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7594A -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 - Google Patents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7594A
KR20050087594A KR1020040013493A KR20040013493A KR20050087594A KR 20050087594 A KR20050087594 A KR 20050087594A KR 1020040013493 A KR1020040013493 A KR 1020040013493A KR 20040013493 A KR20040013493 A KR 20040013493A KR 20050087594 A KR20050087594 A KR 20050087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
housing
rear self
self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6606B1 (ko
Inventor
장익근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3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606B1/ko
Publication of KR20050087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6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리어 글라스와 리어 시트 사이에 마련되는 리어 셀프트림과; 램프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마련되어, 하우징을 리어 셀프트림에 걸림유지시키는 제1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램프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리어 셀프트림에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며, 주행 중 차량의 외부로부터 바람소리 및 먼지가 리어 셀프트림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REAR SHELF TRIM ASSEMBLY}
본 발명은,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셀프트림 상에 마련되는 하이 마운팅 스톱 램프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리어 셀프트림의 조립 구조를 개선한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리어 글라스와 리어 시트 사이에는 물건들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으로서 리어 셀프트림이 마련된다.
근래에는, 추돌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해, 하이 마운팅 스톱 램프를 리어 셀프트림 상에 설치하는 경향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하이 마운팅 스톱 램프가 장착된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110)는 리어 글라스(107)와 리어 시트(109) 사이에 리어 셀프트림(111)이 마련되어 있다.
리어 셀프트림(111)은 도시 않은 체결수단에 의해 차체를 형성하는 바디패널에 결합된다.
리어 셀프트림(111) 상에는 추돌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한 하이 마운팅 스톱 램프(125)를 수용하는 하우징(121)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121)은 리어 셀프트림(111)의 하방으로부터 체결되는 다수의 나사(127)에 의해 리어 셀프트림(111) 상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121)을 리어 셀프트림(111) 상에 조립 및 하이 마운팅 스톱 램프(125)에 전원 연결을 하거나, 유지관리를 위해 하우징(121)을 리어 셀프트림(111)으로부터 분해할 수 있도록 바디패널(151)에는 관통공(155)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155)은 하우징(121)의 바닥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를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에 있어서는, 리어 셀프트림 상에 하이 마운팅 스톱 램프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조립하거나, 유지관리를 위해 분해를 하는 경우, 바디패널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핸드드라이버를 탈착하여 작업해야 하므로, 하우징의 조립 및 분해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행 중 차량의 외부로부터 바람소리 및 먼지가 바디패널의 관통공을 통해 차량의 내부로 유입될 염려가 있으며, 이에 바디패널의 관통공에 별도의 마감재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램프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리어 셀프트림에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며, 주행 중 차량의 외부로부터 바람소리 및 먼지가 리어 셀프트림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에 있어서, 리어 글라스와 리어 시트 사이에 마련되는 리어 셀프트림과; 램프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리어 셀프트림에 걸림유지시키는 제1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클립의 단부에는 상기 리어 셀프트림의 배면에 지지되는 지지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바디패널에 걸림유지시키는 제2클립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을 바디패널에도 더욱 견고하게 결합하여 주행 중 상기 하우징과 상기 리어 셀프트림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클립의 단부에는 상기 바디패널의 클립삽입공에 결합되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10)는 자동차의 리어 글라스(7)와 리어 시트(9) 사이에 마련되어 물건들을 올려놓을 수 있는 선반의 역할을 하는 리어 셀프트림(11)을 가진다.
리어 셀프트림(11)의 일 영역에는 하우징이 설치되는 개구(13)가 마련되어 있다.
리어 셀프트림(11)의 개구(13) 영역에는 통형상의 하우징(21)이 설치되며, 하우징(21) 내에는 추돌사고 등을 예방하기 위한 하이 마운팅 스톱 램프(25, 도 3 참조)가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리어 글라스(7)를 향하는 하우징(21)의 측면은 차량의 후방에서 하이 마운팅 스톱 램프(25)의 발광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우징(21)의 바닥면(21a) 일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을 리어 셀프트림(11)에 걸림유지시키는 제1클립(31)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클립(31)은 하우징(21)의 일측에 한 쌍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1클립(31)은 하우징(21)의 바닥면(21a)으로부터 하향 연장된 제1리브(33)와, 제1리브(33)의 단부로부터 하우징(21)의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리어 셀프트림(11)의 배면(11a)에 지지되는 지지턱(35)을 가진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립(31)의 지지턱(35)이 리어 셀프트림(11)의 배면(11a)에 밀착 지지됨으로써, 하우징(21)은 리어 셀프트림(11)에 견고하게 걸림유지된다. 여기서, 지지턱(35)은, 하우징(21)과 리어 셀프트림(11)의 결합을 증대시키기 위해, 리어 셀프트림(11)의 배면(11a)에 대해 탄성부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1리브(33)의 단부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턱(35)을 하우징(21)의 외측으로 절곡 연장하여, 한 쌍의 지지턱(35) 사이에 리어 셀프트림(11)의 개구 영역을 삽입하여, 하우징(21)을 리어 셀프트림(11)에 걸림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21)의 바닥면(21a) 일측에는 하우징(21)을 차체를 형성하는 바디패널(51)에 걸림유지시키는 제2클립(41)이 마련되어 있다.
제2클립(41)은 한 쌍의 제1클립(31) 사이에 마련되며, 제2클립(41)은 하우징의 바닥면(21a)으로부터 제1클립(31)의 제1리브(33) 보다 길게 하향 연장된 제2리브(43)와, 제2리브(43)의 단부로부터 하우징(21)의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바디패널(51)의 클립삽입공(53)에 관통 결합되는 걸림턱(45)을 가진다. 이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클립(41)의 걸림턱(45)이 바디패널(51)의 클립삽입공(53)에 관통 결합됨으로써, 하우징(21)은 바디패널(51)에도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 주행 중 하우징(21)과 리어 셀프트림(11) 사이에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2클립(41)은 선택적으로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리어 셀프트림(11)과 바디패널(51)을 조립한 후, 하이 마운팅 스톱 램프(25)가 수용된 하우징(21)에 마련된 제1클립(31) 및 제2클립(41)이 각각 리어 셀프트림(11) 및 바디패널(51)의 클립삽입공(53)에 지지 및 결합되어, 하우징(21)은 리어 셀프트림(11)에 조립 완료된다.
이 때, 제1클립(31)의 지지턱(35)은 리어 셀프트림(11)의 배면(11a)에 밀착 지지되어, 하우징(21)은 리어 셀프트림(11)에 견고하게 걸림유지된다.
동시에, 제2클립(41)의 걸림턱(45)이 바디패널(51)의 클립삽입공(53)에 관통 결합되어, 하우징(21)은 바디패널(51)에도 걸림유지된다.
이와 같이, 램프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리어 셀프트림과 걸림유지되는 클립을 마련함으로써, 램프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리어 셀프트림에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을 리어 셀프트림과 조립 및 분해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바디패널에 하우징의 바닥면적에 대응하는 크기의 관통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주행 중 차량의 외부로부터 바람소리 및 먼지가 리어 셀프트림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리어 셀프트림에 간편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으며, 주행 중 차량의 외부로부터 바람소리 및 먼지가 리어 셀프트림을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우징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리어 셀프트림과 제1클립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4는 바디패널과 제2클립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종래의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의 일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저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리어 글라스 9 : 리어 시트
10 :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 11 : 리어 셀프트림
21 : 하우징 25 : 램프
31 : 제1클립 35 : 지지턱
41 : 제2클립 45 : 걸림턱
51 : 바디패널 53 : 클립삽입공

Claims (4)

  1.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에 있어서,
    리어 글라스와 리어 시트 사이에 마련되는 리어 셀프트림과;
    램프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리어 셀프트림에 걸림유지시키는 제1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클립의 단부에는 상기 리어 셀프트림의 배면에 지지되는 지지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을 바디패널에 걸림유지시키는 제2클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립의 단부에는 상기 바디패널의 클립삽입공에 결합되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
KR10-2004-0013493A 2004-02-27 2004-02-27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 KR100536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493A KR100536606B1 (ko) 2004-02-27 2004-02-27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493A KR100536606B1 (ko) 2004-02-27 2004-02-27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594A true KR20050087594A (ko) 2005-08-31
KR100536606B1 KR100536606B1 (ko) 2005-12-14

Family

ID=37270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493A KR100536606B1 (ko) 2004-02-27 2004-02-27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66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5963A (zh) * 2013-05-22 2014-12-03 标致雪铁龙(中国)汽车贸易有限公司 一种用于轿车的后行李架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5963A (zh) * 2013-05-22 2014-12-03 标致雪铁龙(中国)汽车贸易有限公司 一种用于轿车的后行李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6606B1 (ko) 200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6606B1 (ko)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
JP4517351B2 (ja) 車体前部部品の取付け構造
KR100203160B1 (ko) 자동차 축전지의 취부구조
KR100506334B1 (ko) 자동차의 리어 셀프트림
KR20100005826A (ko) 캐리어의 쿨링모듈 마운팅 구조
KR20040033490A (ko) 차량 헤드램프 하우징의 고정구조
JPH09195765A (ja) コンデンサの取付け構造
KR100369000B1 (ko) 자동차의 매트 장착구조
KR200297566Y1 (ko) 자동차 뒷선반의 장착용 그로미트
KR20080040529A (ko) 프론트 엔드 모듈의 캐리어
KR200152239Y1 (ko) 자동차 도어트림 리테이너
KR100207191B1 (ko) 다용도 클립구조
KR100410841B1 (ko) 자동차의 트렁크 리드 키 세트 고정구
KR200192670Y1 (ko) 자동차의 언더커버 결합용 브라켓
KR0132884Y1 (ko) 자동차용 복합등의 조립구조
JP2004204869A (ja) クリップ部材
US20070236954A1 (en) Mounting arrangement for isolating automotive components from vibration
KR20050038285A (ko) 차량용 트림 고정 파스너
KR0162854B1 (ko) 자동차의 글라스 조립구조
KR200233073Y1 (ko) 도어글래스 고정용 브라켓트
KR101304970B1 (ko)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
KR0120797Y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타 그릴 장착 구조
KR20050048067A (ko) 자동차의 실 사이드 마운팅 구조
KR20110080779A (ko) 자동차의 범퍼커버와 헤드램프의 결합구조
KR20050082197A (ko) 차량용 헤드 램프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