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1661A -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1661A
KR20050081661A KR1020040010011A KR20040010011A KR20050081661A KR 20050081661 A KR20050081661 A KR 20050081661A KR 1020040010011 A KR1020040010011 A KR 1020040010011A KR 20040010011 A KR20040010011 A KR 20040010011A KR 20050081661 A KR20050081661 A KR 20050081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ooking chamber
chamber
electric oven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7481B1 (ko
Inventor
강명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0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481B1/ko
Publication of KR20050081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1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장실에 구비되는 할로겐 히터 및 세라믹 히터가 설치되는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100)의 상면 및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전장실(300)의 하면을 형성하는 히터 플레이트(340)와; 상기 전장실(3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복사열을 발생하는 할로겐 히터(320)와; 상기 전장실(3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조리실(100) 내부로 전달되는 전도열을 발생하는 세라믹 히터(330)와; 상기 히터 플레이트(340)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복사열을 통과시키는 히터 다공부(342)와; 상기 히터 플레이트(340)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성형되는 히터 베이스(350)와; 상기 히터 베이스(350)의 상면과 결합되어, 상기 할로겐 히터(320)와 세라믹 히터(330)를 감싸는 히터커버(322, 332)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히터 베이스의 하단 결합부에 법랑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복사 또는 전도열의 열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A mounting structure of heater for Electric oven}
본 발명은 전기오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 내부로 전달되는 복사 또는 전도열의 투과율을 높이고, 법랑 처리된 히터 다공부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오븐은 대량의 음식물을 빠르게, 그리고 골고루 익혀 조리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가열원을 이용하여 출력을 높혀서 음식물을 다양하게 요리할 수 있는 조리기기 제품이다.
도 1 은 종래 대류형 전기오븐의 측단면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10)의 전면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상기 조리실(1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창이 형성된 도어(11)가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10)의 후방에는 조리실(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조리실(10) 내부로 배출시키는 히터챔버(30)가 설치된다.
상기 조리실(10) 전면 상단부에는 외부조작에 의해 전기오븐을 작동하는 다수의 조작버튼(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 컨트롤패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고, 아래에서 설명할 블로우팬(54)에 의해 배기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챔버(3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컨벡션팬(40)을 구동시키는 모터(20)와, 상기 모터(20)의 회전축(21)에 결합되어 공기 순환을 발생시키는 컨벡션팬(40) 및 상기 컨벡션팬(40) 주위에 위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컨벡션히터(32)로 구성되며, 상기 조리실(10)의 후방, 즉 조리실(10)의 뒷면을 형성하는 백플레이트(34)에는 전방으로 상기 히터챔버(30)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챔버커버(42)가 설치된다.
상기 챔버커버(42)의 중심부에는 상기 컨벡션팬(40)에 의해 조리실(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출입공(42a)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챔버(30)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컨벡션팬(40)에 의해 다시 조리실(10) 내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조리실(10) 하부에는 피조리물이 위치하는 트레이(12)가 설치되고, 전원의 인가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하부히터(8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0) 상부, 즉 전장실(50)에는 상기 하부히터(80)와 같은 기능을 갖는 상부히터(60)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히터(60)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조리실(10) 내부로 전달하는 스티러팬(61)이 더 설치된다.
상기 전장실(50)에는 전원의 공급에 따라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압 트랜스(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고압 트랜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고전압을 충전하는 고압 캐패시터(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고압 캐패시터로부터의 전압공급에 따라 전자파를 발생시켜 상기 조리실(10) 내로 공급하는 마그네트론(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조리실(10) 내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상부팬(70)과, 상기 전장실(50) 내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블로우팬(5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웨이브와 함께 조리되는 음식물의 표면이 노릇노릇해지며, 조리가 빠른 시간안에 이루어지도록 상기 조리실(10) 내부로 복사열을 전달하는 할로겐 히터(62)와 전도열을 전달하는 세라믹 히터(63)가 설치된다.
상기 할로겐 히터(62) 및 세라믹 히터(63)의 상부에는 할로겐 히터(62) 및 세라믹 히터(63)를 보호하는 히터커버(62', 63')가 설치되고, 상기 히터커버(62', 63')의 내측에는 할로겐 히터(62) 및 세라믹 히터(63)에서 발열되는 열이 반사되는 반사판(도시되지 않음)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0)의 상단을 형성하고 상기 전장실(50)의 하단을 형성하는 히터 플레이트(64)의 상면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할로겐 히터(62) 및 세라믹 히터(63)의 하부에는 상기 조리실(10)에서 할로겐 히터(62) 및 세라믹 히터(63)로 침투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고, 할로겐 히터(62) 및 세라믹 히터(63)에서 발열되는 복사열과 전도열을 조리실(10) 내부로 투과시키는 히터 다공부(64a)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 다공부(64a)의 사방으로 상기 히터커버가 너트 결합되고 상기 히터 다공부(64a)를 감싸는 히터 베이스(66)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기오븐이 작동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전원의 인가에 의해 마그네트론(도시되지 않음)에서 조리실(10)로 고주파가 방사되고, 상기 상부 히터(60) 및 하부 히터(80)에서 발생된 열과 상기 할로겐 히터(62)의 복사열과 세라믹 히터(63)의 전도열이 조리실(1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챔버(30) 내부의 컨벡션팬(40)이 모터(2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조리실(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컨벡션히터(32)에 의해 가열시킨 후 다시 조리실(10) 내부로 배출시키는 열풍 순환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조리실(10)의 후방벽, 즉 상기 챔버커버(42)의 중심부에 가공된 공기출입공(42a)를 통해서 조리실(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히터챔버(30) 내부에서 모터(20)와 회전축(21)에 의해 연결된 컨벡션팬(40)과, 상기 컨벡션팬(40) 주위에 설치된 컨벡션히터(32)에 의해서 열풍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모터(20)는 전기오븐의 작동과 더불어 컨벡션팬(40)을 회전시키며, 이와 동시에 컨벡션히터(32)가 작동해서 주위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컨벡션팬(40)은 그 주위의 공기를 상기 챔버커버(42) 중심부의 공기출입공(42a)를 통해서 히터챔버(30)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조리실(10) 내부로 송풍한다. 따라서, 컨벡션팬(40)의 주위에 원형으로 설치된 컨벡션히터(32)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 주위 공기는, 상기 컨벡션팬(40)에 의해 강제 순환되는 열풍을 형성한다.
이 열풍은, 상기 컨벡션팬(40)에 의해 조리실(10)의 후방벽, 즉 상기 챔버커버(42)에 형성된 공기출입공(42a)을 통해서 다시 조리실(10) 내부로 송풍되어, 피조리물의 조리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공급하게 되는 강제 대류를 겪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10)에 구비되는 다수의 부품들의 열, 즉 전기오븐이 작동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론과 고압 트랜스 및 고압 캐패시터 등의 가열된 상태를 전장실(50)의 외관을 형성하는 좌/우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에 성형된 흡입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냉각시키게 되고, 상기 블로우팬(54)의 송풍에 의해 상기 전장실(50) 전면 상단의 배기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전기오븐의 작동시 상기 조리실(10)의 온도가 350도 이상의 고온으로, 근래에는 조리실(10) 상면인 상기 히터 플레이트(64)의 표면에 유리질 유약을 피복시킴으로써 상기 고온에도 잘 견디는 법랑 처리된 히터 플레이트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법랑 작업시 정전기식 스프레이방식을 사용하는데 상기 히터 플레이트(64)와 히터 베이스(66)의 하단이 만나는 결합부는 법랑이 잘 묻지 않아서 법랑하기가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전기오븐 작동 후에는 고온으로 셀프 크리닝(self-cleaning)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할로겐 히터(62) 및 세라믹 히터(63)와 법랑처리된 히터 다공부 간의 거리가 아주 중요한 팩터가 된다. 만일 너무 가까우면 상기 조리실(10) 내부로 복사 또는 전도되는 열효율은 좋아지나 상기 히터 다공부의 법랑 처리된 면에 균열이 생겨 법랑이 파손되는 문제점도 생기게 된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는 파장의 길이가 12㎝로 그보다 작은 구멍을 통해서는 에너지가 잘려서 통과되지만 그 양은 법적으로 정해져 있다. 따라서, UL 규제치(5㎜W/㎠)를 만족하면서 히터 에너지를 통과시키고, 법랑의 고유 성질을 유지하기에 적당한 홀 사이즈 및 홀 간 거리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히터 베이스 하단 결합부에 법랑 작업이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리실 내부로 전달되는 복사 또는 전도열의 투과율을 높이며, 법랑 처리된 히터 다공부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른 목적은, 히터 다공부의 홀 사이즈 및 홀 간 거리를 적정하게 유지하여 마이크로웨이브의 침투를 방지하고, 히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통과시키도록 설치되는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의 상면 및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전장실의 하면을 형성하는 히터 플레이트와; 상기 전장실의 일측에 설치되어, 복사열을 발생하는 할로겐 히터와; 상기 전장실의 일측에 설치되어, 조리실 내부로 전달되는 전도열을 발생하는 세라믹 히터와; 상기 히터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복사열을 통과시키는 히터 다공부와; 상기 히터 플레이트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성형되는 히터 베이스와; 상기 히터 베이스의 상면과 결합되어, 상기 할로겐 히터와 세라믹 히터를 감싸는 히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 베이스 측면 하단과 상기 히터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곡률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곡률의 반경은 2 ~ 8 ㎜ 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히터 베이스의 상방 돌출 높이는 6 ~ 16 ㎜ 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히터 다공부의 직경은 6.2 ~ 7.2 ㎜ 이며, 각 홀 간의 간격은 6 ~12 ㎜ 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히터 베이스의 하단 결합부에 법랑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히터 다공부의 표면이 파손되지 않고, 마이크로웨이브가 할로겐 및 세라믹 히터에 침투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기오븐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기오븐의 할로겐 히터가 설치된 상태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기오븐의 히터 다공부를 나타낸 부분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은,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100)의 전면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고, 상기 조리실(10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창이 형성된 도어(120)가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100)의 후방에는 조리실(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조리실(10) 내부로 배출시키는 히터챔버(200)가 설치된다.
상기 조리실(100) 전면 상단부에는 외부조작에 의해 전기오븐을 작동하는 다수의 조작버튼(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 컨트롤패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고, 아래에서 설명할 블로우팬(360)에 의해 배기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히터챔버(200)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컨벡션팬(220)을 구동시키는 모터(240)와, 상기 모터(240)의 회전축(250)에 결합되어 공기 순환을 발생시키는 컨벡션팬(220) 및 상기 컨벡션팬(220) 주위에 위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컨벡션히터(26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00)의 후방에는 상기 히터챔버(200)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챔버커버(280)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조리실(100)의 뒷면을 형성하는 백플레이트(270)에 상기 히터챔버(200)의 공간을 확보하고, 상기 히터챔버(200)와 조리실(100)을 구획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챔버커버(280)의 중심부에는 상기 컨벡션팬(220)에 의해 조리실(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출입공(282)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챔버(200)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컨벡션팬(220)에 의해 다시 조리실(100) 내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조리실(100) 하부에는 피조리물이 위치하는 트레이(140)가 설치되고, 전원의 인가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하부히터(16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00) 상부, 즉 전장실(300)에는 상기 하부히터(160)와 같은 기능을 갖는 상부히터(310)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히터(3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조리실(100) 내부로 전달하는 스티러팬(312)이 더 설치된다.
상기 전장실(300)에는 전원의 공급에 따라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압 트랜스(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고압 트랜스(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고전압을 충전하는 고압 캐패시터(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고압 캐패시터로부터의 전압공급에 따라 전자파를 발생시켜 상기 조리실(100) 내로 공급하는 마그네트론(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조리실(100) 내의 가스를 배출시키는 상부팬(380)과, 상기 전장실(300) 내의 열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블로우팬(36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되는 마이크로웨이브와 함께 조리되는 음식물의 표면이 노릇노릇해지며, 조리가 빠른 시간안에 이루어지도록 상기 조리실(100) 내부로 복사열을 전달하는 할로겐 히터(320)와 전도열을 전달하는 세라믹 히터(330)가 설치된다.
상기 할로겐 히터(320) 및 세라믹 히터(330)의 상부에는 할로겐 히터(320) 및 세라믹 히터(330)를 보호하는 히터커버(322, 332)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커버(322, 332)의 양측면과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 베이스(350)의 상면에는, 나사 체결되는 체결홀(도시되지 않음)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히터커버(322, 332)의 내측에는 할로겐 히터(320) 및 세라믹 히터(330)에서 발열되는 열이 반사되는 반사판(도시되지 않음)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00)의 상단을 형성하고 상기 전장실(300)의 하단을 형성하는 히터 플레이트(340)의 상면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할로겐 히터(320) 및 세라믹 히터(330)의 하부에는 상기 조리실(100)에서 할로겐 히터(320) 및 세라믹 히터(330)로 침투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고, 할로겐 히터(320) 및 세라믹 히터(330)에서 발열되는 복사열과 전도열을 조리실(100) 내부로 투과시키는 히터 다공부(342)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 다공부(342)의 사방으로 상기 히터커버(322, 332)가 너트 결합되고 상기 히터 다공부(342)를 감싸는 히터 베이스(350)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히터 베이스(350)의 하단과 히터 플레이트(340)가 만나는 결합부(352)는 법랑 작업시 법랑(표면에 유리질 유약을 피복시키는 것)이 잘 묻을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성형된다. 상기 결합부(352)의 라운드지는 반경은 크면 클수록 법랑 작업이 용이하나 사출 성형이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적당 수치가 필요하게 되는데, 실험적으로 검토된 수치는 5±3 ㎜, 즉 2 ~ 8 ㎜(R) 의 범위로써 상기 수치로 상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할로겐 히터(320) 및 세라믹 히터(330)의 복사 및 전도열이 상기 조리실(100)에 잘 전달되고, 법랑처리된 상기 히터 다공부(342)의 법랑 처리된 표면에 상기 조리실(100)의 고온(셀프 크리닝 작동시 온도 : 350도)으로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히터 베이스(350)의 높이는 11±5 ㎜, 즉 6 ~ 16 ㎜(h) 의 범위내로 실험적으로 상정되어 상기 수치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히터 다공부(342)는 상기 조리실(100)에서 침투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차단하고, 상기 할로겐 히터(320) 및 세라믹 히터(330)의 복사 또는 전도되는 열의 투과율을 높이고, 상기 히터 다공부(342)의 강도를 높이며, 법랑 고유의 성질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각 홀의 직경은 6.7±0.5 ㎜, 즉 6.2 ~ 7.2 ㎜(Ф)로 유지하고 각 홀 간의 거리는 9±3 ㎜, 즉 6 ~ 12 ㎜(d)로 유지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직경(Ф)이 너무 크면 열투과율은 좋으나, 상기 히터 다공부(342)의 각 홀 간 거리(d)가 너무 가깝게 되어 히터 다공부(342)의 전체적인 강도가 약해지게 되고, 상기 직경(Ф)이 너무 작으면 상기 히터 다공부(342)의 전체적인 강도는 좋으나, 각 홀로 복사 또는 전도되는 열의 투과율이 낮아지게 되므로, 상기 수치 범위내로 유지함이 실험적 데이타로 인정받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기오븐이 작동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전원의 인가에 의해 마그네트론(도시되지 않음)에서 조리실(10)로 고주파가 방사되고, 상기 상부히터(310) 및 하부히터(160)에서 발생된 열과 상기 할로겐 히터(320)의 복사열과 세라믹 히터(330)의 전도열이 조리실(1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챔버(200) 내부의 컨벡션팬(220)이 모터(240)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조리실(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히터(260)에 의해 가열시킨 후 다시 조리실(100) 내부로 배출시키는 열풍 순환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조리실(100)의 후방벽, 즉 상기 챔버커버(280)의 중심부에 가공된 공기출입공(282)을 통해서 조리실(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히터챔버(200) 내부에서 모터(240)와 회전축(250)에 의해 연결된 컨벡션팬(220)과, 상기 컨벡션팬(220) 주위에 설치된 컨벡션히터(260)에 의해서 열풍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모터(240)는 전기오븐의 작동과 더불어 컨벡션팬(220)을 회전시키며, 이와 동시에 컨벡션히터(260)가 작동해서 주위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컨벡션팬(220)은 그 주위의 공기를 상기 챔버커버(280) 중심부의 공기출입공(282)을 통해서 히터챔버(200)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조리실(100) 내부로 송풍한다. 따라서, 컨벡션팬(220)의 주위에 원형으로 설치된 컨벡션히터(26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 주위 공기는, 상기 컨벡션팬(220)에 의해 강제 순환되는 열풍을 형성한다.
이 열풍은, 상기 컨벡션팬(220)에 의해 조리실(100)의 후방벽, 즉 상기 챔버커버(280)에 형성된 공기출입공(282)을 통해서 다시 조리실(100) 내부로 송풍되어, 피조리물의 조리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공급하게 되는 강제 대류를 겪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100)에 구비되는 다수의 부품들의 열, 즉 전기오븐이 작동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론과 고압 트랜스 및 고압 캐패시터 등의 가열된 상태를 전장실(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좌/우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에 성형된 흡입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냉각시키게 되고, 상기 블로우팬(360)의 송풍에 의해 상기 전장실(300) 전면 상단의 배기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는, 히터 베이스의 하단 결합부를 라운드지도록 하여 그 반경을 2 ~ 8 ㎜로 성형하고, 히터 베이스의 상방 돌출 높이를 6 ~ 16 ㎜를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히터 다공부의 각 홀의 사이즈와 각 홀 간의 간격을 Ф6.2 ~ 7.2 ㎜와 6 ~ 12 ㎜로 유지하도록 구성하여 실험적으로 검토된 범위로 상정하였다.
따라서, 정전기식 스프레이방식이 사용되는 법랑 작업시 히터 베이스의 결합부에 법랑이 잘 묻을 수 있으며, 할로겐 히터 및 세라믹 히터에서 조리실 내부로 복사 또는 전도되는 열에너지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조리실에서 할로겐 히터 및 세라믹 히터로 침투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차단함과 동시에 복사 또는 전도되는 열에너지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고, 히터 다공부의 강도를 높일 수 잇으며, 법랑 고유의 성질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결국,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가 상승하여 제품 구매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도 1 은 종래 전기오븐의 측단면도.
도 2 는 종래 전기오븐의 할로겐 히터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기오븐의 측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기오븐의 할로겐 히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기오븐의 히터 다공부를 보인 부분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조리실 120. ..... 도어
140. ..... 트레이 160. ..... 하부히터
200. ..... 히터챔버 220. ..... 컨벡션팬
240. ..... 모터 250. ..... 회전축
260. ..... 컨벡션히터 270. ..... 백플레이트
280. ..... 챔버커버 282. ..... 공기출입공 300. ..... 전장실 310. ..... 상부히터 312. ..... 스티러팬 320. ..... 할로겐 히터 322, 332. ..... 히터커버 330. ..... 세라믹 히터 340. ..... 히터 플레이트 342. ..... 히터 다공부 350. ..... 히터 베이스 352. ..... 결합부 360. ..... 블로우팬 380. ..... 상부팬

Claims (5)

  1.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의 상면 및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전장실의 하면을 형성하는 히터 플레이트와;
    상기 전장실의 일측에 설치되어, 복사열을 발생하는 할로겐 히터와;
    상기 전장실의 일측에 설치되어, 조리실 내부로 전달되는 전도열을 발생하는 세라믹 히터와;
    상기 히터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복사열을 통과시키는 히터 다공부와;
    상기 히터 플레이트의 테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성형되는 히터 베이스와;
    상기 히터 베이스의 상면과 결합되어, 상기 할로겐 히터와 세라믹 히터를 감싸는 히터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베이스 측면 하단과 상기 히터 플레이트의 결합부는, 곡률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곡률의 반경은,
    2 ~ 8 ㎜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베이스의 상방 돌출 높이는,
    6 ~ 16 ㎜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다공부의 직경은 6.2 ~ 7.2 ㎜이며,
    각 홀 간의 간격은 6 ~ 12 ㎜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
KR1020040010011A 2004-02-16 2004-02-16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 KR100577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011A KR100577481B1 (ko) 2004-02-16 2004-02-16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0011A KR100577481B1 (ko) 2004-02-16 2004-02-16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1661A true KR20050081661A (ko) 2005-08-19
KR100577481B1 KR100577481B1 (ko) 2006-05-10

Family

ID=37268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0011A KR100577481B1 (ko) 2004-02-16 2004-02-16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4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715B1 (ko) * 2006-12-20 2007-12-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수의 열풍팬을 갖는 전자레인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715B1 (ko) * 2006-12-20 2007-12-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수의 열풍팬을 갖는 전자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7481B1 (ko)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495B1 (ko) 복합형 전자레인지
EP1207721B1 (en) Heater system for microwave oven
KR100395559B1 (ko) 히터를 가지는 전자렌지
KR100577481B1 (ko) 전기오븐의 히터 장착 구조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KR200353573Y1 (ko) 전기오븐의 도어 냉각 시스템
KR100764276B1 (ko) 조리기구
KR200349518Y1 (ko) 전기오븐의 챔버커버 구조
KR20070053566A (ko) 전자레인지 일체형 피자오븐의 가열구조
KR200365631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229347Y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1052094B1 (ko)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
JPS61125524A (ja) 複合加熱調理器
KR20060037664A (ko) 전자 레인지
JPH02238220A (ja) 加熱調理器
KR200372455Y1 (ko) 전기오븐의 도어탑브라켓 구조
KR20070053567A (ko) 전자레인지 일체형 피자오븐의 가열구조
KR100396764B1 (ko) 2단 조리가 가능한 전자렌지
JP2002276947A (ja) 加熱調理器
JP2003148742A (ja) 調理器及び調理方法
KR100533273B1 (ko) 전자레인지의 컨벡션 및 그릴 겸용히터 시스템
KR20050081353A (ko) 전기오븐의 히터챔버 구조
KR19990023541U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하히터와 컨벡션팬의 설치구조
JP2002089849A (ja) 熱風およびマイクロ波加熱装置
KR20010096941A (ko) 전자렌지의 히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