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907B1 - 화면의 기울기 보정회로 - Google Patents

화면의 기울기 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907B1
KR100195907B1 KR1019960035856A KR19960035856A KR100195907B1 KR 100195907 B1 KR100195907 B1 KR 100195907B1 KR 1019960035856 A KR1019960035856 A KR 1019960035856A KR 19960035856 A KR19960035856 A KR 19960035856A KR 100195907 B1 KR100195907 B1 KR 100195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signal
control signal
t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5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316A (ko
Inventor
준 영 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35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907B1/ko
Priority to US08/917,841 priority patent/US5953081A/en
Publication of KR19980016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04N3/23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using a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보정용 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수평과 수직 평행사변형(Parallelgram)을 이용하여 마이컴에 의해 생성된 틸트 제어신호를 사용하여 수평 및 수직 톱니파의 진폭 및 위상을 조정하고 이 파형을 수직 및 수평 위치 제어신호와 합성하여 수직과 수평 위치 제어부의 제어신호로서 인가함으로써 수평 평행사변형과 수직 평행사변형을 동시에 조절하여 화면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틸트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기울기 보정용 코일을 설치할 기구적 제한을 받지 않고, 간단히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고, 저전력으로 기울기를 보정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화면의 품질이 향상되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화면의 기울기 보정회로
본 발명은 CPT(Color Picture Tube) 및 CRT(Cathode Ray Tube)등의 브라운관을 화면 표시장치로 사용하는 모니터 및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 화면 표시장치에 있어서, 브라운관에 표시되는 화면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화면의 기울기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RT등과 같은 디스플레이장치는 형광면에 투사되는 전자빔을 통하여 화상을 형성하는데, 이때 상기 전자빔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회를 편향회로라 칭한다. 흔히, 편향회로에서는 전기장을 사용하는 정전 편향과 자기장을 사용하는 전자편향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TV등의 경우 후자 즉, 전자편향을 사용하며 수평과 수직 코일에 톱니파형의 전류를 흘려서 화면을 구성한다.
상술한 전자편향 방식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수평/수직 편향전압을 걸어주는 종래의 장치는,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호 발생장치(10)와, 상기 신호 발생장치(10)에서 발생되는 R,G,B 색상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여 CRT의 전자총에 입력하는 비디오 증폭기(20A,20B)와, 상기 신호 발생장치(10)에서 발생되는 싱크(Sync) 동기 신호를 입력받아 동기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마이컴(30)과, 상기 마이컴(30)에서 발생되는 동기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수평/수직 발진부(40)와, 상기 수평/수직 발진부(40)에서 발생되는 수평동기신호에 따라 수평편향전압신호를 발생시키는 수평 디바이스(60)와 수평편향부(70) 및 상기 수평/수직 발진부(40)에서 발생되는 수직동기신호에 따라 제로(zero)볼트를 기준으로 구동전압단(B+)에 입력되는 전압을 피크치로 하는 톱니파를 발생시켜 수직 편향 전압신호로 상기 CRT에 걸어주는 수직편향부(50)로 구성된다.
전자총에서 영상신호에 따라 전자빔을 발생하고, 이 발생한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으로 편향시키면서 전방의 형광면에 주사시켜 소정의 화면을 재현하고 있다. 전자빔의 편향은 통상적으로 자계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브라운관의 펀넬(funnel)부에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을 설치하고, 이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이 각기 수평 편향 자계 및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시키게 하여 전자빔을 편향시키고 있다.
그리고 지구에는 고유의 자계 즉, 지자계를 가지고 있어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에 의해 전자빔이 편향될 때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은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재현되는 화면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왼쪽 또는 오른쪽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브라운관에 재현되는 화면의 기울기를 보정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수평 편향 코일 및 수직 편향 코일을 이용하였으며 종래 기술에 따른 기울기 보정회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마이컴(30)등의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기울기 제어신호(Control Signal : CS)가 연산 증폭기(OP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게 접속되고, 연산 증폭기(OP1)의 출력단자는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Q1)(Q2)의 콜렉터에는 전원(B+)(B-)이 각기 인가되게 접속되며, 트랜지스터(Q1,Q2)의 에미터는 브라운관의 펀넬부에 설치되는 보정용 코일(L1)을 통해 접지 저항(R1) 및 연산 증폭기(OP1)의 반전 입력단자(-)에 접속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울기 보정회로는 전원(B+)(B-)이 인가된 상태에서 기울기 제어신호(CS)가 플러스 전압으로 입력될 경우에 연산 증폭기(OP1)가 플러스 신호를 출력하고, 트랜지스터(Q1)가 온된다.
그러면, 전원(B+)이 트랜지스터(Q1), 보정용 코일(L1) 및 접지 저항(R1)을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면서 보정용 코일(L1)이 보정용 자계를 발생하게 되고, 이 발생한 보정용 자계에 의하여 브라운관에 표시되는 화면은 시계 방향으로 기울기가 변하게 된다.
그리고 기울기 제어신호(CS)가 마이너스 전압으로 입력될 경우에 연산 증폭기(OP1)가 마이너스 신호를 출력하고, 트랜지스터(Q2)가 온된다.
그러면, 접지전원이 접지 저항(R1), 보정용 코일(L1) 및 트랜지스터(Q1)를 순차적으로 통해 전원(B-)으로 흐르게 되면서 보정용 코일(L1)이 상기와는 반대 방향의 보정용 자계를 발생하게 되고, 이 발생한 보정용 자계에 의하여 브라운관에 표시되는 화면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기울기가 변하게 된다.
여기서, 화면의 기울기 보정량은 입력되는 기울기 제어신호(CS)의 레벨에 따라 가변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보정용 코일(L1)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 및 양에 따라 발생되는 보정용 자계를 변화시켜 화면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것으로서 보정용 코일(L1)이 발생하는 자계가 화면의 품질에 나쁜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다.
즉, 브라운관은 주위에 발생되는 자계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서 발생되는 자계에 의하여 화면상에 주사되는 전자빔이 드리프트(drift)되므로 화면상에 얼룩이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컴버전스도 가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정용 코일이 보정용 자계를 발생하도록 하기 위하여 보정용 코일(L1)로 많은 전류가 흐르도록 해야 되므로 소비전력이 증가되고, 많은 열이 발생하여 부품의 사용 수명을 단축시키는 요인이 되었으며, 별도로 보정용 코일(L1)을 구비해야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보정용 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수평과 수직 평행사변형(Parallelgram)을 이용하여 마이컴에 의해 생성된 틸트 제어신호를 사용하여 수평 및 수직 톱니파의 진폭 및 위상을 조정하고 이 파형을 수직 및 수평 위치 제어신호와 합성하여 수직과 수평 위치 제어부의 제어신호로서 인가함으로써 수평 평행사변형과 수직 평행사변형을 동시에 조절하여 화면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틸트보정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를 전달받아 기울기 제어신호(CS)를 발생하는 마이컴(30)과,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출력되는 기울기 제어신호(CS)를 수평 플라이백 신호에 따라 톱니파 신호로 변환하는 수평 톱니파 발생부(11)와,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전달되는 기울기 제어신호(CS)를 수직 플라이백 신호에 따라 톱니파 신호로 변환하는 수직 톱니파 발생부(12)와, 상기 수평 톱니파 발생부(11)가 발생한 수평 톱니파 신호에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위치 제어신호를 혼합하여 수직 출력부로 전달하는 수직 센터 제어부(13)와, 상기 수직 톱니파 발생부(12)가 발생한 수직 톱니파 신호에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전달되는 수평 위치 제어신호를 혼합하여 수평 발진부로 전달하는 수평 포지션 조절부(1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자계의 영향을 받아 기울어진 화상을 나타내는 예시도.
제3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기울기 보정회로.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회로의 블록구성도.
제5도는 제4도의 상세회로도.
제6도는 제5도의 각 부의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수평 톱니파 발생부 12 : 수직 톱니파 발생부
13 : 수직 센터 제어부 14 : 수평 포지션 제어부
15 : 수직 출력 회로부 16 : 수평 발진 회로부
CS : 기울기 제어신호 V_FLB : 수직 플라이백 신호
H_FLB : 수평 플라이백 신호 SW11,SW12: 스위치
이하, 첨부된 제4도 및 제5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화면의 기울기 보정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회로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H_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_sync)를 전달받아 틸트(Tilt) 제어신호와 수직 위치 제어신호 및 수평 위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30)과, 상기 마이컴(30)의 틸트(Tilt) 제어신호를 제공 받아 수평 플라이백 신호에 따라 톱니파 신호를 발생하는 수평 톱니파 발생부(11)와,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전달되는 기울기 제어신호(CS)를 수직 플라이백신호에 따라 톱니파 신호를 발생하는 수직 톱니파 발생부(12)와, 상기 수평 톱니파 발생부(11)가 발생한 수평 톱니파 신호에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위치 제어신호를 혼합하여 수직 출력부(15)로 전달하는 수직 센터 제어부(13)와, 상기 수직 톱니파 발생부(12)가 발생한 수직 톱니파 신호에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전달되는 수평 위치 제어신호를 혼합하여 수평 발진부(16)로 전달하는 수평 포지션 조절부(14)로 구성된다.
제5도는 제4도의 상세회로도이다. 수평 동기 신호(H_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_sync)를 전달받은 마이컴(30)은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시키는 D/A변환기(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저항(R11)에 틸트 제어신호(Control Signal : 이하 CS라 칭함)을 발생한다.
수평 톱니파 발생부(11)는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CS)를 전달받는 저항(R12)과, 수평 플라이백 신호(H_FLB)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치(SW11)와, 상기 스위치(SW1)에 병렬접속된 캐패시터(C12)와, 반전 단자에 상기 저항(R12)를 거쳐 전달되는 제어신호(CS)를, 비반전단자에는 기준전압(VREF)을 전달받아 연산 증폭하는 비교기(OP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 톱니파 발생부(12)는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CS)를 전달받는 저항(R13)과, 수직 플라이백 신호(V_FLB)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위치(SW12)와, 상기 스위치(SW1)에 병렬접속된 캐패시터(C13)와, 비반전 단자에 상기 저항(R13)를 거쳐 전달되는 제어신호(CS)를, 반전단자에는 기준전압(VREF)을 전달받아 연산 증폭하는 비교기(OP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센터 제어부(13)는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직 위치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저항(R16,R18)과 캐패시터(C16), 상기 수직 톱니파 발생회로(11)의 비교기(OP11)의 출력신호를 전달받는 저항(R14) 및 캐패시터(C14)로 구성된다.
수평포지션 조절부(14)는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제공되는 수평 위치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저항(R17,R19)과 캐패시터(C17), 상기 수평 톱니파 발생회로(12)의 비교기(OP12)의 출력신호를 전달받는 저항(R15) 및 캐패시터(C1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울기 보정회로는 마이컴(30)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울기 제어신호(CS)가 저항(R11)을 통해 캐패시터(C11)에 충전되어 안정화된다.
캐패시터(C11)에 의하여 안정화된 기울기 제어신호(CS)는 수평 톱니파 발생부(11)의 저항(R12)을 통해 연산 증폭기(OP11)의 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연산 증폭기(OP11)는 비반전단자(+)에 제공되는 기준전압을 차이로하여 저항(R12) 및 캐패시터(C12)의 시정수(Time Constant)에 따라 기울기 제어신호(CS)를 적분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평 플라이백 신호(H_FLB)가 입력되면, 입력된 수평 플라이백 신호(H_FLB)에 따라 스위치(SW11)가 접속되어 캐패시터(C12)의 충전 전위를 모두 방전시키게 되므로 연산 증폭기 (OP11)의 출력신호 레벨은 하강하여 톱니파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평 톱니파 발생부(11)에서 발생된 톱니파 신호는 수직 센터 제어부(13)의 저항(R14) 및 캐패시터(C14)를 통한 후, 저항(R16), 접지 캐패시터(C16) 및 저항(R18)을 순차적으로 통해 전달되는 마이컴(30)의 수직 위치 제어신호와 혼합되어 수직 출력 회로부(15)의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따라서 수직 출력 회로부(15)는 수직 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화면의 수직 위치를 제어함과 아울러 수직 톱니파 발생부(11)에서 발생된 톱니파 신호의 레벨에 따라 수직 기울기를 조절하여 보정하게 된다.
한편 캐패시터(C11)에 의하여 안정화된 기울기 제어신호(CS)는 수직 톱니파 발생부(12)의 저항(R13)을 통해 연산 증폭기(OP12)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인가되므로 연산 증폭기(OP12)는 저항(R13) 및 캐패시터(C13)의 시정수(Time Constant)에 따라 기울기 제어신호(CS)를 적분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직 플라이백 신호(V_FLB)가 입력되면, 입력된 수직 플라이백 신호(V_FLB)에 따라 스위치(SW12)가 접속되어 캐패시터(C13)의 충전 전위를 모두 방전시키게 되므로 연산 증폭기(OP13)의 출력신호 레벨은 하강하여 톱니파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평 톱니파 발생부(12)에서 발생된 톱니파 신호는 수평 포지션조절부(14)의 저항(R15) 및 캐패시터(C15)를 통한 후, 저항(R17), 접지 캐패시터(C17) 및 저항(R19)을 순차적으로 통해 전달되는 마이컴(30)의 수평 위치 제어신호와 혼합되어 수평 발진 회로부(16)의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따라서 수평 발진 회로부(15)는 그 후단에 형성된 수평 드라이브회로 및 수평 출력회로(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수평 위치 제어신호에 따라 화면의 수평 위치를 제어함과 아울러 수평 톱니파 발생부(12)에서 발생된 톱니파 신호의 레벨에 따라 수평 기울기를 조절하여 보정하게 된다.
제6도는 이러한 본 발명의 각 부에서 나타나는 파형도이다. 도시된 바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수평 톱니파 또는 수직 톱니파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화면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해서, 수평 및 수직 톱니파의 진폭 및 위상을 조정하고 이 파형을 수직 및 수평 위치 제어신호와 합성하여 수직 출력부 및 수평 발진회로에 제공하므로써 수평 및 수직 평행사변형을 동시에 조절하여 결과적으로 화면의 기울기를 가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별도의 기울기 보정용 코일을 사용하지 않고, 화면의 수직 및 수평 기울기를 보정하는 것으로서 기울기 보정용 코일을 설치할 기구적 제한을 받지 않고, 간단히 기울기를 보정할 수 있고, 저전력으로 기울기를 보정하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화면의 품질이 향상되어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등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컴퓨터로부터 전달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를 전달받아 기울기 제어신호(CS)를 발생하는 마이컴(30)과,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출력되는 기울기 제어신호(CS)를 수평 플라이백 신호에 따라 톱니파 신호로 변환하는 수평 톱니파 발생부(11)와,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기울기 제어신호(CS)를 수직 플라이백 신호에 따라 톱니파 신호로 변환하는 수직 톱니파 발생부(12)와, 상기 수평 톱니파 발생부(11)가 발생한 수평 톱니파 신호에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전달되는 수직 위치 제어신호를 혼합하여 수직 출력부로 전달하는 수직 센터 제어부(13)와, 상기 수직 톱니파 발생부(12)가 발생한 수직 톱니파 신호에 상기 마이컴(30)으로부터 전달되는 수평 위치 제어신호를 혼합하여 수평 발진부로 전달하는 수평 포지션 조절부(14)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의 기울기 보정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수평 톱니파 발생부(11)는 기울기 제어신호(CS)를 적분하는 적분기와, 상기 적분기의 출력신호를 수직 귀선신호(VFLB)에 따라 방전시키는 스위치(SW1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의 기울기 보정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수직 톱니파 발생부(12)는 기울기 제어신호(CS)를 적분하는 적분기와, 상기 적분기의 출력신호를 수평 귀선신호(HFLB)에 따라 방전시키는 스위치(SW1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의 기울기 보정회로.
KR1019960035856A 1996-08-27 1996-08-27 화면의 기울기 보정회로 KR100195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856A KR100195907B1 (ko) 1996-08-27 1996-08-27 화면의 기울기 보정회로
US08/917,841 US5953081A (en) 1996-08-27 1997-08-27 Complementing circuit for tilt of picture in a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5856A KR100195907B1 (ko) 1996-08-27 1996-08-27 화면의 기울기 보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316A KR19980016316A (ko) 1998-05-25
KR100195907B1 true KR100195907B1 (ko) 1999-06-15

Family

ID=19471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5856A KR100195907B1 (ko) 1996-08-27 1996-08-27 화면의 기울기 보정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53081A (ko)
KR (1) KR100195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70646B8 (en) * 2002-12-06 2012-12-19 Entropic Communications, Inc. Drive apparatus for frame deflection and method
US20070090778A1 (en) * 2003-05-26 2007-04-26 Koninklije Philips Electronics N.V. Signal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216B1 (en) * 1994-12-02 1997-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Tilt control circuit for crt
KR0152854B1 (ko) * 1995-03-17 1998-10-15 구자홍 씨알티의 모아레 제거회로
KR0182920B1 (ko) * 1996-05-02 1999-10-01 김광호 이미지 로테이션 자동 보상 회로 및 보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316A (ko) 1998-05-25
US5953081A (en) 1999-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29774A (ja) 偏向波形補正信号発生器
FI105631B (fi) Tyynyvääristymän korjauspiiri käsittäen lokinsiipivääristymän kompensoinnin
KR100195907B1 (ko) 화면의 기울기 보정회로
EP0682443B1 (en) Left and right raster correction
US5448140A (en) Image display apparatus with a deflection circuit having function for correcting rotational distortion
JPH029504B2 (ko)
KR100363053B1 (ko) 편향보정파형발생기및비디오디스플레이시스템
KR100326994B1 (ko) 샘플홀드커패시터용의전압변화보상장치
US4965495A (en) Parabolic voltage generating circuit
US5345151A (en) Automatic calibration in a waveform generator for deflection
JP3465715B2 (ja) ビデオ表示装置
KR100245286B1 (ko) 텔레비젼수상기의다이나믹포커싱전압발생회로
KR100190534B1 (ko) 수평 편향 출력 회로(horizontal deflection output circuit)
EP0997867A1 (en) Crt display image horizontal distortion correction device
JPH05145781A (ja) Crt画像のローテーシヨン歪補正方法、crtの偏向回路及び画像表示装置
Yoneno et al. Multi-Sync Video/Data Projector
KR100462152B1 (ko) 음극선관 디스플레이장치의 기하학적 왜곡 보정회로
KR200158594Y1 (ko) 마이컴을 이용한 국부적 왜곡 화상 보정회로
JPH0134454Y2 (ko)
JPS63275218A (ja) 鋸歯状波発生回路
KR910002953Y1 (ko) 모니터의 수직 화면 보정회로
KR20020020361A (ko) 영상표시기기의 광대역 스위칭 드라이브 보상회로
GB2220827A (en) Vertical tracking circuit
JPS62243479A (ja) 左右糸巻歪補正回路
JPH07336705A (ja) 画像補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