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6570A - 비원형 구멍을 구비한 방사구금판 - Google Patents

비원형 구멍을 구비한 방사구금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6570A
KR20050086570A KR1020057008495A KR20057008495A KR20050086570A KR 20050086570 A KR20050086570 A KR 20050086570A KR 1020057008495 A KR1020057008495 A KR 1020057008495A KR 20057008495 A KR20057008495 A KR 20057008495A KR 20050086570 A KR20050086570 A KR 20050086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spinneret
spinneret plate
row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듀어드 헤르다
Original Assignee
코로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로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코로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50086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6570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01D5/0985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by means of a flowing gas (e.g. melt-blow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at random
    • D04H3/03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at random reorientation immediately after yarn or filament 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Polishing Bodies And Polishing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의 제조용 방사 구금판(1)에 대한 것으로, 상기 방사 구금판은, 필라멘트를 생산하는 폴리머 흐름 출구를 위한, 특히 세갈래로 갈라진 형상 또는 다중 가지형상의 구멍(3)에 유사한 복수개의 비원형 구멍을 포함하며, 이 경우, 동일한 구멍들은 서로에 대해 상쇄하는 열로 위치하고 있다. 적어도 제1열(2)은 구멍의 회전을 통해 제2열(7) 구멍의 위치배열과 다른 위치 배열을 가진다.

Description

비원형 구멍을 구비한 방사구금판 {NON-ROUND SPINNERET PLATE HOLE}
본 발명은 다수개의 비원형 구멍(non-round hole)을 구비한 방사구금판(spinneret plate)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구멍은, 특히 세 갈래로 갈라진 형상(trilobal) 또는 다중 가지 형상(multiarmed)의 구멍과 유사하고,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폴리머 흐름의 출구를 위한 것이며, 동일한 구멍들이 서로에 대하여 상쇄하는 열(row)로 배치되어 있다.
부직포의 제조에 있어 비원형 단면의 필라멘트 제조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단면은, 예를 들어, 세개의 팔을 가지고 상기 팔들이 중심에서 서로 연결된, 세 갈래로 갈라진 형상(trilobal)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별모양 또는 다른 비원형 단면을 만들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독일특허 DE 36 341 46 A1은, 방사구금판을 사용한 섬유성 부직포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방사 구금판이 "두 갈래로 갈라진(bilobal)" 구멍을 구비한 것을 개시하고 있다. 이처럼 2개로 갈라진 구멍은 각각 연결 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원형 개구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독일특허 DE 36 341 46 A1은, 추가로, 관련 기술분야에서 공지되어 방사 구금판에서 사용되고 있는 슬롯 기하를 기술하고 있다. 이들은 방사 구금판에 슬릿 형상, 삼각형 형상, 반달 형상 또는 T 자형 개구를 포함한다.
추가로 유리한 구성 및 개량적 구성은 이어지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나타나고 기술되는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구체화할 필요가 없이도, 앞서 기술된 특징과 조합되어 본 발명의 추가의 구성을 형성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 1은 비원형의 구멍을 가진 제1 방사구금판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 2는 비원형 구멍을 가진 제2 방사구금판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멍을 구비한 도 2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방사 패킷 내에 설치된 비원형 구멍을 가진 2개의 방사구금판을 구비한 방사 패킷의 평면도이고,
도 5는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를 위한 장치를 도해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직포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균일한 물성을 가진 비원형 필라멘트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세 개로 갈라진 형상 또는 다중 가지 형상을 가진 복수개의 비원형 구멍을 구비한 부직포 제조용 방사구금으로서, 특히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따른 특징을 구비한 방사구금에 의해, 그리고, 특허청구범위 제7항에 따른 특징을 구비한 방사 패킷(spin packet)에 의해, 그리고, 특허청구범위 제11항의 특징을 구비한 용융 폴리머 재료의 냉각 및 연신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각각의 종속항에서 추가의 유리한 구성과 구체적 개량사항들이 지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포의 제조를 위한 방사구금판은, 특히, 세 갈래로 갈라진 형상(trilobal) 또는 다중 가지의 구멍과 유사하고,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폴리머 흐름 출구를 위한 복수개의 비원형 구멍을 구비한다. 상기 방사 구금판은 서로에 대해 상쇄하는(offset) 열로 배열된 동일한 구멍을 구비한다. 제1열은, 그 구멍들의 위치배열이, 구멍의 회전을 통해 제2열의 구멍의 위치 배열과 상이하다. 각각의 구멍으로부터 방출되는 폴리머 재료는, 상기 구멍의 회전에 의해 균일하게 형상화되고 인도되도록 블로잉(blowing)될 수 있다. 블로잉은 특히, 배출되는 폴리머 재료에 수직방향으로 부딪히는 냉각기체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상기 냉각기체는 기울어진 각도로 부딪힐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폴리머 재료는 필라멘트 제조 중 연신된다. 구멍의 회전에 의해, 연속하여 배열된 구멍들을 통해 냉각기체를 사용하여 거의 유사한 블로잉이 가능해진다.
한 구현예에 따르면, 구멍의 열들은 구멍의 회전에 의해 하나 이상의 상이한 위치 배열로 놓여질 수 있다. 대신, 상기 구멍들은 서로에 대해 상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제1열의 구멍들이 블로잉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그 뒤에 배열되어 있는 제2열의 구멍들을 가리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대신, 적어도 상기 제2열의 구멍들은 다른 폴리머 재료에 의해 아직 그 흐름 방향이 바뀐 바 없는 냉각기체에 의해 둘러 싸이도록 배열된다.
다른 개량적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방사구금판은 상이한 형상의 구멍들을 구비한다. 구멍들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심지어 구멍들이 상이한 단면을 가지는 경우에도, 블로잉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는, 다시, 필라멘트의 물성에 영향을 미친다. 회전은, 구멍의 단면, 블로잉 조건, 폴리머의 흐름속도 및 다른 파라미터와 동기화(synchronization)되어 필라멘트의 물성을 목적하는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상기 필라멘트의 길이방향 또는 횡단방향의 기계적 물성, 그의 불투명도 및 다른 물성을 조절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방사 구금판은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제1영역 및 제2 영역은 각각 동일한 구멍들의 열(row)을 2개 이상 구비한다. 특히, 하나의 영역은 특정한 치수 및/또는 기하의 구멍을 구비한다. 상기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다른 영역의 구멍들 사이에 연장된 간격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특히, 한 영역에서의 구멍들 사이의 분리는 2개의 영역들간의 상기 간격과 동일한 크기이거나 더 작다. 이는 추가의 가능성들을 허용한다. 특정 분리와, 이에 따른 필라멘트의 특정 번들링(bundling)을 수득할 수 있으며, 상기 번들은 예를 들어, 이어지는 부직포 제조 공정에 반영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이한 영역들 간에 간격을 보다 크게 할 경우, 상기 방사구금판의 다른 영역에서 수행될 경우, 필라멘트 제조 공정에 치명적일 수 있는 공정을, 상기 간격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간격은 상이한 냉각 흐름을 위한 혼합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영역들 간의 구멍은 회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로 상쇄된다. 하나의 개량적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영역의 구멍들은, 제2 영역의 구멍의 위치 배열에 대하여 180°회전한 위치 배열을 가진다. 이처럼 서로에 대해 대칭적으로 반전된 구멍들의 위치배열에 의해, 특히, 방사구금판이 2개의 측면으로부터의 냉각 기체로 블로잉되는 경우, 블로잉이 보다 균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상이한 영역의 상응하는 열들은 적어도 대략 유사하게 블로잉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필라멘트 또한 유사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제1 및 제2 방사 구금판을 포함한 방사 패킷이 제공되는 바, 상기 제1 및 제2 방사구금판은 상기 방사 패킷 내에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방사구금판은 각각 비원형의 구멍들을 가지며, 제1 방사 구금판에 위치한 구멍들은 제 2 방사구금판에 위치한 구멍들에 대하여 회전되어 위치한다. 이러한 배열의 이점은, 방사 패킷용 방사구금판의 제조가 동일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어서, 상기 방사 구금판을 설치한 경우, 이들은 서로에 대하여 상쇄된다. 그 결과, 이미 존재하는 제조 장비 및 제조 지그들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방사 패킷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방사 구금판과 공조하는 설치 보호물을 구비한다. 상기 설치 보호물은, 상기 방사구금판이 그의 할당된 위치에만 배열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설치 보호물은 예를 들어, 방사 구금판과 방사 패킷 사이에서 텅 앤 그루브 커넥션(tung and groove connection)을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방사 패킷의 이러한 모듈 구조는 상이한 방사 구금판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는, 방사 패킷 내에서 구멍들의 서로에 대한 기하, 회전 및 상쇄의 관점에서 다양한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의 구현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방사 구금판이 방사패킷 내에서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방사 구금판은 각각 특정 수의 열의 구멍을 가진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방사 구금판이 15 이하, 특히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의 구멍을 가진다. 이는, 상기 구멍들의 위치 배열이, 예를 들어, 하나의 방사구금판으로부터 다음까지 약간 멀리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멍들의 상응하는 적절한 위치 배열 및 이들과의 회전각을 설정하여, 완전히 새로운 방사구금판을 제조할 필요 없이, 방사 구금판의 상이한 블로잉 거동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방사 패킷 내의 상이한 방사 구금판의 배열에 의해, 제조하고자 하는 부직포의 의도된 사용에 따라 다른 형태의 구멍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 및/또는 제2 방사구금판은 각각 상이한 형태의 다양한 구멍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매우 다양한 구멍들을 하나의 방사 패킷 내에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만일 다양한 특성, 예를 들어, 부직포 층들 사이의 절연거동(insulating behaviour), 제조될 부직포의 액체 흡수성, 심지어 부직포의 액체 발산 특성(liquid-repellent property) 등을, 목적에 적절한 필라멘트 단면의 사용을 포함한 다양한 단면에 의해 특정한 방식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그 목적을 유리하게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 측면에 따르면,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 중, 용융 폴리머 재료의 냉각 및 연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폴리머 재료는, 하나 이상의 방사 구금내의, 세 갈래로 갈라진 형상 또는 다중 가지형상의 구멍에 적어도 유사한, 다수개의 비원형 구멍으로부터 배출된다. 이로써, 상기 폴리머 재료는 폴리머 필라멘트를 형성한다. 제1 측면으로부터의 제1 기체흐름 및 제2 측면으로부터의 제2 기체흐름은 각각 구멍을 탈출한 폴리머 재료에 부딪힌다. 상기 제1 기체 흐름은, 그가 적어도 폴리머 필라멘트의 제1 열 상에 부딪힐 때, 동일한 위치에 폴리머 필라멘트의 제1열에 부딪히는 제2 기체 흐름의 가이드에 대해 거울 상으로 그의 형상을 따라 가이드된다. 이처럼 거울상을 가진, 2개의 별개의, 특히 대향하는 구멍으로부터의 블로잉은, 폴리머 필라멘트의 형성이 보다 균일해지도록 하며, 따라서, 폴리머 필라멘트의 물성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부직포의 물성도 더욱 균일해진다. 추가로, 이는, 특히, 사용된 기체 흐름이, 스펀본드 부직포의 생산에 사용되는 종래의 대향하는 기체 흐름과 다른 속도에서 폴리머 필라멘트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한 개량적 구현예에 따르면, 제1 냉각 흐름 및 제2 냉각 흐름은 서로에 대해 거울상으로, 복수개의 열의 폴리머 필라멘트로 가이드된다. 이를 위해, 사용된 구멍들은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 거울상이며 또한 동일한 치수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기체흐름 각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열의 폴리머 필라멘트로부터 이웃하는 제2 열의 폴리머필라멘트로 편향된다. 이를 위해, 차례차례 배열되어 있는 구멍들의 열은 바람직하게는 서로에 대해 상쇄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구멍들은, 흐름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질 수 있다. 상기 구멍의 형상 및 배치에 의해, 탈출하는 폴리머 재료는, 블로잉 기체 흐름의 방향을 바꾸도록 하는 필라멘트 단면을 취하게 될 수 있다. 기체 흐름은 바람직하게는 제1열의 폴리머 필라멘트에 의해, 후속하는 폴리머 필라멘트 열로 편향되어 상기 제2열의 폴리머 필라멘트가 인도된 블로잉(directed blowing) 작용 하에 놓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 측면에 따르면,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스펀본드된 천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필라멘트를 냉각 및 연신하기 위한 제1 기체 공급원 및 제2 기체 공급원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공급원은 바람직하게는 이들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작용하도록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탈출 개구(escape opening)를 가진다. 추가로, 스펀본드 천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장치는 다수개의 동일한, 비원형의 방사구금 구멍을 구비한다. 동일하게 배열된 방사구금 구멍들의 제1 영역은 제1 기체 유체 탈출 개구의 블로잉 영역에서 배출된다. 동일하게 배열된 제2 영역의 방사구금 구멍은 제2 기체 공급원의 제2 탈출개구의 블로잉 영역으로 배출된다.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공간적으로 서로 떨어져 있고, 제1 영역의 방사구금 구멍은 제2 영역의 방사구금 구멍에 대하여 회전되어 상기 방사구금 구멍으로부터 배출되는 폴리머 재료가 제1 영역 및 제2 영역에서 동일한 블로잉 하에 놓이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필라멘트는 이어서 예를 들어, 이동 스크린(travelling screen)상에 침적되어 추가로 가공된다. 적어도 2개의 측면으로부터, 블로잉 방향에 대하여 각각 동일하게 배열된 구멍들 상으로의 균일한 블로잉에 의해, 추가로, 예를 들어, 상기 기체 유체가 캐리어 매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기체 또는 액체 또는 고체 상의 첨가제를 상기 캐리어 매질에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적어도 상기 필라멘트의 표면을 개질시킨다.
도 1은 제1열(2)의 비원형 구멍(3)을 구비한 방사 구금판(1)을 보여주고 있다. 비원형 구멍(3)은 세 갈래로 갈라진 단면(trilobal cross-section)을 가진다. 제1열(2)은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기체 흐름에 의해 블로잉된다. 세개로 갈라진 단면의 비원형 구멍은 제1열(2)에 배열되어 하나의 가지가 기체 흐름(4)의 블로잉 방향에 대하여 대략 평행이 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폴리머 재료에 부딪히는 기체 흐름(4)이 갈라지고, 비원형 구멍(3)의 다른 가지를 따라 편향된다. 특히, 이러한 편향은 상기 기체 흐름(4)의 부분적 흐름(5)이, 상기 제1열 뒤에 배열된 제2열(7)의 후속하는 제2의 구멍(6)에 부딪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1의 비원형 구멍(3) 및 제2의 비원형 구멍(6)은 도면과 같이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들은 또한, 그 치수에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제2열(7)의 제2의 구멍(6)은 제1열(2)의 구멍들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열에서의 회전은 모든 구멍에 대해 균일할 수 있거나, 혹은 상이한 구멍들의 경우 변할 수 있다. 부분적 흐름(5)은, 바람직하게는, 이들이 다시 편향되기 전에, 구멍들의 한 가지에 직접 부딪히거나, 혹은, 이어지는 구멍의 가지에 대략 평행하게 인도된다. 특히, 제1열(2) 및 제2열(7)에서 구멍들의 배열은 방사 구금판(1) 위의 폴리머 필라멘트 상에 부딪힐 때, 기체 흐름(4)에서의 특정 위치에서 교류(turbulence)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다양한 열들의 구멍들은 인접하는 구멍들 간에 일종의 제트 효과가 생기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하는 구멍들은 좁은 부분(narrowing) (8)이 생기도록 배열되어, 부분흐름(5)이 가속된다. 한편, 선택에 따라서는 넓은 부분(widening)(9)이 생기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넓은 부분은 부분 흐름(5)의 속도를 감소시킨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 배열된 구멍들의 열이 개입되는 일 없이, 동일하게 정렬된 구멍들이 서로 차례 차례의 열들로 배열될 수도 있다.
도 2는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를 구비한 두 번째의 방사 구금판(10)을 나타낸다. 제1 영역(11)은 세 갈래로 갈라진 구멍(13)을 구비한다. 제2 영역(12)은 세 갈래로 갈라진 형상의 동일한 구멍(13)을 구비하며, 후자는 제1 영역의 구멍들에 대해 거울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 사이에는 간격(14)이 위치한다. 상기 간격(14)에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재료들이 배출되어 필라멘트를 형성하는 어떠한 구멍도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흡입 오리피스(15) 및/또는 기체 흐름 조절판(gas flow baffle)(16)이, 예를 들어, 상기 간격에 위치할 수 있다. 기체 흐름이 흡입 오리피스(15)를 경유해 스펀 본드 장치내로 끌려들어갈 수 있는 반면, 상기 기체 흐름은 기체 흐름 조절판(16)에 의해 편향되어, 폴리머가 세 갈래로 갈라진 구멍(13)으로부터 배출되는 지점을 향하여 다시 인도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따라 세 갈래로 갈라진 구멍(13)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세 갈래로 갈라진 구멍(13)은 제1 가지(17), 제2 가지(18) 및 제3 가지(19)의 3개의 가지를 가진다. 상기 3개의 가지(17, 18, 19)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다른 2개에 대하여 120°의 각으로 배열된다. 그러나, 3개로 갈라진 구멍(13)을 위해 다양한 각도비(angle ratio)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의 각(20)이 제2의 각(21) 및 제3의 각(22)보다 작을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방사구금판의 한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3개로 갈라진 모든 구멍(13)이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기 제1 가지(17)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각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가리킨다. 이는, 섬유들간의 격자간 영역으로 냉각 공기의 균일한 흐름을 가능하게 하고, 균일한 섬유 냉각을 가능케 하며, 다른 열(列)에 존재하는 섬유들간의 교류, 소용돌이 또는 다른 방해들을 방지한다. 가지 (17, 18, 19)는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세개의 가지(17, 18, 19)가 각각 다른 길이일 수 있거나, 혹은 하나의 가지만 더 짧거나 더 길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가지(17)가 제2 가지(18) 및 제3 가지(19)보다 짧다. 제1 가지(17)로부터 나온 폴리머 재료는 양쪽에서 냉각공기에 노출되므로, 제2 가지(18) 및 제3 가지(19)를 따라 세개로 갈라진 상기 구멍(13)을 빠져 나온 다른 폴리머재료보다 온도가 더 빨리 떨어진다. 이러한 불균일한 냉각과 연신 거동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가지(17)는, 예를 들어, 더 짧아질 수 있다. 나아가, 블로잉에 대하여, 상기 세개로 갈라진 구멍(3)의 상이한 기하는, 제조된 필라멘트의 특정 회전을 수행하는 능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냉각 공기흐름이 이런 종류의 회전의 영향을 줄 수 있다. 가지 (17, 18, 19)의 연신 및/또는 냉각 효과를 변화시킴에 의해 제조된 필라멘트 또는 섬유상에 크림프 효과를 줄 수도 있다.
도 4는 세번째 방사 구금판(24) 및 네번째 방사 구금판(25)를 가진 방사 패킷(23)을 나타내는 것이다. 2개의 방사구금판은 평행하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블로윙된다. 또한, 2개의 방사구금판(24, 25) 사이에 간격(26)이 제공된다. 상기 간격(26)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mm, 특히 5 내지 25mm의 분리를 생성한다. 이러한 분리는, 도 1에서 예를 들어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 구금판의 다양한 영역에 존재할 수도 있다. 방사 구금판(24, 25) 내의 방사구금 구멍의 열(列) 그 자체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격(26)보다 작은 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다. 방사구금판 또는 방사구금판의 영역은 또한 방사구금 구멍(27)의 5 내지 15개의 열들을 가진다.
도 5는, 스펀본드 천의 제조를 위한 장치(28)를 도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스펀본드 천을 제조하기 위한 상기 장치(28)는 단일 방사 구금판(29)를 포함한다. 상기 단일 방사구금판(29)은 세 갈래로 갈라진 형상의 구멍(도시하지는 않음)을 포함하며, 상기 구멍을 통해 제1 폴리머 필라멘트(30)과 제2 폴리머 필라멘트(31)가 배출된다. 명확성을 위해, 상기 도는 각 폴리머 필라멘트 중 하나만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단일 방사 구금판(29) 내의 세 갈래로 갈라진 형상의 상기 구멍들은, 가지가 상기 제1 공기흐름에 평행하게 배열된 상태로, 제1 폴리머 필라멘트(30)가 배출되도록, 배열된다. 제1 공기 흐름(32)은 화살표로서 나타내었다. 냉각 공기 흐름은, 단일 방사구금판(29) 바로 아래를 통과할 수 있으나, 그로부터 어느 정도의 거리를 두고 혹은 면적에 걸쳐 있을 수 있다. 동시에, 냉각 공기흐름(32)은 제1 폴리머 필라멘트(30)의 바깥쪽 흐름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지나갈 수 있거나, 혹은 그쪽으로 기울어진 임의의 각일 수 있다. 제1 폴리머 필라멘트(30)는 제1 영역에 배열되는 한편, 제2 폴리머 필라멘트(31)는 제2의 별개 영역에 배열된다. 제2 폴리머 필라멘트(31)는 제2 냉각 공기 흐름(33)에 의해 블로잉되고, 선택에 따라 연신된다. 제2 냉각 공기 흐름(33)은 제1 냉각 공기 흐름(32)에 대하여 평행하게 블로잉된다. 제1 영역의 세 갈래로 갈라진 형상의 구멍이 제2 영역의 세 갈래로 갈라진 형상의 구멍과 거울상으로 되어있는 배열이기 때문에, 생성된 필라멘트는 보다 균일하게 냉각되고, 그 결과 상기 폴리머 필라멘트로부터 제조된 부직포의 물성도 보다 균일해진다.
이러한 방사 구금판 또는, 방사 패킷내 설치된 이러한 방사구금판으로부터 제조된 부직포 바람직하게는 위생용품, 가정용 제품에서 사용될 수 있거나, 필터 마개재료(filter wadding), 건축 산업, 의료 용도와 같은 기술적 응용 분야의 부직포로서 사용될 수 있거나, 의복, 특히 보호의류를 위해 혹은 유사한 응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단일겹(single ply) 또는 다중겹(multiple plies)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혹은 다른 종류의 천을 포함하거나, 혹은 하나 이상의 코팅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제조된 필라멘트는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제조된 바이코재료(bicomaterial)와 같은 폴리올레핀 혼합물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세 갈래로 갈라진 구멍 이외에, "c" "u" "v" "L" "*" 과 같은 다른 기하 또는 보다 복잡한 형상의 구멍도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이한 기하가 사용된 경우, 이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 조합되어 사용되거나, 혹은 각각 분리 가능한 영역에서 서로 완전히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4)

  1. 특히 세 갈래로 갈라진 형상(trilobal) 또는 다중 가지 형상(multiarmed)의 구멍과 유사하고, 필라멘트를 제조하는 폴리머 흐름 배출구(polymer flow outlet)를 위한, 복수개의 비원형 구멍(3)을 구비한 부직포 제조용 방사 구금판(1)으로서,
    동일한 상기 구멍들(3)은 서로에 대해 상쇄하는 열(row)로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의 열(2)은, 구멍의 회전을 통해 제2의 열(7)의 구멍들의 위치 배열과는 다른 위치 배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구금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구금판(1)은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형태의 구멍(3)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구금판(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구금판(1)은 2개 이상의 영역으로 나뉘고,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은 각각 동일한 구멍들로 이루어진 열을 2개 이상의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구금판(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11)은, 제2 영역(12)내의 구멍들의 위치 배열에 대하여 180°회전한, 구멍(3)들의 위치 배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구금판(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영역(11)과 제2 영역(12)은 적어도 간격(gap: 14)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구금판(1).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14)은 동일한 구멍(3)들로 이루어진 2개의 열들 간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상기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구금판(1).
  7. 적어도, 제1 방사 구금판(24) 및 제2 방사 구금판(25)을 구비한 방사 패킷(spin packet:23)으로서,
    상기 제1 방사 구금판(24)과 제2 방사 구금판(25)은 상기 방사패킷(23)내에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제1 방사 구금판(24)과 상기 제2 방사 구금판(25)은 각각 비원형의 구멍들을 가지고,
    상기 제1 방사구금판(24)에 존재하는 구멍들은 상기 제2 방사구금판(25)에 존재하는 구멍들에 대하여 회전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킷.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사 구금판(24) 내의 구멍들은 상기 제2 방사 구금판(25)의 구멍들과 동일한 치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킷(23).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또는 제2 방사 구금판(24, 25)은 다른 형태의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 패킷(23).
  10. 필라멘트의 냉각 및/또는 연신을 위한 제1 및 제2 기체 공급원(gas supply)을 가지는 스펀본드 부직포(spunbonded fabric) 제조장치(28)로서,
    상기 제1 및 제2 기체 공급원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위치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탈출 개구(escape openings)를 가지며,
    상기 장치는 비원형 단면을 가진, 복수개의 동일한 방사구금 구멍을 구비하고, 동일하게 정렬된 상기 방사구금 구멍들의 제1 영역은 제1 탈출 개구의 블로잉 영역으로 배출되고, 동일하게 정렬된 상기 방사구금 구멍들의 제2 영역은 제2 탈출개구의 블로잉 영역으로 배출되며,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은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고,
    상기 제1 영역의 방사구금 구멍은, 방사구금 구멍들로부터 배출되는 폴리머 재료가 제1 영역과 제2 영역에서 동일하게 되는 방식으로, 상기 제2 영역의 방사구금 구멍에 대하여 회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 장치.
  11. 스펀본드 부직포 제조 중 용융상태의 폴리머 재료를 냉각 및/또는 연신하는 방법으로서,
    폴리머 재료가, 하나 이상의 방사구금판(1) 내의, 특히 세 갈래로 갈라진 형상(trilobal) 또는 다중 가지 형상의 구멍과 유사한, 복수개의 비원형 구멍(3)으로부터 배출되어 필라멘트를 형성하고,
    제1 측면으로부터 제1 기체흐름과 제2측면으로부터의 제2 기체흐름이 상기 구멍들로부터 배출된 필라멘트에 부딪히며,
    적어도 제1열의 폴리머 필라멘트들에 부딪히는 상기 제1 기체흐름은, 그 위치에서 제1 열의 폴리머 필라멘트들에 부딪히는 제2 기체 흐름의 가이드와 비교할 때, 거울상으로 그들의 형상을 따라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체 흐름과 제2 기체흐름은, 복수개의 열의 폴리머 필라멘트로, 서로 거울상으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양쪽 기체 흐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열의 폴리머 필라멘트로부터 이웃하는 제2열의 폴리머 필라멘트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양쪽 기체흐름은 제2열의 폴리머 필라멘트로 편향되고, 블로잉 방향으로 상기 제1열의 폴리머 필라멘트를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7008495A 2002-11-12 2003-11-11 비원형 구멍을 구비한 방사구금판 KR200500865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52414.9 2002-11-12
DE10252414A DE10252414B4 (de) 2002-11-12 2002-11-12 Nichtrunde Spinnplattenbohr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6570A true KR20050086570A (ko) 2005-08-30

Family

ID=32185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495A KR20050086570A (ko) 2002-11-12 2003-11-11 비원형 구멍을 구비한 방사구금판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7637730B2 (ko)
EP (1) EP1563127B1 (ko)
KR (1) KR20050086570A (ko)
AT (1) ATE433001T1 (ko)
AU (1) AU2003288030A1 (ko)
DE (2) DE10252414B4 (ko)
DK (1) DK1563127T3 (ko)
ES (1) ES2327729T3 (ko)
MX (1) MXPA05005094A (ko)
PL (1) PL201630B1 (ko)
WO (1) WO20040442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20109A2 (en) * 2004-07-16 2006-02-23 Hills, Inc. Forming shaped fiber fabrics
KR101143315B1 (ko) * 2009-06-12 2012-05-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전기 방사용 분사 노즐과 이를 사용한 전기 방사 장치
CN111593488B (zh) * 2020-06-15 2021-04-16 上海名冠净化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医用熔喷无纺布生产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7807A (en) * 1964-08-05 1967-01-10 Schweizerische Viscose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spontaneously crimping composite filaments
GB1091947A (en) * 1964-12-18 1967-11-22 Mitsubishi Rayon Co Method for producing artificial fibers
US3457341A (en) * 1967-05-26 1969-07-22 Du Pont Process for spinning mixed filaments
GB1313767A (en) * 1969-03-26 1973-04-18 Toryay Ind Inc Synthetic complex conjugate filament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4283364A (en) * 1977-05-04 1981-08-11 Akzona Incorporated Melt spinning of synthetic yarns
US4357290A (en) * 1979-12-31 1982-11-02 Monsanto Company Splittable conjugate yarn
GB8527752D0 (en) * 1984-11-21 1985-12-18 Mitsubishi Rayon Co Acrylic fiber
CA1281864C (en) * 1985-10-07 1991-03-26 Henry Louis Griesbach, Iii Nonwoven web with improved softness
DE3744657A1 (de) * 1987-04-25 1988-11-10 Reifenhaeuser Masch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pinnvliesanlage fuer die herstellung eines spinnvlieses aus synthetischen endlosfilamenten
JPS6420315A (en) 1987-07-10 1989-01-24 Mitsubishi Rayon Co Acrylic fiber of high bulkiness and production thereof
DE3923067C2 (de) * 1988-07-16 1994-02-03 Barmag Barmer Maschf Spinnanlage für Chemiefasern
US5125818A (en) * 1991-02-05 1992-06-30 Basf Corporation Spinnerette for producing bi-component trilobal filaments
US5208107A (en) * 1991-05-31 1993-05-04 Basf Corporation Hollow trilobal cross-section filament
ATA53792A (de) * 1992-03-17 1995-02-15 Chemiefaser Lenzin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cellulosischer formkörper,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sowie verwendung einer spinnvorrichtung
US5234650A (en) * 1992-03-30 1993-08-10 Basf Corporation Method for spinning multiple colored yarn
JPH1020315A (ja) * 1996-07-02 1998-01-23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の液晶注入方法
GB9622444D0 (en) * 1996-10-29 1997-01-08 Courtaulds Fibres Holdings Ltd Spinnerette
ES2245123T3 (es) * 1998-09-14 2005-12-16 Cerex Advanced Fabrics, Inc. Telas no tejidas.
US7179412B1 (en) * 2001-01-12 2007-02-20 Hil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olymer fibers and fabrics including multiple polymer components in a closed system
US6746230B2 (en) * 2001-05-08 2004-06-08 Wellman, Inc. Apparatus for high denier hollow spiral fiber
EP1438452A1 (en) 2001-08-17 2004-07-21 Cerex Advanced Fabrics, Inc. Nonwoven fabrics with two or more filament cross sections
JP2003138464A (ja) 2001-11-02 2003-05-14 Teijin Ltd 長繊維不織布の溶融紡糸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製造方法
WO2006020109A2 (en) * 2004-07-16 2006-02-23 Hills, Inc. Forming shaped fiber fabr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637730B2 (en) 2009-12-29
PL201630B1 (pl) 2009-04-30
MXPA05005094A (es) 2005-08-16
US20060121146A1 (en) 2006-06-08
EP1563127B1 (en) 2009-06-03
PL375508A1 (en) 2005-11-28
DK1563127T3 (da) 2009-09-07
DE10252414B4 (de) 2007-04-26
US20100084783A1 (en) 2010-04-08
DE60327881D1 (de) 2009-07-16
AU2003288030A1 (en) 2004-06-03
WO2004044283A1 (en) 2004-05-27
DE10252414A1 (de) 2004-05-27
ATE433001T1 (de) 2009-06-15
ES2327729T3 (es) 2009-11-03
EP1563127A1 (en)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8774A (en) Apparatus for making a spun-filament fleece
JP3725866B2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製造プロセスおよびその製造システム
US4997611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nonwoven webs including a drawing step and a separate blowing step
US89928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and depositing synthetic fibers to form a nonwoven web
US3325906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veying continuous filaments
US8585388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nonwoven fabrics from extruded filaments
KR20060063625A (ko) 부직웹의 연속 제조 장치
US11697897B2 (en) Manufacture of spunbonded nonwovens from continuous filaments
KR19990088232A (ko) 열가소성폴리머로부터고역가균일성을갖는마이크로필라멘트사를생산하기위한장치및방법
JPH0151584B2 (ko)
US20100084783A1 (en) Non-round spinneret plate hole
CA3041248C (en) Apparatus for making spunbonded nonwovens from continuous filaments
US6499981B1 (en) Drawing unit
JP2004512440A (ja) ディフューザがスロット・アテニュエータから一定の距離を置いて配置される不織布製造プラント
AU2016389173A1 (en) Device for producing spunbonded webs
JPH0633360A (ja) 不織布の製造方法
JP3659939B2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20180118190A (ko) 부직포의 제조 장치 및 부직포의 제조 방법
JPH0465565A (ja) メルトブロー紡糸方法およびメルトブロー紡糸装置
CN117500963A (zh) 无纺布的制造装置及制造方法
TW201923176A (zh) 用於細絲擠出和紡粘織物生產之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