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125A - 체결부 분해 방지구 - Google Patents

체결부 분해 방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125A
KR20050090125A KR1020057009831A KR20057009831A KR20050090125A KR 20050090125 A KR20050090125 A KR 20050090125A KR 1020057009831 A KR1020057009831 A KR 1020057009831A KR 20057009831 A KR20057009831 A KR 20057009831A KR 20050090125 A KR20050090125 A KR 20050090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ver member
groove
fastening part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시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니시오카 뵤라 가부시키사이샤
사토시 미야자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오카 뵤라 가부시키사이샤, 사토시 미야자키 filed Critical 니시오카 뵤라 가부시키사이샤
Priority to KR1020057009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125A/ko
Publication of KR20050090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12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14Cap nuts; Nut caps or bolt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1/00Measures against loss of bolts, nuts, or pins; Measures against unauthorised operation of bolts, nuts or pins
    • F16B41/005Measures against unauthorised operation of bolts, nuts or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외부에 돌출하는 구성 부분이 없고, 볼트의 두부측에서도 선단측에서도 분해 방지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볼트(2)와 너트(3)에 의한 체결부에, 캡(6, 16)을 덮어 씌워서 분해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캡(6, 16)의 내주면에는 홈(6a, 16a)이 형성되고, 홀더(7)의 외주측의 홈(7a)에 내주측 부분이 끼워 맞추어지는 스프링 링(8)의 외주측 부분을 끼워 맞추어서, 축선 방향(2a)에의 이동을 저지하여, 이탈 방지를 실행할 수 있다. 캡(6, 16)에 토크를 작용시켜도, 헛돌아서, 체결 상태를 변화시킬 수 없으므로, 분해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결부 분해 방지구{TIGHTENED PART DISCONNECTION PREVENTING DEVICE}
본 발명은, 볼트나 너트 등의 맞물림에 의한 체결부에 대하여, 일단 체결된 후의 분해를 방지하는 체결부 분해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볼트나 너트 등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범퍼에의 번호판의 체결이나, 폴 기판(pole base plate)의 앵커 너트 또는 앵커 볼트에의 체결이나, 철탑이나 건물 등의 건축물이나, 철도 등의 구조물에 대한 기계적인 고정을 위한 체결이 널리 실행되고 있다. 나사 맞물림에 의한 체결에 있어서는, 체결 토크(torque) 등의 조정에 의해서 체결력의 증감이 용이하게 되고, 체결 종료후도 필요에 따라서 체결력의 재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볼트나 너트를 체결하거나, 체결을 느슨하게 하거나 하는 토크를 전달하는 스패너(spanner) 등의 공구는 일반적으로 이용 가능하여, 비교적 작은 토크를 작용시켜서 큰 체결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일단 체결을 실행한 체결부에는, 각종 제안된 풀림 방지 방법을 적용하여, 체결 상태를 장시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도 있다.
그러나, 최근, 번호판의 체결 개소, 송전용 철탑이나 철도 선로의 체결 개소 등을, 누군가가 분해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는 체결 개소는, 적절한 풀림 방지를 실시하여 장기적인 체결 상태의 유지를 도모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악의를 가진 자가 시판되는 일반용 공구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체결 상태를 푸는 것까지를 방지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
본건의 출원인은, 특원2000-148383호(특개2001-330020호) 및 특원2000-218455호(특개2002-39146호)에서 볼트와 너트를 맞물리는 체결 개소에 덮어 씌워서, 일반 공구로는 분해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도록 하는 분해 방지구를 이미 제안하였다. 상기 특원2000-148383호에서는, 원통상(圓筒狀)의 커버 부재를 핀(pin)으로써 볼트의 축에 고정시키도록 하고 있다. 특원2000-218455호에서는, 너트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볼트의 축의 선단을 이용하여, 커버 부재를 고정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특원2000-148383호에서 제안하는 구성에서는, 핀이 커버 부재의 외부에 돌출하게 된다. 특원2000-218455호에서 제안하는 구성에서는, 볼트의 선단측에밖에 사용할 수 없고, 두부측(頭部側)에서는 분해 방지를 실현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의 체결부 분해 방지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적인 종단(縱斷)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형태의 캡(cap)의 평면도, 종단 정면도,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2(b)에 대응하는 종단 정면도 및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2(b)의 d-d 단면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실시형태의 홀더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형태의 스프링 링(ring)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실시형태의 고무 링(제1탄성체 및 제2탄성체)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사용하는 볼트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사용하는 볼트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사용하는 너트의 평면도 및 정면도.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에 돌출하는 구성 부분이 없고, 볼트의 두부측에서도 선단측에서도 분해 방지를 실현할 수 있는 체결부 분해 방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해결 방법)
제1발명은, 나사 맞물림으로써 체결을 실행하는 체결부에 장착되어서, 체결부의 분해를 방지하는 체결부 분해 방지구로서,
체결부의 축선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최소한 토크 전달부를 덮어 씌우고, 내주면에 홈을 구비하고, 개구 단부 내면에 단부측으로 감에 따라서 직경이 증가하는 확대부를 갖는 커버 부재와,
외주측 부분이 커버 부재의 내주면의 홈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가세(加勢)되고, 커버 부재의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내주면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외주측으로부터 상기 확대부에 의한 압압(押壓)에 의해서 직경을 축소할 수 있는 스프링 부재와,
스프링 부재를, 체결부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구속하는 구속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 분해 방지구이다.
제1발명에 의하면, 볼트나 너트 등의 맞물림에 의해서 체결을 실행하는 체결부에 장착되어서, 체결부의 분해를 방지하는 체결부 분해 방지구는, 커버 부재와, 스프링 부재와, 구속 부재를 포함한다. 커버 부재는, 체결부의 최소한 토크 전달부를 덮어 씌우고, 덮어 씌운 상태에서는 스프링 부재의 외주측 부분이 끼워 맞추어지는 홈을 내주면에 구비하고 있다. 구속 부재는, 체결부에 사용되어서, 스프링 부재의 축선 방향에의 이동을 구속한다. 스프링 부재가 체결부에서 구속 부재에 의해서 구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커버 부재를 축선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장착하고, 해머(hammer) 등으로써 두드려서 압입하면, 커버 부재의 내주면, 특히 확대부를 슬라이딩하여, 홈에 도달하면 스프링 부재의 외주측 부분이 홈내에 끼워 맞추어진다. 스프링 부재는, 구속 부재와 함께 커버 부재의 축선 방향에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으므로, 커버 부재를 체결 부재로부터 제거할 수 없게 된다. 커버 부재는 최소한 체결부의 토크 전달부를 덮어 씌우므로, 체결부를 느슨하게 하는 토크를 일반 공구 등으로써 작용시킬 수 없게 되어서, 분해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커버 부재에는, 외부에 돌출하는 구성 부분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구속 부재는, 볼트의 두부나 너트, 또한 스페이서 등의 외주부에 스프링 부재의 내주측 부분이 끼워 맞추어지는 홈을 형성하여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부재를 와셔(washer)로서 사용하고, 다른 와셔나 스페이서로써 위치를 조정하여, 커버 부재의 홈에 외주측 부분을 끼워 맞출 수도 있다.
또한, 제2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 부재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내주면의 홈까지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거나, 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에 의하면, 커버 부재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은,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의 홈까지 관통하므로, 각각의 관통 구멍에 외주측으로부터 핀 등을 특수 공구로써 압입하여, 스프링 부재를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압축할 수 있게 된다. 스프링 부재의 직경을 축소시키면, 스프링 부재의 외주측 부분이 커버 부재의 내주면의 홈으로부터 압출되고, 커버 부재의 축선 방향에의 이동을 저지할 수 없게 되어서, 커버 부재를 체결부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커버 부재를 체결부로부터 제거하면, 보통의 스패너로써 체결을 느슨하게 하거나, 체결 상태를 재조정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통 구멍을 모두 없애면, 소위 고착(固着)(dead lock) 타입으로 되어서, 절대로 떼어내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적합하고, 또한 제조 코스트를 가급적 낮출 수 있다.
또한, 제3발명은, 상기 스프링 부재가 상기 구속 부재에 의해서 구속되는 위치의 내측에 전주(全周)에 걸쳐서 스프링 부재를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가세하는 제1탄성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에 의하면, 스프링 부재는, 구속 부재에 의해서 구속되는 위치에서, 제1탄성체에 의해서 내측으로부터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가세되므로, 스프링 부재는 항상 정위치를 유지하고, 원주 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일정하게, 편심되지 않고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 부재를 덮어 씌우면, 커버 부재의 내주면이 스프링 부재의 외주에 균일하고 또한 원활하게 슬라이딩하여 스프링 부재의 직경을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4발명은, 체결부와 커버 부재와의 사이에, 커버 부재 장착시에 압축되는 제2탄성체를 배치한 체결부 분해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제4발명에 의하면, 피체결 부재, 예로서, 번호판 등이 진동하는 경우에 제2탄성체에 의해서 커버 부재의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는 동시에, 특수 공구로써 커버 부재를 개방했을 때, 커버 부재의 자동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종래 기술보다 유리한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제1 내지 제4발명)에 의하면, 볼트나 너트 등의 맞물림에 의해서 체결을 실행하는 체결부에는, 커버 부재가 체결부의 최소한 토크 전달부를 둘러싸도록 장착된다. 커버 부재의 장착 상태에서는, 외부에 돌출하는 구성 부분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커버 부재의 내주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홈에는 스프링 부재의 외주측 부분이 끼워 맞추어진다. 커버 부재가 일단 장착되면 커버 부재의 축선 방향에의 이동은 스프링 부재에 의해서 구속되므로, 커버 부재를 체결부로부터 제거할 수 없게 된다. 커버 부재에 의해서, 체결부를 느슨하게 하도록 하는 토크를 일반 공구 등으로써 작용시킬 수 없게 되어서, 분해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구속 부재는, 볼트의 두부나 너트, 또한 스페이서 등의 외주부에 스프링 부재의 내주측 부분이 끼워 맞추어지는 홈을 형성하여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 부재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을 이용하여, 특수한 전용 공구로써, 커버 부재를 체결부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커버 부재를 체결부로부터 제거하면, 체결을 느슨하게 하거나, 체결 상태를 재조정하거나 할 수 있다. 그러나, 관통 구멍을 모두 없애면, 소위 고착 타입으로 되어서, 절대로 떼어내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적합하고, 또한 제조 코스트를 가급적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 부재는, 편심되지 않도록 유지되므로, 커버 부재를 원활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체결 부재, 예로서, 번호판 등이 진동하는 경우에 제2탄성체에 의해서 커버 부재의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는 동시에, 특수 공구로써 커버 부재를 개방했을 때, 커버 부재의 자동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체결부의 분해 방지를 위한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 1(a)는 제1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1(b)는 제2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이하, 각각의 도면에서, 선행하는 도면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인 체결부 분해 방지구(1)에서는, 볼트(2)와 너트(3)에 의해서 피체결 부재(4, 5)에 대한 체결부가 구성되고, 볼트(2)의 축선(2a) 방향(상하 방향)의 일단(상)측, 즉, 기단측으로부터 볼트(2)의 두부(2b)를 커버 부재인 캡(cap)(6)으로써 덮어 씌운다. 캡(6)(커버 부재)의 내주면은, 축선 방향(2a)의 일단(하)측에서 하측으로 감에 따라서 직경이 증가하는 확대부(6c)(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으로 원호상으로 약간 돌출한 테이퍼(taper) 형상 또는 완전한 테이퍼 면)를 통하여 개구하고, 타단(상)측에서 폐쇄되어 저부(底部)(6d)를 형성하고 있다. 저부(6d)로부터는, 축선 방향(2a)의 외부(상측)에 아무 것도 돌출하는 것은 없다. 캡(6)을 덮어 씌우면, 최소한 볼트(2)의 두부(2b), 즉, 체결용 토크를 받는 부분에, 스패너 등의 일반 공구를 작용시킬 수 없게 된다. 도면에 나타낸 캡(6)에는, 내주면에는 환상(環狀)의 홈(6a)이 형성되어 있다. 캡(6)의 외주면과 홈(6a)과의 사이에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복수개, 예로서, 4개의 핀 삽입 구멍(6b)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부에 캡(6)을 덮어 씌울 때에, 캡(6)의 홈(6a)은, 홀더(7)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환상의 홈(7a)에 대향한다. 홀더(7)는, 볼트(2)의 두부(2b)와 피체결 부재(4)의 표면과의 사이에, 일반적인 와셔와 마찬가지로 배치되어서, 캡(6)의 장착시에 상기 확대부(6c)의 자세(센터링)를 확보하여, 소위 도입용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테이퍼부(7c)를 구비하고 있다. 캡(6)의 홈(6a)과 홀더(7)의 홈(7a)과의 사이에는, 스프링 링(ring)(8)(스프링 부재)이 끼워져 있다. 스프링 링(8)의 내주면과 홀더(7)의 홈(7a)과의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고무 링(9)(제1탄성체)이 배치된다.
일단 장착된 캡(6)을 장착 공장 등에서 분해하는 경우는, 전용 특수 공구(10)를 도 1의 위치에 배치하여, 4개의 조(jaw)(10a)의 핀(10b)을 핀 삽입 구멍(6b)에 맞추고, 조작부(10c)를 돌려서 핀(10b)으로써 스프링 링(8)의 직경을 축소시켜서, 홈(6a)으로부터 내측으로 떼어내면 압축 상태의 탄성체(11)(제2탄성체)에 의해서 캡(6)이 자동적으로 상측으로 압출된다.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인 체결부 분해 방지구(11)에서는, 볼트(2)의 선단부(2c)로부터, 피체결 부재(5)의 표면과 너트(3)와의 사이에 홀더(7)를 삽입한 상태에서, 캡(16)을 덮어 씌운다. 캡(16)의 내주면에 환상의 홈(16a)이 형성되고, 홀더(7)의 홈(7a)과의 사이에는 스프링 링(8)을 삽입하도록 하여, 캡(16)의 이탈 방지를 도모하는 점은, 도 1(a)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캡(16)에도, 캡(6)의 핀 삽입 구멍(6b)과 동일한 핀 삽입 구멍(16b)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캡(16)에서는, 저부에 볼트(2)의 선단부(2c)가 삽입되는 볼트 구멍(16d)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 구멍(16d)에 볼트(2)의 선단부(2c)가 삽입되어도, 선단부(2c)는 축선(2a)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캡(16)의 축선 방향의 높이를 크게 하거나, 볼트(2)의 선단부(2c)의 길이를 짧게 하면, 볼트 구멍(16d)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도 1(a)의 캡(6)을 사용할 수도 있다. 16c는 확대부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6, 16)을 체결부에 덮어 씌우면, 스프링 링(8)에 의해서 캡(6, 16)의 홈(6a, 16a)과 홀더(7)의 홈(7a)과의 사이가 연결되고, 축선(2a)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서 캡(6, 16)이 빠지지 않게 된다. 캡(6, 16)의 외주면으로부터 축선(2a) 주위의 토크를 작용시켜도, 홈(6a, 16a)과 스프링 링(8)의 외주 부분의 사이나, 스프링 링(8)의 내주 부분과 홀더(7)의 홈(7a)과의 사이가 미끄러지고, 캡(6, 16)이 헛돌아서, 토크를 홀더(7)까지 전달할 수 없다. 만일, 홀더(7)까지 토크를 작용시킬 수 있어도, 볼트(2)의 두부(2b)나 너트(3)에는 토크를 직접 전달할 수 없으므로, 체결부의 분해 방지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1의 각각의 실시형태에서는, 볼트(2)의 두부(2b)측과 선단부(2c)측에 각각 분해 방지를 실시하고 있지만, 양측에 분해 방지를 실시할 수도 있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5는 도 1(a)에 나타내는 캡(6), 홀더(7), 스프링 링(8) 및 고무 링(9), 탄성체(11)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에서는, (a)에 평면도, (b)에 종단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4 및 도 5는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 부재(6)는, 대략적으로 원통상이고, 예로서, 철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되며, 축선 방향의 한 쪽이 개구되고, 다른 쪽이 폐쇄되어 있다. 내주면의 개구부 근처의 위치에, 환상의 홈(6a)이 형성되어 있다. 원주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홈(6a)과 외주면과의 사이를 관통하는 핀 삽입 구멍(6b)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캡(6)의 개구 단부 내면은 개구측으로 감에 따라서 내경이 커지도록, 테이퍼(확대부(6c))가 형성되어 있다. 즉, 개구부의 선단의 확대부(6c)의 선단에는, 내경이 크게 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링(8)의 외주측에 용이하게 덮어 씌울 수 있다. 스프링 링(8)의 외주측에 개구부(확대부(6c))를 덮어 씌운 상태에서, 폐쇄되어 있는 저부(6d)를 해머 등으로 두드리면, 스프링 링(8)은 확대부(6c)를 따라서 슬라이딩하여, 외경이 압축되어서, 홈(6a)의 부분까지 원활하게 안내된다. 홈(6a)에는, 스프링 링(8)의 외주 부분이 끼워 맞추어진다. 홈(6a)에 스프링 링(8)이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서는, 핀 삽입 구멍(6b)으로부터 핀(10b)(도 1(a))의 선단을 삽입하여, 스프링 링(8)을 직경 방향의 내측으로 압축해서, 홈(6a)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도 2(c)와 같이, 도 2(b)에서의 핀 삽입 구멍(6b)을 모두 없애어, 소위 고착 타입으로 할 수도 있다. 그 경우는, 절대로 떼어내는 것이 곤란한 체결 개소에 적합하고, 또한 제조 코스트를 가급적 낮출 수 있다.
도 2(b)와 같이, 캡(6)의 저부(6d)의 외면(상면)에 예로서 원형의 얕은 오목부(6e)를 형성하고, 그 오목부(6e)에 예로서 로고 마크를 넣은 실(seal)(20)을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고착하면, 손톱을 이용해도 떼어낼 수 없어서, 실(20)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2(b)의 홈(6a)은 환상이지만, 도 2(d)와 같이 원주 방향 길이의 짧은 홈(6a)을 예로서 등간격으로 또한 환상으로 배치하고, 홈(6a)에 끼우는 원호상(圓弧狀) 돌기부(8b)를 갖는 피아노선으로 된 스프링 링(8)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홀더(7)는, 대략적으로 원환상(圓環狀)이고, 예로서 철 등의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홀더(7)의 외주면에는 홈(7a)이 형성되고, 중심 근처에는 볼트(2)의 축부(軸部)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7b)이 형성되고, 단부에 테이퍼부(7c)가 형성되어 있다. 홈(7a)에는, 스프링 링(8)의 내주측 부분이 끼워 맞추어진다. 스프링 링(8)을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압축하면, 홈(7a)내에 스프링 링(8)의 대부분을 넣을 수 있다. 즉, 홀더(7)는, 홈(7a)으로써 스프링 링(8)의 축선 방향에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 부재로서 기능한다. 테이퍼부(7c)는, 캡(6)의 장착 완료시에 그 확대부(6c)가 밀착되거나, 약간 간격을 두고 대향하지만, 주 목적은 캡(6)을 장착할 때의 캡(6)의 자세의 안정화(센터링)를 달성하는 점에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링(8)은, 예로서 철 등의 금속판으로써 원환상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의 일부가 절단부(8a)로써 잘라내어져 있는 스프링 부재이다. 직경 방향의 외측(예로서, 등간격의 4개소)으로부터 압축하면, 스프링 링(8)의 직경을 축소시킬 수 있다. 압축을 해제하면, 자유 상태의 형상으로 복귀한다. 홀더(7)의 홈(7a)에 스프링 링(8)의 내주측 부분을 끼워 맞출 때는, 절단부(8a)의 간격이 커지도록 벌릴 수도 있다. 홈(7a)에 끼워 맞추면, 절단부(8a)의 간격은 자유 상태의 간격으로 복귀한다.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 링(9)은, 신축이 자유로운 탄성체의 링이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고무 링(9)을 홀더(7)의 홈(7a)에 장착한 후에, 스프링 링(8)을 끼워 맞춘다. 이에 따라서, 스프링 링(8)을 센터링할 수 있어서, 스프링 링(8)의 외주측 부분을 거의 일정하게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정위치에, 항상 유지할 수 있다. 스프링 링(8)이 외측으로부터 압축되어서 내측으로 축소될 때에는, 고무 링(9)도 압축되어 축소되어서, 스프링 일(8)에 변형의 여지를 남길 수 있다. 이러한 고무 링(9)은, 플라스틱 탄성체라도 좋고, 또한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로서, 고무 등의 탄성체(11)는, 중앙에 작은 구멍(11a)을 구비하고, 양면 테이프 등(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에 의해서 캡 저부(6d)의 내면에 고착되고, 캡(6)의 장착 완료시에는, 약간(예로서, 0.8mm) 압축된 상태로 되어서, 캡(6)을 상측으로 가세하여 스프링 부재(8)와 홀더(7)와의 사이의 덜거덕거림을 흡수하여, 진동에 의한 캡(6)의 덜컹거림이나 소음의 발생을 저지한다. 탄성체(11)를 부드러운 실리콘 고무로 만들면, 복원력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작은 구멍(11a)을 형성하여 그 직경을 변경함으로써, 캡(6)의 장착시의 탄성체(11)로부터의 반력(反力)을 최적치로 조정하여 장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성체(11)로서는, 얇은 파형의 환상(wave annular) 스프링 또는 서로 겹친 접시 스프링을 채용해도 좋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사용하는 볼트(22)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트(22)는 그 두부(22b)측에 플랜지(flange)(22d)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플랜지 부착 볼트이고, 플랜지(22d)의 외주에 홈(22e)을 형성하여 도 4의 스프링 링(8)을 구속한다. 즉, 도 1의 실시형태의 별개의 홀더(7) 등을 사용하지 않고, 볼트(22) 자체에 스프링 링(8)을 구속하는 구속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게 한다. 이러한 플랜지(22d)의 홈(22e)에 스프링 링(8)을 끼워 맞추고, 볼트(22)의 선단부(22c)에 너트를 맞물리게 하여, 도 1(a)에 나타내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캡(6)을 덮어 씌워서 분해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사용하는 볼트(32)의 구성을 나타낸다. 볼트(32)의 두부(32b)에는, 선단면의 중심에, 예로서, 6각형의 구멍(32d)이 형성되어서, 6각봉의 렌치로써 체결이나 느슨하게 하기 위한 토크를 작용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트(32)의 두부(32b)의 외주에, 홈(32e)을 직접 형성하여 도 4의 스프링 링(8)을 구속한다. 즉, 도 6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1의 실시형태의 홀더(7) 등을 사용하지 않고, 볼트(32) 자체에 스프링 링(8)을 구속하는 구속 부재로서의 기능을 갖게 하여, 볼트(32)의 선단부(32c)에 너트를 맞물리게 해서, 도 1(a)에 나타내는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캡(6)을 덮어 씌워서 분해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사용하는 너트(43)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너트(43)는 두부(43a)와 중공(中空)의 스커트(skirt)부(43b)로 구성되어 있다. 중공의 스커트부(43b)의 외주측에 홈(43c)을 형성하고, 도 4의 스프링 링(8)을 끼워 맞춘다. 이에 따라서, 도 1(b)에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캡(16)을 덮어 씌워서 분해 방지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같이, 너트를 구속 부재로서 이용하는 사고 방식은, 플랜지 부착 너트에도, 플랜지 부분에 홈을 형성함으로써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구속 부재로서 외주측에 스프링 링(8)의 내주측 부분에 끼워 맞추는 홈을 갖는 부재를 사용하고 있지만, 평 와셔나 스페이서를 겹쳐서, 홈에 상당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볼트나 너트 등을 사용하여, 자동차의 범퍼에의 번호판의 체결이나, 폴 기판의 앵커 너트 또는 앵커 볼트에의 체결이나, 철탑이나 건물 등의 건축물이나, 철도 등의 구조물에 대한 기계적인 고정을 위한 체결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

  1. 나사 맞물림으로써 체결을 실행하는 체결부에 장착되어서, 체결부의 분해를 방지하는 체결부 분해 방지구로서,
    체결부의 축선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최소한 토크 전달부를 덮어 씌우고, 내주면에 홈(6a)을 구비하고, 개구 단부 내면에 단부측으로 감에 따라서 직경이 증가하는 확대부(6c)를 갖는 커버 부재(6)와,
    외주측 부분이 커버 부재(6)의 내주면의 홈(6a)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가세(加勢)되고, 커버 부재(6)의 홈(6a)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내주면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외주측으로부터 상기 확대부에 의한 압압(押壓)에 의해서 직경을 축소할 수 있는 스프링 부재(8)와,
    스프링 부재(8)를, 체결부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구속하는 구속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 분해 방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6)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내주면의 홈(6a)까지 관통하는 복수개의 관통 구멍(6b)이 형성되거나, 또는 형성되어 있지 않은 체결부 분해 방지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8)가 상기 구속 부재에 의해서 구속되는 위치의 내측에, 전주(全周)에 걸쳐서 스프링 부재(8)를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가세하는 제1탄성체(9)를 설치한 체결부 분해 방지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부와 커버 부재와의 사이에, 커버 부재 장착시에 압축되는 제2탄성체를 배치한 체결부 분해 방지구.
KR1020057009831A 2005-05-31 2002-12-26 체결부 분해 방지구 KR200500901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9831A KR20050090125A (ko) 2005-05-31 2002-12-26 체결부 분해 방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9831A KR20050090125A (ko) 2005-05-31 2002-12-26 체결부 분해 방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125A true KR20050090125A (ko) 2005-09-12

Family

ID=37272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831A KR20050090125A (ko) 2005-05-31 2002-12-26 체결부 분해 방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012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857B1 (ko) * 2009-03-16 2010-04-15 이동환 자동차의 번호판 고정구
WO2012148050A1 (ko) * 2011-04-28 2012-11-01 Koo Seo 볼트, 너트 도난방지용 캡
WO2018143636A1 (ko) * 2017-02-03 2018-08-09 안세영 볼트머리 안전커버
CN112709746A (zh) * 2019-10-24 2021-04-27 何天麟 锥针式防盗螺母护套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857B1 (ko) * 2009-03-16 2010-04-15 이동환 자동차의 번호판 고정구
WO2012148050A1 (ko) * 2011-04-28 2012-11-01 Koo Seo 볼트, 너트 도난방지용 캡
WO2018143636A1 (ko) * 2017-02-03 2018-08-09 안세영 볼트머리 안전커버
CN112709746A (zh) * 2019-10-24 2021-04-27 何天麟 锥针式防盗螺母护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4061316A1 (ja) 締結部取外し防止具
US7219582B2 (en) Security nut and tool associated therewith
US6739631B2 (en) Torque-limiting bolt-and-nut assembly
WO2012053250A1 (ja) ボルトおよび抜去工具
JP3535487B2 (ja) 締結部取外し防止具
KR20050090125A (ko) 체결부 분해 방지구
US20050100425A1 (en) Fastener assembly
US6883818B1 (en) Bicycle headset assembly
US8608413B2 (en) Shank attachment device
JP2009014049A (ja) ボルトナット及びボルト加工方法
JP3395780B1 (ja) 悪戯防止締結部品、及び締結構造
US20190225010A1 (en) Cap member for wheel mounting nut, and method of mounting wheel
JP2006150392A (ja) パンチ組立体
JPH08193610A (ja) 弛み止め機材、弛み止めナット
JP3859652B2 (ja) 締結部取外し防止具の解除装置
JP3639220B2 (ja) 締結具の封緘装置
KR200387963Y1 (ko) 앵커 볼트
JP3103067B2 (ja) ナット取外し防止構造
US20050092127A1 (en) Combination of bicycle headset assembly and head tube
JP2000337342A (ja) 締結具
JP2940869B1 (ja) ボルト・ナットの取外し防止構造
CN217858951U (zh) 手紧钻夹头
JPH11287236A (ja) ナットの抜き取り防止器具
JP2008032074A (ja) 永久締結ナット
JP4268385B2 (ja) チ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