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1939A -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1939A
KR20050091939A KR1020040017117A KR20040017117A KR20050091939A KR 20050091939 A KR20050091939 A KR 20050091939A KR 1020040017117 A KR1020040017117 A KR 1020040017117A KR 20040017117 A KR20040017117 A KR 20040017117A KR 20050091939 A KR20050091939 A KR 20050091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ball
sorting
shot
perforat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7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석
이경돈
하인철
송신우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040017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1939A/ko
Publication of KR2005009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193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Holding-devices for protective discs or for picture mas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1Filters in the form of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트 블래스트 장치에서 쇼팅작업에 사용된 쇼트볼을 직경별로 분류하여 회수한 다음 다시 공급하는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쇼팅부 하부에 경사형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타공판과, 상기 타공판으로부터 배출되는 쇼트볼을 저장하도록 각각의 타공판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쇼트볼 저장탱크와,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로부터 쇼트볼을 상기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수직 이송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각각의 배출통로에 구비된 공급밸브와, 상기 공급밸브를 개폐하도록 연결되고, 쇼트블래스트 공정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쇼트볼의 선별 및 분류작업의 시간이 단축되고, 선별효율이 증대되어 쇼트작업 소요시간의 절감으로 생산성은 향상되고, 피가공물의 높은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APPARATUS FOR CLASSIFYING AND SUPPLYING SHOT BALLS}
본 발명은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쇼트 블래스트 장치에서 쇼팅작업에 사용된 쇼트볼을 직경별로 분류하여 회수한 다음 다시 공급하는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된 금속제품과 같은 피가공물은 표면에 부착한 이물질(녹, 스케일 등)을 제거하기 위한 쇼트 블래스트(Shot Blast)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쇼트 블래스트 공정은 강철제의 구상(球狀) 소립자인 쇼트볼(Shot Ball)을 공기압 또는 기계적 원심력에 의하여 초당 약 60~100m의 고속으로 투사(投射; Shotting)하여 쇼트볼이 갖는 운동에너지가 금속가공물의 표면을 타격함으로써 피가공물에 형성된 산화피막이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어느 정도 청정한 표면을 얻는 연마작업을 말한다.
현재 금속재질의 제청(Descaling)공정, 주조품의 탈사와 표면청정, 스프링 및 기어와 같은 정밀기계부품의 피로수명을 연장시키는 쇼트 피닝(Shot Peening), 금속에칭제품의 광택 및 도금하지처리 등 여러 분야에 쇼트 블래스트 공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쇼트 블래스트 공정을 실시하는 장치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직이송형 쇼트 블래스트 장치가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쇼트 블래스트 장치(200)의 일측에는 사용된 쇼트볼을 상부로 이송시켜 쇼트볼 투사부(201)로 공급하기 위한 버킷컨베이어 타입의 수직 이송부(20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직 이송부(203)의 상부 측방부에는 쇼트볼을 쇼트볼 투사부(201)로 공급하기 위한 쇼트볼 공급통로(205)가 경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쇼트볼 공급통로(205)로 쇼트볼이 투입되면, 쇼트볼은 쇼트볼 투사부(201)로 진입하여 공기압에 의한 에어 블래스트 노즐 또는 기계적 원심력에 의한 임펠러에 의하여 하방으로 투사(投射; Shotting)되고, 투사된 쇼트볼은 직하방 공간부에 형성된 쇼팅 드럼(204)의 상부 개공부를 통하여 투입되어 쇼팅 드럼(204) 내부에서 벨트컨베이어(202)에 의하여 회전하고 있는 피가공물(207)을 쇼팅 블래스트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피가공물(207)에 투사된 쇼트볼은 피가공물(207)을 회전시키고 있는 벨트컨베이어(202)에 천공된 홀(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며, 배출된 쇼트볼은 장치(200)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206)을 따라 배출구(208)를 통하여 수직 이송부(203)의 하부로 배출되어 진다. 이렇게 배출된 쇼트볼은 다시 수직 이송부(203)에 의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송되어 쇼트볼 투사부(201)로 공급되어 재사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쇼트 블래스트공정에서 사용되는 쇼트볼의 크기는 피가공물의 표면 품질과 작업소요시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종래의 쇼트 블래스트 장치(200)에서는 한 가지 직경의 쇼트볼만을 사용하여야 하고, 또한 쇼트볼이 마모되어 직경이 작아지더라도 분류할 수 없기 때문에 균일한 직경으로 쇼트볼의 크기를 계속 유지할 수도 없다. 이는 피가공물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쇼트 블래스트 작업소요시간도 늘어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쇼트볼은 선별공정을 거쳐 양호한 상태 및 크기에 따라 선별되어 사용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쇼트볼 선별장치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2468호에 ‘원하는 직경의 쇼트볼을 선별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의 쇼트볼 선별장치에서 쇼트볼을 선별하는 원리는 직경의 편차가 심한 쇼트볼을 일반적인 스크린에 통과시켜 원하는 직경의 볼로 선별하는 1차 공정과, 상기 1차 선별된 것을 낙하에 의한 회전력에 의하여 내부 및 외부 스크류(13, 14)로 이동시켜 모난 볼과 구형의 볼로 각각 선별하는 2차 공정과, 2차 선별된 구형 볼은 다시 진동판(22) 및 선별판(22c)으로 구성되는 진동선별기를 거쳐 원하는 직경의 볼을 선별하는 3차 공정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쇼트볼 선별장치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 번의 공정으로 원하는 특정의 직경을 가지는 쇼트볼을 얻을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즉 쇼트 블래스트 장치에서 여러 가지 직경의 쇼트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한번의 공정으로 여러 가지 직경의 쇼트볼을 동시에 분류할 수 있어야만 선별작업시간이 단축되는데, 종래의 선별장치는 한 공정에서 특정 직경에 해당하는 쇼트볼 밖에 선별할 수 없다는 것이다.
둘째, 원하는 직경의 쇼트볼을 얻기 위해 세 가지 공정을 필요로 하여 공정소요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즉 원하는 크기의 스크린으로 1차 선별작업 후, 회전력을 이용한 2차 선별을 거친 다음 최종적으로 진동에 의한 3차 공정이 완료되어야 원하는 직경의 쇼트볼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선별공정시간이 상당히 길어져 쇼트 블래스트 장치에 적용할 경우 공정 전체의 소요시간을 증가 시킬 수 있다.
셋째, 재사용되는 쇼트볼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쇼트 블래스트 장치 외부로 쇼트볼을 배출시켜 별도로 마련된 선별장치에 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의 번거로움과 이에 따른 작업인력이 상당히 필요하다는 것이다. 즉 종래의 선별장치는 쇼트 블래스트 장치와는 별개로 별도로 마련된 공간에 설치된 장치이기 때문에 사용 중인 쇼트볼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쇼트 블래스트 장치 외부로 쇼트볼을 완전히 배출시켜 여러 공정으로 나누어진 선별장치에 투입하여야 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상당히 길어지며, 이에 따르는 작용비용이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 쇼트볼 선별장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경이 서로 다른 단계별 타공판을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내부공간에 다층형으로 설치하여 쇼트볼 선별작업 소요시간을 줄이고, 한 공정에 여러 크기의 직경별 쇼트볼로 선별함으로써 쇼트볼 선별능률을 향상시켜 쇼트 블래스트 장치로부터의 피가공물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가공물을 쇼팅하여 표면처리하는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쇼트볼을 선별하여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쇼팅부 하부에 경사형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타공판과, 상기 타공판으로부터 배출되는 쇼트볼을 저장하도록 각각의 타공판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쇼트볼 저장탱크와,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로부터 쇼트볼을 상기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수직 이송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각각의 배출통로에 구비된 공급밸브와, 상기 공급밸브를 개폐하도록 연결되고, 쇼트블래스트 공정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나 이상의 타공판의 통공이 하층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각각의 타공판은 일측 고단부에 고정된 가진축 및 이를 동력결합하는 가진기에 의하여 진동되는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타공판의 일측 저단부와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의 상단부에 사이에 스프링이 삽입되어 볼트 고정되고, 최하부 타공판 하부에 분리된 이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이물질 저장탱크가 구비된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가 적용된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의 다층식 타공판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는 기존의 쇼트 블래스트 장치에서 피가공물에 투사된 쇼트볼이 배출되는 부위에 설치된다. 즉 쇼트 블래스트 장치에 내장된 쇼팅 드럼(204)으로 투사되어 쇼팅 드럼(204) 내부에서 벨트컨베이어(202)에 의하여 회전하고 있는 피가공물(207)을 처리한 다음 쇼트볼이 배출되는 부위의 공간부에 본 발명의 장치부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는 여러 층의 타공판(打孔版; Perforated Plate-305, 306, 307)을 경사지게 일정간격 배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이 타공판(305, 306, 307)에 형성된 통공은 하층으로 내려갈수록 상층보다 작아지게 됨으로써 각각의 타공판(305, 306, 307)에 스크린된 쇼트볼이 선별되도록 동작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타공판(305, 306, 307)은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외부에 설치된 가진기(501)에 의하여 진동됨으로써 낙하된 쇼트볼에 대한 선별 및 분류동작을 원활하게 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타공판(305, 306, 307)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에 형성된 통공(305a)의 크기가 가장 큰 타공판(305)이 최상부에 위치하고, 가장 작은 통공이 형성된 타공판(307)은 최하부에 위치하면서 일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쇼트볼을 직경별로 선별하여 분류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면상에서는 타공판(305, 306, 307)이 3개 층으로 형성되었으나, 1개 층 이상이면 쇼트볼의 선별은 가능하며, 보다 많은 층으로 타공판(305, 306, 307)이 형성되면 다양한 직경크기별로 쇼트볼을 선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을 구성하는 타공판(305, 306, 307)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공판(305, 306, 307)은 다층이면서 소정의 경사각도로 설치되며, 경사형으로 설치된 각각의 타공판(305, 306, 307)은 하단부(낮은 쪽 단부) 하부에는 선별되어 분류된 쇼트볼을 저장할 수 있는 쇼트볼 저장탱크(502, 503, 50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타공판(305, 306, 307)의 하단부와 쇼트볼 저장탱크(502, 503, 504)의 결합관계는 상기 설명한 가진기(501)에 의하여 각각의 타공판(305, 306, 307)이 진동력을 받을 때 용이하게 진동하도록 타공판(305, 306, 307)의 하단부 밑면과 쇼트볼 저장탱크(502, 503, 504)의 상단부 사이에 탄성스프링(312)을 삽입한 다음, 체결볼트(311)로 체결하게 된다.
이러한 체결관계로 고정되면 상기 가진기(501)에 의하여 타공판(305, 306, 307)이 진동을 받을 때 장치에 고정된 쇼트볼 저장탱크(502, 503, 504)로 전달되는 진동이 스프링(312)에 흡수되어 쇼트볼의 선별 및 분류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502, 503, 504)에 선별 및 분류되어 저장된 쇼트볼은 각각의 쇼트볼 저장탱크(502, 503, 504) 하부 전방부에 배관 설치된 쇼트볼 공급통로(308, 309, 310)를 통하여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일측에 설치된 수직 이송부(203)의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 쇼트볼 공급통로(308, 309, 310)에는 쇼트볼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급밸브(505, 506, 507)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공급밸브(505, 506, 507)는 이와 전기 신호적으로 연결된 제어기(508)의 신호에 따라 개폐작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타공판(305, 306, 307)의 상단부(높은 쪽 단부)에는 가진축(510)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가진축(510)은 장치의 외부면에 고정 설치된 가진기(501)와 동력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 가진기(501)는 상기 제어기(508)에 전기 신호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게 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원하는 시간동안 각각의 타공판(305, 306, 307)에 진동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타공판(305, 306, 307) 중에서 최하부에 설치된 타공판(307) 하부에 피가공물을 가공하거나, 쇼트볼 자체 또는 타공판의 마모에 의하여 발생하는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이물질 저장탱크(301)가 마련된다. 이 이물질 저장탱크(301)에 각각의 타공판(305, 306, 307)을 통과한 쇼트볼에 의하여 발생된 이물질을 분리 포집하여 저장함으로써 보다 청결한 장치의 사용환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가 설치된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쇼트볼 투사부(302)에는 쇼트볼의 낙하여부와 낙하량을 검출할 수 있는 쇼트볼 검출센서(303)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검출센서(303)는 적외선 또는 초음파, 자기장 등을 이용하여 쇼트볼의 통과여부 및 통과량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타공판(305, 306, 307)은 가진기(501)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진동을 받는 것이 아니라, 쇼트 블래스트 장치 자체의 진동이나 쇼트볼의 낙하에 따른 충격에 의해서도 진동을 부여받을 수 있으며, 보다 원활한 쇼트볼의 선별 및 분류작업을 위하여 본 발명의 가진기(501)가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그래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의 작동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작용은 상기 구성을 설명하면서 참조한 타공판(305, 306, 307)이 3개 층으로 설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며, 이러한 타공판(305, 306, 307)의 설치개수는 하나 이상이면 가능하다.
먼저, 단조 또는 주조, 소결, 기계가공공정 등과 금속관련 작업공정이 끝난 금속물인 피가공물(작업 대상물)을 본 발명의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를 내장형으로 설치한 쇼트 블래스트 장치(도 3)의 쇼팅 드럼(204)에 장입한 다음, 벨트컨베이어(202)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런 다음 작업 대상물에 따른 쇼트볼의 크기와 쇼트 시간을 설정한 후, 쇼트 블래스트 장치을 동작시킨다(T1 시점). 쇼트 블래스트 장치가 동작하기 시작(T1)할 때에는 쇼트볼 제1공급밸브(505)가 개방되어 있고, 쇼트볼 낙하량 검출센서(303)으로부터 검출신호는 ‘LOW’로 되어있다.
상기 쇼트볼 검출센서(303)에서 쇼트볼이 검출되기 시작하면 검출신호는 ‘HIGH’가 되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어기(508)에서는 이 신호를 포착하여 가진기(501)를 동작시켜 가진축(510)과 연결된 각각의 타공판(305, 306, 307)에 진동력을 부여한다.
이와 동시에 작업 대상물에 투사되어 쇼팅작업이 완료된 쇼트볼은 낙하하면서 자동으로 본 발명의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를 구성하는 최상부의 타공판(305) 상에 낙하되며, 이에 형성된 통공(305a)을 통과하지 못한 쇼트볼은 그대로 제1쇼트볼 저장탱크(502)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통공(305a)을 통과한 쇼트볼은 직하부에 설치된 그 다음 크기의 통공(306a)이 형성된 타공판(306)으로 낙하한 다음, 이 통공(306a)을 통과하지 못한 쇼트볼은 제2쇼트볼 저장탱크(503)에 저장되고, 통과한 쇼트볼은 직하부에 설치된 타공판(307)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최하부 타공판(307)으로 낙하된 쇼트볼은 쇼트 블래스트 장치에서 요구하는 최소 크기의 쇼트볼을 선별할 수 있는 크기로 통공(307a)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되어 그 이하로 직경 크기가 감소된 쇼트볼은 그대로 통과하여 그 하부에 마련된 이물질 저장탱크(304)로 배출되며, 이와 동시에 쇼팅작업시 생성되는 이물질 역시 거의 최소직경의 쇼트볼 직경크기보다 작으므로 상기한 통공(307a)을 통과하여 이물질 저장탱크(304)에 포집된다.
상기와 같은 흐름으로 쇼트 블래스트 장치에서 사용된 쇼트볼들이 분류되면서, 제어기(508)는 작업시간을 측정하고 있다가 설정된 작업시간(T2)이 되면 쇼트볼 제1공급밸브(505)를 닫고, 쇼트볼 제2공급밸브(506)를 개방하여 처음과 다른 직경의 쇼트볼을 공급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어기(508)에서 측정된 시간이 두 번째로 설정된 시간(T3)이 되면 쇼트볼 제2공급밸브 (506)를 닫고, 쇼트볼 제3공급밸브(507)를 개방하여 세 번째 쇼트볼을 공급하여 작업한다.
그런 다음, 세 번째 쇼트볼 공급이 완료되는 시점(T4)에서 쇼트볼 제3공급밸브(507)는 폐쇄되며, 이때 제어기(508)에서는 모든 쇼트볼 공급밸브(505, 506, 507)가 닫혀 있는지 확인한 후, 쇼트볼 투사부(302)의 쇼트볼 검출센서(303)로부터 쇼트볼이 검출 되지 않는 시점(TL)까지 쇼트 블래스트 장치를 동작시키고, 상기 쇼트볼 검출센서(303)에서 신호가 ‘LOW’로 되면, 가진기(501) 동작을 멈추는 신호를 내보내 가진기(501)를 멈춘다.
그런 다음, 상기 제어기(308)에서 쇼트볼 공급 밸브(505, 506, 507)가 모두 폐쇄된 상태(CLOSE)인지 검사한 후, 쇼트볼 검출센서(303)의 신호를 검사하여 신호가 ‘LOW’인지 확인하고, 가진기(501) 동작여부를 확인하여 멈춤 상태(STOP) 인지를 확인하면,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쇼트작업은 완료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쇼트작업 소요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쇼트볼의 크기에 따라 작업 대상물의 표면에 있는 스케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시간이 다르고, 쇼트작업 후의 표면의 품질 또한 공정시간에 따라 다르며, 이 두 가지 특성은 서로 반비례의 특성을 가진다. 즉 쇼트볼이 클수록 표면 스케일은 빨리 제거할 수 있으나 표면품질은 떨어지게 된다. 이를 보안하여 초기에 스케일을 최대한 빨리 제거하도록 큰 쇼트볼을 사용하고, 그 이후 점차로 작은 쇼트볼을 사용하면 표면의 품질을 높여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작은 쇼트볼을 가지고 작업한 시간보다 작업소요 시간이 현저히 적게 걸린다.
둘째, 쇼트작업 시 작업 대상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쇼트볼은 마모로 인해 점차로 그 크기가 줄어든다. 따라서 쇼트볼을 크기별로 분류하여 공급함으로써, 사용되는 쇼트볼의 크기를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어 작업 대상물의 품질을 높이고,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 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비교적 청정한 쇼트볼 관리가 각 크기별로 이루어져 작업 대상물의 표면품질을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사용환경을 개선하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의 최하부에는 타공판으로부터 선별된 쇼트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는 이물질 저장탱크를 마련함으로써 쇼트볼에 함유될 수 있는 이물질 성분의 비를 낮추고, 비산되는 이물질을 포집함으로써 장치의 사용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를 적용하면, 쇼트작업 소요시간의 절감으로 생산성은 향상되고, 피가공물의 높은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종래의 쇼트볼 분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가 적용된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의 다층식 타공판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그래프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의 작동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쇼트 블래스트 장치 201:쇼트볼 투사부
203: 수직 이송부 205쇼트볼 공급통로
204: 쇼팅 드럼 202: 벨트컨베이어
207: 피가공물 305, 306, 307: 타공판
501: 가진기 502, 503, 504: 쇼트볼 저장탱크
312: 탄성스프링 311: 체결볼트
308, 309, 310: 쇼트볼 공급통로 505, 506, 507: 공급밸브

Claims (5)

  1.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쇼트볼을 선별하여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쇼팅부 하부에 경사형으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타공판과,
    상기 타공판으로부터 배출되는 쇼트볼을 저장하도록 각각의 타공판 일측 단부에 위치하는 쇼트볼 저장탱크와,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로부터 쇼트볼을 상기 쇼트 블래스트 장치의 수직 이송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각각의 배출통로에 구비된 공급밸브와,
    상기 공급밸브를 개폐하도록 연결되고, 쇼트블래스트 공정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타공판은 하층으로 갈수록 형성된 통공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타공판은 일측 고단부에 고정된 가진축 및 이를 동력결합하는 가진기에 의하여 진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타공판은 일측 저단부와 상기 쇼트볼 저장탱크의 상단부에 사이에 스프링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타공판은 최하부 타공판 하부에 분리된 이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이물질 저장탱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
KR1020040017117A 2004-03-13 2004-03-13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 KR200500919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117A KR20050091939A (ko) 2004-03-13 2004-03-13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7117A KR20050091939A (ko) 2004-03-13 2004-03-13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1939A true KR20050091939A (ko) 2005-09-16

Family

ID=3727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7117A KR20050091939A (ko) 2004-03-13 2004-03-13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193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703Y1 (ko) * 2009-12-11 2012-04-12 세양쇼트기계(주) 쇼트 블라스팅장치
CN115008350A (zh) * 2022-06-20 2022-09-06 海安宏宇合金材料有限公司 清除高硬度铝合金材料表面氧化层装置及其工艺
KR20230045364A (ko) * 2021-09-28 2023-04-04 오영탁 가공소재 자동 공급 장치
CN116330167A (zh) * 2023-04-06 2023-06-27 江苏中科云控智能工业装备有限公司 一种一体化压铸件用表面去毛刺装置
KR102648119B1 (ko) * 2022-12-29 2024-03-15 주식회사 도은 머시닝센터의 컴팩트형 가공칩 다단 분리배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703Y1 (ko) * 2009-12-11 2012-04-12 세양쇼트기계(주) 쇼트 블라스팅장치
KR20230045364A (ko) * 2021-09-28 2023-04-04 오영탁 가공소재 자동 공급 장치
CN115008350A (zh) * 2022-06-20 2022-09-06 海安宏宇合金材料有限公司 清除高硬度铝合金材料表面氧化层装置及其工艺
KR102648119B1 (ko) * 2022-12-29 2024-03-15 주식회사 도은 머시닝센터의 컴팩트형 가공칩 다단 분리배출장치
CN116330167A (zh) * 2023-04-06 2023-06-27 江苏中科云控智能工业装备有限公司 一种一体化压铸件用表面去毛刺装置
CN116330167B (zh) * 2023-04-06 2023-11-17 江苏中科云控智能工业装备有限公司 一种一体化压铸件用表面去毛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3310B2 (ja) 金属の選別回収方法とその装置
CN105451939A (zh) 研磨装置以及研磨方法
CN107695898B (zh) 一种磨料气体射流磨料回收装置及方法
US3392491A (en) Particle segregating system
US6401798B1 (en) Rotating drum for reclaiming molding sand and molding sand reclaiming apparatus
CN114378725A (zh) 筛选装置
KR20050091939A (ko) 쇼트볼 분류 및 공급장치
CN107000163A (zh) 研磨装置以及研磨方法
US4771579A (en) Abrasive blast media recovery and cleaning for reuse
CN111299137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焦宝石分选系统
KR20170092623A (ko) 버 제거 장치 및 버의 제거 방법
KR100787529B1 (ko) 마그네틱을 이용한 쇼트볼 분리장치.
JPH08215590A (ja) 空きびん等の分別破砕処理装置
KR20040043387A (ko) 숏볼 블라스터의 숏볼 입도별 선택장치
JP6603482B2 (ja) 研磨材分級装置
CN115121493B (zh) 一种用于餐桌剩余食物的物料分选系统及物料分选方法
JP4209359B2 (ja) 籾摺選別装置における夾雑物除去装置
CN219253287U (zh) 振动过滤装置
JP2002178263A (ja) ショットピーニング装置
JP2014054686A (ja) ブラスト装置
CN220861971U (zh) 一种铸钢丸生产用筛分设备
KR200289802Y1 (ko) 풍력 선별장치
KR100493118B1 (ko) 원통형곡물선별기의 선별통 미강제거장치
JPH1199340A (ja) 破砕装置
CN220408394U (zh) 轨道式抛丸机用砂丸收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