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779A - 벨트 와인더용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벨트 와인더용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779A
KR20050086779A KR1020057009370A KR20057009370A KR20050086779A KR 20050086779 A KR20050086779 A KR 20050086779A KR 1020057009370 A KR1020057009370 A KR 1020057009370A KR 20057009370 A KR20057009370 A KR 20057009370A KR 20050086779 A KR20050086779 A KR 20050086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pport
plate
belt wind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8444B1 (ko
Inventor
옌스 엘러스
폴크마르 하이네
로날드 야부쉬
도리스 크뢰거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050086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에 고정될 벨트 와인더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며,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하우징 플레이트는, 자동차 부품에 형성된 고정 개구 내에 상기 부품을 지지하는 나사 연결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개구를 포함하고, 벨트 와인더 하우징은 자동차 부품의 고정 개구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므로, 벨트 와인더는 샤프트 축에 대해서 벨트가 각을 두고 리드될 경우 힘의 작용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정렬된다. 본 고정 장치는, 자동차 부품(40)에 고정 연결될 지지 부품(13, 19, 25)에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이 지지 부품(13, 19, 25)을 통해 자동차 부품(40)의 고정 개구(41)에 대해 간격을 두고 지지되며, 프리세팅된 저항이 극복됨으로써,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이 지지 부품(13, 19, 25)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 부품(13, 19, 2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 와인더용 고정 장치{Fixing device for a seat belt winder}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에 고정될 벨트 와인더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며,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하우징 플레이트는, 자동차 부품에 형성된 고정 개구 내에 상기 부품을 지지하는 나사 연결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개구를 포함하고, 벨트 와인더 하우징은 자동차 부품의 고정 개구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므로, 벨트 와인더는 샤프트 축에 대해서 벨트가 각을 이루어 리드될 경우 힘의 작용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정렬된다.
앞서 언급한 특징들을 갖는 고정 장치는 FR 28 14 415에 공지되어 있다. 이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뒷측 부착 위치에 벨트 와인더를 고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벨트 와인더에 의해 감긴 벨트는 편향 방향을 삽입하지 않아도 승객의 머리 위치로부터 어깨까지 연장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벨트의 부착 위치의 고려 하에 조립된 벨트 와인더의 경우 벨트 경로는 경사지게 된다. 이 문제는 FR 28 14 415에 설명된 고정 장치에서, 벨트 와인더 하우징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그 고정 나사를 통해 지정된 축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게 자동차에 연결된다는 점으로 제시되며, 이때 2 개의 아암을 갖는 스프링의 하나의 스프링 단부는 자동차 부품에 걸리며(hung-in) 다른 스프링 단부는 벨트 와인더 하우징을 향해 가압되므로, 벨트 와인더는 그 출발 위치에서 예비 인장되고 각각의 스프링 작용에 대해서 선회한다. 공지된 고정 장치는 그 조립이 복잡한데, 이는 고정 나사의 축을 중심으로 부드러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벨트 와인더 하우징이 자동차 부품에 고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추가적으로 필요한 스프링의 조립은 부가적인 조립 단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문서에는, 벨트의 착용 또는 해제 과정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벨트 와인더의 트랙킹(tracking)이 필요하지 않으며, 오히려 조정된 벨트 장력에 맞게 부하 하에서 벨트 와인더가 조정되는 것이 벨트 및 벨트 와인더 자체를 보호하기에 충분한 것이 제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벨트 와인더가 간단하게 조립되고, 벨트가 하중을 받을 때 자동차 부품에의 그 고정부에 대해서 상기 와인더가 회전되어, 발생한 벨트 장력으로 조정되도록 서두에 언급한 특징들을 갖는 고정 장치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또 다른 실시예를 비롯하여, 상세한 설명에 뒤따를 청구 범위의 내용에서 해결된다.
도1은 연결된, 예비 조립된 지지 부품을 구비한 벨트 와인더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대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칼라 나사로서 형성된 지지 부품을 갖는 고정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4는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하우징 플레이트 상에 설치될 수 있는 지지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대상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도4와 도5에 따른 지지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블랭크의 평면도이다.
도7은 지지 부품을 갖는 고정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8은 예비 조립된 지지 부품을 갖는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전면도이다.
도9는 도8의 IX-IX 라인에 따른 도8의 대상의 측면도이다.
도10은 고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은 예비 조립된 지지 플레이트를 갖는, 도10에 따른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12는 도11의 XII-XII 라인에 따른 도11의 대상의 측면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는 자동차 부품에 고정 연결될 지지 부품에 벨트 와인더 하우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지지 부품을 통해서 자동차 부품의 고정 개구에 대해 간격을 두고 지지되며, 또한 프리세팅된 저항의 극복 하에 지지 부품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벨트 와인더 하우징이 지지 부품에 고정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벨트 와인더 하우징이 고정 수단에 의해서 더 이상 직접 자동차 부품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 부품에 고정 연결된 지지 부품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개념에 기초한다. 이 경우 지지 부품에 의해 간격이 조정됨에 의해, 상응하게 부하가 발생한 경우 벨트 와인더가 지지 부품에 대해서 회전함으로써 부하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해 실질적으로 조립시에 장점이 생기는데, 이는 부하 시에 벨트 와인더와 관련하여 조정되는 운동비를 고려하지 않고 자동차 부품에 지지 부품이 조립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 지지 부품이 벨트 와인더 하우징에 예비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예비 조립의 범위 내에서 벨트 와인더 하우징과 지지 부품 사이의 운동비는 정확하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지지 부품은 평평한 플랫 부품으로서 형성되며, 자동차 부품에 지지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 수단을 관통하기 위한 하나의 개구와, 벨트 와인더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 부품에 고정하기 위한 다른 하나의 개구를 갖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자동차 부품에 대한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간격은, 자동차 부품의 고정 평면에 대한, 한편으로 지지 부품으로의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고정부와 다른 한편으로 자동차 부품으로의 지지 부품의 고정부가 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배치됨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지지 부품에 대한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고정은 지지 부품의 개구 및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하우징 플레이트의 고정 개구를 관통하는 리벳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리벳 고정은 한편으로는 벨트 와인더를 지지 부품에 확실하게 지지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부하 하에서 소정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대체 실시예에서, 지지 부품의 배치와 관련하여 또한, 고정 개구를 포함하는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하우징 플레이트와 관련하여, 지지 부품은 고정 개구가 제공된,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평평한 하우징 플레이트 상에 지지되거나 선택적으로, 지지 부품의 연결을 위해 제공된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하우징 플레이트가 지지 부품의 해당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굽혀진 영역을 포함하며, 이 굽힘부는 지지 부품의 외부 에지와 공통으로 지지 부품에 대한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를 형성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 부품이 상기 부품으로부터 각을 이루어 돌출하며, 자동차 부품 내에 형성된 다른 개구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고정 부착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지지 부품은,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하우징 플레이트의 고정 개구를 관통하며 하나의 단부측 나사선이 자동차 부품의 고정 개구 내에 고정된 칼라(collar) 나사로 구성되며, 이때 칼라는 자동차 부품에 대해서 지지되고,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고정 개구는 칼라 나사의 칼라 상에 안착되어 칼라 나사의 나사 헤드에 의해 지지되며 칼라 나사의 칼라 상에서 자동차 부품과 벨트 와인더 하우징 사이에는 예비 인장된 스프링 소자가 배치된다. 상기 실시예의 경우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회전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간격은 고정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칼라 나사의 칼라에 의해 조정되며, 칼라 나사는 지지 부품으로서, 동시에 고정 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칼라 나사는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조립시, 이어지는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칼라 나사에 대한 회전 운동 가능성이 저하되지 않고서도 필요한 회전 모멘트에 의해 당겨질 수 있다. 벨트 와인더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해 필요한 저항은 예비 인장된 스프링 소자가 배치됨으로써 발생하며, 이 스프링 소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크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지지 부품은 U 형이며 고정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플레이트 상에 설치될 수 있고, 하우징 플레이트가 지지 부품의 U 플레이트 사이에 수용된 부품으로 형성되며, 지지 부품의 U 플레이트에 있는 개구들은 하우징 플레이트의 고정 개구와 일직선을 이루고 벨트 와인더를 자동차 부품에 조립할 시 지지 부품의 U 플레이트들 중 하나는 자동차 부품과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하우징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회전 운동을 보장하는 간격은, 예비 조립된 지지 부품과 벨트 와인더의 조립시 지지 부품의 2 개의 U 플레이트 중 하나가 자동차 부품과 하우징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해서 간격을 정함으로써 프리세팅된다.
고정을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 부품의 고정 개구 내에 형성된 고정 나사에 의해 조여질 수 있는 고정 너트가 칼라 너트로서 형성되며, 그 칼라 높이는 자동차 부품과 하우징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지지 부품의 U 플레이트의 재료 두께를 포함하여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하우징 플레이트의 재료 두께와 일치하고, 이 경우 가변 저항을 고정하기 위해 부가적으로는, 자동차 부품과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하우징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지지 부품의 U 플레이트를 통해 형성된 사이 공간 내에 스프링 소자가 배치될 수 있으며 스프링 소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재차 디스크 스프링으로서 형성된다.
조립 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 부품 반대편 지지 부품의 U 플레이트에는 U 플레이트 내에 형성된 개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이 돌출부는 고정 너트를 위한 조립 지지부 및 비틀림 방지부로서 사용되고, 선택적으로 자동차 부품 반대편 지지 부품의 U 플레이트에는 이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에 정렬되게 고정 너트가 고정 설치된다.
공지된 방식으로 지지 부품은 상기 부품으로부터 각을 이루어 돌출한 고정 부착물을, 맞물림을 위해 배치된 자동차 부품의 다른 개구 내에 포함할 수 있으며, 지지 부품이 이와 같이 형성된 경우 추가적으로는 상기 지지 부품의 고정 부착물이 또 다른 해당 리세스 내의 벨트 와인더의 하우징 플레이트를 관통함으로써 벨트 와인더가 추가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지 부품이 금속으로 구성되고 지지 부품에 배치된 고정 너트는 상기 지지 부품에 고정 연결된 용접 너트로서 형성되거나 또는, 지지 부품이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 부품에 제공된 고정 너트는 지지 부품에 일체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 부품은,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하우징 플레이트의 고정 개구를 칼라를 이용해 관통하며 또한 자동차 부품에 고정된 고정 나사 상에 조여질 수 있는 칼라 너트로 구성되고, 그 칼라는 자동차 부품 또는 고정 나사에 대해 지지되며,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고정 개구는 칼라 너트의 칼라 상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고, 자동차 부품 반대편 하우징 플레이트의 측면 상에는 칼라 너트의 칼라 상에 지지된 지지 플레이트가 배치되며 이 플레이트로부터 각을 이루어 돌출한 고정 부착물은 하우징 플레이트에 배치된 다른 리세스를 관통하고 자동차 부품에 형성된 또 다른 개구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벨트 와인더 하우징은, 상기 리세스 내로 돌출하고 고정 부착물 내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안내된 텅(tongue)을 이용하여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 고정되며, 부하 하에서 고정 부착물을 관통하는 텅이 변형됨으로써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간격은 고정 수단으로서 사용된 칼라 너트의 칼라에 의해 생기며 칼라 너트는 자동차에 고정된 부품에 지지되거나 고정 나사로 블록 상에 조여지므로, 벨트 와인더 하우징은 칼라 너트의 칼라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반대로 벨트 와인더 하우징에 칼라 나사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경우에 따라 칼라 너트로서 형성된, 자동차 부품의 상응하는 용접 너트 내로 조여질 수 있다.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벨트 와인더 하우징을 고정하고 비틀림에 대해서 소정의 저항을 조정하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가 제공되며 이 플레이트는 벨트 와인더 하우징을 T 형 고정 부착물로써 관통하므로 자동차 부품에 대해서 고정된다. 추가로, 고정 부착물의 관통에 사용되는 리세스 내로 돌출하며 고정 부착물에 형성된 관통구 내에서고정 부착물을 안내하는 텅이 벨트 와인더 하우징을 관통하므로, 벨트 와인더 하우징은 지지 플레이트에 대해서 고정된다. 부하가 발생할 경우 텅은지지 플레이트의 고정 부착물에 대해서 변형되므로,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회전이 가능해지며 이 회전 운동은 변형된 텅에서 회전 운동이 가시화되지 않을 때에도 관찰될 수 있다.
도면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며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1과 도2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위해, 벨트 와인더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해 자동차 부품에 사용될 평평한 하우징 플레이트 및 U 형 측면 레그(12)를 구비한 벨트 와인더 하우징이 도시된다. 그 밖에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특징들은 본 발명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이에 대해서는 종래기술로부터 공지된다.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을 고정하기 위해, 평평한 플랫 부품으로서 형성되고 그 하나의 단부에 개구(14)를 포함하는 지지 부품(13)이 제공되며 지지 부품(13)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은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 부품과 함께 상기 개구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고정 수단은 자동차 부품에 연결된 고정 나사일 수 있으며 이는 지지 부품(13)에 설치된 고정 너트(30) 내에 조여질 수 있다. 평평한 지지 부품(13)의 다른 단부에는 다른 개구(15)가 형성되며 이는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하우징 플레이트(11)에 지지 부품(13)을 고정하는데 즉, 추가의 개구(15) 및,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하우징 플레이트(11) 내에 제공된 고정 개구를 관통하는 리벳에 의해 지지 부품이 고정된다. 부가적으로 지지 부품(13)은 이 부품으로부터 각을 이루어 돌출하며 그 단부가 T 형으로 형성된 고정 부착물(17)을 포함하며, 이 부착물은 지지 부품(13)을 자동차 부품에 고정할 시 자동차 부품에 형성된 다른 개구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개구는 고정 부착물(17)과 자동차 부품 간에 포지티브한 인터로킹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며, 이와 같은 조치는 종래 기술에 충분히 공지되어 있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1에 도시된 실시예는 평평한 지지 부품(13)이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하우징 플레이트(11) 상에 지지되는 반면, 도2에 도시된 실시예는 지지 부품(13)의 해당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굽혀진 영역(18)을 하우징 플레이트(11)가 포함하는 점에서 각각 상이하다.
지지 부품(13)이 리벳(16)에 의해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하우징 플레이트(11)에 고정되면, 상기 리벳은 우선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을 지지 부품(13)에 고정 연결하며, 인장 하중이 경사지게 작용하는 경우 회전 모멘트가 리벳 상에 작용하면,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은 부하 하에서 리벳(16)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굽혀진 영역(18) 내에 위치한 지지 부품(13)의 단부는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회전 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를 형성한다.
도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지지 부품은 칼라 나사(19)로서 형성되므로 상기 실시예에서 칼라 나사(19)는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회전 가능한 고정을 위한 지지 부품으로서, 또한 고정 수단 자체로서 사용된다. 칼라 나사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선 영역(20)은 자동차 부품(40) 내에 형성된 고정 개구(41)를 통과해서 삽입될 수 있으며 자동차 부품(40)의 내측에 고정된 용접 너트(23)는 칼라 나사(19)의 칼라(21)가 자동차 부품(40) 상에 지지될 때까지 조여질 수 있다. 칼라 나사(19)의 칼라(21) 상에는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그 하우징 플레이트(11) 내에 형성된 고정 개구(32)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우징 플레이트(11)는 칼라 나사(19)의 나사 헤드(22)를 통해서 칼라 나사에 고정된다. 이 경우 하우징 플레이트(11)의 고정 개구(32)는, 하우징 플레이트(11)가 칼라 나사(19)의 칼라(21)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책정된다. 덜걱거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또한 필요한 가변 저항을 조정하기 위해, 칼라 나사(19)의 칼라(21) 상에는, 자동차 부품(40)과 하우징 플레이트(11) 사이에 지지된 스프링 소자(24), 바람직하게는 디스크 스프링 형태인 스프링 소자가 배치된다.
도4 내지 도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지지 부품(25)은 도6에 도시된 평평한 블랭크로부터 굽혀짐에 의해 형성되며, 지지 부품(25)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U 플레이트(26)를 갖는 U형 형상을 갖는다. 평평한 블랭크(39)의 하나의 단부에서는 도1과 도2에 따른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고정 부착물(27)이 구부러진다. 또한 평평한 블랭크(39)로부터 굽혀짐에 의해 돌출부(29)가 생성되며 돌출부(29)가 굽혀짐으로써 다른 U 플레이트에 해당 개구(28)가 형성되고, 굽혀짐을 통해서 노출된 개구(28)를 둘러싸는 돌출부(29)는, 이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지지 부품(25)에 고정된 고정 너트를 위한 조립 지지부 및 비틀림 방지부로서 사용된다. 도7 내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U 형 지지 부품은 지지 부품(25)의 합동 개구(28)가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하우징 플레이트(11)의 고정 개구(32)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하우징 플레이트(11) 상으로 밀어지며, 지지 부품(25)에 위치한 고정 부착물(27)은 하우징 플레이트(11)에 형성된 추가의 리세스(33) 내에서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하우징 플레이트(11)를 관통한다. 특히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부품(40)의 고정 개구(41)에는 고정 나사(31)가 위치하며 지지 부품(25)의 개구(28)는 상기 고정 나사 상에 설치되고, 고정 나사(31)는 지지 부품(25)에 예비 조립된 고정 너트(30)에 의해 조여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립 시 U 플레이트(26)는 하우징 플레이트(11)와 자동차 부품(40) 사이에 놓이기 때문에, 벨트 와인더 하우징은 지지 부품에 대해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다. 가변 저항은 지지 부품과 자동차 부품 사이의 사이 공간에 배치된,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소자에 의해서 증폭될 수 있다.
도10 내지 도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자동차에 고정된 도시되지 않은 부품에 있는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지지 측면 반대편 하우징 플레이트(11)의 상부면 상에 지지 플레이트(45)가 배치되며 이로부터 돌출한 T 형 고정 부착물(46)은 하우징 플레이트(11)에 형성된,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다른 리세스(33)를 관통하고, 고정에 사용된 자동차 부품의 평면으로까지 돌출하며 이 경우 T 형 고정 부착물은 자동차 부품의 하나의 개구 내에 고정된다.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을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 플레이트(11)의 고정 개구(32)를 관통하며 동시에 고정 부착물(46)의, 상응하게 정렬된 개구도 관통하는 칼라 너트(47)가 배치되며, 그 칼라(48) 상에는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이 칼라(48)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하우징 플레이트(11)가 배치된다. 칼라 너트(47)가 지지 플레이트(45)도 관통하는 경우, 지지 플레이트는 고정 부착물(46) 위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칼라 너트(47)는 고정 나사의 해당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51)를 가지며, 이 고정 나사에 의해 칼라 너트(47)가 블록 상에서 조여지므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하우징 플레이트(11)에 대한 끼임 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을 우선 칼라 너트(47)의 칼라(48)에 고정하기 위해,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하우징 플레이트(11)의 평면에는 추가의 리세스(33) 내로 돌출하는 텅(49)이 제공되며, 이 텅은 리세스(33)에 이르는 고정 부착물(46)을 통해 관통구(50)를 관통하며 고정 부착물(46) 위로 돌출해서 리세스(33) 내로 돌출한다. 이에 대해,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에 고정 형성된 텅(49)은 우선 지지 플레이트(45)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응하는 부하 시에 벨트 인장이 경사지게 작용함으로써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이 칼라 너트(47)의 칼라(48)를 중심으로 회전하면, 이 회전 운동은 고정 부착물(46)의 관통구(50) 내에서 텅(49)이 변형됨으로써 가능하며, 회전 운동에 대해서 나타나는 저항도 상기 변형 저항에 의해서 동시에 형성된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45)에 대한,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회전 운동의 크기는 변형된 텅(49)의, 고정 부착물(46)에 대한 위치 또는 추가 리세스(33) 내의 위치에 의해서 정해질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 청구 범위, 요약서 및 도면에 공지된 본 발명의 특징들은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또한 임의의 통합 형태로 될 수 있다.

Claims (19)

  1. 자동차 부품에 고정될 벨트 와인더용 고정 장치로서, 벨트 와인더 하우징의 하우징 플레이트는, 자동차 부품에 형성된 고정 개구 내에서 상기 부품을 지지하는 나사 연결을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 와인더 하우징은 자동차 부품의 고정 개구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므로, 벨트 와인더는 샤프트 축에 대해서 벨트가 각을 이루어 리드될 경우 자동적으로 힘의 작용 방향으로 정렬되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부품(40)에 고정 연결될 지지 부품(13, 19, 25)에 상기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이 지지 부품(13, 19, 25)을 통해 자동차 부품(40)의 고정 개구(41)에 대해 간격을 두고 지지되며, 프리세팅된 저항이 극복됨으로써,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이 지지 부품(13, 19, 25)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이 지지 부품(13, 19, 25)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품(13)은 평평한 플랫 부품으로서 형성되며, 지지 부품(13)을 자동차 부품(40)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정 수단을 관통시키기 위한 개구(14) 및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 부품(13)에 고정하기 위한 다른 개구(1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을 지지 부품(13)에 고정하는 것은 지지 부품(13)의 개구(15)를 관통하고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하우징 플레이트(11)의 고정 개구(32)를 관통하는 리벳(16)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품(13)은 고정 개구(32)가 제공된,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평평한 하우징 플레이트(11) 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품(13)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하우징 플레이트(11)는 지지 부품(13)의 해당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굽혀진 영역(18)을 포함하며, 상기 굽힘부는 지지 부품(13)의 외부 에지와 공통으로, 지지 부품(13)에 대한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품(13)은 상기 부품으로부터 각을 이루어 돌출하며, 상기 자동차 부품(40)에 형성된 다른 개구 내로 삽입될 수 있는 고정 부착물(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품은, 상기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하우징 플레이트(11)의 고정 개구(32)를 관통하며 하나의 단부측 나사선(20)이 자동차 부품(40)의 고정 개구(41) 내에 고정된 칼라 나사(19)로 구성되고, 그 칼라(21)는 자동차 부품(40)에 대해서 지지되며, 상기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고정 개구(32)는 칼라 나사(19)의 칼라(21) 상에 안착되어 칼라 나사(19)의 나사 헤드(22)를 통해 지지되고, 자동차 부품(40)과 벨트 와인더 하우징(10) 사이에서 칼라 나사(19)의 칼라(21) 상에는 예비 인장된 스프링 소자(24)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소자(24)는 디스크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지지 부품(25)은, 고정 개구(32)를 포함하는 하우징 플레이트(11) 상에 설치될 수 있고 그 U 플레이트(26) 사이에 하우징 플레이트(11)를 수용하는 U 형 부품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지지 부품(25)의 U 플레이트(26)에 위치한 개구(28)는 하우징 플레이트(11)의 고정 개구(32)와 일직선이고, 지지 부품(25)의 U 플레이트(26) 중 하나는 벨트 와인더를 자동차 부품(40)에 조립할 시 자동차 부품(40)과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하우징 플레이트(11)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부품(40)의 고정 개구(41) 내에 형성된 고정 나사(31)로 조여질 수 있는 고정 너트(30)는 칼라 너트로서 형성되며, 그 칼라 높이는, 자동차 부품(40)과 하우징 플레이트(11) 사이에 놓인 지지 부품(25)의 U 플레이트(26)의 재료 두께를 포함하여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하우징 플레이트(11)의 재료 두께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부품(40)과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벨트 플레이트(11) 사이에 놓인 지지 부품(25)의 U 플레이트(26)를 통해 형성된 사이 공간 내에 스프링 소자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소자는 디스크 스프링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부품(40) 반대편, 지지 부품(25)의 U 플레이트(26)에는 상기 플레이트 안에 형성된 개구(28)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돌출부(29)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고정 너트(30)를 위한 조립 지지부 및 비틀림 방지부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4.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부품(40) 반대편, 지지 부품(25)의 U 플레이트(26)에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된 개구(28)와 정렬되게 고정 너트(30)가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5. 제9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품(25)은 이로부터 각을 이루어 돌출한 고정 부착물(27)을, 맞물림을 위한 자동차 부품(40)의 다른 개구 내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품(25)의 고정 부착물(27)은 다른 리세스(33)에 있는 벨트 와인더의 하우징 플레이트(11)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지지부품(13, 25)은 금속으로 구성되며 지지 부품(25)에 배치된 고정 너트(30)는 상기 지지 부품에 고정 연결된 용접 너트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품(13, 25)은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지지 부품(25)에 제공된 고정 너트(30)는 지지 부품에 일체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품은,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하우징 플레이트(11)의 고정 개구(32)를 칼라(48)로써 관통하며 자동차 부품(40)에 고정된 고정 나사 상에 조여질 수 있는 칼라 너트(47)로 구성되며, 그 칼라(48)는 자동차 부품(40) 또는 고정 나사에 대해 지지되고,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의 고정 개구(32)는 칼라 너트(47)의 칼라(48) 상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며 자동차 부품(40) 반대편 하우징 플레이트(11)의 측면 상에는 칼라 너트(47)의 칼라(48) 상에 지지된 지지 플레이트(45)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로부터 각을 이루어 돌출한 고정 부착물(46)은 하우징 플레이트(11)에 배치된 다른 리세스(33)를 관통하며 자동차 부품(40) 내에 형성된 다른 개구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벨트 와인더 하우징(10)은, 상기 리세스(33) 내로 돌출하고 고정 부착물(46) 내에 형성된 관통구(50)를 통해 안내된 텅(49)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45)에 대해 고정되며 고정 부착물(46)을 관통하는 텅(49)이 부하 하에서 변형됨으로써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장치.
KR1020057009370A 2002-11-26 2003-11-24 벨트 와인더용 고정 장치 KR100988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54968.0 2002-11-26
DE10254968 2002-1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779A true KR20050086779A (ko) 2005-08-30
KR100988444B1 KR100988444B1 (ko) 2010-10-18

Family

ID=7715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370A KR100988444B1 (ko) 2002-11-26 2003-11-24 벨트 와인더용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84763B2 (ko)
EP (1) EP1565357B1 (ko)
JP (1) JP4477505B2 (ko)
KR (1) KR100988444B1 (ko)
AT (1) ATE327928T1 (ko)
AU (1) AU2003292094A1 (ko)
DE (2) DE20219689U1 (ko)
WO (1) WO20040481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51179B4 (de) * 2003-11-03 2019-10-02 Volkswagen Ag Sicherheitshaltevorrichtung für einen Insassen eines Fahrzeuges
DE102005055681A1 (de) * 2005-11-22 2007-06-21 Trw Automotive Gmbh Rahmen für einen Sicherheitsgurtaufroller
US7497521B2 (en) * 2006-08-30 2009-03-03 Honda Motor Co., Ltd Seat belt retractor mounting system
FR2932752B1 (fr) * 2008-06-19 2010-12-3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Support d'enrouleur de ceinture de securite arriere de vehicule, et procede de montage d'un enrouleur equipe d'un tel support
DE102010006955B4 (de) * 2010-02-02 2019-11-14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urtaufrollerrahmen
JP5499134B2 (ja) * 2012-11-01 2014-05-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の配設構造
DE102013226882B4 (de) * 2012-12-20 2024-05-2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bindungsanordnung eines Bauteils mit einem Karosserieblech
DE102014017786B4 (de) * 2014-12-03 2019-09-05 Trw Automotive Gmbh Befestigungsblech mit einem Fixierhaken sowie Gurtaufroller und Fahrzeugkarosserie mit einem Befestigungsblech
DE202015004293U1 (de) * 2015-06-16 2016-09-1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 mit Sicherheitsgurtrückhaltesystem
US9744938B2 (en) * 2015-06-26 2017-08-29 Jeffery L. Biegun Passenger restraint housing for vehicle
DE102016000450B4 (de) * 2016-01-16 2017-09-07 Audi Ag Retraktor und korrespondierendes Fahrzeug
US20190256039A1 (en) * 2018-02-20 2019-08-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 self-aligning restraint system
JP7063706B2 (ja) * 2018-04-26 2022-05-09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取付構造
DE102019218307A1 (de) * 2019-11-26 2021-05-27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1688A (en) * 1964-02-13 1965-03-02 Leon Chemical Ind Inc Receiver for seat belt retractor
US3456896A (en) * 1967-07-28 1969-07-22 Robert C Fisher Base for seatbelt retractor
JPS6330587Y2 (ko) 1980-08-15 1988-08-16
DE3514980A1 (de) * 1984-05-28 1985-11-28 TRW Repa GmbH, 7071 Alfdorf Beschlag fuer einen sicherheitsgurt fuer kraftfahrzeuge
US4611854A (en) 1984-09-20 1986-09-16 Allied Corporation Self-standing seat buckle mount for automotive vehicles
FR2614852B1 (fr) * 1987-05-05 1990-08-17 Peugeot Dispositif de fixation pour ceintures de securite passives et actives de vehicules automobiles
US5211694A (en) 1989-06-20 1993-05-18 Mazda Motor Corporation Safety apparatus including an air bag and a safety belt supported on a vehicle with a deformable coupling
DE69516490T2 (de) * 1994-10-13 2000-11-09 Takata Inc Energiewandler für Sicherheitsgurt-Aufroller
JP3478457B2 (ja) * 1996-10-21 2003-12-15 スズキ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取付け構造
JPH10217905A (ja) * 1997-01-31 1998-08-18 Suzuki Motor Corp シートベルトアジャスターの取付構造
JP3628907B2 (ja) * 1999-04-16 2005-03-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3745217B2 (ja) * 2000-10-31 2006-02-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48160A1 (de) 2004-06-10
ATE327928T1 (de) 2006-06-15
JP4477505B2 (ja) 2010-06-09
US7484763B2 (en) 2009-02-03
DE50303615D1 (de) 2006-07-06
JP2006507184A (ja) 2006-03-02
AU2003292094A1 (en) 2004-06-18
KR100988444B1 (ko) 2010-10-18
US20060108785A1 (en) 2006-05-25
EP1565357B1 (de) 2006-05-31
EP1565357A1 (de) 2005-08-24
DE20219689U1 (de) 200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6779A (ko) 벨트 와인더용 고정 장치
US6149542A (en) Anti-tilt belt tensioner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US20070057548A1 (en) Adjustable Lumbar Support for Vehicle Seat
US20080120809A1 (en) Free stop hinge
US10421477B2 (en) Energy-absorbing steering column assembly
JPS6116643B2 (ko)
EP0164116B1 (en) Door window regulator
US4608778A (en) Door window regulator
US20060267369A1 (en) Sun visor detent spring clip
JP2006507184A5 (ko)
US4597223A (en) Door window regulator
EP0164693A2 (en) Door window regulator
EP1284219B1 (en) Structure for attaching a part to a vehicle
US5788205A (en) Rearview mirror mount
US4607456A (en) Door window regulator
JPS6239342A (ja) 自動車用シ−トベルトの取付け構造
US11667323B2 (en)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assembly
JP3618584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ウインドパネル支持構造
JPH0318627Y2 (ko)
US20220126782A1 (en) Belt shaft housing, belt shaft, belt tensioner, and method for installing a belt tensioner
JP3696753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のウインドパネル支持構造
JPH0415904Y2 (ko)
JPH0318624Y2 (ko)
JP2000130493A (ja) 減衰力制御用アクチュエータの取付け構造
JPH031862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