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4970B1 -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4970B1
KR101304970B1 KR1020100090652A KR20100090652A KR101304970B1 KR 101304970 B1 KR101304970 B1 KR 101304970B1 KR 1020100090652 A KR1020100090652 A KR 1020100090652A KR 20100090652 A KR20100090652 A KR 20100090652A KR 101304970 B1 KR101304970 B1 KR 101304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using
rear curtain
curtain assembly
le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0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8663A (ko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0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49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28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8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38Storag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41Blind sheets, e.g. shape of sheets, reinforcements in sheets, materi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Winding tubes, e.g. telescopic tubes or conically shaped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3Mounting arrangements for roller blind or its storage box, e.g. integration into beltline or window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66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 B60J1/2075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 B60J1/208Arrangement of blind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fixed windows for rea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02External sun shield, e.g. awning or vi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는, 내부에 블라인드 권취롤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으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부는 차량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저면측에 고정되며 소정 면적을 갖는 평면상의 헤드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체결홀이 형성된 하우징의 일측이 부분 삽입되어 고정되며, 연직방향으로 형성된 장홈에 의해 구분되는 제 1 다리부재 및 제 2 다리부재가 형성된 일체형 브라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Electric rear curtain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커튼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운행에 있어서, 차량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선은 운전자의 운전을 방해하거나 실내 온도를 상승시킨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량의 리어 글래스에 차량의 리어 커튼을 배치하여 입사되는 광선을 차양하였다.
이러한 상기 리어 커튼은 차량의 내부로 입사되는 광선을 차양하기 위한 블라인드와, 상기 블라인드가 귄취되는 블라인드 권치롤 및 상기 블라인드 권치롤이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내와 트렁크를 구분하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 고정된다.
상기 리어 커튼을 상기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 고정하기 위해서 다수의 스틸 브라켓 및 상기 스틸 브라켓과 결합되는 훼스너가 구비된 다수의 브라켓 조립체가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스틸 브라켓과 훼스너가 구비된 브라켓 조립체를 각각 제작하여 리어 커튼을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 고정하는 것은, 소요되는 구성의 수가 많아 그 결합작업에 소요되는 작업 공수가 증가하며, 그에 따른 리어 커튼의 단가가 상승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소요되는 구성의 수가 많고, 그에 따른 부품간의 결합점이 증가함에 따라,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 고정된 리어 커튼이 자동차의 진동에 의해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의 실내로 입사되는 광선을 차양하기 위한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블라인드 권취롤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으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부는 차량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저면측에 고정되며 소정 면적을 갖는 평면상의 헤드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체결홀이 형성된 하우징의 일측이 부분 삽입되어 고정되며, 연직방향으로 형성된 장홈에 의해 구분되는 제 1 다리부재 및 제 2 다리부재가 형성된 일체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및 제 2 다리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 가능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장홈의 입구측으로 향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반대 측면은 수직면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체결홀에 삽입후 빠짐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브라켓의 상부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저면에 진동융착으로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하우징에 스냅 피트(snap fit)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효과적으로 입사되는 광선을 차양할 수 있다.
또한, 커튼이 수용된 하우징이 리어패키지 트레이에 견고히 견고히 체결됨으로써 차량의 운행 시, 진동에 의한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을 리어 패키지 트레이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최소화됨으로 그 결합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공수가 절감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체형 브라켓과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100)는 블라인드(30) 및 블라인드(30)를 권취하는 블라인드 권치롤(20)을 포함한다.
이때, 블라인드(30) 및 블라인드 권치롤(20)은 상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종래의 블라인드 및 블라인드 권치롤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100)는 블라인드 권취롤(20)이 수용되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절곡부(12)가 형성되며, 절곡부(12)의 일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체결홀(11)을 포함한다. 이때, 다수의 체결홀(11)은 하우징(10)의 절곡부(12)의 일측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100)는 일체형 브라켓(50)을 포함한다. 일체형 브라켓(50)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하우징(10)을 리어 트레이 패키지(40)의 하면에 고정한다.
도 2는 도 1의 일체형 브라켓(50)과 하우징(10)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Ⅱ-Ⅱ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일체형 브라켓(50)의 상부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평면의 헤드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51)의 형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헤드부(51)의 형상은 상기 사각형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일체형 브라켓(51)의 상부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상기 사각형의 헤드부(51)가 형성되고, 헤드부(51)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40)의 하면에 고정된다.
이때 헤드부(51)와 리어 패키지 트레이(40)의 고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51)와 리어 패키지 트레이(40)의 고정은 나사 또는 볼트로 고정될 수 있으며, 접착제 또는 진동융착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공정의 편의를 위하여 헤드부(51)와 리어 패키지 트레이(40)의 고정은 상기 진동융착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일체형 브라켓(50)의 헤드부(51)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10)의 하면에 상기 진동융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소정 면적을 갖는 상기 사각형 형상의 헤드부(51)로 인하여 일체형 브라켓(50)과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체형 브라켓(50)의 하부는 하우징(1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일측이 개구된 장홈(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체형 브라켓(50)의 하부는 장홈(52)에 의해 구분되는 제 1 다리부재(53) 및 제 2 다리부재(54)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다리부재(53) 및 제 2 다리부재(54)의 일단은 하우징(1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절곡부(55)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다리 부재(53)의 일단 또는 제 2 다리부재(54)의 일단이 모두 절곡부(5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다리부재(53)의 일단 또는 제 2 다리부재(54) 중 어느 한쪽만 절곡부(55)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 1 다리부재(53)와 제 2 다리부재(54)의 길이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일체형 브라켓(50)의 하부에 하우징(10)을 삽입 시, 제 1 다리부재(53)는 하우징(10)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 2 다리부재(54)는 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10)은 제 1 다리부재(53)와 제 2 다리부재(54)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체형 브라켓(50)의 장홈(52)의 내측에는 체결홀(11)에 삽입 가능한 돌기(56)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다리부재(53) 또는 제 2 다리부재(54) 중 어느 한쪽의 내측에 돌기(56)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돌기(56)는 장홈(52)의 내측에 형성되되, 제 1 다리부재(53)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1 다리부재(53)의 내측에 형성되는 돌기(56)는 장홈(52)의 입구측으로 향하도록 경사면(56a)이 형성되고, 그 반대 측면은 수직면(56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체형 브라켓(50)의 하부는 하우징과 스냅 피트(snap fit) 로 결합되며, 돌기(56)에 형성된 경사면(56a)에 의해 하우징(10)의 삽입이 용이하고, 그 반대측의 수직면(56b)에 의해 하우징(10)의 체결홀(11)로부터 빠짐을 억제하게 되어 일체형 브라켓(50)과 하우징(1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100)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40)에 장착되어 차량의 실내로 입사되는 광선을 차양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을 리어 패키지 트레이(40)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최소화됨으로 그 결합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공수가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을 리어 패키지 트레이(40)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 최소화됨에 따라 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일체형 브라켓(50)의 상부와 리어 패키지 트레이(40)의 하면이 진동융착으로 고정되고, 일체형 브라켓(50)의 하부가 하우징(10)과 스탭 피트(snap fit)로 고정됨에 따라 각 구성간의 결합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하우징(10)이 리어 패키지 트레이(40)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차량의 운행시 진동에 의한 하우징(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
10 : 하우징 11: 체결홀
12 : 하우징 절곡부 20 : 브라인드 권취롤
30 : 블라인드 40 : 리어 패키지 트레이
50 : 일체형 브라켓 51 : 헤드부
52 : 장홈 53 : 제 1 다리부재
54 : 제 2 다리부재 55 : 절곡부
56 : 돌기 56a : 경사면
56b : 수직면

Claims (4)

  1. 내부에 블라인드 권취롤이 수용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으로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부는 차량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저면측에 고정되며 소정 면적을 갖는 평면상의 헤드부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체결홀이 형성된 하우징의 일측이 부분 삽입되어 고정되며, 연직방향으로 형성된 장홈에 의해 구분되는 제 1 다리부재 및 제 2 다리부재가 형성된 일체형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다리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는 상기 체결홀에 삽입 가능한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장홈의 입구측으로 향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반대 측면은 수직면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체결홀에 삽입후 빠짐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브라켓의 상부는 리어 패키지 트레이의 저면에 진동융착으로 고정되고, 하부는 상기 하우징에 스냅 피트(snap fit)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

KR1020100090652A 2010-09-15 2010-09-15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 KR101304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652A KR101304970B1 (ko) 2010-09-15 2010-09-15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0652A KR101304970B1 (ko) 2010-09-15 2010-09-15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663A KR20120028663A (ko) 2012-03-23
KR101304970B1 true KR101304970B1 (ko) 2013-09-06

Family

ID=46133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0652A KR101304970B1 (ko) 2010-09-15 2010-09-15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49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9461U (ko) * 1995-12-27 1997-07-24 리어 글래스용 햇빛 가리개
KR100244115B1 (ko) * 1996-12-07 2000-03-02 류정열 스냅결합 구조를 갖춘 패키지 트레이 트림의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9461U (ko) * 1995-12-27 1997-07-24 리어 글래스용 햇빛 가리개
KR100244115B1 (ko) * 1996-12-07 2000-03-02 류정열 스냅결합 구조를 갖춘 패키지 트레이 트림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8663A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19366A1 (ja) クリップの装着構造
US8695682B2 (en) Pull bar device for a sunshade assembly
JP2013019098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JP3237970U (ja) 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の支持構造、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及びディスプレイ
JP2009090743A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構造体
KR101619413B1 (ko) 차량용 도어 트림과 도어 인너 벨트의 모듈화 구조
KR101304970B1 (ko) 차량의 전동 리어 커튼 어셈블리
KR20100002099U (ko) 환풍기 그릴 및 그릴커버의 착탈 구조
KR100953996B1 (ko) 자동차 내장용 부품 고정클립
KR200453758Y1 (ko) 내비게이션 고정구
KR100536606B1 (ko) 리어 셀프트림 조립체
KR20170111628A (ko) 공기 청정 장치
KR100387854B1 (ko) 차량용 도어의 도어트림장착구조
KR101828689B1 (ko) 공기 청정 장치
JP5160750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KR101819998B1 (ko) 개량된 시공구조를 갖는 유리 창문용 조립형 지지 구조체
KR101275024B1 (ko)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조립용 클립 모듈
KR200261256Y1 (ko) 팬 모터와 히트싱크의 결합장치
JP7330743B2 (ja) 棚板受け構造及び無溶接方式の棚板受け具
KR200377578Y1 (ko) 자동차 내외장 판넬 조립용 클립
JP5199045B2 (ja) ルーバー材取付構造
KR0130399B1 (ko) 에어콘의 구동모터 고정장치
KR100453556B1 (ko) 팬 모터와 히트싱크의 결합장치
KR200216713Y1 (ko) 대형 차량 전면부 글라스 취부구조
KR20060119054A (ko) 차량의 윈드 실드 글래스의 사이드 몰딩 결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