 운전 초보자의 경우에는 차륜의 상태를 잘 파악하지 못해 사고를 유발히기 쉬우며, 특히 주차시 또는 좁은 골목길의 주행시에 이러한 사고의 발생위험은 더욱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티어링휠의 축회동을 센서로 감지하고, 이를 수치로 환산하여 차륜의 조향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는 차량의 제조공정에서 미리 조립되어야하고, 그 제조단가 역시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실2000-0000351호에는 장치의 내부에 액체를 주입하고, 각 부품에 중공부력부를 만들어 부력을 가지게하며, 각 부품간의 마찰을 줄이는 방법을 통한 "차량의 핸들 조향각 표시기"가 설명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장치는 그 내부에 액체를 주입해야하고, 액체의 유출을 막기위해 밀봉상태가 유지되어야 하며, 이로인해 장치의 무게가 증가되고, 단가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게추에 의해 일정한 방향을 향하는 기준판의 내치차와, 스티어링휠의 하부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기어의 사이에서 치차결합된 아이들기어가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내치차를 따라 이동되므로써 아이들기어의 중심축이 이동되고, 아이들기어의 중심축의 이동에 따라 지시침이 이동되어 조향각을 가리키는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는 스티어링휠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중심홈이 구비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차결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의 기어비에 따라 이동반경이 조절되며, 제2중심축이 구비되는 아이들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에 형성된 중심홈에 삽입되도록 제1중심축이 상,하부로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일측에는 무게추가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상관없이 상기 제1중심축을 중심으로 항상 일정한 방향을 향하게되며, 타측에는 내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아이들기어가 내치차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아이들기어의 이동에 따른 제2중심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기준판과, 상기 기준판의 상부에 장착되도록 상기 피니언기어의 제1중심축이 관통되게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아이들기어의 제2중심축이 관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기어의 제1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아이들기어의 제2중심축을 따라 이동되어 조향각을 가리키는 지시침과, 상기 하부케이스와 체결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판에 구비된 무게추의 높이가 상기 피니언기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무게추가 상기 하부케이스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판의 내치차는 상기 기준판 원주면을 따라 일측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원호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이들기어가 상기 하부케이스에 닿지않도록 상기 아이들기어의 높이가 상기 피니언기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제2중심축에는 소정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걸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아들기어의 이동에 따른 지시침의 이동에 의하여 조향각이 표시되도록 상기 기준판의 일측 상부면에 눈금이 새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는 원주면을 따라 상부면의 일부가 투명창으로 구비되거나 상부면 전체가 투명창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티어링휠의 회전에 따라 조향각이 표시됨과 동시에 방위가 표시되도록 나침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또한, 상기 기준판에는 상기 나침반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준판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는 하부케이스(10), 피니언기어(20), 아이들기어(30), 기준판(40), 지시침(50) 및 상부케이스(60)를 포함한다.
하부케이스(10)는 스티어링휠(1)의 하부를 이루는 케이스로서, 내부의 중앙에는 상부로 연이어지게 일체로 형성되는 피니언기어(20)가 구비된다.
피니언기어(20)는 하부케이스(10)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중심홈(22)이 형성되고, 스티어링휠(1)의 회전에 의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아이들기어(30)는 그 중심에 제2중심축(32)이 상방향으로 구비되고, 기준판(40)에 형성된 내치차(44)와 피니언기어(20)의 사이공간에서 치차결합되며, 피니언기어(20)의 회전에 의해 아이들기어(30)가 내치차(44)를 따라 이동되어 아이들기어(30)의 제2중심축(32)이 기준판(40)에 형성된 가이드홀(46)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아이들기어(30)는 피니언기어(20) 및 내치차(44)와의 기어비에 따라 이동반경이 조절되며, 스티어링휠이 1.5바퀴회전되는 승용차의 경우에는 피니언기어 : 아이들기어 : 내치차의 기어비 = 8 : 52 : 112 또는 12 : 78 : 168이 바람직하고, 스티어링휠이 2.5바퀴회전되는 상용차의 경우에는 피니언기어 : 아이들기어 : 내치차의 기어비 = 8 : 92 : 192 또는 12: 138 : 288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이들기어(30)의 제2중심축(32)에는 소정의 걸림돌기(34)가 형성되어 기준판(40)에 형성된 가이드홀(46)에 걸치게되고, 아이들기어(30)의 높이가 피니언기어(2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이들기어(30)가 하부케이스(10)의 내측 저면에 닿지않아 아이들기어(3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기준판(40)은 피니언기어(20)에 형성된 중심홈(22)에 삽입되도록 중심에 제1중심축(42)이 상,하부에 연이어지게 형성되며, 기준판(40)의 일측에는 기준판(40)의 무게중심을 갖는 무게추(48)가 구비되어 피니언기어(20)의 회전과 상관없이 중력에 의해 항상 일정한 방향을 향하게된다.
이때, 기준판(40)에 형성된 무게추(48)의 높이는 상기 피니언기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무게추(48)가 하부케이스(10)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준판(40)의 타측에는 원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원호의 내주면에 내치차(44)가 형성되어 피니언기어(10)의 회전에 의해 아이들기어(30)가 내치차(44)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며, 기준판(40)의 타측 중간에는 아이들기어(30) 이동에 따른 제2중심축(3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46)이 형성된다.
기준판(40)의 타측 상부면에는 이아들기어(30)의 이동에 따른 지시침(60)의 이동에 의하여 조향각이 표시되도록 눈금이 새겨진다.
지시침(50)은 그 일단에 기준판(40)에 형성된 제1중심축(42)이 관통되게 제1관통홀(52)이 형성되고, 중간에는 아이들기어(30)의 제2중심축(32)이 관통되는 제2관통홀(54)이 형성되며, 기준판(40)의 제1중심축(42)을 중심으로 아이들기어(30)의 제2중심축(32)을 따라 이동되고, 기준판(40)에 구비된 눈금을 가리키게되어 조향각을 나타내게된다.
상부케이스(60)는 원주면을 따라 상부면의 일부가 투명창(62)으로 구비되거나 상부면 전체가 투명창으로 구비되어 지시침(50)이 가리키는 눈금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하며, 하부케이스(10)와 체결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도 5는 스티어링휠을 오른쪽으로 회전한 경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은 스티어링휠을 왼쪽으로 회전한 경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티어링휠(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면 스티어링휠(1)의 하부케이스(10)에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기어(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피니언기어(20) 및 내치차(40)와 치차결합된 아이들기어(3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
이때, 기준판(40)에 구비된 무게추가 중력에 의해 항상 지면 방향으로 향하게되고, 이에따라 기준판(40)에 형성된 내치차(44)는 움직이지않게된다.
따라서, 아이들기어(30)는 내치차(44)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되고, 아이들기어(30)의 이동에 따라 아이들기어(30)의 중심에 구비된 제2중심축(32)이 기준판(40)에 형성된 가이드홀(46)을 따라 이동하게되어 조향각을 나타내게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티어링휠(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면 스티어링휠(1)의 하부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기어(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되고, 피니언기어(20) 및 내치차(40)와 치차결합된 아이들기어(3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된다.
이때, 기준판(40)에 형성된 내치차(44)가 움직이지 않으므로 아이들기어 (30)는 내치차(44)를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되고, 아이들기어(30)의 이동에 따라 아이들기어(30)의 중심에 구비된 제2중심축(32)이 기준판(40)에 형성된 가이드홀(46)을 따라 이동하게되어 조향각을 나타내게된다.
즉, 사용자가 스티어링휠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차량의 바퀴가 임의의 각도만큼 회전하게되며, 조향각 지시침에 의해 가리켜진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침반이 구비된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준판(140)의 무게추(148)에 방위를 표시하는 나침반(170)을 수용하도록 수용홈(172)이 형성되며, 스티어링휠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기준판(140)은 움직이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나침반(170)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된다.
이때, 수용홈(172)은 나침반(170)이 수용홈(172)에 장착되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스티어링휠이 실제로 차량에 장착되면 나침반(170)이 수평으로 놓여지게되어 차량의 이동방향에 따라 방위를 원활하게 표시하게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는 무게추에 의해 일정한 방향을 향하는 기준판의 내치차와, 스티어링휠의 하부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피니언기어의 사이에서 치차결합된 아이들기어가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의해 내치차를 따라 이동되므로써 아이들기어의 중심축이 이동되고, 아이들기어의 중심축의 이동에 따라 지시침이 이동되어 조향각을 가리키게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니언기어 및 내치차와 치차결합되는 아이들기어의 움직임을 통하여 조향각을 가리키므로써 조향각 표시장치의 구성을 단순하게 하여 제작을 용이하게한다.
또한, 상기 아이들기어와 기준판을 하부케이스에 닿지 않도록 하므로써 조향각의 표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침반을 추가로 구비하므로써 조향각의 표시와 동시에 방위의 표시가 가능하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준판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스티어링휠을 오른쪽으로 회전한 경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스티어링휠을 왼쪽으로 회전한 경우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나침반이 구비된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케이스 20 : 피니언기어
30 : 아이들기어 40 : 기준판
50 : 지시침 60 : 상부케이스

Claims (8)

  1. 하부케이스 구비되고, 조향각을 표시하는 스티어링휠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휠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에 일체로 형성되고, 그 중심에는 중심홈이 구비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차결합되고, 상기 피니언기어와의 기어비에 따라 이동반경이 조절되며, 제2중심축이 구비되는 아이들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에 형성된 중심홈에 삽입되도록 제1중심축이 상,하부로 연이어지게 형성되고, 일측에는 무게추가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에 상관없이 상기 제1중심축을 중심으로 항상 일정한 방향을 향하게되며, 타측에는 내치차가 형성되어 상기 아이들기어가 내치차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아이들기어의 이동에 따른 제2중심축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기준판과;
    상기 기준판의 상부에 장착되도록 상기 피니언기어의 제1중심축이 관통되게 제1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아이들기어의 제2중심축이 관통되는 제2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피니언기어의 제1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아이들기어의 제2중심축을 따라 이동되어 조향각을 가리키는 지시침과;
    상기 하부케이스와 체결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판에 구비된 무게추의 높이가 상기 피니언기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무게추가 상기 하부케이스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판의 내치차는 상기 기준판 원주면을 따라 일측 하방으로 돌출형성된 원호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기어가 상기 하부케이스에 닿지않도록 상기 아이들기어의 높이가 상기 피니언기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제2중심축에는 소정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걸치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아들기어의 이동에 따른 지시침의 이동에 의하여 조향각이 표시되도록 상기 기준판의 일측 상부면에 눈금이 새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는 원주면을 따라 상부면의 일부가 투명창으로 구비되거나 상부면 전체가 투명창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휠의 회전에 따라 조향각이 표시됨과 동시에 방위가 표시되도록 나침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판에는 상기 나침반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KR1020040017724A 2004-03-16 2004-03-16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KR100582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724A KR100582472B1 (ko) 2004-03-16 2004-03-16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724A KR100582472B1 (ko) 2004-03-16 2004-03-16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2618A true KR20050092618A (ko) 2005-09-22
KR100582472B1 KR100582472B1 (ko) 2006-05-22

Family

ID=37273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724A KR100582472B1 (ko) 2004-03-16 2004-03-16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247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4177A1 (en) * 2006-11-02 2008-05-08 Jae-Ok Lee Tire direction indicator
WO2010102543A1 (zh) * 2009-03-13 2010-09-16 Lin Wancai 汽车转向指示器
WO2010114189A1 (ko) * 2009-04-02 2010-10-07 모두 트로닉스 리셋 기능이 있는 핸들 조향각 표시기
KR101837715B1 (ko) * 2017-11-13 2018-03-13 (주)유케이오토텍 급유기능을 갖는 동력전달장치
CN109278860A (zh) * 2017-07-20 2019-01-29 北京电子工程总体研究所 一种方向盘转动圈数显示机构
CN110466608A (zh) * 2019-08-17 2019-11-19 刘炜 车轮偏转角度指示器及车辆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4177A1 (en) * 2006-11-02 2008-05-08 Jae-Ok Lee Tire direction indicator
WO2010102543A1 (zh) * 2009-03-13 2010-09-16 Lin Wancai 汽车转向指示器
WO2010114189A1 (ko) * 2009-04-02 2010-10-07 모두 트로닉스 리셋 기능이 있는 핸들 조향각 표시기
KR101037406B1 (ko) * 2009-04-02 2011-05-30 (주)모두트로닉스 리셋 기능이 있는 핸들 조향각 표시기
CN109278860A (zh) * 2017-07-20 2019-01-29 北京电子工程总体研究所 一种方向盘转动圈数显示机构
KR101837715B1 (ko) * 2017-11-13 2018-03-13 (주)유케이오토텍 급유기능을 갖는 동력전달장치
CN110466608A (zh) * 2019-08-17 2019-11-19 刘炜 车轮偏转角度指示器及车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2472B1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472B1 (ko) 스티어링휠 조향각 표시장치
JP3451378B2 (ja) オートマチック車の変速ギア制御装置
US5610577A (en) Automobile front-wheel orientation and turning-angle indicator
KR101037406B1 (ko) 리셋 기능이 있는 핸들 조향각 표시기
JPH0117903B2 (ko)
CN201484491U (zh) 汽车转向轮方向显示器装置
KR0179954B1 (ko) 자동차 조향각도표시기
KR200230407Y1 (ko) 차량의핸들조향각표시기
KR200436928Y1 (ko) 타이어 방향 표시기
KR0179955B1 (ko) 자동차 조향각도표시기
JPH0674565U (ja) 車両における前進方向及び後退方向の簡易表示装置
KR200319198Y1 (ko) 앞바퀴방향표시장치
KR100331424B1 (ko) 자동차의 조향위치 표시장치
KR960007808Y1 (ko) 전자동차 전륜 조향각(주행방향) 표시기
KR200217496Y1 (ko) 차량의 조향각 표시장치
KR100312632B1 (ko) 자동차조향각도표시기
JP3024943U (ja) 自動車ハンドル回転位置表示器
CA3220617A1 (en) User interface with a dial controller including a rotatable dial that can be manipulated along or about three axes
KR0132058Y1 (ko) 속도계 시스템
JPS5940959A (ja) ステアリング装置のスイツチ装置
JP3018655U (ja) 自動車前輪の方向及び角度指示計
JPS6140601Y2 (ko)
KR200165154Y1 (ko) 차량의조향각표시장치
JP3054844U (ja) 歯車式自動車ハンドル回転位置表示器
CN205499053U (zh) 汽车转向轮转向指示装置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