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347Y1 -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347Y1
KR200229347Y1 KR2020000035801U KR20000035801U KR200229347Y1 KR 200229347 Y1 KR200229347 Y1 KR 200229347Y1 KR 2020000035801 U KR2020000035801 U KR 2020000035801U KR 20000035801 U KR20000035801 U KR 20000035801U KR 200229347 Y1 KR200229347 Y1 KR 200229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heater
cooking chamber
cooking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5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3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347Y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캐비티(30)의 일측면에는 스터러팬조립체(40)를 설치하고, 상기 스터러팬조립체(40)가 설치된 반대쪽 캐비티(30) 측면에는 측면히터(62)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캐비티(30)의 상면에는 상부히터(52)와 마이크로웨이브의 발진을 위한 고압트랜스(72)나 고압캐패시터등을 설치하였다. 또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리실(32)의 내부로 조사하는 마그네트론(70)은 상기 상부히터(52)가 설치된 캐비티(30) 측면의 후단에 설치하였다. 따라서 조리실(32)의 상면과 측면에서 히터열을 대류시킬 수 있게 되어 조리실(32)의 내부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켜 신속조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히터의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범위가 상대적으로 커져서 다양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후드겸용 전자레인지{A over the range}
본 고안은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히터를 다수개 구비한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레인지의 프레임 역할을 하는 캐비티(1)의 내부에는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실(3)이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3)은 도어(도시되지 않음)의 개폐에 따라 외부와 차폐된 환경에서 마이크로웨이브와 히터열을 사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3)의 옆에 해당되는 캐비티(1)의 일측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하기 위한 마그네트론(7)과 고압트랜스(8) 등의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5)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5)의 상방에는 냉각팬모터(9)가 설치되고, 상기 냉각팬모터(9)에 의해 냉각팬(9')이 회전되어 상기 전장실(5)에 설치된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티(1)의 하면에는 턴테이블모터(10)가 설치되고, 상기 턴테이블모터(10)는 상기 조리실(3) 내부의 턴테이블(12)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턴테이블(12)은 조리물이 얹어지는 부분으로, 조리물을 얹은 상태로 회전되면서 조리물에 마이크로웨이브가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캐비티(1)의 일측면, 즉 상기 전장실(5)과 반대되는 측면에는 스터러팬조립체(13)가 설치된다. 상기 스터러팬조립체(13)는 상기 마그네트론(7)에서 발진되어 조리실(3) 내부로 주사된 마이크로웨이브를 휘저어 조리실(3) 전체에 마이크로웨이브가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캐비티(1)의 상면에는 히터쳄버(15)가 설치되고, 상기 히터쳄버(15)의 내부에는 상부히터(16)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히터(16)는 캐비티(1)의 상면에 설치되어 조리실(3)의 내부로 히터열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쳄버(15) 내부에는 상기 상부히터(16)의 열을 조리실(3) 내에서 대류되게 하는 대류팬(1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대류팬(17)은 팬모터(18)에 의해 구동된다.
그리고 후드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캐비티(1)의 후면 상단에는 배기팬조립체(19)가 설치된다. 상기 배기팬조립체(19)는 전자레인지의 하면을 통해 전자레인지의 하방에 설치된 가스오븐레인지 등에서 발생하는 연기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면 부호 20은 외부케이스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서는 상기 마그네트론(7)에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리실(3)의 내부로 주사하고 상기 스터러팬조립체(13)가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휘저어서 조리실(3) 전체로 반사되게 하여 조리물을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조리의 종류에 따라서는 상기 상부히터(16)가 발열하고 상기 대류팬(17)이 회전되면서 대류열을 조리실(3)의 내부에 전달하여 조리물을 가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히터(16)의 열과 마이크로웨이브를 함께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서는 상기 캐비티(1)의 외면을 둘러 각종 부품 들이 설치된다. 그리고 후드기능을 위한 구성들 또한 상기 캐비티(1)의 후면을 따라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의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서는 내부 공간의 제약 때문에 별도의 히터를 설치하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전자레인지의 히터출력을 더 높일 수 없었고, 히터출력의 한계 때문에 신속하게 조리를 수행할 수 없었다. 특히 상기 캐비티(1)의 전장실(5)쪽 측면은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이고, 그에 인접한 전장실(5)에 많은 부품이 설치되어 있어 더 이상의 부품을 설치할 만한 공간이 없었다.
그리고 상기 상부히터(16)만으로 조절할 수 있는 히터출력에는 한계가 있어, 히터열을 이용한 조리의 종류가 제한되고, 상기 대류팬(17)에 의해 형성되는 열기의 대류가 조리실(3)의 상부에서 하부로만 이루어져 보다 신속하게 조리실(3) 내부온도를 상승시킬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서 히터출력을 상대적으로 높여주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히터열을 사용한 조리를 보다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캐비티 32: 조리실
34: 턴테이블 36: 턴테이블모터
38: 도어 39: 도어핸들
40: 스터러팬조립체 50: 히터쳄버
52: 상부히터 54: 대류팬
56: 팬모터 60: 히터쳄버
62: 측면히터 64: 대류팬
66: 팬모터 70: 마그네트론
72: 고압트랜스 80: 배기팬조립체
90: 외부케이스 92: 배면플레이트
94: 베이스플레이트 96: 전면그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상대적으로 상부에 설치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하는 다수개의 전장부품과, 상기 캐비티의 상면과 일측면에 설치되어 조리실의 내부로 히터열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히터조립체와, 상기 제2히터조립체가 설치된 캐비티의 반대쪽 측면에 설치되어 조리실 내부의 마이크로웨이브를 휘저어주는 스터러팬조립체와, 상기 캐비티의 상단 후방에 설치되어 후드기능과 상기 전장부품의 냉각기능을 수행하는 배기팬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히터조립체는 캐비티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히터조립체는 상기 스터러팬조립체가 설치된 반대쪽 캐비티 측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히터열을 조리실 내부에서 대류시키기 위한 대류팬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전장부품은 상기 캐비티의 측면 상단 후방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과 인접한 캐비티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는 고압트랜스와, 상기 고압트랜스 근처의 캐비티 상면에 설치되는 고압캐패시터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에서 캐비티의 상대적으로 넓은 상면에 전장부품을 설치하였으므로 캐비티의 외면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히터를 캐비티의 측면에 하나 더 설치하여 조리실의 내부로 대류열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므로 히터의 출력조절범위가 상대적으로 커져 보다 다양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자레인지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캐비티(30)의 내부에는 조리실(32)이 형성된다. 상기 조리실(32)의 내부에서는 조리물의 가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조리실(32)의 바닥면에는 조리물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턴테이블(34)이 설치되고, 상기 캐비티(30)의 하면에는 상기 턴테이블(34)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모터(3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32)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캐비티(30)의 전면에는 도어(38)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38)에는 그 개폐를 위한 도어핸들(39)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캐비티(30)의 좌측(도면을 기준으로)에는 조리실(32) 내부로 조사된 마이크로웨이브를 휘저어 조리물에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스터러팬조립체(40)가 설치된다.
상기 캐비티(30)의 상면에는 조리실(32)의 내부로 히터열을 제공하기 위한 상부히터(52)가 설치된다. 즉 캐비티(30) 상면에 설치되는 히터쳄버(50)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히터(52)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히터(52)에서 발생된 히터열을 대류시키기 위한 대류팬(54)이 상기 히터쳄버(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대류팬(54)은 팬모터(56)에 의해 구동된다.
다음으로 상기 캐비티(30)의 우측(도면을 기준으로)에는 조리실(32)의 내부로 히터열을 제공하기 위한 측면히터(62)가 설치된다. 즉 상기 캐비티930)의 측면에 설치되는 히터쳄버(60)의 내부에는 상기 측면히터(62)가 설치되고, 상기 측면히터(62)에서 발생된 히터열을 대류시키기 위한 대류팬(64)이 상기 히터쳄버(60)의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대류팬(64)은 팬모터(66)에 의해 구동된다.
한편, 상기 조리실(32)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기 위한 구성을 살펴본다. 먼저 마그네트론(70)은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티(30)의 측면, 즉 상기 측면히터(62)가 설치되는 캐비티(30)의 측면의 후단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론(70)으로 고압을 제공하기 위한 고압트랜스(72)가 상기 캐비티(30)의 상면 일단에 설치된다. 또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압캐패시터 역시 상기 캐비티(30)의 상면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캐비티(30)의 후단 상부에는 후드기능과 전장부품의 냉각기능을 위한 배기팬조립체(80)가 설치된다. 즉 상기 배기팬조립체(80)는 후드기능을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캐비티(30)에 설치된 전장부품, 예를 들어 마그네트론(70)과 고압트랜스(72)의 방열을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하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90은 전자레인지의 상면과 양측면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이고, 92는 전자레인지의 배면을 형성하는 배면플레이트이며, 94는 베이스플레이트이다. 그리고 96은 전자레인지의 내외부로 공기가 유동되는 전면그릴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전자레인지는 캐비티(30)의 상대적으로 넓은 상면에 다수개의 전장부품을 설치하고, 상기 전장부품이 이동되어 여유공간이 생각 캐비티(30)의 측면(종래에 전장실측 면)에 별도의 측면히터(62)를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히터의 출력을 보다 넓은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고, 히터의 대류열이 조리실(32)의 내부에보다 신속하고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설명하면, 먼저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여 조리를 할 수 있다. 즉, 상기 마그네트론(70)에 의해 발진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리실(32)의 내부에 조사하고, 상기 마이크로웨이브를 상기 스터러팬조립체(40)가 휘저어 조리물에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히터열을 사용한 조리모드에서는 상기 상부히터(52)와 측면히터(62)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동작시켜 조리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히터의 출력이 조절될 수 있는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히터(52)와 측면히터(62)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히터(52)의 대류팬(54)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와 상기 측면히터(62)의 대류팬(64)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상호 보완적으로 조리실(32) 내부에서 대류되면서 조리실(23) 내부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되게 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서는 많은 부품이 구비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외면에 설치되는 부품의 설계를 보다 효율적으로 하여 캐비티의 상면과 측면에 각각 상부히터와 측면히터가 설치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조절가능한 히터의 출력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어져 보다 다양한 조리를 수행할 수 있고, 보다 신속하게 조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상대적으로 상부에 설치되어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하는 다수개의 전장부품과,
    상기 캐비티의 상면과 일측면에 설치되어 조리실의 내부로 히터열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 히터조립체와,
    상기 제2히터조립체가 설치된 캐비티의 반대쪽 측면에 설치되어 조리실 내부의 마이크로웨이브를 휘저어주는 스터러팬조립체와,
    상기 캐비티의 상단 후방에 설치되어 후드기능과 상기 전장부품의 냉각기능을 수행하는 배기팬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히터조립체는 캐비티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2히터조립체는 상기 스터러팬조립체가 설치된 반대쪽 캐비티 측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히터열을 조리실 내부에서 대류시키기 위한 대류팬이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품은 상기 캐비티의 측면 상단 후방에 설치되는 마그네트론과, 상기 마그네트론과 인접한 캐비티의 상면 일측에설치되는 고압트랜스와, 상기 고압트랜스 근처의 캐비티 상면에 설치되는 고압캐패시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2020000035801U 2000-12-20 2000-12-20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2002293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801U KR200229347Y1 (ko) 2000-12-20 2000-12-20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801U KR200229347Y1 (ko) 2000-12-20 2000-12-20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347Y1 true KR200229347Y1 (ko) 2001-07-19

Family

ID=7309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801U KR200229347Y1 (ko) 2000-12-20 2000-12-20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3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584B1 (ko) * 2000-12-30 2003-10-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1625679B1 (ko) * 2009-12-18 2016-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2584B1 (ko) * 2000-12-30 2003-10-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1625679B1 (ko) * 2009-12-18 2016-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67823B1 (en) Air duct in multi-purpose microwave oven
KR20040067380A (ko) 전기오븐
KR100395559B1 (ko) 히터를 가지는 전자렌지
KR200229347Y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KR200175396Y1 (ko) 붙박이식 전자렌지의 공기흐름 개선구조
KR200353573Y1 (ko) 전기오븐의 도어 냉각 시스템
KR100596247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냉각시스템
KR200229356Y1 (ko) 전자레인지의 단열구조
KR100557627B1 (ko) 전기오븐의 도어핸들 냉각 장치
KR20050062794A (ko) 피자오븐 겸용 전자렌지
KR100509016B1 (ko) 전기오븐
KR100390490B1 (ko) 전자렌지의 히팅장치
JP4619477B2 (ja) マイクロ波加熱装置
KR100533273B1 (ko) 전자레인지의 컨벡션 및 그릴 겸용히터 시스템
KR0113760Y1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냉각장치
KR100286026B1 (ko) 전자렌지
KR19990023521U (ko) 전자렌지의 흡기장치
KR20060037664A (ko) 전자 레인지
KR100762336B1 (ko) 멀티 도어형 전자레인지
KR100277964B1 (ko) 전자렌지
KR20050036439A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하부플레이트구조
KR200208890Y1 (ko) 전자 렌지용 컨벡션 어셈블리
KR101035516B1 (ko) 전자레인지용 프로텍터 와이어의 설치구조
KR20050050232A (ko) 다기능 전자렌지의 배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