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802Y1 - 풍력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풍력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802Y1
KR200289802Y1 KR2020020015923U KR20020015923U KR200289802Y1 KR 200289802 Y1 KR200289802 Y1 KR 200289802Y1 KR 2020020015923 U KR2020020015923 U KR 2020020015923U KR 20020015923 U KR20020015923 U KR 20020015923U KR 200289802 Y1 KR200289802 Y1 KR 2002898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mixture
inlet pipe
main body
win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용생
Original Assignee
순환시스템 주식회사
배용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환시스템 주식회사, 배용생 filed Critical 순환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15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8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8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802Y1/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풍력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진 혼합물을 선별하는 통상의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부에는 호퍼와 하부에는 각각의 제 1, 2배출관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타측으로 풍력발생장치가 부착된 유입관과, 상기 본체의 타측으로 상기 유입관과 대응하여 구멍이 형성됨으로서, 수거된 알루미늄캔과 스틸캔등의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진 혼합물을 풍력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으며, 또한 임펠러에 의해 발생하는 풍력이 유입되는 유입관의 내부에 제 1, 2, 3구멍을 가지도록 풍력 분리판을 설치함으로서 상기 풍력 분리판에 의해 풍력이 상기 제 1, 2, 3구멍으로 단계별로 통과하여 혼합물에 작용함으로서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걸러줄 수 있는 풍력 선별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풍력 선별장치{A WIND POWER SORTED DEVICE}
본 고안은 풍력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재활용하기 위해 수거된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진 알루미늄캔, 스틸캔, 쇳덩이등을 풍력을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는 풍력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사용하기 간편하며 내용물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등의 장점으로 인하여 알루미늄캔이나 스틸캔의 사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상기의 자원을 재활용하기 위하여 수거된 알루미늄캔과 스틸캔을 선별하여 각각 다른 분쇄장치로 이송되어 잘게 파쇄된 후, 다시 압축기로 투입되어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덩어리로 만들어 진 뒤, 제철소등으로 보내지게 된다.
즉, 상기의 과정을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수거된 캔은 일차적으로 수작업을 거쳐 캔 종류나 기타 물건들을 선별한 다음 자력 선별장치를 통해 알루미늄캔과 스틸캔으로 분리 시킨 후, 알루미늄은 저장 호퍼로 보내진다. 또한 스틸캔과 다양한 스틸류들은 회전선별기로 투입되고 여기서 스틸캔만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후에 상기 스틸캔 역시 저장 호퍼에 저장된 후, 비분쇄식 절단장치를 거쳐 잘게 분쇄된 후 압축기를 통해 압축기를 통해 큰 상자 형태로 압축된 후, 제철소로 보내지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자력 선별장치로 보내기 이전의 선별작업이 단순히 수작업에 의존하여 알루미늄캔과 스틸캔등이 섞여있는 혼합물을 선별함으로서 불필요한 인력낭비와 아울러 선별하는 작업 시간이 지연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상기 회전선별장치의 경우 크기가 크고 소음이 심하게 발생했으며, 특히 정확하게 분리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비 분쇄식 절단장치의 경우에는 기능이 저조하고 내구성이 낮은 문제가 있어 사실상 고가의 시스템의효용성에 대한 논란이 많았다. 그리고 캔을 형성하고 있는 순수한 스틸 성분과 알루미늄 성분을 정확하게 선별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거된 알루미늄캔과 스틸캔등의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진 혼합물을 풍력을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는 풍력 선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임펠러에 의해 발생하는 풍력이 유입되는 유입관의 내부에 제 1, 2, 3구멍을 가지도록 풍력 분리판을 설치함으로서 상기 풍력 분리판에 의해 풍력이 상기 제 1, 2, 3구멍으로 단계별로 통과하여 혼합물에 작용함으로서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걸러줄 수 있는 풍력 선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진 혼합물을 선별하는 통상의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부에는 호퍼와 하부에는 각각의 제 1, 2배출관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타측으로 풍력발생장치가 부착된 유입관과, 상기 본체의 타측으로 상기 유입관과 대응하여 구멍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풍력 선별장치의 전체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2: 호퍼
14: 제 1배출관 16: 제 2배출관
18: 유입관 20: 풍력 분리판
22: 풍력발생장치 24: 임펠러
26: 구멍 28, 29: 와이어 메쉬
30: 제 1컨베이어 31: 제 2컨베이어
100: 풍력 선별장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풍력 선별기의 전체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풍력 선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우선 상, 하부가 개방된 본체(10)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혼합물을 투입할 수 있는 호퍼(12)가 설치되며,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격리판(15)이 형성되며, 상기 격리판(15)을 중심으로 해서 양측으로 제 1, 2배출관(14, 16)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2배출관(14, 16)의 하부에는 각각의 제 1, 2컨베이어(30, 31)가 설치되어 혼합물에서 걸러진 중량물(34)과 경량물(32)을 각각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배출관(14)과 제 1컨베이어(30)사이에는 모터(도면에 미도시함)의 구동력으로 진동하는 와이어 메쉬(29)가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메쉬(29)가 진동함으로서 전술한 경량물(32)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인 금속찌꺼기등을 제차 선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본체(10)의 일측에는 풍력을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18)이 설치되며, 상기 유입관(18)의 일측에 형성된 원통관(19)의 내부로 풍력을 발생하기 위한 풍력 발생장치(2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풍력 발생장치(22)는 구동모터에 임펠러(24)가 장착되어, 상기 임펠러(24)의 회전으로 인해 풍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 설치된 유입관(18)의 내부에는 풍력 분리판(20)이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풍력 분리판(20)은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관(18)의 하단부로 갈수록 제 1, 2, 3구멍(23a, 23b, 23c)이 형성되도록 간격을 넓게 부착함으로서 풍력이 조절되게 된다. 즉, 보다 상세히는 전술한 임펠러(24)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원심력에 의해 풍력이 강하게 발생되며,이때 발생되는 각각의 풍력이 제 1, 2, 3구멍(23a, 23b, 23c)으로 단계별로 통과함으로서 혼합물을 효과적으로 걸러주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타측에는 상기 유입관(18)에 대응되게 구멍(26)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26)은 와이어 메쉬(28)에 의해 덮혀지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풍력 선별장치(100)의 작동상태를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호퍼(12)로 재활용하기 위해 수거된 혼합물을 투입한다. 이때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풍력발생장치(22)에서 풍력이 작용함으로서, 비중이 작은 경량물은 바람에 날려 제 1배출관(14)으로 낙하하여 모터의 구동력으로 진동하는 와이어메쉬(29)에 떨어진 후, 다시 제 1컨베이어(30)에 떨어지게 되며, 또한 비중이 큰 중량물은 풍력의 영향을 적게 받아 아래에 위치한 제 2배출관(16)으로 낙하하여 제 2컨베이어(31)에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입관(18)의 내부에 제 1, 2, 3구멍(23a, 23b, 23c)이 각각 형성되도록 풍력 분리판(20)이 설치되어 상기 풍력 분리판(20)에 의해 임펠러에서 발생한 풍력이 상기 제 1, 2, 3구멍(23a, 23b, 23c)으로 단계별로 통과하여 혼합물에 작용함으로서 상기 혼합물을 더욱 더 효과적으로 경량물(32)과 중량물(34)로 구분하여 걸러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타측으로 유입관(18)과 대응되게 메쉬(28)로 덮혀진 구멍(26)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유입관(18)으로 유입된 풍력을 대기로 효과적으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수거된 알루미늄캔과 스틸캔등의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진 혼합물을 풍력을 이용하여 중량물과 경량물로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임펠러에 의해 발생하는 풍력이 유입되는 유입관의 내부에 제 1, 2, 3구멍을 가지도록 풍력 분리판을 설치함으로서 상기 풍력 분리판에 의해 풍력이 상기 제 1, 2, 3구멍으로 단계별로 통과하여 혼합물에 작용함으로서 효과적으로 중량물과 경량물로 구분하여 걸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서로 다른 비중을 가진 혼합물을 선별하는 통상의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부에는 호퍼(12)와 하부에는 각각의 제 1, 2배출관(14, 16)을 구비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며 타측으로 풍력발생장치(22)가 설치된 유입관(1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선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18)의 내부에는 제 1, 2, 3구멍(23a, 23b, 23c)을 가지도록 풍력 분리판(2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선별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타측으로 상기 유입관(22)과 대응하여 구멍(26)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26)은 와이어 메쉬(28)로 덮혀짐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선별장치.
KR2020020015923U 2002-05-24 2002-05-24 풍력 선별장치 KR2002898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923U KR200289802Y1 (ko) 2002-05-24 2002-05-24 풍력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923U KR200289802Y1 (ko) 2002-05-24 2002-05-24 풍력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802Y1 true KR200289802Y1 (ko) 2002-09-19

Family

ID=7312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923U KR200289802Y1 (ko) 2002-05-24 2002-05-24 풍력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80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651B1 (ko) * 2001-08-16 2004-09-21 주식회사 청석티알씨 송풍기를 이용한 건식 건설폐기물선별장치
KR102074634B1 (ko) * 2020-01-09 2020-02-06 최재호 폐기물 선별 장치
KR102364169B1 (ko) * 2021-05-26 2022-02-23 유한회사 주은이엔지 콩의 이물질 제거 선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651B1 (ko) * 2001-08-16 2004-09-21 주식회사 청석티알씨 송풍기를 이용한 건식 건설폐기물선별장치
KR102074634B1 (ko) * 2020-01-09 2020-02-06 최재호 폐기물 선별 장치
KR102364169B1 (ko) * 2021-05-26 2022-02-23 유한회사 주은이엔지 콩의 이물질 제거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79677B1 (en) Shredder dust treatment process
JPH0422976B2 (ko)
KR101305130B1 (ko) 폐차 잔재물의 폴리우레탄 폼 및 섬유 선별 장치
JP4315953B2 (ja) 混合廃棄物処理装置
JPH11197530A (ja) 破砕不適物を含む廃棄物の破砕分別処理システム
CN110170500B (zh) 一种废铝易拉罐回收分拣系统
WO20141439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fiber and plastics in municipal solid waste
JP2007330904A (ja) 風力選別装置及び廃プラスチック選別システム
KR870001136B1 (ko) 스텐레스 스라그의 처리방법
KR200289802Y1 (ko) 풍력 선별장치
JP2939712B2 (ja) 空きびん等の分別破砕処理装置
JPH09248551A (ja) ガラス製品のリサイクルプラント
JPH06320112A (ja) 選別装置
KR100904303B1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JPH04250877A (ja) 混合廃棄物の分離回収方法及び装置
JP4010632B2 (ja) 選別装置及び方法
JPH11207312A (ja) 自動車用モール屑から金属片と塩化ビニール・ゴム粉砕物、鉄粉を回収する方法
JP2009233494A (ja) シュレッダダストの処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007111639A (ja) 風力選別機
RU98120204A (ru) Способ механического обогащения угля
JP2000325887A (ja) 雑多ごみ用選別装置
CN217341720U (zh) 一种废钢破碎产线
KR200266273Y1 (ko) 풍력선별장치
KR20240033356A (ko) 폐기물로부터 고철을 선별하는 장치
JP2002282792A (ja) 家電廃棄物等の分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