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679B1 -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679B1
KR101625679B1 KR1020090127301A KR20090127301A KR101625679B1 KR 101625679 B1 KR101625679 B1 KR 101625679B1 KR 1020090127301 A KR1020090127301 A KR 1020090127301A KR 20090127301 A KR20090127301 A KR 20090127301A KR 101625679 B1 KR101625679 B1 KR 101625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nvection
upper plate
air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0470A (ko
Inventor
박용호
신영일
신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7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679B1/ko
Publication of KR2011007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67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안전성이 향상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분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본체 내부 공간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하부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 내부 공간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컨벡션장치; 및 상기 조리실과 상기 컨벡션장치 사이의 공기 이동 통로와, 상기 조리실과 상기 상부공간 사이의 공기 이동 통로 사이 한 지점에서 각각의 이동 통로까지 거리의 합이 가장 작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비정상 상태를 인식하는 온도감지부; 가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후드, 전자레인지, 온도감지부

Description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Microwave oven having hood}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안전성이 향상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라 불리는 고주파 및/또는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는 조리기기의 하나이다. 이러한 전자레인지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고주파를 발진하여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조리실의 내부 공간으로 조사하는 마그네트론이 설치된다.
상기 전자레인지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을 차폐한 다음 차폐된 조리실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생성되는 고주파가 조사되어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또한, 근래에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음식물의 요리를 위하여 다양한 가열원이 설치된다. 이러한 가열원은 상기 조리실의 내부 공간으로 고주파를 발진하여 조사하는 마그네트론을 비롯하여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산하여 차폐된 조리실을 가열하는 히터 등이 설치되며, 다양한 가열원이 설치됨으로써 음식물을 더 신속하게 요리하면서,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해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다양한 가열원이 설치되어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의 요리 시간을 단축하고 다양한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설치되는 다양한 가열원 및 가열원의 동작을 위한 다수의 전장 부품을 냉각하기 위하여 반드시 냉각공기의 유동이 동반되어야 한다.
상기 냉각공기의 유동이 동반된다 하더라도 다양한 가열원의 동작에 의해 높은 온도로 음식물을 가열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이 과열되거나, 가열원의 주변 공간이 고온으로 과열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즉, 다양한 가열원을 설치하여 고온으로 음식물을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의 요리 시간은 단축할 수 있으나, 그에 따른 안전성의 확보도 중요한 과제가 되기도 한다.
그리고, 전자레인지 중 하방에 설치되는 다른 조리기기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배기가스를 포함하는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거나, 정화하여 실내 공간 즉, 사용자가 위치하는 주방 공간으로 배출하는 후드 기능을 가지는 전자레인지를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또는 오티알(Over The Range) 타입 전자레인지라 통칭한다. 이러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는 냉각 공기의 유동을 포함하여 후드 기능을 위한 공기 유로가 더 형성된다.
상기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후드 기능을 위한 공기 유로가 더 마련되며,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와는 다른 공기 유로를 가지게 되고, 일반 전자레인지와 다른 공기 유로에 의해 음식물이 요리될 때 발생하는 배기가스의 배기유로가 제공되며, 이러한 배기유로에는 음식물의 요리를 위한 다양한 부품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조리실과 컨벡션장치의 비정상 상태를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온도감지부가 제공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분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본체 내부 공간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하부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 내부 공간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컨벡션장치; 및 상기 조리실과 상기 컨벡션장치 사이의 공기 이동 통로와, 상기 조리실과 상기 상부공간 사이의 공기 이동 통로 사이 한 지점에서 각각의 이동 통로까지 거리의 합이 가장 작은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비정상 상태를 인식하는 온도감지부; 가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할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공기를 흡입 및 배기하는 송풍팬; 상기 하부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조리실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대류배기구와, 상기 배기구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조리실의 내부공간으로 유동시키는 대류흡기구를 가지는 컨벡션장치; 상기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상기 상부공간 으로 유동시키는 통로인 가스배기구; 및 상기 대류배기구와 상기 대류흡기구, 상기 가스배기구가 서로 마주보는 부분의 후단부를 가상의 직선으로 연결할 때 형성되는 도형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의하면, 조리실과 컨벡션장치의 비정상 상태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리실과 컨벡션장치의 비정상 상태를 동시에 감지하게 됨으로써 하나의 온도감지부에 의해 동시 감지가 가능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생산에 따른 제조 비용을 절감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제조 비용의 절감으로 인해 제품의 생산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어 제품의 가격 경쟁력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되는 바와 같은 과제와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ㅎ나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를 살펴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조리실 내부 공간의 원활한 공기의 이동이 가능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모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도어와 컨트롤패널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상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덕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덕트와 컨벡션장치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감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본체(10)에 의해 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 하방에는 다른 형태의 조리기기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10)는 다른 형태의 조리기기 상측에 설치된다. 그 이유는 하측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내부 공간으로 흡입하여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는 후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도어(2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2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21)이 제공된다.
상기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20)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조리실(도 2의 3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리실(30)은 상기 도어(20)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면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도어(20)의 우측에는 컨트롤패널(41)이 위치된다. 상기 컨트롤패널(41)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다수의 스위치와 같은 입력부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41)에는 상기 본체(10)의 동작 정보와,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도 표시된다.
상기 컨트롤패널(41)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트롤패널(41)의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제어부품이 고정되면서 표면에 다양한 회로가 인쇄되어 있는 회로기판이 위치된다. 상기 회로기판과 전장부품이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조작 신호에 의해 전장부품이 동작하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단부에는 벤트그릴(77)이 위치된다. 상기 벤트그릴(77)은 본체(10)의 내, 외부 공간으로 공기가 출입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장실(40)은 상기 조리실(30)의 우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전장실(40)의 내부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된다. 전장실(40)의 내부에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42)과, 상기 마그네트론(42)으로 고전압의 전류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전류를 고전압으로 변환하는 고전압변환기(43)와, 상기 고전압변환기(43)로 일정한 전압의 전류를 공급하는 커패시터(44)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40)의 전면에 실질적으로 상기 컨트롤패널(41)이 위치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전면패널(11)이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후면을 후면패널(12)이 형성하고, 상기 본체(10)의 상면 및 양 측면을 상부패널(13)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패널(11), 후면패널(12) 및 상부패널(13)이 서로 고정되어 상기 본체(10)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패널(11)은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강도를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트롤패널(41) 및 상기 벤트그릴(77)에 대응하는 상기 전면패널(11)의 일부분은 절개된다.
상기 상부패널(13)에는 상기 본체(10) 내부 공간의 공기가 실외 공간으로 배출되는 실외배출구(1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부플레이트(15)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5)는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30) 및 전장실(40)의 상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15)는 상기 조리실(30) 및 전장실(40)과 후술할 배기공간(71) 및 제2흡입공간(73)을 구획한다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5)에는 배기구(도 4의 19)가 구비된다. 상기 배기구(19)는 상기 조리실(3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측면플레이트(17)와 하부플레이트(18)가 제공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7)는 상기 조리실(30)의 양 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7) 중 도면상 좌측의 것은 상기 상부패널(13)과의 사이에 다른 조리기기의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측면플레이트(17) 중 도면상 우측의 것은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30)과 전장실(40)을 구획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8)는 상기 조리실(30) 및 전장실(40)의 저면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8)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5)와 평행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8)의 상면에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7)의 하단이 고정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하부플레이트(18)는 후술할 송풍팬(5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는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로를 상기 조리실(30) 및 전장실(40)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장실(40)의 후단에는 구획플레이트(46)가 위치된다. 상기 구획플레이트(46)는 상기 후면패널(12)의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구획플레이트(46)와 후면패널(12)의 사이에는 상기 송풍팬(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는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로 가 형성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구획플레이트(46)에 의하여 상기 전장실(40) 및 후술할 제2흡입공간(73)과 상기 구획플레이트(46) 및 후면패널(12) 사이의 유로가 구획된다고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패널(11)의 상단부에는 실내배출구(74), 및 상기 제1실내흡입구(75), 제2실내흡입구(76)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배출구(74), 및 상기 제1실내흡입구(75), 제2실내흡입구(76)는 상기 전면패널(11)의 상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실내배출구(74)는 전면패널(11)의 상단부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제1실내흡입구(75)와 제2실내흡입구(76)는 실내배출구(74)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다.
상기 실내배출구(74)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실내배출구(75,76)는 본체(10)의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상기 실내배출구(74)의 후방에 형성되는 공간은 배기공간(71)이 된다. 상기 배기공간(71)은 실질적으로 실내배출구(74)를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서 주방 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이다.
상기 배기공간(71)의 양측 즉, 상기 제1 및 제2실내흡입구(75,76)의 후방에 형성되는 공간은 제1 및 제2흡입공간(72,73)이 된다. 상기 제1 및 제2흡입공간(72,73)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실내흡입구(75,76)를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외부 공간에서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이다.
상기 배기공간(71)에는 송풍팬(5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50)은 크로스플 로우팬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송풍팬(50)으로 다른 종류의 팬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공간의 활용 및 공기의 유동 공간을 고려할 때 크로스플로우 팬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팬(50)은 후드 기능을 위한 공기의 유동과,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제공되는 부품의 냉각을 위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킨다. 다시 말해서, 상기 송풍팬(50)은 후드 기능을 위한 공기의 유동과, 냉각 기능을 위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송풍팬(50)은 상기 조리기기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5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의 유로(즉, 상기 하부플레이트(18) 및 하면패널(14) 사이 공간, 상기 구획플레이트(46) 및 후면패널(12)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17) 및 상기 상부패널(13) 사이 공간)를 차례로 유동하도록 하고, 다시 상기 배기공간(71)을 유동하여 상기 실내배출구(74)를 통하여 배출되거나, 상기 실외배출구(131)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송풍팬(50)은 상기 제1실내흡입구(75)를 통하여 흡입되고, 상기 제1흡입공간(72)을 유동하면서 부품을 냉각시킨 후 상기 배기공간(71)을 유동하여 상기 실내배출구(74)를 통해 배출되거나, 상기 실외배출구(13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상기 전장실(40)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5)의 일측에는 냉각 팬(45)이 설치된다. 상기 냉각팬(45)은 전장실(40)에 설치되는 전장 부품의 냉각을 위한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냉각팬(45)은, 상기 제2실내흡입구(76)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제2흡입공간(73)을 유동한 후 상기 전장실(40) 내부의 전장부품을 냉각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냉각팬(45)은, 상기 전장실(40) 내부의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후 상기 조리실(30)로 전달되어 상기 배기구(19)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30)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기공간(71)에는 배기덕트(80)가 설치된다. 상기 배기덕트(80)는 실질적으로 상기 배기공간(71)을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과 부품이 설치되는 공간으로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기덕트(80)는 내열성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면, 내열성 고분자화합물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기덕트(80)는 대략 "H"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덕트(80)에 의해 상기 배기공간(71)이 2개의 공간 즉, 상기 상부플레이트(15)와 배기덕트(80) 사이의 공간 및 배기덕트(80)와 상기 상부패널(13) 사이 공간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5)와 상기 배기덕트(80)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는 부품이 설치되고, 배기덕트(80)와 상부패널(13)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은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유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배기덕트(80)의 저면에는 설치개구(80a)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 개구(80a)는 배기덕트(80)의 저면 일부가 절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설치개구(80a)는 후술할 램프(85)의 설치를 위한 것이다. 상기 설치개구(80a)는 덕트커버(81)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기덕트(80)에는 분리부재(87)가 구비된다. 상기 분리부재(87)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5)와 배기덕트(80) 사이의 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이때, 상기 분리부재(87)에 의하여 구획되는 2개의 공간이 상기 설치개구(80a)와 연통된다.
한편, 상기 상부플레이트(15)와 상기 배기덕트(80) 사이의 공간, 실질적으로 배기덕트(8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부플레이트(15)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플레이트(15)와 배기덕트(80) 사이의 공간에는 스터러장치 및 상기 램프(85)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스터러장치 및 상기 램프(85)는 상기 분리부재(87)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에 각각 위치된다. 즉, 상기 스터러장치는 상기 분리부재(87)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 중 도면상 우측의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램프(85)는 상기 분리부재(87)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중 도면상 좌측 공간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85)는 실질적으로 상기 설치개구(80a)를 통하여 상기 배기덕트(80)의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기덕트(80)에는 배기가이드(84)가 설치된다. 상기 배기가이드(84)는 상기 배기구(19)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3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실내배기구(74)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배기가이드(84)는 실질적으로 상기 배기덕트(80)의 상방에 해당하는 공간을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배기구(19)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구획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배기가이드(84)는 예를 들면, 배기구(19)의 상방에 해당하는 배기덕트(8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플레이트(15)와 상기 배기덕트(80) 사이의 공간, 실질적으로 배기덕트(8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부플레이트(15)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플레이트(15)와 배기덕트(80) 사이의 공간에는 스터러장치 및 램프(85)가 위치된다.
이때, 상기 스터러장치 및 상기 램프(85)는 상기 분리부재(87)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에 각각 위치된다. 즉, 스터러장치는 분리부재(87)에 의하여 구획되는 공간 중 도면상 우측의 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램프(85)는 분리부재(87)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중 도면상 좌측 공간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85)는 실질적으로 상기 설치개구(80a)를 통하여 상기 배기덕트(80)의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스터러장치는, 상기 조리실(30)의 내부로 조사되는 고주파를 난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터러장치는, 조리실(30)과 연통되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스터러커버(83), 상기 스터러커버(83)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주파의 난반사를 위하여 회전하는 스터러팬(미도시) 및 상기 스터러커버(83)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터러팬의 구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스터러팬모터(82)를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스터러팬모터(82)가 상기 상부플레이트(15) 및 상기 배기덕트(80) 사이의 공간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흡입공간(72)에는 컨벡션장치(60)가 설치된다. 상기 컨벡션 장치(60)는 상기 조리실(30)의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컨벡션장치(60)는, 컨벡션커버(62), 컨벡션팬(63), 컨벡션모터(61) 및 컨벡션히터(64)를 포함한다.
상기 컨벡션커버(62)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5)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컨벡션커버(62)는 저면이 개구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컨벡션챔버(62)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5)의 상면에 형성되는 컨벡션배기구(65)와 컨벡션흡기구(66)를 차폐한다.
상기 컨벡션흡기구(65) 및 컨벡션배기구(66)는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기 컨벡션흡기구(65)는 상기 컨벡션커버(62)의 내부, 실질적으로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5) 및 컨벡션커버(62)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조리실(30)의 내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컨벡션배기구(66)는, 상기 컨벡션커버(62)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조리실(30)의 내부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상기 컨벡션팬(63)은 상기 컨벡션흡기구(65)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컨벡션커버(62)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컨벡션팬(63)은 상기 컨벡션흡기구(65)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30)의 내부에서 상기 컨벡션커버(62)의 내부로 흡입되고, 다시 상기 컨벡션배기구(66)을 통하여 상기 컨벡션커버(62)의 내부에서 상기 조리실(3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을 형성한다.
상기 컨벡션모터(61)는 상기 컨벡션팬(63)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 다. 상기 컨벡션모터(61)는 상기 컨벡션커버(62)의 외부, 즉 상기 컨벡션커버(62)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흡입공간(72) 상에 노출된다.
상기 컨벡션히터(64)는 상기 컨벡션팬(63)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조리실(30)의 내부에서 상기 컨벡션챔버(62)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컨벡션히터(64)는 상기 컨벡션팬(63)의 테두리를 따라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플레이트(15)에는 온도감지부(90)가 설치된다. 상기 온도감지부(90)는 전자레인지의 이상 여부, 예를 들면, 즉 상기 마그네트론(42)이나 컨벡션장치(60)와 같은 가열원의 과열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도감지부(90)가 상기 배기구(19), 컨벡션흡기구(65) 및 컨벡션배기구(66)를 통하여 입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온도감지부(90)로는, 감지한 온도가 상기 안전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써모스텟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온도감지부(9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5)와 접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감지부(90)는, 상기 배기구(19)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3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 상기 컨벡션흡기구(65)를 통하여 상기 컨벡션커버(62)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 및 상기 컨벡션배기구(66)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30)의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기 상부플레이트(15)를 통하여 전도받아서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감지부(90)는 브라켓(91)에 의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15) 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온도감지부(90)는 상기 브라켓(91)에 끼움 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온도감지부(90)는 아래의 조건을 모두 만족하도록 위치된다.
(1) A < B + C
(2) B < C + A
(3) C < A + B
여기서 A는 상기 온도감지부(90)로부터 상기 배기구(19)까지의 최단거리이고, B는 상기 온도감지부(90)로부터 상기 컨벡션흡기구(65)까지의 최단거리이며, C는 상기 온도감지부(90)로부터 상기 컨벡션배기구(66)까지의 최단거리이다.
즉, 상기 온도감지부(90)는 상기 배기구(19), 컨벡션흡기구(65) 및 컨벡션배기구(66) 중 어느 하나까지의 최단거리가 나머지까지의 최단거리의 합 미만이 되도록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온도감지부(90)가, 상기 배기구(19), 컨벡션흡기구(65) 및 컨벡션배기구(66)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입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안전온도를 초과하면, 전자레인지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상기 온도감지부(90)가 상기 배기구(19) 및 컨벡션배기구(66)에 비하여 상기 컨벡션흡기구(65)로부터 과도하게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온도감지부(90)는 상기 컨벡션흡기구(65)를 통하여 입출되는 공기의 온도가 상기 안전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실제 전자레인지에 이상이 발생되었지만, 상기 온도감지부(90)가 이를 감지하지 못함으로써, 전자레인지가 과열되거나 나아가 전자레인지에 화재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도감지부(90)가, 상술한 바와 같은 부등식을 만족하도록 위치됨으로써, 상기 배기구(19), 컨벡션흡기구(65) 및 컨벡션배기구(66)를 통하여 입출되는 공기의 온도 중 어느 하나의 온도가 설정된 안전온도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실시예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마그네트론(42)이 동작하여 상기 조리실(30)의 내부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마그네트론(42)이 동작하면, 상기 냉각팬(45)도 동작하여 상기 마그네트론(42)을 포함하는 전장부품의 냉각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조리실(30)의 내부로 전달되고, 상기 배기구(19)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30)의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마그네트론(42)의 동작과 함께 상기 컨벡션장치(60)가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컨벡션모터(61)에 상기 컨벡션팬(63)이 회전하면, 상기 컨벡션흡기구(65) 및 컨벡션배기구(66)를 통한 상기 조리실(30)과 상기 컨벡션커버(62) 사이의 공기의 입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온도감지부(90)가, 상기 흡기구(19), 컨벡션흡기구(65) 및 컨벡션배기구(66)를 통하여 입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통하여 전자레인지의 이상 여부를 감지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온도감지부(90)가 상기 배기구(19), 컨벡션흡기구(65) 및 컨벡션배기구(66)를 통하여 입출되는 공기 중 어느 하나의 온도가 상기 안전온도를 초과하더라도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감지부(90)에 의하여 보다 정확하게 전자레인지의 이상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온도감지부(90)에 의하여 전자레인지의 이상 여부가 감지되면, 마이컴(미도시)이 전자레인지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 따라서 전자레인지의 과열이나 전자레인지에 발생되는 화재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의하면, 조리실의 비정상 상태와 컨벡션장치의 비정상 상태를 가장 적합한 위치에서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안전성을 보장하게 됨으로써 제품 사용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의하면 조리기기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
도 2 는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도어와 컨트롤패널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상부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덕트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배기덕트와 컨벡션장치 커버가 제거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감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온도감지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

Claims (9)

  1.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분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본체 내부 공간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
    상기 하부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서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열원;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조리실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구;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조리실 내부공간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컨벡션흡기구 및 컨벡션배기구를 가지는 컨벡션장치;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구비되고, 상기 배기구, 상기 컨벡션흡기구 및 상기 컨벡션배기구에서 입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감지부는, 상기 배기구, 상기 컨벡션흡기구 및 상기 컨벡션배기구 중 어느 하나와의 최단거리가 나머지들의 최단거리의 합 미만이 되도록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의해 전도되는 상기 배기구, 컨벡션흡기구 및 컨벡션배기구를 통하여 입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부는 상기 가열원에 의한 과열 및 상기 컨벡션장치에 의한 과열을 동시에 감지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부에 의하여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안전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본체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6.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할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공기를 흡입 및 배기하는 송풍팬;
    상기 하부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제공되고, 상기 조리실 내부 공간의 공기를 외부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대류배기구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제공되고, 상기 대류배기구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조리실의 내부공간으로 유동시키는 대류흡기구를 가지는 컨벡션장치;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제공되고, 상기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상기 상부공간으로 유동시키는 통로인 가스배기구; 및
    상기 대류배기구와 상기 대류흡기구, 상기 가스배기구가 서로 마주보는 부분의 후단부를 가상의 직선으로 연결할 때, 상기 상부플레이트 상에 형성되는 도형의 내부 공간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여 상기 본체의 비정상 상태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가 포함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로 전도되는 열에 의한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본체의 비정상 상태를 판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부는 상기 컨벡션장치와 상기 조리실의 비정상 상태를 동시에 인식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비정상 상태가 인식되면 상기 본체의 전원을 차단하도록 제어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20090127301A 2009-12-18 2009-12-18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1625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301A KR101625679B1 (ko) 2009-12-18 2009-12-18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301A KR101625679B1 (ko) 2009-12-18 2009-12-18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470A KR20110070470A (ko) 2011-06-24
KR101625679B1 true KR101625679B1 (ko) 2016-05-30

Family

ID=4440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301A KR101625679B1 (ko) 2009-12-18 2009-12-18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6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97294A (zh) * 2011-09-13 2013-03-27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对流式微波炉
CN102997295B (zh) * 2011-09-13 2016-07-0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对流式微波炉
CN105066192B (zh) * 2015-08-20 2017-10-24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测温微波炉及工作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356A (ja) * 1998-08-24 2000-03-03 Osaka Gas Co Ltd 調理器
KR200229347Y1 (ko) * 2000-12-20 200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5356A (ja) * 1998-08-24 2000-03-03 Osaka Gas Co Ltd 調理器
KR200229347Y1 (ko) * 2000-12-20 2001-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470A (ko)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1058B1 (en) Wall-mounted microwave oven with air curtain guide
EP1439740B1 (en) Wall-mounted type microwave oven
US7296565B2 (en) Cooling apparatus of cooking appliance
US8333183B2 (en) Cooking range including an air circulation mechanism
US8334482B2 (en) Cooking range with air circulation mechanism
EP1243164B1 (en) Built-in microwave oven
KR101625679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EP2235445B1 (en) A microwave oven
CN110249179A (zh) 加热烹调器
KR100402587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20010064859A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JP5011001B2 (ja) 加熱調理器
KR101627379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1652999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1665697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200232523Y1 (ko) 전자레인지 캐비티의 흡배기 구조
JP5542563B2 (ja) 加熱調理器
KR20060119448A (ko) 컨벡션형 전자 레인지
KR20050077334A (ko) 벽걸이형 전자레인지
US20240015859A1 (en) Cooking device
KR101634808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JP6840109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650565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KR200189009Y1 (ko) 전자레인지의 고내공기 배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