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852A - 선택투과성 막 및 이것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선택투과성 막 및 이것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852A
KR20050083852A KR1020057007423A KR20057007423A KR20050083852A KR 20050083852 A KR20050083852 A KR 20050083852A KR 1020057007423 A KR1020057007423 A KR 1020057007423A KR 20057007423 A KR20057007423 A KR 20057007423A KR 20050083852 A KR20050083852 A KR 20050083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weight
solvent
layer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7956B1 (ko
Inventor
헤르만 괴흘
라인홀트 벅크
Original Assignee
감브로 룬디아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감브로 룬디아 아베 filed Critical 감브로 룬디아 아베
Publication of KR20050083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4Filtering material out of the blood by passing it through a membrane, i.e. hemofiltration or diafiltration
    • A61M1/3403Regulation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1Casting solutio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1Casting solutions therefor
    • B01D67/00111Polymer pretreatment in the casting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3Cast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66Polymers having sulfur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8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5Producing membra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14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 A61M1/16Dialysis systems; Artificial kidneys; Blood oxygenators ; Reciprocating systems for treatment of body fluids, e.g. single needle systems for hemofiltration or pheresis with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68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8Specific temperatures appl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6Introduction of specific chemical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8Graft polymer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2Asymmetric membr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73Particular cross section
    • Y10T428/2975Tubular or cell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6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3089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strand material is specified
    • Y10T442/3106Hollow stran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325Including a foamed layer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09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strand or fiber material is specified
    • Y10T442/612Hollow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47Including a foamed layer or compon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혈액투석에 적합한 막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막은 하나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 섬유 막의 외부 표면은 0.5 ㎛ 내지 3 ㎛ 범위의 소공을 보유하고, 외부 표면 상에 존재하는 상기 소공의 갯수는 mm2 당 10,000개 내지 150,000개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mm2 당 18,000개 내지 100,000개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mm2 당 20,000개 내지 100,000개의 범위로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막의 제조 방법과, 혈액투석, 혈액투석여과 및 혈액여과에서, 그리고 일반적으로 투석 및 여과, 예를 들면 물 정제 또는 탈수에서 상기 막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택투과성 막 및 이것의 제조 방법{PERMSELECTIVE MEMBRAN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혈액투석에 적합한 선택투과성 비대칭 중공 섬유 막, 이 막을 제조하는 방법 및 그러한 막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막은 하나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막은 이러한 막을 상이한 유형의 의료적 처리, 예컨대 혈액투석, 혈액여과 및 혈액투석여과와 관련지어 사용하는 경우에 구체적인 이점들을 제공한다. 그러나, 그러한 막은 또한 일반적으로 투석 및 여과에서, 예를 들면 물 정제 또는 탈수에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막은 예를 들면 EP-A-0 568 045, EP-A-0 168 783, EP-B-082 433, 및 WO 86/00028에 세부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막은 중합체 합성 물질로 제조하며, 막은 고 확산 투과성(클리어란스)을 지닌 비대칭 구조를 보유하고, 낮은 플럭스 내지 높은 플럭스 범위에서 한외여과와 함께 물 여과 성능을 보유한다. EP-A-0 305 787에는 3층 구조 막 및 상응하는 성능을 지닌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막은 성능상 잘 수행되지만, 개선 및 최적화에 일부 여지를 여전히 갖고 있다. 개선가능한 특성의 영역은 섬유가 취급하기 어렵다는 점, 섬유가 함께 들러붙는다는 점 및 섬유가 서로 접착된다는 점을 포함하며, 이러한 점들은 투석기를 제작하는 동안, 특히 폴리우레탄(PUR) 중에 섬유를 포팅(potting)하는 경우에 문제점을 야기한다. 더구나, 섬유의 투과성도 여전히 개선가능한 여지가 있다. 따라서, 우레아 영역내에 있는 상이한 분자량 물질에 대한 확산 투과성(클리어란스) 뿐만 아니라 중간 분자량 범위, 유사 β2-M, 인자 D 등을 지닌 물질에 대한 투과성이 보다 높은 정도로 개선될 수 있어야 하고, 그러나 알부민 투과성은 낮아야 한다.
한편으로는 저분자량 및 중간 분자량을 지닌 물질에 대한 높은 투과성을 달성하고 알부민에 대한 낮은 투과성을 보유하는 것은, 투석 막에 부여된 요건 중 하나이다. 이러한 특성은 "선택성(selectivity)"이라고 칭한다. 종래 기술 막의 선택성은 여전히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그러한 도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막의 외부 표면에 대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비교 막의 외부 표면에 대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막 구조의 단면에 대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중공 섬유 막의 독특한 외부 표면을 지닌 막에 의해 종래 기술 막의 결점들을 개선시킨 것이다.
외부 층은 한정된 표면 조도를 지닌 균일한 개방 소공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소공의 개방부는 크기가 0.5 ㎛ 내지 3 ㎛이고, 추가로 외부 표면 상에 존재하는 소공 갯수는 mm2 당 10,000개 내지 150,000개, 바람직하게는 mm2 당 18,000 내지 100,000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mm2 당 20,000개 내지 100,000개이다. 첨부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섬유의 외부 표면의 현미경 사진(도 1 및 도 2)을 볼 수 있으며, 또한 그 사진을 통해 외부 표면의 소공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도 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은 중공 섬유의 외부 표면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것과 유사한 외부 표면은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한가지 이점은 외부 표면이 점착성이 없고 취급성이 용이한 중공 섬유 막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이는 제조 공정 동안 섬유내에서 보다 덜한 균열 및 호올 형성을 유도하고, 또한 제조 공정에서 보다 덜한 스크래프 형성을 유도한다.
다른 이점은 중공 섬유가 다발 내에서 그 중공 섬유에 근접하게 놓여 있는 중공 섬유에 보다 덜 달라붙는 경향을 갖는다는 점이다. 이는 표면에 걸쳐 있는 소공의 높은 갯수에 기인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하는 동안 중공 섬유를 에워싸는 투석물은 중공 섬유들이 서로 덜 달라붙는 경향이 생기는 경우 중공 섬유에 대한 출입이 향상되고, 중공 섬유를 포팅하는 동안 포팅 물질(보통 PUR이라고 칭함)은 또한 각각의 중공 섬유 둘레에 적절하고 보다 신뢰성 있는 포팅을 제공하면서 개별 중공 섬유에 대한 출입을 향상시킨다.
또다른 이점은 상기 소공의 높은 갯수로 인하여 포팅 동안 폴리우레탄(PUR)이 막 외측 부분을 통과하여 막의 구조 내로 침투하는 출입의 향상을 제공한다는 점이다. PUR의 구조 내로의 침투는 막의 안전한 고정과 이로써 섬유의 누설 방지 포팅을 제공한다.
중공 섬유의 외측 상에서 그러한 특이적 표면은 중공 섬유 막 벽의 외부 섹션 내에만 있는 방사 중합체 용액 조성물을 개질시킴으로써 달성되는데, 상기 개질은 물을 매우 구체적인 증기/공기/용매 대기에서 중합체 용액 층의 처음 1-15 ㎛ 내로 침투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는 내측으로부터의 침강이 그러한 층에 도달한 직후에 실시한다. 침투는 0.5 초 미만으로 발생한다.
노즐 이후에 섬유가 형성되는 경우 섬유의 환경은 결정된 조건, 예컨대 습도, 온도, 증기 플럭스의 부피, 중합체 용액의 한정 및 선택된 조성, 점도, 온도, 및 중앙 유체의 특정 조성 및 조건이 필요하다. 이러한 2개의 측면으로부터 (내측 및 외측으로부터) 섬유의 예비 형성된 침강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막은 37℃에서 측정시 15-17 ×10-4 cm/sec인 우레아에 대한 확산 투과성을 보유하는 독특하고 매우 고유한 4층 구조를 갖는다. 상기 확산 투과성은 문헌[E. Klein, F. Holland, A. Lebeouf, A. Donnaud, J.K. Smith, "Transport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emodialysis Hollow Fibers", Journal of Membrane Science 1 (1976) 371-496, 특히 pp. 375-379]에 따라 측정한다. 도 4에는 이런 바람직한 4층 구조에 대한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4층 구조의 내부 층, 즉 혈액 접촉 층과 중공 섬유의 내부 표면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1 ㎛ 미만의 두께 및 나노 규모 범위의 소공 크기를 보유하는 소밀하기 보다는 오히려 조밀한 층의 형태인 분리 층이다. 높은 선택성을 달성하기 위해서, 확실한 소공 직경을 지닌 소공 채널은 짧다(< 0.1 ㎛). 소공 채널 직경은 매우 낮은 크기 변수를 갖는다.
소공 크기는 상이한 범위, 예를 들면 낮은 플럭스 막의 경우 5-10 nm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고, 높은 플럭스 막의 경우 5 nm 내지 10 nm, 바람직하게는 7 nm 내지 12 nm 범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상이한 소공 크기는 한계치, 예를 들면 전혈의 존재 하에서, 낮은 플럭스의 경우 약 5,000 달톤, 및 높은 플럭스의 겅우 약 40,000 달톤을 보유하는 막을 형성한다. 상기 한계치는 막에 의해 거부되는 분자량으로서 정의된다. 이 정의된 소공 구조는 중합체의 조성, 중앙 유체내 침강 매질의 조성 및 조건, 그리고 방사 노즐로부터 나오는 섬유의 주위 환경의 조건 및 조성을 선택함으로써 달성된다.
중공 섬유 막내에서 제2 층은 스펀지 구조의 형태를 보유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약 1-15 ㎛의 두께를 보유하며, 상기 제1 층을 위한 지지체로서 작용을 하는 제2 층이다. 그 다음에는 핑거 구조의 형태를 보유하는 제3 층이 존재한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골격과 같은 기계적 안정성을 제공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매우 높은 공극 부피를 통해 막을 통과하는 분자의 수송에 대한 매우 낮은 저항을 보유한다. 공정 동안 그 공극은 물로 채워지는데, 물은 보다 낮은 공극 부피를 보유하는 스펀지 충전된 구조를 지닌 매트릭스보다 확산 및 대류에 대한 보다 낮은 저항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3 층은 기계적 안정성을 막에 제공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20 ㎛ 내지 60 ㎛의 두께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에서 제4 층은 상기에 따른 외부 표면을 지닌 외부 층이다. 이러한 제4 층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약 1 ㎛ 내지 10 ㎛의 두께를 보유한다.
이러한 제4 층 설계는 섬유 균열 및 누설을 함께 피하면서 높은 선택성을 부여하는데, 여기서 높은 선택성이란 크기가 유사한 분자들을 분리하는 높은 포텐셜, 예를 들면 β2-마이크로글로불린 및 인자 D로부터 알부민을 분리하는 높은 포텐셜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막의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하나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 65 중량% 내지 95 중량% 및 하나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 5 중량% 내지 35 중량%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는 폴리아미드(PA), 폴리아라미드(PAA), 폴리아릴에테르설폰(PAES),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설폰(PSU), 폴리아릴설폰(PASU),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PUR), 폴리에테르이미드 및 상기 중합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테르설폰이거나, 또는 폴리아릴에테르설폰과 폴리아미드의 혼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하나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폴리글리콜모노에스테르, 수용성 셀룰로즈계 유도체, 폴리소르베이트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폴리비닐피롤리돈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습한 증기/공기 혼합물의 온도는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고, 75℃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이다.
또한, 습한 증기/공기 혼합물에서 상대 습도는 60% 내지 100%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습한 증기/공기 혼합물은 물 함량에 대하여 0.5 중량%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용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훨씬 더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습한 증기 및/또는 공기 혼합물은 물 함량에 대하여 2 중량% 내지 3 중량%의 함량으로 용매를 포함한다.
온도 제어 증기 대기에서 용매의 효과는 섬유의 침강 속력을 제어하는 것이다. 보다 적은 양의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 표면은 보다 조밀한 표면을 얻을 수 있으며, 보다 많은 양의 용매를 사용하는 경우, 외부 표면은 보다 개방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침강하는 막을 둘러싸는 온도 제어 증기 대기내 용매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막의 외부 표면 상에 존재하는 소공의 크기 및 양이 제어된다. 즉, 소공의 개방부의 크기는 0.5 ㎛ 내지 3 ㎛ 범위이고, 상기 소공의 갯수는 mm2 당 10,000개 내지 150,000개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mm2 당 18,000개 내지 100,000개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mm2 당 20,000개 내지 100,000개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중합체 용액은 하나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 10 중량% 내지 20 중량%, 하나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 3 중량% 내지 11 중량%, 용매 66 중량% 내지 86 중량% 및 적합한 첨가제 1 중량% 내지 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첨가제는 예를 들면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물, 글리세롤 및/또는 다른 알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응고 유체(coaqualtion flui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n-메틸피롤리돈(MMF),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부티롤락톤 및 이들 용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중앙 유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의 일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체는 상기 언급한 하나 이상의 용매 및 물, 글리세롤 및 다른 용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침강 매질(precipating medium)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유체는 침강 매질 45 중량% 내지 70 중량%, 용매 30 중량% 내지 55 중량%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 0 내지 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단지 예시만으로 주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어 혈액투석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중공 섬유 막을 개선시키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소공 크기가 0.5 ㎛ 내지 3 ㎛ 이고 소공 갯수가 mm2 당 10,000개 내지 150,000개, 바람직하게는 mm2 당 18,000 내지 100,000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mm2 당 20,000개 내지 100,000개인 소공을 보유하는 외부 표면을 지닌 중공형 막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용매 상 반전 방사 공정(solvent phase inversion spinning process)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방법은
(a) 하나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를 하나 이상의 용매 중에 용해시켜 중합체 용액을 형성시키는 단계,
(b) 상기 형성된 중합체 용액을, 2개의 동심원 개방부를 지닌 노즐의 외부 링 슬릿을 통해 압출시키는 단계,
(c) 노즐의 내부 개방부를 통해 중앙 유체(center fluid)를 압출시키는 단계, 이후
(d) 상기 막을 세척하고, 바람직하게는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슬릿 개방부를 통해 나오는 중합체 용액은, 침강하는 섬유의 외측 상에서, 물 함량에 대하여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용매를 포함하는 습한 증기/공기 혼합물에 노출시킨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혈액투석, 혈액투석여과, 혈액여과에서, 그리고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물 정제 및 탈수를 위한 투석 및 여과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막의 용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이점 및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첨부한 주사 현미경 사진 및 첨부한 청구의 범위를 함께 고려할 경우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명백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중합체 용액은 폴리아릴에테르설폰 13.5 중량%, 폴리아미드 0.5 중량%, PVP K30 7.5 중량% 및 NMP 78.5 중량%를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물 59%와 41% NMP의 혼합물은 중앙 유체로서 작용하였다. 중합체 용액의 점도는 온도 22℃에서 측정시 4,230 mPas이었다.
중앙 유체는 55℃로 가열하고, 2 성분 중공 섬유 방사구(spinneret)를 향해 펌핑하였다. 중합체 용액은 외부 직경이 0.5 mm이고 내부 직경이 0.35 mm인 환상 슬릿을 통해 방사구로부터 배출시켰다. 중앙 유체는 내측으로부터 중합체 용액의 침강을 개시하고 중공 섬유의 내부 직경을 결정하기 위해서 환상 중합체 용액 튜브의 중앙에서 방사구로부터 배출시켰다.
동시에 2 성분(중합체 용액과 중앙 유체)을 실내 대기로부터 분리된 스페이스 내로 진입시켰다. 이 스페이스는 방사 샤프트(spining shaft)라고 칭하였다. 이 방사 샤프트에 증기(100℃)와 공기(22℃)의 혼합물을 주입하였다. 방사 샤프트내에서 온도를 49℃ 및 상대 습도 99.5%에서 증기와 공기의 비율로 조정하고, 거기에서 용매 함량을 물 함량에 대하여 3.9 중량%로 조정하였다. 상기 용매는 NMP이었다. 방사 샤프트의 길이는 890 mm이었다. 중력 및 모터 구동 롤러의 보조로, 중공 섬유를 수직 방향으로 정상에서 바닥으로, 방사구에서 방사 샤프트를 통해 수조 내로 인출하였다. 방사 속도가 50 m/분이었다. 이어서, 중공 섬유는 20℃에서 90℃로 증가하는 온도 및 수조의 다단계를 통해 유도하였다. 수-세척 조로부터 배출되는 습윤 중공 섬유 막을 대류 온라인 건조 단계에서 건조시켰다. 텍스처링 단계 후, 중공 섬유는 다발 형상으로 물레(spinning wheel) 상에 수집하였다. 그 다발을 투석기 하우징 내로 도입한 후, 상기 다발을 폴리우레탄으로 포팅 처리하고, 단부를 절단하며, 투석기 양면 상에서 헤더를 하우징에 고정하고, 투석기를 열수로 세정하며 공기로 건조시켰다. 이 마지막 건조 단계 동안, 유효 막 면적 m2 당 잔류 물(residual water) 17 g의 양이 투석기 상에 잔류하였다. 라벨 및 포장 처리 후, 투석기를 포장 상태로 121℃의 오토클레이브에서 25 분 동안 증기 살균 처리하였다.
도 실시예 1에 따른 중공 섬유의 외부 표면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1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중공 섬유는 mm2 당 0.5 ㎛ 내지 3 ㎛ 범위의 소공을 62,500개를 보유하였다.
실시예 2
중공 섬유는 보다 적은 양의 증기를 방사 샤프트에서 사용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였다. 방사 샤프트에서 온도는 37℃에서 증기와 공기의 비율 및 상대 습도 84%로 조정하였다. 용매(NMP)의 함량을 물 함량에 대하여 2.4 중량%로 조정하였다.
실시예 2에 따른 중공 섬유의 외부 표면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2에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 섬유는 mm2 당 0.5 ㎛ 내지 3 ㎛ 범위의 소공을 18,700개를 보유하였다.
실시예 3(비교)
중공 섬유는 증기를 방사 샤프트에서 사용하지 않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하였다. 방사 샤프트에서 온도는 26℃이었고, 상대 습도는 55%이었다.
실시예 3에 따른 중공 섬유의 외부 표면의 주사 전자 현미경 사진을 도 3에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중공 섬유는 mm2 당 0.5 ㎛ 내지 3 ㎛ 범위의 소공을 3,650개를 보유하였다.
이어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따라 제조한 중공 섬유는 스크래핑 처리된 섬유 다발, 클리어란스 우레아 및 선택성 미오글로불린/알부민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체계수(sieving coefficients)를 측정하여) 클리어란스 우레아 및 선택성 미오글로불린/알부민을 측정하는 데 이용된 방법은 EN 1283이었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본 발명에 따른 것이지만, 실시예 3은 본 발명에 따른 것이 아니며, 이들 실시예는 단지 비교를 위해 제시한 것이었다.
실시예 스크래핑 처리된 섬유 다발(%) 클리어란스 우레아ml/분 선택성 미오글로불린/알부민
1 0.6 272 16
2 6 252 8
3 48 208 5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막의 이점은 본 발명의 막이 보다 높은 선택성, 보다 높은 확산 투과성, 개선된 취급 특성, 개선된 포팅 특성, 상이한 유형 막(낮은 플럭스, 중간 플럭스 및 높은 플럭스 등)에 대한 높은 다용도성을 보유하고, 막 구조 내에 높은 비대칭성 및 높은 수의 중량이 존재한다고 할지라도, 결함 없는 섬유의 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낸다는 점이다.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다양한 대체예 및 변경예는 본 발명의 영역 및 사상을 벗어나는 일 없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에 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3)

  1. 하나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로 구성되는, 예를 들어 혈액투석에 적합한 선택투과성 비대칭 중공 섬유 막으로서,
    중공 섬유 막의 외부 표면은 0.5 ㎛ 내지 3 ㎛ 범위의 소공을 보유하고, 외부 표면 상에 존재하는 상기 소공의 갯수는 mm2 당 10,000개 내지 150,000개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mm2 당 18,000개 내지 100,000개의 범위, 가장 바람직하게는 mm2 당 20,000개 내지 100,000개의 범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투과성 비대칭 중공 섬유 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소밀하기보다는 조밀한 층의 형태인 제1 내부 분리 층, 스펀지 구조의 형태인 제2 층, 핑거 구조의 형태인 제3 층, 및 제1항에 따른 외부 표면을 보유하는 스펀지 층의 형태인 제4 외부 층을 포함하는 4층 구조를 보유하는 것인 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37℃에서 측정시 15 - 17 × 10-4 cm/sec인 우레아의 확산 투과성을 보유하는 것인 막.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 층은 1 ㎛ 미만의 두께를 보유하고, 상기 제2 층은 약 1 ㎛ 내지 15 ㎛의 두께를 보유하며, 상기 제3 층은 약 20 ㎛ 내지 60 ㎛의 두께를 보유하고, 상기 제4 층은 약 1 ㎛ 내지 10 ㎛의 두께를 보유하는 것인 막.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상기 하나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 65 중량% 내지 95 중량% 및 하나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 5 중량% 내지 3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인 막.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는 폴리아미드(PA), 폴리아라미드(PAA), 폴리아릴에테르설폰(PAES), 폴리에테르설폰(PES), 폴리설폰(PSU), 폴리아릴설폰(PASU), 폴리카르보네이트(PC),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PUR), 폴리에테르이미드 및 상기 중합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설폰이거나, 또는 폴리아릴에테르설폰과 폴리아미드의 혼합물인 것인 막.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폴리글리콜모노에스테르, 수용성 셀룰로즈계 유도체, 폴리소르베이트 및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하고,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인 것인 막.
  8. (a) 하나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 및 하나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를 하나 이상의 용매 중에 용해시켜 중합체 용액을 형성시키는 단계,
    (b) 상기 형성된 중합체 용액을, 2개의 동심원 개방부를 지닌 노즐의 외부 링 슬릿을 통해 압출시키는 단계,
    (c) 노즐의 내부 개방부를 통해 중앙 유체를 압출시키는 단계, 이후
    (d) 상기 막을 세척하고, 바람직하게는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용매 상 반전 방사에 의해 제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외부 슬릿 개방부로부터 배출되는 중합체 용액은 침강하는 섬유의 외측 상에서 물 함량에 대하여 0.5 중량%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용매를 포함하는 습한 증기/공기 혼합물에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습한 증기/공기 혼합물 내의 용매 함량이 물 함량에 대하여 0.5 중량% 내지 5 중량%인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습한 증기/공기 혼합물 내의 용매 함량이 물 함량에 대하여 2 중량% 내지 3 중량%인 방법.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습한 증기/공기 혼합물의 온도가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이고, 75℃ 이하, 바람직하게는 60℃ 이하인 방법.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습한 증기/공기 혼합물의 상대 습도가 60% 내지 100%인 방법.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중합체 용액은 하나 이상의 소수성 중합체 10 중량% 내지 20 중량%, 하나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 3 중량% 내지 11 중량%, 용매 66 중량% 내지 86 중량%, 및 적합한 첨가제 1 중량% 내지 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인 방법.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중합체 용액은 물, 글리세롤 또는 다른 알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응고 유체 1 중량% 내지 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n-메틸피롤리돈(NMP),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부티롤락톤 및 이들 용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하는 것인 방법.
  16.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체는 상기 하나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의 일부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7. 제8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체는 n-메틸피롤리돈(NMP),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부티롤락톤 및 이들 용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18. 제8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체는 물, 글리세롤 및 다른 알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침강 매질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19. 제8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유체는 침강 매질 45 중량% 내지 70 중량%, 용매 30 중량% 내지 55 중량% 및 하나 이상의 친수성 중합체 0 내지 5 중량%로 구성되는 것인 방법.
  20. 혈액투석, 혈액투석여과 및 혈액여과에서의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막의 용도.
  21. 투석 및 여과에서의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막의 용도.
  22. 혈액투석, 혈액투석여과 및 혈액여과에서의 제8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한 막의 용도.
  23. 투석 및 여과에서의 제8항 내지 제19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한 막의 용도.
KR20057007423A 2002-12-20 2003-12-17 선택투과성 막 및 이것의 제조 방법 KR101007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203857A SE0203857L (sv) 2002-12-20 2002-12-20 Permselektivt membran och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därav
SE0203857-8 2002-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852A true KR20050083852A (ko) 2005-08-26
KR101007956B1 KR101007956B1 (ko) 2011-01-14

Family

ID=2029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07423A KR101007956B1 (ko) 2002-12-20 2003-12-17 선택투과성 막 및 이것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8496122B2 (ko)
EP (1) EP1578521B1 (ko)
JP (1) JP4417849B2 (ko)
KR (1) KR101007956B1 (ko)
CN (1) CN100563800C (ko)
AT (1) ATE478724T1 (ko)
AU (1) AU2003291586B2 (ko)
CA (1) CA2506229C (ko)
DE (1) DE60333948D1 (ko)
ES (1) ES2351332T3 (ko)
SE (1) SE0203857L (ko)
WO (1) WO200405645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979B1 (ko) * 2012-06-29 2014-07-07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아라미드 중공사를 지지체로 구비한 정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US10898860B2 (en) 2015-03-24 2021-01-26 Arstroma Co., Ltd. Fluid separation apparatus comprising fluid separation membrane, and fluid separation membrane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0203855L (sv) 2002-12-20 2004-06-21 Gambro Lundia Ab Permselektivt membran
WO2008046630A1 (en) * 2006-10-19 2008-04-24 Joanneum Research Forschungsgesellschaft Mbh Devices for and methods of monitoring a parameter of a fluidic sample by microdialysis
US7977451B2 (en) 2006-12-15 2011-07-12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arylether membranes
DE102008003090A1 (de) * 2008-01-03 2009-07-16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Hohlfasermembran
ES2422162T3 (es) 2008-04-30 2013-09-09 Gambro Lundia Ab Membrana de fibra hueca para hemodiálisis con permeabilidad y selectividad mejoradas
EP2156881A1 (en) 2008-08-22 2010-02-24 Gambro Lundia AB Cap for a diffusion and/or filtration device
DK2321360T3 (da) 2008-08-28 2021-02-08 Evonik Canada Inc Termisk stabile biuret- og isocyanuratbaserede overflademodificerende makromolekyler og anvendelser deraf
EP2168666A1 (en) 2008-09-25 2010-03-31 Gambro Lundia AB Irradiated membrane for cell expansion
EP2177603A1 (en) 2008-09-25 2010-04-21 Gambro Lundia AB Device for renal cell expansion
EP2168668A1 (en) 2008-09-25 2010-03-31 Gambro Lundia AB Membrane for cell expansion
EP2168614B1 (en) 2008-09-25 2012-02-15 Gambro Lundia AB Hybrid bioartificial kidney
CN102481527B (zh) * 2008-10-07 2015-04-01 纽约州立大学研究基金会 高通量高效率纳米纤维膜及其制备方法
KR101331056B1 (ko) * 2009-05-15 2013-11-19 인터페이스 바이오로직스 인크. 항혈전성 중공 섬유막 및 필터
DK2295132T3 (en) 2009-05-15 2016-12-05 Interface Biologics Inc Antithrombogenic hollow-fiber membranes, molding material and blood long
AU2010224421B9 (en) * 2009-05-15 2015-10-08 Interface Biologics Inc. Antithrombogenic hollow fiber membranes and filters
ATE531445T1 (de) 2009-05-20 2011-11-15 Gambro Lundia Ab Membranen mit verbesserter leistung
ATE532577T1 (de) 2009-05-20 2011-11-15 Gambro Lundia Ab Membranen mit verbesserter leistung
EP2253367B1 (en) 2009-05-20 2014-11-19 Gambro Lundia AB Membranes having improved performance
EP2253370B1 (en) * 2009-05-20 2014-10-01 Gambro Lundia AB Hollow fibre membranes having improved performance
EP2253371A1 (de) * 2009-05-22 2010-11-24 B. Braun Avitum AG Hohlfasermembran und Dialysator
EP2412798A1 (en) 2010-07-27 2012-02-01 Gambro Lundia AB Biomimetic membrane for cell expansion
SG190002A1 (en) * 2010-10-25 2013-06-28 Agency Science Tech & Res Tubular fiber membrane with nanoporous skin
KR101077954B1 (ko) * 2011-03-18 2011-10-28 주식회사 휴비스 강도 및 수투과도가 우수한 폴리설폰계 중공사막 및 그 제조방법
SG188680A1 (en) * 2011-09-14 2013-04-30 Univ Singapore Thin film composite nanofiltration hollow fiber membranes
EP2604331B1 (en) 2011-12-15 2017-01-25 Gambro Lundia AB Doped membranes
EP2636442A1 (en) 2012-03-05 2013-09-11 Gambro Lundia AB Low cut-off ultrafiltration membranes
CN102698618B (zh) * 2012-04-16 2015-11-18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用于膜蒸馏过程的聚醚砜多孔膜及其制备方法
CN103111192B (zh) * 2013-02-28 2016-02-10 南京工业大学 一种陶瓷中空纤维膜的微观结构调变方法
WO2014204403A2 (en) * 2013-06-19 2014-12-24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Thin film composite hollow fibers for osmotic power generation
US10335789B2 (en) 2013-07-26 2019-07-02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Magnetic separation filters for microfluidic devices
EP2845641B1 (en) 2013-09-05 2018-05-09 Gambro Lundia AB Permselective asymmetric membranes with high molecular weight polyvinylpyrrolidone, the preparation and use thereof
CN105636677B (zh) * 2013-10-15 2019-03-12 巴斯夫欧洲公司 改进过滤膜的化学稳定性
PT3102312T (pt) 2014-02-06 2018-12-18 Gambro Lundia Ab Hemodialisador para purificação de sangue
CN115445457A (zh) * 2014-02-06 2022-12-09 甘布罗伦迪亚股份公司 用于血液净化的膜
EP2939731B1 (en) * 2014-04-30 2018-10-03 Gambro Lundia AB UV-irradiated hollow fiber membranes
CN106457164A (zh) 2014-05-01 2017-02-22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有限公司 多孔非对称聚苯醚膜和相关的分离模块及方法
WO2015168409A1 (en) 2014-05-01 2015-11-05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Amphiphilic block copolymer; composition, membrane, and separation module thereof;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017514957A (ja) 2014-05-01 2017-06-08 サビック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ベスローテン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および両親媒性ポリマを含む支持体を有する複合膜、製造方法、およびその分離モジュール
CN106255543B (zh) 2014-05-01 2019-03-08 沙特基础工业全球技术有限公司 覆层的不对称聚(亚苯基醚)共聚物膜、气体分离单元及其制备方法
WO2016054733A1 (en) 2014-10-06 2016-04-14 Interface Biologics, Inc. Packaging materials including a barrier film
US10851241B2 (en) 2014-11-19 2020-12-01 Cytiva Sweden Ab Zwitterion-functionalized multicomponent copolymers and associated polymer blends and membranes
EP3037156A1 (en) * 2014-12-22 2016-06-29 Gambro Lundia AB On-line drying of hollow fiber membranes
WO2016178835A1 (en) 2015-05-01 2016-11-10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Method for making porous asymmetric membranes and associated membranes and separation modules
CN104906972A (zh) * 2015-05-20 2015-09-16 苏州市贝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二氧化钛/聚醚血液透析膜及其制备方法
TWI746476B (zh) * 2015-11-13 2021-11-21 美商艾克頌美孚硏究工程公司 混合之二甲苯的分離
EP3195921A1 (en) 2016-01-22 2017-07-26 Gambro Lundia AB Filter membrane and device
DE102016102782A1 (de) * 2016-02-17 2017-09-14 B. Braun Avitum Ag Dialysemembra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6980679B2 (ja) * 2016-03-15 2021-12-15 ソルベイ スペシャルティ ポリマーズ イタリー エス.ピー.エー. スルホンポリマー膜製造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US10307717B2 (en) 2016-03-29 2019-06-0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rous membranes and associated separation modules and methods
US9815031B2 (en) 2016-03-29 2017-11-1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Porous membranes and associated separation modules and methods
CN106360843B (zh) * 2016-09-22 2017-10-31 东华大学 一种高舒适性纳米纤维自粘防护口罩
CN110167995B (zh) 2016-10-18 2022-07-01 界面生物公司 具有表面改性大分子的塑化pvc混合物和由其制成的制品
US10967331B2 (en) * 2016-10-26 2021-04-06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Hollow fiber membrane
CN106823806B (zh) * 2017-03-23 2020-04-28 南京膜材料产业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规则四层结构的纳滤膜、制备方法及在高浓度盐分离过程中的应用
EP3421117A1 (en) * 2017-06-28 2019-0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amide flat sheet membranes with microporous surface structure for nanoparticle retention
WO2019014400A1 (en) 2017-07-14 2019-01-17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PROCESS FOR OBTAINING SURFACE MODIFICATION COMPOSITION WITH ENHANCED BY-PRODUCT REMOVAL
EP3431171A1 (en) 2017-07-19 2019-01-23 Gambro Lundia AB Filter membrane and device
JP7305621B2 (ja) * 2017-09-11 2023-07-10 フレセニウス メディカル ケア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微多孔膜およびその作製方法
EP3691775A1 (en) 2017-10-05 2020-08-12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Polysulfone-urethane copolymer, membranes and products incorporating same,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CN109251765B (zh) * 2018-10-31 2020-05-05 中国石油大学(华东) 一种石脑油中提取有机硫化物的聚氨酯/聚偏氟乙烯复合膜及其制备方法
EP3680005A1 (en) 2019-01-10 2020-07-15 Gambro Lundia AB Membrane with immobilized anticoagulant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CN115245757B (zh) * 2021-04-28 2023-07-2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纳滤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3491A (en) * 1964-09-02 1969-01-21 Dow Chemical Co Permselective hollow fibers and method of making
US3526588A (en) * 1967-09-21 1970-09-01 Amicon Corp Macromolecular fractionation process
US3615024A (en) * 1968-08-26 1971-10-26 Amicon Corp High flow membrane
JPS5656202A (en) * 1979-10-15 1981-05-18 Asahi Chem Ind Co Ltd Hollow porous membrane yarn made of polyvinylidene fluoride type resin
EP0086235B1 (en) * 1981-08-22 1986-04-30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Aromatic polysulfone resin hollow yarn membran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DE3149976A1 (de) 1981-12-17 1983-06-30 Hoechst Ag, 6230 Frankfurt Makroporoese asymmetrische hydrophile membran aus synthetischem polymerisat
JPS59160506A (ja) * 1983-02-28 1984-09-11 Kuraray Co Ltd 複合中空糸分離膜およびその製造法
EP0183757B1 (fr) * 1984-06-13 1991-10-30 Lyonnaise Des Eaux - Dumez Procede de fabrication de fibres creuses et leurs applications notamment dans le domaine des separations par membranes
DE3426331A1 (de) * 1984-07-17 1986-01-30 6380 Bad Homburg Fresenius AG Asymmetrische mikroporoese hohlfaser fuer die haemodialyse sowi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E460521B (sv) 1987-08-31 1989-10-23 Gambro Dialysatoren Permselektiv asymmetriskt membran samt foerfarande foer dess framstaellning
FI885009A (fi) * 1987-11-02 1989-05-03 Tokyo Bi Tech Lab Inc Fibermembran samt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rengoering av blod.
JP2899352B2 (ja) * 1990-03-29 1999-06-02 株式会社クラレ 多孔性の中空糸膜
US5762798A (en) 1991-04-12 1998-06-09 Minntech Corporation Hollow fiber membrane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707522A (en) * 1992-08-10 1998-01-13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Permselective membrane of polyacrylonitrile copolym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340480A (en) * 1992-04-29 1994-08-23 Kuraray Co., Ltd. Polysulfone-based hollow fiber membran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6168926A (ja) * 1992-08-26 1994-06-14 Fuji Electric Co Ltd キャリアレスウェーハ洗浄装置におけるウェーハ搬送制御方法
EP0604882B1 (de) * 1992-12-30 1998-08-26 Hoechst Aktiengesellschaft Semipermeable Membranen aus homogen mischbaren Polymerlegierungen
US5571418A (en) 1993-08-20 1996-11-05 Lee; Patrice A. Hemofiltration of toxic mediator-related disease
JP3714686B2 (ja) * 1994-04-27 2005-11-09 旭化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ポリスルホン系中空糸膜及びその製造方法
DE19518624C1 (de) 1995-05-24 1996-11-21 Akzo Nobel Nv Synthetische Trennmembran
DE69634352T2 (de) * 1995-06-30 2006-01-12 Toray Industries, Inc. Methode zur Herstellung einer teildurchlässigen Hohlfasermembran aus Polysulfon
US6045899A (en) * 1996-12-12 2000-04-04 Usf Filtration & Separations Group, Inc. Highly assymetric, hydrophilic, microfiltration membranes having large pore diameters
WO1998052683A1 (fr) * 1997-05-19 1998-11-26 Asahi Medical Co., Ltd. Membrane hemocathartique en fibres creuses a base de polysulfone et ses procedes de production
KR100602429B1 (ko) * 1999-12-29 2006-07-20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설폰계 중공사막 및 그의 제조방법
CN1305865A (zh) * 2000-01-18 2001-08-01 常州市朗生医疗器械工程有限公司 聚芳砜空心纤维膜及其制造方法
US6802820B1 (en) * 2000-04-13 2004-10-12 Transvivo, Inc. Specialized hollow fiber membranes for in-vivo plasmapheresis and ultrafiltration
US6787040B2 (en) 2000-05-16 2004-09-07 Immunocept, L.L.C. Method and system for colloid exchange therapy
DE60230033D1 (de) 2001-04-18 2009-01-08 Asahi Kasei Kuraray Medical Co Asymmetrische poröse foli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S6890435B2 (en) * 2002-01-28 2005-05-10 Koch Membrane Systems Hollow fiber microfiltration membranes and a method of making these membranes
SE0203855L (sv) 2002-12-20 2004-06-21 Gambro Lundia Ab Permselektivt membra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979B1 (ko) * 2012-06-29 2014-07-07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아라미드 중공사를 지지체로 구비한 정삼투막 및 그 제조방법
US10898860B2 (en) 2015-03-24 2021-01-26 Arstroma Co., Ltd. Fluid separation apparatus comprising fluid separation membrane, and fluid separation membrane module
US11534721B2 (en) 2015-03-24 2022-12-27 Arstroma Co., Ltd. Fluid separation apparatus comprising fluid separation membrane, and fluid separation membrane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78521A1 (en) 2005-09-28
ATE478724T1 (de) 2010-09-15
SE0203857D0 (sv) 2002-12-20
ES2351332T3 (es) 2011-02-03
US9028740B2 (en) 2015-05-12
JP4417849B2 (ja) 2010-02-17
CA2506229C (en) 2011-08-02
US20130277878A1 (en) 2013-10-24
US8496122B2 (en) 2013-07-30
WO2004056459A1 (en) 2004-07-08
CA2506229A1 (en) 2004-07-08
AU2003291586A1 (en) 2004-07-14
CN1711127A (zh) 2005-12-21
SE0203857L (sv) 2004-06-21
AU2003291586B2 (en) 2008-11-13
CN100563800C (zh) 2009-12-02
US20060234582A1 (en) 2006-10-19
EP1578521B1 (en) 2010-08-25
DE60333948D1 (de) 2010-10-07
JP2006510483A (ja) 2006-03-30
KR101007956B1 (ko) 201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956B1 (ko) 선택투과성 막 및 이것의 제조 방법
EP0568045B1 (en) Polysulfone-based hollow fiber membran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136675B2 (en) Perm selective asymmetric hollow fibre membrane for the separation of toxic mediators from blood
KR102316246B1 (ko) 혈액 정화를 위한 혈액 투석기
US5938929A (en) Polysulfone hollow fiber semipermeable membrane
US9616393B2 (en) Porous hollow fiber membrane for treating blood
JPH06165926A (ja) ポリスルホン系中空繊維膜とその製造方法
JPH0554373B2 (ko)
CA2202969C (en) Selectively permeable hollow fiber membran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2792556B2 (ja) 血液浄化用モジュール、血液浄化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89863A (ja) ポリスルホン系中空糸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S6333871B2 (ko)
JP2703266B2 (ja) ポリスルホン中空繊維膜およびその製法
JP4036740B2 (ja) 中空糸型血液浄化膜の製造方法
JP4386607B2 (ja) ポリスルホン系血液浄化膜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スルホン系血液浄化膜
JP2000107577A (ja) 選択透過性中空糸膜の製造方法
JP2005144347A (ja) 医療透析用中空糸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57622A (ko) 재흡수성이 우수한 한외여과막의 제조방법
JPH07241336A (ja) 血漿処理用中空糸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