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387A -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 - Google Patents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387A
KR20050083387A KR1020040011897A KR20040011897A KR20050083387A KR 20050083387 A KR20050083387 A KR 20050083387A KR 1020040011897 A KR1020040011897 A KR 1020040011897A KR 20040011897 A KR20040011897 A KR 20040011897A KR 20050083387 A KR20050083387 A KR 20050083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elastic
player
head portion
sw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1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1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83387A/ko
Publication of KR20050083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38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6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having a different main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P3 플레이어에 있어서, 특히 스위치 구조를 회전식으로 동작시켜 줄 수 있도록 한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는, MP3 플레이어에 있어서, 일측에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단면에 스위치 접점을 위한 제 1 및 제 2탄성 스위치, 복원을 위한 탄성 스프링을 구비한 사각형상의 몸체와; 상기 사각형상의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소정각도 좌/우 회동하여, 상기 제 1 및 제 2탄성 스위치를 스위치 온시키는 스위치 선택돌기가 형성된 회동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각형상의 몸체의 상단 둘레면 및 회동 헤드부의 저면에는 회동시 이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 및 가이드 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동 헤드부의 스위치 선택돌기는 삼각형 구조로 제 1 및 제 2탄성 스위치와 대면하여 좌/우측으로 이동에 대해 스위치 접점을 온 시키고 탄성 스위치의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Switch structures of mp3 player}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있어서, 특히 원통형 MP3 등의 플레이어의 몸체의 스위치 구조를 회전식으로 동작시켜 줄 수 있도록 한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는 동영상, 멀티미디어 전문가 그룹으로 이 분야에 관한 전문가들이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전기표준회의(IEC)와 같은 국제 표준 기구의 산하에 모여 제정한 규격으로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압축해 전송하고 이를 다시 복원하는 것과 같은 기술적 기준을 제공한다. 그리고, MP3는 MPEG-1 Audio Layer-3를 의미하는 것으로, MPEG 기술의 오디오 부분 가운데 하나이다. MPEG 오디오 압축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CD의 오디오 사운드 정보를 1/12까지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과학 기술 및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처리 기술의 발전은 카세트 테이프 등과 같은 종래의 소리 축적 매체 외에 소리 데이터(즉, 오디오 사운드 정보)의 축적을 가능하게 하는 메모리 수단 및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 재생기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최근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MP3 플레이어에는 메모리 수단이 내장되어 있어 종래의 소리 축적 매체를 별도로 삽입하지 않더라도 원하는 소리 데이터를 음질의 저하 없이 장시간 재생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MP3 플레이어는 키 입력부(15), 표시부(20), 전원 공급부(25), 제어부(30), 디코더(35), D/A 변환부(40), 오디오 출력부(45), 이어폰 잭(50)을 포함한다.
키 입력부(15)는 MP3 저장부(55)에 저장된 음악파일 데이터의 재생 여부, 재생 방법, 표시부(20)에 표시 형태 등을 결정하기 위한 재생 버튼, 메뉴 버튼, 일시 정지 버튼, 곡 선택 버튼 등이 포함된다. 물론, 사용자의 키 입력이 있더라도 MP3 플레이어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홀드(HOLD)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20)는 MP3 저장부(55)의 음악파일 인식 정보, 재생중인 음악 파일 정보(예를 들어, 곡명, 재생 시간, 해당 곡의 순번 정보 등), MP3 플레이어의 작동 상태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수단이다. 표시부(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는 해당 MP3 플레이어가 어떤 기능을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며, 당해 MP3 플레이어에 의해 동작 가능한 기능 정보 중 해당 사용자에게 통지할 필요가 있는 모든 정보가 표시부(20)를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25)는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을 제공하는 수단이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25)로는 예를 들어, 충전지, 건전지 등과 같은 휴대용 전원 장치이거나, 외부 전원 소스로부터 구동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하는 어댑터 연결부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는 키 입력부(15)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MP3 저장부(55)내에 저장된 음악 데이터를 이어폰 잭(5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키 입력부(15), 표시부(20), 디코더(35), MP3 저장부(55)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코더(35)는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MP3 저장부(55)에 저장된 MP3 파일의 정보를 읽어내어 디코딩(decoding)하여 오디오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D/A 변환부(40)는 상기 디코더(35)에 의해 생성된 오디오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오디오 아날로그 데이터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그리고, 오디오 출력부(45)는 D/A 변환부(4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아날로그 데이터를 증폭 및 파형 정형화하여 증폭된 오디오 아날로그 데이터를 이어폰 잭(50)에 접속된 이어폰(2)을 통해 사용자가 최상의 조건으로 소리 데이터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도 2는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오디오 재생기기(1)는 전면 상단에 표시부(20)를 구비하여 각 종 기능, 재생 정보 등을 표시해 주며, 하단부에는 다수개의 키 입력부(15)가 구비된다.
상기 키 입력부(15)는 대개 재생버튼(10), 재생 및 탐색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르게 조절하는 버튼(11), 정지버튼(12), 일시정지 버튼(13), 볼륨 버튼(14), 그리고 홀드 스위치(12), 메뉴 버튼, 녹음버튼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재생버튼(10)은 누르는 시간 정도에 따라 전원의 온/오프, 재생 기능이 포함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오디오 재생기기(1)는 외부에 노출되는 버튼 특히, 재생버튼 등이 불필요하게 눌려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즉, 이동중에 오디오 재생기기(1)를 휴대하기 위해 호주머니 또는 가방 등에 보관한 후 이어폰으로 음악을 듣게 된다. 이런 경우 사용자가 이동중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호주머니 또는 가방등에 서로 다른 힘이 전달되므로, 오디오 재생기기(1)의 버튼 등이 눌러지게 되는 불편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필요시 버튼이 눌려지더라도 그 상태를 유지하는 홀드 스위치(9)가 존재하지만, 사용시 홀드 스위치 기능을 온 또는 오프시켜 주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는 버튼에 의해 눌러짐에 따라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몸체 상에서 헤드부의 회전으로 스위치 접점을 온/오프시켜 줄 수 있도록 한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은 복수개의 스위치를 좌/우에 배치하고 헤드부를 소정 각도 회동시킬 경우 좌측 또는 우측의 스위치가 접점 온 됨과 동시에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헤드부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는,
MP3 플레이어에 있어서,
일측에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단면에 스위치 접점을 위한 제 1 및 제 2탄성 스위치, 복원을 위한 탄성 스프링을 구비한 사각형상의 몸체와;
상기 사각형상의 몸체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소정각도 좌/우 회동하여, 상기 제 1 및 제 2탄성 스위치를 스위치 온 접점시키는 스위치 선택돌기가 형성된 회동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각형상의 몸체의 상단 둘레면 및 회동 헤드부의 저면에는 회동시 이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 및 가이드 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동 헤드부의 스위치 선택돌기는 삼각형 구조로 제 1 및 제 2탄성 스위치와 대면하여 좌/우측으로 이동에 대해 스위치 접점을 온 시키고 탄성 스위치의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의 제 1 및 제 2탄성 스위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헤드부의 스위치 선택돌기의 회동에 대해 원 위치로 복원시켜 주는 탄성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MP3 플레이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동작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도 5를 참조하면, MP3기기(200)는 일면에 표시부(220)를 갖는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의 일단에 결합되며 소정 각도로 좌/우 회동하는 회동 헤드부(230))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210)의 상단 중심부에 결합홈(211)을 형성하고, 그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 홈(212), 그 상단 좌/우에 설치된 제 1 및 제 2탄성 스위치(213,214), 상기 회동 복원을 위한 탄성 스프링(215)을 구비하고,
상기 회동 헤드부(230)의 하단에 상기 탄성 스프링(215)으로 결합되며 제 1 및 제 2탄성 스위치(213,214) 사이로 회동하기 위한 스위치 선택돌기(235), 저면에 상기 가이드 홈(212)으로 끼워지는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232)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MP3 기기(200)는 사각형 형상이고 각 모서리 부위가 완만한 곡선 처리되어 있어, 거의 원 기둥 형상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MP3 기기(200)는 몸체(210)와 회동 헤드부(220)로 구성되며, 몸체(210)의 일측면에는 표시부(220)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바람직하게 각 종 MP3 플레이어의 전원 공급 및 재생, MP3 저장부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회동 헤드부(220)는 상기 몸체(210)로부터 소정 각도 좌/우로 회동하는 구조로 결합되며, 좌/우 회동시 플레이 온/오프(Play 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가 동작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의 상단 중심부에는 헤드 결합홈(211)이 형성되고 그 둘레면에는 각 모서리 부위에 가이드 홈(212)이 형성되며, 전방 가이드 홈(212) 사이에 좌/우로 제 1 및 제 2탄성 스위치(213,214)가 설치되며, 제 1 및 제 2탄성 스위치(213,214) 사이에는 파동 모양의 탄성 스프링(215)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탄성 스위치(213,214)는 예컨대 내부에 스프링이 압입된 상태로 설치하여 원 상태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을 가지게 된다.
이에 대응하는 회동 헤드부(230)의 내측 중심부에 헤드 결합보스(231)가 돌출되어 상기 헤드 결합홈(211)으로 끼워지며, 그 둘레면인 각 모서리 부위에 돌출된 가이드 돌기(232)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212)에 결합되어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또 회동 헤드부(230)의 중심부에 V자 형상의 스위치 선택돌기(235)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 스프링(215)의 중심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가이드 홈(212)은 소정의 회전 반경을 회동 헤드부(23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 및 일정 곡률 반경으로 형성된다.
도 5의 (a)와 같이 상기 스위치 선택돌기(230)는 삼각형 구조로 제 1탄성 스위치(213) 및 제 2탄성 스위치(214) 사이에 형성되며, 좌측면(235a)과 제 1탄성 스위치(213)가 대향하며, 우측면(235b)과 제 2탄성 스위치(214)가 대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의 스위치 작동에 대하여 도 5의 (a)(b)(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몸체(210)로부터 회동 헤드부(230)를 좌측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도 5의 (b)와 같이 스위치 선택돌기(235)는 좌측면(235a)이 제 1탄성 스위치(213)를 누르면서 스위치 접점을 온 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돌기(232)는 가이드 홈(212)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가이드 홈 끝단에 걸려 더 이상의 회동을 못하게 하여, 탄성 스위치를 보호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회동 헤드부(230)를 놓게 될 경우 제 1탄성 스위치(213)의 복원력으로 인해 스위치 선택돌기(235)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동시에 스위치 선택돌기(235)가 탄성 스프링(215) 상에서 이동된 상태이므로 다시 원 상태로 복원되는 구조이다. 그러면, 도 5의 (a)와 같은 원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회동 헤드부(230)를 우측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킬 경우, 도 5의 (c)와 같이 스위치 선택돌기(235)는 우측면(235b)이 제 2탄성 스위치(214)를 누르면서 스위치 접점을 온 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돌기(232)는 가이드 홈(212)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가이드 홈 끝단에 걸려 더 이상의 회동을 못하게 하여, 탄성 스위치를 보호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회동 헤드부(230)를 놓을 경우 제 2탄성 스위치(214)의 복원력으로 스위치 선택돌기(235)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고, 동시에 스위치 선택돌기(235)가 탄성 스프링(215) 상에서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다시 원 상태로 복원되는 구조이다. 그러면, 회동 헤드부(230)는 도 5의 (a)와 같이 원래의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탄성 스위치(213,214)를 회동 헤드부(230)의 회전으로 스위치 접점을 온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마이컴 상에서 스위치 접점을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스위치 구조에 의한 스위치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MP3 기기에 전원이 공급된 상태에서(S101), 회동 헤드부(230)를 몸체(210)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 제1 탄성 스위치(SW1)의 접점이 온인가를 확인하고(S102), 제 1탄성 스위치가 온 이면 플레이 온으로 인식한다(S103).
그러나, 상기 제 1탄성 스위치가 스위치 온이 아니면 제 2탄성 스위치가 온인가를 확인하고(S106), 제 2탄성 스위치가 온이면 플레이오프로 인식하여 플레이오프 또는 정지한다(S107).
한편, 상기 플레이 온 상태(S103)에서 다시 제 1탄성 스위치가 온되었는가를 확인하고(S104), 제 1탄성 스위치가 온 되면 다음곡 선택 키로 인식하여 다음곡을 선택하고(S105), 제 1탄성 스위치가 아닌 제 2탄성 스위치가 온 이면 이전 곡 선택키로 인식하여 이전곡을 선택하게 된다(S108,S109).
이러한 다른 실시 예에서, 제 1탄성 스위치의 스위치 온 접점에 따라 플레이 온/오프를 토글 방식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다음곡 및 이전곡 선택을 하나의 스위치에 대한 온된 횟수로 설정해 줄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탄성 스위치의 누름 정도를 다르게 하여, 누름 정도가 길게 될 경우 메뉴 설정 온/오프 키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메뉴의 이동을 두 개의 탄성 스위치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MP3 등의 멀티미디어 재생기기 중에서, 원통형의 플레이어 상에서 회전식 스위치의 적용이 가능토록 함에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에 의하면, MP3기기를 몸체와 헤드부를 구분하고, 헤드부를 좌/우로 회전시켜 스위치 접점을 온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부에 노출되는 스위치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또 외관 디자인을 깨끗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MP3 플레이어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MP3 플레이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의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흐름도.

Claims (4)

  1. MP3 플레이어에 있어서,
    일측에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단면에 스위치 접점을 위한 제 1 및 제 2탄성 스위치, 복원을 위한 탄성 스프링을 구비한 사각형상의 몸체와;
    상기 사각형상의 몸체에 형합되면 상기 몸체를 기준으로 소정각도 좌/우 회동하여, 상기 제 1 및 제 2탄성 스위치를 스위치 온시키는 스위치 선택돌기가 형성된 회동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형상의 몸체의 상단 둘레면 및 회동 헤드부의 저면에는 회동시 이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 및 가이드 돌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헤드부의 스위치 선택돌기는 삼각형 구조로 제 1 및 제 2탄성 스위치와 대면하여 좌/우측으로 이동에 대해 스위치 접점을 온 시키고 탄성 스위치의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 1 및 제 2탄성 스위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 헤드부의 스위치 선택돌기의 회동에 대해 원 위치로 복원시켜 주는 탄성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
KR1020040011897A 2004-02-23 2004-02-23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 KR20050083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897A KR20050083387A (ko) 2004-02-23 2004-02-23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1897A KR20050083387A (ko) 2004-02-23 2004-02-23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387A true KR20050083387A (ko) 2005-08-26

Family

ID=3726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1897A KR20050083387A (ko) 2004-02-23 2004-02-23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8338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5777B1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およびエンタテインメント装置
KR20050083387A (ko)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구조
WO2004064361A1 (ja) 携帯型表示装置
JP4051728B2 (ja) 記録再生装置
JP4300694B2 (ja) 操作装置
JP4215048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20060025683A (ko)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어셈블리 및 그 동작제어방법
KR20000075404A (ko) 카세트형 엠피이지(mp3)오디오 재생장치와 스마트 뮤직카드
US7346916B2 (en) Disk cartridge and device to which disk cartridge is inserted
KR20060025684A (ko) Mp3 플레이어의 스위치 어셈블리
JP2003289186A (ja) 電子機器
KR19990073363A (ko) 카세트테입형오디오데이터또는신호기록및재생장치
JP2002078055A (ja) 携帯型音楽再生装置
JP4411530B2 (ja) 開閉状態検出装置及び電子機器
JP3767293B2 (ja) 半導体メモリプレーヤ
KR200324866Y1 (ko) 오디오 재생 장치
JP2004241333A (ja) 再生装置
KR200254150Y1 (ko) 컴퓨터용 씨디롬을 이용한 엠피쓰리 플레이어 장치
JP2006185172A (ja) 情報再生装置
JP4784661B2 (ja) 操作装置
JP3099755U (ja) Mp3音声記録/再生装置
KR19990086282A (ko)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형상을 갖춘 휴대용 오디오장치
JP2003288868A (ja) 電子機器
JP2003288772A (ja) 電子機器
KR101089939B1 (ko) 휴대용 디지털 오디오기기의 구간반복 녹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