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280A - 플라스틱 케이싱을 구비한 응축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케이싱을 구비한 응축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280A
KR20050088280A KR1020057006627A KR20057006627A KR20050088280A KR 20050088280 A KR20050088280 A KR 20050088280A KR 1020057006627 A KR1020057006627 A KR 1020057006627A KR 20057006627 A KR20057006627 A KR 20057006627A KR 20050088280 A KR20050088280 A KR 20050088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bundle
heat exchanger
condensation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9333B1 (ko
Inventor
요셉 르 메르
로꼬 지앙노니
Original Assignee
요셉 르 메르
쏘시에뜨 데뛰드 에 드 레알리자시옹 미깨니끄 앙지니링앙 떼끄놀로지 아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0212848A external-priority patent/FR2846075B1/fr
Priority claimed from FR0300775A external-priority patent/FR2850451B3/fr
Application filed by 요셉 르 메르, 쏘시에뜨 데뛰드 에 드 레알리자시옹 미깨니끄 앙지니링앙 떼끄놀로지 아방스 filed Critical 요셉 르 메르
Publication of KR2005008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3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0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 F24H1/43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tube or tubes helically or spirally coi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5/00Control of fluid heaters
    • F24H15/30Control of 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control outputs;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to be controlled
    • F24H15/355Control of heat-generating means in heaters
    • F24H15/36Control of heat-generating means in heaters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8/00Fluid heat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extracting latent heat from flue gases by means of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tails Of Fluid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브가 나선형으로 감긴 다발(2)을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다발은 그 열전도성 벽이 평탄화된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주축이 나선의 축(X-X')에 수직하며, 두 인접하는 턴을 분리하는 간극의 폭은 작고 일정하고, 상기 다발은 연소기(6)에 의해 발생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파이프가 설치된 케이싱(1)의 내부에 확고하게 설치되고, 차가운 물을 상기 다발(2) 내부로 순환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고, 또한 상기 열교환기는 고온의 가스가 턴의 간극을 경유하여 다발을 통하여 반경 방향으로 유통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열교환기는, 케이싱(1)이 내열성 플라스틱 물질로 구성되고, 축방향으로 빔(beam)의 기계적인 유지(containment)를 보장하고, 유체의 내부 압력에 의한 추력 부하를 감소시켜 케이싱(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5; 3-30)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응축 열교환기는 특히 가정용으로 설계되고 생산 비용이 저렴하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케이싱을 구비한 응축 열교환기{CONDENSATION HEAT EXCHANGER WITH PLASTIC CASING}
본 발명은 연소기, 특히 가스 또는 연료 연소기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관된 응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이 교환기는 특히 중앙 난방 회선을 공급하고 또는 위생적인 사용을 위한 물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가정 기구용의 가스 보일러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사상을 형성하는 열교환기는, 필요할 때 참조할 수 있는 문헌 EP-B-0 678 186 에 개시된 종류의, 평탄화된 단면부의 하나 이상의 튜브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다발(bundle)이 격납된 내부 포위물(enclosure)의 경계를 한정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타입이다.
문헌 EP-B-0 678 186 은 열전달 유체 예컨대 가열되는 물이 순환하도록 하는, 고 열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튜브로 구성된 열교환기 부재를 개시한다. 이 튜브는 나선형으로 감기고 주축이 실질적으로 나선의 축과 수직인 평탄화된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튜브의 각각의 턴(turn)은 일정한 폭의 간극에 의해 인접하는 턴의 면으로부터 분리된 평탄한 면을 가지는데, 이 폭은 실질적으로 상기 단면의 두께보다 작고, 두 인접하는 턴 사이의 공간은 튜브의 벽에 형성된 보스(boss)로 구성된 스페이서(spacer)에 의해 부가적으로 조정된다.
또한 이 문헌은 각종 실시예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배열된 상기한 것과 같은 다수의 부재를 포함하는 열교환기를 개시한다.
이렇게 설계된 열교환기 부재는, 한편으로는 포위물에 설치된 연소기에 의해 직접 발생되거나 또는 외부 소스(source)로부터 공급되어 튜브형 부재를 지나가는 매우 고온의 가스와, 다른 한편으로 이 튜브형 부재의 내부에서 순환하는 물과 같은 가열되는 유체 사이에서 매우 효율적인 열교환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대략 반경 방향으로 턴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유통하는 동안, 고온의 가스의 흐름은 열교환기 부재의 벽의 비교적 넓은 영역과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통상의 타입의 응축 열교환기로서 그 열교환기 부재는 상기한 EP-B-0 678 186에 개시된 것과 같은 평탄한 튜브의 다발인 응축 열교환기를 특히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종류의 공지의 응축 기구를 구성하는 케이싱은 하나 이상의 튜브와 같은 금속, 통상적으로 스테인레스강이다.
금속, 특히 스테인레스강은, 하나 이상의 튜브로 이루어진 와인딩(winding) 내에서 발생하는 팽창으로 인한 응력에 대한 기계적인 저항 및 화학적으로 연도 가스(연소된 가스)와 응축물로부터 발산하는 부식에 대한 저항 둘다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설명을 위해서, 사용중에 하나 이상의 튜브 내에서 가열되는 유체, 특히 물의 압력은 비교적 높은 약 2.5 내지 3.5 bar, 즉 2.5×105 내지 3.5×105 Pa 이라는 점이 지적되어야 한다.
안전하기 위해서, 튜브형 다발은 4.5×105 Pa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유리하게 설계된다.
튜브의 처음의 평탄한 측면 벽은 불룩한 경향이 있는데, 변형의 크기는 내부 압력값의 증가하는 기능이다.
이 변형은 하나의 벽에서 인접하는 벽으로 축방향으로, 그것들을 분리하는 스페이서 형성 보스에 의해 전달된다.
설명을 위해서, 벽 두께가 0.6mm인 4개의 병치된 튜브의 와인딩을 취하였을때, 그 축 치수가 처음에 128mm이고, 튜브의 변형 후 이 치수는 2bar의 압력에서 약 129.2mm, 3bar의 압력에서 약 129.8mm로 증가될 것이다.
전체 연장은 교환기의 다발을 구성하는 단부와 단부를 이어서 설치된 와인딩의 수에 비례한다.
물론, 튜브의 벽 두께를 증가하는 것은 변형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불행하게, 두께를 너무 크게 하면 기구의 중량이 상당히 증가한다. 또한 튜브형 부재가 매우 높은 작동 압력을 요구하는 공정인 수압성형(hydroforming)에 의해 생산된다면 문제가 발생한다.
연장을 방지하고 다발에서 순환하는 유체의 내부 압력에 의한 축방향 추력(thrust)을 견디기 위해, 지금까지의 해결책은 금속 케이싱(다발의 양 단부에서 지지체로서 작용하는)을 채택하는 것으로, 내부 압력의 효과 상태에서 상기 다발의 축방향 팽창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케이싱의 탄성 변형 한계에 상당하는 허용가능한 크기로 그것을 제한하도록 그 두께와 기계적인 강도가 선택된다.
이러한 타입의 교환기는 기술적인 수준, 특히 실행 수준에서는 만족스럽다.
그러나, 그것은 비교적 무거워서 설치하는 동안 이송되고 조작되는 때 작동자에게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고, 연도 가스(flue gas)와 응축물로 인한 기계적인 응력과 화학적인 손상을 견딜 수 있게 하기 위해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고품질의 금속으로 된 케이싱을 사용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격이 비교적 비싸다.
도 1은 도 2에서 I-I 로 참조된 수직 평면에 의해 절단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개략적인 전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기구의 개략적인 좌측면도이고;
도 3, 4는 각각 튜브 다발과 그 지지 수단만 나타낸, 도 1, 2와 유사한 도면이고;
도 5는 전체적인 축방향의 크기가 작아진 교환기의 제2 가능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 1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6은 다발을 지지하기 위해 채용된 수단을 나타낸, 도 5의 교환기의 측면도이고;
도 7은 이들 지지 수단의 전면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것 대신에 채용될 수 있는 온도 탐지기의 가능한 변형예를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9는 도 5의 기구의 작동을 나타내고;
도 10, 11, 12는 각각 열교환기가 제공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 1, 2, 3과 유사한 도면이고;
도 13, 14는 각각 와인딩의 축을 통과하는 수직 평면에 의해 절단된,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열막이 기능을 하는 보호막을 포함하는 교환기의 개략적인 전면 및 측면도이고;
도 15, 16은 보호막을 구성하는 아직 라운드 처리 되지 않은 2개의 스트립형 부재를 다시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이 기초하고 있는 목적은, 실질적으로 덜 귀하고 덜 비싼 물질, 이 경우에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한 축방향 팽창 문제에 대한 화학적 저항이나 기계적 강도에 의한 어떠한 문제도 발생시키지 않는 케이싱이 설치된 것을 제안함으로써, 기구의 무게와 비용을 상당히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형예에서, 플라스틱 케이싱이 와인딩의 턴을 통하여 유통한 연소 가스에 의해 발생한 열로부터 최적으로 단열되는 것을 보장하고, 이에 상당하여, 간단하고 가볍고 값싼 수단, 이 예에서는 열막이(heat shield)의 기능을 수행하는 보호판(shroud)을 채용함으로써 케이싱이 노출되는 온도의 수준을 실질적으로 저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을 형성하는 응축 열교환기는 가스 또는 연료 연소기와 연관되도록 한 것이다.
응축 열교환기는 나선형 와인딩을 형성하면서 단부와 단부를 이어서 배열된 하나의 튜브 또는 일단의 튜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튜브 다발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또는 튜브들의 벽은 고 열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주축이 상기 나선의 축에 대하여 수직 또는 거의 수직하는 평탄화된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2개의 인접하는 턴을 분리하는 간극의 폭은 일정하고 상기 단면의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다발은 가스 기밀 케이싱 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다발을 구성하는 상기 튜브 또는 튜브들 내에서 가열되는 유체, 특히 저온의 물을 순환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케이싱은 연소 가스의 배출을 위한 슬리브를 구비함으로써, 이 교환기는 상기 연소기에 의해 발생된 고온의 가스가 상기 턴을 분리하는 상기 간극에 의해서 상기 다발을 통하여 반경 방향 또는 거의 반경 방향으로 유통하도록 배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편으로, 상기 케이싱은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응축 열교환기는 축방향으로 상기 다발을 기계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순환하면서 상기 벽을 변형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유체의 내부 압력에 의한 추력 부하를 흡수할 수 있고, 상기 부하가 상기 케이싱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지금까지 케이싱에 부여된 두 가지 일의 분리가 있어서, 케이싱은 고온의 가스의 순환과 배출 및 응축물의 수집과 배출을 위한 포위물로서 작동하며, 다른 한편으로 튜브 다발의 기계적인 안정성을 확보한다.
또한, 유리하지만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 소정의 특징들에 따르면:
응축 열교환기는 상기 케이싱에 의해 유지되는 온도 프로브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는 상기 프로브 근처에서 상기 케이싱 내의 온도가 소정치를 초과할 때 상기 연소기를 차단할 수 있고;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나선의 축에 평행하게 상기 다발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타이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의 단부는 상기 다발의 2개의 대향하는 면에 대하여 가압하는 베어링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타이 세트의 단부 중 하나에 위치한 상기 베어링 부재는, 중심부가 절제되어 환상인, 원반 형상의 얇은 판이고;
상기 판은 상기 케이싱의 개방면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페이싱으로서 기능하고, 크림핑에 의해서 상기 케이싱 주위에 고정되고;
상기 타이의 단부는 상기 페이싱을 관통하여 약간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단부는 도어가 너트에 의해 상기 페이싱에 대하여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나사 결합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연소기에 고정되고;
정방형으로 배열된 4개의 타이가 있고, 상기 페이싱에 대향하는 면에 위치한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다발의 외형에 가능한 한 가깝게 따르도록 한 형상으로,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영역에 대하여 가압하는 한 쌍의 활모양 또는 굽은 스트랩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스트랩은 한 쌍의 인접하는 타이(5)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싱을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은 유리 섬유 강화 또는 유리 박편 강화 수지를 기초로 한 복합물이고;
상기 수지는 폴리페닐렌 산화물, 폴리스티렌 및 폴리프로필렌의 합성물이고;
상기 응축 열교환기는 단부와 단부를 이어서 위치하고 상호 연결된 2개의 동축상의 튜브 다발을 포함하고, 그 중 하나는 제1 교환기로서, 다른 하나는 제2 교환기로서 작용하고, 디플렉팅 부재는 상기 2개의 다발 사이에 끼어, 상기 연소기에 의해 발생된 상기 고온의 가스가 우선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기 턴을 분리하는 상기 간극을 지나서 상기 제1 교환기를 유통하고, 그 다음 상기 외측에서 상기 내측으로 상기 턴을 분리하는 상기 간극을 지나서 상기 제2 교환기를 유통하고;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튜브 다발에 고정되고;
상기 연소기는 상기 제1 교환기로서 작용하는 상기 다발의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디플렉터는 원반 형상이고, 상기 연소기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다발의 내부에 대하여 가압하는 단열 밀봉부가 주변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은 함께 제공되고,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된 2개의 몰드된 반 셸로 구성되고;
상기 응축 열교환기는 상기 튜브 또는 튜브들로 구성된 다발의 외부와 상기 플라스틱 케이싱의 내부에 배열된 보호판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배기 가스에 의해 발산된 열로부터 상기 케이싱을 단열할 수 있는 열막이로서 작용하고;
상기 보호판은 얇은 스테인레스강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호판은 상기 플라스틱 케이싱의 내면에 형성되지만, 상기 보호판의 벽 내부로 스탬프된 일련의 보스에 의해 상기 플라스틱 케이싱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고;
상기 보호판은 함께 제공된 2개의 보충하는 라운드된 부분으로 구성되어, 상기 플라스틱 케이싱의 내면에 대항하여 환상의 케이싱 피팅(fitting)을 형성하고;
상기 라운드된 부분의 상호 마주보는 가장자리는, 상기 라운드된 부분이 함께 제공될 때 상기 와인딩을 구성하는 튜브 또는 튜브들의 직선 단부를 단단히 둘러쌀 수 있는, 반원 또는 반타원형의 노치의 열(列)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과 이점은, 제한되지 않은 예에 의해 가능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명과 첨부 도면으로부터 분명할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교환기는, 일단의 튜브가 단부와 단부를 이어서 배열되고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축 X-X'에 대한 나선형 와인딩으로 구성된 튜브형 다발(2)이 고정 설치된 내부 포위물의 경계를 정하는 셸(shell) 또는 케이싱(1)을 포함한다.
이것은 넓은 쪽이 축 X-X'에 대하여 수직인 평탄화된 단면의 튜브이다.
튜브의 넓은 면 상에 제공된 보스(200)는 스페이서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각각의 턴 사이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조정된 값을 갖는 간극을 정할 수 있게 한다.
이 와인딩은 가열되는 유체, 예컨대 물이 내부에 가로질러 가도록 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함께 제공되고 연속적으로 연결된 3개의 나선형 튜브형 부재가 있는데, 그 속에서 가열되는 유체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순환한다.
케이싱(1)에 고정된 매니폴드(manifold)(15, 16)는 기구가 종래의 방법으로, 가열되는 저온의 유체의 공급 및 고온의 유체의 배출을 위한 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 매니폴드는 튜브형 부재에서 근방의 와인딩으로 순환되는 유체를 전달한다.
각각의 튜브형 부재는 돌출 단부가 원형이고 점진적으로 가변적인 단면을 갖는 직선 즉, 직선(rectilinear) 축의 단부를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단부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와인딩의 동일 측상에 위치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서 또한 유사한 배열이 제공됨을 알 수 있다.
반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었듯이, 튜브형 와인딩의 2개의 단부가 동일면에서 연장하고, 그 개구부는 상호 반대로 향하고 있는데, 이는 이미 언급한 유럽 특허 0 678 186 의 도 24에 도시된 것에 따른 배열이다.
튜브형 부재의 입구 및 출구 개구부(20, 21)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케이싱(1)에 형성된 임시 개구부에서 밀봉되는 방식으로 적절히 크림프(crimp) 되어있고; 매니폴드(15, 16)는 이 수준에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성에 따라서, 케이싱(1)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예컨대 로토몰딩(rotomolding) 또는 사출성형에 의해 얻어진다.
케이싱은 튜브형 다발이 내부에 설치된 후에 함께 열 밀봉되는 2개의 반(半) 셸로 구성된다.
케이싱(1)은 그 일측면, 이 예에서는 도 1에서 좌측이, 개방된다.
기구의 사용 중에, 연소된 가스에 포함된 증기의 일부가 튜브의 벽에 접촉하여 응축한다.
참조부호(10)는 포위물의 저벽을 나타내는데; 공지된 방식으로, 이 바닥은 경사져 있어, 응축물이 출구 오리피스(orifice)(13)를 향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케이싱의 후벽은 참조부호(11)를 나타내는데; 이것은 후술할, 연소된 가스와 연도 가스가 유통하는 채널을 형성하는 홈부(110)를 구비하여, 그것들을 배출 슬리브(12)를 향하여 전달한다.
물론, 오리피스(13)는 응축물 배관에 연결되고, 슬리브(12)는 연도 가스 배관, 예컨대 연도 덕트(duct)에 연결된다. 이 관과 덕트는 도시되지 않았다.
케이싱의 개방측은 페이싱(facing) 부재(3)에 의해 차단된다. 페이싱 부재(3)는 케이싱 입구 근방의 주변 플랜지(14) 상에 가스 기밀 방식으로 크림프된 림(rim)(30)에 의해 그 주변 전체에 걸쳐 고정된다.
밀봉부,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실리콘 밀봉부가 이 수준에서 유리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진 페이싱 판(3)은 통상 제거 가능한 도어(door)(4)에 의해 차단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4)는 두 부분이 있는데; 내열성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이루어진 외부 판(40) 및 절연, 예컨대 세라믹기(ceramic-based)의 물질로 이루어진 내부 판(41)으로 구성된다.
이 두 판은, 도시되지 않은 수단에 의해 도어(4)에 고정된 연소기(6), 예컨대 가스 연소기에 의해 횡단되는 개구부에 의해 그 중앙부에서 횡단된다.
연소기(6)에 연결된 적절한 수단이 가스 및 공기(프로판+공기와 같은) 연료 혼합물이 기구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이 수단은 특히, 도어에 고정되어 가스 혼합물을 연소기에 공급할 수 있는 팬(fan), 또는 도어에 연결된 가요성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연소기(6)는 폐단부(closed end)의 원통형 튜브인데, 그 벽은 연료 혼합물이 튜브 외부로 반경 방향으로 유통할 수 있는 다수의 작은 구멍이 뚤려있다.
이 벽의 외면은 연소면을 구성한다. 예컨대 스파크 발생 전극을 포함하는 기존 타입의 도시되지 않은 이그니션(ignition) 시스템이 물론 연소기에 연관되어 있다.
연소기는 와인딩(2)의 중심과 동축상에 위치하지만, 그 전체 길이 이상으로 연장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튜브형 다발(2)은 두 부분으로 세분되는데, 하나(2a)는 디플렉터(deflector)(7)의 좌측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2b)는 그 우측에 위치한다.
디플렉터(7)는 단열성, 예컨대 세라믹기, 물질로 이루어진 원반인데; 그 주변 가장자리가 다발의 2개의 인접하는 턴 사이에 삽입된 얇은 스테인레스강 판(70)의 형상으로 있는 보강재에 의해 유지된다.
본 교환기는 우수한 효율성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상기한 유럽 특허의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2중 열교환기이다.
다발의 부분(2b)은 도 1에서 볼 때 우측에서 좌측으로 순환하는 유체를 예열하도록 되어 있다. 부분(2a)은 실제 가열을 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성에 의하면, 튜브형 다발(2)의 턴이 기계적인 지지 시스템에 의해서 상호간에 확고하게 가압된다.
본 예에 포함되는 것은, 스테인레스강 원통형 막대로 형성되고, 다발의 2개의 대향하는 단부 각각을 위한 베어링(bearing) 부재와 연관된, 4개의 타이(tie)(5) 세트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5)는 가상의 이등변 사다리꼴의 4개의 꼭지점에 배열된다. 일측에서(도 1 및 도 3에서 우측), 그 단부(51)는, 중심에 개구부(300)가 형성된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진 원반의 환상(環狀) 판(30)에, 예컨대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도 1 및 도 3에서 좌측에 상당하는 반대측에서는, 타이(5)는 상기한 참조부호인 페이싱(3)에 고정된다.
이 측에서, 타이(5)의 단부는 나사 결합하는데; 그것들은 페이싱 판(3)의 주변에 형성된 적합한 오리피스를 통하여 관통한다.
이 나사부(50)에 나사 결합한 너트(500)는 타이를 인장 상태에 두어, 다발(2)의 마지막 턴에 대항하여 판(30)에(우측에서 좌측으로), 이에 상응하여 다발의 첫번째 턴에 대항하여 페이싱(3)에(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따라서, 다발(2)은 베어링 부재(3, 30)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압축력을 받는다.
단부(50)는 상대적으로 길게 되어 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에 걸쳐 너트(500) 이상으로 돌출함을 알 것이다.
그 이유는, 부분(50)은 또한 페이싱(3)에 대항하여 도어(4)를 중심잡고 고정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이다.
이 단부로, 직경이 절연부(41)의 직경보다 큰 도어를 구성하는 판(40)은 부분(50)이 맞물릴 수 있는 4개의 구멍에 의해 횡단된다.
고정은 유리하게 자기 잠금 너트인 너트(400)에 의해 수행되어, 특히 진동 효과로 부주의하게 느슨해지는 위험을 줄이게 한다.
판(40)에 형성된 적절한 그루브(groove)에 격납된 환상의 립(lip) 밀봉부(42)는 판(40)을 페이싱(3)의 외면에 대항하여 연도 가스 기밀 방식으로 가압할 수 있게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5)는 다발(2)의 외부에 배열된다.
도 3을 보면, 페이싱(3), 타이(5) 및 단부 베어링 부재(3, 30)에 의해 형성된 조립체는 독립적인 조립체를 형성함이 분명해질 것이다.
와인딩(2)의 튜브의 내부 압력의 효과에서 발생하는 경향이 있는 팽창은, 축방향의 추력 부하(load)를 완전히 흡수하는 타이와 베어링 부재에 의해 대항된다.
이 조립체를 포함하는 케이싱의 벽에 대항하여 이 추력은 전달되지 않는다.
튜브(20, 21)의 단부가 그것들을 수용하는 케이싱에 제공된 하우징(housing) 내에 설치된 결과로써, 튜브형 다발은 케이싱 내부에 간단히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디플렉팅 파티션(deflecting partition)(8)이 와인딩(2)의 후부(後部) 상에 제공되고, 이 파티션은 중앙 개구부(300)의 하방으로 후부의 환상 판(30)과 부분적으로 겹친다.
이 파티션은 유리하게 케이싱 내부에 다발을 올바르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것은 케이싱의 내부벽에 고정되고 슬리브(12) 하방에 경사지게 연장한다. 그것은 바람직하게 다발의 상부를 둘러싸면서 원호를 형성하는 외형을 가진 활모양이다.
연소기(6)에 의해 발생된 고온의 가스는 다발(2)의 첫번째 부분(2a)(디플렉터(7)의 좌측에 위치)을 유통하는데,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여 튜브의 간극 사이에서 반경 방향으로 유통한다.
파티션(8)의 존재로 인하여, 그것들은 슬리브(12)를 통하여 즉시 빠져나갈 수 없다.
그것들은 교환기의 후부(2b)(디플렉팅 판(7)의 우측에 위치)를 통하여 유통해야 하는데, 이 때는 외부로부터 내부를 향하고, 튜브형 다발 내에서 순환하는 물을 예열한다.
마지막으로, 냉각된 가스는 벽(110)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후부의 채널을 통해 빠져나가 배출 슬리브(12)에 재합류한다.
케이싱을 구성하는 플라스틱은 약 150℃ 내지 160℃의 온도를 계속적으로 견디도록 선택된다.
이것은 유리하게 유리 섬유 강화 또는 유리 박편(flake) 강화 수지를 기초로 한 복합물이다.
언급될 수 있는 수지의 특별히 적합한 타입은 고온의 연관 가스와 응축물에 의한 화학적 손상을 견디기에 적합한 물질로서, 폴리페닐렌 산화물,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의 합성물이다.
케이싱(1)의 벽은, 큰 기계적 응력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얇게 예컨대 2mm 내지 4mm 두께로 할 수 있다.
유지 목적을 위해, 교환기의 전부(前部)의 내부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데, 이것은 연도 가스로 인해 실제로 손상에 노출되는 유일한 부분이며; 이를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은 너트(400)를 풀고 도어(4)와 그것에 고정된 연소기(6)에 의해 형성된 조립체를 축방향으로 빼내는 것이다.
클리닝 후에, 이 조립체를 재설치하는 것은 마찬가지로 용이하다.
이 분해 및 재조립 작동은 도어의 일시적인 제거에도 불구하고, 유효한 타이(5)에 의해 수행되는 지지 기능에 아무런 영향이 없다.
이 장치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연소기(6)의 단부에 원반형의 디플렉터(7)를 고정할 수 있다.
그 경우에, 도어(4), 연소기(6) 및 디플렉터(7)는 분해될 수 있는 조립체를 형성하여, 예열을 수행하는 후부를 포함하여 와인딩의 내부 공간 전체에 대한 클리닝을 위한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물론, 그러한 상황을 가정할 때, 디플렉팅 원반(7) 둘레 전체에 고 단열성의 환상의 밀봉부를 제공할 필요가 있고, 이 밀봉부는 다발의 내면에 대항하여 유지하여, 가스가 부분(2b)을 향하여 이 수준에서 직접 유통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기구가 180도 회전되어 있지만(페이싱이 도 5의 우측에 위치) 방금 설명된 것과 유사한 구성이 한번 더 개시된다.
제1 실시예의 부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을 사용하였고, 그 특징과 기능에 대한 설명은 다시 하지 않는다.
이 교환기는 제1 실시예에서 보다 더 축방향으로 밀집되어 있다.
상기하였듯이, 튜브의 직선 단부는 와인딩에 접하면서 연장하고, 그 축은 동일한 측에 배열된 세로 평면에 포함된다(도 6 참조).
또한, 페이싱(3)의 대향하는 측에, 타이(5)는 환상의 판(30)이 아니라 한 쌍의 굽은 평탄 막대(30a, 30b)에 고정되는데, 그 중앙 부분은 단부 턴에 일치하며 상대적으로 제한된 영역을 갖는 각 부(angular sector)에 대항하여 유지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는 이 때 정방형으로 배치되고, 굽은 막대(30a, 30b)는 와인딩의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영역을 가능한 가깝게 따르도록 쌍으로 이들 측면에 연결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8)은 주 교환기를 구성하는 부분(2a)으로부터의 출구에 위치한 튜브의 근방에서, 튜브 와인딩 위에 위치한 홈부(80)를 가진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온도 프로브(probe)(9)는 이 홈부에 설치된다.
이 프로브는 케이싱에 대하여 밀봉 가능하게 설치된 열 회선 차단기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프로브(9)는 유리하게 저면이 개방된 홈부(80) 내부로 설치된 스테인레스강 컵(cup)에 서클립(circlip)에 의해 유지되고, 적절한 밀봉부가 컵과 홈부(80)의 벽 사이에 밀봉을 제공한다.
이 프로브는 연소기 제어에 연결되고, 감지된 온도가 소정치, 예컨대 160℃를 초과할 때 연소기가 차단되도록 설계된다.
예컨대 튜브 중 하나의 장애에 의해, 예컨대 튜브의 물이 없거나 튜브 내에 순환하는 물이 부족한 경우, 비정상적이 과열이 뜻하지 않게 발생할 수 있다.
어떠한 안전 조치도 없는 경우, 연소기 주위에 위치한 튜브를 떠나 플라스틱 케이싱의 내부와 접촉하게 되는 연도 가스의 온도가 매우 많이 상승하게 된다. 연도 가스가 튜브에 더 이상 열을 충분히 전달할 수 없는 일이 발생한다.
그러면, 플라스틱의 기계적인 안정성 및 심지어 케이싱에 화재가 나서 케이싱에 심각한 손상을 주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프로브(9')는 열에 민감한 가용성 부재(92')를 포함한다.
보일러에 공급하는 전력 회로가 이 열 가용성 부재(92')를 통하여 연결된 2개의 단말(90', 91')에 연결된다.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경우, 예컨대 160℃를 초과한 경우, 이 부재(92')는 녹아서 2개의 단말(91', 90') 사이의 전기 회로를 단선하여, 연소기 제어가 차단되게 한다.
도 9는 연소기(6)에 의해 발생된 고온의 가스의 순환을 나타내는데, 연소기(6)에는 가연성 혼합물(G+A)이 공급된다.
점화된 후에, 연소기는 예컨대 1000℃ 온도의 연소 가스를 발생하는데, 이것은 화살표 (F1)로 표시된 것처럼 반경 방향으로 외부로 퍼진다.
이 연소 가스는 내부로부터 외부로(화살표 F2) 교환기(2a)의 첫 번째 부분에서의 간극을 통하여 반경 방향으로 유통한다.
이 통과 중에, 연소 가스의 열의 많은 부분이 튜브의 벽을 통하여 그 속에서 순환하는 물에 전달되는데, 그 결과 다발 부분(2b)을 떠나는 고온의 가스의 온도는 실례로서 약 110℃ 내지 140℃ 이다.
디플렉터(6)의 존재는 연소 가스(F1)가 축방향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그 다음, 부분적으로 냉각된 가스는 외부에서 내부로(화살표 F3) 교환기의 두 번째 부분(2b)을 통하여 유통한다.
따라서 열의 부가적인 부분이 튜브 내에서 순환하는 물에 전달된다. 기구로부터 빠져나온 가스(화살표 F4, F5)의 온도는 실례로서 약 65℃ 내지 70℃ 이다.
물에 관하여는, 그것은 통상 주위 온도로부터 약 80℃의 온도로 가열된다.
물론, 물은 연도 가스의 흐름과 반대 방향으로 흐르면서, 교환기의 영역(2b)에서 예열되고, 영역(2a)에서 실제 가열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교환기는 연소기가 제공되지 않는다.
케이싱은 외부 소스로부터 오는 고온의 가스를 위한 흡입 슬리브(E)를 포함한다.
이 슬리브는 튜브(2)의 와인딩 내부에 출현한다.
이것은 상기한 유럽 특허의 도 19의 사상을 형성한 것과 유사한 배열을 포함한다.
동일한 참조부호가 제1 실시예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도록 사용되고, 부재가 유사하지만 동일하지 않을 때는 적당하게 프라임을 붙였다.
예열이 없는 단일 교환기가 이 경우에 포함된다.
슬리브(E)를 통하여 케이싱의 내부 포위물에 들어가는 고온의 가스는 튜브형 다발(2)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반경 방향으로 빠져나가면서, 그 안에서 순환하는 유체를 가열시키고; 냉각된 가스는 슬리브(12)를 통하여 빠져나간다.
와인딩을 구성하는 튜브형 부재는 평행하게 배열되고, 입구 및 출구 매니폴드(15', 16')는 각각 튜브의 입구 또는 출구에서 수집과 배분을 위해 제공한다.
케이싱(1')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기계적으로 다발을 지지하기 위한 수단은 제1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것들은 그 단부에서, 예컨대 용접에 의해 2개의 판(30, 3')에 고정되는 4개의 타이 세트를 포함한다.
흡입 슬리브(E) 측에 위치한 판(30)은 원반으로서, 그 중심은 슬리브(E)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는 가스 입구 통로로 되는 개구부(300)를 가진다.
저면 판(3')은 컷아웃(cutout) 되지 않은 원반이다.
이 원반은 와인딩의 후부를 차단하여, 모든 고온의 가스가 턴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떠나도록 한다.
케이싱 저면 벽이 고온의 가스에 노출되는 판(3')을 직면하지 않도록, 간극(j)이 2개의 부재 사이에 제공된다.
물론, 이 기구는 또한 온도 프로브가 설치되어, 프로브가 소정의 초과 온도를 감지했을 때 고온의 가스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설계된다.
제1의 2개의 실시예로 돌아가서, 채용되는 연소기는 반드시 원통 형상일 필요가 없고; 여전히 도어에 고정되지만, 평탄 또는 반구 형상이어도 된다.
플라스틱 케이싱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질량 절감은 동일한 수행을 하는 유사한 기구로서 케이싱이 금속으로 구성된 경우에 비해 약 20%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교환기 변형예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것과 구성이 유사하여, 이 구조는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것은 열막이 기능을 수행하는 보호판을 포함한다.
특히, 와인딩(2)을 둘러싸는 케이싱(1)의 벽의 환상 부분은 내부에 보호판(100)이 설치된다. 보호판은 예컨대 두께가 약 0.3mm 내지 0.4mm인 얇은 스테인레스강 시트(sheet)로 이루어진다.
이 보호판은 예컨대 약 2mm의 소정의 공간 (j)(도 13 참조)으로, 케이싱의 내면에 대항하여 유지한다. 이 분리는 시트 내부로 스탬프된(stamped) 작은 사이즈의 컵으로 구성된 복수의 베어링 스터드(stud)(101)에 의해 제공되어, 보호판의 외측에 돌출되는 보스를 형성한다. 보호판을 구성하는 두 부분에서 시트의 전개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보스(101)는 시트의 표면에서 균일한 기하학적 분포를 가지며, 이 예에서는 정삼각형과 같이 배열된다.
공간(j) 및 실질상 점 영역인 매우 작은 영역에 의해 케이싱(1)에 대항하여 유지하는 보스(101)의 존재는, 보호판(100)에 의해 흡수되는 열이 그것을 둘러싸는 벽으로 전달되는 것을 상당히 감소할 수 있다.
그 단부에서 이 보호판은, 페이싱(3)에 대항하는 전면 상에서, 파티션(8-8')에 대항하는 다른 면 상에서 유지한다.
실질적으로 와인딩(2)의 길이와 일치하는 보호판의 축방향 길이는 도 13에서 (K)로 나타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호판(100)은 도 15 및 도 16에서 각각 참조부호 (100a, 100b)로 나타낸 2개의 처음의 평탄하고 분리된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들은 각각 길이가 (L1, L2)이고 폭이 (K)인 스테인레스강 시트의 스트립(strip)이다.
세로 방향의 가장자리에서, 각각의 스트립(100a, 100b)은, 튜브가 통과하는 벽(1)의 수준에서 튜브의 단부의 단면 형상으로 보충되는, 실질적으로 반원 또는 반타원의 형상을 가지는 일련의 4개의 노치(notch)(102)를 가진다.
스트립(100a)의 길이(L1)는 스트립(100b)의 길이(L2) 보다 상당히 크다.
합(L1+L2)은 케이싱(1)의 내부 벽의 둘레와 거의 일치하고(공간 (j)을 허용한다), 스트립(100a, 100b)은 케이싱(1)의 벽의 만곡에 적합하도록 라운드(round) 처리된 후에 케이싱의 내부 벽에 대항하여 가압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케이싱은 그 외형이 원과 라운드된 코너를 가진 정방형의 중간 정도 되는 단면을 가진다.
짧은 부재(100b)는 튜브의 개구부(20', 21')가 위치한 쪽, 이들 개구부의 외측(도 14에서 좌측)에 위치하고, 긴 부재(100a)는 다른 쪽에 위치한다.
그것들은 세로 방향의 가장자리(X-X'에 평행하다)에 의해 함께 제공되고, 적절히 형성되고 위치된 노치(102)에 의해 약간의 간극을 가지며 와인딩(2)을 구성하는 튜브의 단부 또는 개구부를 단단히 둘러싼다.
그것들의 탄성의 결과로서, 특별한 고정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시트의 2개의 스트립은 보스(101)에 의해 케이싱의 내면에 대항하여 가까이 가압된다. 이렇게 그것들은, 비교적 밀봉되는 방식으로, 교환기에서 순환하는 고온의 가스로부터 케이싱의 상기 내면을 단열하여, 열막이 또는 등온 막이의 기능을 수행하는 보호판을 형성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케이싱(1)의 벽이 온도 프로브(9)를 격납하는 내부로 돌출하는 홈부(80)를 가진다면, 보호판이 홈 벽부가 삽입된 적절한 개구부에 의한 영역에서 횡단되는 것은 말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이 영역에서 열적으로 보호되지 않는 케이싱의 벽은, 보호막에 의해 보호되는 벽의 잔여 부분 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된다.
실제로, 이 영역은 매우 제한된 영역이고, 그곳에서 발생하는 과잉 열은 덜 뜨거운 인접하는 벽으로 열 전달이 되어 제거되므로, 어떤 어려운 점도 발생하지 않는다.
보호판의 존재는 케이싱의 벽이 노출되는 온도를 약 15℃ 내지 20℃로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보호판이 제공되지 않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것보다 덜 귀하고 덜 비싼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Claims (19)

  1. 나선형 와인딩을 형성하면서 단부와 단부를 이어서 배열된 하나의 튜브 또는 일단의 튜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튜브 다발(2)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또는 튜브들의 벽은 고 열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주축이 상기 나선의 축 (X-X')에 대하여 수직 또는 거의 수직하는 평탄화된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2개의 인접하는 턴을 분리하는 간극의 폭은 일정하고 상기 단면의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다발은 가스 기밀 케이싱(1) 내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다발(2)을 구성하는 상기 튜브 또는 튜브들 내에서 가열되는 유체, 특히 저온의 물을 순환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케이싱(1)은 연소 가스의 배출을 위한 슬리브(12)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소기(6)에 의해 발생된 고온의 가스가 상기 턴을 분리하는 상기 간극에 의해서 상기 다발을 통하여 반경 방향 또는 거의 반경 방향으로 유통하도록 배열된, 가스 또는 연료 연소기(6)와 연관된 응축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은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응축 열교환기는 축방향으로 상기 다발을 기계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수단(5; 3-30)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은 순환하면서 상기 벽을 변형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유체의 내부 압력에 의한 추력 부하를 흡수할 수 있고, 상기 부하가 상기 케이싱(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 열교환기는 상기 케이싱(1)에 의해 유지되는 온도 프로브(9; 9')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브는 상기 프로브 근처에서 상기 케이싱 내의 온도가 소정치를 초과할 때 상기 연소기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나선의 축 (X-X')에 평행하게 상기 다발(2)의 외측으로 연장하는 타이(5)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이의 단부는 상기 다발의 2개의 대향하는 면에 대하여 가압하는 베어링 부재(3, 3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 세트의 단부 중 하나에 위치한 상기 베어링 부재(3, 30)는, 중심부가 절제되어 환상인, 원반 형상의 얇은 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3)은 상기 케이싱의 개방면을 부분적으로 차단하는 페이싱으로서 기능하고, 크림핑에 의해서 상기 케이싱 주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의 단부(50)는 상기 페이싱(3)을 관통하여 약간 외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단부(50)는 도어(4)가 너트(400)에 의해 상기 페이싱에 대하여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나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4)는 상기 연소기(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방형으로 배열된 4개의 타이(5)가 있고, 상기 페이싱에 대향하는 면에 위치한 상기 베어링 부재는 상기 다발(2)의 외형에 가능한 한 가깝게 따르도록 한 형상으로,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영역에 대하여 가압하는 한 쌍의 활모양 또는 굽은 스트랩(30a, 30b)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스트랩(30a, 30b)은 한 쌍의 인접하는 타이(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을 구성하는 상기 플라스틱은 유리 섬유 강화 또는 유리 박편 강화 수지를 기초로 한 복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폴리페닐렌 산화물, 폴리스티렌 및 폴리프로필렌의 합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 열교환기는 단부와 단부를 이어서 위치하고 상호 연결된 2개의 동축상의 튜브 다발(2a, 2b)을 포함하고, 그 중 하나는 제1 교환기로서, 다른 하나는 제2 교환기로서 작용하고, 디플렉팅 부재(7)는 상기 2개의 다발 사이에 끼어, 상기 연소기에 의해 발생된 상기 고온의 가스가 우선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기 턴을 분리하는 상기 간극을 지나서 상기 제1 교환기(2a)를 유통하고, 그 다음 상기 외측에서 상기 내측으로 상기 턴을 분리하는 상기 간극을 지나서 상기 제2 교환기(2b)를 유통하고, 그 후 상기 슬리브(12)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플렉터(7)는 상기 튜브 다발(2a, 2b)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6)는 상기 제1 교환기(2a)로서 작용하는 상기 다발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디플렉터(7)는 원반 형상이고, 상기 연소기의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디플렉터는 상기 다발의 내부에 대하여 가압하는 단열 밀봉부가 주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은 함께 제공되고, 용접에 의해 상호 고정된 2개의 몰드된(molded) 반 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 열교환기는 상기 다발(2)의 외부와 상기 플라스틱 케이싱(1)의 내부에 배열된 보호판(100)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판(100)은 상기 배기 가스에 의해 발산된 열로부터 상기 케이싱을 단열할 수 있는 열막이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100)은 얇은 스테인레스강 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100)은 상기 플라스틱 케이싱(1)의 내면에 형성되지만, 상기 보호판(100)의 벽 내부로 스탬프된 일련의 보스(101)에 의해 상기 플라스틱 케이싱(1)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100)은 함께 제공된 2개의 보충하는 라운드된 부분(100a, 100b)으로 구성되어, 상기 플라스틱 케이싱(1)의 내면에 대항하여 환상의 케이싱 피팅(fitting)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된 부분(100a, 100b)의 상호 마주보는 가장자리는, 상기 라운드된 부분(100a, 100b)이 함께 제공될 때 상기 와인딩을 구성하는 튜브 또는 튜브들의 직선 단부를 단단히 둘러쌀 수 있는, 반원 또는 반타원형의 노치(102)의 열(列)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 열교환기.
KR1020057006627A 2002-10-16 2003-10-10 플라스틱 케이싱을 구비한 응축 열교환기 KR100979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12848 2002-10-16
FR0212848A FR2846075B1 (fr) 2002-10-16 2002-10-16 Echangeur de chaleur a condensation, a enveloppe plastique
FR03/00775 2003-01-24
FR0300775A FR2850451B3 (fr) 2003-01-24 2003-01-24 Echangeur de chaleur a condensation, a enveloppe plas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280A true KR20050088280A (ko) 2005-09-05
KR100979333B1 KR100979333B1 (ko) 2010-08-31

Family

ID=3210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627A KR100979333B1 (ko) 2002-10-16 2003-10-10 플라스틱 케이싱을 구비한 응축 열교환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281497B2 (ko)
EP (1) EP1561075B1 (ko)
JP (1) JP4087407B2 (ko)
KR (1) KR100979333B1 (ko)
AU (1) AU2003301454A1 (ko)
CA (1) CA2502526C (ko)
PL (1) PL210367B1 (ko)
RU (1) RU2317490C2 (ko)
WO (1) WO20040361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5001061T5 (de) 2004-05-11 2008-11-06 Noritz Corporation, Kobe Wärmetauscher und Wasserheizvorrichtung
DE102005002933B4 (de) * 2005-01-21 2008-01-17 Wieland-Werke Ag Wärmezelle für einen Warmwassererzeuger
JP2006317033A (ja) * 2005-05-10 2006-11-24 Noritz Corp 熱交換器の製造方法および熱交換器
JP4852981B2 (ja) * 2005-11-02 2012-01-11 株式会社ノーリツ 温水装置
DE102006001590A1 (de) * 2006-01-11 2007-07-12 Viessmann Werke Gmbh & Co Kg Heizkessel
FR2913105B1 (fr) * 2007-02-28 2009-05-08 Mer Joseph Le "echangeur de chaleur a condensation comprenant deux faisceaux primaires et un faisceau secondaire"
EP1983272A1 (en) * 2007-04-18 2008-10-22 Aic S.A. Fired heat exchanger bundle
FR2928442B1 (fr) 2008-03-06 2010-12-17 Mer Joseph Le Installation de production d'eau chaude sanitaire
KR200448105Y1 (ko) * 2008-05-26 2010-03-15 대성산업 주식회사 가스 보일러용 열교환 장치 구조
GB0902221D0 (en) * 2009-02-11 2009-03-25 Edwards Ltd Pilot
FR2942866B1 (fr) 2009-03-06 2012-03-23 Mer Joseph Le Porte a bruleur integre pour appareil de chauffage
DE102009024442A1 (de) * 2009-06-10 2011-01-05 Robert Bosch Gmbh Gliederheizkessel
US8656867B2 (en) * 2009-08-18 2014-02-25 Intellihot Green Technologies, Inc. Coil tube heat exchanger for a tankless hot water system
DE102009043289B3 (de) * 2009-09-29 2011-04-28 Viessmann Werke Gmbh & Co Kg Heizgerät
FR2955929B1 (fr) * 2010-02-01 2014-04-18 Mer Joseph Le Echangeur de chaleur a condensation pour plusieurs fluides et dispositif de production de fluides chauds comprenant un tel echangeur
US9353967B2 (en) * 2010-02-03 2016-05-31 Farshid Ahmady Fluid heating apparatus
IT1398998B1 (it) * 2010-03-22 2013-03-28 Cosmogas Srl Scambiatore di calore
IT1398999B1 (it) * 2010-03-22 2013-03-28 Cosmogas Srl Scambiatore di calore
IT1399499B1 (it) 2010-04-13 2013-04-19 Riello Spa Metodo per realizzare uno scambiatore di calore e scambiatore di calore realizzato con tale metodo.
ITMI20101825A1 (it) * 2010-10-06 2012-04-07 Riello Spa Deflettore discoidale per fumi di combustione e metodo di installazione dello stesso all'interno di un'elica di uno scambiatore di calore
GB2485798B (en) * 2010-11-24 2014-06-25 Zenex Technologies Ltd A heater
IT1403941B1 (it) 2011-02-16 2013-11-08 Riello Spa Scambiatore di calore condensante per una caldaia a gas
FR2972789B1 (fr) 2011-03-14 2013-04-12 Giannoni France Appareil de chauffage au gaz a condensation
CA2772155A1 (en) * 2011-03-25 2012-09-25 Laars Heating Systems Company Condensing gas appliance and condensate trap therefor
ITTO20110446A1 (it) 2011-05-19 2012-11-20 Cosmogas Srl Scambiatore di calore e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US20130104815A1 (en) * 2011-10-27 2013-05-02 Enerpro Inc. Economizer
CN102901222B (zh) * 2012-09-21 2016-04-20 苏州成强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强制翅片直管双环状冷凝供热换热器
US20140116657A1 (en) * 2012-10-26 2014-05-01 Michael Charles Ritchie Intercooler heat exchanger for evaporative air conditioner system
ES2633804T3 (es) 2014-03-17 2017-09-25 Condevo S.P.A. Método de fabricación de un conjunto de celdas de intercambio térmico y conjunto de celdas de intercambio térmico obtenido de este modo
WO2015140664A1 (en) 2014-03-17 2015-09-24 Condevo S.P.A. Heat exchange cell and method
KR101596284B1 (ko) * 2014-03-18 2016-02-23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KR101597980B1 (ko) * 2014-03-18 2016-02-2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열교환기 및 열교환기를 구성하는 단위플레이트의 제조방법
KR101532023B1 (ko) * 2014-07-09 2015-06-26 주식회사 두발 콘덴싱 보일러용 열교환기
US9631808B2 (en) * 2014-11-21 2017-04-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Fuel-air-flue gas burner
US10024603B2 (en) * 2014-11-26 2018-07-17 Riello S.P.A. Double tubing condensation exchanger for heating water and/or for producing sanitary hot water
RU2576681C1 (ru) * 2015-04-15 2016-03-10 Энмар Батуович Рашитов Водогрейный котел
FR3047063B1 (fr) * 2016-01-22 2018-11-30 Sermeta Dispositif d'echanges thermiques pour echangeur de chaleur a condensation
US10578365B2 (en) 2016-01-25 2020-03-03 Hiroshi Hatamoto Heat exchanging apparatus
DE102016202578A1 (de) 2016-02-19 2017-08-24 Vaillant Gmbh Heizungswärmetauscher
EP3220073A1 (de) 2016-03-14 2017-09-20 Vaillant GmbH Wendelförmiger heizungswärmetauscher
DE102016215210A1 (de) 2016-08-16 2018-02-22 Vaillant Gmbh Wendelförmiger Heizungswärmetauscher
NL2016755B1 (nl) * 2016-05-10 2017-11-16 Remeha B V Warmtewisselaar.
WO2018125990A1 (en) * 2016-12-30 2018-07-05 Laars Heating Systems Company Heat exchanger for heating water
US10753644B2 (en) 2017-08-04 2020-08-25 A. O. Smith Corporation Water heater
IT201700096656A1 (it) * 2017-08-28 2019-02-28 Cosmogas Srl Scambiatore di calore per una caldaia, e tubo di scambiatore di calore
EP3717840B1 (en) * 2017-11-29 2021-06-16 Condevo S.p.A. Heat exchange cell and method
IT201800003451A1 (it) * 2018-03-12 2019-09-12 Condevo S P A Porta di chiusura per cella di scambio di calore per caldaia
CN109780720B (zh) * 2019-01-18 2021-01-01 宁德市福宁锅炉有限公司 一种可适用多类型生物质燃料的强力高效速热锅炉
KR102372925B1 (ko) * 2019-05-03 2022-03-1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오일 보일러
FR3101402B1 (fr) 2019-09-26 2022-05-13 Sermeta Echangeur de chaleur à condensation
IT202100001046A1 (it) * 2021-01-21 2022-07-21 Condevo S P A Cella di scambio di calore per una caldaia a condensazione per riscaldamento
DE102021113722B3 (de) 2021-05-27 2022-09-01 Viessmann Climate Solutions Se Heizgerät
IT202200006131A1 (it) * 2022-03-29 2023-09-29 Condevo S P A Valvola di ritegno a clapet e cella di scambio di calore per caldaia a condensazione per un impianto di riscaldamento
US11953231B2 (en) 2022-07-01 2024-04-09 Viessmann Climate Solutions Se Heat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7330A (en) * 1990-02-09 1991-11-26 Columbia Gas System Service Corporation Heat transfer apparatus for heat pumps
FR2700608B1 (fr) 1993-01-15 1995-04-07 Joseph Le Mer Elément échangeur de chaleur, procédé et dispositif pour le fabriquer.
US5311843A (en) * 1993-05-12 1994-05-17 Weben-Jarco, Inc. Water heating apparatus
US5687678A (en) * 1995-01-26 1997-11-18 Weben-Jarco, Inc. High efficiency commercial water heater
US5516278A (en) * 1995-03-08 1996-05-14 Aos Holding Company Forced draft mixer and burner assembly with pressure distribution device
US5713310A (en) * 1996-04-22 1998-02-03 Clarke Industries, Inc. Heat exchanger for pressure washer
CA2284706A1 (en) * 1997-03-24 1998-10-01 Vth Verfahrenstechnik Fur Heizung Ag A boiler fitted with a burner
US6152086A (en) * 1997-11-03 2000-11-28 Cooperatieve Inkoopvereniging H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DE19912572C2 (de) * 1999-03-19 2001-03-29 Viessmann Werke Kg Kompaktheizkessel, insbesondere zur Verwendung als Brennwertheizkessel
DE10051219C1 (de) 2000-10-16 2002-02-28 Viessmann Werke Kg Verfahren zur Umstellung eines Heizkessels von Heizwert- und Brennwertbetrieb und umgekehrt und Heizkessel zu seiner Durchführ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1075A1 (fr) 2005-08-10
CA2502526A1 (fr) 2004-04-29
JP2006503260A (ja) 2006-01-26
KR100979333B1 (ko) 2010-08-31
RU2005114521A (ru) 2006-01-20
JP4087407B2 (ja) 2008-05-21
RU2317490C2 (ru) 2008-02-20
CA2502526C (fr) 2010-11-30
WO2004036121A1 (fr) 2004-04-29
US20060196450A1 (en) 2006-09-07
PL375399A1 (en) 2005-11-28
US7281497B2 (en) 2007-10-16
PL210367B1 (pl) 2012-01-31
AU2003301454A1 (en) 2004-05-04
EP1561075B1 (fr) 201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333B1 (ko) 플라스틱 케이싱을 구비한 응축 열교환기
CN100394121C (zh) 具有塑料壳体的冷凝热交换器
US9816726B2 (en) Door with a built-in burner for a heating appliance
KR101740010B1 (ko) 응축형 열교환기를 구비한 고온 유체 생성 장치
KR101006276B1 (ko) 열교환기
US20130008635A1 (en) Heat exchanger
US20200355396A1 (en) Smoke tube boiler
EP3244135B1 (en) Heat exchanger
US5313914A (en) Potable hot water storage vessel and direct-fired heat exchanger
US20200363099A1 (en) Smoke tube boiler
US6810836B1 (en) Finned tube water heater
JP2002021581A (ja) 熱交換器を備えたガスタービン装置
US5207212A (en) Submersible high-efficiency combustion chamber for a water heater
US2751200A (en) Liquid heater
CN111649487A (zh) 热交换结构及燃气热水器
CN214665157U (zh) 燃气热水设备及其主换热器
CN215490303U (zh) 燃气热水设备
CN214665158U (zh) 燃气具用冷凝换热器及燃气热水设备
US10962220B2 (en) Flameless steam boiler
GB2619882A (en) Burner and water heater comprising same
KR19990003086U (ko) 태양열 온수기용 온수 저장탱크
KR920004212Y1 (ko) 열풍기
JPH0743088A (ja) 熱交換器
JPH10141778A (ja) 燃焼機器の安全装置
JPS59210216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