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441B1 -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 - Google Patents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441B1
KR100557441B1 KR1019990029387A KR19990029387A KR100557441B1 KR 100557441 B1 KR100557441 B1 KR 100557441B1 KR 1019990029387 A KR1019990029387 A KR 1019990029387A KR 19990029387 A KR19990029387 A KR 19990029387A KR 100557441 B1 KR100557441 B1 KR 100557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inductor
inductance
current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0483A (ko
Inventor
안중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29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441B1/ko
Publication of KR20010010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0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주파수에 따라 가변인덕터에 고정인덕터를 스위칭하여,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수평주파수에 따라 전체 인덕턴스를 선형적으로 감소시키도록 된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수평주파수에 따라 제1,2제어전압(S1,S2)을 출력하는 제어수단(20); 상기 제1제어전압(S1)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가변되는 보정전류(Ic)를 출력하는 보정전류 공급수단(30); 수평편향코일(HD.Y)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보정전류(Ic)에 따라 상기 수평편향코일(HD.Y)에 흐르는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08250454-pat00001
)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하여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가변인덕터(Ls1); 상기 제2제어전압(S2)에 따라 스위칭온/오프되는 스위칭수단(40); 상기 스위칭수단(40)이 스위칭온되면 상기 가변인덕터(Ls1)에 병렬로 연결되어, 전체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고정인덕터(Ls2)로 구성되어 있어,
수평주파수에 따라 가변인덕터에 고정인덕터를 스위칭하여, 고해상도 모드에서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수평주파수에 따라 전체 인덕턴스를 선형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화면의 좌우 대칭을 정확하게 맞춘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영상표시기기, 수평편향, 선형성, 고정인덕터, 가변인덕터, 인덕턴스

Description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A circuit for compensing a horisental-linearity of a multi-mode display system}
도 1 은 톱니파전류에 대한 그래프도,
도 2a 는 완전한 톱니파전류의 그래프도,
도 2b 는 완전한 톱니파전류가 편향 코일로 흐를 경우 화면 수평폭의 비선형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2c 는 S자형 톱니파전류의 그래프도,
도 2d 는 S자형 톱니파전류가 편향코일로 흐를 경우 화면 수평폭의 선형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a 는 종래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가 적용된 단일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편향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도 3b 는 종래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가 적용된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편향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
10 : 수평편향회로 20 : 제어수단
30 : 보정전류 공급수단 40 : 스위칭수단
Ls1 : 제 1 인덕터(가변인덕터) Ls2 : 제 2 인덕터(고정인덕터)
Q11 : 제 1 트랜지스터 Q12 : 제 2 트랜지스터
HD.Y : 수평편향코일 Cs : S자 보정커패시터
ZD11 : 제너다이오드 D11 : 다이오드
R11, R12, R13 : 저항
본 발명은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평주파수에 따라 가변인덕터에 고정인덕터를 스위칭하여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수평주파수에 따라 전체 인덕턴스를 선형적으로 감소시키도록 된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표시기기에 사용되는 음극선관(CRT)은 영상신호의 세기에 따라 각기 다른 양의 전자빔이 음극선관의 표면에 입혀진 단색 또는 R·G·B(적·녹·청)의 형광 물질을 때려 각기 다른 밝기나 색깔의 빛을 내게 만드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가격이나 표시 성능면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즉, 음극선관(CRT) 영상표시기기는 컴퓨터 시스템의 비디오카드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와 동기 신호를 입력받아 화면상에 정보를 표시하는 바, 영상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비디오 계통과, 수직 및 수평 편향을 위한 편향 계통 및 전원 계통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비디오카드는 아래 표 1 과 같이 여러가지 비디오 모드를 지원하는데, 비디오 모드는 구현하려는 해상도에 따라 수평 주파수와 수직 주파수를 다르게 출력하여, 상기 수평·수직 주파수가 저주파에서 고주파로 증가할수록 화면 깜박거림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감소시킨다.
비디오모드 수평주파수 (KHz) 수직주파수 (Hz) 해상도 (H*V)
CGA 15.75 60 640*200
EGA 21.8 60 640*350
VGA 31.5 60/70 720*350 640*480
SVGA 35∼37 INTERLACE 1024*768
고해상도 모드 64∼75 50∼90 1024*768 1280*1024
여기서,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란 적어도 2개 이상의 비디오 모드와 호환할 수 있는 영상표시기기로서, 비디오카드에서 출력되는 다양한 수평주파수(약 30∼75 KHz)에 따라 화상의 크기 및 위치의 변경, 수평 수직 동기화 및 편향부의 최적화, 그리고 각종 편향 보정회로의 조정이 가능한 영상표시기기를 의미한다.
상기한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회로를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영상표시기기의 편향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니터의 캐소드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그리드를 통과하면서 가속되어지고, 편향코일의 자계에 의한 전자기 작용으로 진로를 바꿈으로써 형광면의 광점을 이동시킨다.
이때, 전자빔의 편향 거리는 자계의 세기에 비례하고 자계는 편향 코일의 전류에 비례하는 전자편향의 원리를 이용하는 바, 모니터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일정 속도로 주사를 하고 우측에서 좌측으로는 매우 빠른 속도로 되돌아가도록 하기 위해서 광점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평편향코일과 광점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편향코일을 사용하고 있다.
즉, 수평편향코일에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톱니파전류를 공급하는 바, 상기한 톱니파전류의 a 점에서는 전자빔을 가장 크게 왼쪽 방향으로 편향하는 힘이 상기 전자빔에 작용하고, b 점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전자빔은 직진한다. 또한, b 점에서 c 점으로는 전자빔을 오른쪽으로 구부러지도록 하는 전류가 점차로 크게 흘러 c 점에서는 전자빔이 가장 오른쪽으로 편향되고 그 후 전류가 급격히 감소하여 a' 점부터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도 3a 는 종래의 수평 편향회로를 도시한 회로도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비디오카드(미도시)로부터 출력된 수평동기신호는 수평 발진부(미도시)에서 수평구동신호(H.drive)로 적절하게 신호 변조되어 수평구동트랜지스터(TR1)로 공급된다.
수평구동신호(H.drive)는 수평구동트랜지스터(TR1)를 온 시키고, 구동 전원(Vcc)과 수평구동트랜지스터(TR1)와 수평구동트랜스포머(HDT)를 도통시킴으로 수평출력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단자에 전류를 공급해준다.
이때, 수평출력트랜지스터(TR2)가 턴온되면 플라이백트랜스포머(미도시)의 B+ 전원전류가 수평편향코일(HD.Y)을 통해 수평출력트랜지스터(TR2)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수평출력트랜지스터(TR2)가 온되는 동안에는 톱니파의 유효 주사기간의 후반부(즉, b점에서 c점 사이)에 해당되고, 수평구동신호(H.drive)에 따라 수평출력트랜지스터(TR2)가 급격하게 턴오프되면 수평편향코일(HD.Y)에 축적된 전류가 귀선커패시터(RE.C)를 충전시킨다.
여기서, 귀선커패시터(RE.C)가 완전히 충전되면 수평편향코일(HD.Y)로 다시 방전하고, 이에 따라 수평편향코일(HD.Y)에 전류가 다시 축적된다. 이때, 귀선커패시터(RE.C)의 충전 및 방전의 전기간이 귀선 기간(즉, c점에서 a'점 사이)에 해당하는 기간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수평편향코일(HD.Y)에 에너지가 축적되어 편향코일전압이 댐퍼다이오드(D.D)에 순방향의 바이어스를 인가할 정도가 되면 댐퍼다이오드(D.D)가 도통되고 수평편향코일(HD.Y)에 흐르는 전류는 제로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댐퍼다이오드(D.D)에 전류가 흐르는 기간이 톱니파의 유효 주사기간의 전반부(즉, a점에서 b점 사이)에 해당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편향코일(HD.Y)에 흐르는 전류가 제로가 되는 시점에서 수평구동신호(H.drive)에 의해 다시 수평출력트랜지스터(TR2)가 턴-온 되면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데, 수평편향코일(HD.Y)에 톱니파전류가 흐르게 되어서 전자빔의 수평 편향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수평편향코일(HD.Y)에 도 2a 에 도시된 완전한 톱니파전류가 흐르게 되면 도 2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 수평폭의 비선형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데, 이는 모니터의 형광면과 수평편향코일(HD.Y)의 중심과의 거리가 형광면의 가장자리 로 갈수록 길어지기 때문에 수평편향코일(HD.Y)의 수평 편향각의 변화량이 화면 전체에서 일정하면 화면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화상의 늘어짐이 나타나게 된다.(
Figure 111999008250454-pat00002
).
따라서, 도 2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선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도 2c 와 같은 S자형 톱니파를 수평편향코일(HD.Y)로 흘려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완전한 톱니파전류를 S보정하여 S자형 톱니파전류를 생성하기 위해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가 수평편향코일(HD.Y)에 직렬 접속되어 있다.
즉, 상기한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는 도 3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편향코일(HD.Y)에 직렬로 연결된 고정형 보정코일(LS) 및 보정커패시터(CS)로 구성되는 바, 귀선커패시터(RE.C)와 더불어 직렬 및 병렬 공진회로를 형성하여 발진하면서 적당한 S자형 톱니파전류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고정형 보정코일(LS)은 화면의 수평폭이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조절하고, 상기 고정형 보정커패시터(CS)는 수평 주사의 좌우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톱니파전류를 S보정하는 바, 상기한 고정형 보정코일(LS)의 인덕턴스와 보정커패시터(CS)의 커패시턴스가 톱니파전류의 발진 주파수 및 크기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결정된 S자형 톱니파전류가 수평편향코일(HD.Y)로 흐르면, 상기 톱니파전류의 크기에 비례하게 발생된 자력의 세기에 따라 전자빔이 편향함으로써 화면 수평 선형성이 보정된다.
여기서, 상기한 고정형 보정코일(LS)은 영구자석에 도선을 감음으로 얻을 수 있으며, 톱니파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의 인덕턴스는 일정값으로 고정되고, 톱니파전류가 (+)주기인 동안에는 인덕턴스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톱니파전류가 (-)주기인 동안에는 완만하게 감소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S자형으로 인덕턴스가 변화하는 동안 모니터의 화면 중심으로부터 화면 좌, 우의 거리가 동일한 화면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고정형 보정코일(LS)은 톱니파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의 인덕턴스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단일모드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다중모드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다중모드 디스플레이장치에는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가 적용된다.
즉, 다중모드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는 도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주파수에 따라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제어수단(20)과, 상기 제 1 제어전압(S1)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가변되는 보정전류(Ic)를 출력하는 OP앰프(OP)와, 상기 수평편향코일(HD.Y)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보정전류(Ic)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상기 수평편향코일(HD.Y)에 흐르는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08250454-pat00003
)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하여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가변형 보정코일(LS) 및 보정커패시터(CS)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10)는 비디오카드로부터 수신된 수평주파수에 따라 0∼5V의 제어전압을 출력하고, OP 앰프(OP)는 0∼5V의 제어전압을 +2V∼-2V로 증폭하여 가변형 보정코일(Ls)의 1차측 코일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변형 보정코일(Ls)의 1차측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가변형 보정코일(Ls)의 2차측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이 가변되고, 상기 가변형 보정코일(Ls)의 인덕턴스가 가변된다.
즉, 상기 가변형 보정코일(Ls)의 인덕턴스가 수평주파수에 따라 변함에 따라 화면의 좌우 대칭폭이 정확히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고정형 보정코일을 이용한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는 좁은 주파수 범위에서만 적용되고, 가변형 보정코일을 이용한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는 넓은 주파수 범위를 조절하는데 적용되지만, 80KHz가 넘는 고해상도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에 적용하기에는 전류 중첩에 의한 인덕턴스 범위나 온도 등에서 적절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수평주파수에 따라 가변인덕터에 고정인덕터를 스위칭하여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수평주파수에따라 전체 인덕턴스를 선형적으로 감소시키도록 된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는,
수평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에 의해 주사용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회로 ;
수평주파수에 따라 가변적인 직류레벨의 제 1 제어전압을 출력하고 하이 또는 로우레벨의 제 2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제어수단 ;
상기 제 1 제어전압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가변되는 보정전류를 출력하는 보정전류 공급수단 ;
상기 수평편향코일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보정전류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상기 수평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하여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제 1 인덕터 ;
상기 제 2 제어전압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되는 스위칭수단 ;
상기 스위칭수단이 스위칭 온되면 상기 제 1 인덕터에 병렬로 연결되어, 전체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제 2 인덕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선형성 보정회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수평편향코일(HD.Y)에 흐르는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08250454-pat00004
)에 의해 주사용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회로(10) ; 수평주파수에 따라 가변적인 직류레벨의 제 1 제어전압(S1)을 출력하고 하이 또는 로우레벨의 제 2 제어전압(S2)을 출력하는 제어수단(20) ; 상기 제 1 제어전압(S1)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가변되는 보정전류(Ic)를 출력하는 보정전류 공급수단(30) ; 상기 수평편향코일(HD.Y)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보정전류(Ic)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상기 수평편향코일(HD.Y)에 흐르는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08250454-pat00005
)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하여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제 1 인덕터(Ls1) ; 상기 제 2 제어전압(S2)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되는 스위칭수단(40) ; 상기 스위칭수단(40)이 스위칭 온되면 상기 제 1 인덕터(Ls1)에 병렬로 연결되어, 전체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제 2 인덕터(Ls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인덕터(Ls1)는 하나의 자심에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을 감고, 상기 1차측 코일에 상기 보정전류(Ic)를 흐르게 하고 2차측 코일에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08250454-pat00006
)를 흐르게 하여 상기 보정전류(Ic)와 톱니파전류(
Figure 111999008250454-pat00007
)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가변인덕터로 되어 있고, 상기 제 2 인덕터(Ls2)는 고정된 인덕턴스 값을 고정인덕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수단(50)은, 상기 하이레벨의 제 2 제어신호(S2)에 의해 스위칭 온되는 제 1 트랜지스터(Q11) ;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1)가 스위칭 온되면 연동하여 스위칭 온되는 제 2 트랜지스터(Q12)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주파수 제1제어신호 앰프출력전압 제2제어신호 제1,2트랜지스터 전체 인덕턴스
30KHz 0V 2V L OFF 10μH
40KHz 1.5V 1V L OFF 9μH
50KHz 2.5V 0V L OFF 8μH
60KHz 3.5V -1V L OFF 7μH
70KHz 5.0V -2V L OFF 6μH
80KHz 0V 2V H ON 5μH
90KHz 2.5V 0V H ON 4μH
100KHz 5.0V -2V H ON 3μH
표 2 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 각 단의 출력값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표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를 수신된 수평주파수가 소정 범위(30∼70KHz) 이내에 존재할 경우와 소정 범위(30∼70KHz) 이상에 존재할 경우로 나누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1. 수평주파수가 소정 범위(30∼70KHz) 이내에 존재할 경우
가변인덕터(Ls1)의 인덕턴스를 수평주파수별로 조절하기 위해, 제어수단(20)은 비디오카드로부터 수신된 수평주파수에 따라 0∼5V의 제어전압을 출력하고, 보정전류 공급수단(20)는 0∼5V의 제어전압(S1)을 +2V∼-2V로 증폭하여 가변인덕터(Ls1)의 1차측 코일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변인덕터(Ls1)의 1차측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상기 가변인덕터(Ls1)의 2차측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 및 방향이 가변되고, 상기 가변인덕터(Ls1)의 인덕턴스가 가변된다.
예컨데, 상기 제어수단(20)은 표 2 에서와 같이 수평주파수가 낮을수록 0V에 가까운 제어전압(S1)을 출력하고 높을수록 5V에 가까운 제어전압(S1)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전압(S1)은 보정전류 공급수단(30)에 의해 증폭되어, 제어전압(S1)이 0V일때 +2V가, 5V일때 -2V가 된다.
이때 상기 보정전류 공급수단(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영전위에서 +2V로 높아지면, 상기 가변인덕터(Ls1)의 1차측 코일에 도 4의 화살표 방향과 동일한 보정전류(Ic)가 흐르고, 이 보정전류(Ic)에 의해 가변인덕터(Ls1)의 인덕턴스가 증가한 다.
반대로 상기 보정전류 공급수단(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영전위에서 -2V로 낮아지면, 상기 가변인덕터(Ls1)의 1차측 코일에 도 4의 화살표 방향과 반대되는 보정전류(Ic)가 흐르고, 이 보정전류(Ic)에 의해 가변인덕터(Ls1)의 인덕턴스가 감소한다.
즉, 비디오카드로부터 저주파의 수평동기신호를 수신받으면, 제어수단(20)이 낮은 전위의 제어전압(S1)을 출력하고, 보정전류 공급수단(30)은 이를 증폭하여 영전위 이상의 전압을 출력하고, 이에따라 상기 가변인덕터(Ls1)에는 화살표 방향과 동일한 보정전류(Ic)가 흘러 가변인덕터(Ls1)의 인덕턴스가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반대로, 비디오카드로부터 고주파의 수평동기신호를 수신받으면, 제어수단(20)이 높은 전위의 제어전압(S1)을 출력하고, 보정전류 공급수단(30)은 이를 증폭하여 영전위 이하의 전압을 출력하고, 이에따라 상기 가변인덕터(Ls1)에는 화살표 방향과 반대되는 보정전류(Ic)가 흘러 가변인덕터(Ls1)의 인덕턴스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한편, 상기 스위칭수단(40)은 제 1 트랜지스터(Q1)와 제 2 트랜지스터(Q2)로 구성되어 있어 있는 바, 상기 제어수단(20)으로부터 로우레벨의 제 2 제어전압(S2)이 출력되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공급되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가 스위칭 오프되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가 스위칭 오프됨에 따라 제 2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 전위가 높아져 제 2 트랜지스터(Q2)가 턴오프되므로, 가변인덕터(Ls1)의 인덕턴스가 전체 인덕턴스가 된다.
이에 따라 표 2 에서와 같이 수평주파수가 소정 범위(30∼70KHz) 이내에 존재할 경우 수평주파수가 선형적으로 증가할수록 전체 인덕턴스도 선형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2. 수평주파수가 소정 범위(30∼70KHz) 이상에 존재할 경우
수평주파수가 소정 범위(30∼70KHz) 이상일 경우에도 수평주파수가 선형적으로 증가할수록 전체 인덕턴스를 선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가변인덕터(Ls1)에 고정인덕터(Ls2)를 병렬로 연결한다.
수평주파수가 소정 범위(30∼70KHz) 이상에 존재할 경우, 상기 제어수단(20)이 하이레벨의 제 2 제어전압(S2)을 제 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출력하여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를 스위칭 온시키고,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가 스위칭 온됨에 따라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게이트 전위가 낮아져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가 스위칭 온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변인덕터(Ls1)에 고정인덕터(Ls2)가 병렬로 연결되어 전체 인덕턴스를 1/2로 줄인다.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수평주파수에 따라 전체 인덕턴스를 선형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표 2 에서와 같이 30KHz에서 10μH, 40KHz에서 9μH, 50KHz에서 8μH, 60KHz에서 7μH, 70KHz에서 6μH를 얻었다면, 80KHz에서는 5μH를 얻어야 하므로, 5μH의 전체 인덕턴스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가변인덕터(Ls1)의 인덕턴스를 10μH로 설정한다.
상기 가변인덕터(Ls1)의 인덕턴스를 10μH으로 하기 위해서는 가변인덕터(Ls1)의 1차측 코일에 2V 전압을 공급해야 하므로, 상기 제어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제어전압(S1)을 0V로 설정한다.
즉, 수평주파수가 80KHz일 때 제 1 제어전압(S1)을 0V로 설정하면, 상기 가변인덕터(Ls1)의 1차측 코일에 2V 전압이 공급되어 가변인덕터(Ls1)의 인덕턴스는 10μH가 되고, 상기 가변인덕터(Ls1)에 고정인덕터(Ls2)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체 인덕턴스는 5μH가 된다.
또한 수평주파수가 90KHz일 때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 1 제어전압(S1)을 2.5V로 설정하면, 상기 가변인덕터(Ls1)의 1차측 코일에 0V 전압이 공급되어 가변인덕터(Ls1)의 인덕턴스는 8μH가 되므로, 전체 인덕턴스는 4μH가 된다.
이에 따라 수평주파수가 소정 범위(30∼70KHz) 이상일 경우에도 표 2 에서와 같이 수평주파수가 선형적으로 증가할수록 전체 인덕턴스도 선형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여기서 저항(R11)은 제 1 트랜지스터(Q11)의 바이어스 저항이고, 저항(R12,R13)은 제 2 트랜지스터(Q12)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제너다이오드(ZD11)는 제 2 트랜지스터(Q12)의 게이트-소오스간 전압을 클램핑하기 위한 것이고, 다이오드(D11)는 가변인덕터(Ls1)의 2차측 코일의 전류를 제한적으로 흐르게 하기 위함과 동시에 스위칭수단(Q2)의 스위칭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비디오 모드별 수평주파 수에 따라 가변인덕터에 고정인덕터를 스위칭하여, 수평주파수 80KHz 이상의 고해상도 모드에서도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수평주파수에 따라 전체 인덕턴스를 선형적으로 감소시키므로써, 화면의 좌우 대칭을 정확하게 맞춘다는 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수평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에 의해 주사용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수평편향회로 ;
    수평주파수에 따라 가변적인 직류레벨의 제 1 제어전압을 출력하고 하이 또는 로우레벨의 제 2 제어전압을 출력하는 제어수단 ;
    상기 제 1 제어전압에 따라 크기와 방향이 가변되는 보정전류를 출력하는 보정전류 공급수단 ;
    상기 수평편향코일에 직렬로 연결되어, 상기 보정전류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상기 수평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의 크기와 방향을 보정하여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제 1 인덕터 ;
    상기 제 2 제어전압에 따라 스위칭 온/오프되는 스위칭수단 ;
    상기 스위칭수단이 스위칭 온되면 상기 제 1 인덕터에 병렬로 연결되어, 전체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제 2 인덕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편향 선형성 보정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덕터는,
    하나의 자심에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을 감고, 상기 1차측 코일에 상기 보정전류를 흐르게 하고, 2차측 코일에 톱니파전류를 흐르게 하여, 상기 보정전류와 톱니파전류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인덕턴스를 가변시키는 가변인덕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편향 선형성 보정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덕터는,
    고정된 인덕턴스 값을 갖는 고정인덕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편향 선형성 보정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하이레벨의 제 2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는 제 1 트랜지스터 ;
    상기 제 1 트랜지스터가 스위칭 온되면 연동하여 스위칭 온되는 제 2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편향 선형성 보정회로.
KR1019990029387A 1999-07-20 1999-07-20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 KR100557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387A KR100557441B1 (ko) 1999-07-20 1999-07-20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387A KR100557441B1 (ko) 1999-07-20 1999-07-20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483A KR20010010483A (ko) 2001-02-15
KR100557441B1 true KR100557441B1 (ko) 2006-03-07

Family

ID=1960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387A KR100557441B1 (ko) 1999-07-20 1999-07-20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292B1 (ko) 2013-08-14 2014-02-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호열성 균주를 이용한 폐촉매로부터 유가금속 회수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3357A (ja) * 1996-02-22 1997-09-05 Mec:Kk 歪補正回路を備えた水平偏向回路
KR19990005560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
KR19990005572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방법
KR19990027710A (ko) * 1997-09-30 1999-04-15 전주범 다중 모드 모니터의 수평편향회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3357A (ja) * 1996-02-22 1997-09-05 Mec:Kk 歪補正回路を備えた水平偏向回路
KR19990005560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
KR19990005572A (ko) * 1997-06-30 1999-01-25 배순훈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방법
KR19990027710A (ko) * 1997-09-30 1999-04-15 전주범 다중 모드 모니터의 수평편향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0292B1 (ko) 2013-08-14 2014-02-1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호열성 균주를 이용한 폐촉매로부터 유가금속 회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0483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6058A (en) Linearity corrected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US6020694A (en) Horizontal size regulation circuit of display device
US5350980A (en) Nonlinear inductor with magnetic field reduction
KR100557441B1 (ko)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
JPH0817447B2 (ja) 陰極線管用の偏向回路
US5420483A (en) Television deflection distortion correcting circuit
KR19990040086A (ko)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회로
KR100190534B1 (ko) 수평 편향 출력 회로(horizontal deflection output circuit)
US6340871B1 (en) Horizontal-deflection correction circuit
KR100662572B1 (ko)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
KR20000015604A (ko) 다중모드 모니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
KR19990005560A (ko)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
KR100621186B1 (ko) 영상표시기기의 수평 선형성 보정회로
KR19990052740A (ko) 다중모드 모니터의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회로
KR100221339B1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수평 편향 드라이브 회로
KR100575169B1 (ko)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의 수평편향회로
KR100226691B1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수평 편향 보정 회로
KR200145470Y1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수평폭 보정 회로
KR200145471Y1 (ko) 다중 모드 모니터의 수평폭 보정 회로
KR100575167B1 (ko) 다중모드 영상표시기기에 있어서 수평구동트랜스포머의 구동전압 보상회로
KR100235104B1 (ko) 다중모드모니터의수평직선성조정회로
JP3034545B2 (ja) 水平偏向回路及びそれを取り入れた投写形ディスプレイ
KR100212840B1 (ko) 모니터의 수평폭 조절 장치
US6664747B2 (en) Dynamic focus regulation circuit of display apparatus
GB2098424A (en) Horizontal driver and linearity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