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573B1 -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 - Google Patents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573B1
KR100662573B1 KR1019990061071A KR19990061071A KR100662573B1 KR 100662573 B1 KR100662573 B1 KR 100662573B1 KR 1019990061071 A KR1019990061071 A KR 1019990061071A KR 19990061071 A KR19990061071 A KR 19990061071A KR 100662573 B1 KR100662573 B1 KR 100662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horizontal deflection
current
control voltage
magn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1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7694A (ko
Inventor
강호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61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573B1/ko
Priority to US09/613,572 priority patent/US6340871B1/en
Publication of KR20010057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7Circuits special to multi-standard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04N3/23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using a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에 관한 것으로,
수평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에 의해 주사용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부(10); 리니어리티보정을 하고자 할 경우 서로 같은 값을 갖는 제1제어전압과 제2제어전압을 출력하고, S자보정을 하고자 할 경우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제1제어전압과 제2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제어수단(20); 상기 제1제어전압에 따라 수평편향코일에 직렬 연결된 제1가변인덕터(Ls1)의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상기 톱니파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하는 제1보정부(30); 상기 제2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제1가변인덕터에 반대 극성으로 직렬 연결된 제2가변인덕터(Ls2)의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상기 톱니파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하는 제2보정부(40)로 구성되어,
수평주파수에 따라 서로 극성이 반대인 이중 가변코일에 각각 보정전류를 공급하므로써, 수평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에 대하여 정확하게 S자 보정 및 리니어리티 보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수평편향 보정회로에 비해 S자 보정커패시터와 스위칭수단의 갯수가 대폭 감소되어 제조 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그 회로 구성이 간단하여 구현하기 쉽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영상표시기기, 수평편향, S자 보정, 리니어리티 보정, 가변인덕터, 인덕턴스

Description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A circuit for compensing a horizontal-deflection in a video display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영상표시기기의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영상표시기기의 전체 블럭도,
도 3은 일반적인 수평편향부를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수평편향코일의 톱니파전류에 따른 화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수평편향코일의 S자 톱니파전류에 따른 화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보정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화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S자 보정할 경우 이중 가변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화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리니어리티를 보정할 경우 이중 가변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화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
10 : 수평편향부 20 : 제어수단
30 : 제 1 보정부 40 : 제 2 보정부
Ls1 : 제 1 가변인덕터 Ls2 : 제 2 가변인덕터
OP1 : 제 1 보정전류 공급수단 OP2 : 제 2 보정전류 공급수단
Cs : S자 보정커패시터 R 1,2,3,4,5,6,7,8 : 저항
HD.Y : 수평편향코일 TR : 수평출력트랜지스터
D.D : 댐퍼다이오드 RE.C : 귀선커패시터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주파수에 따라 서로 극성이 반대인 이중 가변코일에 각각 보정전류를 공급하므로써 수평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에 대하여 S자 보정 및 리니어리티 보정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되어진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표시기기에 사용되는 음극선관(CRT)은 영상신호의 세기에 따라 각기 다른 양의 전자 빔이 음극선관의 표면에 입혀진 R·G·B(적·녹·청)의 형광물질을 때려 각기 다른 밝기나 색깔의 빛을 내게 만드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가격이나 표시 성능면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영상표시기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영상표시기기는 컴퓨터의 비디오카드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와 동기신호를 입력받아 음극선관 화면에 영상을 표시한다.
도 2는 일반적인 영상표시기기의 전체 블럭도로서, 영상표시기기는 편향회로(1), 마이크로컴퓨터(2), 고압회로(3), 비디오앰프(4), 음극선관(CRT) 등으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의 비디오카드로부터 입력된 RGB 영상신호는 비디오앰프(4)를 통해 증폭된 후 음극선관(CRT)의 캐소드 단자에 인가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상기 RGB 영상신호를 음극선관(CRT)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서는,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에 톱니파 전류를 공급하므로써 전자빔을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편향시켜 음극선관 화면 전체에 라스터를 형성시켜야 하는 바, 컴퓨터의 비디오카드로부터 입력된 수평동기신호 및 수직동기신호에 의해 편향회로(1)에서 톱니파 전류를 생성하여 수평편향코일 및 수직편향코일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비디오카드는 여러가지 비디오 모드를 지원하는데, 비디오 모드는 구현하려는 해상도에 따라 수평주파수와 수직주파수를 다르게 출력하여, 상기 수평·수직 주파수가 저주파에서 고주파로 증가할수록 화면 깜박거림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감소시킨다.
여기서,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란 적어도 2개 이상의 비디오 모드와 호환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로서, 비디오카드에서 출력되는 다양한 수평주파수(약 30∼75 KHz)에 따라 화상의 크기 및 위치의 변경, 수평 수직 동기화 및 편향부의 최적화, 그리고 각종 편향 보정회로의 조정이 가능한 영상표시기기를 의미한다.
도 3은 일반적인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편향부(10) ; 제어수단(20) ; 리니어리티 보정 부(30) ; S자 보정부(40)로 구성된 종래의 수평편향 보정회로의 동작을 도 4, 도 5, 도 6을 참도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수평편향코일의 톱니파전류에 따른 화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수평편향코일의 S자 톱니파전류에 따른 화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보정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화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먼저 수평편향부(10)의 동작을 살펴보면, 비디오카드(미도시)로부터 출력된 수평동기신호는 수평발진부(미도시) 및 수평구동부(미도시)를 통해 수평구동신호(H.driver)로 적절하게 신호 변조되어 수평출력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 단자에 공급되므로써 상기 수평출력트랜지스터(TR)가 턴 온/오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댐퍼다이오드(D.D) 및 귀선커패시터(RE.C)에 의해 수평편향코일(HD.Y)에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17928063-pat00001
)가 흐르게 되어 전자빔의 수평편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수평편향코일(HD.Y)에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한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17928063-pat00002
)가 흐르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좌우 주변부가 중심부보다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의 형광면과 수평편향코일(HD.Y)의 중심과의 거리가 형광면의 주변부로 갈수록 길어져 수평편향코일(HD.Y)의 수평 편향각의 변화량이 화면 전체에서 일정하기 때문이다(
Figure 111999017928063-pat00003
).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좌우 주변부가 중심부보다 늘어 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5(a)와 같은 S자형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17928063-pat00004
)를 수평편향코일(HD.Y)로 흘려주므로써,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편향코일(HD.Y)의 수평 편향각의 변화량을 가변시키면 된다(
Figure 111999017928063-pat00005
).
이와 같이 S자형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17928063-pat00006
)를 생성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수평편향코일(HD.Y)에 S자 보정부(40)가 접속되는 바, 수평주파수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S자 보정부(40)의 커패시턴스를 가변시켜야 한다.
상기 S자 보정부(40)는 상기 수평편향코일(HD.Y)에 직렬로 연결된 기본 보정커패시터(Cs0)에 다수개의 보조 보정커패시터(Cs1,Cs2,Cs3)가 병렬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평주파수에 따라 제어수단(20)이 로우 또는 하이 레벨의 제 2,3,4 제어신호(S2,S3,S4)를 출력하면, 제 1,2,3,4,5,6 트랜지스터(Q1,Q2,Q3,Q4,Q5,Q6)가 턴 온/오프되어, 기본 보정커패시터(Cs0)에 다수개의 보조 보정커패시터(Cs1,Cs2,Cs3)를 선택적으로 스위칭한다.
이에 따라 기본 보정커패시턴스 값에 보조 보정커패시턴스 값이 합해져 전체 보정커패시턴스의 값을 변화시키므로써,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17928063-pat00007
)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때, 수평주파수가 저주파에서 고주파로 변경되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 화면의 주변부가 중심부로다 늘어지게 되면, 상기 보정커패시터(Cs)의 커패시턴스를 감소시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파형을 A→A`로 변경시킨다.
즉,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수평주파수에 따라 상기 보정커패시터(Cs)의 커패 시턴스을 선형적으로 감소시키므로써, 화면의 좌우 주변부가 중심부보다 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화면의 좌우 대칭폭을 정확히 맞추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수평편향코일(HD.Y)에 리니어리티 보정부(30)가 접속되는 바, 수평주파수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리니어리티 보정부(30)의 인덕턴스를 가변시켜야 한다.
상기 리니어리티 보정부(30)에 대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제어수단은 (20)는 비디오카드로부터 수신된 수평주파수에 따라 0∼5V의 제어전압을 출력하고, OP 앰프(OP)는 0∼5V의 제어전압을 +5V∼-5V로 증폭하여 가변코일(Ls)의 1차측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변코일(Ls)의 1차측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2차측의 인덕턴스가 가변되어, 상기 수평편향코일(HDY)에 흐르는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17928063-pat00008
)의 크기 및 방향이 가변된다.
이때,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중심이 좌측으로 치우쳤거나 혹은 수평주파수가 저주파에서 고주파로 변경되면, 인덕턴스를 감소시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턴스파형을 L→L`로 변경시킨다. 이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파형이 A→A`로 변경되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좌우 대칭폭이 정확히 맞춰진다.
즉,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수평주파수에 따라 상기 가변코일(Ls)의 인덕턴스을 선형적으로 감소시키므로써, 화면의 좌우 대칭폭을 정확히 맞출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수평편향 보정회로는 수평편향코일(HD.Y)에 직렬로 가변코일(Ls)과 보정커패시터(Cs)가 접속되어 있는 바, 상기 가변코일(LS)은 화면 수평폭의 좌우 대칭을 정확하게 맞추기 위한 것이고, 상기 보정커패시터(CS)는 화면의 주변부가 중심부보다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변코일(LS)의 인덕턴스와 상기 보정커패시터(CS)의 커패시턴스가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17928063-pat00009
)의 발진 주파수 및 크기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평편향 보정회로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다수개의 S자보정 제어신호에 의해 다수개의 커패시터를 스위칭하여 전체 커패시턴스를 결정하는 바, 수평동기신호를 몇개의 주파수 대역별로 나누어 평균적인 커패시턴스를 할당하기 때문에, 각각의 수평주파수에 따른 정확한 S자 보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근사치의 S자 보정만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개의 S자보정 제어신호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회로가 제어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S자 보정 제어단자가 구비된 마이크로컴퓨터가 요구되며, 다수개의 S자 보정커패시터가 요구되고, S자 보정커패시터의 갯수만큼 많은 스위칭소자가 요구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상승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그 회로 구성이 복잡하여 구현하기 어렵고, 한정된 모니터 기판상에서 설치 자리를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평주 파수에 따라 서로 극성이 반대인 이중 가변코일에 각각 보정전류를 공급하므로써 수평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에 대하여 S자 보정 및 리니어리티 보정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되어진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는, 수평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에 의해 주사용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부 ; 리니어리티 보정을 하고자 할 경우 서로 같은 값을 갖는 제 1 제어전압과 제 2 제어전압을 출력하고, S자 보정을 하고자 할 경우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제 1 제어전압과 제 2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제어수단 ; 상기 제 1 제어전압에 따라 수평편향코일에 직렬 연결된 제 1 가변인덕터의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상기 톱니파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하는 제 1 보정부 ; 상기 제 2 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가변인덕터에 반대 극성으로 직렬 연결된 제 2 가변인덕터의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상기 톱니파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하는 제 2 보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 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수평편향코일(HD.Y)에 흐 르는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17928063-pat00010
)에 의해 주사용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부(10) ; 리니어리티 보정을 하고자 할 경우 서로 같은 값을 갖는 제 1 제어전압(S1)과 제 2 제어전압(S2)을 출력하고, S자 보정을 하고자 할 경우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제 1 제어전압(S1)과 제 2 제어전압(S2)을 출력하는 제어수단(20) ; 상기 제 1 제어전압(S1)에 따라 수평편향코일(HD.Y)에 직렬 연결된 제 1 가변인덕터(Ls1)의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상기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17928063-pat00011
)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하는 제 1 보정부(30) ; 상기 제 2 제어전압(S2)에 따라 상기 제 1 가변인덕터(Ls1)에 반대 극성으로 직렬 연결된 제 2 가변인덕터(Ls2)의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상기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17928063-pat00012
)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하는 제 2 보정부(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보정부(30)는, 상기 제 1 제어전압(S1)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가변되는 제 1 보정전류(Ic1)를 출력하는 제 1 보정전류 공급수단(OP1) ; 상기 수평편향코일(HD.Y)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제 1 보정전류(Ic1)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상기 톱니파전류(
Figure 112006051078304-pat00013
)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하는 제 1 가변인덕터(Ls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변인덕터(Ls1)는, 하나의 자심에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1차측 코일에 상기 제 1 보정전류(Ic1)가 공급되고, 상기 2차측 코일에 상기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17928063-pat00014
)가 공급되어, 상기 제 1 보정전류(Ic1)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상기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17928063-pat00015
)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한다.
또한 상기 제 2 보정부(40)는, 상기 제 2 제어전압(S2)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가변되는 제 2 보정전류(Ic2)를 출력하는 제 2 보정전류 공급수단(OP2) ; 상기 제 1 가변인덕터(Ls1)에 반대 극성으로 직렬 연결되어, 상기 제 2 보정전류(Ic2)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상기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17928063-pat00016
)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하는 제 2 가변인덕터(Ls2) ; 상기 제 2 가변인덕터(Ls2)에 직렬 연결되어 S자형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17928063-pat00017
)를 생성하는 S자보정 커패시터(Cs)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2 가변인덕터(Ls2)는, 하나의 자심에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1차측 코일에 상기 제 2 보정전류(Ic2)가 공급되고, 상기 2차측 코일에 상기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17928063-pat00018
)가 공급되어, 상기 제 2 보정전류(Ic2)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상기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17928063-pat00019
)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도 7,8,9 를 참조하여 S자 보정동작과 리니어리티 보정동작으로 나누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S자 보정할 경우 이중 가변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화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리니어리티를 보정할 경우 이중 가변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화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1. S자 보정
제 1,2 가변인덕터(Ls1,Ls2)의 인덕턴스를 수평주파수별로 조절하여 S자 보정을 수행하는 바, 이때 제 1 가변인덕터(Ls1)와 제 2 가변인덕터(Ls2)의 인덕턴스 를 같은 값으로 가변시키면 S자 보정이 이루어진다.
먼저, 제어수단(20)은 비디오카드로부터 수신된 수평주파수에 따라 0∼5V의 제 1,2 제어전압(S1,S2)을 출력하고, 제 1,2 보정전류 공급수단(OP1,OP2)은 각각 0∼5V의 제 1,2 제어전압(S1,S2)을 +5V∼-5V로 증폭하여 제 1,2 가변인덕터(Ls1,Ls2)의 1차측 코일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2 가변인덕터(Ls1,Ls2)의 1차측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상기 제 1,2 가변인덕터(Ls1,Ls2)의 인덕턴스가 가변되어, 상기 제 1,2 가변인덕터(Ls1,Ls2)의 2차측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이 가변된다.
예컨데, 상기 제어수단(20)은 수평주파수가 낮을수록 0V에 가까운 제 1,2 제어전압(S1,S2)을 출력하고 높을수록 5V에 가까운 제 1,2 제어전압(S1,S2)을 출력한다.
상기 제 1,2 제어전압(S1,S2)은 각각 제 1,2 보정전류 공급수단(OP1,OP2)에 의해 증폭되어, 제 1,2 제어전압(S1,S2)이 0V일때 +5V가, 5V일때 -5V가 된다.
이때 상기 제 1,2 보정전류 공급수단(OP1,OP2)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영전위에서 +5V로 높아지면, 상기 제 1,2 가변인덕터(Ls1,Ls2)의 1차측 코일에 도 7의 화살표 방향과 동일한 제 1,2 보정전류(Ic1,Ic2)가 흐르고, 상기 제 1,2 보정전류(Ic1,Ic2)에 의해 제 1,2 가변인덕터(Ls1,Ls2)의 인덕턴스가 증가한다.
반대로 상기 제 1,2 보정전류 공급수단(OP1,OP2)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영전위에서 -5V로 낮아지면, 상기 제 1,2 가변인덕터(Ls1,Ls2)의 1차측 코일에 도 7의 화살표 방향과 반대되는 제 1,2 보정전류(Ic1,Ic2)가 흐르고, 상기 제 1,2 보정전류(Ic1,Ic2)에 의해 제 1,2 가변인덕터(Ls1,Ls2)의 인덕턴스가 감소한다.
즉, 비디오카드로부터 저주파의 수평동기신호를 수신받으면, 제어수단(20)이 낮은 전위의 제 1,2 제어전압(S1,S2)을 출력하고, 제 1,2 보정전류 공급수단(OP1,OP2)은 이를 증폭하여 영전위 이상의 전압을 출력하고, 이에따라 상기 제 1,2 가변인덕터(Ls1,Ls2)에는 화살표 방향과 동일한 제 1,2 보정전류(Ic1,Ic2)가 흘러 제 1,2 가변인덕터(Ls1,Ls2)의 인덕턴스가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반대로, 비디오카드로부터 고주파의 수평동기신호를 수신받으면, 제어수단(20)이 높은 전위의 제 1,2 제어전압(S1,S2)을 출력하고, 제 1,2 보정전류 공급수단(OP1,OP2)은 이를 증폭하여 영전위 이하의 전압을 출력하고, 이에따라 상기 제 1,2 가변인덕터(Ls1,Ls2)에는 화살표 방향과 반대되는 제 1,2 보정전류(Ic1,Ic2)가 흘러 제 1,2 가변인덕터(Ls1,Ls2)의 인덕턴스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예컨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주변부가 중심부보다 늘어졌거나 혹은 수평주파수가 저주파에서 고주파로 변경되면, 인덕턴스를 감소시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인덕턴스파형을 Lc→Lc`로 변경시키므로써,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주변부가 중심부보다 보다 늘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즉,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수평주파수에 따라 상기 제 1,2 가변인덕터(Ls1,Ls2)의 인덕턴스을 선형적으로 감소시키므로써, S자 보정을 수행한 다.
여기서, 상기 제 1,2 가변인덕터(Ls1,Ls2)의 인덕턴스와 상기 보정커패시터(CS)의 커패시턴스가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17928063-pat00020
)의 발진 주파수 및 크기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2. 리니어리티 보정
제 1,2 가변인덕터(Ls1,Ls2)의 인덕턴스를 수평주파수별로 조절하여 리니어리티를 보정하는 바, 이때 제 1 가변인덕터(Ls1)와 제 2 가변인덕터(Ls2)의 인덕턴스를 다른 값으로 가변시키면 리니어리티가 보정된다.
예컨데,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중심이 좌측으로 치우쳤거나 혹은 수평주파수가 저주파에서 고주파로 변경되면, 인덕턴스를 감소시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턴스파형을 L→L`로 변경시킨다. 이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류파형이 A→A`로 변경되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좌우 대칭폭이 정확히 맞춰진다.
이때, 상기 제 1 가변인덕터(Ls1)의 인덕턴스와 제 2 가변인덕터(Ls2)의 인덕턴스의 편차 값에 의해 리니어리티를 보정한다.
즉,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수평주파수에 따라 상기 제 1 가변인덕터(Ls1)의 인덕턴스 혹은 제 2 가변인덕터(Ls2)의 인덕턴스의 편차값을 선형적으로 감소시키므로써, 리니어리티를 보정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평편향 보정회로는 수평주파수에 따라 서로 극성이 반대인 이중 가변코일에 각각 보정전류를 공급하므로써, 수평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에 대하여 S자 보정 및 리니어리티 보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종래의 수평편향 보정회로에 비해 S자 보정커패시턴스와 스위칭수단의 갯수가 대폭 감소되어 제조 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그 회로 구성이 간단하여 구현하기 쉽고, 시장 불량율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동기신호를 몇개의 주파수 대역별로 나누어 평균적인 커패시턴스를 할당하여 각각의 수평주파수에 따른 근사치의 S자 보정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수평편행 보정회로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평편향 보정회로는 각각의 수평동기신호의 주파수에 따라 가변적인 인덕턴스를 결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S자 보정이 이루어진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수평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에 의해 주사용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부 ;
    리니어리티 보정을 하고자 할 경우 서로 같은 값을 갖는 제 1 제어전압과 제 2 제어전압을 출력하고, S자 보정을 하고자 할 경우 서로 다른 값을 갖는 제 1 제어전압과 제 2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제어수단 ;
    상기 제 1 제어전압에 따라 수평편향코일에 직렬 연결된 제 1 가변인덕터의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상기 톱니파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하는 제 1 보정부 ;
    상기 제 2 제어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가변인덕터에 반대 극성으로 직렬 연결된 제 2 가변인덕터의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상기 톱니파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하는 제 2 보정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정부가,
    상기 제 1 제어전압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가변되는 제 1 보정전류를 출력하는 제 1 보정전류 공급수단 ;
    상기 수평편향코일에 직렬 연결되어, 상기 제 1 보정전류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상기 톱니파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하는 제 1 가변인덕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변인덕터가,
    하나의 자심에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1차측 코일에 상기 제 1 보정전류가 공급되고, 상기 2차측 코일에 상기 톱니파전류가 공급되어, 상기 제 1 보정전류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상기 톱니파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보정부가,
    상기 제 2 제어전압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가변되는 제 2 보정전류를 출력하는 제 2 보정전류 공급수단 ;
    상기 제 1 가변인덕터에 반대 극성으로 직렬 연결되어, 상기 제 2 보정전류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상기 톱니파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하는 제 2 가변인덕터 ;
    상기 제 2 가변인덕터에 직렬 연결되어 S자형 톱니파전류를 생성하는 S자보정 커패시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변인덕터가,
    하나의 자심에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1차측 코일에 상기 제 2 보정전류가 공급되고, 상기 2차측 코일에 상기 톱니파전류가 공급되어, 상기 제 2 보정전류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인덕턴스를 가변시켜 상기 톱니파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
KR1019990061071A 1999-12-23 1999-12-23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 KR100662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071A KR100662573B1 (ko) 1999-12-23 1999-12-23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
US09/613,572 US6340871B1 (en) 1999-12-23 2000-07-11 Horizontal-deflection correction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071A KR100662573B1 (ko) 1999-12-23 1999-12-23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694A KR20010057694A (ko) 2001-07-05
KR100662573B1 true KR100662573B1 (ko) 2006-12-28

Family

ID=19628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1071A KR100662573B1 (ko) 1999-12-23 1999-12-23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40871B1 (ko)
KR (1) KR1006625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70646B8 (en) * 2002-12-06 2012-12-19 Entropic Communications, Inc. Drive apparatus for frame deflection and metho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0591A (ja) * 1989-11-08 1991-06-26 Nec Home Electron Ltd 表示装置
JPH06225173A (ja) * 1993-01-27 1994-08-12 Toshiba Corp 直線性歪補正回路
JPH0746428A (ja) * 1993-07-23 1995-02-14 Sony Corp リニアリティー補正回路
KR19990040086A (ko) * 1997-11-17 1999-06-05 전주범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회로
KR19990052740A (ko) * 1997-12-23 1999-07-15 전주범 다중모드 모니터의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회로
KR20010055867A (ko) * 1999-12-13 2001-07-04 구자홍 수평 편향 직선성 제어 회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5058A (en) * 1993-07-29 1994-10-1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Horizontal deflection waveform correction circuit
TW319939B (ko) * 1993-12-13 1997-11-1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KR0182919B1 (ko) * 1995-12-18 1999-05-01 김광호 수평 편향 s 보정회로
US6013989A (en) * 1996-05-20 2000-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ide-band horizontal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US6201358B1 (en) * 1998-08-28 2001-03-13 Sony Corporation Waveform correction using inductance-controllable induc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0591A (ja) * 1989-11-08 1991-06-26 Nec Home Electron Ltd 表示装置
JPH06225173A (ja) * 1993-01-27 1994-08-12 Toshiba Corp 直線性歪補正回路
JPH0746428A (ja) * 1993-07-23 1995-02-14 Sony Corp リニアリティー補正回路
KR19990040086A (ko) * 1997-11-17 1999-06-05 전주범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회로
KR19990052740A (ko) * 1997-12-23 1999-07-15 전주범 다중모드 모니터의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회로
KR20010055867A (ko) * 1999-12-13 2001-07-04 구자홍 수평 편향 직선성 제어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694A (ko) 2001-07-05
US6340871B1 (en) 2002-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738C (zh) 磁场衰减型非线性电感器
KR950009649B1 (ko) 라인 편향회로
KR100662573B1 (ko)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 보정회로
CN1073311A (zh) 光栅修正电路
US4649325A (en) Scanning CRT control system
US5420483A (en) Television deflection distortion correcting circuit
KR100397907B1 (ko) 표시 장치
KR100662572B1 (ko)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
KR100557441B1 (ko)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
KR940009478B1 (ko) 화면의 수평사이즈 보정회로
KR20010080642A (ko) 라인 편향 회로, 동적 s 수정 회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190534B1 (ko) 수평 편향 출력 회로(horizontal deflection output circuit)
US4540918A (en) Coil device for image pickup tube
KR200330773Y1 (ko) Crt 디스플레이장치
KR100575169B1 (ko)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회로
US6664747B2 (en) Dynamic focus regulation circuit of display apparatus
KR100575167B1 (ko)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수평구동트랜스포머의 구동전압 보상회로
US6201358B1 (en) Waveform correction using inductance-controllable inductor
KR200172693Y1 (ko) 래스터의 수평 위치 조절회로
KR100232921B1 (ko) 모니터의 화면 일그러짐 보정 회로
KR100751394B1 (ko) 화면 왜곡 보정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0153220B1 (ko) 텔레비전의 수평라스터 자동제어회로
KR100312782B1 (ko)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수평발진회로의 위상차전압 제한회로
KR19990005560A (ko)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
KR19990040086A (ko)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