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8098A - 프레임 구동 회로 및 이미지 왜곡 수정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프레임 구동 회로 및 이미지 왜곡 수정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8098A
KR20050088098A KR1020057010110A KR20057010110A KR20050088098A KR 20050088098 A KR20050088098 A KR 20050088098A KR 1020057010110 A KR1020057010110 A KR 1020057010110A KR 20057010110 A KR20057010110 A KR 20057010110A KR 20050088098 A KR20050088098 A KR 20050088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driver
signal
deflection process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0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파우 아드리안 필리페 디그나 드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50088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09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23Controlling dim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04N3/23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using a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를 전개하는 편향 프로세서(14)를 구비한 CRT 장치용 프레임 구동 회로는, 제 1 절반 코일(12) 및 제 2 절반 코일(18)을 구비한 프레임 코일(16) 및 제 1 구동기(20) 및 제 2 구동기(22)를 포함한다.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가 제 1 구동기(20) 및 제 2 구동기에 각각 인가된다. 제 1 구동기(20) 및 제 2 구동기(22) 각각은 선택적으로 서로 독립적인 방식으로 동작해서 제 1 코일 구동 신호(24_OUT) 및 제 2 코일 구동 신호(26_OUT)를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의 함수로서 전개한다. 제 1 코일 구동 신호(24_OUT) 및 제 2 코일 구동 신호(26_OUT)는 제 1 절반 코일(12) 및 제 2 절반 코일(18) 각각에 인가된다.

Description

프레임 구동 회로 및 이미지 왜곡 수정 방법과 장치{DRIVE APPARATUS FOR FRAME DEFLECTION AND METHOD}
본 발명은 예컨대, 모니터 또는 텔레비전과 같은 음극 선관(CRT) 장치의 편향 보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 편향, 사다리꼴 편향 및 평행사변형 편향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편향을 수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CRT 장치는 전자기 편향에 의해 형광 스크린 상에 초점이 맞춰진 전자 빔을 사용해서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 편향은 톱니파형의 전류를 수평 코일 및 수직 코일에 인가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형적인 모니터는, 여기에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비디오 신호와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를 제공하는 컴퓨터의 주변 장치로서 사용된다. 전자 총이 비디오 신호에 따라 전자 빔을 형성한다. 전자 빔은 수평 및 수직 코일에 의해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에 따라서, 전면의 형광 스크린 상에 수평 및 수직으로 편향되어서 지정된 화상을 재생한다.
지구의 자기장이 수평 및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한 전자 빔의 편향에 영향을 미쳐서, 화상이 모니터 화면에서 좌측 혹은 우측으로 기울어져서 표시된다. 종래에는 보상 자기장을 생성해서 표시되는 화상의 틸트(tilt)를 보상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코일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추가 코일은 CRT 장치에 사용되는 관의 깔데기형 부분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생성된 보상 자기장이 화면 상의 화상의 틸트를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틸트 보상 정도는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보상 코일에 의해 생성되는 자기장이 화상의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구현은 특정한 보상 코일이 필요하다는 문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왜곡을 보상하는 다른 종래의 장치가 미국 특허 제 5,953,081 호, 미국 특허 제 5,686,800 호 및 일본 특허 공보 07-107503호에 개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953,081호는 여기에 참조로 포함되며, 지구 자기장에 부분적으로 기인하는 표시 화상의 틸트를 수정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이 문헌에서, 화상의 틸트는 수직 및 수평 코일 각각에 인가되는 수직 및 수평 톱니파의 틸트를 제어함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수평 및 수직 평행사변형은 수직 및 수평 위치 제어 신호를 사용해서 수평 및 수직 톱니파의 진폭 및 위상을 제어한 이후에, 각각 수직 출력 장치 및 수평 오실레이션 장치에 이들을 전송하기 전에 수평 및 수직 톱니파를 합성해서, 화상의 틸트를 변경시킴으로써 동시에 제어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2개의 각각의 톱니파 신호가 각각 수평 및 수직 코일에 인가된다. 그러나, 동일한 톱니파 신호가 2개의 코일에 각각 인가된다. 따라서, 수평 또는 수직 코일의 절반씩이 모두 순차적으로 구동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이루어진 프레임 구동 회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수행되는 회전 수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수행되는 평행사변형 수정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수행되는 사다리꼴 수정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위에 열거된 종래의 기술의 하나 이상의 제한을 극복하는 개선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를 전개하는 편향 프로세서를 구비한 장치용 프레임 구동 회로는 제 1 절반 코일 및 제 2 절반 코일을 가진 프레임 코일 및 제 1 구동기 및 제 2 구동기를 포함한다.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가 제 1 구동기 및 제 2 구동기에 각각 인가된다. 제 1 구동기 및 제 2 구동기는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해서 제 1 코일 구동 신호 및 제 2 코일 구동 신호를 각각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의 함수로서 전개한다. 제 1 코일 구동 신호 및 제 2 코일 구동 신호는 제 1 절반 코일 및 제 2 절반 코일에 각각 인가된다.
본 발명의 특성은 수평 코일 또는 수직 코일과 같은 현재의 프레임 코일이 각각의 절반의 코일들로 나누어지되, 이들이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으로 구동된다는 점이다. 절반 코일들을 개별적으로 구동하는 것의 장점은 더 큰 설계 자유도가 가능하다는 점과, 종래의 인용 발명에 개시된 바와 같은 추가적인 하드웨어 없이도 왜곡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장점 및 특성은 첨부된 도면 및 청구항과 함께 이어지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학습함으로써 당업자에게는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CRT 모니터 또는 CRT 텔레비전 세트와 같은 CRT 장치용 프레임 구동 회로(1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구동 회로(10)는 편향 프로세서(14) 및 프레임 코일(16)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프레임 구동 회로(10)는 프레임 코일(16)의 제 1 절반 코일(12) 및 제 2 절반 코일(18)과 제 1 코일 구동기(20) 및 제 2 코일 구동기(22)를 포함한다.
편향 프로세서(14)는 알려진 바와 같이,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를 전개한다.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는 제 1 구동기(20) 및 제 2 구동기(22) 각각에 인가된다. 제 1 구동기(20) 및 제 2 구동기(22)는 선택적으로 서로 독립적인 방식으로 동작해서 각각 제 1 코일 구동 신호 및 제 2 코일 구동 신호를 각각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의 함수로서 전개한다. 제 1 코일 구동 신호 및 제 2 코일 구동 신호는 제 1 절반 코일(12) 및 제 2 절반 코일(18) 각각에 인가된다.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코일 신호는 서로 진폭이 다를 수 있고, 한 코일이 다른 코일에 대해서 DC 시프트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2개의 코일에 서로 다른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일부 최상급 CRT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추가적인 회전 코일 없이도, 화상의 틸트를 수정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전류 차를 통해서 화상의 사다리꼴, 회전, 평행사변형 틸트를 수정할 수 있다. 각각의 코일 전류 조정은 디스플레이의 제조시에 테스팅을 통해서 수행되던지 혹은 틸트 수정 셋업시에 유저에 의해 직접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구동기(20) 및 제 2 구동기(22) 각각은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를 증폭해서, 제 1 코일 구동 신호 및 제 2 코일 구동 신호 중 하나를 각각 전개한다. 이 실시예에서,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의 증폭은 제 1 코일 구동 신호와 제 2 코일 구동 신호의 합성 신호가 제 1 절반 코일(12) 및 제 2 절반 코일(18)에 각각 인가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RT 모니터의 이미지의 회전을 수정하도록 동작한다.
CRT 이미지의 회전이 지구의 자장과 같은 일정한 주변 자장에 의해 야기되는 경우에, 제 1 구동기(2)와 제 2 구동기(22) 각각에 의해 야기되는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의 증폭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의 증폭율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수정을 제공하도록 선택적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 1 구동기(20) 및 제 2 구동기(22) 각각은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를 더 DC 시프트시켜서 각각 제 1 코일 구동 신호 및 제 2 코일 구동 신호 중 하나를 전개한다. 이 실시예에서,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의 DC 레벨 시프트는 제 1 코일 구동 신호와 제 2 코일 구동 신호의 합성 신호가 각각 제 1 절반 코일(12) 및 제 2 절반 코일(18)에 인가되었을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CRT 모니터의 이미지의 평행사변형 왜곡을 수정하도록 동작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서,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의 증폭이 로크스텝(lockstep)으로 또는 일정 비율로, DC 레벨 시프트와 함께 단독으로 혹은 임의의 조합으로 본 발명을 실시할 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된다. 통상적으로, CRT 이미지는 몇 가지 형태의 왜곡을 나타낼 것이며, 이러한 왜곡의 수정은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각각의 왜곡 타입에 대해서 개별적으로 사용자가 세팅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간단한 장치를 통해서 다양한 타입의 왜곡을 동시에 수정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 1 구동기(20) 및 제 2 구동기(22) 각각은 입력단(24_IN, 26_IN) 및 출력단(24_OUT, 26_OUT)을 구비한 증폭기(24, 26)를 포함한다. 각각의 증폭기(24, 26)의 입력단(24_IN, 26_IN)은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를 수신한다. 각각의 증폭기(24, 26)의 출력단(24_OUT, 26_OUT)은 제 1 절반 코일(12) 및 제 2 절반 코일(18) 각각에 인가할 증폭된 신호를 전개한다.
제 1 구동기(20) 및 제 2 구동기(22) 각각은 각각의 입력단(28_IN, 30_IN) 및 출력단(28_OUT, 30_OUT)을 가진 DC 레벨 시프터(28, 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C 레벨 시프터(28, 30)의 각각의 입력단(28_IN, 30_IN)은 편향 프로세서(14)로부터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를 수신한다. DC 레벨 시프터(28, 30) 각각의 출력단(28_OUT, 30_OUT)은 제 1 절반 코일(12) 및 제 2 절반 코일(18) 각각에 인가할 DC 레벨 시프트된 신호를 전개한다. 각각의 구동기(20, 22)의 증폭기(24, 26) 및 DC 레벨 시프터(28, 30)는 직렬로 접속된 개별적인 소자가 될 수도 있고, 혹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가지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하나의 회로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새로운 프레임 구동 회로가 여기서 설명되었다. 당업자는 여기 개시된 새로운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위에 설명된 실시예의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법적으로 허용된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서만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를 전개하는 편향 프로세서(14)를 구비한 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구동 회로는 제 1 구동기(20) 및 제 2 구동기(22)를 포함하며,
    상기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는 상기 제 1 구동기(20) 및 상기 제 2 구동기(22) 각각에 인가되고,
    상기 제 1 구동기(20) 및 상기 제 2 구동기(22) 각각은 선택적으로 서로 독립적인 방식으로 동작해서 제 1 코일 구동 신호(24_OUT) 및 제 2 코일 구동 신호(26_OUT)를 상기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의 함수로서 전개하며,
    상기 제 1 코일 구동 신호(24_OUT) 및 상기 제 2 코일 구동 신호(26_OUT)는 프레임 코일(16)의 제 1 절반 코일(12) 및 제 2 절반 코일(18) 각각에 인가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수평 코일 및 수직 코일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이고,
    상기 프레임 코일(16)은 상기 수평 코일 또는 상기 수직 코일 중 하나인
    프레임 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기(20) 및 상기 제 2 구동기(22) 각각은 상기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를 증폭시켜서 상기 제 1 코일 구동 신호(24_OUT) 및 상기 제 2 코일 구동 신호(26_OUT)를 각각 전개하는
    프레임 구동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기(20) 및 상기 제 2 구동기(22)는 각각 상기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를 DC 시프트시켜서 상기 제 1 코일 구동 신호(24_OUT) 및 상기 제 2 코일 구동 신호(26_OUT) 중 하나를 각각 전개하는
    프레임 구동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기(20) 및 상기 제 2 구동기(22)는 입력단(24_IN, 26_IN) 및 출력단(24_OUT, 26_OUT)을 구비한 증폭기(24, 26)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기(24, 26) 각각의 상기 입력단(24_IN, 26_IN)은 상기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증폭기(24, 26) 각각의 상기 출력단(24_OUT, 26_OUT)은 상기 제 1 절반 코일(12) 및 상기 제 2 절반 코일(18) 각각에 인가할 증폭된 신호를 전개하는
    프레임 구동 회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기(20) 및 상기 제 2 구동기(22) 각각은 입력단(28_IN, 30_IN) 및 출력단(28_OUT, 30_OUT)을 가진 DC 레벨 시프터(28, 30)를 더 포함하되,
    상기 DC 레벨 시프터(28, 30) 각각의 상기 입력단(28_IN, 30_IN)은 상기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DC 레벨 시프터(28, 30) 각각의 상기 출력단(28_OUT, 30_OUT)은 상기 제 1 절반 코일(12) 및 상기 제 2 절반 코일(18) 각각에 인가할 증폭된 신호를 전개하는
    프레임 구동 회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집적 회로에 포함되는
    프레임 구동 회로.
  8. 편향 프로세서(14) 및 프레임 코일(16)을 구비한 CRT 모니터의 이미지 왜곡을 수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코일 구동 신호(24_OUT) 및 제 2 코일 구동 신호(26_OUT)를 상기 편향 프로세서에 의해 전개되는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의 함수로서 선택적으로 서로 독립적인 방식으로 전개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코일 구동 신호(24_OUT) 및 상기 제 2 코일 구동 신호(26_OUT)를 상기 프레임 코일(16)의 제 1 절반 코일(12) 및 제 2 절반 코일(18) 각각에 인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왜곡 수정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단계는 상기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를 증폭시켜서 상기 제 1 코일 구동 신호(24_OUT) 및 제 2 코일 구동 신호(26_OUT)를 각각 전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왜곡 수정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개 단계는 상기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를 DC 레벨 시프트시켜서 상기 제 1 코일 구동 신호(24_OUT) 및 제 2 코일 구동 신호(26_OUT)를 각각 전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미지 왜곡 수정 방법.
  11.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편향 프로세서(14)와,
    제 1 절반 코일(12) 및 제 2 절반 코일(18)을 구비한 프레임 코일(16)과,
    상기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가 각각 인가되는 제 1 구동기(20) 및 제 2 구동기(22) - 상기 제 1 구동기(20) 및 상기 제 2 구동기(22) 각각은 선택적으로 서로 독립적인 방식으로 동작해서 각각 제 1 코일 구동 신호(24_OUT) 및 제 2 코일 구동 신호(26_OUT)를 상기 편향 프로세서 출력 신호의 함수로서 전개함 -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코일 구동 신호(24_OUT) 및 상기 제 2 코일 구동 신호(26_OUT)는 상기 제 1 절반 코일(12) 및 상기 제 2 절반 코일(18) 각각에 인가되는
    장치.
KR1020057010110A 2002-12-06 2003-12-03 프레임 구동 회로 및 이미지 왜곡 수정 방법과 장치 KR200500880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3134402P 2002-12-06 2002-12-06
US60/431,344 2002-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098A true KR20050088098A (ko) 2005-09-01

Family

ID=3250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0110A KR20050088098A (ko) 2002-12-06 2003-12-03 프레임 구동 회로 및 이미지 왜곡 수정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62716B2 (ko)
EP (1) EP1570646B8 (ko)
JP (1) JP4409440B2 (ko)
KR (1) KR20050088098A (ko)
CN (1) CN100431334C (ko)
AU (1) AU2003283679A1 (ko)
TW (1) TW200501739A (ko)
WO (1) WO200405423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1700A1 (de) 1992-01-23 1993-07-29 Thomson Brandt Gmbh Schaltung zur korrektur der bildgeometrie in einem fernsehempfaenger
KR970009492B1 (ko) * 1994-05-19 1997-06-13 삼성전자 주식회사 수상관의 화상보정회로 및 그 방법
US6013989A (en) * 1996-05-20 2000-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de-band horizontal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KR100195907B1 (ko) * 1996-08-27 1999-06-15 윤종용 화면의 기울기 보정회로
CN1067198C (zh) * 1996-11-07 2001-06-13 神达电脑股份有限公司 南北向梯形失真的补偿装置及方法
KR100242839B1 (ko) * 1997-04-14 2000-02-01 윤종용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상조정 회로
KR100242841B1 (ko) * 1997-05-27 2000-02-01 윤종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왜곡 보정 회로
KR100268150B1 (ko) * 1997-05-29 2000-10-16 윤종용 복합 영상신호의 동기 신호 재생 회로
KR100284483B1 (ko) * 1997-12-17 2001-03-15 이형도 편향 요크의 미스컨버전스 및 기하학적 왜곡 보정 장칙
US6262779B1 (en) * 1998-02-10 2001-07-17 Hitachi, Ltd Display apparatus with circuit expanding horizontal retrace interval of horizontal deflection current
US6369780B2 (en) * 1999-09-30 2002-04-09 Thomson Licensing S.A. Auxiliary deflection winding driver disabling arrangement
KR100662573B1 (ko) * 1999-12-23 2006-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
JP2001210255A (ja) 2000-01-28 2001-08-03 Totoku Electric Co Ltd モノクロ用偏向ヨーク
JP2002094829A (ja) * 2000-09-12 2002-03-29 Mitsubishi Electric Corp 画面ノイズ除去装置及び陰極線管表示装置
JP2007107503A (ja) 2005-10-17 2007-04-26 Nissan Diesel Motor Co Ltd ピストンの冷却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70646B8 (en) 2012-12-19
US20110007038A1 (en) 2011-01-13
US8362716B2 (en) 2013-01-29
EP1570646A1 (en) 2005-09-07
EP1570646B1 (en) 2012-10-24
WO2004054236A1 (en) 2004-06-24
TW200501739A (en) 2005-01-01
JP2006509462A (ja) 2006-03-16
JP4409440B2 (ja) 2010-02-03
CN1720714A (zh) 2006-01-11
CN100431334C (zh) 2008-11-05
AU2003283679A1 (en)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8140A (en)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a deflection circuit having function for correcting rotational distortion
JP2000134507A (ja) ガンマ補正回路
KR20050088098A (ko) 프레임 구동 회로 및 이미지 왜곡 수정 방법과 장치
US5416818A (en) X-ray TV camera having function to switch a visual field of X-ray image
KR100265167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편차 보정 장치
US63773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color component focusing in a rear-projection television set
KR10026516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편차 보정 장치
JPH10164390A (ja) セミワイド画面テレビジョン受信機の画面安定化回路
US6795065B2 (en) Display apparatus
KR100263092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휘도 편차 보정 장치
GB2317313A (en) Uniform brightness system for CRT display
KR100257256B1 (ko) 텔레비젼의 핀쿠션 보정장치
US6674253B2 (en) Scan velocity modulation technique
US6522091B1 (en) Circuit and method that allows the amplitudes of vertical correction signal components to be adjusted independently
KR100268479B1 (ko) 영상표시기기의 밝기조정에 따른 색좌표 보상장치
JP3740337B2 (ja) Crtを用いた表示装置及びそのフォーカス制御装置
JPH06261219A (ja) ディスプレイモニタ
US200500736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convergence of projection television
JPH10161580A (ja) Crt表示装置及びその焼き付き防止方法
JPH08102868A (ja)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
JPH05122629A (ja) テレビ受像機
KR19990054444A (ko) 디스플레이장치의 osd화면의 가변 장치 및 방법
KR20010073415A (ko) 고압보정장치
JPH05161028A (ja) 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回路
JP200308759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ダイナミックフォーカス補正回路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