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808B1 -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 Google Patents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808B1
KR101634808B1 KR1020090127339A KR20090127339A KR101634808B1 KR 101634808 B1 KR101634808 B1 KR 101634808B1 KR 1020090127339 A KR1020090127339 A KR 1020090127339A KR 20090127339 A KR20090127339 A KR 20090127339A KR 101634808 B1 KR101634808 B1 KR 101634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oking chamber
microwave oven
chamber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0498A (ko
Inventor
박용호
신영일
신상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808B1/ko
Publication of KR2011007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장실의 원활한 공기 유동을 위한 공기가이드가 제공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위치하여, 적어도 고주파를 발산하는 마그네트론이 설치되는 전장실; 및 상기 마그네트론의 냉각 공기 일부를 상기 조리실로 안내하는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공기 출구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제1부재의 공기 출구부분보다 더 넓은 면적의 공기 입구부분을 가지는 제2부재가 제공되는 안내부재; 가 포함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의하면, 전장실의 공기 유동이 원활하게 형성됨으로써 효율적인 전장 부품의 냉각과 조리실의 습기 제거가 용이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전장실, 마그네트론, 안내부재

Description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Microwave oven having hood}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전장실의 원활한 공기 유동을 위한 공기가이드가 제공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는 마이크로웨이브라 불리는 고주파 및/또는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는 조리기기의 하나이다. 이러한 전자레인지에는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고주파를 발진하여 음식물의 가열을 위한 고주파를 생성하는 마그네트론이 설치된다.
상기 전자레인지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을 차폐한 다음 차폐된 조리실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되는 고주파를 조사하여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또한, 근래에는 신속하고 효율적인 조리를 위하여 다양한 가열원이 설치된다. 이러한 가열원은 고주파를 발산하는 상기 마그네트론을 비롯하여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산하는 히터 등 신속하고 효율적인 조리를 위하여 다양한 가열원이 설치된다.
이처럼, 다양한 가열원이 설치되어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가열하게 되어 음식물의 요리 시간은 단축될 수 있으나, 다양한 가열원 및 다수의 부품을 냉각하기 위하여 반드시 냉각 공기의 유동이 동반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자레인지 중 하방에 설치되는 조리기기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배기가스를 포함하는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거나, 정화하여 실내 공간으로 배출하는 후드 기능을 가지는 전자레인지를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또는 오티알(OTR:Over The Range) 타입 전자레인지라 통칭한다. 이러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는 냉각 공기의 유동을 포함하여 후드 기능을 위한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후드 기능을 위한 공기 유로가 더 형성됨으로써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와는 다른 공기 유로를 가지게 되고, 일반 전자레인지와 다른 공기 유로에 의해 음식물이 조리되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의 배기 유로가 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후드 기능을 위한 공기 유로가 더 형성되고, 다수의 전장 부품이 위치하는 전장실의 냉각을 위하여 전장실로 유동하는 공기는 전장 부품을 냉각한 다음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으로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전장실의 냉각을 위하여 전장실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전장실의 내부 공간에서 원활하게 유동하지 않고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장실의 원활한 공기 유동이 가능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조리실의 내부 공간으로 원활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위치하여, 적어도 고주파를 발산하는 고주파발생기가 설치되는 전장실; 상기 고주파발생기의 냉각 공기를 상기 조리실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 및 상기 제1가이드의 하단부보다 더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장실의 공기를 상기 조리실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 가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의하면, 전장 부품을 냉각한 공기가 원활하게 조리실로 유입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전장실을 냉각한 공기가 원활하게 조리실로 유입됨에 따라 조리실의 공기 유동량이 증가하여 조리실 내부 공간의 습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리실 내부 공간의 습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조리실 내 부 공간의 습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전장실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정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조리실로 유동할 수 있게 되어 전장실에 위치하는 전장 부품의 원활한 냉각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며, 전장 부품의 원활한 냉각으로 인해 전장 부품의 동작 오류가 절감되고, 전장 부품의 수명이 길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전장 부품의 동작 오류가 절감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으며, 전장 부품의 열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에 따른 서비스 비용이 절감되고, 이로 인해, 제품의 사용에 대한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경제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되는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를 살펴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전장 부품의 냉각을 위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면서 음식물이 요리되는 조리실의 내부 공간으로 원활한 공기의 이동이 가능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모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상부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실을 나타낸 우측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실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실을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조리실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전방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본체(10)에 의해 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 하방에는 다른 형태의 조리기기가 설치된다.
상기 본체(10)는 다른 형태의 조리기기 상측에 설치된다. 그 이유는 하측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내부 공간으로 흡입하여 외부 공간으로 배기하는 후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상기 본체(10)의 전면에는 도어(2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 어(20)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21)이 제공된다.
상기 도어(2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20)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조리실(30)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리실(30)은 상기 도어(20)에 선택적으로 개폐되면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조리실(30)의 내부 공간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도어(20)의 우측에는 컨트롤패널(41)이 위치된다. 상기 컨트롤패널(41)에는 사용자가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다수의 스위치와 같은 입력부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41)에는 상기 본체(10)의 동작 정보와,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도 표시된다.
상기 컨트롤패널(41)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세로 방향으로 긴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트롤패널(41)의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제어부품이 고정되면서 표면에 다양한 회로가 인쇄되어 있는 회로기판이 위치된다. 상기 회로기판과 전장부품이 연결되면서, 사용자의 조작 신호에 의해 전장부품이 동작하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단부에는 벤트그릴(77)이 위치된다. 상기 벤트그릴(77)은 본체(10)의 내, 외부 공간으로 공기가 출입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장실(40)은 상기 조리실(30)의 우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전장실(40)의 내부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된다. 전장실(40)의 내부에 는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42)과, 상기 마그네트론(42)으로 고전압의 전류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급되는 전류를 고전압으로 변환하는 고전압변환기(43)와, 상기 고전압변환기(43)로 일정한 전압의 전류를 공급하는 커패시터(44)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장실(40)의 전면에 실질적으로 상기 컨트롤패널(41)이 위치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전면을 전면패널(11)이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후면을 후면패널(12)이 형성하고, 상기 본체(10)의 상면 및 양 측면을 상부패널(13)이 형성한다. 상기 전면패널(11), 후면패널(12) 및 상부패널(13)이 서로 고정되어 상기 본체(10)의 외형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패널(11)은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강도를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컨트롤패널(41) 및 상기 벤트그릴(77)에 대응하는 상기 전면패널(11)의 일부분은 절개된다.
상기 상부패널(13)에는 상기 본체(10) 내부 공간의 공기가 실외 공간으로 배출되는 실외배출구(1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상부플레이트(15)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5)는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30) 및 전장실(40)의 상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15)는 상기 조리실(30) 및 전장실(40)과 후술할 배기공간(71) 및 제2흡입공간(73)을 구획한다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5)에는 배기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배기구는 상기 조리실(3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측면플레이트(17)와 하부플레이트(18)가 제공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7)는 상기 조리실(30)의 양 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측면플레이트(17) 중 도면상 좌측의 것은 상기 상부패널(13)과의 사이에 다른 조리기기의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측면플레이트(17) 중 도면상 우측의 것은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실(30)과 전장실(40)을 구획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8)는 상기 조리실(30) 및 전장실(40)의 저면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8)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5)와 평행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8)의 상면에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7)의 하단이 고정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하부플레이트(18)는 후술할 송풍팬(5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는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로를 상기 조리실(30) 및 전장실(40)과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장실(40)의 후단에는 구획플레이트(46)가 위치된다. 상기 구획플레이트(46)는 상기 후면패널(12)의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구획플레이트(46)와 후면패널(12)의 사이에는 상기 송풍팬(5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는 연소가스가 유동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상기 구획플레이트(46)에 의하여 상기 전장실(40) 및 후술할 제2흡입공간(73)과 상기 구획플레이트(46) 및 후면패널(12) 사이의 유로가 구획된다고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패널(11)의 상단부에는 실내배출구(74), 및 상기 제1실내흡입구(75), 제2실내흡입구(76)가 형성된다. 상기 실내배출구(74), 및 상기 제1실내흡 입구(75), 제2실내흡입구(76)는 상기 전면패널(11)의 상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실내배출구(74)는 전면패널(11)의 상단부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제1실내흡입구(75)와 제2실내흡입구(76)는 실내배출구(74)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위치된다.
상기 실내배출구(74)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서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실내배출구(75,76)는 본체(10)의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상기 실내배출구(74)의 후방에 형성되는 공간은 배기공간(71)이 된다. 상기 배기공간(71)은 실질적으로 실내배출구(74)를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서 주방 공간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이다.
상기 배기공간(71)의 양측 즉, 상기 제1 및 제2실내흡입구(75,76)의 후방에 형성되는 공간은 제1 및 제2흡입공간(72,73)이 된다. 상기 제1 및 제2흡입공간(72,73)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실내흡입구(75,76)를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외부 공간에서 내부 공간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이다.
상기 배기공간(71)에는 송풍팬(50)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50)은 크로스플로우팬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송풍팬(50)으로 다른 종류의 팬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공간의 활용 및 공기의 유동 공간을 고려할 때 크로스플로우 팬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팬(50)은 후드 기능을 위한 공기의 유동과,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에 제공되는 부품의 냉각을 위한 공기 유동을 발생시킨다. 다시 말해서, 상기 송풍팬(50)은 후드 기능을 위한 공기의 유동과, 냉각 기능을 위한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송풍팬(50)은 상기 조리기기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팬(50)은,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의 유로(즉, 상기 하부플레이트(18) 및 하면패널(14) 사이 공간, 상기 구획플레이트(45) 및 후면패널(12) 사이의 공간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17) 및 상기 상부패널(13) 사이 공간)를 차례로 유동하도록 하고, 다시 상기 배기공간(71)을 유동하여 상기 실내배출구(74)를 통하여 배출되거나, 상기 실외배출구(131)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송풍팬(50)은 상기 제1실내흡입구(75)를 통하여 흡입되고, 상기 제1흡입공간(72)을 유동하면서 부품을 냉각시킨 후 상기 배기공간(71)을 유동하여 상기 실내배출구(74)를 통해 배출되거나, 상기 실외배출구(13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상기 전장실(40)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5)의 일측에는 냉각팬(45)이 설치된다. 상기 냉각팬(45)은 전장실(40)에 설치되는 전장 부품의 냉각을 위한 공기 흐름을 형성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냉각팬(45)은, 상기 제2실내흡입구(76)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제2흡입공간(73)을 유동한 후 상기 전장실(40) 내부의 전장부품을 냉각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냉각팬(45)은, 상기 전장실(40) 내부의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후 상기 조리실(30)로 전달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30)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한편,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조리실(30)의 우측면 즉, 상기 측면플레이트(17)의 우측면에는 상기 마크네트론(42)이 고정된다. 이러한 마그네트 론( 42)은 상기 냉각팬(45)에서 직 하방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마그네트론(42)이 위치하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7)에는 조리실다공부( 40a)가 형성된다. 상기 조리실다공부(40a)는 상기 마그네트론(42)을 냉각한 공기가 상기 조리실(30)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 조리실다공부(40a)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홀이 다수 형성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리실다공부(40a)는 전체적으로 상기 마그네트론(42)의 상하 방향 길이보다 더 긴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다공부(40a)는 상기 도어(20)의 후면에 인접되는 상기 측면플레이트( 17)의 전단부 및 상기 마그네트론(42)이 설치되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7)의 측 사이에 해당하는 영역에 형성된다. 이는 상기 조리실다공부(40a)를 통하여 전달된 공기가 상기 조리실(3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상기 도어(20)의 후면과 접촉 또는 일종의 에어커튼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상기 도어 (20) 후면에 형성되는 습기를 제거하거나 상기 도어 (20) 후면에 습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전장실(40)에는 상기 마그네트론(42)을 냉각한 공기가 상기 조리실다공부(40a)를 향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재(48)가 제공된다. 상기 안내부재 (48)는 제1부재(481) 및 제2부재(48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부재(481)는, 상기 안내부재(48)는 상기 마그네트론(42)의 좌측면 및 하면 일부에 입구 부분이 연결된다. 상기 제2부재(482)는, 상기 제1부재(481) 의 출구 부분과 그 입구 부분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481) 및 제2부재(482)는 상기 조리실다공부(40a)를 차폐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부재(481)는 상기 마그네트론(42)에 인접하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7)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조리실다공부(40a)의 일부를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제2부재(482)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7)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조리실다공부(40a)의 일부를 차폐한다. 그리고 상기 제2부재(482)의 하단부는 상기 제1부재(481)의 하면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된다. 이는 상기 전장실(4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여 다른 전장 부품을 냉각시킨 공기가 상기 조리실다공부(40a)로 안내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부재(481)는, 그 전면 및 우측면이 개방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부재(481)의 하면 일부는 상기 마그네트론(42)의 하면 하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론(42)에 인접하는 상기 제1부재(481)의 일부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마그네트론(42)을 상하 방향으로 통과한 공기를 상기 제1부재(481)의 내부 공간으로 안내된다.
상기 제2부재(482)는, 그 후면 및 우측면이 개방되는 다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부재(482)는 개방된 후면의 일부는 상기 제1부재(481)의 개방된 전면과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부재(482)의 개방된 후면 일부를 통하여 기 제1부재(481)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2부재(482)의 내부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제2부재(482)의 개방된 후면의 나머지를 통하여 상기 전장실(40)에 설치되는 다른 전장부품을 냉각한 공기가, 상기 제2부재(482)의 내부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제2부재(482)의 하부는, 좌측면 하단부를 기준으로 슬리팅된다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냉각팬(45)이 구동하면, 상기 제2실내흡입구 (76)를 통하여 상기 제2흡입공간(73)의 내부로 흡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2흡입공간(73)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냉각팬(45)의 계속적인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전장실(40)의 내부로 전달된다.
상기 전장실(40)의 내부로 전달된 공기는 상기 전장실(40)의 내부의 전장부품, 즉 상기 마그네트론 (42) 등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론(42)을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제1 및 제2부재(481,482)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조리실다공 부(40a)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30)의 내부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전장실(40)의 다른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제2부재(482)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기 조리 실다공부( 40a)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30)의 내부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30)의 내부로 전달된 공기는, 상기 조리실(30)의 내부를 순환하면서, 상기 조리실(30)의 내부의 각종 오염물질, 즉 수분이나 유분 등을 포함한 상태로, 상기 배기구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3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조리실(30)의 내부로 전달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도어(20)의 후면에 발생되는 습기를 제거하거나 습기가 발생되지 못하도록 하는 에어커튼의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도어 (20) 후면에 인접하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7)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조리실다공부(40a)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30)의 내부로 전달된 공기에 의하여 이와 같은 역할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의하면, 전장실 내부 공간의 공기 유동이 원활해짐으로써 전장 부품의 효율적인 냉각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고, 전장 부품의 열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장실의 원활한 공기 유동으로 조리실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증가하여 조리실 내부 공간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하여 조리실 내부공간의 습기 제거가 용이해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효과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조리기기의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설치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상부패널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실을 나타낸 우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실을 나타낸 전방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실을 나타낸 후방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조리실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전방사시도.

Claims (6)

  1. 외관을 이루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일측에 위치하며, 적어도 고주파를 발산하는 마그네트론과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
    상기 전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
    상기 전장실에 배치되며, 상기 냉각팬으로 유입되어 상기 마그네트론을 냉각한 공기를 상기 조리실로 안내하는 제1부재; 및
    상기 제1부재의 공기 출구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의 공기 출구 부분보다 더 넓은 면적의 공기 입구 부분을 가지는 제2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1부재를 통과한 공기와, 상기 제1부재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한 공기를 상기 조리실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실과 인접한 상기 조리실의 측면에는, 상기 전장실의 내부 공기가 상기 조리실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다공부가 형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내부 공간에 의해 상기 마그네트론을 냉각한 공기의 일부가 상기 조리실의 내부 공간으로 향하도록 안내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제1부재의 하단부보다 더 하측에 위치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하면은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지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일체로 형성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20090127339A 2009-12-18 2009-12-18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1634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339A KR101634808B1 (ko) 2009-12-18 2009-12-18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339A KR101634808B1 (ko) 2009-12-18 2009-12-18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498A KR20110070498A (ko) 2011-06-24
KR101634808B1 true KR101634808B1 (ko) 2016-06-29

Family

ID=44401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339A KR101634808B1 (ko) 2009-12-18 2009-12-18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8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065Y1 (ko) 1996-08-20 1999-08-02 윤종용 전자렌지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2557A (ja) * 1992-06-01 1993-1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KR960007560B1 (ko) * 1994-01-13 1996-06-05 배순훈 전자렌지의 에어 가이드장치
KR101119094B1 (ko) * 2004-10-14 2012-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4065Y1 (ko) 1996-08-20 1999-08-02 윤종용 전자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498A (ko)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9206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US6812444B2 (en) Device for cooling the electronic equipment of a microwave oven
KR20050000738A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KR100694254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20070008045A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배기장치
KR100402578B1 (ko)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101634808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1625679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1652999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0264122B1 (ko) 전자렌지의 전장물 냉각장치
KR20220136027A (ko) 조리기기
KR100650565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냉각구조
KR100420319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전장부품 냉각구조 및 조리실에어플로 구조
KR101627379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JP2015041505A (ja) 加熱調理器
KR20050010565A (ko) 전자레인지
KR101665697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1025636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0437396B1 (ko) 전자레인지의 조리실 공기유동장치
KR200226753Y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가스 배출구조
KR20110018224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0621034B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전장부품 냉각구조
KR100377739B1 (ko) 빌트인타입 전자레인지
KR100285842B1 (ko) 벽걸이형전자레인지
KR100671839B1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4